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스렘스키카를로브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렘스키카를로브치는 세르비아 북부에 위치한 도시로, 도나우 강을 따라 자리 잡고 있으며, 여러 언어 이름으로 불린다. 이 지역은 로마 시대부터 역사가 시작되었으며, 1308년에 처음으로 언급되었다. 1521년 오스만 제국에 점령되었고, 1699년 카를로비츠 조약이 체결되어 합스부르크 군주국에 편입되었다. 세르비아인들의 문화, 정치, 종교의 중심지였으며, 세르비아 정교회 대주교가 거주했고, 최초의 세르비아어 김나지움과 신학교가 설립되었다. 1848년에는 세르비아 보이보디나 선포가 이루어졌으며, 유고슬라비아 왕국, 제2차 세계 대전을 거치며 역사가 이어졌다. 현재는 세르비아의 자치구이며, 세르비아인 외에도 다양한 민족이 거주한다. 주요 산업은 농업, 제조업, 서비스업 등이며, 교육 및 문화 시설도 갖추고 있다.

2. 명칭

언어명칭
세르비아어Сремски Карловци|스렘스키 카를로브치sr (Sremski Karlovci)
크로아티아어Srijemski Karlovci|스리옘스키 카를로브치hr
독일어Karlowitz|카를로비츠de 또는 Carlowitz|카를로비츠de
헝가리어Karlóca|카를로차hu
폴란드어Karłowice|카르워비체pl
루마니아어Carloviț|카를로비츠ro
튀르키예어Karlofça|카를로프차tr



이 도시의 이전 세르비아어 이름은 Карловци|카를로브치sr (''Karlovci'')였으며, 오늘날에도 비공식적으로 사용된다. 세르비아어에서 도시 이름은 복수형이다.

3. 지리

스렘스키카를로브치는 도나우강을 따라 위치하며, 스렘의 지리적 지역에 속한다. 이 도시는 노비사드에서 약 12km, 베오그라드에서 약 75km 떨어져 있다. 스렘스키카를로브치시는 해당 지방 자치체의 유일한 정착지이다.

4. 역사

스렘스키카를로브치는 고대 로마 제국 시대에 세워진 작은 요새에서 기원한다. 역사 기록에는 1308년 '카롬'(Karom)이라는 이름으로 처음 등장하며, 중세 시대에는 헝가리의 바토리 가문, 모로비치 가문 등 귀족 가문의 소유였다.

1521년 오스만 제국에 의해 정복된 후 약 170년간 지배를 받았으며, 이 시기 '카를로브치'라는 슬라브어 지명이 사용되기 시작했다(1532/33년). 오스만 통치 하에서 도시는 세르비아인이 다수를 이루는 정주지로 발전했다.

1699년 체결된 카를로비츠 조약은 도시 역사에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이 조약으로 스렘스키카를로브치는 합스부르크 군주국의 영토가 되었고, 이후 군사 변경 지역에 속하게 되었다. 합스부르크 통치 기간 동안 도시는 세르비아인들의 중요한 문화적, 정치적, 종교적 중심지로 기능했으며, 세르비아 정교회 대주교가 이곳에 거주하고 주요 교육 기관들이 설립되었다.

1848년 5월 의회를 통해 세르비아 보이보디나 자치주 선포의 중심지가 되었으나, 이후 행정 구역 개편을 거쳐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내 크로아티아-슬라보니아 왕국의 일부가 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유고슬라비아 왕국의 일부가 되었으며, 1920년대에는 러시아 백군 망명자들의 활동 거점이 되기도 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추축국에 점령되어 크로아티아 독립국에 편입되었고, '흐르바츠키 카를로브치'(Hrvatski Karlovcihr)로 불리는 시기를 겪었다.

전후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의 보이보디나 자치주에 속하게 되었으며, 1980년대 잠시 노비사드 시의 일부였다가 다시 독립적인 자치 단체 지위를 회복했다. 현대에 이르러서도 역사적 중요성을 인정받아 세르비아 헌법 재판소 이전 후보지로 거론되기도 했다.

4. 1. 고대, 중세, 근대 초기

고대 시대에 로마인들은 이 지역에 작은 요새를 유지했다. 이 도시는 1308년 '카롬'(Karom)이라는 이름으로 역사적 문서에 처음 언급되었다. 중세 시대의 카롬 요새는 고대 로마 요새의 폐허 위에 세워졌다. 1521년까지 카롬은 헝가리 귀족 가문인 바토리 가문과 모로비치 가문 등의 소유였다.

1521년 오스만 제국의 군 지휘관 발리 베그가 카롬을 정복하였고, 이후 170년 동안 이 도시는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받았다. 이 도시의 슬라브어 이름인 '카를로브치'는 1532년 또는 1533년에 처음 기록되었다. 오스만 통치 기간 동안 이 도시의 주민은 세르비아인이 다수를 차지했으며, 소수의 투르크인도 거주했다. 1545년 오스만 제국의 데프테르 기록에 따르면, 카를로브치에는 547가구의 기독교(주로 세르비아인) 신자가 살고 있었다. 당시 도시에는 세 개의 정교회 성당과 수도원이 있었다. 1557년부터 이 도시는 페치 세르비아 총대주교청의 베오그라드-스렘 교구에 속하게 되었다.

4. 2. 합스부르크 군주국

카를로비츠 조약 협상이 진행된 카펠라 미라 예배당. 조약이 체결된 천막 모양을 본떠 지어졌다.


1698년 11월 16일부터 1699년 1월 26일까지 스렘스키카를로브치에서는 오스만 제국신성 동맹 간의 전쟁을 종결하기 위한 회의가 열렸다. 신성 동맹은 합스부르크 군주국, 폴란드, 베네치아, 러시아 등 여러 유럽 국가들이 오스만 제국에 맞서 결성한 연합체였다. 이 회의 결과 카를로비츠 조약이 체결되었으며, 국제 정치 협상 역사상 처음으로 원탁 회의 방식이 사용된 사례로 기록되었다.

이 평화 조약 이후, 스렘스키카를로브치는 합스부르크 군주국의 영토가 되어 군사 변경 지역에 편입되었다. 1702년 기록에 따르면 당시 마을에는 동방 정교회 신자 가구가 215채, 가톨릭교 신자 가구가 13채 있었다. 1753년에는 인구가 3,843명으로 늘어났으며, 이 중 3,110명이 민족적으로 세르비아인이었다.

스렘스키카를로브치는 합스부르크 군주국 내 세르비아인들의 중요한 정신적, 정치적, 문화적 중심지로 자리 잡았다. 세르비아 정교회대주교가 이곳에 거주했으며, 오늘날까지도 세르비아 총대주교는 공식 칭호에 '카를로비치 대주교'를 포함하고 있다.

교육 기관 설립도 활발했다. 1791년 8월 3일에는 최초의 세르비아어 김나지움(세르비아어: gimnazija|김나지야sr)이 문을 열었으며, 이는 슬라브어권 전체에서도 최초의 김나지움이었다. 3년 뒤인 1794년에는 정교회 신학교가 설립되었는데, 이는 키이우의 신학 아카데미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오래된 정교회 신학교로 현재까지 운영되고 있다.

1848년 스렘스키카를로브치에서 열린 5월 의회 당시 세르비아 보이보디나 선포 장면


1848년 5월, 스렘스키카를로브치에서 열린 5월 의회에서 세르비아인들은 스렘, 바나트, 바치카, 바라냐 지역(군사 변경 지역 일부 포함)을 통합하여 세르비아 보이보디나라는 자치주를 선포했다. 이 시기 합스부르크 군주국은 오스만 제국과의 전쟁과 질병으로 황폐해진 지역을 재건하고 농업을 부흥시키기 위해 다뉴브 강 유역에 바이에른 및 남부 독일 출신의 많은 이주민을 정착시켰는데, 이들은 도나우 스바벤인으로 불리며 자신들의 언어와 가톨릭 신앙을 유지했다.

세르비아 보이보디나의 첫 수도는 스렘스키카를로브치였으나, 이후 제문, 벨리키 베체레크, 테미슈바르 등으로 이전되었다. 동시에 스렘스키카를로브치의 정교회 대주교 직함은 총대주교로 격상되었다.

그러나 1849년 세르비아 보이보디나가 세르비아와 테메슈바르 바나트 보이보디나라는 새로운 행정 구역으로 재편될 때, 스렘스키카를로브치는 이 구역에 포함되지 못하고 다시 슬라보니아 크라이나의 페트로바라딘 연대 소속 군사 변경 지역으로 돌아갔다. 1881년 군사 변경 지역이 폐지되면서, 이 도시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내 자치 왕국인 크로아티아-슬라보니아 왕국의 시르미아 주에 속하게 되었다.

카를로비치 총대주교구는 1848년부터 제1차 세계 대전 이후인 1920년까지 스렘스키카를로브치에서 운영되었다. 1920년, 베오그라드 대주교구와 통합되어 당시 유고슬라비아 왕국 내에서 단일한 세르비아 정교회를 형성하게 되었다.

4. 3. 세르비아 보이보디나와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카펠라 미라(Kapela mira, 평화의 예배당), 카를로비츠 조약이 협상된 장소에 세워졌다. 그 모양은 협상이 열렸던 천막을 연상시킨다.


1698년 11월 16일부터 1699년 1월 26일까지 카를로비치에서는 오스만 제국과 신성 동맹 사이의 전쟁을 끝내기 위한 회의가 열렸다. 신성 동맹은 합스부르크 군주국, 폴란드, 베네치아, 러시아 등 여러 유럽 국가들의 연합체였다. 이 회의 결과 카를로비츠 조약이 체결되었으며, 이는 국제 정치에서 원탁 회의 방식이 처음으로 사용된 사례로 기록된다.

이 평화 조약 이후, 카를로비치는 합스부르크 군주국의 영토가 되었고 군사 변경 지역에 포함되었다. 1702년 기록에 따르면, 당시 인구는 동방 정교회 신자 가구 215채와 가톨릭교 신자 가구 13채로 구성되었다. 1753년에는 인구가 3,843명으로 늘어났으며, 이 중 3,110명이 세르비아인이었다.

카를로비치는 합스부르크 군주국 내 세르비아인들의 정신적, 정치적, 문화적 중심지 역할을 수행했다. 세르비아 정교회대주교가 이곳에 머물렀으며, 21세기 초까지도 세르비아 총대주교는 카를로비치 대주교라는 직함을 유지하고 있다.

1791년 8월 3일에는 세르비아어(및 슬라브어권 전체) 최초의 김나지움(세르비아어: гимназијаsrp)이 이곳에 설립되었다. 3년 뒤인 1794년에는 정교회 스렘스키카를로브치 신학교가 문을 열었다. 이 신학교는 키이우의 신학 아카데미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오래된 정교회 신학교이며, 현재까지도 운영되고 있다.

1848년 5월, 카를로비치에서 열린 5월 의회에서 세르비아인들은 스렘, 바나트, 바치카, 바라냐 지역(군사 변경 지역 일부 포함)을 통합하여 세르비아 보이보디나라는 자치주를 선포했다. 이 시기 합스부르크 군주국은 오스만 제국의 침략과 질병으로 황폐해진 지역을 재건하고 농업을 활성화하기 위해 다뉴브강 유역에 바이에른과 남부 독일 출신의 많은 정착민을 이주시켰다. 도나우 스바벤인으로 알려진 이 독일계 정착민들은 자신들의 언어와 가톨릭 신앙을 유지하며 1세기 이상 비교적 자율적인 공동체를 이루었다.

세르비아 보이보디나의 첫 수도는 카를로비치였으나, 이후 제문, 벨리키 베체레크, 테미슈바르로 이전되었다. 이와 동시에 카를로비치의 정교회 대주교 직함은 총대주교로 격상되었다.

하지만 1849년, 세르비아 보이보디나가 세르비아와 테메슈바르 바나트 보이보디나라는 새로운 행정 구역으로 재편될 때 카를로비치는 이 구역에 포함되지 않았다. 대신 슬라보니아 크라이나의 일부인 페트로바라딘 연대 소속으로 군사 변경 지역 행정 체계 아래로 돌아갔다. 1881년 군사 변경 지역이 폐지되면서, 카를로비치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내 자치 왕국인 크로아티아-슬라보니아 왕국의 시르미아 주에 속하게 되었다.

카를로비치 총대주교구는 1848년부터 제1차 세계 대전 이후인 1920년까지 카를로비치에서 운영되었다. 1920년에는 베오그라드 대주교구와 통합되어 당시 유고슬라비아 왕국 내에서 단일한 세르비아 정교회를 이루게 되었다.

1921년부터 1944년까지 카를로비치의 총대주교 궁전은 러시아 정교회 국외 교단의 행정 본부로 사용되기도 했다.

4. 4. 유고슬라비아 왕국과 제2차 세계 대전

제1차 세계 대전의 결과로 1918년, 이 도시는 세르비아인, 크로아티아인 및 슬로베니아인 왕국(이후 유고슬라비아 왕국)의 일부가 되었다. 1920년에는 카를로브치 총대주교의 지위가 베오그라드 대주교(구 세르비아 왕국), 페치 총대주교(구 몬테네그로 왕국)와 통합되어 세르비아 총대주교가 되었다.

1921년 여름, 카를로브치 총대주교의 이전 궁전은 러시아에서 망명한 대주교 안토니 (흐라포비츠키)의 거주지로 사용되었다. 그는 다른 망명 주교들과 함께 몇 년 후 러시아 정교회 해외교회(ROCOR)의 성 시노드로 발전하게 될 조직을 만들었다. 일부에서는 이 조직을 '카를로바츠키 시노드'(Карловацкий синод|카를로바츠키 시노드ru) 또는 "카를로바츠키 그룹"이라고 불렀다.[4]

1922년, 이 도시는 표트르 니콜라예비치 란겔 장군이 이끄는 러시아 백군 망명자들의 본부가 되었다. 1924년, 란겔 장군은 전 세계의 모든 러시아 군사 망명자들을 통합하기 위한 러시아 전군 연합을 설립했다. 많은 망명자들이 서유럽, 특히 프랑스와 미국으로 이주했다.[5]

1929년부터 1941년까지, 스렘스키카를로브치는 유고슬라비아 왕국의 한 지방인 도나우 바노비나(도나우 주)에 속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1941–1944) 나치 독일의 동유럽 침공 이후, 도시는 추축국 군대에 의해 점령되었다. 이 도시는 우스타샤가 통치하는 크로아티아 독립국에 병합되었으며, 이 기간 동안 이름이 '흐르바츠키 카를로브치'(Hrvatski Karlovci|흐르바츠키 카를로브치hr)로 변경되었다. 전쟁이 끝난 후, 도시는 세르비아 보이보디나 자치주의 일부가 되었다.

4. 5.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과 이후

1918년, 스렘스키카를로브치는 세르비아인, 크로아티아인 및 슬로베니아인 왕국(나중에 유고슬라비아 왕국으로 알려짐)의 일부가 되었다. 1921년 여름, 카를로브치 총대주교의 이전 궁전은 러시아에서 망명한 대주교 안토니 (흐라포비츠키)의 거주지로 사용되었다. 그는 다른 망명 주교들과 함께 몇 년 후 러시아 정교회 해외교회 (ROCOR)의 성 시노드로 발전하게 될 조직을 만들었다. 일부 비평가들은 이 조직을 '카를로바츠키 시노드'(Карловацкий синодru) 또는 "카를로바츠키 그룹"이라고 불렀다.[4]

1922년에는 표트르 니콜라예비치 란겔 장군이 이끄는 러시아 백색 망명자들의 본부가 되었다. 1924년, 란겔 장군은 전 세계의 모든 러시아 군사 망명자들을 통합하기 위한 러시아 전군 연합을 설립했다. 많은 망명자들이 서유럽, 특히 프랑스와 미국으로 이주했다.[5] 란겔 장군을 기리는 기념비는 바실리 아젬샤가 조각했으며, 2007년 9월 카를로브치에서 공개되었다.[6]

1929년부터 1941년까지, 이 도시는 유고슬라비아 왕국의 한 지방인 도나우 바노비나에 속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1941–1944) 나치 독일의 동유럽 침공 이후, 추축국 군대가 이 도시를 점령했다. 이후 크로아티아 독립국에 병합되었고, 그 기간 동안 도시 이름은 '흐르바츠키 카를로브치'로 변경되었다. 전쟁이 끝난 후, 도시에 거주하던 대부분의 독일계 주민들은 추방되었으며, 스렘스키 카를로브치는 세르비아 보이보디나 자치주의 일부가 되었다.

1980년부터 1989년까지 스렘스키 카를로브치는 노비사드 시를 구성하는 7개 지방 자치체 중 하나였다.

2021년 1월, 보이보디나 자치주 총리 이고르 미로비치는 스렘스키 카를로브치에 있는 역사적으로 중요한 건물들의 외관을 재건축할 계획을 발표했다.[7]

5. 인구

스렘스키카를로브치 인구 변화[8]
연도인구
19485,350
19535,618
19616,390
19717,040
19817,547
19917,534
20028,839
20118,750
20227,872



2011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스렘스키카를로브치 지방 자치제의 인구는 8,750명이다.

'''2011년 민족 구성'''[9]

민족인구%
세르비아인6,82077.94%
크로아티아인5766.58%
헝가리인1822.08%
유고슬라비아인710.81%
독일인630.72%
몬테네그로인410.47%
슬로바키아인290.33%
마케도니아인250.29%
루신인160.18%
슬로베니아인150.17%
로마니족140.16%
러시아인110.13%
기타96911.07%
총계8,750100%



'''2002년 민족 구성'''

2002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스렘스키카를로브치 자치구의 주요 민족 구성은 세르비아인(75.39%), 크로아티아인(8.51%), 유고슬라비아인(2.87%), 헝가리인(2.43%), 몬테네그로인(1%) 등이었다.

6. 경제

가족 소유의 와인 하우스. 스렘스키카를로브치는 와인 생산으로 유명하다.


오래된 기차역 건물


다음 표는 2017년 기준 핵심 활동별 고용 인원수를 보여준다.[10] 교육, 가공 산업(제조업), 행정 및 사회 보장, 도매소매업 순으로 고용 인원이 많다.

활동총 인원
농업, 임업어업11
광업4
가공 산업 (제조업)282
전력, 가스 및 수도 분배1
수도 및 폐수 관리 분배39
건설27
도매소매, 수리222
교통, 창고 보관통신71
호텔 및 레스토랑125
미디어통신23
금융보험8
부동산 및 임대2
전문, 과학, 혁신 및 기술 활동31
행정 및 기타 서비스92
행정 및 사회 보장220
교육284
의료 및 사회 사업18
예술, 레저 및 레크리에이션14
기타 서비스66
총 인원1,537


7. 정치

정교회 성 니콜라이 대성당


1989년까지 스렘스키카를로브치는 여러 자치 단체가 합동으로 운영하는 노비사드 시의 일부였다. 노비사드가 여러 자치 단체를 통합하여 단일 '노비사드 자치구'를 만들었을 때, 스렘스키카를로브치에서는 주민 투표를 통해 노비사드 시로부터 분리를 결정하여 독립적인 자치구를 설립했다. 스렘스키카를로브치는 지리적으로 스렘 지역에 위치하지만, 행정 구역상으로는 노비사드와 같은 남바치카 구에 속하며 스렘 구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2008년 5월 11일에 실시된 지방 선거에서는 스렘스키카를로브치 자치 단체의 새로운 시의회가 선출되어, 기존에 시정을 운영하던 세르비아 급진당의 통치가 종식되었다. 시의회는 정당 연합인 '유럽을 위한 스렘스키카를로브치'를 구성하는 G17플러스 소속의 라이코 마린코비치(Rajko Marinković)를 새로운 시장으로 선출했다.[14]

2016년 4월 24일에 실시된 세르비아 지방 선거에서는 새로운 자치구 의회가 선출되면서 민주당(DS)의 통치가 끝나게 되었다. 세르비아 진보당 소속의 네나드 밀렌코비치(Nenad Milenković)가 새로운 자치구 시장으로 선출되었다.

8. 교육


  • 카를로브치 김나지움
  • 성 아르세니예 고등 신학교
  • 경영학부[11]
  • 응용 경영 및 비즈니스 커뮤니케이션 대학[12]

9. 문화

스렘스키카를로브치의 정교회와 가톨릭 교회


총대주교청


스렘스키카를로브치에는 역사적, 문화적으로 중요한 여러 건축물과 기관이 자리 잡고 있다.

'''교육 및 역사 건물'''

  • 카를로브치 김나지움: 세르비아 최초의 중등학교(김나지움)이다.
  • 성 아르세니예 성직 고등학교


'''행정 건물'''

  • 스렘스키카를로브치 시청


'''종교 건물'''

  • 총대주교청: 세르비아 정교회의 중요한 중심지 역할을 했다.
  • 성 니콜라스 정교회 대성당
  • 성 삼위일체 로마 가톨릭 교회


'''기타 주요 장소'''

  • 네 마리 사자 분수
  • 스렘스키카를로브치 평화 예배당: 카를로비츠 조약이 체결된 역사적인 장소이다.
  • 스렘스키카를로브치 기록 보관소
  • 시립 박물관
  • 양봉 박물관
  • 도나우 스와비아인 박물관


'''주요 건축물 및 장소 이미지'''

10. 자매 도시

스렘스키카를로브치는 다음 도시들과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13]


참조

[1] 문서 Serbian municipalities 2006
[2] 웹사이트 Насеља општине Сремски Карловци http://webrzs.stat.g[...] Statistical Office of Serbia 2019-10-23
[3] 웹사이트 Census 2022: Total population, by municipalities and cities https://popis2022.st[...]
[4] 백과사전 Synod of Karlovci https://www.britanni[...] Encyclopedia Britannica
[5] 웹사이트 Wrangel, Petr Nikolaevich, Baron https://encyclopedia[...] Encyclopedia 1914-1918
[6] 뉴스 Споменик белом барону http://www.politika.[...] Politika 2007-09-13
[7] 웹사이트 Mirović: Sačuvaćemo kulturno-istorijski značaj Sremskih Karlovaca https://www.rtv.rs/s[...] 2021-01-14
[8] 웹사이트 2011 Census of Population, Households and Dwellings in the Republic of Serbia http://pod2.stat.gov[...] Statistical Office of the Republic of Serbia 2017-01-16
[9] 웹사이트 Попис становништва, домаћинстава и станова 2011. у Републици Србији http://pod2.stat.gov[...] Republički zavod za statistiku 2017-01-16
[10] 웹사이트 ОПШТИНЕ И РЕГИОНИ У РЕПУБЛИЦИ СРБИЈИ, 2018. http://publikacije.s[...] Statistical Office of the Republic of Serbia 2019-03-17
[11] 웹사이트 Fakultet za menadžment https://www.famns.ed[...] 2021-01-14
[12] 웹사이트 Visoka škola za menadžment i poslovne komunikacije http://www.mpk.edu.r[...] 2021-01-14
[13] 웹사이트 Градови побратими http://sremskikarlov[...] Sremski Karlovci 2020-01-07
[14] 뉴스 RTV - Sremski Karlovci - koalicija DS i G17 plus na vlasti http://www.rtv.rs/sr[...]
[15] 웹인용 2011 Census of Population, Households and Dwellings in the Republic of Serbia http://pod2.stat.gov[...] Statistical Office of the Republic of Serbia 2017-01-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