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쇠가마우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쇠가마우지는 몸길이 63~73cm의 가마우지과 조류로, 북태평양 해안과 연안에 서식한다. 검은색 깃털과 가늘고 긴 부리를 가지며, 여름에는 눈 주위 붉은 피부와 볏 모양의 깃털이 특징이다. 어류와 갑각류를 먹고 바위 해안에서 번식하며, 2~5개의 알을 낳는다. 쇠가마우지는 멸종위기종으로 등재되어 보호받고 있으며, 유류 유출, 어업과의 경쟁, 환경 오염 등으로 개체수가 감소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가마우지과 - 갈라파고스가마우지
    갈라파고스가마우지는 갈라파고스 제도의 특정 섬에만 서식하며, 비행 능력이 퇴화되었고, 방수 기능이 없는 깃털과 훔볼트 해류의 해양 생물을 먹이로 삼는 특징을 가진 가마우지과 조류이다.
  • 가마우지과 - 붉은뺨가마우지
    붉은뺨가마우지는 북태평양과 북대서양 해안에 서식하는 가마우지과의 바닷새로, 붉은 뺨과 머리 볏이 특징이며 꼼치과 어류를 주식으로 하고 서식지 훼손 등으로 개체 수가 감소하여 멸종 위기종으로 지정되었다.
  • 1811년 기재된 새 - 참수리
    참수리는 수리과에 속하는 대형 맹금류로, 러시아 동부에서 번식하고 한국, 일본 등지에서 월동하며, 큰 부리와 흰 꼬리, 짙은 갈색 깃털이 특징이고, IUCN Red List에 취약종으로 등재되어 보호가 필요하다.
  • 1811년 기재된 새 - 재두루미
    재두루미는 두루미과에 속하며 회색 몸통과 붉은 얼굴 반점, 흰 목을 지닌 조류로, 습원, 초원 등에서 서식하며 어류, 곤충 등을 먹고 멸종위기종으로 보호받고 있다.
  • 해양생태계의 보전 및 관리에 관한 법률상 보호대상 해양생물 - 물개
    북방털개는 북태평양에 서식하며 성적 이형을 보이는 바다사자과의 해양 포유류로, 과거 남획으로 개체 수가 급감하여 현재는 보호받고 있으며, 어류와 오징어를 주식으로 하고 번식기에는 하렘을 형성한다.
  • 해양생태계의 보전 및 관리에 관한 법률상 보호대상 해양생물 - 고래상어
    고래상어는 세계에서 가장 큰 어류로 플랑크톤 등을 먹으며 열대 및 온대 해역에 널리 분포하지만, 혼획, 선박 충돌, 서식지 파괴, 해양 오염 등으로 개체 수가 감소하여 멸종위기종으로 분류되어 보호받고 있다.
쇠가마우지 - [생물]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분류
학명Urile pelagicus
명명자팔라스, 1811
한국어 이름히메우 (일본어), 쇠가마우지 (한국어)
영어 이름Pelagic Cormorant
히메우속
가마우지과
가다랭이잡이목
아문척추동물아문
척삭동물문
동물계
보전 상태
IUCN Red ListLC (Least Concern, 최소 관심)
평가 기관BirdLife International
평가 년도2019
형태
히메우 (여름깃)
히메우 (여름깃) Urile pelagicus resplendens
번식기 외 성체
번식기 외 성체 (아마도 P. p. resplendens)
쇠가마우지 겨울깃
쇠가마우지 겨울깃
분포
분포도
" "
아종

2. 형태

쇠가마우지는 몸길이가 약 63.50cm에서 약 88.90cm이고, 날개 길이는 약 약 1.01m이며, 몸무게는 약 1474.17g에서 약 2438.06g인 작은 가마우지이다. 비번식기 성체는 금속성 무지개빛을 띤 검은색이며, 번식기에는 머리 꼭대기와 목덜미에 두 개의 짧은 볏이 자라고, 흰색 넙적다리와 머리와 목에 흰색 우모가 흩어져 있다. 길고 가느다란 부리와 물갈퀴가 있는 큰 발은 일년 내내 검은색이며, 눈 아래의 어두운 피부는 번식기에 선명한 자홍색으로 변한다.[2] 암컷은 수컷보다 약간 작고, 어린 새는 무지개빛이 없는 짙은 갈색이며 아랫부분은 약간 더 밝은 갈색이다.[2]

붉은얼굴가마우지와 비슷하게 생겼는데, 번식기 성체의 경우 쇠가마우지는 눈 밖으로 맨얼굴 피부가 확장되지 않지만, 붉은얼굴가마우지는 부리 위, 눈 위와 뒤까지 확장된다. 또한 붉은얼굴가마우지는 더 큰 볏을 가지고 있다. 두 의 어린 새와 비번식기 성체는 구별하기 어려울 때가 많지만, 붉은얼굴가마우지의 큰 맨얼굴 "마스크"와 밝은 부리는 쉽게 인식할 수 있다. 붉은얼굴가마우지와 달리, 쇠가마우지는 일반적으로 날아오르기 전에 소리를 낸다.[6] 다른 북태평양 가마우지들은 쇠가마우지보다 더 크고, 더 두꺼운 부리를 가지고 있거나, 번식 깃털에 흰색 넙적다리가 없다.[6]

2. 1. 전체적인 모습

몸길이는 63-73cm이고, 날개 길이는 약 98cm이다. 완전히 성장했을 때 몸무게는 1,474-2,438g이다.[22] 일본에 분포하는 가마우지과 구성종 중 가장 작으며, 전신이 청색이나 자색 광택이 있는 검은색 깃털로 덮여 있다. 암컷과 수컷의 깃털 색깔은 동일하다.[22] 부리는 가늘고 길며 어두운 색을 띤다. 발은 검은색이다.[22]

2. 2. 세부적인 특징

쇠가마우지는 몸길이가 약 63.50cm에서 약 88.90cm이고, 날개 길이는 약 약 1.01m이며, 완전히 성장했을 때 몸무게는 약 1474.17g에서 약 2438.06g인 작은 가마우지이다. 성체의 비번식 깃털은 금속성 무지개빛을 띤 검은색이다. 번식 깃털을 가질 때는 머리 꼭대기와 목덜미에 두 개의 짧은 볏이 자라며, 흰색 넙적다리와 머리와 목에 흩어진 흰색 우모가 있다.[2] 길고 가느다란 부리와 물갈퀴가 있는 큰 발은 일년 내내 검은색이며, 눈 아래의 어두운 피부는 번식기에 선명한 자홍색으로 변한다.[2]

수컷과 암컷은 외형적으로 차이가 없지만, 암컷이 약간 더 작다. 어린 새는 무지개빛이 없고 짙은 갈색이며, 아랫부분은 약간 더 밝은 갈색을 띤다.[2] 여름 깃털은 눈 주위에 깃털이 없고 붉은 피부가 드러나며, 정수리와 뒤통수의 깃털이 관우(冠羽) 형태로 다소 길어지고, 허리에 흰 반점이 생긴다. 겨울 깃털은 눈 주위가 깃털로 덮이고 관우도 불분명해진다. 어린 새와 어린 새끼는 전신이 갈색이나 짙은 갈색 깃털로 덮여있다.[22]

3. 분포

쇠가마우지는 북태평양 해안과 연안대에 서식한다. 북아메리카에서는 알래스카에서 멕시코의 바하칼리포르니아 반도까지 분포하며, 알류샨 열도베링 해협, 러시아 극동의 축치 반도에서 사할린을 거쳐 캄차카를 지나 일본 규슈까지 분포한다.[2] 아시아의 쇠가마우지는 중국이나 한국에 도달하기도 한다.[2]

3. 1. 전 세계 분포

쇠가마우지는 북태평양의 해안과 연안대에 서식한다. 북아메리카에서는 알래스카에서 멕시코의 바하칼리포르니아 반도까지 분포한다. 또한 알류샨 열도베링 해협의 다른 섬들, 그리고 러시아 극동의 축치 반도에서 사할린을 거쳐 남쪽으로 캄차카까지, 최종적으로 규슈까지 (하지만 일본의 나머지 지역은 제외) 발견된다.[2] 아한대 개체군철새이며, 온대아열대 지역의 새들은 번식 후 지역적으로만 흩어지지만, 아시아의 새들은 중국이나 한국에 도달하기도 한다. 미조(迷鳥)는 하와이 제도에서도 기록되었다.[2]

번식지 주변에서는 연중 서식하는 경우가 많다. 일본에서는 여름철에 남쿠릴 열도, 홋카이도, 혼슈 북부에서 소수가 번식하며, 겨울철이 되면 주로 혼슈 중부 이남, 규슈 이북으로 남하한다.

3. 2. 한국 내 분포

쇠가마우지는 겨울 철새로서, 혼슈 중부 이남, 규슈 이북 지역에서 관찰된다. 과거 남쿠릴 열도, 홋카이도, 혼슈 북부에서 번식한 기록이 있다.[2]

4. 생태

쇠가마우지는 육지에서 가마우지과 특유의 뒤뚱거리는 걸음걸이로 걷는다. 착륙 후에는 땅을 긁는 행동을 보이며, 위협을 느끼면 부리를 들이대고 머리를 흔들며 가르릉거린다.[7]

헤엄을 치고 잠수하여 물속에서 먹이를 쫓으며, 발로 추진하고 날개로 조종한다. 깃털은 꼬리샘 때문에 방수가 아니므로, 먹이를 찾은 후에는 털을 고르고 말린다.[7]

쇠가마우지가 키트삽 반도(워싱턴주)에서 낚시 후 털을 고르는 모습


비행 시에는 목을 똑바로 뻗고 가마우지보다 빠르게 날갯짓하며,[27] 대열을 지어 해상 위를 높이 나는 경우도 있다.[27][28]

4. 1. 서식지

쇠가마우지는 주로 암초 해안에 서식하며, 연안에서 멀리 떨어지지 않는 가마우지과 조류로서는 드물게 외해로 나가는 경우가 있다.[26] 종소명 *pelagicus*는 "외양의"라는 뜻으로, 영명의 pelagic과 동의어이다. 해안 절벽이나 섬에 소규모 집단 번식지(콜로니)를 형성한다. 해안에 있는 절벽 틈새에 마른 풀이나 해초를 조합한 접시 모양의 둥지를 만들고, 5-7월에 한 번에 통상 3개(2-6개)[27]의 알을 낳는다.

4. 2. 식성

쇠가마우지는 동물성 먹이를 먹으며, 잠수하여 주로 어류를 포식하지만 갑각류도 먹는다. 해저에서 먹이를 먹기 위해 약 42.67m까지 잠수할 수 있다. 전형적인 사냥터는 보호된 이며, 특히 번식기 외에는 바다에서 낚시하는 모습도 볼 수 있다. 켈프 군락이나 바위 주변에서 사냥하는 것을 선호한다.

전형적인 먹이는 ''Ammodytes'' 모래 뱀장어, 둑중개, 비늘치 및 ''Sebastes'' (볼락)와 같은 작고, 바닥에 사는 비무리 물고기이다. 물고기 외에도 특히 새우와 같은 작은 갑각류도 자주 먹는다. 혼합 종 먹이 무리에 합류하여 어린 태평양 청어(''Clupea pallasii'') 무리를 쫓는 것이 관찰되었다.[7]

4. 3. 행동

쇠가마우지는 육지에서는 뒤뚱거리는 걸음걸이로 다소 어색하게 걷는다. 착륙 후에는 땅을 긁는 행동을 보이기도 한다. 위협을 느끼면 침입자에게 부리를 들이대고 머리를 흔들며 가르릉거리는 소리를 낸다.[7]

쇠가마우지는 헤엄쳐 다니며 먹이를 찾고, 잠수하여 물속에서 먹이를 쫓는다. 발로 추진하고 날개로 조종하며, 약 42.67m까지 잠수하여 해저에서 먹이를 잡을 수 있다. 주로 보호된 만에서 사냥하지만, 번식기 외에는 바다에서 낚시하는 모습도 볼 수 있다. 켈프 군락이나 바위 주변에서 사냥하는 것을 선호하며, *Ammodytes* 모래 뱀장어, 둑중개, 비늘치, *Sebastes* (볼락)와 같은 작고 바닥에 사는 물고기를 주로 먹는다. 물고기 외에도 새우와 같은 작은 갑각류도 자주 먹으며, 어린 태평양 청어 무리를 쫓기도 한다. 깃털은 방수가 되지 않기 때문에 먹이를 찾은 후에는 안전한 곳으로 돌아와 털을 고르고 깃털을 말린다.[7]

비행 시에는 목을 똑바로 뻗고, 가마우지보다 빠르게 날갯짓한다.[27] 해상 위를 높이 날거나 대열을 지어 비행하는 모습도 관찰된다.[27][28]

4. 4. 번식

쇠가마우지는 바위 해안과 섬에서 번식한다. 큰 집단을 형성하지는 않지만, 작은 무리들이 함께 둥지를 틀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한 지역 내에서 해마다 두세 개의 번식지를 번갈아 사용하기도 한다.[2] 둥지는 절벽 면에 지어지며, 보통 선반, 덜 자주 틈새나 동굴에 지어진다. 둥지는 풀이나 해초와 같은 끈적한 식물로 만들어지며, 새의 배설물로 함께 묶여 있다.[2] 새들은 마음에 드는 둥지를 찾으면 평생 동안 그곳에 충실하게 머무는 경향이 있다. 둥지는 필요에 따라 매 시즌 수리되고 개선되므로 약 1.52m 깊이까지 자랄 수 있다.[2]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루이스오비스포의 둥지에 있는 성체


둥지에 있는 약 한 달 된 새끼와 어미


짝을 찾거나 파트너와 유대감을 형성하려는 수컷은 정교한 구애 행동을 보인다. 여기에는 설골을 사용하여 목주머니를 늘리고 반복적으로 "하품"하는 것이 포함된다. 쇠가마우지의 과시는 또한 목을 아치형으로 만들고, 날개를 접어 올리고, 빠르게 펄럭여 흰색 허벅지 반점을 보여주는 것을 포함한다. 하품을 하는 동안 머리를 뒤로 젖히고 수컷과 암컷이 다른 소리를 낸다. 새가 착륙할 때는 수컷과 암컷이 동일한 소리를 낸다. 그 외에는 과시 행동은 조용히 이루어진다.[8]

산란은 일반적으로 2~5개의 새알을 낳지만, 가장 흔하게는 3~4개의 알을 낳으며, 최대 7개의 알을 낳는 경우도 기록되었다. 포란 기간은 3주[9]에서 한 달이다. 부화 시 새끼는 35g보다 약간 더 나가며 털이 없지만, 곧 검댕색-회색 솜털이 자란다. 정상적인 해에는 전형적인 산란의 모든 새끼가 성공적으로 길러질 수 있지만, 4마리 미만이 이소하는 경우는 드물다. 반면에, 태평양 십년 진동의 불리한 단계에서는 대부분의 쌍이 최대 두 마리의 새끼만 겨우 키울 수 있다. 그들은 생후 2년 만에 성적 성숙에 도달하며, 야생에서 거의 18년의 최고 수명이 기록되었다.[10]

해안 절벽이나 섬에 소규모 집단 번식지(콜로니)를 형성한다. 해안에 있는 절벽 틈새에 마른 풀이나 해초를 조합한 접시 모양의 둥지를 만들고, 5-7월에 한 번에 통상 3개(2-6개)[27]의 알을 낳는다.

5. 분류

쇠가마우지는 전통적으로 펠리칸목(Pelecaniformes)으로 분류되었으나, 최근에는 가마우지목(Phalacrocoraciformes) 또는 슴새목(Suliformes)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쇠가마우지는 한때 ''Phalacrocorax'' 속에 속했으나, 현재는 히메우속(''Urile'')에 속한다.[24] 쇠가마우지 속 분류에 대한 여러 연구와 주장이 있었는데, ''Compsohalieus''라는 속명이 제안되기도 했으나, IOC 등에서는 ''Urile'' 속으로 분류한다.[5]

쇠가마우지는 붉은얼굴가마우지(''U. urile'')와 매우 유사하며, 이 두 종은 여러 가지 행동 양식을 공유한다.[14]

5. 1. 학명

이 종은 이전에는 가마우지속(''Phalacrocorax'')으로 분류되었으나, 유전자 연구 결과에 따라[23] 현재는 히메우속(''Urile'')에 속한다.[5]

''Phalacrocorax''는 고대 그리스어에서 유래된 가마우지의 옛 용어로, 문자 그대로 "대머리 갈까마귀"를 뜻하며, φᾶλακρός|falakrósgrc ("대머리")와 κόραξ|kóraxgrc ("갈까마귀")의 합성어이다.[15] 종명 ''Pelagicus''는 πελᾶγιος|pelágiosgrc ("열린 바다의")에서 유래했다. ''Urile''은 1855년 보나파르트가 붉은얼굴가마우지의 종명으로 만든 용어이다.[4]

5. 2. 아종

일반적으로 두 개의 아종이 인정된다. 이들 사이의 차이는 미미하며, 대체로 베르그만의 법칙에 부합한다.[2]

  • '''팔라스''', 1811 – 북부 바다쇠가마우지. 북서부 태평양에서 남부 알래스카까지 분포한다. 더 큰 아종이다.
  • '''오듀본''', 1838 – 남부 바다쇠가마우지. 브리티시컬럼비아에서 북서부 멕시코까지 분포한다. 더 작은 아종이다.


'''Amchitka cormorant''' 또는 '''Kenyon's shag''' ('''''U. kenyoni''''')는 바다쇠가마우지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정되는 이다. 1950년대 후반 알류샨 열도의 Amchitka섬 Constantine Harbor에서 어망에 걸린 세 개체의 뼈에서 기술되었다. 종명 ''kenyoni''는 1959년 2월 22일에 표본 USNM 431164를 수집한 USFWS 생물학자 칼 W. 케니언을 기리기 위해 붙여졌다. Amchitka의 선사 시대 조개 무덤에서 나온 일부 뼈도 이 분류군에 포함되었다. 최근 몇 년 동안 Amchitka에서 독특한 가마우지가 살아있는 채로 발견된 적이 없었기 때문에, 일부에서는 케니언 샤그가 1960년대에서 1970년대에 멸종되었을 수 있다고 추측했다. (해양 오염 및 남획이 가능한 이유이다.)[18]

그러나 바다쇠가마우지의 더 많은 비교 표본(주로 ''엑손 발데즈'' 원유 유출의 피해를 입은 조류에서 온)에 대한 후속 분석 결과, 뼈는 후자 종의 작은 암컷에 기인할 수 있으며, 그들의 명백한 특징은 원래의 정준 분석이 불충분한 표본으로 인해 왜곡되었기 때문이라고 결론지어졌다. 연구자들은 또한 일반적으로 추정되는 것과는 달리, 알류샨에서 온 바다쇠가마우지가 일반적으로 작은 새라는 것을 발견했다. 이는 매우 큰 서부 알래스카 개체와는 대조적이다. 만약 알류샨 개체군을 별개의 아종으로 간주한다면, ''kenyoni''라는 이름이 적용될 것이다. 그러나 형태학의 차이가 크지 않고 개체 간의 변동이 크기 때문에 아종 지위의 확인에는 DNA 염기 서열 분석이 필요할 것이다.[19]

2003년, USFWS 조사 동안 Agattu Island의 Karab Cove에서 부리가 붉은색으로 보이는 세 마리의 작은 바다쇠가마우지가 발견되었다. 이것이 ''kenyoni''일 수 있지만, 부리 색깔이 추정되는 아종을 구별하는지 또는 단순한 돌연변이에 의한 것인지는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 프린스 윌리엄 사운드 지역의 큰 새들은 이전에 ''U. p. robustus''라고 불렸지만, 오늘날에는 별개의 것으로 간주되지 않는다. 북부 아종에서만 최소 두 개의 인식 가능한 이소성 종 크기 그룹이 있는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20]

6. 보전 상태

쇠가마우지는 개체 수가 많고 넓게 분포되어 있어 IUCN에서 위협받는 종으로 간주하지 않는다. 대부분의 개체군은 접근하기 어려운 베링해 해역에서 발견된다. 쿠릴 열도, 베링해 섬, 알래스카주와 인근 섬(알류샨 열도 포함)에서 약 5만 마리가 번식한다. 북아메리카 태평양 연안에서는 약 2만 5천 마리가 번식하며, 이 중 60%가 캘리포니아주에서 발견된다.[2]

지역 개체군은 유류 유출로 인해 일시적으로 거의 사라질 수 있으며, 자망 어업과의 경쟁, 그물에 걸려 익사하는 현상이 개체수 제한을 초래한다.[2] 극두동물 기생충인 ''Andracantha phalacrocoracis''가 이 가마우지에서 발견되었다.[11]

6. 1. 세계적인 보전 상태

쇠가마우지는 넓게 분포하고 개체 수가 많아 IUCN에 의해 위협받는 종으로 간주되지는 않는다. 쇠가마우지 개체군 대부분은 접근하기 어려운 베링해 지역 해역에서 발견된다. 쿠릴 열도, 베링해 섬, 미국 알래스카주와 그 인근 섬(알류샨 열도 포함)에서 각각 약 5만 마리가 번식한다. 북아메리카 태평양 연안을 따라 약 2만 5천 마리가 번식하며, 이 중 약 60%가 캘리포니아주에서 발견된다.[2]

지역 개체군은 유류 유출로 인해 일시적으로 거의 사라질 수 있으며, 더 큰 규모에서는 자망 어업과의 경쟁과 이러한 그물에 걸려 익사하는 현상이 개체 수 제한을 초래하고 있다.[2] 극두동물 기생충인 ''Andracantha phalacrocoracis''가 이 가마우지에서 발견되었다.[11]

6. 2. 한국 내 보전 상태

한국에서는 멸종 위기 IB(EN) 등급으로 지정되어 있다.[29] 서식지 파괴, 먹이 부족, 환경 오염 등으로 인해 개체 수가 감소하고 있다.

참조

[1] 간행물 Urile pelagicus 2019
[2] 문서 Orta (1992a)
[3] 논문 High flight costs and low dive costs support the biomechanical hypothesis for flightlessness in penguins
[4] 논문 Classification of the cormorants of the world https://www.scienced[...] 2014-10-01
[5] 웹사이트 Taxonomic Updates – IOC World Bird List https://www.worldbir[...] 2021-07-28
[6] 문서 Siegel-Causey (1991), Orta (1992a), Kennedy et al. (1996)
[7] 문서 Orta (1992a,b), Kennedy et al. (1996)
[8] 문서 Kennedy et al. (1996)
[9] 웹사이트 PELAGIC CORMORANT Phalacrocorax pelagicus https://www.fws.gov/[...]
[10] 문서 Orta (1992a), AnAge [2009]
[11] 문서 Monteiro et al. (2003)
[12] 문서 Christidis & Boles (2008)
[13] 문서 Orta (1992a), Siegel-Causey (1988), Kennedy et al. (2000)
[14] 문서 Orta (1992a,b), Kennedy et al. (1996, 2000)
[15] 문서 Dimotiki
[16] 문서 Modern Greek: aliéas (αλιέας)
[17] 문서 Woodhouse (1910)
[18] 문서 Siegel-Causey (1991), Siegel-Causey et al. (1991), Fuller (2000): p.382
[19] 문서 Rohwer et al. (2000)
[20] 문서 Hobson (1997), Rohwer et al. (2000), Byrd & Williams (2004)
[21] 웹사이트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http://www.iucnredli[...]
[22] 서적 Birds of East Asia Princeton University Press
[23] 논문 Martyn Kennedy, Hamish G. Spencer,Classification of the cormorants of the world,Molecular Phylogenetics and Evolution,Volume 79,2014,Pages 249-257,ISSN 1055-7903 https://doi.org/10.1[...]
[24] 문서 Gill F, D Donsker & P Rasmussen (Eds). 2024. IOC World Bird List (v14.2). doi : 10.14344/IOC.ML.14.1.
[25] 서적 The Clements Checklist of Birds of the World Cornell University Press
[26] 서적 三省堂編修所・吉井正 『三省堂 世界鳥名事典』、三省堂、2005年、419頁。ISBN 4-385-15378-7。
[27] 서적 高野伸二 『カラー写真による 日本産鳥類図鑑』、東海大学出版会、1981年、202頁。
[28] 서적 高野伸二 『野鳥識別ハンドブック』改訂版、日本野鳥の会、1983年、47-49頁。
[29] 웹사이트 環境庁 https://www.env.go.j[...]
[30] 간행물 Phalacrocorax pelagicu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