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르니밀라노바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르니밀라노바츠는 세르비아의 도시로, 역사를 거쳐 다양한 민족의 정착지였으며, 제2차 세르비아 봉기의 중요한 장소였다. 이 도시는 제1차 세계 대전과 제2차 세계 대전 중 피해를 입었으나, 유고슬라비아 해체 이후 산업 발전을 이루었다. 고르니밀라노바츠는 루드니크 산과 부얀 산 사이에 위치하며, 온대 습윤 기후를 보인다. 2011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44,406명이 거주하며, 세르비아인이 다수를 차지한다. 주요 경제 활동은 제조업이며, 문화적으로는 박물관, 도서관, 극장 등 다양한 시설을 갖추고 있다. 축구를 비롯한 다양한 스포츠 활동이 이루어지며, 여러 도시와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고르니밀라노바츠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다른 이름 | 데스포토비차 |
유형 | 도시 및 지방 자치체 |
![]() | |
![]() | |
![]() | |
![]() | |
![]() | |
표어 | Време и моје право (시간과 나의 권리) |
![]() | |
설립 | 1853년 |
시장 | 데얀 코바체비치 |
면적 | |
도시 | 16.84 km2 |
지방 자치체 | 836 km2 |
면적 순위 | 세르비아 내 21위 |
고도 | |
해발 고도 | 310 m |
인구 | |
2022년 (도시) | 23109 명 |
2022년 (지방 자치체) | 38985 명 |
인구 순위 | 세르비아 내 32위 |
시간대 | |
시간대 | CET |
UTC 오프셋 | +1 |
하계 시간 | CEST |
UTC 오프셋 (하계) | +2 |
기타 정보 | |
우편 번호 | 32300, 32301 |
지역 번호 | +381(0)32 |
차량 번호판 | GM |
웹사이트 | 고르니밀라노바츠 공식 웹사이트 |
2. 역사
고르니밀라노바츠 지역은 선사 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했던 오랜 역사를 지닌 곳이다. 로마 제국, 비잔틴 제국, 중세 세르비아 시대를 거치며 경제적, 군사적으로 중요한 지역으로 기능했다.[4]
오스만 제국 통치 하에서는 세르비아 민족 저항 운동의 중요 거점이었으며, 특히 제2차 세르비아 봉기의 시작과 관련하여 역사적인 의미를 지닌다.[3] 19세기 중반, 현대적인 도시 계획에 따라 새로운 위치에 건설되었으며, 세르비아 공국의 발전에 기여했다.[3] 이 과정에서 도시 이름은 '데스포토바츠'에서 밀로스 오브레노비치 1세의 형 이름을 딴 '고르니밀라노바츠'로 변경되었다.[3]
20세기에는 제1차 세계 대전과 제2차 세계 대전을 겪으며 점령과 파괴를 경험했고, 전후 유고슬라비아 시기에는 산업화를 이루었다.[5] 유고슬라비아 해체 과정과 1999년 유고슬라비아에 대한 NATO 폭격 등 현대사의 주요 사건들을 겪으며 오늘에 이르고 있다.[3]
2. 1. 고대와 중세
고르니밀라노바츠 지역은 선사 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했던 곳으로, 일리리아인, 트라키아인, 다키아인을 비롯해 소수의 켈트족과 고트족의 정착지가 발견된다. 로마 제국 시대에는 더 큰 규모의 정착지가 형성되었으며, 루드니크 산에는 오래된 광부 숲 외에도 테라 마테르(Terra Mater, "어머니 대지")에게 헌정된 로마 사원의 유적이 남아 있다.[4] 이후 정착한 슬라브족에 대한 정보는 비교적 적다.중세 시대와 로마 제국 시대에도 고르니밀라노바츠 주변 지역은 경제, 농업, 사회 기반 시설 및 군사적 측면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다. 이 지역에는 신석기 시대 유적(고이나 고라 마을), 로마 시대 전후 유적(루드니크), 비잔틴 제국, 중세 세르비아 공국/왕국, 세르비아 제국, 오스만 제국 시대의 유적들이 남아 있다. (예: 루드니크 산, 브루스니차 마을, 트레시카 산, 야블라니차 및 부잔 산 등)
현재의 도시 고르니밀라노바츠는 1853년 이전에 브루스니차 마을 지역에 위치해 있었다. 새로운 정착지를 건설하면서 위치에 대한 논의가 있었고, 처음에는 이 지역을 통과하는 데스포토비차 강(이름은 세르비아 데스포트 주라지 브란코비치에서 유래)의 이름을 따 '데스포토바츠'라고 부를 예정이었다. 그러나 1852년 4월 22일, 믈라덴 주요비치, 트리분 노바코비치, 스테반 크니차닌, 가야 리즈니치의 결정으로 '디블리에 폴레'라는 곳으로 도시를 이전하기로 했다. 도시의 주요 건물과 도로는 판체보 출신의 독일 엔지니어 인디지르 슐츠가 설계했다. 오늘날 사용되는 '고르니밀라노바츠'라는 이름은 1859년, 세르비아 공작 밀로스 오브레노비치 1세가 자신의 형제인 밀란 오브레노비치를 기리기 위해 명령하여 공식화되었다.[3]
2. 2. 오스만 제국 시기
중세 세르비아 제국 멸망 이후, 고르니밀라노바츠 지역은 오스만 제국의 지배하에 놓였다. 이 도시는 제1차 세르비아 봉기 당시 오스만 제국의 통치에 저항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특히 제2차 세르비아 봉기 때 그 중요성이 더욱 커졌다.1814년, 타코보 마을에서는 제2차 세르비아 봉기를 시작하기 위한 역사적인 합의가 이루어졌다. 고르냐 크르누차 마을에 있는 오브레노비치 가문의 집 앞에서 밀로스 오브레노비치는 봉기의 깃발(흰색 바탕에 붉은 그리스 십자가)을 들고 "내가 여기 있고, 당신은 터키와 전쟁을 벌이세요(세르비아어: Ево мене, а ето вама рата с Турцима|에보 메네, 아 에토 바마 라타 스 투르치마sr)"[3] 라고 외치며 봉기의 시작을 알렸다.
비록 오스만 제국의 영향력 아래 있었지만, 19세기 중반 세르비아 공국의 자치권이 확대되면서 도시의 현대적인 발전이 시작되었다. 1852년 4월 22일, 당시 브루스니차 마을 지역에 있던 정착지를 '디블리에 폴레'라는 곳으로 이전하기로 결정했다. 처음에는 이 지역을 흐르는 데스포토비차 강 이름을 따서 '데스포토바츠'라고 불렀으나, 1859년 세르비아 공작 밀로스 오브레노비치 1세의 명령에 따라 그의 형제인 밀란 오브레노비치의 이름을 따서 '고르니밀라노바츠'로 공식 명칭이 변경되었다.[3]
1853년에는 데스포토바츠 자치구가 설립되었고, 1857년에는 최초의 남녀 초등학교와 도서관이 문을 열었다.[5] 이 시기 도시 계획과 주요 건물 건설은 판체보 출신의 독일인 기술자 인디지르 슐츠가 담당했으며, 90도 각도의 거리 배치를 갖춘 세르비아 최초의 계획 도시 중 하나로 설계되었다.[3][5]
2. 3. 근현대
초기 고르니밀라노바츠는 현재의 브루스니차 마을 지역에 위치해 있었다. 새로운 정착지 건설 논의 끝에, 1852년 4월 22일 데스포토비차 강(이름은 세르비아 데스포트 주라지 브란코비치에서 유래)의 이름을 딴 '데스포토바츠'라는 이름으로 디블리에 폴레 지역으로 이전이 결정되었다. 이 결정에는 믈라덴 주요비치, 트리분 노바코비치, 스테반 크니차닌, 가야 리즈니치 등이 참여했다. 도시의 주요 건물과 도로는 판체보 출신의 독일인 엔지니어 인디지르 슐츠가 설계했다. 현재의 이름인 고르니밀라노바츠는 1859년, 세르비아 공작 밀로스 오브레노비치 1세가 그의 형 밀란 오브레노비치 2세를 기리기 위해 명령하여 공식화되었다.[3]고르니밀라노바츠 지역은 오스만 제국의 지배에 저항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는데, 특히 제2차 세르비아 봉기에서 그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었다. 1814년, 타코보에서 제2차 세르비아 봉기를 일으키기로 역사적인 합의가 이루어졌다. 밀로스 오브레노비치는 고르냐 크르누차 마을에 있는 오브레노비치 가문의 집 앞에서 흰색 바탕에 붉은 그리스 십자가가 그려진 깃발을 들고 "내가 여기 있고, 당신은 터키와 전쟁을 벌이세요" (세르비아어: 에보 메네, 아 에토 바마 라타 스 투르치마)라고 외치며 봉기의 시작을 알렸다.
제1차 세계 대전 중에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독일 제국, 불가리아 왕국 군대의 점령 하에서 주민들이 전쟁 테러와 범죄로 고통받았다. 제2차 세계 대전 시기에도 도시의 사회 기반 시설이 파괴되었고 주민들은 큰 고통을 겪었다. 유고슬라비아 해체 시기에는 자치구의 산업이 역외 회사를 통해 서방 및 동구권 시장에 제품을 수출하며 경제를 유지하려 했다. 1999년 NATO의 유고슬라비아 폭격 당시 고르니밀라노바츠는 한 차례 폭격을 받았으나, 텔레비전 중계기만 파손되는 비교적 경미한 피해를 입었다. 이로 인해 인근 도시 주민들 사이에서는 NATO가 폭격 계획을 세울 때 고르니밀라노바츠 위치에 커피 잔을 올려놓아 폭격을 피했다는 농담이 돌기도 했다.
다음은 고르니밀라노바츠의 근현대사 주요 연표이다.[5]
연도 | 주요 사건 |
---|---|
1814년 | 타코보에서 제2차 세르비아 봉기 시작 합의. |
1852년 | 데스포토비차(고르니밀라노바츠의 옛 이름)가 세르비아 최초로 90° 각도의 격자형 도로망을 갖춘 계획 도시로 건설됨. |
1853년 | 데스포토비차 자치구 설립. |
1857년 | 최초의 남녀 공학 초등학교와 도서관 설립. |
1859년 | 자치구 이름을 고르니밀라노바츠로 변경. |
1879년 | 최초의 고등학교 설립. |
1890년 | 최초의 인쇄 회사 운영 시작. |
1892년 | 군립 병원 설립. |
1912년 | 협궤 철도 건설 시작. |
1914년 | 제1차 세계 대전 중 지보인 미시치 장군 사령부가 설치됨. |
1921년 | 전력화 및 저전압 네트워크 건설 완료. |
1922년 | 협궤 철도 운행 시작 및 최초의 제과 회사 "루드니크" 설립. |
1923년 | 최초의 석탄 발전소 가동. |
1927년 | 최초의 엑스레이 기계 도입. |
1928년 | 자치구 최초의 영화관 운영 시작. |
1933년 | 유고슬라비아 국왕 알렉산다르 1세가 최초의 혼성 초등학교 개교. |
1937년 | 두 번째 제과 공장 "슈마디야" 설립. |
1941년 | 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과 체트니크가 공동 작전으로 나치 독일 점령으로부터 고르니밀라노바츠 해방. 잠시 동안 우지체 공화국의 일부가 됨. 작전 지휘관은 즈보니미르 부츠코비치. 전투 중 노획된 독일 전차 두 대 중 하나는 네바데 마을 입구에, 다른 하나는 우지체에 기념물로 남아있음(호치키스 H35). |
1945년 | 나치 독일로부터 최종 해방 및 산업화 시작. |
1965년 | 프라냐니와 루드니크의 두 자치구가 고르니밀라노바츠로 통합됨. |
2. 4. 유고슬라비아 시기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고르니밀라노바츠는 나치 독일의 점령 하에 있었으며, 사회 기반 시설이 파괴되고 주민들은 전쟁으로 인한 고통을 겪었다.[3] 1941년, 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과 국내 유고슬라비아 군대(체트니크)는 즈보니미르 부츠코비치의 지휘 아래 공동 작전을 펼쳐 고르니밀라노바츠를 일시적으로 해방시켰다.[5] 이 해방된 지역은 점령된 유고슬라비아 왕국 내 다른 해방 지역과 함께 잠시 동안 존재했던 우지체 공화국의 일부가 되었다.[5] 이 전투에서 독일군 전차 두 대(Hotchkiss H35)가 노획되었는데, 현재 한 대는 네바데 마을 입구에, 다른 한 대는 우지체에 기념물로 남아 있다.[5]1945년, 고르니밀라노바츠는 마침내 나치 독일로부터 완전히 해방되었고, 이후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시기에 산업화가 시작되었다.[5] 1965년에는 인근의 프라냐니와 루드니크 자치구가 고르니밀라노바츠 자치구로 통합되었다.[5]
유고슬라비아 해체 과정에서 국제 사회의 제재를 받았지만, 고르니밀라노바츠의 산업체들은 역외 회사를 통해 서방 및 동구권 시장에 제품을 수출하며 경제 활동을 유지하려 노력했다.[3] 1999년 유고슬라비아에 대한 NATO 폭격 당시, 고르니밀라노바츠는 단 한 차례 폭격을 당했으며 이때 텔레비전 중계기만 파손되었다.[3] 이 때문에 인근 지역 주민들 사이에서는 NATO가 폭격 계획 지도 위에 커피 잔을 올려두어 고르니밀라노바츠를 실수로 빼먹었다는 농담이 돌기도 했다.[3]
2. 5. 현대
1852년 4월 22일, 당시 데스포토비차(Despotovica)로 불릴 예정이었던 새로운 자치구의 위치가 디블리에 폴레(Divlje Polje) 지역으로 결정되었다. 이 결정은 믈라덴 주요비치(Mladen Žujović), 트리분 노바코비치(Trivun Novaković), 스테반 크니차닌(Stevan Knićanin), 가야 리즈니치(Gaja Riznić) 등이 내렸다. 도시의 주요 건물과 도로는 판체보 출신의 독일인 기술자 인디지르 슐츠(Indižir Šulc)가 설계했으며, 특히 "즈그라다 스타로그 수다(Zgrada starog suda, 구 법원 건물)"가 그의 대표작이다. 오늘날 사용되는 고르니밀라노바츠라는 이름은 1859년, 세르비아의 공작 밀로스 오브레노비치 1세가 자신의 형인 밀란 오브레노비치(Milan Obrenović)를 기리기 위해 명령하여 공식화되었다.[3]제1차 세계 대전 점령기 동안 고르니밀라노바츠 주민들은 오스트리아-헝가리, 독일, 불가리아 왕국 군대에 의한 전쟁 테러와 범죄로 고통받았다. 제2차 세계 대전 시기에는 도시의 사회 기반 시설이 파괴되었고 주민들은 다시 한번 큰 고통을 겪었다. 전쟁 이후 유고슬라비아 시기에는 산업화가 진행되었으며, 특히 유고슬라비아 해체와 관련 분쟁으로 인한 국제 사회 제재 시기에도 자치구 내 산업체들은 역외 회사를 통해 서방 및 동구권 시장에 제품을 수출하며 경제 활동을 이어갔다. 1999년 유고슬라비아에 대한 NATO 폭격 당시 고르니밀라노바츠는 한 차례 폭격을 받았으나, 텔레비전 중계기만 파손되는 비교적 가벼운 피해를 입었다. 이 때문에 인근 도시 주민들 사이에서는 NATO가 폭격 계획을 세울 때 고르니밀라노바츠 위치에 커피 잔을 올려놓아 폭격 대상에서 제외되었다는 농담이 돌기도 했다.
연도 | 주요 사건[5] |
---|---|
1814년 | 타코보 마을에서 제2차 세르비아 봉기 시작 합의. |
1852년 | 고르니밀라노바츠(당시 데스포토비차)가 세르비아 최초로 직각 교차로 형태의 도시 계획에 따라 건설됨. |
1853년 | 데스포토비차 자치구 설립. |
1857년 | 최초의 남녀 공학 초등학교 및 도서관 설립. |
1859년 | 자치구 명칭을 고르니밀라노바츠로 변경. |
1879년 | 최초의 고등학교 설립. |
1890년 | 최초의 인쇄 회사 운영 시작. |
1892년 | 군립 병원 설립. |
1912년 | 협궤 철도 건설 시작. |
1914년 | 제1차 세계 대전 중 지보인 미시치가 이끄는 사령부가 도시에 설치됨. |
1921년 | 전력 공급 및 저전압 네트워크 구축 완료. |
1922년 | 협궤 철도 운행 시작 및 최초의 제과 회사 "루드니크(Rudnik)" 설립. |
1923년 | 최초의 석탄 발전소 가동. |
1927년 | 최초의 X선 촬영기 도입. |
1928년 | 자치구 최초의 영화관 운영 시작. |
1933년 | 유고슬라비아 왕국의 국왕 알렉산다르 1세가 최초의 혼성 초등학교 개교. |
1937년 | 두 번째 제과 공장 "슈마디야(Šumadija)" 설립. |
1941년 | 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과 체트니크가 공동 작전을 통해 나치 독일 점령 하의 고르니밀라노바츠를 해방시킴. 이 도시는 점령된 유고슬라비아 왕국 내 다른 해방된 도시들과 함께 단명한 우지체 공화국의 일부가 됨. 공동 작전은 즈보니미르 부츠코비치가 지휘했으며, 전투 중 독일군 전차 2대가 노획됨. 이 중 한 대는 현재 네바데 마을 입구에 기념물로 전시되어 있고, 다른 한 대는 우지체에 기념물로 보존되어 있음(Hotchkiss H35). |
1945년 | 나치 독일 점령으로부터 완전히 해방되고 산업화 시작. |
1965년 | 프라냐니와 루드니크 자치구가 고르니밀라노바츠 자치구로 통합됨. |
3. 지리
고르니밀라노바츠는 북쪽의 루드니크 산과 남쪽의 부얀 산 사이에 위치하며, 전반적으로 구릉과 산악 지형이 특징이다.산 이름 높이 (m) 루드니크 산 1132m 말렌 산 970m 예세바츠 산 902m 수보르 산 866m 라자츠 848m 부얀 산 845m
이 지역을 흐르는 주요 강으로는 데스포토비차강, 그루자강, 디치나강, 체메르니차강, 카메니차강이 있다. 스브라코프치, 브르자니, 므라코바츠, 트렙차, 사비나츠와 같은 마을 지역에는 다양한 지하수원과 온천수가 풍부하여, 도냐 트렙차의 "아톰스카 반자" 온천처럼 향후 온천 관광 개발 잠재력이 있다.
고르니밀라노바츠의 지형은 고지대이며, 과거 화산 활동의 영향을 받았다. 현재의 모습은 오랜 시간 동안의 하천 침식과 지각 변동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이다. 지형학적으로는 크게 두 구역으로 나눌 수 있다. 남쪽에는 말렌, 수보르, 루드니크 남서쪽 산기슭의 산림 지대가 펼쳐지고, 중앙부에는 예셰바츠와 부얀 북쪽 및 북서쪽 지역을 특징으로 하는 계곡 분지가 있다.[20]
슈마디야 지역 전체에서도 가장 눈에 띄는 지형은 루드니크 산이며, 루드니크 산 북서쪽에 위치한 원뿔 모양의 오스트르비차 봉우리도 독특한 경관을 자랑한다. 동쪽에는 산괴 형태의 예셰바츠산이, 남쪽에는 데스포토비차강에서 브르자니 계곡까지 부얀 산이 뻗어 있다. 서쪽 지역은 라자크, 수보르, 말렌 산을 포함하며, 가장 서쪽 끝에는 프라냐니 계곡이 자리한다.
3. 1. 기후
고르니밀라노바츠는 온대 습윤 기후를 보인다.[14] 지역별로 기후 차이가 나타나는데, 브르자니(Vrđani), 트루델(Trudelj), 드라고롤(Dragolj) 지역이 가장 온화하며(아습윤), 루드니크(Rudnik), 라자츠(Rajac) 봉우리, 마이단(Majdan), 스브라치코브치(Svračkovci), 고이나 고라(Gojna Gora), 고르니 브라네티치(Gornji Branetići), 브라이치(Brajići), 폴롬(Polom), 보그다니차(Bogdanica) 마을 북서부 지역이 가장 춥다(습윤). 마이단과 루드니크 산, 라자츠, 수보르(Suvobor) 봉우리 일부는 중간 정도의 습윤 기후를 보인다.
연평균 기온은 루드니크와 수보르 지역에서 8°C이며, 해발 250m 지역에서는 11°C이다. 연중 평균 상대 습도는 78.5%이며, 겨울에는 85%, 여름에는 75%이다. 다만 휴양지로 좋은 루드니크 산은 여름 평균 습도가 65%로 더 낮다. 연중 가장 더운 달은 7월이고 가장 추운 달은 1월이다. 가을은 봄보다 평균적으로 1°C 더 따뜻하다.
연평균 강수량은 788mm에서 985mm 사이이다. 식물 생장 기간은 220일에서 260일 사이이며, 이 기간 동안 연 강수량의 55%가 내려 식물 성장에 유리하다.
평균 풍속은 최저 1.7–2.6 m/s (3.11–5.05 노트)이고 최대 13.8–20.7 m/s (26.83–40.24 노트)이다. 최대 풍속은 주로 남동풍, 남서풍, 남풍이 불 때 기록된다. 고르니밀라노바츠 지역에서는 남동풍, 북풍, 동풍이 우세하게 분다.
2019년 마지막 대기질 측정 결과, 연평균 US AQI는 35, 겨울철 평균은 70으로 보통 수준으로 만족스러운 대기질을 보였다.[15]
고르니밀라노바츠 자치단체 영토의 수평면에서 측정된 연평균 일일 전지구 태양 복사 에너지량은 3.8–4.0 kWh/m2 (0.33–0.35 BTU/ft2)이다. 이 지역의 일일 평균 주변 방사선량률은 약 100 nSv/h이다.[16]
3. 2. 교통
도심은 북쪽의 Ljig과 남쪽의 차차크 사이, 그리고 북쪽의 마이다 마을과 남쪽의 프렐리나 마을 사이에 있는 유럽 고속도로 E763 (고속도로)의 서쪽에 위치해 있다.
주요 도시 교차로 분기점은 다음과 같다.
자치 단체의 서쪽과 남쪽에는 2016년에 개통된 A2 고속도로 (Corridor XI)가 위치해 있다. 이 고속도로는 향후 교통 및 관광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며, 고르니밀라노바츠를 아드리아 해 연안 및 베오그라드와 효과적으로 연결해 준다.
항공 교통의 경우, 인근의 민간 및 군용 공항인 모라바 공항(크랄레보 라제브치, 36km 거리), 베오그라드 니콜라 테슬라 공항(134km 거리), 우지체-포니크베 공항(98.6km 거리)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2018년 9월에는 Swisslion-Takovo Concern이 상업 및 민간 목적의 헬리포트를 설립했다.
고르니밀라노바츠는 수로 교통 운송을 위한 지리적 조건을 갖추고 있지 않다.
철도의 경우, 1969년에 차차크-고르니밀라노바츠–토폴라를 잇던 협궤 철도가 수익성 문제로 폐지되었다. 그러나 2014년, 세르비아 정부는 베오그라드와 사라예보를 잇는 새로운 전철화 철도 노선 계획을 검토하기 시작했으며, 이 계획이 실현될 경우 고르니밀라노바츠가 지역 교통의 중심지 중 하나로 발전할 가능성이 있다.
4. 인구
연도 | 1948 | 1953 | 1961 | 1971 | 1981 | 1991 | 2002 | 2011 |
---|---|---|---|---|---|---|---|---|
인구 수 (명) | 49,604 | 49,859 | 47,894 | 48,420 | 50,651 | 50,087 | 47,641 | 44,406 |
2011년에 실시된 마지막 공식 인구 조사에 따르면, 고르니밀라노바츠 시에는 44,406명의 인구가 거주하고 있다. 시 면적당 인구 밀도는 53.1/km2이다. 인구는 1981년 총 50,651명을 기록한 이후 감소 추세에 있는데, 이는 세르비아의 열악한 경제 상황, 부정적인 자연 증가율 및 인구 고령화 심화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보인다. 2011년 기준으로 고르니밀라노바츠에는 637명의 이주민이 거주하고 있다.[22]
추정되는 성별 및 평균 연령별 인구 구성은 다음과 같다.[23]
- 남성: 21,802명 (평균 42.4세)
- 여성: 22,604명 (평균 43.7세)
고르니밀라노바츠 시의 민족 구성은 다음과 같다.
민족 | 인구 (명) | 비율 (%) |
---|---|---|
세르비아인 | 43,453 | 97.85% |
로마인 | 178 | 0.40% |
몬테네그로인 | 81 | 0.18% |
마케도니아인 | 49 | 0.11% |
크로아티아인 | 34 | 0.08% |
유고슬라비아인 | 31 | 0.07% |
기타 | 580 | 1.31% |
총합 | 44,406 | 100% |
고르니밀라노바츠의 종교 구조는 다음 표와 같다.[24]
고르니밀라노바츠의 모국어 구조는 다음 표와 같다.[25]
모국어 | 화자 수 (명) |
---|---|
세르비아어 및 세르보크로아트어 | 43,884 |
로마니어 (발칸 로마니 방언) | 84 |
마케도니아어 | 34 |
크로아티아어 | 23 |
기타 언어 | 118 |
세르비아 헌법 제43조에 따라 미신고 | 72 |
알 수 없음 | 191 |
5. 경제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고르니밀라노바츠는 협궤 철도를 통해 세르비아인, 크로아티아인, 슬로베니아인 왕국의 다른 중요 지역 및 도시와 연결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전에는 주민들이 광업, 농업, 그리고 소수의 산업(제과 및 인쇄)에 종사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도시는 파괴되었지만, 1950년대에 급속한 발전을 시작했으며, 당시 유고슬라비아의 다른 지역에서는 이를 경제적 기적으로 불렀다.
이 시기에 남부와 남서부 두 곳에 공업 지대가 설립되었다. 주요 기업으로는 즈베즈다(현 즈베즈다-헬리오스), 메탈라츠, PIK 타코보(현 스위스리온-타코보), MK 루드니크(패션 문구), FAD(자동차 부품), 티포플라스티카(플라스틱, 종이 생산), 메탈 세코(현 메르스틸), GRO 그라디텔(건설), 미노스(철도 장비), 루드니크 플로타지온(광업 생산), 데체 노비네(청소년 신문 및 출판사), 프로레테르(백화점), 카블라르(농업 협동조합), 시그마(판지 생산), 시파드 사라예보-고르니밀라노바츠(건설 목공), 임레크(유제품 자회사), 믈린스코-페카르스카 인더스트리야 베오그라드(식품 산업 자회사), JTv 고르니밀라노바츠(지역 방송), KDS "데스포토비차"(케이블 TV) 등이 있다.
1980년대와 1990년대 고르니밀라노바츠는 혼합 경제의 "요람"으로 불렸다. 1990년대 유고슬라비아 해체와 UN 제재 속에서도 새로 형성된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 내에서 기업들이 이윤을 내며 운영되는 몇 안 되는 도시 중 하나였다. 이 시기에 설립되거나 활동한 주요 회사로는 "9. 셉템바르", "테트라 팩", "파피르 프린트", "스펙타르", "플린트 그룹 발칸", "플라네타 라추나리", "FOKA", "S-그룹", "세믹스 테크노", "인테르플레트 그라드냐", "라피드", "AzVirt", "롤로파스트", "RM 팩", "RGM 팩", "에이펙스", "메탈몽트", "케콤", "네벤", "아그로유니베르잘", DAM 93", "RP 슈탐파리아", "PCM 그라프", "CIS 에코포인트", "막시밀", "욤라 그룹", "디지텔", "알파 서포트" 등이 있다.
2001년과 2002년 이후, 195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 운영되던 대부분의 국영 또는 노동자 소유 기업들이 민영화되었다. 그러나 GRO 그라디텔, 믈린스코-페카르스카 인더스트리야 베오그라드(자회사), 임레크(자회사), 데체 노비네, 미노스, JTv 고르니밀라노바츠 등 일부 기업은 파산했다.
현재 고르니밀라노바츠에는 백화점, 미니 슈퍼마켓, 부티크, 레스토랑 등이 있으며, 지역 농부들이 생산물을 판매하는 벼룩시장 1곳과 가축 시장 1곳이 운영되고 있다.
오늘날 고르니밀라노바츠는 세르비아 공화국에서 상품, 서비스, 제품의 주요 수출 지역 중 하나로 인정받고 있으며, 예산 흑자를 기록하는 몇 안 되는 도시 및 지방 자치 단체 중 하나이다. 2014년 6월 기준 실업률은 25.28%였다.[26] 지역 경제는 주로 다음과 같은 기업 구조에 의존한다.[27]
- 329개의 소기업
- 22개의 중소기업
- 9개의 대기업
2011년 세르비아 공화국 인구 조사 및 세계 은행 자료에 따르면, 고르니밀라노바츠의 HPI는 24.00%, 지니 계수는 0.336, 빈곤 격차 지수는 0.039이다.[28]
경제 개요다음 표는 2022년 기준 주요 활동별 법인에 고용된 총 인원수를 보여준다.[29]
활동 | 총계 |
---|---|
농업, 임업 및 어업 | 101 |
광업 및 채석업 | 543 |
제조업 | 5,043 |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 조절 공급 | 56 |
수도 공급; 하수도, 폐기물 관리 및 복구 활동 | 165 |
건설업 | 450 |
도매 및 소매 무역, 자동차 및 오토바이 수리 | 1,606 |
운송 및 보관 | 435 |
숙박 및 음식 서비스 | 403 |
정보 및 통신 | 108 |
금융 및 보험 활동 | 220 |
부동산 활동 | 10 |
전문, 과학 및 기술 활동 | 441 |
행정 및 지원 서비스 활동 | 256 |
공공 행정 및 국방; 의무 사회 보장 | 372 |
교육 | 782 |
인간 건강 및 사회 복지 활동 | 881 |
예술, 엔터테인먼트 및 레크리에이션 | 161 |
기타 서비스 활동 | 188 |
개별 농업 노동자 | 389 |
총계 | 12,612 |
6. 문화
고르니밀라노바츠에는 다음과 같은 중요 문화 유적이 있다.
- 성 삼위일체 교회
- 브루스니차 마을의 성 니콜라스 교회와 오브레노비치 왕조의 가족 묘지
- 구청 건물("구 법원 건물")
- 지방 자치 단체 중심가의 기념물
- "평화의 언덕"(''Brdo mira'') 기념 공원
-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네바데 해방 기념 탱크(셔먼 파이어플라이)
- 브라체프시니차, 실로파이, 부얀의 정교회 수도원
- 제2차 세르비아 봉기의 영웅들을 기리는 타코보 단지
- 루드니크의 정교회 수도원 "예세바츠", 가톨릭 교회 "미사"(후에 모스크)의 유적
- 트레스카 언덕의 이레네 칸타쿠제네 유적
- 고르냐 크르누차의 밀로스 오브레노비치 가족 저택
- 국민 영웅 드라간 예프티치-슈케포의 가족 저택
- 루네비차 가문(혁명가 니콜라 루네비차, 정치인 판타 루네비차 및 왕비 드라가 오브레노비치)의 가족 저택
- 구 세르비아 건축 양식으로 지어진 조르제비치의 가족 저택
- 아치볼드 라이스의 아들 "도브로 폴레 II"의 가족 저택과 상속 재산
- 제1차 세계 대전에서 전사한 오스트리아-헝가리군과 세르비아군의 묘지가 있는 시립 묘지의 기념비
- 할리아드 작전 참가자를 위한 기념비와 지방 자치 단체의 다른 기념비
이 도시에는 "Tipoplastika" 민속 앙상블과 문화 예술 커뮤니티 "Šumadija"라는 두 개의 민속 단체가 활동하고 있다. 또한 "Bjesovi", "An Fas", "Pastir Pan", "GM Undergrounders",[7] "Skarlet", "Čudna Šuma"와 같은 록 밴드들이 이 도시에서 결성되었다. 1980년대와 1990년대에는 "Trula koalicija"와 같은 펑크 록 밴드가 활동했으며, 2000년대에는 "Plišani mališan",[8] "Morbid Cow", "Parnasus", "Strah od Džeki Čena[9]", IMT 666 (Bjesovi 밴드 보컬리스트의 자녀인 스테반 마린코비치 참여) 등 새로운 록 및 레게 음악 밴드와 그룹이 결성되었다.
6. 1. 문화 시설


고르니밀라노바츠 최초의 도서관은 1857년에 설립되었으며, "브라차 나스타시예비치"(영어: "Nastićević brothers")라는 이름으로 불린다.[6] 도서관 본부는 구 지구 행정 건물에 자리 잡고 있으며, 루드니크, 프라냐니, 브르자니, 브라체스니차에 분관을 운영하고 있다. 총 장서 규모는 10만 권이 넘으며, 도서관은 출판 사업에도 참여하고 있다.
이 도시의 주요 극장은 "밀라노바츠 아마추어 극장"이다. 이 극장을 비롯하여 GM 영화관, 미술관, 그리고 모든 지역 문화 클럽의 행정 센터는 시 중심부에 위치한 문화 센터 "미야 알렉시치"에 통합되어 운영된다. 이 문화 센터는 현대적인 기준을 충족하는 시설을 갖추고 있다. 사진 및 영화 분야에서는 고르니밀라노바츠 사진 영화 클럽 소속의 많은 예술가들이 활동하고 있다.
루드니크 및 타코보 지역 박물관은 고르니밀라노바츠 문화 센터의 자회사이다. 2008년에는 미술관이 설립되었으며, 이 미술관 역시 구 지구 행정 건물 내에 현대적인 갤러리를 갖추고 있다.
6. 2. 행사
고르니밀라노바츠는 1989년부터 격년으로 국제 미니어처 미술 비엔날레를 개최한다. 또한 타코보 마을에서는 매년 5월, 6월 또는 7월에 세계 음악 축제가 열린다.노동절(5월 1일) 기념 기간에는 타코보, 그라보비차(즈드레반 봉우리), 사비나츠, 루드니크 등지가 노조원들의 피크닉 장소로 인기가 높다. 이 지역에서는 세계 고환 요리 선수권 대회, "밀라노바츠 볼 토너먼트"(생선 수프 요리), 굴라시 토너먼트("굴라시야다")와 같은 독특한 문화 행사와 관광 행사도 열린다. 일부 정착촌에서는 다양한 예술 행사가 열리며, 마을 수호 성인 기념일에는 마을 체조 대회가 개최되기도 한다.
매년 1월 7일(정교회 크리스마스)에는 고르니 밀라노바츠 관광 기구와 시민들이 함께 하루 동안 축제를 연다. 운송 회사, 지역 상점 주인, 농부, 음악가, 오토바이 및 ATV 클럽, 택시 운전사, 소방관, 경찰, 군인 등 다양한 사람들이 참여하며, 이는 새해 첫날 무언가를 시작하면 한 해 동안 성공할 것이라는 믿음에서 비롯된 행사이다.[11]
또한 고르니 밀라노바츠에서는 매년 5월 22일, 8월 2일, 10월 15일에 세 차례 박람회가 열린다. 자치구의 수호 성인 축일인 성 삼위일체 축일을 70년 만에 다시 기념하기 시작했으며, 이 날에는 가장행렬이 열린다.
7. 스포츠
농구, 핸드볼, 배구와 함께 고르니밀라노바츠에서 가장 인기 있는 스포츠는 단연 축구이다. 이 지역 스포츠 활동은 고르니밀라노바츠 시 스포츠 연맹(Sportski Savez Opštine Gornji Milanovac, SSOGM)이 관할한다.
고르니밀라노바츠에는 새로운 메탈라크 경기장 외에도 다양한 스포츠 시설이 있다. 다목적 스포츠 홀 "브레자", 현재 재건축 중인 실내 스포츠 수영장 "티포플라스티카", 티포플라스티카, 아우토프레보즈, 스위슬리온-타코보 회사 산업 지역 내 근로자, 학생, 대중을 위한 스포츠 및 레크리에이션 센터, 야외 올림픽 수영장[38], 프라냐니와 루드니크에 위치한 스포츠 홀 2개, 고르니밀라노바츠 초등학교 스포츠 홀, 볼링장 2개(메탈라크 경기장 내 1개, 전문 학교 "요반 주요비치" 부지 내 1개), 비치 사커 및 배구 경기장 1개, 아이스 링크 및 야외 체육관 1개(스포츠 홀 "브레자" 인근), 다목적 "타코보" 경기장 등이 있다.
고르니밀라노바츠의 주요 스포츠 클럽은 다음과 같다.
클럽 | 스포츠 | 경기장 | 리그 | 설명 | |
---|---|---|---|---|---|
FK 메탈라크 고르니밀라노바츠 | 축구 | 메탈라크 경기장 | 세르비아 퍼스트 리그 (2부) | 남자 축구팀. 1961년 설립. | |
FK 타코보 | SD 타코보 경기장 | 세르비아 리그 서부 (3부) | 남자 축구팀. 1911년 설립. | ||
OK 타코보-즈베즈다-헬리오스 (여자) 타코보-메탈라크 (남자) | 배구 | SC "브레자" | 세르비아 퍼스트 리그 (여자, 2부) 세르비아 슈퍼 리그 (남자, 1부) | 남녀 배구팀 | |
SD 드라간 예프티치 스케포 | 사격 | 사격장 SD 드라간 예프티치 스케포 | SSS 컵 | 남녀 사격팀.[39] | |
ŽRK 메탈라크 AD | 핸드볼 | SC "브레자" | 세르비아 퍼스트 리그(서부) 여자 | 여자 핸드볼팀 | |
RK 티포플라스티카 | 티포플라스티카 회사의 스포츠 및 레크리에이션 센터 | 없음 | 남자 핸드볼팀. 2000년 해체. | ||
RK 옴라디나츠 | SC "브레자" | 세르비아 퍼스트 리그 서부 | 1980년대 해체. 2012년 재설립 | ||
KAF 메탈라크 | 미식축구 | 타코보 경기장 | 구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미식축구 전국 리그 (NLS) | 남자 미식축구팀. 해체. | |
KBK 밀라노바츠 | 킥복싱 | 다양함 | 미래 챔피언 리그 | 남자 킥복싱 클럽 | |
KK 메탈라크 | 볼링 | 아톰스코 스클로니슈테 및 메탈라크 경기장 | 세르비아 슈퍼 리그(볼링) | 남자 볼링팀 | |
KMF 메탈라크-콜로라도 | 풋살 | SC "브레자" | 세컨드 풋살 리그-서부 | 남자 풋살팀 | |
AK 타코보 | 육상 | 타코보 경기장 | 세르비아 육상 리그 | 남녀 육상팀 | |
AK 베테랑 | |||||
MK 론리 라이더스 | 오토바이 | SAS 파라크 | AMSS 챔피언십 | 남녀 오토바이 클럽 | |
OKK 타코보 | 농구 | TŠ "요반 주요비치"의 홀과 SC "브레자" | 주니어 지역 농구 리그-서부 | 남자 농구팀 | |
KK 이카르 고르니밀라노바츠 | SC "브레자" | 없음 | 특수 교육이 필요한 어린이를 위한 남녀 농구 클럽 | ||
KK GM032 | SC "브레자" | 세컨드 남자 지역 농구 리그-서부 그룹 B | 남자 농구팀 | ||
KK 타코보 | 가라테 | SC "브레자" | 데이터 없음 | 남녀 가라테 클럽 | |
TK 타코보 | 테니스 | "타코보" 경기장 단지 | 세르비아 테니스 리그 | 남녀 테니스 클럽 | |
PK 쿠피돈 | 다트 | 다양함 | 세컨드 전국 리그 | 남자 다트 클럽 | |
JK 그라보비차 | 요트 | 없음 | 없음 (2009년 해체) | 남자 요트 클럽 | |
DK 아라시 | 유도 | 다양함 | 알 수 없음 | 남녀 유도 클럽 | |
BK 카르 두샨 실니 | 슈트 레슬링 | 다양함 | 세르비아 배틀 챔피언십 | 남자 슈트 레슬링 제휴 | |
PSD 루드니크 | 등산 | 루드니크 산 단지 | PSS 탐험 | 남녀 등산 스포츠 협회 | |
ŠK 메탈라크-타코보 | 체스 | 다양함 | 세르비아 슈퍼 리그 | 남녀 체스 클럽 | |
STSO 고르니밀라노바츠 | 탁구 | 다양함 | 세르비아 탁구 연맹 리그 | 남녀 탁구 클럽 | |
PK 도밍고 | 댄스스포츠 | 다양함 | 다양함 | 남녀 댄스 스포츠 클럽 |
이 외에도 시에는 다양한 스포츠 활동과 조직이 존재한다.[40] 예를 들어, 어린이, 학생, 근로자를 위한 신체 훈련 클럽인 DTV 파르티잔과 "포레타라크", "주니어 사커", "스르프스키 오를로비", "스포르티크"와 같은 4개의 주니어 축구 클럽이 활동 중이다. 시 단위 축구 리그에는 마이단, 야블라니차, 슈마디야, 오제렘 PMH, 실로파이, 벨레레치 '94, 오제레미카, 믈라디 루다르, 믈라드스트 '09, 타코브스키 우스타나크, 브레자크, 스파르타 그라보비차, 옴라디나크 등의 팀이 참여하며, 이들의 시니어 경기는 지역 주민들에게 잘 알려져 있다. 세르비아 축구 리그 시스템의 5부 리그에 해당하는 모라바 지구 리그에는 FK 나프레다크 스브라치코브치, FK 백코바츠 유나이티드, FK 돈자 브르바바, FK 루네비차 등 고르니밀라노바츠 소속 클럽들이 참가하고 있다.
8. 정치
지방 자치법에 따르면 인구 10,000명에서 99,000명 사이의 지방 자치 단체 수장은 "대통령"으로 불리며, 인구 100,000명 이상의 더 큰 도시의 수장은 "시장"으로 불린다. 고르니밀라노바츠는 역사상 총 29명의 대통령을 배출했다.[33] 다음은 역대 대통령과 그들의 임기를 나타낸 표이다.
지방 자치 단체 대통령 | 정당 | 임기 |
---|---|---|
요반 안드리치 | 인민 급진당 | 19세기 말 |
막심 스레테노비치 | ||
스타노예 마린코비치 | 20세기 초 | |
드라골류브 스쿠비치 | 유고슬라비아 국민당, 유고슬라비아 급진 연합 | 1930년대 |
스베토자르 치보비치 | 유고슬라비아 급진 연합 | 1941–1945 |
브란코 크네제비치 | 유고슬라비아 공산주의자 동맹 | 1944–1945[34] |
라자르 조르제비치 | 1945–1947 | |
즈드라브코 라도예비치 | 1947 | |
우로쉬 이바노비치 | 1947 | |
브란코 페트로비치 | 1947 | |
미하일로 밀레 테시치 | 1947–1950 | |
밀로반 밀로바노비치 | 1950–1951 | |
흐리스티보예 포포비치 | 1951–1955 | |
조르제 죠카 차이치 | 1955–1960 | |
밀로이코 벨요비치 | 1960–1963 | |
보리보예 노바코비치 | 1963–1965 | |
슬로보단 스타노예비치 | 1965–1967 | |
드라골류브 드라간 파블로비치 | 1967–1969 | |
지보인 시모비치 | 1969–1974 | |
스타니미르 요바노비치 | 1974–1978; 1978–1982 | |
두샨 M. 파피치 | 1982–1984 | |
요반 토모비치 | 1984–1986 | |
토도르 포포비치 | 1986–1988 | |
판텔리야 가치치 | 1989–1993 | |
드라지미르 마루시치 | 첫 임기는 유고슬라비아 공산주의자 동맹, 이후 세 임기는 세르비아 사회당 소속 | 1992–1993, 1993–1997, 1997–2000, 2004–2010 (무소속 후보: 고르니밀라노바츠 지방 자치 단체 운동) |
알렉산다르 프라브디치 | 세르비아 민주당 | 2000–2001 |
밀루틴 M. 프로다노비치 | 2001–2004 | |
블라디미르 시모비치 | 2004 | |
밀리사브 미르코비치 | 세르비아 사회당 | 2010–2012 및 2012–2016 |
데얀 코바체비치 | 세르비아 진보당 | 2016–현재 |
9. 자매 도시
고르니밀라노바츠는 다음 도시들과 자매 도시를 맺고 있다:[36][37]
국가 | 도시 |
---|---|
-- 불가리아 | 블라고에브그라드 |
-- 그리스 | 에데사 |
-- 북마케도니아 | 카바다르치 |
-- 북마케도니아 | 쿠마노보 |
-- 폴란드 | 노보가르트 |
-- 불가리아 | 플레벤 |
-- 크로아티아 | 슬라본스카포제가 |
-- 슬로베니아 | 슬로베니 그라데츠 |
-- 북마케도니아 | 스타로 나고리차네 |
-- 러시아 | 스타로두브 |
-- 슬로베니아 | 스타르셰 |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트레비네 |
-- 노르웨이 | 베프순 |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블라세니차 |
참조
[1]
템플릿
Serbian municipalities 2006
[2]
템플릿
Serbian census 2022
[3]
서적
Nikola Milicevic Lunjevica
Lybrary "Brothers Nastasijevic", Gornji Milanovac
2009
[4]
웹사이트
Prehistory of Gornji Milanovac
http://www.gornjimil[...]
2014-12
[5]
서적
Stari Milanovac (The old Milanovac)
2003
[6]
웹사이트
Library "Brothers Nastasijević"
http://www.bibliotek[...]
2014-10
[7]
Youtube
GM Undergrounders official Youtube page
https://www.youtube.[...]
[8]
웹사이트
Плишани малишан, победник Јелен Демофеста
http://demofest.org/[...]
2014-09-03
[9]
뉴스
Winner of Demo Fest 2014
http://www.danubeogr[...]
[10]
뉴스
Gornji Milanovac and 72 municipalities in Serbia are great antagonist of GM food and they adopted prohibition
http://www.studiob.r[...]
2015-02
[11]
뉴스
News about the organization of the Traditional Orthodox Christmas Festival
https://gminfo.rs/bo[...]
2020-01
[12]
웹사이트
www.gornjimilanovac.rs
http://www.gornjimil[...]
2014-09-03
[13]
PDF
Nacrt-Prostornog-plana-opstine-Gornji-Milanovac-2011
http://www.camping.r[...]
2022-03
[14]
웹사이트
www.gornjimilanovac.rs
http://www.gornjimil[...]
2011-01-22
[15]
웹사이트
Results of Air Quality measurements in Gornji Milanovac from Institute for Public Health-Čačak
http://www.gornjimil[...]
2020-01
[16]
웹사이트
Background radiation on territory of Serbia
http://www.srbatom.g[...]
2015-04-12
[17]
웹사이트
Average temperatures for Gornji Milanovac (2010–2013)
http://www.hidmet.go[...]
Republic Hydrometorogical Service of Serbia
2014-09-08
[18]
웹사이트
www.gornjimilanovac.rs
http://www.gornjimil[...]
2014-07-25
[19]
뉴스
Ores in Gornji Milanovac
http://srbin.info/20[...]
2015-01
[20]
웹사이트
Terrain traits of the municipality of Gornji Milanovac
http://www.gornjimil[...]
2015-02-09
[21]
웹사이트
2011 Census of Population, Households and Dwellings in the Republic of Serbia
http://pod2.stat.gov[...]
Statistical Office of the Republic of Serbia
2017-01-11
[22]
웹사이트
Population in Serbia by number of migrants
http://webrzs.stat.g[...]
2015-03
[23]
웹사이트
Population in Republic Serbia, Census 2011
http://webrzs.stat.g[...]
2015-03
[24]
웹사이트
Relligion and mother tongue structure of Serbian
http://pod2.stat.gov[...]
2014-12
[25]
웹사이트
List of Mother tongue population in Serbia
http://pod2.stat.gov[...]
2014-12
[26]
웹사이트
Opština Gornji Milanovac - Zvanična internet prezentacija
http://www.gornjimil[...]
2014-10-31
[27]
웹사이트
Industry of Gornji Milanovac
http://www.gornjimil[...]
2014-01
[28]
웹사이트
Map of Poverty in Serbia
http://pubdocs.world[...]
2016-11
[29]
웹사이트
MUNICIPALITIES AND REGIONS OF THE REPUBLIC OF SERBIA, 2023.
https://publikacije.[...]
Statistical Office of the Republic of Serbia
2024-09-20
[30]
웹사이트
New media in Gornji Milanovac
https://moravainfo.r[...]
2019-09-29
[31]
웹사이트
National Institute of Serbia-Convicted crimes in Serbia for 2013
http://webrzs.stat.g[...]
2014-01
[32]
웹사이트
Criminal rate of Serbia-2013
http://www.numbeo.co[...]
[33]
서적
Stari Milanovac
2003
[34]
웹사이트
List of the presidents of Gornji Milanovac
http://www.gornjimil[...]
2015-02-09
[35]
웹사이트
New/Previous Coat of Arms of Municipality Gornji Milanovac adopted
http://www.gornjimil[...]
2016-11
[36]
웹사이트
Међународна сарадња општине Горњи Милановац
http://www.gornjimil[...]
Gornji Milanovac
2020-12-29
[37]
웹사이트
Gornji Milanovac i ruski Starodub jačaju pobratimstvo, od saradnje imaće koristi i đaci
http://gmpress.rs/go[...]
Gm Press
2019-12-08
[38]
웹사이트
Gradski bazen u Gornjem Milanovcu
http://www.togm.org.[...]
2014-09-04
[39]
링크
http://www.naslovi.n[...]
2022-02
[40]
간행물
Sport activities and awards
Takovske novine
2015-05-21
[41]
웹사이트
Notable people of Gornji Milanovac
http://www.gornjimil[...]
[42]
웹인용
2011 Census of Population, Households and Dwellings in the Republic of Serbia
http://pod2.stat.gov[...]
Statistical Office of the Republic of Serbia
2017-01-11
[43]
웹인용
Average temperatures for Gornji Milanovac (2010-2013)
http://www.hidmet.go[...]
Republic Hydrometorogical Service of Serbia
2014-09-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