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스기우라 주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기우라 주고는 일본의 교육자, 사상가, 정치가로, 1855년에 태어나 1924년에 사망했다. 그는 오미 국 제제 번에서 태어나 한학과 양학을 배우고, 영국 유학을 통해 화학을 전공했다. 귀국 후 문부성과 도쿄 대학에서 근무하며 교육 개혁에 힘썼고, 요미우리 신문과 아사히 신문 등에서 국수주의를 주장하며 언론 활동을 했다. 또한 정치 활동을 통해 중의원 의원 선거에 당선되기도 했다. 그는 쇼와 천황의 교육을 담당했으며, 궁중의 정치적 갈등에도 관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정교사 관련자 - 이노우에 엔료
    이노우에 엔료는 일본의 철학자, 교육자, 불교 개혁가이자 요괴 연구가로, 철학관을 설립하고 불교 개혁과 요괴 연구에 힘썼으며, 일본 근대화에 기여했다.
  • 정교사 관련자 - 미야케 세쓰레이
    미야케 세쓰레이는 메이지 시대부터 쇼와 시대에 걸쳐 활동한 일본의 사상가이자 저술가로, 《일본인》 잡지 창간, 《진선미 일본인》, 《위악추 일본인》 등의 저서를 통해 일본인의 정체성과 미의식에 대한 논의를 이끌었으며, 협력적 민족주의를 주창하며 아시아 연대와 서구 제국주의 반대를 주장하고 일본 문화의 정체성 확립을 추구했다.
  • 낭인회원 - 이누카이 쓰요시
    이누카이 쓰요시는 자유주의 정치 운동가 출신으로 입헌정우회 총재와 내각총리대신을 역임한 일본 정치인이었으나, 재임 중 군부와의 갈등으로 5·15 사건 때 암살당하여 일본 군부 득세와 정당 정치 쇠퇴의 계기가 되었다.
  • 낭인회원 - 구즈 요시히사
    구즈 요시히사는 일본의 우익 운동가로, 한국에서 천우협을 조직하고 흑룡회를 설립하여 대외 팽창주의를 옹호했으며, A급 전범으로 지정되었으나 불기소 처분되었다.
스기우라 주고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스기우라 주고
본명값찾기
출생일1855년 4월 19일 (안세이 2년 3월 3일)
출생지근강국시가군 제제벳푸 (현 시가현오쓰시 스기우라정)
사망일1924년 2월 13일
사망지도쿄부도요타마군요도바시정쓰노하즈 (현 도쿄도신주쿠구)
묘소전통원 (도쿄도분쿄구)
별명매창, 천태도사 (호)
직업관료, 교육자
언어값찾기
시민권값찾기
학력값찾기
정치 활동
소속 정당대성회
국기JPN
직책중의원 의원
선거구시가현 제1구
당선 횟수1회
취임일1890년7월 1일
퇴임일1891년3월 6일
직책 2고이시카와구회 의원고이시카와구청 편집 『고이시카와구회사 상권』 고이시카와구청, 1938년 3월, 44-45쪽.
취임일 21889년 11월
퇴임일 21895년12월 21일
작품 활동
장르값찾기
주제값찾기
문학 경향값찾기
주요 작품윤리어진강초안(倫理御進講草案)
데뷔 작품값찾기
개인 정보
배우자값찾기
부모값찾기
동거인값찾기
자녀값찾기
친척값찾기
종교값찾기
영향 받은 인물값찾기
영향을 준 인물값찾기
수상값찾기
서명값찾기
웹사이트값찾기

2. 생애

오미국 제제번에서 태어나, 여섯 살 이후로 다카하시 세이코 (高橋正功), 구로다 기쿠로, 이와가키 겟슈 (岩垣月洲) 등에게 한학과 양학을 배웠다.[2] 15세 때 공진생으로 뽑혀 도쿄 시로 올라가 다이가쿠난코(大学南校일본어)에서 공부했다.[2] 1876년 제2회 문부성 파견 유학생으로 선발되어 영국 맨체스터 웬스 칼리지와 런던 사우스켄징턴 화학 학교, 런던 대학교에서 화학을 전공했다.[2] 1880년 건강 문제로 귀국, 문부성 관료와 도쿄 대학 부속 고등학교 교장을 지냈다.[2] 도쿄 대학 재직 중 도쿄 영어학교(훗날 니혼 중학교) 설립을 추진했다.[2]

요미우리 신문, 아사히 신문에서 사설을 담당했고, 미야케 세쓰레이, 시가 시게타카 등과 잡지 《니혼진》, 신문 《니혼》을 발행하여 국수주의를 주장했다.[2] 1889년 니혼 클럽을 결성, 오쿠마 시게노부불평등 조약 개정안을 규탄했다.[2] 1890년 제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선거에 대성회 후보로 출마해 당선되었으나 이듬해 1891년 사직했다.[2] 이후 도쿄 문학원을 설립하고,[3] 국학원 학감, 동아동문서원 원장, 동궁어학문소 어용걸 등을 역임하며[4] 제자 양성과 쇼와 천황의 제왕학 지도를 맡았다. 궁중 모종 중대 사건 때는 구니노미야 가문과 결탁하여 야마가타 아리토모에 대항했다.[6]

1924년 사망했으며, 묘소는 도쿄도 분쿄구 덴즈우인에 있다.[6]

2. 1. 어린 시절과 교육

오미국 제제번에서 태어나, 여섯 살 이후로 다카하시 세이코 (高橋正功), 구로다 기쿠로, 이와가키 겟슈 (岩垣月洲) 등에게 한학과 양학을 배웠다.[2] 15세 때 번에서 공진생으로 선발되어 도쿄 시로 올라갔으며 다이가쿠난코(大学南校일본어)에서 공부했다.[2]

메이지 6년 10월, 메이지 천황에게 어전 강연에 선발되어 이화학 실험을 했다. 수석인 하토야마 가즈오, 고무라 주타로, 다카히라 고고로 등이 동기였다. 나중에 고무라가 외무성에 들어간 계기로, 고무라를 외무경·이노우에 가오루에게 소개한 것은 스기우라였다.[2]

2. 2. 영국 유학과 귀국

1876년 제2회 문부성 파견 유학생으로 선발되어 영국으로 건너갔다. 맨체스터 웬스 칼리지와 런던 사우스켄징턴 화학 학교, 런던 대학교에서 화학을 전공했다.[2] 처음에는 농업을 배울 생각으로 사이렌세스터의 왕립농학교에 들어갔지만, 영국의 농업은 목축이 중심이고 곡물은 보리여서 공부를 해도 귀국 후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판단하여 포기했다. 이후 화학으로 전향하여 맨체스터·오웬스 칼리지에서 로스코, 쇼레만 두 교수의 지도하에 연구에 종사했다. 런던의 사우스켄징턴 화학 학교, 런던 대학교 등에서 배우다가 신경쇠약에 걸려 1880년 5월에 귀국했다.[2]

2. 3. 교육 개혁 활동

1880년 건강 문제로 귀국하여 문부성 관료와 도쿄 대학 부속 고등학교 교장을 역임했다.[2] 도쿄 대학에서 일하면서 도쿄 영어학교(훗날의 니혼 중학교) 설립을 추진했다.[2]

이후 자제 양성과 함께 도쿄 문학원[3]을 설립했고, 고쿠가쿠인 학감, 동아 동문서원 원장, 동궁어학문소 어용걸 등을 역임했다.[4]

2. 4. 국수주의 운동과 정치 활동

미야케 세쓰레이, 시가 시게타카 등과 함께 잡지 《니혼진》, 신문 《니혼》 등을 발행하여 국수주의를 주장하였다.[2] 요미우리 신문, 아사히 신문 등에서 사설을 담당하기도 했다.[2]

1889년에는 니혼 클럽을 결성하여 오쿠마 시게노부불평등 조약 개정안을 비판하였다.[2] 1890년 제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선거에 대성회 후보로 출마하여 당선되었으나,[2] 이듬해 1891년에 사직하였다.[2]

2. 5. 쇼와 천황 교육과 궁중 갈등

쇼와 천황의 제왕학 지도를 맡았다.[4] '궁중 모종 중대 사건' 때는 세습친왕가이자 나가코를 혼인시키려는 구니노미야 가문과 손잡고, 쇼와 천황과 나가코의 혼인을 반대한 야마가타 아리토모에 대항했다.[6]

2. 6. 사망

1924년 신장염으로 사망했다.[6] 묘소는 도쿄도 분쿄구 덴즈우인에 있다.

3. 사상과 업적

스기우라 주고는 오미국 제제 번 출신으로, 1876년 제2회 문부성 파견 유학생으로 선발되어 영국에서 화학을 전공했다.[1] 귀국 후에는 문부성 관료, 도쿄 대학 부속 고등학교 교장 등으로 일하며 교육계에 몸담았다. 요미우리 신문, 아사히 신문 등에서 사설을 담당하며 언론 활동도 병행했다.

그는 미야케 세쓰레이, 시가 시게타카 등과 함께 잡지 《니혼진》, 신문 《니혼》을 발행하여 국수주의를 옹호했다. 1889년에는 니혼 클럽을 결성하여 오쿠마 시게노부불평등 조약 개정안에 반대하는 등 정치적 활동도 활발히 했다. 1890년 제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선거에 당선되었으나 이듬해 사직하고, 이후 교육 및 쇼와 천황의 제왕학 지도에 힘썼다.[1] 특히 쇼와 천황의 결혼 문제와 관련된 "궁중의 어떤 중대한 사건" 때는 야마가타 아리토모에 맞서 쇼와 천황과 나가코의 혼인을 지지했다.[1]

3. 1. 교육 사상

스기우라 주고는 문부성 관료와 도쿄 대학 부속 고등학교 교장을 역임한 교육자였다. 도쿄 영어학교(훗날의 니혼 중학교) 설립을 추진했다.[1] 미야케 세쓰레이, 시가 시게타카 등과 잡지 《니혼진》, 신문 《니혼》을 발행하여 국수주의를 지지하는 주장을 펼쳤는데,[1] 이는 그의 교육 사상에도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인다. 쇼와 천황의 제왕학 지도를 맡기도 했다.[1]

3. 2. 국수주의(國粹主義)

미야케 세쓰레이, 시가 시게타카 등과 잡지 《니혼진》, 신문 《니혼》 등을 발행하여 국수주의를 지지하는 주장을 실었다.[3] 1889년에는 니혼 클럽을 결성하여 오쿠마 시게노부불평등 조약 개정안을 규탄했다.[3]

3. 3. 정치 활동

오미국 제제 번에서 태어나, 여섯 살 이후로 다카하시 세이코(高橋正功), 구로다 기쿠로, 이와가키 겟슈(岩垣月洲) 등에게 한학과 양학을 배웠다. 15세 때 공진생(貢進生)으로 뽑혀 도쿄로 올라왔으며 다이가쿠난코(大学南校일본어)에서 공부했다. 요미우리 신문, 아사히 신문에서 사설을 담당하기도 했으며 미야케 세쓰레이, 시가 시게타카(志賀重昂) 등과 잡지 《니혼진》, 신문 《니혼》 등을 발행하여 국수주의를 지지하는 주장을 실었다. 1889년에는 니혼 클럽을 결성하여 오쿠마 시게노부불평등 조약 개정안을 규탄했다.[1] 도쿄 지방의회의 오이시카와 구 소속 의원을 거쳐 1890년 제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선거 때 대성회(다이세이카이) 후보로 출마해 뽑혔지만, 이듬해 1891년에 사직했다.[1] 사직 후 도쿄 문학원을 설립하였고, 국학원 학감, 동아동문서원장, 동궁어학문소 관료 등을 역임하며 제자 양성과 더불어 쇼와 천황의 제왕학 지도를 맡기도 했다.[1] 쇼와 천황의 결혼 문제와 관련된 "궁중의 어떤 중대한 사건" 때는 세습친왕가이자 나가코를 혼인시키려는 구니노미야 가문과 손잡고, 쇼와 천황과 나가코의 혼인을 반대한 야마가타 아리토모와 맞섰다.[1]

4. 평가

스기우라 주고는 메이지 시대와 다이쇼 시대에 걸쳐 교육자, 관료, 언론인, 정치인으로 활동했다. 한학과 양학을 두루 섭렵하고 영국 유학을 통해 화학을 전공했으며, 귀국 후 문부성 관료와 도쿄 대학 부속 고등학교 교장 등을 역임하며 교육계에 몸담았다. 大学南校|다이가쿠난코|대학남교일본어에서 공부했다.[1]

요미우리 신문, 아사히 신문 등에서 사설을 담당하고, 미야케 세쓰레이, 시가 시게타카 등과 잡지 《니혼진》, 신문 《니혼》을 발행하여 국수주의를 옹호하는 등 언론 활동을 했다.[1] 1889년 니혼 클럽을 결성하여 오쿠마 시게노부불평등 조약 개정안에 반대했다.[1]

1890년 제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선거에서 대성회 후보로 당선되어 정계에 진출했으나, 이듬해 사임하고 교육 활동에 전념했다.[1] 쇼와 천황의 제왕학 지도를 맡았으며, "궁중의 어떤 중대한 사건"에서는 야마가타 아리토모에 맞서 쇼와 천황과 나가코의 혼인을 지지했다.[1]

스기우라 주고는 교육 개혁과 인재 양성에 기여한 점은 긍정적으로 평가되나, 국수주의 활동과 일본 제국주의 이념적 기반을 제공한 점은 비판받는다.

4. 1. 긍정적 평가

스기우라 주고는 교육 개혁과 인재 양성에 기여한 점이 긍정적으로 평가된다. 특히, 쇼와 천황의 교육을 담당하여 일본 사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평가된다.[1]

4. 2. 부정적 평가

스기우라 주고는 미야케 세쓰레이, 시가 시게타카 등과 함께 잡지 《니혼진》, 신문 《니혼》 등을 발행하며 국수주의를 지지하는 주장을 펼쳤다.[1] 1889년에는 니혼 클럽을 결성하여 오쿠마 시게노부불평등 조약 개정안을 규탄하기도 했다.[1] 이러한 그의 활동은 일본 제국주의의 팽창과 침략을 정당화하는 이념적 기반을 제공하는 데 일조했다는 비판을 받는다.

또한, 스기우라 주고는 쇼와 천황의 제왕학 지도를 맡아, 천황에게 잘못된 역사관을 주입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1] 이는 쇼와 천황태평양 전쟁을 일으키고, 한국을 강점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 것으로 평가되는 만큼, 스기우라 주고의 역사관이 한국에 미친 부정적인 영향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4. 3. 종합적 평가

스기우라 주고는 메이지 시대와 다이쇼 시대에 걸쳐 활동한 교육자, 관료, 언론인, 정치인이다. 한학과 양학을 두루 섭렵하고 영국 유학을 통해 화학을 전공한 엘리트였으며, 귀국 후에는 문부성 관료와 도쿄 대학 부속 고등학교 교장 등을 역임하며 교육계에 몸담았다. 大学南校|다이가쿠난코|대학남교일본어에서 공부했다.[1]

요미우리 신문아사히 신문에서 사설을 담당하고, 미야케 세쓰레이, 시가 시게타카 등과 함께 잡지 《니혼진》, 신문 《니혼》을 발행하여 국수주의를 옹호하는 등 언론 활동도 활발히 했다.[1] 1889년에는 니혼 클럽을 결성하여 오쿠마 시게노부불평등 조약 개정안에 반대하는 운동을 펼치기도 했다.[1]

1890년 제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선거에서 대성회 후보로 당선되어 정계에 진출했으나, 이듬해 사임하고 교육 활동에 전념했다.[1] 쇼와 천황의 제왕학 지도를 맡는 등 교육자로서 명성을 쌓았으며, "궁중의 어떤 중대한 사건"에서는 야마가타 아리토모에 맞서 쇼와 천황과 나가코의 혼인을 지지하는 입장에 섰다.[1]

5. 관련 인물

스기우라 주고는 교육, 언론, 정치 등 다양한 분야의 인물들과 폭넓은 관계를 맺었다. 주요 관련 인물은 다음과 같다.


  • 혼다 야스시게 - 제제 번의 마지막 번주였다.[3]
  • 구로다 코쿠로 - 제제・준기당에서 스기우라에게 서양학을 가르쳤다. 로빈슨 크루소를 일본어로 번역했다.[3]
  • 오쿠마 시게노부 - 스기우라는 오쿠마 시게노부의 불평등 조약 개정안에 반대했다.[3]
  • 야마가타 아리토모 - 궁중 모종 중대 사건에서 스기우라는 구니노미야 가문과 결탁하여 야마가타 아리토모에게 대항했다.[3]
  • 쇼와 천황 - 스기우라는 쇼와 천황에게 제왕학을 지도했다.[3]

5. 1. 동료 및 협력자

5. 2. 제자


  • 이와야 사잔미 - 작가, 아동 문학가.[2]
  • 에미 스이인 - 소설가, 편집자.[2]
  • 오마치 케이게츠 - 시인, 가인, 수필가, 평론가.[2]
  • 후루시마 가즈오 - 저널리스트, 정치가.[2]
  • 이와나미 시게오 - 출판인, 이와나미 쇼텐 창업자.[2]
  • 요코야마 다이칸 - 일본 화가, 미술가.[2]
  • 사사키 노부츠나 - 가인, 국문학자.[2]
  • 가부라키 기요카타 - 일본 화가.[2]
  • 다카야마 초규 - 문예 평론가.[2]
  • 하세가와 뇨제칸 - 저널리스트.[2]
  • 토나가 산주로 - 철학자. 물리학자이자 노벨상 수상자인 토나가 신이치로의 아버지.[2]
  • 오기노 규사쿠 - 산부인과 의사, 의학 박사. 오기노식[2]
  • 마루야마 치사토 - 마루야마 백신 발명자.[2]
  • 코니시 토쿠로 - 쇼와 시대 초기의 프로 야구 감독, 야구 해설가.[2]
  • 이리에 게이시로 - 국제법 학자.[2]
  • 요시무라 코자부로 - 영화 감독.[2]
  • 오가와 타쿠지 - 지질학자, 지리학자, 유카와 히데키 등 "오가와 형제"의 아버지.[2]
  • 요시다 시게루 - 외교관, 내각총리대신.[2]
  • 고노 이치로 - 정치가, 자유민주당 실력자. 고노 요헤이의 아버지.[2]
  • 고노 겐조 - 정치가, 참의원 의장.[2]
  • 이이야마 마사히데 - 독일어 번역가, 독일학협회 기관지 『학림』 편집인.[2]
  • 모리 스케하루 - 안과 의사. 구로다 코큐로의 종질에 해당한다. 사립 모리 안과 병원에 박운숙을 개설했다.[2]


스기우라 주고는 이와야 사잔미, 에미 스이인, 오마치 케이게츠를 '문사 삼우'라 칭하며 아꼈다.[2]

5. 3. 기타 관련 인물

6. 저서 및 관련 작품

'''저서'''


  • 귀곡자|귀곡자일본어』 (1884년 5월)
  • * 귀소자|귀소자일본어』 (1884년 7월)
  • * 귀노자|귀노자일본어』 (1885년 1월)
  • * 귀곡자 귀소자 귀노자|귀곡자 귀소자 귀노자일본어』 (1886년 4월)
  • * 귀곡자 외|귀곡자 외일본어아사히 신문사 (1950년)
  • 국사 초보|국사 초보일본어』 (1885년 8월)
  • 번루몽 이야기 : 일명 신평민 회천담|번루몽 이야기 : 일명 신평민 회천담일본어』 (1886년 10월)
  • * 요시노 사쿠조 편집 메이지 문화 전집|메이지 문화 전집일본어 제21권 사회편』 (1929년 2월)
  • * 메이지 문화 연구회 편 메이지 문화 전집|메이지 문화 전집일본어 제6권 사회편』 (1955년 10월)
  • * 메이지 문화 연구회 편 메이지 문화 전집|메이지 문화 전집일본어 제22권 사회편(상)』 (1993년 1월)
  • 일본 교육 원론|일본 교육 원론일본어』 (1887년 2월)
  • * 교육 칙어 환발 관계 자료집|교육 칙어 환발 관계 자료집일본어 제2권』 (1939년 3월)
  • * 카이즈카 시게키 감수 문헌 자료집성 일본 도덕 교육 논쟁사|문헌 자료집성 일본 도덕 교육 논쟁사일본어 제1기 제1권』 (2012년 6월)
  • 철학 가르치기|철학 가르치기일본어』 (1887년 5월)
  • 일본 통감|일본 통감일본어』 (1887년 8월 ~ 1890년 7월) (7권)
  • 외교 사견|외교 사견일본어』 (1889년 8월)
  • 윤리서|윤리서일본어』 (1891년 12월)
  • * 윤리서|윤리서일본어』 (1927년 2월)
  • 교지 변혹 : 일명 소위 충돌에 관하여|교지 변혹 : 일명 소위 충돌에 관하여일본어』 (1893년 8월)
  • 제갈량|제갈량일본어』 (1913년 10월)
  • 지기 팔현|지기 팔현일본어』 (1914년 4월)
  • 요시다 토라지로|요시다 토라지로일본어』 (1915년 6월)
  • 일본의 정신|일본의 정신일본어』 (1916년 6월)
  • 망우 추원록|망우 추원록일본어』 (1921년 5월)
  • 윤리 어진강 초안|윤리 어진강 초안일본어』 (1936년 4월)
  • * 윤리 어진강 초안|윤리 어진강 초안일본어』 (1937년 11월 ~ 1938년 1월) (4권)
  • * 윤리 어진강 초안 초록|윤리 어진강 초안 초록일본어』 (1938년 4월)
  • * 선집 윤리 어진강 초안|선집 윤리 어진강 초안일본어』 (1938년 10월)
  • * 윤리 어진강 초안|윤리 어진강 초안일본어』 (1984년 7월 ~ 9월)
  • * 쇼와 천황의 배우신 「윤리」 윤리 어진강 초안 초록|쇼와 천황의 배우신 「윤리」 윤리 어진강 초안 초록일본어 (2016년 11월)
  • 일본 대학 정신 문화 연구소 편집 교육 칙어 관계 자료|교육 칙어 관계 자료일본어 제14집』 (1990년 2월)
  • 교육 칙어 : 쇼와 천황의 교과서|교육 칙어 : 쇼와 천황의 교과서일본어 (2000년 10월)
  • * 교육 칙어 : 쇼와 천황의 교과서|교육 칙어 : 쇼와 천황의 교과서일본어 (2002년 10월)
  • * 쇼와 천황의 배우신 교육 칙어|쇼와 천황의 배우신 교육 칙어일본어 (2006년 3월)
  • * 교육 칙어 소년 쇼와 천황에게의 진강록|교육 칙어 소년 쇼와 천황에게의 진강록일본어 (2024년 7월)

7. 수상 경력

참조

[1] 서적 小石川区会史 上巻 小石川区役所 1938-03
[2] 간행물 官報
[3] 웹사이트 第19話 「東京医学校」と私立総合大学構想 ~私立医学校の興亡 (4) ~ https://juken.y-sapi[...] 2022-02-07
[4] 웹사이트 杉浦重剛(すぎうらじゅうごう)とは? 意味や使い方 https://kotobank.jp/[...] 2024-01-09
[5] 서적 東京府立中学 同成社 2004-05
[6] 서적 事典有名人の死亡診断 近代編 吉川弘文館 2010-05
[7] 뉴스 東京日日新聞 1882-03-08
[8] 간행물 官報 1885-11-10
[9] 간행물 官報 1915-11-10
[10] 간행물 官報 1916-05-31
[11] 간행물 官報 1919-05-08
[12] 간행물 官報 1921-03-02
[13] 간행물 官報 1924-02-15
[14] 웹사이트 昭和天皇に「帝王学を教えた男」が呼ばれた経緯 https://toyokeizai.n[...] 2020-12-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