맨위로가기

프리즈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리즈렌은 코소보 남부에 위치한 도시로, 샤르 산맥 기슭에 자리 잡고 있다. 이 도시는 고대 로마 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해 왔으며, 중세 시대에는 세르비아 왕국의 중요한 도시로 발전했다. 오스만 제국 시기에는 문화와 상업의 중심지 역할을 했으며, 19세기에는 알바니아 민족주의의 중심지로 부상했다. 프리즈렌은 다양한 민족과 종교가 공존하는 도시로, 알바니아인, 보스니아인, 튀르크인 등이 거주하며, 이슬람교, 로마 가톨릭, 동방 정교회 등 다양한 종교가 존재한다. 오늘날 프리즈렌은 코소보에서 두 번째로 인구가 많은 도시이며, 다양한 문화 유적과 연례 영화제를 통해 관광 도시로도 알려져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코소보의 도시 - 프리슈티나
    프리슈티나는 코소보의 수도이자 가장 큰 도시로서 정치, 경제, 문화의 중심지이며, 발칸 반도의 역사적 중요성과 다양한 문명의 영향을 받은 곳으로, 교육 중심지이자 다양한 문화 행사 개최지이며, 교통의 요충지이다.
  • 코소보의 도시 - 페리자이
    페리자이는 코소보에 위치한 도시로, 철도 개통과 함께 호텔 경영자의 이름을 따서 개명되었으며, 신석기 시대부터 사람들이 거주했고, 코소보 전쟁 이후에는 미국 육군 기지가 건설되었으며, 종교적 관용을 상징하는 모스크와 교회가 있고, 벽화 축제를 개최하는 문화적으로 중요한 도시이다.
프리즈렌 - [지명]에 관한 문서
개요
시내 중심
시내 중심
시난 파샤 모스크
시난 파샤 모스크
프리즈렌 요새
프리즈렌 요새
영구적인 도움의 성모 대성당
영구적인 도움의 성모 대성당
리에비슈의 성모
리에비슈의 성모
프리즈렌 동맹 기념 단지
프리즈렌 동맹 기념 단지
밤의 프리즈렌
밤의 프리즈렌
기본 정보
로마자 표기 (알바니아어)Prizreni
로마자 표기 (세르비아어)Prizren
지리
위치코소보
면적 (전체)626.86 제곱킬로미터
순위 (면적)코소보 내 2위
행정 구역
국가코소보
프리즈렌 구
자치체 종류기초 자치체
행정시장-의회
시장샤치르 토타이
소속 정당PDK
의회프리즈렌 시의회
인구
총 인구 (2024년)147,428명
순위 (인구)코소보 내 2위
인구 밀도자동 계산
인구 관련 각주
총 인구171,464 명
인구 시점2006년
정치
수도 지정 관련 법률코소보 공화국 관보 https://gzk.rks-gov.net/ActDetail.aspx?ActID=16506
기타 정보
시간대CET
협정 세계시 (UTC) 차이+1
하계 시간CEST
하계 시간 (UTC) 차이+2
우편 번호20000
지역 번호+383 (0) 29
차량 등록 번호04
웹사이트https://kk.rks-gov.net/prizren/
기타

2. 역사

프리즈렌은 전통적으로 로마 제국 시대의 도시인 테란다와 동일시되었으나, 최근 연구에 따르면 테란다는 현재의 수바 레카에 위치했을 가능성이 있다. 고고학적 연구에 따르면 프리즈렌 요새는 선사 시대부터 여러 시대에 걸쳐 사람이 살았던 곳이다. 청동기 시대부터 철기 시대까지의 유물이 발견되었으며, 이는 프리즈렌 서쪽에 있는 블라슈녜 마을의 선사 시대 유적과 유사하다.[9]

유스티니아누스 1세 시대에 요새가 재건되었으며, 프로코피우스의 저서에서 ''페트리젠''으로 처음 역사 기록에 등장했을 가능성이 있다.[9] 콘스탄틴 지레첵은 데메트리오스 호마테노스의 서신을 통해 프리즈렌이 6세기 발칸 반도의 슬라브족 이주 이전 알바니아인의 최북동 지역이었다고 결론지었다.[10]

현재의 프리즈렌은 1019년 바실 2세 시대에 'Prisdriana'로 처음 언급되었다. 1072년 게오르기 보이테흐의 봉기 지도자들은 프리즈렌에서 회의를 열고 두클랴의 미하일로 보이슬라블리에비치에게 도움을 요청했다. 미하일로는 아들 콘스탄틴 보딘과 병사 300명을 보냈고, 보딘은 "불가리아 황제"로 선포되었다. 그러나 이들은 1072년 말 니케포로스 브리엔니오스에게 패배했다. 1090년대에 세르비아 통치자 부칸이 이 지역을 약탈했다. 데메트리오스 코마테노스는 1219년까지 프리즈렌을 관할한 마지막 비잔틴 오흐리드 대주교이다. 스테판 네마냐는 1180년대와 1190년대 사이에 주변 지역을 점령했지만, 이후 통제력을 잃었을 수 있다.

1219년 프리즈렌이 콘스탄티노플 총대주교에서 분리되면서 세르비아 네마니치 왕조의 통치가 확립되었다. 프리즈렌과 그 요새는 포드림례(알바니아어: 포드리마 또는 아나드리니) 주파의 행정 및 경제 중심지가 되었다. 라구사 공화국 상인들이 주둔하면서 프리즈렌은 동부 코소보 및 그 너머로 라구사 무역의 중심지가 되었다.

스테판 두샨은 프리즈렌에 성 아치엔젤 수도원을 세우고 그곳에 묻혔다. 프리젠은 잠시 동안 세르비아 제국의 수도 역할을 했으며, 두브로브니크와 콘스탄티노플 사이의 중요한 무역 거점이었다.

1330년, 세르비아 왕 스테판 데찬스키는 프리즈렌과 스코페 지역에서 알바니아인들의 존재와 알바니아 마을의 이름을 명시했다. 1348년부터 1353년 사이에 프리즈렌의 성 미하일과 가브릴 수도원에 주어진 세르비아 차르 스테판 두샨의 황금 칙서에는 알바니아인이 프리즈렌 근처, 메토히야 두카진 평원, 드레니차 마을에 존재한다고 명시되어 있으며, 프리즈렌 근처에 있는 9개의 알바니아 가축 사육 마을이 명시되어 있다.[11][12][13][14][15][16][17]

1371년 스테판 우로시 5세의 죽음 이후, 여러 귀족들이 프리즈렌을 통제하기 위해 경쟁했으며, 이는 오스만 제국의 개입을 불러왔다. 마르코 왕자, 제타 공국의 발시치 가문, 니콜라 알토마노비치, 주라지 브란코비치 등이 프리즈렌을 차지하기 위해 다투었다.

가톨릭 교회는 이 지역에서 어느 정도 영향력을 유지했으며, 14세기 문서에는 프리즈렌에 있는 가톨릭 교회가 언급되어 있다.

2. 1. 고대 및 중세

고대 말기와 중세 코소보의 요새와 정착지


프리즈렌은 전통적으로 로마 제국 시대의 도시인 테란다와 동일시되어 왔다. 하지만 최근 연구에 따르면 테란다는 현재의 수바 레카에 위치했을 가능성이 있다. 고고학적 연구에 따르면 프리즈렌 요새 부지는 선사 시대부터 여러 시대에 걸쳐 거주해 왔다. 요새의 하부에는 수 세기에 걸쳐 요새 상부의 유물이 퇴적되어 있다. 이 유물은 중기 청동기 시대 (기원전 2000년경)부터 후기 철기 시대 (기원후 1세기경)까지 거슬러 올라가며, 프리즈렌에서 약 10km 서쪽에 있는 블라슈녜 마을의 인근 선사 시대 유적에서 발견된 유물과 유사하다.[9]

고대 말기에 요새는 재건축되었다. 이는 유스티니아누스 1세가 알바니아 북부와 코소보 서부의 백 드린을 따라 해안 지역과 코소보 평원을 연결하는 도로에 건설하거나 재건한 일련의 요새 중 하나이다. 이 시기에 프리즈렌 요새는 6세기경 프로코피우스의 저서에서 다르다니아에서 유스티니아누스가 재건을 명령한 요새 중 하나인 ''페트리젠''으로 역사 기록에 처음 등장했을 가능성이 높다.[9]

콘스탄틴 지레첵은 대주교 데메트리오스 호마테노스 (1216–36)의 서신을 통해 프리즈렌이 6세기에 시작된 발칸 반도의 슬라브족 이주 이전 알바니아인의 최북동 지역이었다고 결론지었다.[10] 역사학자들과 언어학자들은 슬라브족 확장 이전 알바니아인의 선조의 최북단 및 최동단 확장이 리피안, 부슈트리, 슈쿠프, 니시, 슈팁을 포함하며 몬테네그로 지역과 울친 마을을 포함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결론지었다.[11][12][13][14][15][16][17]

현재의 프리즈렌은 1019년 바실 2세(재위 976–1025) 시대에 'Prisdriana'의 형태로 처음 언급되었다. 1072년, 불가리아 게오르기 보이테흐의 봉기 지도자들은 스코페를 거점으로 프리즈렌 지역으로 이동하여 회의를 열고 두클랴의 미하일로 보이슬라블리에비치에게 도움을 요청했다. 미하일로는 그의 아들 콘스탄틴 보딘과 병사 300명을 보냈다. 불가리아의 두크스 달라세노스 두카스는 연합군에 맞서 파견되었지만 프리즈렌 근처에서 패배했고, 이후 세르비아 군대에 의해 광범위하게 약탈당했다. 불가리아의 유력자들은 이 초기 승리 후 보딘을 "불가리아 황제"로 선포했다. 그들은 1072년 말까지 북부 마케도니아 지역에서 니케포로스 브리엔니오스에게 패배했다. 이 지역은 1090년대에 세르비아 통치자 부칸에 의해 약탈당했다. 데메트리오스 코마테노스는 1219년까지 프리즈렌을 관할 구역에 포함시킨 마지막 비잔틴 오흐리드 대주교이다. 스테판 네마냐는 1180년대와 1190년대 사이에 백 드린강을 따라 주변 지역을 점령했지만, 이것은 요새와 정착지 자체가 아닌 프리즈렌 교구를 지칭하는 것일 수 있으며, 그는 나중에 그것들에 대한 통제력을 잃었을 수 있다.

1219년 프리즈렌이 콘스탄티노플 총대주교에서 분리된 것은 세르비아 네마니치 왕조의 통치를 도시에 확립하는 마지막 행위였다. 프리즈렌과 그 요새는 포드림례(알바니아어: 포드리마 또는 아나드리니) 주파의 행정 및 경제 중심지였다. 프리즈렌의 구 시가지는 비스트리카/룸바르디 강 왼쪽 둑을 따라 요새 아래에 발달했다. 라구사 공화국 상인들이 구 시가지에 주둔했다. 프리즈렌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동부 코소보 및 그 너머로 라구사 무역의 중심지이자 관문이 되었다.

이 기간 동안 스테판 두샨은 프리즈렌에 성 아치엔젤 수도원을 세우고 그곳에 묻혔다. 프리젠은 잠시 동안 세르비아 제국의 수도 역할을 했으며, 두브로브니크와 콘스탄티노플 사이의 중요한 무역 물품의 교차로였다.

1330년, 세르비아 왕 스테판 데찬스키는 특히 프리즈렌과 스코페 지역에서 알바니아인들의 존재와 알바니아 마을의 이름을 명시적으로 언급했다. 1348년부터 1353년 사이에 프리즈렌의 성 미하일과 가브릴 수도원에 주어진 세르비아 차르 스테판 두샨의 황금 칙서에는 알바니아인이 프리즈렌 근처, 메토히야 두카진 평원, 드레니차 마을에 존재한다고 명시되어 있다. 이 황금 칙서 안에는 프리즈렌 근처에 있는 9개의 알바니아 가축 사육 마을이 명시적으로 언급되어 있는데, 이 마을은 Gjinovci (Gjinajt), Magjerci, Bjellogllavci (Kryebardhët), Flokovci (Flokajt), Crnça, Caparci (Çaparajt), Gjonovci (Gjonajt), Shpinadinci (Shpinajt) 및 Novaci로 알려져 있다. 알바니아 마을 전체가 세르비아 왕, 특히 스테판 두샨에 의해 프리즈렌, 데찬, 테토바 내의 세르비아 수도원에 선물로 주어졌다. 또한, 알바니아 지명이 있는 사람들이 프리즈렌의 성 미카엘과 가브리엘 수도원에서 기도하는 사람들과 도시 자체와 주변 마을의 일부 거주자들을 열거한 1348년 스테판 두샨의 황금 칙서에서 반복적으로 언급된다. 1355년 스테판 두샨의 문서 중 하나에는 알바니아 지명이 있는 병사가 프리즈렌 근처 빌루셰 마을의 성 니콜라스 수도원에 지속적으로 지불해야 하는 사람 중 한 명으로 독점적으로 언급되어 있다.

프리즈렌 지역에서는 14세기와 15세기에 Rudina e Leshit, Truallishta e Gjon Bardhit, Llazi i Tanushit, Truallishta e Komanit, Shpija e Bushatit, Zhur 및 Mazrek과 같은 알바니아 지명이 기록되었다.

1371년 스테판 우로시 5세의 죽음으로 일련의 경쟁 지역 귀족들이 프리즈렌을 포위하고, 반포위하고, 통제하게 되었으며, 이는 점점 더 오스만 제국의 지원과 개입을 받았다. 프리즈렌과 그 도시를 통과하는 무역을 장악하려 한 첫 번째 사람은 마르코 왕자였지만, 1371년 9월 마리차 전투에서 패배한 후 제타 공국의 발시치는 1371년 가을과 겨울에 프리즈렌을 점령하기 위해 이동했다. 1372년 봄, 니콜라 알토마노비치는 프리즈렌을 포위하고 그의 지배를 확장하려 했지만 패배했다. 1377년 주라지 1세 발시치의 죽음으로 또 다른 권력 공백이 생겼고, 주라지 브란코비치가 그 후 프리즈렌을 장악했다.

가톨릭 교회는 이 지역에서 어느 정도 영향력을 유지했다. 14세기 문서에는 프리즈렌에 있는 가톨릭 교회가 언급되어 있는데, 이곳은 1330년대와 1380년대 사이에 주교의 자리였다.

2. 2. 오스만 제국 시기

14세기 스테판 우로시 5세 사후, 프리즈렌은 여러 귀족 세력 간 다툼에 휘말렸고, 이는 오스만 제국의 개입을 불렀다. 1371년 마리차 전투 패배 후, 제타 공국의 발시치 가문이 1371년 가을과 겨울에 프리즈렌을 점령했다. 1372년 봄, 니콜라 알토마노비치가 프리즈렌을 포위했지만 실패했다. 1377년 주라지 1세 발시치 사후, 주라지 브란코비치가 프리즈렌을 장악했다.

오스만 제국1454년 코소보를 침공했다. 스칸데르베그와 존 후니야디가 프리즈렌 해방을 시도했으나, 주라지 브란코비치가 오스만 제국의 봉신이었기에 실패했다. 1455년 6월 21일, 프리즈렌은 오스만 군대에 항복했다. 프리즈렌은 프리즈렌 산자크의 수도가 되었고, 이후 루멜리아 에얄레트에 편입되었다. 오스만 제국 내 무역로 요충지로서 번영했으며, 코소보 빌라예트의 주요 도시 중 하나가 되었다.

15세기~16세기 오스만 기록에 따르면, 코소보 프리즈렌-하스 지역 마을에는 상당한 알바니아인 인구가 있었다.[24] 1591년 오스만 데프테르에 따르면, 프리즈렌 시는 프리즈렌 산자크에 기록되었으며, 주민 인명에서 이슬람화가 상당히 진행되었음을 알 수 있다. 무슬림과 알바니아 인명이 혼합된 경우가 많았다(예: ''알리 조치, 하산 지나이, 페르하드 레치, 하산 바르디...'').[24]

16세기 라자로 소란조는 이 도시에 "세르비아인보다 알바니아인이 더 많이" 거주한다고 언급했다. 1624년 피에테르 마즈레쿠는 이 도시에 12,000명의 무슬림(거의 모두 알바니아인), 200명의 가톨릭교도, 600명의 'Serviani'가 거주한다고 보고했다. 1638년 게르지 바르디는 프리즈렌 방문 중 이 지역에 알바니아인이 거주하고 알바니아어가 사용된다고 썼다.[24] 1630년대 하지 할리파는 프리즈렌 마을에 알바니아인이 거주한다고 썼다.[24][25] 1651년 프리즈렌의 알바니아 가톨릭 사제 그레고르 마즈레쿠는 많은 남자가 지즈야 세금을 피하기 위해 이슬람으로 개종했다고 보고했다.

오스트리아-오스만 전쟁 동안 프리즈렌 지역 알바니아 인구는 피에테르 보그다니 지도 아래 오스만 제국에 대항하여 오스트리아를 지원했다. 기록에 따르면 오스트리아군은 보그다니와 5,000~6,000명의 알바니아 군인들의 환영을 받으며 "알바니아 수도인 프리즈렌"으로 진군했다.[26] 토마 라스파사니는 오스트리아군 추방 후 프리즈렌이 다시 오스만 제국에 귀속되자 아무도 프리즈렌을 떠날 수 없었다고 썼다. 1693년 토마는 코소보 가톨릭교도 다수가 헝가리로 갔으나, 그곳에서 대부분 굶주림이나 질병으로 사망했다고 기록했다.

2. 3. 근현대

프리즈렌은 오스만 제국 코소보의 문화 및 지적 중심지였다. 1857년에는 무슬림 인구가 70% 이상을 차지하며 도시를 지배했고, 알바니아 문화의 주요 중심지이자 코소보 알바니아인의 정치적, 문화적 수도가 되었다. 1871년 프리즈렌에 세르비아 신학교가 문을 열었고, 구 세르비아 영토와 세르비아 공국의 합병 가능성이 논의되었다. 19세기 말, 이 도시는 알바니아 민족주의의 중심지가 되었고, 1878년에는 프리즈렌 동맹이 결성된 곳이기도 하다. 청년 투르크 혁명은 오스만 제국의 해체 과정에서 발칸 전쟁으로 이어진 사건이었다. 제3군 (오스만 제국)은 프리즈렌에 제30예비보병사단을 주둔시켰다.

제1차 발칸 전쟁 동안, 도시는 세르비아군에 의해 침략당했고 세르비아 왕국에 편입되었다. 군대가 거의 저항에 부딪히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점령은 피로 얼룩졌고, 며칠 만에 400명이 사망했다. 데일리 크로니클은 1912년 11월 12일, 프리즈렌에서 알바니아인 5,000명이 학살되었다고 보도했다.[28] 세르비아 장군 보지다르 얀코비치는 현지 알바니아 지도자들에게 "세르비아군에 의한 해방"에 대한 세르비아의 페테르 1세 국왕에 대한 감사의 선언문에 서명하도록 강요했다.[28][29] 레온 트로츠키는 1912년 세르비아군과 프리즈렌의 준군사조직 체트니크에 대한 뉴스 보도에서 "구 세르비아의 세르비아인들은 민족지 통계에서 자신들에게 유리하지 않은 데이터를 수정하려는 국가적 노력으로, 단순히 무슬림 인구를 체계적으로 학살하고 있다"고 말했다.

1912년 제1차 발칸 전쟁 이후, 런던에서 열린 대사 회의에서 알바니아 국가 창설이 허용되었고, 코소보 인구의 대부분이 알바니아인임에도 불구하고 코소보가 세르비아 왕국에 넘겨졌다.[31]

1913년, 오스트리아-헝가리의 공식 보고서에 따르면 30,000명이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서 프리즈렌으로 도망쳤다. 1914년 1월, 프리즈렌에 주재하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영사는 도시의 생활 환경에 대한 상세한 보고서를 작성했다. 보고서는 세르비아 왕국이 알바니아인과 무슬림에 대한 동등한 대우에 대한 약속을 지키지 않았다고 밝혔다. 프리즈렌의 32개 모스크 중 30개가 건초 창고, 탄약 저장고 및 군사 병영으로 바뀌었다. 도시 사람들은 과도한 세금을 냈으며, 무슬림과 가톨릭 기독교인은 정교회 기독교인보다 더 많은 세금을 내야 했다. 지방 정부는 이전 세르비아 체트니크 출신으로 주로 구성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오스트리아-헝가리군과 이후 불가리아군이 세르비아 왕국을 침공했다. 1915년 11월 29일까지 프리즈렌은 불가리아군과 오스트리아-헝가리군에게 점령되었다. 1916년 4월, 오스트리아-헝가리는 불가리아 왕국이 이 도시를 점령하도록 허용했다. 이 기간 동안 많은 세르비아인들이 억류되는 강제적인 불가리아화 과정이 있었다. 1918년 10월 마케도니아 전선이 제1차 세계 대전 연합국에 함락된 후, 세르비아군은 프랑스 제3 공화국의 프랑스 제11 식민지 사단과 이탈리아 왕국의 이탈리아 제35 사단과 함께 오스트리아-헝가리군과 불가리아군을 도시에서 몰아냈다. 1918년 말까지 세르브인, 크로아티아인 및 슬로베니아인 왕국이 결성되었다. 이 왕국은 1929년에 유고슬라비아 왕국으로 개칭되었고 프리즈렌은 바르다르 바노비나의 일부가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에서 나치 독일파시스트 이탈리아는 1941년 4월 9일까지 프리즈렌 외곽에 도달했으며, 4월 14일까지 프리즈렌은 이탈리아군에게 함락되었다. 프리즈렌은 코소보의 대부분과 함께 이탈리아의 괴뢰 국가인 이탈리아 점령 하의 알바니아에 병합되었다. 1943년 독일 국방군의 베드리 페자니는 제2차 프리즈렌 동맹을 결성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32]

3. 지리

프리즈렌은 코소보 남부 샤르 산맥(Malet e Sharrit|말레트 에 샤리트sq) 기슭, 프리즈렌 비스트리차 강둑에 위치하며, 서남쪽으로 알바니아, 동남쪽으로 북마케도니아와 국경을 접하고 있다.[43] 연평균 기온은 11.8°C이며, 습윤 아열대 기후(쾨펜 기후 구분 ''Cfa''), 대륙성 기후(쾨펜 기후 구분 ''Dfa''), 해양성 기후(쾨펜 기후 구분 ''Cfb'')의 경계에 해당한다.[44]

3. 1. 위치

프리즈렌은 코소보 남부 샤르 산맥(Malet e Sharrit|말레트 에 샤리트sq) 기슭, 프리즈렌 비스트리차 강둑에 위치해 있다. 프리즈렌 시는 서남쪽으로 알바니아, 동남쪽으로 북마케도니아와 국경을 접하고 있다.[43]

3. 2. 기후

프리즈렌은 연평균 기온이 11.8°C로, 습윤 아열대 기후(쾨펜 기후 구분 ''Cfa'')와 0°C 등온선에서는 대륙성 기후(쾨펜 기후 구분 ''Dfa'')를, -3°C 등온선에서는 해양성 기후(쾨펜 기후 구분 ''Cfb'')와 경계를 이룬다.[44] 프리즈렌에서 가장 더운 달은 평균 기온이 22.2°C인 7월이며, 가장 추운 달은 평균 기온이 0°C인 1월이다.[44]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간
최고 기온 기록 (°C)20.222.426.031.333.840.640.837.335.831.425.623.740.8
평균 최고 기온 (°C)3.36.811.917.222.526.028.528.324.518.011.15.016.9
평균 기온 (°C)0.02.87.111.916.820.222.221.818.112.36.91.811.8
평균 최저 기온 (°C)-3.0-0.62.76.911.314.415.815.412.17.33.2-1.07.1
최저 기온 기록 (°C)-23.6-19.1-11.7-2.6-0.43.87.37.0-0.8-4.3-12.6-17.4-23.6
강수량 (mm)76.254.163.561.166.769.758.6127.458.255.188.381.1860.0
평균 상대 습도 (%)81756864646158596774798269
평균 강수일수 (≥ 0.1 mm)12.812.112.112.812.311.68.97.58.19.312.613.5133.6
평균 적설일수7.65.63.80.40.00.00.00.00.00.12.15.825.4
평균 일조 시간100.292.0139.4176.2224.5290.7300.8285.7220.7163.489.754.12137.4

[85]

4. 인구

Popullsiasq

코소보 통계청(KAS)의 2011년 인구 조사 추정에 따르면, 프리즈렌 시의 인구는 177,781명으로, 코소보에서 두 번째로 인구가 많은 도시이자 지방 자치체이다.[62] 도시 인구는 약 94,500명, 농촌 인구는 약 83,000명이다.[62] 1제곱킬로미터당 283.5명의 인구 밀도를 가진 프리즈렌은 코소보에서 인구 밀도가 가장 높은 지방 자치체 중 하나이다.[63]

민족 구성은 알바니아인이 81.96%로 대다수를 차지하고, 보스니아인 9.5%, 튀르크인 5.11%, 로마니인 1.63%, 아슈칼리 0.76%, 고라인 0.37%, 세르비아인 0.13%, 이집트인 0.09%, 기타 민족 또는 난민(예: 아프가니스탄인, 시리아인, 우크라이나인 등)이 0.45%를 차지한다.[64]

종교는 무슬림이 95.98%(170,640명)로 가장 많고, 로마 가톨릭 3.37%(5,999명), 정교회 0.14%(250명), 기타 종교 0.45%(807명), 무종교 0.05%(85명) 순이다.[65]

코소보의 공용어인 알바니아어세르비아어 외에도, 튀르크어와 보스니아어도 프리즈렌 시의 공용어이다.[66][67]

프리즈렌은 1991년 인구 조사에서 알바니아인이 75.6%를 차지했지만, 2000년대 이후 조사에서는 알바니아인의 비율이 더 높아졌다. 1998년에는 세르비아인이 38,500명으로 상당수를 차지했으나, 2000년대 이후 조사에서는 그 수가 급감했다.

프리즈렌 시의 인구 성장
연도인구
194863,587
195368,583
196179,594
1971111,067
1981152,562
1991200,584
2011177,781
2024147,428



프리즈렌 시의 민족 구성 (1991년-2002년)
연도알바니아인%보스니아인%세르비아인%투르크인%로마인%기타%합계
1991년132,59175.619,42311.110,9506.27,2274.13,9632.31,2590.7175,413
1998년--38,500-8,839-12,250-4,500----
2000년 1월181,53176.937,50015.92580.112,2505.24,5001.9--236,000
2001년 3월181,74881.922,0009.92520.112,2505.55,4242.4--221,674
2002년 5월182,00079.629,36912.81970.0911,9655.24,4001.95500.25228,481
2002년 12월180,17668.4----41,19831.6----221,374


5. 문화

프리즈렌 파괴된 지역


프리즈렌은 코소보 전쟁 동안 큰 피해를 입지는 않았지만, 주변 지역은 1998년부터 1999년까지 심각한 영향을 받았다. 전쟁 전, 유럽 안보 협력 기구는 이 지역 인구의 약 78%가 코소보 알바니아인, 5%가 세르비아인, 17%가 기타 민족으로 구성되었다고 추산했다. 전쟁 중 대부분의 알바니아인들은 도시를 떠나도록 강요받거나 위협을 받았다. 투수 지역이 가장 큰 피해를 입었으며, 약 27명에서 34명이 사망하고 100채 이상의 가옥이 불탔다.[34]

1999년 6월 전쟁이 끝난 후, 대부분의 알바니아인들이 프리즈렌으로 돌아왔다. 세르비아인과 로마인 소수 민족은 도망갔으며, OSCE는 10월까지 세르비아인의 97%와 로마인의 60%가 프리즈렌을 떠났다고 추산했다. 현재 이 지역 사회는 주로 알바니아계이지만, 터키인, 아슈칼리(알바니아 로마인으로 자처하는 소수 민족) 및 보스니아인(토르베시 공동체 포함)과 같은 다른 소수 민족도 도시 자체나 주변 마을에 거주하고 있다. 이러한 지역으로는 스레드스카, 마무셰, 고라 지역 등이 있다.[35]

유고슬라비아 군대의 철수 이후, 도시 중심부 언덕에 위치한 옛 세르비아인 거주 지역인 포트칼자야의 대부분이 약탈당하고 불탔다. 2010년 이후 이 지역의 대부분이 재건되었다.[36]

전쟁과 그 여파로 인해, 프리즈렌은 코소보의 다른 도시들에 비해 비교적 적은 피해를 입었다.[37] 세르비아군은 프리즈렌에 있는 중요한 알바니아 문화 유산인 프리즈렌 동맹 건물을 파괴했지만,[38][39] 이 단지는 나중에 재건되었고 현재 알바니아 프리즈렌 동맹 박물관으로 사용되고 있다.

2004년 3월 17일, 2004년 코소보 소요 사태 동안 프리즈렌의 일부 세르비아인 문화 유적이 손상, 소실 또는 파괴되었는데, 여기에는 1307년에 건축된 레비슈의 성모 교회(유네스코 세계 유산)[40], 성 구세주 교회[40], 성 조지 교회 (도시에서 가장 큰 교회), 룬제바츠의 성 조지 교회[40], 성 키리아키 교회, 성 니콜라스 교회 (투티치 교회)[40], 성 미카엘과 가브리엘 대천사 수도원[40], 그리고 프리즈렌의 성 키릴루스와 메토디우스 정교 신학교가 포함되었다.[40]

또한, 그 폭동 동안 프리즈렌 요새 근처에 있는 프리즈렌의 세르비아인 거주 지역 전체가 세르비아 군대의 전쟁 범죄에 대한 보복으로 완전히 파괴되었으며, 남아 있던 모든 세르비아인들은 프리즈렌에서 추방되었다.[41][42] 동시에 이슬람 문화 유산과 모스크도 파괴되고 손상되었다.

도쿠페스트 국제 영화제는 2002년부터 매년 개최된다.


코소보의 역사적인 수도로 여겨지는 프리즈렌은 수 세기 동안 다양한 종교와 문화의 본거지였으며, 도시의 문화 유산을 형성해 왔다.[2] 프리즈렌은 또한 많은 모스크, 교회, 국가적으로 중요한 오래된 건물들이 있는 박물관 도시로 여겨진다.[74][75] 프리즈렌 요새는 프리즈렌 비스트리차 강 위에 위치해 있으며 청동기 시대부터 다양한 시기에 걸쳐 거주와 사용이 이루어졌다. 중세 시대의 유물 중에는 시난 파샤 모스크, 영원한 도움의 성모 대성당, 성 구세주 교회, 카티프 시난 켈레비 모스크, 성 대천사 수도원, 성 니콜라스 교회, 무데리즈 알리 에펜디 모스크 및 유네스코(UNESCO) 세계 문화 유산(World Heritage Site)인 레비시의 성모 교회가 있다.[76]

프리즈렌에서 열리는 연례 도쿠페스트 국제 영화제는 발칸 지역에서 가장 많은 관람객이 참여하는 영화제 중 하나로 여겨진다. 40BunarFest 및 NGOM 페스티벌을 포함하여 여러 예술 및 음악 축제와 컨퍼런스가 도시에서 열리며, 주요 목표는 예술가를 홍보하고 주변 지역의 다양한 민족 집단을 연결하는 것이다.[77][78]

6. 경제

오랫동안 코소보 경제는 서유럽의 많은 이민자 커뮤니티에서 유입되는 송금 소득에 힘입어 소매 산업에 기반을 두었다. 개인 기업, 주로 소규모 사업이 서서히 부상하고 있다. 코소보의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개인 사업체는 성장을 위한 구조적 역량 부족으로 어려움에 직면해 있다. 교육 수준이 낮고, 금융 기관은 기본적인 수준이며, 규제 기관은 경험이 부족하다. 이러한 환경에서는 외국 실체의 자본 투자를 확보할 수 없다. 재정적 어려움으로 인해 여러 회사와 공장이 문을 닫았고, 다른 회사들은 인력을 감축하고 있다. 이러한 전반적인 경기 침체는 실업률과 빈곤률 증가에 직접적으로 기여하여, 이 지역의 경제적 생존 가능성을 더욱 위태롭게 만들고 있다.[60]

많은 레스토랑, 개인 소매점 및 서비스 관련 사업체가 작은 상점에서 운영되고 있다. 최근 대형 식료품점과 백화점이 문을 열었다. 시내에는 3개의 농산물 시장, 1개의 자동차 시장, 1개의 가축 시장, 3개의 개인 위생 및 가정용품 시장을 포함하여 8개의 대규모 시장이 있다. 소규모 상품을 판매하는 키오스크가 풍부하다. 그러나 국제적인 입지 감소와 난민 및 국내 실향민의 송환은 지역 경제에 더욱 부담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시장 포화, 높은 실업률, 해외 송금 감소는 부정적인 경제 지표이다.[60]

세 개의 마을에 세 개의 농업 협동조합이 있다. 대부분의 축산업과 농업 생산은 사적이고 비공식적이며 소규모로 이루어진다. 프리즈렌에는 프로크레디트 은행(ProCredit Bank), 라이파이젠 은행(Raiffeisen Bank), NLB 은행(NLB Bank), TEB 은행(TEB Bank), Banka për Biznes (비즈니스 은행), 이쉬방크(İşbank), 반카 콤베타레 트레그타레(National Trade Bank), Iutecredit 및 코소보 지급 및 은행 당국(BPK) 등 9개의 지점 은행이 운영되고 있다.[60]

7. 교육

프리즈렌에는 28,205명의 학생과 1,599명의 교사가 있는 48개의 초등학교, 9,608명의 학생과 503명의 교사가 있는 6개의 중등학교가 있으며, 유치원은 사립으로 운영된다. 또한 프리즈렌에는 공립 대학교가 있는데, 알바니아어, 보스니아어, 튀르키예어로 강의를 제공한다.

8. 국제 관계

프리즈렌은 다음과 같은 도시들과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49][50][51][52][53][54][55][56][57][58]

국가도시
터키아마시아
터키발리케시르
알바니아베라트
터키베이코즈
독일빙엔암라인
미국아이오와주 카운슬블러프스
몬테네그로헤르체그노비
터키카르시야카
불가리아카바르나
체코키요프
크로아티아오시예크



터키와 헝가리는 프리즈렌에 총영사관을 두고 있다.[59]

참조

[1] 웹사이트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in Kosovo preliminary results - July 2024 https://askapi.rks-g[...] 2024-07-21
[2] 웹사이트 Ligji Nr. 06/L-012 për Kryeqytetin e Republikës së Kosovës, Prishtinën https://gzk.rks-gov.[...] Gazeta Zyrtare e Republikës së Kosovës 2020-09-24
[3] 서적 Multiethnizität in Alltag und Konflikt: Schein und Realität von Identitätskonstruktionen in der Balkanstadt Prizren Springer
[4] 서적 Kosova'da Türk kültürü veya Türkçe düşünmek T.C. Kültür Bakanlığı
[5] 서적 Gjurmime albanologjike: Seria e shkencave filologjike https://www.google.c[...] Albanian Institute of Pristina
[6] 문서 This Time In Linguistics History: Eric Hamp and Albanian Linguistics Linguistic Society of America
[7] 문서 Slavic-Albanian Language Contact
[8] 문서
[9] 문서
[10] 서적 The New Cambridge Medieval History: Volume 5, c.1198-c.1300 https://www.google.c[...]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9-10-21
[11] 문서
[12] 서적 Albanian Routledge
[13] 서적 The Disintegration of Yugoslavia Rodopi
[14] 서적 Ancient Languages of the Balkans Mouton
[15] 학위논문 Slavic-Albanian Language Contact, Convergence, and Coexistence The Ohio State University
[16] 학위논문 The Origin and Spread of Locative Determiner Omission in the Balkan Linguistic Area UC Berkeley
[17] 문서 The contemporary form of the name of ancient Naissos, an important place in Dardania which is now called Niš, is best explained with the help of the historical phonetics of the Albanian language. For more see: Vladimir I. Georgiev (1981) Introduction to the History of the Indo-European Languages. Publishing House of the Bulgarian Academy of Sciences, p. 142
[18] 백과사전 Roman Empire, Later
[19] 학술지 Culture of memory and heritage as a strong connection – A case of Monastery of the Holy Archangels in Prizren https://doisrpska.nu[...] 2023-07-22
[20] 학술지 Serbian Jerusalem: Religious Nationalism, Globalization and the Invention of a Holy Land in Europe's Periphery, 1985-2017 https://digitalcommo[...] 2023-07-22
[21] 서적 A concise history of Serbia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3
[22] 서적 La question nationale en Europe du Sud-Est : genèse, émergence et développement de l'indentité nationale albanaise au Kosovo et en Macédoine P. Lang 2008-01-25
[23] 서적 Emrat e shqiptarëve në shek. XIII-XV në dritën e burimeve kishtare serbe https://albanianorth[...] TENDA 2014
[24] 서적 Popullsia Shqiptare e Kosoves Gjate Shekujve XV XVI https://vdocuments.m[...] 8 Nëntori 1984
[25] 문서 Hadži-Kalfa ili Ćatib-Čelebija, turski geograf XVII veka o Balkanskom poluostrvu
[26] 웹사이트 1689: Kosovo in the Great Turkish War of 1683-1699 http://www.albanianh[...]
[27] 웹사이트 The Photo Collection of Josef Székely http://www.albanianp[...]
[28] 뉴스 Albania's Golgotha https://web.archive.[...] 1913
[29] 뉴스 FEUILLETON Americans, Serbs, and Albanians in the Balkan Wars and World War I https://www.kosovo-o[...] 2023-11-11
[30] 웹사이트 Prizren history https://web.archive.[...] 2019-01-04
[31] 웹사이트 Prizren history https://web.archive.[...]
[32] 웹사이트 Die aktuelle deutsche Unterstützung für die UCK http://www.trend.inf[...] Trend.infopartisan.net 2012-03-12
[33] 서적 Kosovo: A short history
[34] 문서 Under orders: war crimes in Kosovo https://books.google[...] Human Rights Watch
[35] 웹사이트 Part II Regional Overviews of the Human Rights Situation in Kosovo http://www.osce.org/[...] Organization for Security and Co-operation in Europe
[36] 웹사이트 Return to Kosovo: The Serbs Who Re-Embraced Their Hometown https://balkaninsigh[...] 2021-07-12
[37] 간행물 Under orders: war crimes in Kosovo https://books.google[...] Human Rights Watch 2001
[38] 웹사이트 Kosovo Cultural Heritage Survey http://www.bosnia.or[...] Andras Riedlmayer, Harvard University
[39] 간행물 Ending Mass Atrocities: Echoes in Southern Cultures http://cis.politics.[...] The Human Rights Centre, Law Faculty, University of Pristina 2009
[40] 웹사이트 Reconstruction Implementation Commission http://www.rickosovo[...] 2010-12-09
[41] 서적 Failure to Protect: Anti-Minority Violence in Kosovo, March 2004 https://books.google[...] Wuman Right Watch
[42] 서적 Kosovo https://books.google[...] Bradt
[43] 서적 The Albanians: A Modern History https://books.google[...] I.B.Tauris
[44] 웹사이트 Climate: Prizren https://en.climate-d[...] Climate-Data 2021-10-03
[45] 웹사이트 Prizren: Monthly and annual means, maximum and minimum values of meteorological elements for the period 1961 - 1990 http://www.hidmet.go[...] Republic Hydrometeorological Service of Serbia 2021-10-03
[46] 웹사이트 Ligji Nr. 03/L-041 për kufijtë Administrativ të Komunave https://gzk.rks-gov.[...] Gazeta Zyrtare e Republikës së Kosovës 2021-10-05
[47] 웹사이트 Rregullore Nr. 2000/43 Mbi Numrin, Emrat dhe Kufinjtë e Komunave http://www.unmikonli[...] United Nations Interim Administration Mission in Kosovo 2021-10-05
[48] 웹사이트 Statistikat e Përgjithshme: Kosova në Shifra 2020 https://ask.rks-gov.[...] Kosovo Agency of Statistics 2021-10-05
[49] 웹사이트 Amasya Belediyesi Resmi http://amasya.bel.tr[...] Amasya 2021-10-05
[50] 웹사이트 Kardeş Şehirler https://www.balikesi[...] Balıkesir 2021-10-05
[51] 웹사이트 Prizreni binjakëzohet me Beratin https://prizrenpress[...] Prizren Press 2021-10-05
[52] 웹사이트 10jähriges Städtepartnerschaftsjubilaeum zwischen Mülheim an der Ruhr und Beykoz/Istanbul Die Städtepartnersch https://www.muelheim[...] Mülheim an der Ruhr 2021-10-05
[53] 웹사이트 Partnerstädte: Bingen am Rhein https://www.bingen.d[...] Bingen am Rhein 2021-10-05
[54] 웹사이트 Градови побратими: ГРАДОВИ ПOБРATИMИ ХЕРЦЕГ-НОВОГ https://www.hercegno[...] 2021-10-05
[55] 웹사이트 Kardeş Şehirler https://www.karsiyak[...] Karşıyaka 2021-10-05
[56] 웹사이트 Международно сътрудничество https://www.kavarna.[...] Kavarna Municipality 2021-10-05
[57] 웹사이트 Partnerská města Kyjova https://mestokyjov.c[...] Kyjov 2021-10-05
[58] 웹사이트 Gradovi prijatelji https://www.osijek.h[...] Osijek 2021-10-05
[59] 웹사이트 Turkish Representations https://www.mfa.gov.[...] Ministry of Foreign Affairs of Turkey 2021-10-05
[60] 웹사이트 Bosnia and Herzegovina Republika Srpska National Assembly Elections http://www.osce.org/[...] Office for Democratic Institutions and Human Rights, Organization for Security and Co-operation in Europe 2017-04-10
[61] 웹사이트 Division of Kosovo http://pop-stat.mash[...] Population statistics of Eastern Europe and former USSR 2021-10-07
[62] 웹사이트 Regjistrimi i Popullsisë, Ekonomive Familjare dhe Banesave në Kosovë 2011 – Rezultatet Përfundimtare: Të Dhënat Demografike sipas Komunave http://ask.rks-gov.n[...] Kosovo Agency of Statistics 2021-10-02
[63] 웹사이트 Kosovo Census Atlas https://ask.rks-gov.[...] Kosovo Agency of Statistics 2021-10-07
[64] 웹사이트 2011 Kosovo Population Census http://pop-stat.mash[...]
[65] 웹사이트 Regjistrimi i Popullsisë, Ekonomive Familjare dhe Banesave në Kosovë 2011–Rezultatet përfundimtare https://ask.rks-gov.[...] Kosovo Agency of Statistics 2021-10-07
[66] 웹사이트 Official Language https://web.archive.[...]
[67] 간행물 Implementation of the Law on the Use of Languages by Kosovo Municipalities http://www.osce.org/[...] OSCE
[68] 문서 The Wars of the Balkan Peninsula Madgearu
[69] 서적 The Wars of the Balkan Peninsula: Their Medieval Origins https://books.google[...] Madgearu, Alexander and Gordon, Martin
[70] 서적 Islam in the Albanian lands (XVth-XVIIth century) https://books.google[...] Peter Lang 2012-11-22
[71] 서적 The Encyclopaedia of Islam: NED-SAM https://books.google[...] Brill
[72] 서적 Studies on Kosova https://books.google[...] East European Monographs
[73] 서적 The Truth on Kosova https://books.google[...] Encyclopaedia Publishing House
[74] 서적 Southeast European (post)modernities https://books.google[...] LIT Verlag 2021-10-05
[75] 서적 Kosovo https://books.google[...] Bradt Travel Guides 2021-10-05
[76] 웹사이트 Medieval Monuments in Kosovo https://whc.unesco.o[...]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sation 2021-10-05
[77] 웹사이트 Southeast Europe: People and Culture: NGOM Festival https://web.archive.[...]
[78] 웹사이트 Festivali I Muzikes N'prizren https://web.archive.[...] 2014-03-01
[79] 문서 http://www.osce.org/[...]
[80] 웹사이트 The World Gazetteer https://archive.is/2[...] 2012-12-04
[81] 문서 Градови у хриш?анско? и муслиманско? епици Belgrade
[82] 웹사이트 アーカイブされたコピー https://web.archive.[...] 2016-02-08
[83] 문서 http://www.osce.org/[...]
[84] 웹사이트 Prizren Municipal Profile http://www.osce.org/[...] Office for Democratic Institutions and Human Rights, Organization for Security and Co-operation in Europe 2008-03-27
[85] 웹인용 Monthly and annual means, maximum and minimum values of meteorological elements for the period 1961–1990 http://www.hidmet.go[...] Republic Hydrometeorological Service of Serbia 2017-02-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