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소련의 만주 점령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소련의 만주 점령은 1945년 8월, 얄타 회담의 결정에 따라 소련이 제2차 세계 대전의 일환으로 만주를 침공하고 점령한 사건이다. 소련은 만주를 점령하여 일본군을 격파하고, 몽골, 남사할린, 한반도 북부를 점령했으며, 이는 일본의 항복에 영향을 미쳤다. 이후 소련은 중화민국과의 조약에 따라 만주에서 철수했지만, 철수 과정에서 군기 문란, 전쟁 범죄, 경제적 혼란 등의 문제점을 드러냈다. 이러한 점령은 국공 내전, 대한민국의 형성에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만주 - 광개토대왕릉비
    광개토대왕릉비는 414년에 고구려 장수왕이 아버지 광개토대왕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세운 비석으로, 고구려 역사와 광개토대왕의 업적을 기록하여 고구려사 연구에 중요한 사료로 평가받는다.
  • 만주 - 외만주
    외만주는 19세기 청나라 동북 지역으로, 러시아가 아무르 강 유역을 병합한 후 러시아 만주라고도 불렸으나, 아이훈 조약과 베이징 조약으로 러시아에 할양되어 현재 러시아 영토가 되었으며, 중국은 불평등 조약을 근거로 영토 반환을 주장하지만 러시아는 이를 부정하며 영토 분쟁과 역사 논쟁이 지속되고 있다.
  • 소련-중국 관계 - 다롄시
    다롄시는 랴오닝성 남단의 주요 항구 도시이자 경제 특구로서, 러시아와 일본 점령기를 거쳐 중국에 반환되었고, 개혁 개방 이후 경제 발전과 함께 환경 및 사회 문제에 직면하며, 다양한 산업과 무역, 관광 자원을 바탕으로 중국 동북부의 주요 도시로 성장하였다.
  • 소련-중국 관계 - 동북항일연군
    동북항일연군은 1936년 중국 공산당의 지휘 아래 만주 지역 항일 무장 세력을 통합하여 창설되었으며, 만주와 한반도에서 일본 제국주의를 몰아내고 민족 독립을 쟁취하는 것을 목표로 활동하다가 일제의 탄압으로 소련으로 이동, 1945년 일본 패전 후 북한으로 귀환하여 권력을 장악했다.
  • 제2차 세계 대전의 점령지 - 베트남 제국
    베트남 제국은 1945년 일본의 지원을 받아 바오다이 황제가 건국한 국가로, 쩐쫑낌 내각을 구성하여 개혁을 추진했으나 일본의 항복과 베트민의 혁명으로 멸망했다.
  • 제2차 세계 대전의 점령지 - 주데텐란트
    주데텐란트는 보헤미아, 모라비아, 실레시아에 걸쳐 독일어 사용자들이 거주했던 지역으로, 체코슬로바키아 건국 후 그 영토에 포함되었다가 나치 독일의 팽창 정책으로 독일에 할양, 이후 체코슬로바키아로 반환되며 독일인 주민들이 추방된 지역이다.
소련의 만주 점령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통칭소련 점령하의 만주
정식 명칭소련 점령하의 만주
지위점령 지역
상태소련 점령
제국소련
정치 체제군정
시작 연도1945년
종료 연도1946년
시작 사건소련군의 만주 침공
시작 날짜8월 9일
종료 사건만주에서 모든 소련군 철수
종료 날짜5월 3일
이전 국가만주국
몽강연합자치정부
왕징웨이 정권
관동주
계승 국가중화민국
중국 공산당 혁명 근거지
내몽골 인민공화국
소련 점령하의 뤼순 기지
1945년 8월 소련의 동북아시아 점령지
소련의 동북아시아 점령지 (1945년 8월)
수도선양시 (지휘 본부)
공용어중국어(동북관화)
일본어
러시아어
통화홍군 위안
정치
소련군 사령관로디온 말리놉스키
재임 기간1946년
통계
시간대+8
현재 국가중국
러시아

2. 역사적 배경

1945년 2월 11일, 제2차 세계 대전 연합국의 주요 지도자들인 루즈벨트 (미국), 처칠 (영국), 스탈린 (소련)은 얄타 회담에서 얄타 협정에 서명했다. 이 협정은 독일 항복 후 3개월 이내에 소련이 일본과의 전쟁에 참전하는 대가로, 전후 만주에서 소련의 영향력을 인정하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

1946년 8월 1일 북동 중국의 정치-군사 통제 지역


이후 소련의 침공과 원자 폭탄 투하가 겹치면서 일본은 항복하게 되었다. 1945년 8월 15일, 히로히토 천황은 라디오를 통해 일본의 무조건 항복을 발표했고, 이로써 제2차 세계 대전이 종식되었다.[7]

국민당은 1945년 8월 14일 소련과 우호 동맹 조약을 체결했다. 이 조약은 소련의 지원을 받는 몽골 인민 공화국을 중국이 승인하는 대신 만주에 대한 중국의 주권을 확인하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 소련은 일본 항복 후 3주 안에 만주에서 철수하기 시작했지만, 여러 차례 지연되었다. 1946년국공 내전이 재개되면서 붉은 군대는 철수를 완료했지만,[5] 합의를 어기고 3월에 만주 대부분을 비밀리에 중국 공산당에게 넘겨주었다.[6]

2. 1. 얄타 회담과 소련의 참전

1945년 2월 11일, 연합국의 주요 지도자인 루즈벨트 (미국), 처칠 (영국), 스탈린 (소련)은 얄타 회담을 통해 얄타 협정을 체결했다. 이 협정에는 독일이 항복한 후 3개월 안에 소련이 일본과의 전쟁에 참전하는 조건으로, 전후 만주 지역에서 소련의 영토 확장과 영향력 행사를 보장하는 내용이 포함되었다.[1]

스탈린테헤란 회담에서의 약속에 따라 1945년 8월 9일 만주국에 대한 침공 명령을 내렸고, 이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가장 큰 규모의 군사 작전 중 하나로 기록되었다. 소련군은 만주로 진격하여 일본군의 저항을 격퇴하고, 멍장 (내몽골), 사할린 남부, 한반도 북부 지역을 점령했다. 만주에서 관동군의 빠른 패배는, 미국이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에 원자 폭탄을 투하한 사건과 더불어, 1945년 8월 15일 일본이 항복하는 데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2][3][4]

2. 2. 소련-일본 전쟁과 만주 전략공세작전

1945년 8월 9일, 소련테헤란 회담의 조건에 따라 일본에 선전포고를 하고 만주국 침공을 개시했다. 이는 소련-일본 전쟁의 일환으로, 만주 전략공세작전이라고도 불린다. 거대한 붉은 군대는 만주로 진격하여 일본 관동군의 저항을 격파하고, 멍장(내몽골), 남부 사할린, 한반도 북부를 점령했다.[1][2][3][4]

만주에서 관동군이 빠르게 패배한 것은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에 대한 미국의 원자 폭탄 투하와 함께 1945년 8월 15일 일본의 항복에 크게 기여했다.[8][9][10][11]

3. 소련의 만주 점령 통치

1945년 8월 소련은 만주에 입성하여 통치를 시작했다. 소련군은 둥베이(만주) 주둔 기간 동안 심각한 군기 문제를 일으켰다. 붉은 군대 병사들은 패전한 일본인들을 약탈, 폭행하고 일본 전쟁 포로와 민간인들을 학살했다. 일본으로 철수하지 못한 많은 일본 교민들이 소련군에 의해 학살되었다.[13] 현지 중국인들에 대해서도 소련군은 백주 대낮에 약탈을 자행했는데, 민가에 무단 침입하여 총칼로 위협하며 물건을 강탈하거나 부녀자를 강간한 뒤 사살하기도 했다.[14][15]

소련은 둥베이 각 도시에 소련 지도자 초상화를 내걸도록 하고, 광장에 소련군을 강제 주둔시켜 점령지 통제와 치안 유지를 하려는 팔로군과 붉은 군대 사이에 교전 충돌까지 일어났다.[16]

소련 점령 정부는 1945년 8월 체결된 중소 우호 동맹 조약으로 인해 중국 내정 간섭이 금지되어 난처한 상황에 처했다. 장제스와 크라브첸코 대령의 협상 과정에서 중국군을 제8군이 아닌 '북부인민자치군'(北部人民自治军중국어)으로 부르기로 합의하여, 소련군 사령부는 자신들이 지역 민병대인 것처럼 가장할 수 있게 되었다. 중국 공산당은 소련 점령군이 위치한 도시들에 대한 통제권을 주장하지 않고, 소규모 군청과 농촌 지역에서 민중 자치를 조직하기 시작했다.

중국 동북 지방에서 소련군 주둔이 길어지면서, 소련 당국은 주둔지에 식량과 필수품을 공급하는 문제에 직면했다. 당시 중국의 금융 시스템은 혼란스러웠고, 단일 발권 은행도 존재하지 않았다. 이러한 상황에서 소련군 사령부는 군표를 발행하여 점령지 내 경제 활동을 통제하려 했다. 군표는 소련군 부대에 필요한 식량 및 기타 상품과 서비스의 대가를 지불하기 위해 사용되었으며, 소련군 철수 시까지 발행되었다. 증지가 부착된 이 군표는 중국에서 새로운 지폐가 출시될 때까지 유통되었다.

3. 1. 중소 우호 동맹 조약과 소련군의 주둔

1945년 8월 14일 중소 우호 동맹 조약 체결로 소련은 만주를 중화민국에 반환해야 했으나, 1946년 5월까지 주둔했다.[12] 소련군은 일본과의 전쟁 후 점령지를 군정 통치했고, 1945년 9월부터 팔로군이 둥베이(만주의 중국식 표현)에 진출해 소련군과 협력했다.[12]

소련군은 둥베이 주둔 중 심각한 군기 문제를 일으켰다. 붉은 군대는 일본인 약탈, 폭행, 학살을 자행했고,[13] 현지 중국인에게도 강도, 강간, 살인을 저질렀다.[14][15] 소련은 둥베이 도시에 지도자 초상화를 걸고 광장에 군대를 주둔시켜 팔로군과 충돌하기도 했다.[16]

소련 점령 정부는 1945년 8월 조약으로 중국 내정 간섭이 금지되어 난처했다. 장제스와 크라브첸코 대령 협상에서 중국군을 '북부인민자치군'(北部人民自治军중국어)으로 불러 소련군이 민병대인 척하게 했다. 중국 공산당은 소련 점령 도시 통제권을 주장하지 않고 농촌 자치를 조직했다.

1945년 2월 11일, 빅 3 (프랭클린 D. 루즈벨트, 처칠, 스탈린)는 얄타 회담을 통해 소련의 대일전 참전을 결정했다. 이는 전후 만주 영토 할양과 소련 영향력 확대를 대가로 했다.

중국 국민당은 1945년 8월 14일 소련과 중소 우호 동맹 조약을 맺어 몽골 인민 공화국을 승인하고 만주 주권을 확인받았다. 소련은 일본 항복 후 3주 내 철수를 시작했으나 지연시켰고, 1946년 초 국공 내전 재개로 철수하면서[5] 3월에 만주 상당 부분을 비밀리에 중국 공산당에 넘겼다.[6]

3. 2. 소련군의 전쟁 범죄

소련군은 둥베이(만주) 점령 기간 동안 심각한 군기 문제를 드러냈다. 붉은 군대 병사들은 패전한 일본인들을 약탈하고 폭행했으며, 일본 전쟁 포로와 민간인들을 학살했다. 일본으로 미처 돌아가지 못한 많은 일본 민간인들이 소련군에게 희생되었다.[13] 소련군은 현지 중국인들에게도 백주대낮에 약탈을 자행했다. 이들은 민가에 무단 침입하여 총칼로 위협하며 물건을 강탈하거나, 부녀자를 강간하고 살해하기도 했다.[14][15]

3. 3. 경제 정책

중국 동북 지방에서 소련군 주둔이 길어지면서, 소련 당국은 주둔지에 식량과 필수품을 공급하는 문제에 직면했다. 당시 중국의 금융 시스템은 혼란스러웠고, 단일 발권 은행도 존재하지 않았다. 이러한 상황에서 소련군 사령부는 군표를 발행하여 점령지 내 경제 활동을 통제하려 했다. 군표는 소련군 부대에 필요한 식량 및 기타 상품과 서비스의 대가를 지불하기 위해 사용되었으며, 소련군이 철수할 때까지 계속 발행되었다. 증지가 부착된 이 군표는 중국에서 새로운 지폐가 출시될 때까지 유통되었다.[12]

4. 만주 점령의 결과와 영향

소련의 만주 점령은 동북아시아의 전후 질서 재편에 큰 영향을 미쳤다. 특히 국공 내전한국에 큰 영향을 주었다.

4. 1. 국공 내전

국민당은 1945년 8월 14일 소련과 중소 우호 동맹 조약을 체결했다. 이 조약으로 소련은 만주에 대한 중국의 주권을 확인했지만, 일본 항복 후 3주 이내에 만주에서 철수해야 하는 약속을 여러 차례 지연시켰다.[5] 1946년 초 국공 내전이 다시 시작되자 붉은 군대는 철수를 완료했지만, 이 과정에서 비밀리에 만주의 상당 부분을 중국 공산당에게 넘겨주었다.[6] 이는 조약 위반이었다.

소련군은 만주 점령 기간 동안 여러 문제점을 드러냈다. 붉은 군대 병사들은 패전한 일본인들을 약탈, 폭행, 학살했으며, 일본으로 돌아갈 기회를 잃은 많은 일본 민간인들이 학살당했다.[13] 또한, 소련군은 현지 중국인들까지 백주 대낮에 약탈하고, 민가에 침입하여 물건을 강탈하거나 부녀자를 강간한 뒤 살해하기도 했다.[14][15]

소련은 외교 의례에도 불구하고 둥베이(만주) 각 도시에 소련 지도자의 초상화를 걸게 하고, 광장에 소련군을 강제로 주둔시켰다. 이 때문에 점령지 통제와 치안 유지를 시도하던 팔로군과 붉은 군대 사이에 무력 충돌까지 발생했다.[16]

이러한 상황에서 소련 점령 정부는 1945년 8월 체결된 소련-중국 조약에 따라 중국 내정에 직접 간섭할 수 없다는 난처한 입장에 놓였다. 결국 장제스와 크라브첸코 대령의 협상을 통해 중국군을 '북부인민자치군'(北部人民自治军|북부인민자치군중국어)으로 부르기로 합의하여, 소련군 사령부는 자신들이 지역 민병대인 것처럼 위장할 수 있었다. 또한, 중국 공산당은 소련 점령군이 위치한 도시들에 대한 통제권을 주장하지 않고, 소규모 군청과 농촌 지역에서 민중 자치를 조직하기 시작했다.

4. 2. 대한민국에의 영향

소련은 얄타 회담의 결과에 따라 1945년 8월 9일 만주국 침공을 명령했고, 붉은 군대는 만주로 진격하여 일본군을 물리치고 한반도 북부를 점령했다.[1][2][3][4] 이로 인해 한반도 북부에 공산 정권이 수립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었다.

만주 점령과 이로 인한 공산 세력 강화는 한반도 북부에 공산 정권이 들어서는 결과를 낳았고, 이는 한반도 분단과 남북 간 이념 대립을 격화시켜 한국 전쟁의 원인 중 하나가 되었다.

5. 같이 보기

참조

[1] 서적 Japan's Decision to Surrender Stanford University Press 1954
[2] 서적 Downfall: The End of the Imperial Japanese Empire Penguin 2001
[3] 서적 Hiroshima in History: The Myths of Revisionism University of Missouri Press 2007
[4] 웹사이트 Tsuyoshi Hasegawa http://www.history.u[...] 2015-09-24
[5] 웹사이트 http://epaper.yangts[...] 揚子晚報網 2009-04-20
[6] 웹사이트 Manchuria - Imperialism, Japanese Occupation, Cold War https://www.britanni[...] 2024-03-18
[7] 웹사이트 https://www.washingt[...] 2024-08
[8] 서적 Japan's Decision to Surrender Stanford University Press 1954
[9] 서적 Downfall: The End of the Imperial Japanese Empire Penguin 2001
[10] 서적 Hiroshima in History: The Myths of Revisionism University of Missouri Press 2007
[11] 웹사이트 Tsuyoshi Hasegawa http://www.history.u[...] 2015-09-24
[12] 웹인용 战史今日:8月9日苏联红军出兵中国东北 http://news.ifeng.co[...] 凤凰网>信息>军事>正文 2008-08-10
[13] 웹인용 重整河山二十天 http://www.vistastor[...] 看天下 2016-07-20
[14] 문서 蘇軍暴行調查表 中華民國外交部西亞司
[15] 문서 蘇軍駐金縣狀況
[16] 웹사이트 https://www.marxist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