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순명효황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순명효황후는 대한제국의 황태자비이자 순종의 황후로, 1872년에 태어나 1904년에 사망했다. 1882년 11세의 나이로 순종과 혼인하여 세자빈이 되었으며, 1897년 대한제국 성립 후 황태자비로 책봉되었다. 을미사변 당시 명성황후를 보호하려다 충격을 받아 우울증에 시달렸고, 33세의 젊은 나이에 사망했다. 처음에는 유강원에 안장되었고, 순종 즉위 후 황후로 추존되어 유릉에 합장되었다. 서울 어린이대공원은 순명효황후의 묘역이었던 유강원에 조성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황태자비 - 이방자
    이방자는 일본 왕족 출신으로 대한제국 마지막 황태자비가 되어 이은과 결혼 후 한국으로 귀국하여 장애인 복지 사업에 헌신하였으며 사후 국민훈장 무궁화장이 추서되었다.
  • 대한제국의 황후 - 순정효황후
    순정효황후는 대한제국 마지막 황제 순종의 황후로, 황태자비 책봉 후 순종 즉위와 함께 황후가 되었으나 한일 병합 조약 이후 이왕비로 격하되었고, 순종 사후에는 대비로 불리다 한국 전쟁 중 창덕궁을 지키고 말년에는 불교에 귀의하여 낙선재에서 지내다 심장마비로 사망 후 유릉에 합장되었다.
  • 대한제국의 황후 - 명성황후
    명성황후는 1851년 민치록의 딸로 태어나 고종의 왕비가 되었으며, 개화 정책을 추진하고 외세의 개입을 겪었으며, 을미사변으로 시해된 후 명성태황후로 추존되었다.
  • 조선의 왕세자빈 - 순정효황후
    순정효황후는 대한제국 마지막 황제 순종의 황후로, 황태자비 책봉 후 순종 즉위와 함께 황후가 되었으나 한일 병합 조약 이후 이왕비로 격하되었고, 순종 사후에는 대비로 불리다 한국 전쟁 중 창덕궁을 지키고 말년에는 불교에 귀의하여 낙선재에서 지내다 심장마비로 사망 후 유릉에 합장되었다.
  • 조선의 왕세자빈 - 현덕왕후
    현덕왕후 권씨는 문종의 후궁이자 단종의 어머니로, 왕세자빈으로 책봉되었으나 단종을 낳고 산후병으로 사망 후 왕후로 추존, 세조 즉위 후 폐위되었다가 중종 때 복위되어 명예를 회복한 인물이다.
순명효황후
기본 정보
칭호대한제국 황후 (추존)
휘호경현성휘(敬顯成徽)
시호순명(純明)
전호의효전(懿孝殿)
본관여흥 민씨
출생일1872년 11월 8일
출생지조선 한성부 양덕방 계동 사저
사망일1904년 10월 23일
사망지대한제국 한성부 경운궁 강태실
능묘유릉(裕陵)
능묘 위치경기도 남양주시 홍유릉로 352-1
재위
세자빈1882년 4월 6일 ~ 1897년 10월 14일
황태자비1897년 10월 14일 ~ 1904년 11월 5일
가족 관계
배우자순종
아버지여은부원군 민태호
어머니진양부부인 진천 송씨
자녀없음
계승
세자빈 이전세자빈 조씨
황태자비 이후황태자비 윤씨
기타
홍유릉

2. 생애

1872년 양덕방 계동에서 태어나, 1882년 열 살에 순종과 혼례를 올려 세자빈이 되었다. 이 혼례에는 순종의 생모인 명성황후의 의중이 작용했다고 한다. 명성황후 역시 여흥 민씨 출신이었고, 이복 오빠인 민영익이 후사가 없는 왕비의 친정에 양자로 들어간 인연도 있었다. 1897년 대한제국이 성립하고 남편이 황태자가 되면서 황태자비가 되었다.

1904년 경운궁 강태실에서 32세로 사망하였다. 자녀는 없었다. 순종이 즉위하기 전에 사망했기 때문에 생전에 황후가 되지는 못했다. 처음에는 경기도 양주의 용마산 내동에 유강원(裕康園)에 안장되었으나, 1907년 순종이 즉위하자 유릉(裕陵)으로 바뀌었다. 1926년 남양주시 금곡동으로 이장되어 현재는 순종과 함께 묻혀 있다. 시호는 황태자비로 사망했기 때문에 '''순명빈(純明嬪)'''이었으나, 순종 즉위에 따라 황후로 추존되었다.

2. 1. 출생과 가계

1872년 11월 20일 여흥 민씨 가문의 민태호와 진천 송씨 가문의 송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그녀의 가족은 가난했으나, 배다른 형 민영익민승호의 양자가 된 후 형편이 나아졌다. 민승호명성황후의 아버지 민치록의 양자였기에, 그녀의 양숙부는 명성황후의 양오빠가 되어 가족의 번영에 기여했다.[2]

그녀는 민영환, 흥친왕, 고종과 양사촌 관계였으며, 4대조 민진원을 통해 인현왕후의 4대 종손녀였다. 또한 민적을 공통 조상으로 하여 원경왕후와도 먼 친척이었으며, 명성황후와도 먼 친척 관계에 있었다.

2. 2. 세자빈 책봉과 혼란

1882년 4월 6일, 민씨는 열한 살의 나이에 순종 이척과 혼인하여 세자빈이 되었다.[2] 세자빈 민씨로 알려졌으며, 같은 해에 친어머니와 아버지의 세 번째 부인이 사망하였다. 혼인으로 인해 부모는 왕족의 작위를 받았다. 아버지는 여은부원군에, 어머니는 진양부부인 진천 송씨에 봉해졌다. 민씨가 의붓딸이었기 때문에 아버지의 다른 두 부인도 왕족의 작위를 받았다.

1895년 10월 8일, 22세였던 세자빈은 시어머니인 명성황후의 시해 현장을 목격했으며, 황후를 보호하려고 앞에 섰다.[3] 이 사건은 이후 심한 우울증으로 이어져 조기 사망에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3]

1897년 대한제국이 선포되자 황태자비 민씨로 작위가 바뀌었다.

세자빈과 세자는 자녀를 두지 못했다. 이는 남편이 독살 사건으로 인해 불임이 되었을 가능성이 있다.[4][5]

2. 3. 대한제국 황태자비

1882년 11살의 나이로 세자빈으로 책봉되었고, 1897년 대한제국이 선포되자 황태자비가 되었다. 세자빈은 순종과의 사이에 자녀를 두지 못했는데, 이는 순종이 커피 독살 사건으로 인해 불임이 되었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4][5]

1895년에는 을미사변으로 시어머니 명성황후가 시해되는 현장을 목격하였으며, 이후 심한 우울증을 겪었다고 한다.[3]

2. 4. 사망과 추존

1872년 양덕방 계동에서 태어나, 1882년에 11살의 나이로 세자빈으로 책봉되었고, 1897년에는 황태자비로 책봉되었으나, 남편인 순종이 황제로 즉위하기 전인 1904년 11월 5일(음력 9월 28일)에 경운궁의 강태실에서 33살의 나이에 사망하였다.[6]

처음에는 경기도 양주 용마산 내동의 유강원(裕康園)에 안장되었다. 시호는 처음엔 순열비(純烈妃)라 했다가[12] 나중에 순명비(純明妃)로 고쳤다.[13] 1907년 순종의 즉위에 따라 황후로 추봉되어 순명효황후로 올려졌고, 능호도 유릉(裕陵)으로 바꾸었다. 이후 순종이 붕어한 1926년남양주시 금곡동으로 이장되어 합장으로 모셔졌다.[9]

순명효황후는 배가 붓는 병에 걸려 당시 최고의 명의에게 진찰을 받았으나, 배에 악령이 들렸다는 진단을 받고 성문의 문짝을 벗겨 달여 마시게 하였다. 결국, 이러한 비과학적인 치료로 인해 사망하였다.[11]

3. 가족 관계

여흥 민씨증조부민상섭조부민치삼아버지민태호여은부원군, 충문공, 인현왕후 아버지 민유중 5대손친어머니진천 송씨정경부인, 진양부부인계모파평 윤씨정경부인, 파성부부인, 민태호의 첫 번째 부인계모의령 남씨의창부부인, 민태호의 세 번째 부인오빠민영익민승호에게 양자로 입적양동생민영린생부 민술호, 민영익이 양자로 입적하여 민태호의 양자가 됨남동생민영선왕가
전주 이씨친시증조부남연군충정공, 인평대군의 6대손, 진사 증 영의정 이병원의 아들친시증조모여흥 민씨군부인친시조부흥선대원군흥선헌의대원왕친시조모순목대원비여흥 민씨시아버지고종대한제국 태황제시어머니명성황후여흥 민씨부군순종대한제국 효황제, 슬하 자녀 없음


3. 1. 본가 여흥 민씨 (驪興 閔氏)

3. 2. 왕가(王家: 전주 이씨)

4. 대중문화 속 순명효황후

참조

[1] 기타
[2] 뉴스 민영익 등 보빙사 큰절로 禮 갖춰 https://www.joongang[...] 2009-05-16
[3] 웹사이트 A Complete Guide to All 27 Joseon Kings https://www.pinpoint[...] Pinpoint Korea 2022-04-20
[4] 뉴스 Did you know that ...(22) The coffee plot https://www.koreatim[...] 2011-09-09
[5] 뉴스 September 11, coffee and Russia in 19th century Korea (part 1) https://www.koreatim[...] 2018-09-08
[6] 뉴스 '사라진 대한제국' 두 황제, 망국의 한 품고 이곳에 잠들다 [유병갑의 조선왕릉 산책(29)] http://www.hapt.co.k[...] 2021-12-27
[7] 웹사이트 황태자비의 시호를, 순명으로 고치다 https://sillok.histo[...] 1904-11-22
[8] 웹사이트 Sports & Leisure http://english.seoul[...]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null
[9] 영상미디어 [Arirang TV] Hongneung and Yureung Royal Tombs, UNESCO World Heritage https://www.youtube.[...] Arirang Food & Travel 2021-05-08
[10] 뉴스 Seoul Children's Grand Park, fun for everyone https://world.kbs.co[...] 2011-05-03
[11] 서적 日本の植民地の真実 null 扶桑社 2003-10-31
[12] 웹사이트 http://sillok.histor[...]
[13] 웹사이트 http://sillok.histo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