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수제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수제비는 밀가루 반죽을 얇게 떼어 끓인 한국의 음식이다. 고려 시대부터 밀가루로 만든 음식을 먹었으며, 조선 중기에 '수(手)'와 '접'이 합쳐져 '수접이'로 불린 데서 유래했다. 조선 시대에는 잔치 음식이었으나 현재는 서민적인 음식으로 여겨진다. 북한에서는 '밀가루뜨더국'이라고 부르며, 대한민국에서는 지역에 따라 '뜨데기', '떠넌죽'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린다. 칼국수와 유사한 조리법을 가지며, 멸치, 조개, 다시마 등으로 국물을 낸다. "칼국수를 잘 만들면서, 수제비를 못 만든다고?"라는 속담이 있을 정도로 수제비는 비교적 쉽게 만들 수 있는 음식으로 여겨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덤플링 - 춘권
    중국에서 유래한 춘권은 얇은 반죽에 채소나 고기 등을 넣어 튀기거나 굽는 음식으로, 봄철 명절 음식으로 유명하며, 지역에 따라 다양한 이름과 재료, 조리법으로 세계 각지에서 즐겨 먹는다.
  • 덤플링 - 힌칼리
    힌칼리는 조지아의 대표적인 만두 요리로, 육즙이 풍부한 고기소와 쫄깃한 반죽이 특징이며, 다양한 재료와 지역별 레시피로 변형되어 발전해 왔고, 손으로 먹는 독특한 식사 예절로 유명하다.
  • 파스타 - 스트란고치
  • 파스타 - 마카로니
    듀럼밀로 만든 튜브 형태의 파스타인 마카로니는 고대 그리스어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높으며, 다양한 종류와 형태로 전 세계에서 활용되고 특히 마카로니 앤 치즈나 마카로니 샐러드 등으로 즐겨 먹는다.
  • 한국 요리 - 호박죽
    호박죽은 늙은 호박이나 단호박을 삶아 으깬 후 찹쌀가루 등을 넣어 끓여 만든 한국 전통 음식이다.
  • 한국 요리 - 애호박
    애호박은 한국 요리에서 볶음, 전, 찌개 등 다양한 요리에 활용되는 채소이며, 말린 형태인 호박고지는 볶음이나 나물로 조리되고 궁중 요리에도 사용된다.
수제비 - [음식]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수제비 / 뜨더국
다른 이름손으로 뜯은 반죽 수프
국가한국
요리 정보
제공 방식따뜻하게 또는 뜨겁게
재료
주재료밀가루, 멸치
부재료단호박
영양 정보
1인분100g
기타
비슷한 음식국수
난이도쉬움

2. 기원

밀가루로 만드는 수제비와 국수는 고려 시대부터 먹기 시작했으나, 수제비라는 단어 자체는 조선 중기에 만들어졌다. 손을 뜻하는 한자 수(手)와 접는다는 의미의 '접'이 합쳐져서 '수접이'라 부른 데서 나왔다.[6]

조선 시대 이래 한국인은 다양한 목적에서 다양한 형태의 수제비를 만들어 먹기 시작했다. 현재는 평범하고 서민적인 음식으로 간주되나, 과거에는 그리 흔히 먹을 수 없어 잔치 때 먹는 특별한 음식으로 취급되기도 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수제비 대신 밀가루뜨더국|밀가루뜨더국한국어이라는 표현을 사용한다. 이는 '밀가루를 뜯어 만든 국'이라는 데서 나온 말이다.[7]

대한민국에서도 수제비를 가리키는 이름은 지역에 따라 큰 차이가 있다.[2]

지역 또는 도시 이름이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밀가루뜨더국|밀가루뜨더국한국어[3]
경기도강원도뜨데기|뜨데기한국어 또는 뜨덕국|뜨덕국한국어
전라남도떠넌죽|떠넌죽한국어 또는 띠연죽|띠연죽한국어
경상남도수지비|수지비한국어, 밀제비|밀제비한국어, 또는 밀까리장국|밀까리장국한국어
전라남도 여수시와 경상북도 봉화군다부렁죽|다부렁죽한국어 또는 벙으래기|벙으래기한국어


3. 역사

밀가루로 만드는 수제비와 국수는 고려 시대부터 먹기 시작했으나, '수제비'라는 단어 자체는 조선 중기에 만들어졌다. '수제비'는 손을 뜻하는 한자 '수(手)'와 접는다는 의미의 '접'이 합쳐져 '수접이'라 부른 데서 유래했다.

조선 시대부터 한국인은 다양한 목적을 위해 다양한 형태의 수제비를 만들기 시작했다. 오늘날에는 평범하고 서민적인 음식으로 여겨지지만, 과거에는 흔히 먹을 수 없어 돌잔치와 같은 잔치 때 먹는 특별한 음식으로 취급되기도 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수제비 대신 '밀가루뜨더국'이라는 표현을 사용하는데, 이는 '밀가루를 뜯어 만든 국'이라는 뜻이다.

과거 한반도에서는 녹두전이나 수제비는 비 오는 날에 만들어 먹는 요리였다. 비 오는 날은 길이 험해 장을 보러 가기 어렵고, 시장이 열리지 않기 때문에 집에 항상 비치되어 있는 밀가루로 요리를 해 먹었다는 의미가 있다.

3. 1. 지역별 명칭

대한민국에서는 지역에 따라 수제비를 부르는 이름이 다양하다.[6]

지역 또는 도시 이름이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밀가루뜨더국[7]
경기도강원도뜨데기 또는 뜨덕국
전라남도떠넌죽 또는 띠연죽
경상남도수지비, 밀제비, 또는 밀까리장국
전라남도 여수시경상북도 봉화군다부렁죽 또는 벙으래기


4. 특징

맛이나 조리법은 칼국수와 비슷하지만, 칼국수는 면인 반면, 수제비는 일본의 수이톤처럼 밀가루 반죽을 얇게 떼어 넣은 형태이다[4]。 국물은 일반적으로 말린 멸치, 조개, 다시마로 만들어지며, 감칠맛을 내기 위해 몇 시간 동안 끓인다.

5. 속담

칼국수보다 수제비 조리가 쉽기 때문에, "어려운 일을 쉽게 하는 사람이 쉬운 일을 못할 리 없다"는 뜻으로, "칼국수를 잘 만들면서, 수제비를 못 만든다고?"라는 속담이 있다.[5]

6. 갤러리

감자옹심이


재첩수제비


김치 수제비

참조

[1] 웹사이트 주요 한식명(200개) 로마자 표기 및 번역(영, 중, 일) 표준안 http://www.korean.go[...]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2014-07-30
[1] 보도자료 주요 한식명 로마자 표기 및 표준 번역 확정안 공지 http://www.korean.go[...] 2014-05-02
[2] 웹사이트 수제비의 사투리, 다부렁죽과 떠넌죽 그리고 벙으래기 http://www.ohmynews.[...]
[3] 웹사이트 육수가 개운한 수제비 http://www.eket.co.k[...]
[4] 웹사이트 スジェビ(수제비)のレシピ - 懐かしい母の味「韓国のすいとん」の作り方 https://kankoku-ryou[...] 韓国料理店に負けない韓国家庭料理レシピ「眞味」 2020-08-12
[5] 서적 한국전통문화사전 교육출판 2006
[6] 뉴스 수제비의 사투리, 다부렁죽과 떠넌죽 그리고 벙으래기 http://www.ohmynews.[...] 오마이뉴스 2008-07-06
[7] 웹사이트 육수가 개운한 수제비 http://www.eket.co.k[...]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