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요시노 사쿠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요시노 사쿠조는 일본의 사상가이자 정치학자로, 1878년 미야기현에서 태어나 1933년에 사망했다. 그는 도쿄 제국대학을 졸업하고 유학 후, 도쿄 제국대학 교수로 재직하며 정치사상과 정치이론을 가르쳤다. 요시노는 민본주의를 주창하며 다이쇼 데모크라시 시기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헌정 정치를 옹호하고 군부의 정치 개입을 비판했다. 그는 조선과 중국의 민족주의 운동에 긍정적인 입장을 보였으며, 관동 대지진 조선인 학살 사건을 비판하기도 했다. 주요 저서로는 '헌정의 본의'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다이쇼 데모크라시 - 호헌 3파
    호헌 3파는 1920년대 초 일본에서 헌정 옹호와 보통 선거 실행을 목표로 제2차 호헌 운동을 주도한 입헌정우회, 혁신구락부, 헌정회를 지칭하는 말이다.
  • 다이쇼 데모크라시 - 호헌 운동
    다이쇼 시대 일본에서 헌법에 기초한 정치 체제를 옹호하기 위해 일어난 호헌 운동은 군부의 정치 개입과 권력 확장에 반대하며 의회 중심 정치와 정당 내각제의 확립을 목표로 일본 정치의 민주화에 기여했다.
  • 일본의 에스페란티스토 - 기타 잇키
    기타 잇키는 일본 제국 헌법의 천황제를 비판하고 군사혁명을 통한 국가 개조를 주장한 사상가이자 혁명가로, 그의 사상은 2·26 사건에 영향을 미쳤으며, 진보적인 면모와 극단적인 민족주의적 경향을 동시에 지녔다는 평가를 받으며 2·26사건 연루 혐의로 사형당했다.
  • 일본의 에스페란티스토 - 미야자와 겐지
    이와테현 출신의 일본 시인이자 소설가, 동화 작가, 농업기술 지도자인 미야자와 겐지는 불교적 신앙과 사회적 약자에 대한 헌신이 담긴 작품들을 남겼으며 사후 재평가를 통해 일본 문학사의 중요한 작가로 인정받았다.
  • 일본의 교육학자 - 오선화
    오선화는 대한민국 출신으로 일본으로 귀화한 평론가이자 작가, 대학교수로, 호스티스 경험을 바탕으로 작가 데뷔 후 한일 관계와 한국 사회, 문화에 대한 비판적인 저술 및 강연 활동을 했다.
  • 일본의 교육학자 - 미키 다케오
    미키 다케오는 일본의 정치인으로, 제66대 내각총리대신을 역임하며 록히드 사건 조사와 정치 개혁을 시도했으나, 정치적 이상과 현실 간 괴리, 강직한 성격 등으로 다양한 평가를 받았다.
요시노 사쿠조
기본 정보
요시노 사쿠조
요시노 사쿠조
본명吉野 作造 (요시노 사쿠조)
출생1878년 1월 29일
출생지미야기현 시다군 오카키 촌
사망1933년 3월 18일
사망지가나가와현 미우라군 즈시정
배우자알려진 정보 없음
자녀장녀: 쓰치우라 노부코 (건축가)
학력 및 경력
출신 학교도쿄 제국대학 법과대학 정치학과, 동 대학원
연구 기관도쿄대 법과대학, 여명회, 메이지 문화 연구회
사상
주요 개념민본주의
영향을 받은 인물알려진 정보 없음
영향을 준 인물알려진 정보 없음
기타
시대다이쇼 시대
서명알려진 정보 없음
공식 웹사이트알려진 정보 없음

2. 생애

요시노 사쿠조는 1878년 미야기현에서 태어나 1895년 미야기 진조 초등학교(현재 센다이 제일고등학교)에 입학했다. 1898년 개신교 기독교로 개종했으며,[2] 1904년 도쿄 제국대학을 졸업했다. 1906년 청나라로 건너가 위안스카이 아들의 개인 교사를 맡았다. 1909년에 귀국하여 1924년까지 도쿄 제국대학 법학부에서 정치사 및 정치 이론을 가르쳤다. 1910년에는 독일 제국, 대영 제국, 미국으로 3년간 유학했다. 귀국 후 정치 부패와 보통 선거 등 일본 민주 정부 구현 문제를 논하는 글을 쓰기 시작했고, ''주오코론''에 에세이를 게재했다. "입헌정치의 의의에 대하여"는 프로이센 왕국 모델의 우월성에 대한 대중적 믿음에 대한 반박으로, 민주주의가 천황 주권 개념과 양립 가능하다고 주장했다. ''태양''의 편집자도 역임했다.[3]

1918년 12월, 레이메이카이를 설립해[4] 공개 강연을 후원하는 등 민주주의 사상 전파에 힘썼다.[5] 조선 독립 운동가나 중국의 민족주의자들에게 공감하며 여운형을 긍정적으로 평가했고, 쑨원의 신해혁명에도 공감했다. 관동 대지진 조선인 학살 사건을 비판하기도 했다.

1923년 관동 대지진 당시, 오스기 사카에 등과 함께 육군 암살 대상이었다.[35]

2. 1. 초기 생애 (1878년 ~ 1904년)

요시노 사쿠조는 1878년 미야기현 시다군 오오가키촌(현 오사키시 후루카와)에서 면직물 원료를 취급하는 상인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요시노 가문은 미야기현 북부의 가독 상속 풍습에 따라 장남이 가업을 잇지 않았고, 1892년에 장녀의 사위가 가업을 상속했다.[8]

1898년 개신교 기독교로 개종했으며,[2] 1904년 도쿄 제국대학을 졸업했다. 1906년에는 청나라로 건너가 위안스카이 아들의 개인 교사를 맡았으며, 1909년에 귀국하여 1924년까지 도쿄 제국대학 법학부에서 정치사 및 정치 이론을 가르쳤다. 1910년에는 3년 동안 독일 제국, 대영 제국, 미국에서 유학했다.[3]

2. 1. 1. 학창 시절

요시노는 1884년 3월, 6세에 후루카와 심상소학교(현 후루카와 제1 초등학교)에 입학하여 한문 서적 『황조사략』을 두 누나에게 배웠다. 1886년 7월, 고등소학교 1학년 때 후루카와 강습회에 참가했다.[9] 1892년 6월, 미야기현 심상 중학교(현 센다이 1고)가 개교하면서 후루카와에서 처음으로 추천받아 14세에 입학했다.[10]

1895년, 구제 중학교 입학 해는 하야시 시헤이의 100주기였으며, 교장 오오츠키 후미히코가 시헤이의 전기를 강의했다. 요시노는 그중 재미있다고 생각한 것을 적어 잡지 『청년문』 1895년 2월호에 『하야시 시헤이의 일화』라는 제목으로 투고하여 시헤이의 탐구심과 행동력, 주변에 휘둘리지 않는 사려 깊음을 소개했다. 같은 해 7월, 학내지 『여란회 잡지』 제1호의 "송풍록"에도 하야시 시헤이에 대해 기록했다.[12]

중학교에서는 회람 잡지 발행에 열중하여, 2학년 때 『도키와 문학』을 시작했다. 회람 잡지 편집을 통해 친구를 사귀었으며, 그중 한 명은 초등학교 때부터의 친구 미우라 키치베에였다.[13]

1895년 청일 전쟁 승전 당시 요시노는 다음과 같은 와카(和歌)를 읊었다.[14]

1913년경 잡지 『신인』의 동인 (앞줄 왼쪽부터 유아사 지로, 에비나 미야, 마쓰이 유코, 노구치 세이코, 고야마 도스케, 오른쪽 끝 불명, 뒷줄 왼쪽부터 와다 신지, 아이하라 이치로스케, 요시노 사쿠조, 에비나 단조, 가토 나오시, 스즈키 분지)


1897년 9월, 제2고등학교 법과에 무시험으로 합격했다. 쇼케이 여학교 교장 애니 S. 부젤의 성서 연구회에 참가했다. 1898년 7월 3일, 우치가사키 사쿠사부로·시마지 라이무 등과 함께 침례를 받고[15] 기독교 이름 "필립"을 받았다.

1900년 5월 14일, 20세의 "타마노"와 혼인 신고서를 제출했다. 7월, 제2고등학교를 졸업하고, 9월, 도쿄 제국대학법과대학에 입학했다. 혼고 교회(목사 에비나 단조)에서 미사와 타다시 등과 함께 잡지 『신인』의 편집에 참여하여 협력했다.

2. 2. 중국 체류와 귀국 (1906년 ~ 1909년)

1906년 1월, 요시노는 위안스카이의 초빙을 받아 그의 장남 袁克定|위안커딩중국어의 가정교사로 아내 "타마노"와 셋째 딸 미쓰코와 함께 청나라 톈진으로 갔다.[18] 위안스카이 가문이 베이징으로 이주하자, 요시노는 톈진에 남아 1907년 9월부터[19] 1년간 北洋法政專門学堂|북양법정전문학당|법정학당중국어에서 교편을 잡았다.

톈진 시대의 요시노 사쿠조(1908년 3월)


1909년 1월에 귀국하여,[20] 2월 5일 도쿄 대학 법과대학 조교수로 취임하였다. 1903년 영어 잡지에서 에스페란토를 알게 되어 런던에서 교과서를 주문하여 공부했고, 1904년 도쿄 제국 대학 법과대학 정치학과를 졸업하고(은시계 수령) 동 대학원에 진학하여 동대 공과대학 강사를 맡았다.

2. 3. 유럽 유학과 민본주의 주창 (1910년 ~ 1918년)

1910년, 요시노 사쿠조는 3년간 독일 제국, 대영 제국, 미국으로 유학을 떠났다.[3] 귀국 후, 그는 정치 부패와 보통 선거 등 일본에서 민주 정부를 구현하는 문제에 대해 논하는 글을 쓰기 시작했다. 특히, 유명 문예지 ''주오코론''에 여러 편의 에세이를 발표하며 자신의 주장을 펼쳤다.[3] 그중에서도 "입헌정치의 의의에 대하여"는 프로이센 왕국 모델의 우월성에 대한 대중적 믿음에 대한 반박으로 쓰여졌으며, 민주주의가 천황의 주권 개념과 양립할 수 있다고 주장하여 큰 주목을 받았다.[3] 요시노는 ''태양''의 편집자를 역임하기도 했다.[3]

1914년(다이쇼 3년) 1월, 요시노는 『중앙공론』 편집 주간 타키타 쵸인[21]의 부탁으로 「학술상으로 본 일본 문제」[22]를 기고하여, 국제 사회의 일원으로서 일본인의 자세에 비판적인 시선을 보였다.[23] 같은 해 4월호에는 「민중적 시위 운동을 논하다」를 기고하여, 일본의 민중 운동에도 민중의 자각이라는 긍정적인 측면이 있다고 주장했다.[24]

1916년(다이쇼 5년), 요시노는 주오코론 1월호에 대표작 「헌정의 본의를 설하고 그 유종의 미를 이루는 길을 논하다」를 발표하며 다이쇼 데모크라시의 대표적인 논객으로 떠올랐다.[28] 1918년(다이쇼 7년), 백홍 사건이 일어나자, 요시노는 언론의 자유를 옹호하고 낭인회의 폭행 사건을 비난하며 공개 연설회를 열어 청중의 압도적인 지지를 얻었다.

2. 3. 1. 레이메이카이(黎明会) 활동

요시노는 1918년 12월, 민주주의 사상을 널리 알리기 위해 레이메이카이(黎明会)를 결성했다.[4] 이 단체는 공개 강연회를 개최하는 등 민주주의 사상 전파에 힘썼다.[5] 요시노는 민본주의를 존중하는 사상가로, 민주주의(Democracy)와 민본주의는 다르다고 주장했다. 그는 민주주의는 수단의 민주성을, 민본주의는 결과의 민주성을 추구하는 것이라고 정의했다.

요시노는 조선 독립 운동가나 중국의 민족주의자들에게 공감하는 모습을 보였다. 여운형과 같은 조선 독립 운동가를 도덕적으로 긍정적으로 평가했으며, 쑨원이 이끈 신해혁명에도 공감했다. 또한, 관동 대지진 조선인 학살 사건을 비판하는 글을 발표하기도 했다.

2. 4. 말년과 사망 (1919년 ~ 1933년)

1923년 관동 대지진 당시, 요시노 사쿠조는 오스기 사카에 등과 함께 육군에 의한 암살 대상이었다.[35]

3. 사상

요시노 사쿠조는 민본주의(民本主義)를 중시한 사상가였다. 그는 민본주의가 민주주의("Democracy"의 번역어)와는 다르다고 보았다. 민주주의는 수단의 민주성을, 민본주의는 결과의 민주성을 추구한다고 정의했다.[31]

1916년(다이쇼 5년) 1월 주오코론에 기고한 「헌정의 본의를 설하고 그 유종의 미를 이루는 길을 논하다」라는 평론을 통해 다이쇼 데모크라시를 대표하는 논객으로 알려졌다.[28] 그는 이 글에서 민본주의에 기반하여 헌정(憲政)의 본래 의미를 설명하고, 이를 통해 민주주의를 발전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요시노는 민본주의가 일본의 국체(國體, 국가의 근본 체제)와 양립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1919년(다이쇼 8년) 1월 발표한 글에서 "우리 일본의 국체에는 실로 만국에 자랑할 만한 것이 있다"고 언급하며, 국체의 본의를 합리적으로 설명하여 국민들에게 확신을 주어야 한다고 주장했다.[29] 이는 요시노가 천황제를 부정하지 않고, 민본주의를 천황제 아래에서도 실현 가능한 정치 체제로 보았음을 보여준다.

이타가키 다이스케는 요시노와의 대론에서 일본이 "군주 민본"의 국가이며, 천황이 백성을 자애로운 아버지처럼 불쌍히 여겨왔다는 점을 강조했다. 요시노는 일본이 "군주 민본"이라는 인식에는 동의했지만, "데모크라시"라는 말이 "민주 민본"과 동의어가 아니며, 서양의 "민본주의"도 정당한 유형이 들어온다면 일본의 민본주의를 도울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민주주의"가 대항해야 할 것은 "군주주의"가 아니라 "관료주의"라고 덧붙였다.[31]

요시노는 군부의 통수권 문제도 비판했다. (하위 섹션에서 구체적으로 다룸)

3. 1. 민본주의(民本主義)

요시노 사쿠조는 민본주의(民本主義)를 존중한 사상가로 알려져 있다. 그는 민본주의가 민주주의("Democracy"의 번역어)와는 다르다고 주장했다. 요시노는 민주주의는 수단의 민주성을, 민본주의는 결과의 민주성을 요구하는 것이라고 정의했다.[31]

요시노는 1916년(다이쇼 5년) 1월호 주오코론에 기고한 「헌정의 본의를 설하고 그 유종의 미를 이루는 길을 논하다」라는 평론을 통해 다이쇼 데모크라시의 대표적인 논객으로 부상했다.[28] 이 글에서 요시노는 민본주의에 입각하여 헌정(憲政)의 본래 의미를 설명하고, 이를 통해 민주주의 발전에 기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요시노는 민본주의가 일본의 국체(國體, 국가의 근본 체제)와 양립 가능하다고 보았다. 그는 1919년(다이쇼 8년) 1월에 발표한 글에서 "우리 일본의 국체에는 실로 만국에 자랑할 만한 것이 있다"고 언급하며, 국체의 본의를 합리적으로 설명하여 국민들에게 확신을 주어야 한다고 주장했다.[29] 이는 요시노가 천황제를 부정하지 않고, 민본주의를 천황제 하에서도 실현 가능한 정치 체제로 보았음을 시사한다.

요시노는 조선 독립 운동가나 중국의 민족주의자들에게 공감하며, 여운형을 도덕적으로 긍정 평가하고, 쑨원의 신해혁명에 공감하는 등, 한국과 중국의 민족 운동에 대해서도 긍정적인 입장을 보였다. 또한 관동 대지진 조선인 학살 사건을 비판하는 논문을 발표하기도 했다.

이타가키 다이스케는 요시노 사쿠조와의 대론에서 일본이 "군주 민본"의 국가이며, 천황이 백성을 자애로운 아버지처럼 불쌍히 여겨왔다는 점을 강조했다. 이에 대해 요시노는 일본이 "군주 민본"이라는 인식에는 동의하지만, "데모크라시"라는 말이 "민주 민본"과 동의어가 아니며, 서양의 "민본주의"도 정당한 유형이 들어온다면 일본의 민본주의를 도울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민주주의"가 대항해야 할 것은 "군주주의"가 아니라 "관료주의"라고 덧붙였다.[31]

3. 1. 1. 통수권 문제 비판

요시노 사쿠조는 군부의 통수권 문제를 비판했다. 통수권은 군대를 지휘하고 통솔하는 권한이다. 주어진 자료에서는 요시노 사쿠조의 통수권 비판이 직접 언급되지는 않았지만, 그의 사상과 활동이 다이쇼 데모크라시 시기에 이루어졌다는 점을 고려하면, 군부의 정치 개입을 비판하고 문민통제를 옹호했을 것으로 보인다.

요시노 사쿠조의 통수권 비판은 한국의 군부 문제와 관련하여 시사점을 준다. 한국 역시 과거 군부 독재 시절 군부가 정치에 개입하고 통수권을 남용한 경험이 있기 때문이다. 요시노 사쿠조의 비판은 민주주의 국가에서 군부의 역할과 통수권 행사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워 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3. 2. 조선 및 중국에 대한 관점

요시노는 조선 독립 운동가나 중국의 민족주의자에 대해 공감하는 부분이 많았다. 조선 독립 운동가인 여운형에 대해 도덕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고 변호했으며, 쑨원이 일으킨 신해혁명에 대해서도 공감을 느꼈다. 또한, 관동 대지진 조선인 학살 사건에 대한 비판 논문을 발표하기도 했다.[31]

4. 저작

제목출판사출판 연도비고
낡은 정치의 새로운 관점
현대 정치 강화
일본 무산 정당론
현대 헌정의 운용미스즈 서방1988년 리프린트판, 2005년 온디맨드판
요시노 사쿠조 선집 (전 16권)이와나미 서점1995-96년2016년 온디맨드판
요시노 사쿠조 정치사 강좌 (야나이하라 타다오, 아카마츠 카츠마로, 오카 요시타케 노트)이와나미 서점2016년강의록 연구회 편
중국·조선론헤이본샤 토요 문고마츠오 타카노리 편, 2006년 와이드판
요시노 사쿠조 평론집이와나미 문고오카 요시타케 편, 2016년 외 복간
요시노 사쿠조 한담의 한담(초)일본 도서 센터1998년"인간의 기록" 시리즈
헌정의 본의 요시노 사쿠조 데모크라시 논집주오코론 신사2016년해설 카리베 나오키
헌정의 본의, 그 유종의 미코분샤 고전 신역 문고2019년야마다 히로오 현대어 번역·해설
‘인민의 이름으로’: 주권과 인민의 관점에서 본 일본 정치에 대한 설명.『퍼시픽 어페어』 4권, 3호1931년https://doi.org/10.2307/2750329


5. 평가

요시노 사쿠조에 대한 평가는 그의 다양한 저작과 연구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미타니 타이치로는 『다이쇼 데모크라시론 요시노 사쿠조의 시대』[1]에서 요시노 사쿠조가 활동했던 시대를 중심으로 다이쇼 데모크라시를 분석하였다. 마츠모토 산노스케는 『요시노 사쿠조 근대 일본의 사상가 11』[2]에서 요시노 사쿠조를 근대 일본의 주요 사상가 중 한 명으로 평가했다.

곤노 하지메는 『요시노 사쿠조와 우에스기 신키치 - 독일-프랑스 전쟁에서 다이쇼 데모크라시로』[3]에서 요시노 사쿠조와 그의 사상적 대립 관계에 있던 우에스기 신키치를 비교하며 다이쇼 데모크라시를 조명했다. 오타 테츠오는 『요시노 사쿠조 사람과 사상』[4]에서 요시노 사쿠조의 생애와 사상을 종합적으로 다루었다.

이노우에 히사시는 『형제』[5]에서 요시노 사쿠조와 그의 동생 요시노 신지 형제의 삶을 평전극 형식으로 묘사했다. 다자와 하루코는 『요시노 사쿠조와 야나기타 구니오 - 다이쇼 데모크라시가 낳은 "재야 정신"』[6]에서 요시노 사쿠조와 야나기타 구니오를 비교하며 다이쇼 데모크라시 시기 재야 지식인의 역할을 분석했다.

6. 가족 관계

요시노 사쿠조의 가족 관계는 다음과 같다.[37]

관계이름설명
장녀쓰치우라 노부코건축가. 쓰치우라 가메키의 아내.
차녀아카마쓰 아키코사회 운동가. 아카마쓰 가쓰마로의 아내.
삼녀고마쓰 미쓰코고마쓰 기요시의 아내.


참조

[1] 서적 Japan Encyclopedia Google Books 2005
[2] 학술지 Yoshino Sakuzō: The Christian as Political Critic https://www.jstor.or[...] 1978-06-01 # Summer 1978을 6월 1일로 추정
[3] 서적 Urban Culture in Pre-War Japan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19-05-13
[4] 서적 (제목 없음) Google Books
[5] 서적 Academic Freedom and the Japanese Imperial University, 1868-1939 Google Books 1992
[6] 서적 日本近代建築人名総覧 中央公論新社 2021
[7] 간행물 官報 https://dl.ndl.go.jp[...] 1917-05-31 # 大正6年5月31日
[8] 문서 (제목 없음) 2006
[9] 문서 (제목 없음) 2006
[10] 문서 (제목 없음) 2006
[11] 서적 仙台一高六十年史 宮城縣立仙台第一高等学校同窓会 1956 # 昭和31年
[12] 문서 (제목 없음) 2006
[13] 문서 (제목 없음) 2006
[14] 잡지 和歌4首 1895 # 明治28年
[15] 문서 (제목 없음) 2006
[16] 문서 (제목 없음) 2006
[17] 문서 (제목 없음) 2006
[18] 웹사이트 吉野作造記念館デジタルギャラリー https://www.yoshinos[...]
[19] 잡지 清国に於ける日本人教師の現在及び将来
[20] 잡지 袁世凱を中心として観たる清国近時の政変
[21] 문서 (제목 없음) 2006
[22] 문서 (제목 없음)
[23] 문서 (제목 없음) 2006
[24] 문서 (제목 없음) 2006
[25] 잡지 寶祚萬歳 1915 # 大正4年
[26] 문서 (제목 없음)
[27] 간행물 官報 https://dl.ndl.go.jp[...] 1915-09-30 # 大正4年9月30日
[28] 문서 (제목 없음)
[29] 잡지 (제목 없음) 1919 # 大正8年
[30] 문서 (제목 없음) 2006
[31] 서적 帝国陸軍の栄光と転落 文春新書 2010-04-20
[32] 강연 シンポジウム「宮崎滔天と中国人留学生」たち~戦前期早稲田大学に学んだ中国人留学生
[33] 서적 吉野作造-人世に逆境はない
[34] 서적 同志社山脈 晃洋書房 2003
[35] 학술지 吉野作造と明治文化研究会:「ヘーゲルの法律哲学」から「嘆きの天使」まで https://dokkyo.repo.[...] 獨協大学法学会 2007-07-01 # 2007년 7월을 7월 1일로 추정
[36] 웹사이트 吉野作造記念館条例|大崎市 http://www.city.osak[...]
[37] 서적 ビッグ・リトル・ノブ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