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핵 수용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핵 수용체는 동물에게 특이적으로 나타나며, 세포 내에서 리간드(친유성 물질)의 신호를 전달하는 다기능 단백질이다. 핵 수용체는 분포, 구조, 작용 기전에 따라 여러 유형으로 분류되며,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여 생명체에 다양한 영향을 미친다. 핵 수용체는 작용제, 길항제, 역작용제, 선택적 수용체 조절제 등 다양한 방식으로 작용하며, 다른 단백질과의 상호 작용을 통해 유전자 전사를 조절한다. 핵 수용체는 슈퍼패밀리를 이루며, 다양한 서브패밀리로 분류된다. 핵 수용체 연구는 1900년대 초 호르몬 발견부터 시작되었으며, 현재까지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핵 수용체 - 에스트로겐 수용체
    에스트로겐 수용체는 세포 내에서 에스트로겐과 결합하여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단백질로, ERα와 ERβ의 두 가지 주요 아이소폼이 존재하며, 유방암, 폐경, 비만 등 다양한 질병과 관련되어 선택적 에스트로겐 수용체 조절제의 표적이 되고 비유전체적 신호 전달 경로에도 관여한다.
  • 핵 수용체 - 안드로겐 수용체
    안드로겐 수용체는 안드로겐에 결합하여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스테로이드 호르몬 수용체로서, 남성 성 분화, 사춘기, 골격 유지 등의 생리적 과정과 여성의 기능 조절에 관여하며, 관련 유전자 돌연변이는 유전 질환과 관련되고 전립선암 치료의 표적이 된다.
  • 전사인자 - 에스트로겐 수용체
    에스트로겐 수용체는 세포 내에서 에스트로겐과 결합하여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단백질로, ERα와 ERβ의 두 가지 주요 아이소폼이 존재하며, 유방암, 폐경, 비만 등 다양한 질병과 관련되어 선택적 에스트로겐 수용체 조절제의 표적이 되고 비유전체적 신호 전달 경로에도 관여한다.
  • 전사인자 - 안드로겐 수용체
    안드로겐 수용체는 안드로겐에 결합하여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스테로이드 호르몬 수용체로서, 남성 성 분화, 사춘기, 골격 유지 등의 생리적 과정과 여성의 기능 조절에 관여하며, 관련 유전자 돌연변이는 유전 질환과 관련되고 전립선암 치료의 표적이 된다.
핵 수용체

2. 분포

핵 수용체는 동물에 특이적이며, 원생생물, 조류, 균류, 또는 식물에서는 발견되지 않는다. 게놈 서열이 밝혀진 초기의 동물 계통군 중 해면동물 ''Amphimedon queenslandica''에서 2개, 빗해파리 ''Mnemiopsis leidyi''에서 2개, 판형동물 ''Trichoplax adhaerens''에서 4개, 그리고 자포동물 ''Nematostella vectensis''에서 17개가 보고되었다.

생물핵 수용체 수
선형동물 Caenorhabditis elegans270개
초파리 및 다른 곤충21개[1]
제브라피쉬73개[2]
인간48개
49개
랫트47개


3. 구조

핵 수용체는 대부분 50,000~100,000 달톤 사이의 분자량을 가지는 모듈형 구조를 가진다. 핵 수용체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

도메인설명
A/BN-말단 조절 도메인. 리간드와 무관하게 작동하는 활성화 기능 1(AF-1)을 포함한다.
CDNA 결합 도메인(DBD). 두 개의 아연 핑거를 포함하며, DNA의 특정 서열(호르몬 반응 요소, HRE)에 결합한다.
D힌지 영역. DBD와 LBD를 연결하는 유연한 도메인이다.
E/F리간드 결합 도메인(LBD). 알파 나선 샌드위치 단백질 폴딩 구조를 가지며, 리간드 결합 공간을 포함한다.



DNA 결합 도메인(C)과 리간드 결합 도메인(E)는 구조적으로 안정적인 반면, N-말단(A/B), 힌지 영역(D), C-말단(F) 도메인은 구조적 유연성을 가질 수 있다.[71]

3. 1. A/B 도메인 (N-말단 조절 도메인)

N-말단 조절 도메인(A-B)은 리간드의 존재와 무관하게 작용하는 활성화 기능 1 ('''AF-1''')을 포함한다. AF-1의 전사 활성은 일반적으로 매우 약하지만, E-도메인(아래 참조)의 AF-2와 시너지 효과를 일으켜 유전자 발현을 더 강력하게 상향 조절한다. A-B 도메인은 다양한 핵 수용체 간에 서열이 매우 가변적이다.

3. 2. C 도메인 (DNA 결합 도메인, DBD)


  • C 영역: DNA 결합 도메인(DBD)은 두 개의 아연 핑거를 포함하는 고도로 보존된 도메인으로, 호르몬 반응 요소(HRE)라고 하는 DNA의 특정 서열에 결합한다. 최근, 기생충인 편형동물 핵 수용체에서 새로운 아연 핑거 모티프(CHC2)가 확인되었다.[74]

3. 3. D 도메인 (힌지 영역)

D 도메인(힌지 영역)은 (DBD)와 (LBD)를 연결하는 유연한 영역으로, 표적 펩타이드 서열을 통해 세포 내 이동 및 분포에 영향을 미친다.

3. 4. E/F 도메인 (리간드 결합 도메인, LBD)

리간드 결합 도메인(LBD)은 서열상으로는 어느 정도 보존되며, 다양한 핵 수용체 사이에서 구조적으로 매우 유사하다. LBD의 3차 구조는 3개의 역평행 알파 나선("샌드위치 속")이 한쪽에는 2개의 알파 나선, 다른 쪽에는 3개의 알파 나선("빵")으로 둘러싸인 알파 나선 샌드위치 단백질 폴딩 형태이다. 리간드 결합 공간은 LBD 내부에 있으며, 3개의 역평행 알파 나선 샌드위치 "속" 바로 아래에 위치한다. LBD는 DNA 결합 도메인(C)과 함께 수용체의 이량체화 인터페이스를 형성하며, 공동 활성화 인자 및 공동 억제 인자 단백질과 결합한다. 또한 LBD는 나선 12 (H12)의 구조 변화에 따라 조절되는, 결합된 리간드의 존재 유무에 따라 작용하는 활성화 기능 2 (AF-2)를 포함한다.

3. 5. C-말단 도메인

핵 수용체의 C-말단 도메인은 다양한 핵 수용체 간에 서열이 매우 가변적이다. DNA 결합 (C) 및 리간드 결합 (E) 도메인은 독립적으로 잘 접혀 있고 구조적으로 안정적인 반면, N-말단 (A/B), 힌지 영역 (D) 및 선택적 C-말단 (F) 도메인은 구조적으로 유연성이 있고 무질서할 수 있다.[71]

4. 리간드



핵 수용체에 결합하여 활성화하는 리간드에는 친유성 물질, 예를 들어 내인성 호르몬, 비타민 A비타민 D, 외인성 호르몬 등이 있다. 핵 수용체가 많은 수의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기 때문에, 이 수용체를 활성화하는 리간드는 유기체에 심오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러한 조절 유전자 중 다수는 다양한 질병과 관련이 있으며, 이는 약 13%의 미국 식품의약국(FDA) 승인 약물의 분자 표적이 핵 수용체를 표적으로 하는 이유를 설명한다.

고아 수용체는 알려진(또는 적어도 일반적으로 합의된) 내인성 리간드가 없는 핵 수용체를 말한다. FXR, LXR, PPAR과 같은 일부 핵 수용체는 지방산, 담즙산 및/또는 스테롤과 같은 다수의 대사 중간체에 비교적 낮은 친화력으로 결합한다. 따라서 이러한 수용체는 대사 센서로 기능할 수 있다. CAR 및 PXR과 같은 다른 핵 수용체는 외인성 물질 센서로 기능하는 것으로 보이며, 이러한 외인성 물질을 대사하는 시토크롬 P450 효소의 발현을 상향 조절한다.

4. 1. 오펀 수용체 (Orphan Receptor)

핵 수용체에 결합하는 생체 분자의 예


내인성 리간드가 밝혀지지 않았거나 널리 인정되지 않은 핵 수용체를 오펀(고아) 수용체라고 부른다. FXR, LXR, PPAR 등은 비교적 약하지만 지방산, 담즙산, 콜레스테롤 대사물 등 대사와 관련된 화합물을 리간드로 한다는 것이 최근 연구에서 밝혀졌다. 이들은 지질 센서로서 기능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CAR, PXR은 이물질 센서로 기능하며, 이물질을 대사하는 시토크롬 P450을 유도한다. 이러한 수용체는 Adopted Orphan Receptor로 새롭게 분류되고 있다.

5. 작용 기전

핵 수용체는 리간드의 신호 전달을 담당하는 다기능성 단백질이다. 리간드가 없을 때의 작용 기전과 세포 내 분포에 따라 크게 두 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작은 친유성 물질은 세포막을 통해 확산되어 세포질(I형) 또는 세포핵(II형)에 있는 핵 수용체에 결합한다. 결합하면 수용체의 형태가 변하고, 이는 핵 수용체를 DNA 전사 조절 부위로 유도하여 유전자 발현을 조절한다. 핵 수용체는 동종/이종 이량체로 기능하며,[4] I형의 변형인 III형과 단일체로 DNA에 결합하는 IV형도 있다.

핵 수용체는 다음과 같은 네 가지 기전적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 Type I: 세포질에 위치. 리간드와 결합하면 세포핵으로 이동하여 호르몬 반응 요소(HRE)에 결합.
  • Type II: 세포핵에 위치. 리간드 결합 여부와 관계없이 DNA에 결합하며, 주로 레티노이드 X 수용체(RXR)와 이종 이량체를 이룸.
  • Type III: Type I과 유사하게 동종 이량체로 DNA에 결합하지만, 역방향 반복 HRE 대신 직접 반복에 결합.
  • Type IV: 단량체 또는 이량체로 결합. 수용체의 단일 DNA 결합 도메인만 HRE의 단일 반쪽 부위에 결합.

5. 1. Type I 핵 수용체



세포질 내의 제1형 핵 수용체에 리간드가 결합하면 열 충격 단백질이 분리되고, 단백질 이량체화가 일어나며, 세포질에서 세포핵으로 능동 수송된다. 이후 호르몬 반응 요소(HRE)라고 알려진 특정 DNA 서열에 결합한다. 제1형 핵 수용체는 가변 길이의 DNA로 분리된 두 개의 하프 부위로 구성된 HRE에 결합하며, 두 번째 하프 부위는 첫 번째 부위와 반전된 서열(역 반복)을 갖는다. 제1형 핵 수용체에는 안드로겐 수용체, 에스트로겐 수용체,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수용체, 프로게스테론 수용체와 같은 서브패밀리 3의 구성원이 포함된다.

일부 NR 서브패밀리 2 핵 수용체가 역 반복 HRE 대신 직접 반복에 결합할 수 있다는 점, 그리고 단량체 또는 이량체로 결합하여 수용체의 단일 DNA 결합 도메인만 단일 하프 부위 HRE에 부착되는 핵 수용체도 있다는 점이 언급되었다.

핵 수용체/DNA 복합체는 HRE 아래의 DNA를 전사하여 전령 RNA로 만들고, 궁극적으로 단백질로 전사하는 다른 단백질을 모집하여 세포 기능의 변화를 일으킨다.

5. 2. Type II 핵 수용체

Type II 핵 수용체는 Type I과 달리 리간드 결합 상태와 관계없이 핵 내에 유지되며, RXR과 같은 이종 이량체로 DNA에 결합한다.[4] 리간드가 없는 경우, Type II 핵 수용체는 종종 코억제 단백질과 복합체를 이룬다. 핵 수용체에 리간드가 결합하면 코억제 단백질이 해리되고 코활성제 단백질이 모집된다. RNA 중합 효소를 포함한 추가 단백질이 DNA를 mRNA로 전사하는 NR/DNA 복합체로 모집된다.

Type II 핵 수용체는 주로 서브패밀리 1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레티노산 수용체, 레티노이드 X 수용체 및 갑상선 호르몬 수용체가 있다.

5. 3. Type III 핵 수용체

제3형 핵 수용체(주로 NR 서브패밀리 2)는 제1형 수용체와 마찬가지로 호모다이머(homodimer)로 DNA에 결합한다. 그러나 제3형 핵 수용체는 제1형과 달리 역방향 반복 HRE 대신 직접 반복에 결합한다.

5. 4. Type IV 핵 수용체

IV형 핵 수용체는 단량체 또는 이량체로 결합하지만, 수용체의 단일 DNA 결합 도메인만 단일 반쪽 부위 HRE에 결합한다. IV형 수용체의 예는 대부분의 NR 하위 계열에서 발견된다.

6. 핵 수용체 슈퍼패밀리

핵 수용체는 유전자 배열에 높은 공통성을 가지는 유전자 슈퍼패밀리를 형성한다.[77][78]

48개의 알려진 인간 핵 수용체[17][8]는 염기 서열 상동성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25]

아과(Subfamily)그룹(Group)멤버(Member)
1갑상선 호르몬 수용체 유사내용 참고
2레티노이드 X 수용체-유사내용 참고
3에스트로겐 수용체-유사내용 참고
4신경 성장 인자 IB-유사내용 참고
5스테로이드 생성 인자-유사내용 참고
6생식 세포 핵 인자-유사내용 참고
0기타 (LBD 또는 DBD가 없음)내용 참고


  • 참고:
  • 0A는 패밀리 1-유사 DBD를 가지고 있으며 0B는 고유한 LBD를 가지고 있다.
  • 패밀리 7의 두 번째 DBD는 패밀리 1 DBD와 관련이 있을 것이다.
  • ''Biomphalaria glabrata''의 세 개의 패밀리 1-유사 NR은 LBD와 함께 DBD를 소유한다.[17]

6. 1. 서브패밀리 1: 갑상선 호르몬 수용체형

Subfamily 1영어은 갑상선 호르몬 수용체와 유사한 형태를 띤다.

그룹(Group)멤버(Member)
NRNC 기호약어이름유전자리간드(들)
A갑상선 호르몬 수용체NR1A1TRα갑상선 호르몬 수용체-αTHRA갑상선 호르몬
NR1A2TRβ갑상선 호르몬 수용체-βTHRB
B레티노산 수용체NR1B1RARα레티노산 수용체-αRARA비타민 A 및 관련 화합물
NR1B2RARβ레티노산 수용체-βRARB
NR1B3RARγ레티노산 수용체-γRARG
C페록시솜 증식자 활성 수용체NR1C1PPARα페록시솜 증식자 활성 수용체-αPPARA지방산, 프로스타글란딘
NR1C2PPAR-β/δ페록시솜 증식자 활성 수용체-β/δPPARD
NR1C3PPARγ페록시솜 증식자 활성 수용체-γPPARG
DRev-ErbANR1D1Rev-ErbAαRev-ErbAαNR1D1
NR1D2Rev-ErbAβRev-ErbAβNR1D2
EE78C 유사
(절지동물, 흡충류, 연체동물, 선충류)[17][9]
NR1E1Eip78CEcdysone-유도 단백질 78Chttps://www.uniprot.org/uniprot/P45447 Eip78C
FRAR-관련 고아 수용체NR1F1RORαRAR-관련 고아 수용체-αRORA콜레스테롤, ATRA
NR1F2RORβRAR-관련 고아 수용체-βRORB
NR1F3RORγRAR-관련 고아 수용체-γRORC
GCNR14 유사 (선충류)[17]NR1G1sex-1스테로이드 호르몬 수용체 cnr14[10]https://www.uniprot.org/uniprot/P41830 sex-1
H간 X 수용체-유사NR1H1EcR엑디손 수용체, EcR (절지동물)https://www.uniprot.org/uniprot/P34021 EcR엑디스테로이드
NR1H2LXRβ간 X 수용체-βNR1H2옥시스테롤
NR1H3LXRα간 X 수용체-αNR1H3
NR1H4FXR파네소이드 X 수용체NR1H4
NR1H5[11]FXR-β파네소이드 X 수용체-β
(인간의 유사유전자)
NR1H5P
I비타민 D 수용체-유사NR1I1VDR비타민 D 수용체VDR비타민 D
NR1I2PXR프레그난 X 수용체NR1I2외래성 물질
NR1I3CAR구성적 안드로스탄 수용체NR1I3안드로스탄
JHr96-유사[17]NR1J1Hr96/Daf-12핵 호르몬 수용체 HR96https://www.uniprot.org/uniprot/Q24143 Hr96콜레스테롤/다파크론산[12]
NR1J2
NR1J3
KHr1-유사[17]NR1K1Hr1핵 호르몬 수용체 HR1


6. 2. 서브패밀리 2: 레티노이드 X 수용체형

그룹멤버
NRNC 기호약어이름유전자리간드
A간 세포 핵 인자-4NR2A1HNF4α간 세포 핵 인자-4-α지방산
NR2A2HNF4γ간 세포 핵 인자-4-γ
B레티노이드 X 수용체NR2B1RXRα레티노이드 X 수용체-α레티노이드
NR2B2RXRβ레티노이드 X 수용체-β
NR2B3RXRγ레티노이드 X 수용체-γ
NR2B4USP울트라스피라클 단백질 (절지동물)[https://www.uniprot.org/uniprot/P20153 usp]인지질[29]
C고환 수용체NR2C1TR2고환 수용체 2rowspan="2" |
NR2C2TR4고환 수용체 4
ETLX/PNRNR2E1TLX초파리 tailless 유전자의 상동체rowspan="2" |
NR2E3PNR광수용체 세포-특이적 핵 수용체
FCOUP/EARNR2F1COUP-TFI닭 난백 상류 프로모터 전사 인자 I
NR2F2COUP-TFII닭 난백 상류 프로모터 전사 인자 II레티노산 (약함)[13]
NR2F6EAR-2V-erbA 관련 유전자


6. 3. 서브패밀리 3: 에스트로겐 수용체형

아과(Subfamily)그룹(Group)멤버(Member)
NRNC 기호약어이름유전자리간드(들)
3에스트로겐 수용체-유사A에스트로겐 수용체NR3A1ERα에스트로겐 수용체-α에스트로겐
NR3A2ERβ에스트로겐 수용체-β
B에스트로겐 관련 수용체NR3B1ERRα에스트로겐-관련 수용체-αrowspan="3" |
NR3B2ERRβ에스트로겐-관련 수용체-β
NR3B3ERRγ에스트로겐-관련 수용체-γ
C3-케토스테로이드 수용체NR3C1GR글루코코르티코이드 수용체코르티솔
NR3C2MR무기질 코르티코이드 수용체알도스테론
NR3C3PR프로게스테론 수용체프로게스테론
NR3C4AR안드로겐 수용체테스토스테론
D에스트로겐 수용체-유사
(lophotrochozoa)[14]
NR3D
E에스트로겐 수용체-유사
(자포동물)[15]
NR3E
F에스트로겐 수용체-유사
(판상동물)[15]
NR3F


6. 4. 서브패밀리 4: 신경 성장 인자 IB형

멤버
NRNC 기호이름 (약어, 유전자)
NR4A1신경 성장 인자 IB (NGFIB, )
NR4A2핵 수용체 관련 1 단백질 (NURR1, )
NR4A3뉴런-유래 고아 수용체 1 (NOR1, )


6. 5. 서브패밀리 5: 스테로이드 생성 인자형

아과(Subfamily)그룹(Group)멤버(Member)
NRNC 기호약어이름유전자리간드(들)
5스테로이드 생성
인자-유사
ASF1/LRH1NR5A1SF1스테로이드 생성 인자 1포스파티딜이노시톨
NR5A2LRH-1간 수용체 상동체-1포스파티딜이노시톨
BHr39-유사NR5B1[17]HR39/FTZ-F1핵 호르몬 수용체 후시 타라즈 인자 I 베타[https://www.uniprot.org/uniprot/Q05192 Hr39]


6. 6. 서브패밀리 6: GCNF형

Germ cell nuclear factor|생식 세포 핵 인자영어 (GCNF, NR6A1)는 핵 수용체 슈퍼패밀리의 일원이다.

6. 7. 서브패밀리 0: 기타

아과(Subfamily)그룹(Group)멤버(Member)
NRNC 기호약어이름유전자리간드(들)
0기타 (LBD 또는 DBD가 없음)Aknr/knrl/egon[17] (절지동물)NR0A1KNI접합 갭 단백질 knirps[https://www.uniprot.org/uniprot/P10734 knl]
BDAX/SHPNR0B1DAX1염색체 X의 용량-감수성 성전환, 부신 저형성증 중요 영역, 유전자 1
NR0B2SHP소형 헤테로다이머 파트너



두 개의 0-패밀리 중 0A는 패밀리 1-유사 DBD를 가지고 있으며 0B는 고유한 LBD를 가지고 있다. 패밀리 7의 두 번째 DBD는 패밀리 1 DBD와 관련이 있을 것이다. ''Biomphalaria glabrata''의 세 개의 패밀리 1-유사 NR은 LBD와 함께 DBD를 소유한다.[17]

7. 보조 조절 단백질

핵 수용체는 호르몬 반응 요소에 결합하여 관련된 표적 유전자가 mRNA로 전사되는 것을 촉진하거나 억제하는 여러 다른 단백질(핵심 조절 인자라고 함)을 불러온다.[54] 이러한 핵심 조절 인자의 기능은 다양하며, 크로마틴 리모델링(표적 유전자를 전사에 더 또는 덜 접근하게 함) 또는 다른 핵심 조절 단백질의 결합을 안정화하는 가교 기능을 포함한다. 핵 수용체는 다수의 핵심 조절 단백질에 특이적으로 결합하여 직접적으로, 그리고 간접적으로 신호 전달의 세포 기작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7]

7. 1. 보조 활성인자 (Coactivator)

핵 수용체에 작용제 리간드가 결합하면 수용체의 형태가 변형되어 보조 활성인자 단백질에 우선적으로 결합한다.[7] 이러한 단백질들은 종종 고유한 히스톤 아세틸전이효소(HAT) 활성을 가지며, 이는 DNA에 대한 히스톤의 결합을 약화시켜 유전자 전사를 촉진한다.

7. 2. 보조 억제인자 (Corepressor)

핵 수용체는 호르몬 반응 요소에 결합하여 관련된 표적 유전자가 mRNA로 전사되는 것을 촉진하거나 억제하는 여러 다른 단백질(핵심 조절 인자)을 불러온다.[54] 이러한 핵심 조절 인자의 기능은 다양하며, 크로마틴 리모델링(표적 유전자를 전사에 더 또는 덜 접근하게 함) 또는 다른 핵심 조절 단백질의 결합을 안정화하는 다리 기능을 포함한다. 핵 수용체는 다수의 핵심 조절 단백질에 특이적으로 결합하여 직접적으로, 그리고 간접적으로 신호 전달의 세포 기작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7]

길항 리간드가 핵 수용체에 결합하면 반대로 수용체의 구조가 유도되어 코억제인자 단백질에 우선적으로 결합하게 된다. 이 단백질은 차례로 히스톤 탈아세틸화 효소(HDAC)를 불러와 히스톤과 DNA의 결합을 강화하고, 그 결과 유전자 전사를 억제한다.

8. 작용제와 길항제



핵 수용체 리간드는 관련된 수용체, 리간드의 화학 구조 및 영향을 받는 조직에 따라 작용제, 길항제, 역작용제 등 다양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8. 1. 작용제 (Agonist)



관련된 수용체, 리간드의 화학 구조 및 영향을 받는 조직에 따라 핵 수용체 리간드는 작용에서 길항, 역 작용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핵 수용체에 결합했을 때 내인성 리간드(예: 에스트라디올테스토스테론과 같은 호르몬)의 활성은 일반적으로 유전자 발현을 상향 조절하는 것이다. 리간드에 의한 이러한 유전자 발현의 자극을 작용제 반응이라고 한다. 내인성 호르몬의 작용 효과는 특정 합성 리간드, 예를 들어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수용체 항염증제 덱사메타손에 의해서도 모방될 수 있다. 작용제 리간드는 공동 활성 인자 결합을 선호하는 수용체의 컨포메이션을 유도함으로써 작용한다(오른쪽 그림의 윗부분 참조).

8. 2. 길항제 (Antagonist)

핵 수용체 리간드는 관련된 수용체, 리간드의 화학 구조, 그리고 영향을 받는 조직에 따라 작용에서 길항, 역 작용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다른 합성 핵 수용체 리간드는 내인성 리간드가 없을 때는 유전자 전사에 뚜렷한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핵 수용체의 동일한 결합 부위에 경쟁적으로 결합하여 작용제의 효과를 차단한다. 이러한 리간드를 길항제라고 한다. 길항성 핵 수용체 약물의 예로는 미페프리스톤이 있으며, 이는 글루코코르티코이드 및 프로게스테론 수용체에 결합하여 내인성 호르몬인 코르티솔과 프로게스테론의 활성을 각각 차단한다. 길항 리간드는 수용체의 형태를 유도하여 보조 활성 인자의 결합을 막고 보조 억제 인자의 결합을 촉진함으로써 작용한다.

8. 3. 역작용제 (Inverse agonist)



일부 핵 수용체는 작용제 부재 시에도 낮은 수준의 유전자 전사를 촉진하는데, 이를 기저 활성 또는 구성적 활성이라고 한다. 핵 수용체의 이러한 기저 활성 수준을 감소시키는 합성 리간드를 역작용제라고 한다.

8. 4. 선택적 수용체 조절제 (Selective Receptor Modulator, SRM)



관련된 수용체, 리간드의 화학 구조 및 영향을 받는 조직에 따라 핵 수용체 리간드는 작용에서 길항, 역 작용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핵 수용체를 통해 작용하는 많은 약물은 일부 조직에서는 작용제 반응을 보이고 다른 조직에서는 길항제 반응을 보인다. 이러한 행동은 약물의 바람직한 치료 효과를 유지하면서 원치 않는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상당한 이점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혼합된 작용제/길항제 작용 프로파일을 가진 약물을 선택적 수용체 조절제(Selective Receptor Modulator, SRM)라고 한다. 예시로는 SARM, SERM 및 SPRM가 있다. SRM의 작용 기전은 리간드와 관련된 수용체의 화학 구조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많은 SRM이 작용과 길항 사이에서 균형을 이루는 수용체의 형태를 촉진함으로써 작용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공동활성인자 단백질의 농도가 공동억제인자보다 높은 조직에서는 평형이 작용제 방향으로 이동한다. 반대로 공동억제인자가 우세한 조직에서는 리간드가 길항제처럼 작용한다.

9. 기타 작용 기전

핵 수용체가 유전자 조절에 미치는 고전적인 효과는 핵 수용체 활성화와 단백질 발현 수준 변화 사이에 많은 중간 단계가 있기 때문에 세포에서 기능적 효과가 나타나기까지 몇 시간이 걸린다. 그러나 이온 채널 활성 변화와 같이 핵 호르몬 적용 후 몇 분 이내에 나타나는 효과들이 관찰되었는데, 이는 핵 수용체 작용의 고전적인 메커니즘과는 맞지 않는다. 이러한 핵 수용체의 비유전체적 효과에 대한 분자 표적이 확실하게 밝혀지지는 않았지만, 세포질이나 핵 대신 세포막에 결합된 핵 수용체의 변종이 존재하며, 이들이 유전자 조절과 관련 없는 대체 신호 전달 메커니즘을 통해 기능한다는 가설이 제기되었다.

핵 호르몬에 대해 여러 막 결합 수용체가 존재한다는 가설이 제기되었지만, 많은 빠른 효과는 정형 핵 수용체를 필요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48][68]

핵 갑상선 호르몬 수용체인 TRβ를 통한 비유전체적 신호 전달에 대한 분자 메커니즘은 포스파티딜이노시톨 3-키나아제(PI3K)를 포함한다.[67] 이 신호 전달은 직접적인 유전자 조절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TRβ에서 단일 티로신페닐알라닌으로 치환함으로써 차단될 수 있다.[53] TRβ에서 이러한 단일 아미노산 치환을 갖는 생쥐를 만들었을 때,[53] 시냅스 성숙과 해마의 가소성은 갑상선 호르몬 합성을 완전히 차단하는 것만큼 효과적으로 손상되었다. 이 메커니즘은 모든 포유류에서 보존되는 것으로 보이지만, TRα나 다른 핵 수용체에서는 보존되지 않는다. 따라서 TRβ의 PI3K와 인산화 티로신 의존적 연관은 갑상선 호르몬과 수용체 티로신 키나아제에 의한 발달 및 대사 조절을 통합하는 잠재적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또한, PI3K를 통한 갑상선 호르몬 신호 전달은 유전자 발현을 변경할 수 있다.[55]

9. 1. 전사 억제 (Transrepression)

핵 수용체의 가장 일반적인 작용 방식은 DNA 호르몬 반응 요소에 직접 결합하는 전사 활성이다. 그러나 일부 핵 수용체는 DNA에 직접 결합하는 대신 다른 전사 인자에 결합하여 전사 억제를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핵 수용체의 예로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수용체(GR)가 있다. 또한, 선택적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수용체 효능제(SEGRA)는 GR이 전사 활성보다 전사 억제를 더 강력하게 하도록 활성화하여, 항염증 효과는 유지하면서 원치 않는 대사 부작용은 줄일 수 있다.

9. 2. 비유전체적 작용 (Non-genomic action)

핵 수용체가 유전자 조절에 미치는 고전적인 효과는 핵 수용체 활성화와 단백질 발현 수준 변화 사이에 많은 중간 단계가 있기 때문에 세포에서 기능적 효과가 나타나기까지 몇 시간이 걸린다. 그러나 이온 채널 활성 변화와 같이 핵 호르몬 적용 후 몇 분 이내에 나타나는 효과들이 관찰되었는데, 이는 핵 수용체 작용의 고전적인 메커니즘과는 맞지 않는다. 이러한 핵 수용체의 비유전체적 효과에 대한 분자 표적이 확실하게 밝혀지지는 않았지만, 세포질이나 핵 대신 세포막에 결합된 핵 수용체의 변종이 존재하며, 이들이 유전자 조절과 관련 없는 대체 신호 전달 메커니즘을 통해 기능한다는 가설이 제기되었다.

핵 호르몬에 대해 여러 막 결합 수용체가 존재한다는 가설이 제기되었지만, 많은 빠른 효과는 정형 핵 수용체를 필요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48][68] 그러나 수용체의 유전자 발현에 대한 직접적인 영향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수용체의 돌연변이를 통해 차단할 수 있는 비유전체적 효과에 대한 특정 분자 메커니즘이 없었기 때문에, 생체 내에서 유전체적 메커니즘과 비유전체적 메커니즘의 상대적 중요성을 테스트하는 것은 불가능했다.

핵 갑상선 호르몬 수용체인 TRβ를 통한 비유전체적 신호 전달에 대한 분자 메커니즘은 포스파티딜이노시톨 3-키나아제(PI3K)를 포함한다.[67] 이 신호 전달은 직접적인 유전자 조절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TRβ에서 단일 티로신페닐알라닌으로 치환함으로써 차단될 수 있다.[53] TRβ에서 이러한 단일 아미노산 치환을 갖는 생쥐를 만들었을 때,[53] 시냅스 성숙과 해마의 가소성은 갑상선 호르몬 합성을 완전히 차단하는 것만큼 효과적으로 손상되었다. 이 메커니즘은 모든 포유류에서 보존되는 것으로 보이지만, TRα나 다른 핵 수용체에서는 보존되지 않는다. 따라서 TRβ의 PI3K와 인산화 티로신 의존적 연관은 갑상선 호르몬과 수용체 티로신 키나아제에 의한 발달 및 대사 조절을 통합하는 잠재적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또한, PI3K를 통한 갑상선 호르몬 신호 전달은 유전자 발현을 변경할 수 있다.[55]

10. 진화

핵 수용체의 조상에 대한 논쟁은 리간드 결합 수용체인지 아니면 고아 수용체인지에 대한 것이었다. 이 논쟁은 25년 이상 전, 처음으로 포유류 스테로이드와 갑상선 호르몬이 리간드로 확인되면서 시작되었다.[22] 얼마 지나지 않아 초파리에서 엑디손 수용체가 확인되면서 핵 수용체가 나노몰 농도에서 리간드와 결합하는 호르몬 수용체라는 개념이 제시되었다. 당시 알려진 세 가지 핵 수용체 리간드는 스테로이드, 레티노이드, 갑상선 호르몬이었고, 이 중 스테로이드와 레티노이드는 모두 테르페노이드 대사의 산물이었다. 따라서 조상 수용체는 테르페노이드 분자에 의해 리간드화되었을 것이라고 추정되었다.[23]

1992년, 모든 알려진 핵 수용체의 DNA 결합 도메인을 비교하여 모든 핵 수용체가 공통 조상을 공유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핵 수용체의 계통수가 만들어졌다.[24] 이에 따라 첫 번째 핵 수용체의 상태를 밝히려는 노력이 증가했으며, 1997년에는 조상 핵 수용체가 고아 수용체였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리간드 결합 능력을 획득했다는 가설이 제시되었다.[25] 이 가설은 다음과 같은 이유로 제안되었다.

# 초기 다세포 동물(자포동물과 ''Schistosoma'')에서 확인된 핵 수용체 서열은 모두 COUP-TF, RXR 및 FTZ-F1 수용체 그룹의 구성원이었다. COUP-TF와 FTZ-F1은 모두 고아 수용체이며, RXR은 척추동물에서만 리간드와 결합한다.[26]

# 고아 수용체는 알려진 절지동물 상동체가 있는 반면, 리간드 결합 척추동물 수용체의 정형(ortholog)은 척추동물 외부에서 확인되지 않아 고아 수용체가 리간드 결합 수용체보다 오래되었음을 시사한다.[27]

# 고아 수용체는 핵 수용체의 6개 하위 패밀리 모두에서 발견되는 반면, 리간드 의존적 수용체는 3개 하위 패밀리에서 발견된다.[25]

# 핵 수용체의 계통 발생 위치는 DNA 결합 도메인 및 이합체화 능력과 상관관계가 있지만, 리간드 의존적 핵 수용체와 리간드의 화학적 특성 사이에는 확인된 관계가 없다. 리간드 의존적 수용체 간의 진화적 관계는 하위 패밀리의 관련 수용체가 다른 생합성 경로에서 유래된 리간드와 결합했기 때문에(예: TR과 RAR) 의미가 없었다. 반면, 진화적으로 관련이 없는 하위 패밀리는 유사한 리간드와 결합한다(RAR과 RXR은 각각 all-trans 및 9-cis 레티노산을 모두 결합한다).[27]

# 1997년, 핵 수용체가 정적인 off 및 on 형태가 아니라 리간드가 두 상태 사이의 평형을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핵 수용체는 인산화 또는 기타 번역 후 변형을 통해 리간드 독립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조상 고아 수용체가 리간드 독립적인 방식으로 조절되는 메커니즘을 제공하고, 리간드 결합 도메인이 보존된 이유를 설명했다.[27]

이후 10년 동안 이 가설을 검증하기 위한 실험이 수행되었고, 반론이 제기되었다.

# 스펀지 동물 ''Amphimedon queenslandica''의 게놈에서 핵 수용체가 확인되었으며, 이는 가장 오래된 다세포 동물 문인 해면동물의 구성원이다. ''A. queenslandica'' 게놈에는 AqNR1과 AqNR2라는 두 개의 핵 수용체가 있으며, 둘 다 리간드와 결합하고 리간드에 의해 조절된다.[28]

# 리간드 의존적 척추동물 수용체의 상동체가 척추동물 외부 연체동물과 편형동물에서 발견되었다. 자포동물에서 발견된 핵 수용체는 포유류에서 구조적 리간드를 갖는 것으로 밝혀져 조상 상황을 반영할 수 있다.

# 두 개의 추정 고아 수용체인 HNF4와 USP가 구조적 및 질량 분석 분석을 통해 각각 지방산과 인지질을 결합하는 것으로 밝혀졌다.[29]

# 핵 수용체와 리간드는 이전에 생각했던 것보다 덜 특이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레티노이드는 RAR 및 RXR과 같은 포유류 수용체뿐만 아니라 PPAR, RORb 또는 COUP-TFII에도 결합할 수 있다. RXR은 레티노이드, 지방산, 인지질을 포함한 광범위한 분자에 민감하다.[30]

# 스테로이드 수용체 진화 연구는 조상 스테로이드 수용체가 리간드인 에스트라디올과 결합할 수 있다는 것을 밝혀냈다. 연체동물에서 발견된 에스트로겐 수용체는 구성적으로 활성화되어 있으며 에스트로겐 관련 호르몬과 결합하지 않았다. 따라서 조상 리간드 의존적 수용체가 리간드와 결합하는 능력을 잃을 수 있는 한 가지 예를 제공했다.[31]

최근 증거와 핵 수용체 리간드 결합 도메인의 물리적 구조에 대한 연구를 통해 새로운 가설이 등장했다. 이 가설은 조상 수용체가 레티노이드, 스테로이드, 헴 및 지방산과 같은 여러 소수성 분자에 약하게나마 결합하는 능력을 가진 지질 센서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제안한다. 다양한 화합물과 상호 작용하는 능력으로, 이 수용체는 중복을 통해 리간드 의존적 활성 능력을 잃거나 특정 분자에 대한 고도로 특화된 수용체로 특화될 것이다.[30]

11. 역사

참조

[1] 논문 The Function and Evolution of Nuclear Receptors in Insect Embryonic Development
[2] 논문 Nuclear receptor research in zebrafish
[3] 논문 Structure of the retinoid X receptor α-liver X receptor β (RXRα-LXRβ) heterodimer on DNA 2014-03
[4] 논문 A protein interaction atlas for the nuclear receptors: properties and quality of a hub-based dimerisation network 2007-07
[5] 논문 Towards a proteome-scale map of the human protein-protein interaction network https://pubmed.ncbi.[...] 2005-10-20
[6] 논문 Automated yeast two-hybrid screening for nuclear receptor-interacting proteins 2005-02
[7] 논문 Sex steroid receptors in skeletal differentiation and epithelial neoplasia: is tissue-specific intervention possible? 2009-06
[8] 논문 International Union of Basic and Clinical Pharmacology CXIII: Nuclear Receptor Superfamily—Update 2023 2023-11
[9] 논문 Dirofilaria immitis encodes Di-nhr-7, a putative orthologue of the Drosophila ecdysone-regulated E78 gene 2002-02
[10] 웹사이트 sex-1 (gene) https://www.wormbase[...]
[11] 논문 Identification of farnesoid X receptor beta as a novel mammalian nuclear receptor sensing lanosterol 2003-02
[12] 웹사이트 FlyBase Gene Report: Dmel\Hr96 http://flybase.org/r[...] 2019-08-14
[13] 논문 Identification of COUP-TFII orphan nuclear receptor as a retinoic acid-activated receptor 2008-09
[14] 논문 Origin of an ancient hormone/receptor couple revealed by resurrection of an ancestral estrogen 2017-03
[15] 논문 NR3E receptors in cnidarians : a new family of steroid receptor relatives extends the possible mechanisms for ligand binding 2018-11
[16] 논문 Updated knowledge and a proposed nomenclature for nuclear receptors with two DNA binding domains (2DBD-NRs) 2023-09
[17] 논문 The nuclear receptors of Biomphalaria glabrata and Lottia gigantea: implications for developing new model organisms 2015-04-07
[18] 논문 Evolution of a novel subfamily of nuclear receptors with members that each contain two DNA binding domains 2007-02
[19] 논문 Evolution of a novel nuclear receptor subfamily with emphasis on the member from the Pacific oyster Crassostrea gigas 2015-08
[20] 웹사이트 nhr-1 (gene) https://www.wormbase[...]
[21] 논문 Adult functions for the Drosophila DHR78 nuclear receptor 2018-02
[22] 논문 The steroid and thyroid hormone receptor superfamily 1988-05
[23] 논문 Diversity and unity in the nuclear hormone receptors: a terpenoid receptor superfamily 1990-01
[24] 논문 Evolution of the nuclear receptor gene superfamily 1992-03
[25] 논문 Evolution of the nuclear receptor superfamily: early diversification from an ancestral orphan receptor 1997-12
[26] 논문 Ligand binding was acquired during evolution of nuclear receptors 1997-06
[27] 논문 Ligand binding and nuclear receptor evolution 2000-08
[28] 논문 Protein evolution by molecular tinkering: diversification of the nuclear receptor superfamily from a ligand-dependent ancestor 2010-10
[29] 논문 Nuclear receptors: the evolution of diversity 2004-01
[30] 논문 Origin and evolution of the ligand-binding ability of nuclear receptors 2011-03
[31] 논문 Resurrecting the ancestral steroid receptor: ancient origin of estrogen signaling 2003-09
[32] 논문 Nuclear hormone receptors and gene expression 2001-07
[33] 논문 International Union of Pharmacology. LXVI. Orphan nuclear receptors 2006-12
[34] 논문 Estrogen receptor-dependent activation of AP-1 via non-genomic signalling 2004-06
[35] 논문 Protein evolution by molecular tinkering: diversification of the nuclear receptor superfamily from a ligand-dependent ancestor 2010-10
[36] 논문 Molecular basis of agonism and antagonism in the oestrogen receptor 1997-10
[37] 논문 Identification of a selective inverse agonist for the orphan nuclear receptor estrogen-related receptor alpha 2004-11
[38] 논문 Structure of the intact PPAR-gamma-RXR- nuclear receptor complex on DNA 2008-11
[39] 논문 Multidomain integration in the structure of the HNF-4α nuclear receptor complex 2013-03
[40] 논문 Evolution and diversification of the nuclear receptor superfamily 1998-05
[41] 논문 The steroid and thyroid hormone receptor superfamily 1988-05
[42] 논문 Alterations in synaptic transmission and plasticity in area CA1 of adult hippocampus following developmental hypothyroidism https://zenodo.org/r[...] 2004-01
[43] 논문 The coregulator exchange in transcriptional functions of nuclear receptors http://genesdev.cshl[...] 2000-01
[44] 논문 Principles for modulation of the nuclear receptor superfamily 2004-11
[45] 논문 Structural basis for hydroxycholesterols as natural ligands of orphan nuclear receptor RORgamma 2010-05
[46] 논문 Binding of type II nuclear receptors and estrogen receptor to full and half-site estrogen response elements in vitro 1997-05
[47] 논문 Estrogen receptor interaction with co-activators and co-repressors 2000-05
[48] 논문 Nongenotropic, sex-nonspecific signaling through the estrogen or androgen receptors: dissociation from transcriptional activity 2001-03
[49] 논문 The structure of the nuclear hormone receptors 1999-05
[50] 논문 Evolution of the nuclear receptor superfamily: early diversification from an ancestral orphan receptor 1997-12
[51] 논문 Expression of androgen receptor coregulators in prostate cancer 2004-02
[52] 논문 The nuclear receptor superfamily: the second decade 1995-12
[53] 논문 A rapid cytoplasmic mechanism for PI3 kinase regulation by the nuclear thyroid hormone receptor, TRβ, and genetic evidence for its role in the maturation of mouse hippocampal synapses in vivo 2014-09
[54] 논문 Nuclear receptor coregulators: cellular and molecular biology 1999-06
[55] 논문 Transcriptional regulation by nonclassical action of thyroid hormone 2011-08
[56] 논문 Orphan nuclear receptor modulators
[57] 논문 Nuclear receptors: overview and classification 2004-12
[58] 논문 A unified nomenclature system for the nuclear receptor superfamily 1999-04
[59] 논문 Nuclear receptor minireview series 2001-10
[60] 논문 How many drug targets are there? 2006-12
[61] 논문 Nuclear receptors versus inflammation: mechanisms of transrepression 2006-10
[62] 논문 Nuclear receptors from the ctenophore Mnemiopsis leidyi lack a zinc-finger DNA-binding domain: lineage-specific loss or ancestral condition in the emergence of the nuclear receptor superfamily? 2011-02
[63] 논문 Structure of the progesterone receptor-deoxyribonucleic acid complex: novel interactions required for binding to half-site response elements 2006-12
[64] 논문 The structural basis of estrogen receptor/coactivator recognition and the antagonism of this interaction by tamoxifen 1998-12
[65] 논문 Nuclear receptors in nematodes: themes and variations 2001-04
[66] 논문 Coregulator function: a key to understanding tissue specificity of selective receptor modulators 2004-02
[67] 논문 Rac and Rho mediate opposing hormonal regulation of the ether-a-go-go-related potassium channel 2002-01
[68] 논문 Rapid signaling at the plasma membrane by a nuclear receptor for thyroid hormone 2006-03
[69] 논문 One hundred years of hormones 2005-06
[70] 논문 Activation functions 1 and 2 of nuclear receptors: molecular strategies for transcriptional activation 2003-10
[71] 논문 Nuclear-receptor ligands and ligand-binding domains
[72] 논문 Genomic analysis of the nuclear receptor family: new insights into structure, regulation, and evolution from the rat genome 2004-04
[73] 논문 Membrane estrogen receptor-alpha levels in MCF-7 breast cancer cells predict cAMP and proliferation responses
[74] 논문 Identification and evolution of nuclear receptors in Platyhelminths
[75] 논문 Genomic analysis of the nuclear receptor family: new insights into structure, regulation, and evolution from the rat genome 2004
[76] 논문 Activation functions 1 and 2 of nuclear receptors: molecular strategies for transcriptional activation 2003
[77] 논문 A unified nomenclature system for the nuclear receptor superfamily 1999
[78] 논문 Evolution of the nuclear receptor superfamily: early diversification from an ancestral orphan receptor 199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