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리콜리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리콜리어는 중국 신장 위구르 자치구의 타슈쿠르간 타지크 자치현에서 약 35,000명이 사용하는 언어이다. 중국에서는 "타지크어"로 불리지만, 타지키스탄의 타지크어와는 관련이 적다. 사리콜리어는 타슈쿠르간의 옛 지명에서 유래했으며, 공식적인 문자 체계는 없지만, 국제 음성 기호(IPA) 또는 라틴 문자를 기반으로 한 표기법이 사용된다. 최근에는 위구르 문자를 차용한 표기법도 사용되고 있으며, 어휘는 다른 동이란어군 언어와 유사하지만, 고유한 단어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파미르 제어 - 슈그니어
슈그니어는 아프가니스탄과 타지키스탄 접경 지역에서 사용되는 파미르어군에 속하는 언어로, 다른 언어와의 관계에 대한 논쟁이 있으며 아랍, 라틴, 키릴 문자 등을 거쳐 현재는 페르시아 문자 기반으로 표준화 작업이 진행 중이다. - 동이란어군 - 파슈토어
파슈토어는 아프가니스탄과 파키스탄에서 주로 사용되는 인도유럽어족 이란어파 언어로, 아프가니스탄의 공용어이자 파키스탄 일부 지역의 지방 공용어이며, 다양한 방언과 페르시아-아랍 문자 변형을 사용하고, 파슈툰 민족주의와 국가 정체성 형성에 기여하며 풍부한 문학 전통을 가진다. - 동이란어군 - 슈그니어
슈그니어는 아프가니스탄과 타지키스탄 접경 지역에서 사용되는 파미르어군에 속하는 언어로, 다른 언어와의 관계에 대한 논쟁이 있으며 아랍, 라틴, 키릴 문자 등을 거쳐 현재는 페르시아 문자 기반으로 표준화 작업이 진행 중이다. - 타지키스탄의 언어 - 러시아어
러시아어는 동슬라브어군에 속하며 키릴 문자를 사용하고 명사, 형용사, 동사의 복잡한 문법 체계를 가지며, 러시아 등 여러 국가에서 공용어로 사용되고 전 세계적으로 2억 5천만 명 이상이 사용하는 언어이다. - 타지키스탄의 언어 - 우즈베크어
우즈베크어는 우즈베키스탄의 공용어이자 중앙아시아에서 쓰이는 튀르크어족 언어로, 다양한 문자 체계를 사용해 왔으며 차가타이어의 영향을 받아 카를루크 방언을 기반으로 표준화되었고 인접 국가와 이민 사회에서도 사용된다.
사리콜리어 | |
---|---|
기본 정보 | |
이름 | 사리콜리어 |
고유 명칭 | 투지크 지브 / 사리쿨리 지브 (تۇجىك زىۋ / سەرىقۇلى زىۋ) , 토지크 지브 / 사리콜리 지브 (Тоҷик зив / Сариқоли зив) |
국가 | 중국 |
지역 | 파미르산맥 (타슈쿠르간 타지크 자치현) |
민족 | 사리콜리족 |
화자 수 | 16,000명 (2000년) |
언어학적 분류 | |
어족 | 인도유럽어족 |
어파 | 인도이란어파 |
어군 | 이란어군 |
세부 어군 | 동이란어군 |
분파 | 슈그니-야즈굴람어군 |
어계 | 슈그니어 |
문자 체계 | |
문자 | 위구르 아랍 문자 (비공식) |
지리적 분포 | |
![]() | |
언어 코드 | |
ISO 639-3 | srh |
Glottolog | sari1246 |
Lingua | 58-ABD-eb |
언어 활력도 | |
활력도 | 소멸 위기 |
2. 명칭
중국에서는 공식적으로 "타지크어"(塔吉克语|Tǎjíkèyǔ중국어)라고 부른다.[2] 그러나 사리콜리어는 타지크어와는 먼 관계인데, 타지크어는 타지키스탄에서 사용되는 이란어군 동부 방언으로, 타지키스탄과 아프가니스탄의 바다흐샨 지역에서 주로 사용되는 다른 파미르어군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반면, 페르시아어는 서부 이란어군이며 이란, 아프가니스탄, 타지키스탄의 공용어로서 역사적으로 가장 지배적인 이란어였다.[3] 사리콜리어는 또한 타슈쿠르간—사리콜리 왕국의 고대 수도—을 따서 타슈코르가니라고도 불린다.[4]
화자는 약 35,000명이며, 대부분 중국 신장 위구르 자치구 남부 타슈쿠르간 타지크 자치현에 거주한다. 중국 내 사리콜리어 화자들은 일반적으로 해당 지역의 다른 소수 민족과 소통하기 위해 중국어와 위구르어를 사용한다. 나머지는 파키스탄이 관할하는 카슈미르 지역, 특히 북동쪽 파키스탄-중국 국경과 인접한 지역에서 발견된다.
사리콜리어는 공식적인 문자 체계가 없다. 언어학 연구에서는 IPA나 라틴 문자를 기반으로 한 표기법이 사용된다. 가오얼창(Gao Erqiang)은 IPA를 사용하여 사리콜리어 음성을 표기했고,[1] 타티아나 N. 파칼리나(Tatiana N. Pakhalina)는 와키어와 유사한 라틴 문자 기반 표기법을 사용했다.[7][8] 최근에는 중국 내 사리콜리어 화자들 사이에서 위구르 문자를 차용한 표기법이 사용되기도 한다. 대부분의 사리콜리어 사용자들은 위구르어를 교육 매개어로 사용하는 학교에 다닌다.[9]
영어 기록은 1870년대부터 시작되었으며, 일반적으로 이 언어를 "사리콜리어"로 지칭했지만, 그 이후 일부 기록에서는 중국어 발음을 영어로 표기하는 과정에서 "Selekur(i)"라는 다른 발음을 사용하기도 한다.[5]
3. 사용 지역 및 인구
4. 문자 체계
4. 1. 위구르 문자
최근 몇 년 동안, 중국 내 사리콜리어 화자들은 위구르 아랍 문자를 사용하여 사리콜리어를 표기해 왔다.[9]
No. | 문자 | IPA | 라틴 Eq.[1] | No. | 문자 | IPA | 라틴 Eq. |
---|---|---|---|---|---|
1 | ئا | O o | 20 | غ | Gh gh |
2 | ئە | A a | 21 | ݝ | Gc gc |
3 | ب | B b | 22 | ف | F f |
4 | پ | P p | 23 | ڤ | V v |
5 | ت | T t | 24 | ق | Kh kh |
6 | ث | Ss ss | 25 | ك | K k |
7 | ج | J j | 26 | گ | G g |
8 | چ | Q q | 27 | ڭ | Ng ng |
9 | خ | H h | 28 | ل | L l |
10 | ݗ | C c | 29 | م | M m |
11 | څ | Ts ts | 30 | ن | N n |
12 | ځ | Dz dz | 31 | ھ | Hy hy |
13 | د | D d | 32 | ئۇ | U u |
14 | ذ | Zz zz | 33 | ئۈ | Ü ü |
15 | ر | R r | 34 | ۋ | W w |
16 | ز | Z z | 35 | ئې | E e |
17 | ژ | Zy zy | 36 | ئى | I i |
18 | س | S s | 37 | ي | Y y |
19 | ش | X x |
4. 2. 라틴 문자
사리콜리어는 공식적인 문자 체계가 없다. 1958년, 언어학자 가오 얼창은 타지크 언어학자들과 협력하여 사리콜리어를 연구했으며, 언어 표기에 국제 음성 기호의 37개 기호를 사용했다. 1996년 사리콜리어-한 사전에서 가오는 병음을 기반으로 한 26개의 글자와 8개의 이중 자음으로 된 알파벳을 사용했다.[1]대문자 | A | B | C | D | DZ | E | F | G | GC | GH | H | HY | I | J | K | KH | L | M |
---|---|---|---|---|---|---|---|---|---|---|---|---|---|---|---|---|---|---|
소문자 | a | b | c | d | dz | e | f | g | gc | gh | h | hy | i | j | k | kh | l | m |
발음 | ||||||||||||||||||
대문자 | N | O | P | Q | R | S | SS | T | TS | U | Ü | V | W | X | Y | Z | ZY | ZZ |
소문자 | n | o | p | q | r | s | ss | t | ts | u | ü | v | w | x | y | z | zy | zz |
발음 |
5. 음운
사리콜리어의 음운 체계는 모음, 자음, 강세 규칙으로 구성된다.
하위 섹션에서 사리콜리어의 모음과 자음, 강세에 대한 정보를 상세하게 다루고 있으므로, 여기서는 겹치는 내용을 간단하게 요약하여 작성한다.
사리콜리어는 다양한 모음과 29~30개의 자음을 가지고 있으며, 대부분 단어의 마지막 음절에 강세가 온다. 하지만 일부 단어나 특정 문법 형태(명령문, 의문문 등)에서는 첫 음절에 강세가 오기도 한다.[14]
5. 1. 모음
사리콜리어는 다양한 모음 체계를 가지고 있으며, 일부 방언에서는 장모음도 나타난다. /o/는 [ɔ, ʌ]로도 들릴 수 있다. 사리콜리어 모음 ɔ/o는 위구르어 모음 a와 같다. 사리콜리어 모음 a는 위구르어 모음 æ와 같다. 사리콜리어 모음은 타지크어, 우즈베크어 및 기타 중앙 아시아 파미르어와 같은 연쇄 이동을 겪었다.[10] 모음 연쇄 이동은 다음과 같다.- → /
- →
- →
- → /
러시아어 자료에서는 a, e, ɛy, ɛw, ə, i, o, u, ы 등의 모음이 사용된다. 일부 방언에서는 ā, ē, ī, ō, ū, ы̄, ǝ̄ 와 같은 장모음도 나타날 수 있다.
5. 2. 자음
사리콜리어에는 29~30개의 자음이 있다.[11] 러시아 이란학자 표기에 따른 사리콜리어 자음은 다음과 같다.p, b, t, d, k, g, q, c, ʒ, č, ǰ, s, z, x̌, γ̌, f, v, θ, δ, x, γ, š, ž, h, w, y, m, n, l, r[7]
5. 3. 강세
대부분의 단어는 마지막 음절에 강세를 받는다. 그러나 소수의 단어는 첫 번째 음절에 강세를 받는다. 또한, 여러 명사 활용과 동사 굴절은 명령법과 의문법을 포함하여 정기적으로 첫 번째 음절에 강세를 둔다.[3]6. 어휘
사리콜리어 어휘는 다른 동이란어군 언어와 상당히 유사하지만, 슈그니어를 제외한 다른 언어에서는 발견되지 않는 고유한 어휘도 많이 존재한다.[3]
영어 | 페르시아어 | 타지크어 | 와키어 | 파슈토어 | 슈그니어 | 사리콜리어 | 오세트어 | 아베스타어 |
---|---|---|---|---|---|---|---|---|
하나 | یک|yekfa | як|yaktg | يو|yawps | iw | aēuua- | |||
고기 | گوشت|gushtfa | гушт|gushttg | غوښه|ghwaxa, ghwashaps | zizä | gao- | |||
아들 | پسر|pesarfa | писар|pisartg | زوی|zoips | fɪ̈rt | puθra- | |||
불 | آتش|ateshfa | оташ|otashtg | اور|orps | ärt | ātar- | |||
물 | اب|abfa | об|obtg | اوبه|obəps | don | ap- | |||
손 | دست|dastfa | даѕт|dasttg | لاس|lasps | kʼuχ | zasta- | |||
발 | پا|pafa | по|potg | پښه|pxa, pshaps | fäd | paδa-, pāδa- | |||
이 | دندان|dandanfa | дандон|dandontg | غاښ|ghax, ghashps | dəndäg | daṇtān- | |||
눈 | چشم|chashmfa | чашм|chashmtg | سترګه|stərgaps | səʃt | dōiθra-; caṣ̌man- | |||
말 | اسب|asbfa | асп|asptg | آس|asps | bəχ | aspa- | |||
구름 | ابر|abrfa | абр|abrtg | اوريځ|uryadzps | əvräʁ/miʁ | abda-; aβra-, aβrā-; maēγa- | |||
밀 | گندم|gandomfa | гандум|gandumtg | غنم|ghanamps | mənəw | gaṇtuma- | |||
많은 | بسيار|besyarfa | бисёр|bisyortg | ډېر، پوره|der, puraps | fyr | paoiri- | |||
높은 | بلند|bolandfa | баланд|balandtg | لوړ|lwarps | bərʒond | bərəzaṇt- | |||
먼 | دور|durfa | дур|durtg | لرې|ləreps | därd | dūra- | |||
좋은 | خوب|khubfa | хуб|khubtg | ښه|xə, shəps | χorʒ | vaŋha- | |||
작은 | کوچک|kuchikfa | хурд|khurdtg | لږ|ləgps | gɪ̈ssɪ̈ɫ | kasu- | |||
말하다 | گفت|goftfa | гуфт|gufttg | ويل|wayəlps | zurɪ̈n | vac-; aoj-; mrū-; saŋh- | |||
하다 | کرد|kardfa | кард|kardtg | کول|kawəlps | kənɪ̈n | kar- | |||
보다 | ديد|didfa | дид|didtg | وينم|winəmps | wɪ̈nɪ̈n | dī-, viŋ- |
7. 예시
가오 얼창의 "타지크-중국어 사전"(1996)에서 발췌한 내용으로, 중국어와 사리콜리어 모두에서 신장 타지크족 언어의 문자 체계 개발의 중요성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1]
라틴 문자 | Awal birinqi masala qi ter gap kayan. Tujik milat hüyan ziv yost. Yad ziv optunum noya ar doira khulanmix soud. Janubi Xinjongan Yurkond, Puskom, KHarghalegh, Pixan khatorlekh juiefan wi Tujik heil uhxox na yozzin, Di juienj Tujik heil asos az jat hü ziv khulanmix kayin, Hü milatan wi ziv khulanmix qeig wa a wi tarakhi qeig Asosi KHonün zzujenj hyukhukh. Agar i milatan ghov ziv vid, kitubi ziv tsa na vid, di rang zivan wi rafond wa tarakhiyot qaklimari diqur hird. M dos qeig levd alo k yü milat Asosi KHonün zzujenj az hyukhukh tulukh bahyrimand na sezzjenj soud. Yizekh levjenj a ziv hotirlamix qeigiquz balgü, yani i mi khati münosibatlig vezzjenj pinyin sestimo qi qer wezzd khati hyusil sezzjenj, dian hyiq rang sir nist, Pinyin loyayan wi tüzülüx mofekh tsa soud, hyiq rang alukat mas peidu na soud. Vizekhan at ziv mazzon vezzjenj zidiyat mas ubiktip hyolda i taraf set khati ter sawiya khati birligir yozzd. Müstakhil tarakhi qogcjenj i zivan Kyamon wiri mos yetiquz i yizekh vid karak. Ilim wa rafond az nuhto zoct alo yad douliri uighun qer. |
---|---|
위구르 문자 | ئەۋەل بىرىنچى مەسەلە چى تېر گەپ كەيەن. تۇجىك مىلەت خۈيەن زىڤ ياست. يەد زىڤ ئاپتۇنۇم نايە ئەر دايرە قۇلانمىش ساۋد. جەنۇبى شىنجاڭەن يۇركاند، پۇسكام، قەرغەلېغ، پىشان قەتارلېق جۇيېفەن ۋى تۇجىك خېيل ئۇخشاش نە ياذىن، دى جۇىېنج تۇجىك خېيل ئەساس ئەز جەت خۈ زىڤ قۇلەنمىش كەيىن، خۈ مىلەتەن ۋى زىڤ قۇلەنمىش چېيگ ۋە ئە ۋى تەرەقى چېيگ ئەساسى قانۈن ذۇجېنج ھۇقۇق. ئەگەر ئى مىلەتەن غاۋ زىڤ ڤىد، كىتۇبى زىڤ څە نە ڤىد، دى رەڭ زىۋەن ۋى رەفاند ۋە تەرەقىيات چەكلىمەرى دىچۇر خىرد. مداس چېيگ لېۋد ئەلا كيۈ مىلەت ئەساسى قانۈن ذۇجېنج ئەز ھۇقۇق تۇلۇق بەھرىمەند نە سېذجېنج ساۋد. يىزېق لېۋجېنج ئە زىڤ خاتىرلەمىش چېيگىچۇز بەلگۈ، يەنى ئى مى قەتى مۈناسىبەتلىگ ڤەذجېنج «پىنيىن» سېستىما چى چېر ۋەذد قەتى ھۇسىل سېذجېنج، دىەن ھىچ رەڭ سىر نىست، «پىنيىن» لايەيەن ۋى تۈزۈلۈش مافېق څە ساۋد، ھىچ رەڭ ئەلۇكەت مەس پېيدۇ نە ساۋد. ڤىزېقەن ئەت زىڤ مەذان ڤەذجېنج زىدىيەت مەس ئۇبىكتىپ ھالدە ئى تەرەف سېت قەتى تېر سەۋىيە قەتى بىرلىگىر یاذد. مۈستەقىل تەرەقى چاݝجېنج ئى زىۋەن كيەمان ۋىرى ماس يېتىچۇز ڤىد كەرەك. ئىلىم ۋە رەفاند ئەز نۇختا زاݗت ئەلا يەد داۋلىرى ئۇىغۇن چېر. |
중국어 | |
영어 | 처음에 첫 번째 문제부터 이야기합시다. 타지크족은 그들만의 언어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언어는 자치 현에서 널리 사용되며 다른 언어로 대체될 수 없습니다. 남부 신장의 사처, 제푸, 예청 등지의 타지크인들과 달리, 이곳의 많은 타지크인들은 자신들의 언어만을 사용하거나 거의 독점적으로 사용합니다. 민족 언어의 사용과 발전은 헌법이 부여한 권리입니다. 만약 어떤 민족이 구두 언어만 가지고 있고 문자가 없다면, 이 언어의 사용과 발전은 실제로 제한될 것이고, 헌법이 부여한 권리를 합리적으로 누릴 수 없을 것입니다. 문자는 언어를 기록하는 일련의 기호이며, 관련된 핀인 시스템이 사용됩니다. 이 점에 대해 신비로운 것은 아무것도 없으며, 잘 설계된 핀인 방식은 어떤 복잡성도 유발하지 않을 것입니다. 문자와 언어 사이의 가능한 모순은 객관적이고 현명한 처리를 통해 상당한 수준의 일관성을 달성할 것입니다. 독립적으로 발전하는 언어는 그에 적합한 문자 체계를 가져야 합니다. 이것은 학술적 또는 실용적인 관점에서 당연한 것입니다. |
참조
[1]
서적
https://books.google[...]
Sichuan Nationalities Publishing House (四川民族出版社)
1996
[2]
문서
[3]
서적
Tǎjíkèyǔ jiǎnzhì
Minzu chubanshe
1985
[4]
서적
Lonely Planet Central Asia Phrasebook: Languages of the Silk Road
Lonely Planet Publications
2005
[5]
저널
On the Ghalchah Languages (Wakhí and Sariḳolí)
https://www.biodiver[...]
1876
[6]
문서
[7]
서적
Sarykol'skij Jazyk
Akademia Nauk SSSR
[8]
서적
Sarykol'sko-russkij slovar'
Akademia Nauk SSSR
[9]
저널
Jīyú "Yīdài Yīlù" zhànlüè shìjiǎo de Zhōngguó Tǎjíkè yǔyán wénzì bǎohù yǔ chuánchéng wèntí fēnxī
2017
[10]
저널
The Vowel System of Jewish Bukharan Tajik: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Tajik Vowel Chain Shift
2017
[11]
서적
Topics in the syntax of Sarikoli
Leiden University
[12]
웹사이트
Sarikoli at Ethnologue
2015
[13]
문서
[14]
서적
Outline of the Tajik language (塔吉克语简志/Tǎjíkèyǔ Jiǎnzhì)
Nationalities Publishing House
[15]
서적
Lonely Planet Central Asia Phrasebook: Languages Of The Silk Road
Lonely Planet Publications
January 2005
[16]
서적
An Acoustic, Historical, and Developmental Analysis of Sarikol Tajik Diphthongs.
The University of Texas
[17]
서적
塔吉克汉词典 (Tǎjíkè-Hàn Cìdiǎn) Tujik ziv – Hanzu ziv lughot
Sichuan Nationalities Publishing House
[18]
서적
The Sarikoli Language (Сарыкольский язык/
[19]
서적
Sarikoli-Russian Dictionary (Сарыкольско-русский словарь/
[20]
저널
Research on Bilingual Phenomenon of Tajiks in Kashgar Prefecture
http://www.xjass.com[...]
2009-03-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