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그니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슈그니어는 루샤니 방언, 오로쇼르어, 바르탕기어, 쿠피어와 함께 파미르어군의 언어이며, 아프가니스탄과 타지키스탄에서 사용된다. 슈그니어는 다양한 방언을 가지고 있으며, 모음과 자음 체계를 갖추고 있다. 20세기에는 아랍 문자를 사용했으나, 1931년 로마자 표기가 개발되었고, 현재는 키릴 문자를 제한적으로 사용한다. 아프가니스탄에서는 페르시아 문자를 기반으로 한 표기법이 사용되며, 타지키스탄에서는 키릴 문자와 라틴 문자가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파미르 제어 - 사리콜리어
사리콜리어는 중국 신장 위구르 자치구에서 사용되는 언어로, 타지키스탄의 타지크어와는 관련이 적으며, 국제 음성 기호, 라틴 문자, 위구르 문자 등을 사용하여 표기한다. - 동이란어군 - 파슈토어
파슈토어는 아프가니스탄과 파키스탄에서 주로 사용되는 인도유럽어족 이란어파 언어로, 아프가니스탄의 공용어이자 파키스탄 일부 지역의 지방 공용어이며, 다양한 방언과 페르시아-아랍 문자 변형을 사용하고, 파슈툰 민족주의와 국가 정체성 형성에 기여하며 풍부한 문학 전통을 가진다. - 동이란어군 - 사리콜리어
사리콜리어는 중국 신장 위구르 자치구에서 사용되는 언어로, 타지키스탄의 타지크어와는 관련이 적으며, 국제 음성 기호, 라틴 문자, 위구르 문자 등을 사용하여 표기한다. - 타지키스탄의 언어 - 러시아어
러시아어는 동슬라브어군에 속하며 키릴 문자를 사용하고 명사, 형용사, 동사의 복잡한 문법 체계를 가지며, 러시아 등 여러 국가에서 공용어로 사용되고 전 세계적으로 2억 5천만 명 이상이 사용하는 언어이다. - 타지키스탄의 언어 - 우즈베크어
우즈베크어는 우즈베키스탄의 공용어이자 중앙아시아에서 쓰이는 튀르크어족 언어로, 다양한 문자 체계를 사용해 왔으며 차가타이어의 영향을 받아 카를루크 방언을 기반으로 표준화되었고 인접 국가와 이민 사회에서도 사용된다.
슈그니어 | |
---|---|
언어 정보 | |
이름 | 슈그니어 |
다른 이름 | 슈그난어 슈그논어 슈그니어 |
자기 이름 | xuɣ̌nůni ziv / хуг̌ну̊н зив xuɣnůni ziv/хуг̌ну̊ни зив/خُږنوٰنے زِڤ |
사용 국가 | 타지키스탄(고르노바다흐샨 자치주) 아프가니스탄 파키스탄 중국 |
사용자 | 50,000명 (슈그니 고유 방언), 약 75,000명 (모든 방언 합계) |
추정 년도 | 1990년 |
민족 | 슈그니족 |
언어 계통 | 인도유럽어족 인도이란어파 이란어군 동이란어군 슈그니-야즈굴람어군 |
방언 | 슈그니 고유 방언 오로쇼르 방언 |
문자 | 라틴 문자 페르시아 문자 키릴 문자 |
ISO 639-3 | sgh |
Glottolog | shug1248 |
Glottolog 참조 | Shughni |
![]() | |
생존력 | 취약 |
2. 방언
루샤니 방언, 바르탕기어, 오로쇼르어(Roshorvi), 쿠피어 그리고 슈그니어 자체를 방언으로 간주한다. 그러나 바르탕기어와 쿠피어는 상당히 달라 별개의 언어일 수 있다는 견해도 있다.[16]
2. 1. 주요 방언
루샤니 방언Rushani dialect영어, 바르탕기어Bartangi language영어, 오로쇼르어Oroshori language영어(Roshorvi), Khufi language|쿠피어영어 그리고 슈그니어 자체가 방언으로 간주된다. 그러나 바르탕기어와 Khufi language|쿠피어영어는 상당히 다르며 별개의 언어일 수 있다.[16] 바르탕기어, 루샤니 방언, Khufi language|쿠피어영어는 방언이 아니라 별개의 언어로 간주하는 견해도 있다.[16]3. 음운론
슈그니어의 음운 체계는 모음과 자음으로 구성된다.
슈그니어는 10개의 모음을 가지고 있으며, 모음 체계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모음 하위 섹션을 참조하라.
슈그니어의 자음 체계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자음 하위 섹션을 참조하라.
3. 1. 모음
슈그니어의 모음은 다음과 같다.전설모음 | 중설모음 | 후설모음 | ||
---|---|---|---|---|
고모음 | i|/i/sgh | u|/u/sgh | ||
준고모음 | ɪ|/ɪ/sgh | ʊ|/ʊ/sgh | ||
고중모음 | e|/e/sgh | ø|/ø/sgh | (ə|/ə/sgh) | o|/o/sgh |
저중모음 | ɛ|/ɛ/sgh | ɔ|/ɔ/sgh | ||
저모음 | a|/a/sgh~æ|/æ/sgh | ɑ̈|/ɑ̈/sgh (ɑ|/ɑ/sgh) |
장모음은 /iː|iːsgh, eː|eːsgh, oː|oːsgh/로 나타난다.
슈그니어는 10개의 모음을 가지고 있다. 3개의 단모음과 이에 대응하는 3개의 장모음, 그리고 추가적으로 4개의 장모음이 있다. 슈그니 표기법을 편찬하고 표준화하는 과정에서 9개의 모음을 모두 어떻게 표기할 것인가가 논란이 되었다. 이 과정에서 파슈토어와 우르두어에서 문자를 차용하고, 새로운 문자를 만들었으며, [h] 음이 부족하여 '헤' 문자를 자음 음소 기호에서 모음으로 전용했다.[9]
아래 표는 단어 내에서 모음을 어떻게 써야 하는지를 보여준다. 일부 모음은 슈그니 음운론에서 특정 위치에 나타나지 않으며, 일반적으로 문자 표기에서 구별 부호는 생략된다. 또한, 구어체 슈그니어에서는 단모음 사이에 자유 변이가 존재한다.[9]
А а | И и | У у | А̄ а̄ | Ě ě | О о | У̊ у̊ | Е е | Ӣ ӣ | Ӯ ӯ |
---|---|---|---|---|---|---|---|---|---|
A a | I i | U u | Ā ā | Ȇ ȇ | O o | Ů ů | E e | Ī ī | Ū ū |
[a] | [ɛ~ɪ] | [ʊ] | [aː] | [ɛ] | [ɔ] | [ɵ] | [e] | [i] | [uː] |
단어의 처음 위치에 있는 모음 | |||||||||
اَ / ا|/a/sgh | اِ / ا|/ɛ~ɪ/sgh | اُ / ا|/ʊ/sgh | اَهـ|/aː/sgh | اِهـ|/ɛ/sgh | آ|/ɔ/sgh | اۈ|/ɵ/sgh | اېـ|/e/sgh | ایـ|/i/sgh | او|/uː/sgh |
단어의 중간 위치에 있는 모음 | |||||||||
◌َ|/a/sgh | ◌ِ|/ɛ~ɪ/sgh | ◌ُ|/ʊ/sgh | ◌َهـ / ـَهـ|/aː/sgh | ◌ِهـ / ـِهـ|/ɛ/sgh | ا / ـا|/ɔ/sgh | ۈ / ـۈ|/ɵ/sgh | ېـ / ـېـ|/e/sgh | یـ / ـیـ|/i/sgh | و / ـو|/uː/sgh |
단어의 끝 위치에 있는 모음 | |||||||||
ه / ـه|/a/sgh | ے / ـے|/ɛ~ɪ/sgh | و / ـو|/ʊ/sgh | - | - | ا / ـا|/ɔ/sgh | ۈ / ـۈ|/ɵ/sgh | ې / ـې|/e/sgh | ی / ـی|/i/sgh | و / ـو|/uː/sgh |
3. 2. 자음
다음은 슈그니어의 자음들이다.[3]- /r/은 떨림 [r] 또는 탄음 [ɾ]으로 발음될 수 있다.
- 연구개음 /x, ɣ/는 더 앞쪽의 경구개음 [ç, ʝ]으로 발음될 수도 있다.
4. 표기법
슈그니족은 아프가니스탄과 타지키스탄 양국에 거주하며, 지난 100년 동안 각 국가는 서로 다른 문학 전통과 표기법 표준을 가지고 있었다. 국경 양쪽에서 이전에는 문자가 없던 슈그니어의 문학가들은 슈그니어 표기법을 만들 때 기존의 표기법 표준과 관례에 크게 의존했다.
타지키스탄에서는 1928년에 페르시아 문자가 폐지되고 라틴 문자로 대체되었으며, 11년 후인 1939년에는 라틴 문자가 키릴 문자로 대체되었다. 타지크 키릴 문자는 러시아어 표기법을 기반으로 하며, 이웃 우즈베키스탄의 우즈베크어 표기법과도 유사하다. 따라서 타지키스탄에서 개발된 슈그니어 알파벳은 키릴 문자와 라틴 문자이다.
아프가니스탄에서는 페르시아 문자를 사용하는 다리어(아프간 페르시아어)가 공용어이다. 파슈토어 또한 페르시아어에서 파생되었지만, 독자적인 파슈토 문자를 가진 아프가니스탄의 또 다른 공용어이다. 따라서 아프가니스탄 문학자들은 슈그니어 표기법을 페르시아어에서 파생시키고, 필요에 따라 파슈토어에서 문자를 차용하고 있다.
4. 1. 타지키스탄
슈그니족은 아프가니스탄과 타지키스탄 양국에 거주한다. 지난 100년 동안 각국은 서로 다른 문학 전통과 표기법 표준을 가지고 있었다. 국경 양쪽에서 이전에는 문자가 없던 슈그니어의 문학가들은 슈그니어 표기법을 만들 때 기존의 표기법 표준과 관례에 크게 의존했다.타지키스탄에서는 1928년에 페르시아 문자가 폐지되고 라틴 문자로 대체되었으며, 11년 후인 1939년에는 라틴 문자가 키릴 문자로 대체되었다. 타지크 키릴 문자는 러시아어 표기법을 기반으로 하며, 이웃 우즈베키스탄의 우즈베크어 표기법과도 유사하다. 따라서 타지키스탄에서 개발된 슈그니어 알파벳은 키릴 문자와 라틴 문자이다.
4. 1. 1. 라틴 문자 (1931년)
20세기에 쓰여진 아랍 문자로 된 슈그니어 텍스트들이 있었지만, 슈그니어 문자는 1931년에 기본 로마자 표기로 개발되었다. 몇 년 후 알파벳은 개정되어 다음의 형태를 갖추게 되었다.
문자 | A a | B b | C c | Ç ç | Ꞓ, ꞓ | D d | Đ đ | F f |
---|---|---|---|---|---|---|---|---|
문자 | G g | Ƣ ƣ | I i | J j | K k | L l | M m | |
문자 | N n | O o | Ɵ ɵ | P p | Q q | R r | S s | Ş ş |
문자 | T t | Ѣ ѣ | U u | Ū, ū | V v | W w | X x | X̵ x̵ |
문자 | H h | Z z | Ƶ ƶ | З з |
4. 1. 2. 키릴 문자
1931년에 기본 로마자 표기로 슈그니어 문자가 개발되었으나, 몇 년 후 개혁되었다. 1938년까지 교과서, 신문 및 기타 문학 작품이 발행되었다. 그 후 1980년대 말까지 슈그니어는 문자를 갖고 있지 않았다. 현재는 제한적으로 알파벳에 기초하여 키릴 문자가 사용되고 있다.슈그니어 교과서에 나타난 알파벳은 다음과 같다.[17]
А а | Ā ā | Б б | В в | В̌ в̌ | Г г | Ғ ғ | Г̌ г̌ |
---|---|---|---|---|---|---|---|
Ғ̌ ғ̌ | Д д | Д̌ д̌ | Е е | Ё ё | Ж ж | З з | З̌ з̌ |
И и | Ӣ ӣ | Й й | К к | Қ қ | Л л | М м | Н н |
О о | П п | Р р | С с | Т т | Т̌ т̌ | У у | Ӯ ӯ |
У̊ у̊ | Ф ф | Х х | Ҳ ҳ | Х̌ х̌ | Ц ц | Ч ч | Ҷ ҷ |
Ш ш | ъ | Э э |
«Языки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и соседних государств» 책에 나타난 알파벳은 다음과 같다.[18]
А а | Ā ā | Б б | В в | В̌ в̌ | Г г | Ғ ғ | Г̌ г̌ |
---|---|---|---|---|---|---|---|
Д д | Д̌ д̌ | Ē ē | Ê ê | Ж ж | З з | Ҙ ҙ | И и |
Ӣ ӣ | Й й | К к | Қ қ | Л л | М м | Н н | О о |
П п | Р р | С с | Т т | Т̌ т̌ | У у | Ӯ ӯ | У̊ у̊ |
Ф ф | Х х | Ҳ ҳ | Х̌ х̌ | Ц ц | Ч ч | Ҷ ҷ | Ш ш |
ъ | ь |
타지키스탄에서는 1928년에 페르시아 문자가 폐지되고 라틴 문자로 대체되었으며, 11년 후인 1939년에는 라틴 문자가 키릴 문자로 대체되었다. 타지크어를 표기하는 키릴 문자는 러시아어 표기법을 기반으로 하며, 이는 이웃 국가 우즈베키스탄의 우즈베크어 표기법과도 유사하다. 따라서 타지키스탄에서 개발된 슈그니어 표기 문자는 현재 키릴 문자와 라틴 문자이다.
4. 2. 아프가니스탄
슈그니족은 아프가니스탄과 타지키스탄 양국에 거주한다. 지난 100년 동안 각국은 서로 다른 문학 전통과 표기법 표준을 가지고 있었다. 국경 양쪽에서 이전에는 문자가 없던 슈그니어의 문학가들은 슈그니어 표기법을 만들 때 기존의 표기법 표준과 관례에 크게 의존했다.아프가니스탄에서는 페르시아 문자를 사용하는 다리어(아프간 페르시아어)가 공용어이다. 파슈토어 또한 페르시아어에서 파생되었지만, 독자적인 파슈토 문자를 가진 아프가니스탄의 또 다른 공용어이다. 따라서 아프가니스탄 문학자들은 슈그니어 표기법을 페르시아어에서 파생시키고, 필요에 따라 파슈토어에서 문자를 차용하고 있다.
4. 2. 1. 페르시아 문자
슈그니어를 위한 페르시아어 알파벳 편찬은 2004년부터 시작되어 오랜 시간 반복적으로 이루어졌다. 카이르 모하마드 하이다리(Khair Mohammad Haidari)가 슈그니어의 음운론과 철자법에 관한 첫 번째 책을 출판하면서 시작되었다.[4]2011년에는 몬트리올에 본부를 둔 이란 연구 소흐라바르디 재단(Sohravardi Foundation for Iranian Studies)의 누르 알리 도스트(Dr. Nur Ali Dost) 박사의 저서,[5] 마자브 샤 자호리(Mazhab Shah Zahoori)의 편찬물,[6] 알리샤 사바르(Alishah Sabbar)와 캘거리에 거주하는 쿠시 나자르 파르메르자드(Dr. Khush Nazar Parmerzad) 박사의 두 편의 저서가 출판되었다.[7]
이로 인해 슈그니 문학가와 학자들 사이에 논쟁, 서신 교환, 협력이 이어졌으며, 그 후 몇 년 동안 자음 집합과 모음 표기법을 표준화하는 데 합의하였다.[8][9]
아프가니스탄 정부는 슈그니 철자법을 공식적으로 채택하였으며, 교육부는 바다흐샨 주(Badakhshan Province)에서 사용할 교과서를 제작하였다.[10]
페르시아어에서 유래된 44자의 슈그니 알파벳은 다음 표와 같다.[9][11][12]
형태 | IPA | 키릴 문자 | 라틴 문자 | 유니코드 | 참고 | ||||||||||||||||||||||||||||||||||||
---|---|---|---|---|---|---|---|---|---|---|---|---|---|---|---|---|---|---|---|---|---|---|---|---|---|---|---|---|---|---|---|---|---|---|---|---|---|---|---|---|---|
독립형 | 종결형 | 중간형 | 초성형 | ||||||||||||||||||||||||||||||||||||||
{{lang|sgh|آ / ا|} | }
А а | И и | У у | А̄ а̄ | Ě ě | О о | У̊ у̊ | Е е | Ӣ ӣ | Ӯ ӯ |
---|---|---|---|---|---|---|---|---|---|
A a | I i | U u | Ā ā | Ȇ ȇ | O o | Ů ů | E e | Ī ī | Ū ū |
[a] | [ɛ~ɪ] | [ʊ] | [aː] | [ɛ] | [ɔ] | [ɵ] | [e] | [i] | [uː] |
단어의 처음 위치에 있는 모음 | |||||||||
{{lang|sgh|اَ / ا|}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