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위스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위스인은 스위스 연방의 국민을 지칭하며, 역사적으로 다양한 민족의 혼합으로 형성되었다. 스위스는 독일어, 프랑스어, 이탈리아어, 로만슈어 등 4개의 공용어를 사용하며, 각 언어권은 고유한 문화적 특징을 지닌다. 스위스 국적은 칸톤 국적을 기반으로 하며, 귀화는 칸톤의 권한이다. 스위스 인구는 유전적으로 중앙 유럽과 유사하며, Y-DNA와 mtDNA 연구를 통해 유전적 구성을 파악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위스의 사회 - 스위스의 인구
스위스의 인구는 사회 변화와 경제 발전에 따라 변화해 왔으며, 2024년 4월 기준 약 880만 명으로 유럽 내에서 인구 밀도가 높은 편이고, 높은 삶의 질과 이민 정책으로 인구가 증가하지만 고령화 사회 진입과 사회 통합 문제 등의 과제에 직면해 있다. - 스위스의 민족 - 헬베티족
헬베티족은 로마 문헌에 기록된 골족의 부족으로, 기원전 1세기에 서쪽으로 이동하려다 카이사르와 갈리아 전쟁을 벌였고 비브락테 전투에서 패배하여 로마의 지배를 받다가 멸망했으며, 스위스 지역에 정착하여 스위스 국가 명칭과 관련된 유산을 남겼다. - 스위스의 민족 - 예니셰인
예니셰는 프랑스, 독일 등 유럽에 거주하며 예니쉬라는 고유 언어를 사용하는 민족 집단으로, 나치 정권의 박해와 격리 정책을 겪었지만 현재는 문화와 권리를 보호받고 있다.
스위스인 | |
---|---|
개요 | |
![]() | |
인구 | 890만 명 (2023년) |
해외 거주 스위스인 | 80만 명 (2023년) |
스위스 혈통 인구 | 약 1100만 ~ 1200만 명 (2023년) |
관련 민족 | 로망슈족 리히텐슈타인 국민 독일인 오스트리아인 프랑스인 이탈리아인 켈트족 |
거주 지역 | |
유럽 | 프랑스: 209,287명 독일: 99,582명 이탈리아: 51,964명 영국: 40,183명 스페인: 26,499명 오스트리아: 18,350명 네덜란드: 10,195명 벨기에: 8,651명 스웨덴: 6,601명 터키: 5,405명 리히텐슈타인: 4,878명 덴마크: 3,720명 세르비아: 3,446명 그리스: 3,048명 노르웨이: 2,956명 헝가리: 2,229명 |
아메리카 | 미국: 83,667명 캐나다: 41,463명 아르헨티나: 15,120명 브라질: 13,611명 칠레: 5,730명 멕시코: 5,289명 페루: 2,884명 콜롬비아: 2,348명 |
아시아 | 이스라엘: 23,670명 태국: 10,414명 대한민국: 1,572명 일본: 1,306명 중국: 2,564명 필리핀: 3,615명 아랍에미리트: 3,452명 |
아프리카 | 남아프리카 공화국: 7,743명 |
오세아니아 | 호주: 26,374명 뉴질랜드: 7,345명 |
언어 | |
주요 언어 | 스위스 독일어 표준 독일어 볼제 스위스 프랑스어 프랑슈-콩테어 프랑코-프로방스어 스위스 이탈리아어 롬바르드어 로망슈어 |
수화 | 스위스-독일 수화 스위스-이탈리아 수화 스위스-프랑스 수화 |
종교 | |
주요 종교 | 가톨릭교 스위스 개혁교 무신론 |
관련 용어 | |
관련 용어 | 아이드게노센샤프트(Eidgenossenschaft) 빌렌스나치온(Willensnation) |
2. 역사적 배경
(이전 출력이 없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원본 소스를 제공해주시면 위키텍스트 형식으로 작성해드리겠습니다.)
3. 민족 언어 구성
현대 스위스 영토의 민족 언어 구성은 다양하다. 주요 민족 언어 집단은 다음과 같다.
19세기 말과 20세기 초, 이탈리아에서 스위스로 상당한 이민이 유입되어 1910년에는 스위스 인구의 약 10%를 차지하기도 했다. 대공황과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이민이 일시 중단되었으나, 전쟁 이후 다시 증가했다. 1960년대 이후 스위스 이민은 급격히 늘어, 2011년 기준 스위스 전체 거주 인구의 37%가 이민 배경을 가지고 있었다.[11] 2016년 기준으로 스위스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외국어는 영어, 포르투갈어, 알바니아어, 세르보-크로아티아어, 스페인어였으며, 이들 언어는 전체 인구의 2% 이상이 주요 언어로 사용했다.[12]
3. 1. 스위스 독일인
알레만 독일어의 다양한 방언을 사용하는 스위스 독일인은 역사적으로 로마 시대의 갈리아인 인구와 융합된 사람들이다. 이들은 대부분 로마화된 헬베티족, 라우리키족, 로마 이민자 및 알레만족으로 구성되었다. 독일어를 사용하는 이웃 민족으로는 알자스인, 슈바벤족, 포어아를베르크인이 있다. 독일어 사용자는 (독일인 및 오스트리아 이민자 포함) 2020년 기준으로 인구의 62.3%를 차지했다.[9]
스위스 독일어는 방언에 따라 다음과 같이 세분할 수 있다.
스위스 연방의 핵심 8개 칸톤은 완전히 알레만어를 사용했으며, 독일어 사용자가 여전히 다수를 차지한다.
3. 2. 프랑스어 사용 스위스인
로망드라고도 불리는 프랑스어 사용 스위스인은 전통적으로 프랑코-프로방스어 방언을 사용했지만, 오늘날에는 표준 프랑스어(스위스 프랑스어)에 대부분 동화되었다. 이들은 갈로-로만족과 부르군트족 (역사적 상부 부르군디) 인구에서 합쳐졌으며, 프랑슈-콩테와 론-알프스의 프랑스인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스위스 독일어에서는 이들을 ''벨체''(단수 ''벨체'' 여성/''벨처'' 남성)라고 부른다. 프랑스어 사용자는 (프랑스인 이민자 포함) 2020년 기준으로 인구의 22.8%를 차지했다.[9]
스위스 ''로망디''는 프랑스어를 사용하는 제네바와 뇌샤텔주, 부분적으로 프랑스어를 사용하는 발레주와 베른 주라 (이전에는 바젤 주교령의 일부)가 1815년 복원된 스위스 연방에 가입하면서 형성되었다.
3. 3. 이탈리아어 사용 스위스인
스위스 이탈리아어를 사용하는 스위스인(이탈리아어: ''Svizzeri italiani'')은 전통적으로 롬바르드어(티치네 방언)를 사용했다. 이들은 그라우뷘덴주의 브레갈리아, 포스키아보, 발 메솔치나 계곡의 방언을 사용했지만, 오늘날에는 표준 이탈리아어에 부분적으로 동화되었다. 이들은 라에티족과 롬바르디아에서 기원했으며, 북부 이탈리아, 특히 롬바르디아 사람들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2020년 기준으로 스위스 인구의 8%가 이탈리아어를 사용했다. (이탈리아 이민자 포함)[10]
3. 4. 로만슈인
로만슈인은 로만슈어를 사용하며, 그라우뷘덴의 일부 지역에 정착했고 역사적으로 라에티아 계통이다.[10] 2020년 기준으로 로만슈어 사용자는 인구의 약 0.5%를 차지했다.[10]
로만슈어는 이전에는 지역 이탈리아어의 한 그룹으로 간주되었지만, 스위스는 당시 파시스트 이탈리아의 이탈리아 합병주의에 대한 반발로 1938년 로만슈어를 국어로 선언했다.
3. 5. 기타 언어 집단
스위스 연방의 핵심 8개 칸톤은 완전히 알레만어를 사용했으며, 독일어 사용자가 여전히 다수를 차지한다. 그러나 15세기부터 프랑스어를 사용하는 보의 일부와 이탈리아어를 사용하는 티치노가 각각 베른과 우리에 의해 지배 영토로 편입되었다. 스위스 ''로망디''는 프랑스어를 사용하는 제네바와 뇌샤텔주, 부분적으로 프랑스어를 사용하는 발레주와 베른 주라 (이전에는 바젤 주교령의 일부)가 1815년 복원된 스위스 연방에 가입하면서 형성되었다.
로만슈어는 이전에는 지역 이탈리아어의 한 그룹으로 간주되었지만, 스위스는 당시 파시스트 이탈리아의 이탈리아 합병주의에 대한 반발로 1938년 로만슈어를 국어로 선언했다.
4. 문화적 정체성과 국가적 통합
스위스는 다민족, 다언어 국가로서 독특한 문화적 정체성을 가지고 있다. 스위스 인구는 골족, 갈로-로마인, 알레만니족, 라에티인 등 다양한 민족이 혼합되어 형성되었다. 알프스 산맥은 스위스 문화와 국민성 형성에 큰 영향을 미쳤다.[14]
근대 초기 스위스에서 구 스위스 연방은 신성 로마 제국 내 독립 국가들의 연합체였다. 당시 중앙 스위스 주민들은 민족적, 인종적으로 서로를 구분하기도 했다.[15]
현대 스위스는 다민족, 다언어 인구를 성공적으로 통합한 사례로 평가받으며, 유럽 연합은 종종 스위스를 통합 모델로 언급한다.[16] 스위스는 언어, 민족, 종교가 아닌 주요 유럽 강대국과의 관계, 중립성, 다원주의 정책을 통해 국가 정체성을 유지해왔다.[17]
스위스 엘리트들은 민족주의 대신 민주적 이념, 공통 정치 제도, 공유된 정치 의례를 기반으로 시민 국가를 건설하고자 했다. 정치적 충성과 애국심은 연방이 아닌 칸톤에 집중되었고, 연방 차원에서는 경쟁 정신이 강했다. 카를 구스타프 융과 고트프리트 켈러는 이러한 스위스 사회 시스템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18][19]
19세기부터는 칸톤 중심의 애국심을 넘어 "범 스위스" 국가 정체성을 육성하려는 노력이 있었다. 연방 사격 대회(''티르'')와 스위스 국경일은 이러한 노력의 일환이었다.[20] 그러나 헬베티 공화국을 통해 스위스에 편입된 일부 칸톤에서는 구 스위스 연방의 상징에 대한 동일시가 어려웠다. 장크트갈렌과 같이 역사적으로 다양한 지역이 합쳐진 칸톤에서는 하위 칸톤 실체에 대한 애국심이 나타나기도 했다. 베른의 역사적 제국주의는 베른 주라 지역의 주라 분리주의와 같은 문제를 야기하기도 했다.
4. 1. 알프스 문화와 국민성

알프스 산맥은 스위스 문화에 큰 영향을 주었으며, 알프스 환경은 스위스 국민성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요소로 자주 언급된다.[14] 예를 들어, 산악 고향을 그리워하는 스위스 용병의 "스위스 병"은 17세기에 설명된 의학적 상태인 ''향수병''의 전형이 되었다.
근대 초기 스위스에서 구 스위스 연방은 신성 로마 제국 내 독립 국가 간의 조약이었다. 중앙 스위스 주민들은 스스로를 민족적, 인종적으로 분리된 것으로 간주했다. 마르틴 차일러는 ''독일 지리학''(1642)에서 운터발덴 주 내에서도 인종적 분열을 보고했는데, 오브발덴 인구는 "로마인", 니트발덴 인구는 "킴브리"(즉, 게르만족)로, 슈비츠 사람들은 스웨덴 조상으로, 우리 사람들은 "훈족 또는 고트족"으로 식별되었다고 기록했다.[15]
현대 스위스는 다민족, 다언어 인구의 성공적인 정치적 통합 사례로, 유럽 연합이 통일성을 창출하려는 노력의 모델로 스위스 연방 모델을 자주 언급한다.[16] 스위스의 다양한 인구는 언어, 민족, 종교를 공유하는 것이 아니라, 현대 유럽사에서 스위스가 위치한 주요 유럽 강대국과 공유하며, 국제적 중립과 결합된 국내 다원주의 정책은 자기 보존의 문제가 되었다.[17]
유럽 전역에 국가가 형성되는 기간 동안 스위스 엘리트들은 민족성을 기반으로 한 국어나 민족주의를 강요하지 않고, 민주적 이데올로기, 공통 정치 제도 및 공유된 정치 의례에 기반한 시민 국가를 만들고자 했다. 정치적 충성과 애국심은 연방 수준이 아닌 칸톤을 향했고, 연방 수준에서는 단결보다는 경쟁과 경쟁 정신이 우세했다. 카를 구스타프 융은 이 사회 질서 시스템을 스위스가 "만성적인 완화된 내전 상태" 중 하나로 간주하여 전쟁적 공격성을 "내향적으로" 처리하는 문명화 과정에서 세계를 앞서게 했다는 견해를 제시했다.[18] 고트프리트 켈러 또한 스위스 연방은 칸톤 간의 토착 경쟁 없이는 존재할 수 없다고 말했다.[19]
19세기부터 칸톤의 애국심을 대체하거나 완화하기 위해 연방 "범 스위스" 국가 정체성을 육성하려는 의도적인 시도가 있었다. 이 목적을 위해 동원된 전통 중에는 연방 사격 대회(''티르'')가 있었다. 이 대회는 1815년 연방 창설 이전의 몇 안 되는 범 스위스 정체성의 상징 중 하나였으며, 전통적으로 낭만적 민족주의에서 자유와 국가와 이념적으로 동일시된 농민을 포함하여 사회 모든 계층의 사람들이 참여했다.[20] 1889년에 도입된 스위스 국경일은 연방 수준의 또 다른 국가 정체성의 상징이었다. 국경일과 관련된 불길은 그 이후로 매우 관습화되어 더 오래된 ''풍켄'' 전통을 대체했다.
구 스위스 연방과 관련된 국가 상징에 대한 동일시는 이전에 스위스 연방의 회원이 아니었고 나폴레옹 시대 이후에만 스위스 칸톤 지위를 부여받은 헬베티 공화국에 가입했던 칸톤에게는 특히 어려웠다. 여기에는 특히 그라우뷘덴, 발레, 티치노, 보 및 제네바가 포함된다. 장크트갈렌은 1803년에 창설된 다양한 역사적 지역의 복합체인 다른 의미에서 특별한 경우이다. 이 경우 애국심은 토겐부르크와 같은 하위 칸톤 실체에도 부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베른의 역사적 제국주의로 인해 베른 주라에서 가장 눈에 띄는 주라 분리주의를 포함하여 베른 고원의 일부, 예를 들어 하슬리와 같은 지역에서 상당한 미결정론이 있다.
4. 2. 시민 국가와 다원주의
스위스 인구는 역사적으로 골족(가장 중요한 것은 헬베티족) 또는 갈로-로마, 알레만니족과 라에티인의 혼합에서 유래되었다. 그들의 문화 역사는 알프스 산맥이 지배하며, 알프스 환경은 종종 스위스 국민성의 형성에 중요한 요소로 인용된다.[14]
근대 초기 스위스에서, 구 스위스 연방은 신성 로마 제국 내의 독립 국가 간의 조약이었다. 중앙 스위스의 주 인구는 스스로를 민족적으로 또는 심지어 인종적으로 분리된 것으로 간주했다. 마르틴 차일러는 ''독일 지리학''(1642)에서 운터발덴 주 내에서도 인종적 분열을 보고하는데, 오브발덴의 인구는 "로마인"으로, 니트발덴의 인구는 "킴브리"(즉, 게르만족)로 식별되었으며, 슈비츠 사람들은 스웨덴 조상으로, 우리 사람들은 "훈족 또는 고트족"으로 식별되었다.[15]
현대 스위스는 다민족, 다언어 인구의 성공적인 정치적 통합에서 전형적이지 않으며, 유럽 연합이 스위스 연방 모델을 자주 언급하는 것처럼 통일성을 창출하려는 새로운 노력의 모델로 자주 인용된다.[16] 스위스의 다양한 인구가 서로 언어, 민족, 종교를 공유하는 것이 아니라 현대 유럽사에서 스위스가 위치한 주요 유럽 강대국과 공유하기 때문에, 국제적 중립과 결합된 국내 다원주의 정책은 자기 보존의 문제가 되었다.[17] 결과적으로, 유럽 전역에 국가가 형성되는 기간 동안 스위스 엘리트들은 민족성을 기반으로 한 국어나 민족주의를 강요하려 하지 않고, 민주적 이데올로기, 공통 정치 제도 및 공유된 정치 의례에 기반한 시민 국가의 창설을 추진했다. 정치적 충성과 애국심은 연방 수준이 아닌 칸톤을 향했고, 연방 수준에서는 단결보다는 경쟁과 경쟁 정신이 우세했다. 카를 구스타프 융은 이 사회 질서 시스템을 스위스가 "만성적인 완화된 내전 상태" 중 하나로 간주하여 전쟁적 공격성을 "내향적으로" 처리하는 문명화 과정에서 세계를 앞서게 했다는 견해를 제시했다.[18] 비슷한 견해가 고트프리트 켈러에게 귀속되는데, 그는 스위스 연방은 칸톤 간의 토착 경쟁 없이는 존재할 수 없다고 말했다.[19]
19세기부터 칸톤의 애국심을 대체하거나 완화하기 위해 연방 "범 스위스" 국가 정체성을 육성하려는 의도적인 시도가 있었다. 이 목적을 위해 동원된 전통 중에는 연방 사격 대회 또는 ''티르''가 있었다. 이 대회는 1815년 연방 창설 이전의 몇 안 되는 범 스위스 정체성의 상징 중 하나였으며, 전통적으로 낭만적 민족주의에서 자유와 국가와 이념적으로 동일시된 농민을 포함하여 사회 모든 계층의 사람들이 참여했다.[20] 1889년에 도입된 스위스 국경일은 연방 수준의 또 다른 국가 정체성의 상징이었다. 국경일과 관련된 불길은 그 이후로 매우 관습화되어 더 오래된 ''풍켄'' 전통을 대체했다.
구 스위스 연방과 관련된 국가 상징에 대한 동일시는 이전에 스위스 연방의 회원이 아니었고 나폴레옹 시대 이후에만 스위스 칸톤 지위를 부여받은 헬베티 공화국에 가입했던 칸톤에게 특히 어려웠다. 여기에는 특히 그라우뷘덴, 발레, 티치노, 보 및 제네바가 포함된다. 장크트갈렌은 1803년에 창설된 다양한 역사적 지역의 복합체인 다른 의미에서 특별한 경우이다. 이 경우 애국심은 토겐부르크와 같은 하위 칸톤 실체에도 부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베른의 역사적 제국주의로 인해 베른 주라에서 가장 눈에 띄는 주라 분리주의를 포함하여 베른 고원의 일부, 예를 들어 하슬리와 같은 지역에서 상당한 미결정론이 있다.
4. 3. 국가적 상징과 전통
스위스 인구는 역사적으로 골족(가장 중요한 것은 헬베티족) 또는 갈로-로마, 알레만니족과 라에티인의 혼합에서 유래되었다. 그들의 문화 역사는 알프스 산맥이 지배하며, 알프스 환경은 종종 스위스 국민성의 형성에 중요한 요소로 인용된다.[14] 예를 들어, 산악 고향을 그리워하는 스위스 용병의 상태인 "스위스 병"은 17세기에 설명된 의학적 상태인 ''향수병''의 전형이 되었다.근대 초기 스위스에서, 구 스위스 연방은 신성 로마 제국 내의 독립 국가 간의 조약이었다. 중앙 스위스의 주 인구는 스스로를 민족적으로 또는 심지어 인종적으로 분리된 것으로 간주했다. 마르틴 차일러는 ''독일 지리학''(1642)에서 운터발덴 주 내에서도 인종적 분열을 보고하는데, 오브발덴의 인구는 "로마인"으로, 니트발덴의 인구는 "킴브리(즉, 게르만족)로 식별되었으며, 슈비츠 사람들은 스웨덴 조상으로, 우리 사람들은 "훈족 또는 고트족"으로 식별되었다.[15]
현대 스위스는 다민족, 다언어 인구의 성공적인 정치적 통합에서 전형적이지 않으며, 유럽 연합이 스위스 연방 모델을 자주 언급하는 것처럼 통일성을 창출하려는 새로운 노력의 모델로 자주 인용된다.[16] 스위스의 다양한 인구가 서로 언어, 민족, 종교를 공유하는 것이 아니라 현대 유럽사에서 스위스가 위치한 주요 유럽 강대국과 공유하기 때문에, 국제적 중립과 결합된 국내 다원주의 정책은 자기 보존의 문제가 되었다.[17] 결과적으로, 유럽 전역에 국가가 형성되는 기간 동안 스위스 엘리트들은 민족성을 기반으로 한 국어나 민족주의를 강요하려 하지 않고, 민주적 이데올로기, 공통 정치 제도 및 공유된 정치 의례에 기반한 시민 국가의 창설을 추진했다. 정치적 충성과 애국심은 연방 수준이 아닌 칸톤을 향했고, 연방 수준에서는 단결보다는 경쟁과 경쟁 정신이 우세했다. 카를 구스타프 융은 이 사회 질서 시스템을 스위스가 "만성적인 완화된 내전 상태" 중 하나로 간주하여 전쟁적 공격성을 "내향적으로" 처리하는 문명화 과정에서 세계를 앞서게 했다는 견해를 제시했다.[18] 비슷한 견해가 고트프리트 켈러에게 귀속되는데, 그는 스위스 연방은 칸톤 간의 토착 경쟁 없이는 존재할 수 없다고 말했다.[19]
19세기부터 칸톤의 애국심을 대체하거나 완화하기 위해 연방 "범 스위스" 국가 정체성을 육성하려는 의도적인 시도가 있었다. 이 목적을 위해 동원된 전통 중에는 연방 사격 대회 또는 ''티르''가 있었다. 이 대회는 1815년 연방 창설 이전의 몇 안 되는 범 스위스 정체성의 상징 중 하나였으며, 전통적으로 낭만적 민족주의에서 자유와 국가와 이념적으로 동일시된 농민을 포함하여 사회 모든 계층의 사람들이 참여했다.[20] 1889년에 도입된 스위스 국경일은 연방 수준의 또 다른 국가 정체성의 상징이었다. 국경일과 관련된 불길은 그 이후로 매우 관습화되어 더 오래된 ''풍켄'' 전통을 대체했다.
구 스위스 연방과 관련된 국가 상징에 대한 동일시는 이전에 스위스 연방의 회원이 아니었고 나폴레옹 시대 이후에만 스위스 칸톤 지위를 부여받은 헬베티 공화국에 가입했던 칸톤에게 특히 어려웠다. 여기에는 특히 그라우뷘덴, 발레, 티치노, 보 및 제네바가 포함된다. 장크트갈렌은 1803년에 창설된 다양한 역사적 지역의 복합체인 다른 의미에서 특별한 경우이다. 이 경우 애국심은 토겐부르크와 같은 하위 칸톤 실체에도 부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베른의 역사적 제국주의로 인해 베른 주라에서 가장 눈에 띄는 주라 분리주의를 포함하여 베른 고원의 일부, 예를 들어 하슬리와 같은 지역에서 상당한 미결정론이 있다.
5. 스위스 국적과 시민권
스위스 국적은 스위스 칸톤 중 하나에 속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며, 외국인의 귀화는 칸톤의 권한이다. 1915년 이전에는 스위스 여권이 발급되지 않았고, 시민들은 칸톤에서 발급한 여권을 소지했다. 당시 연방은 시민으로 구성된 국가가 아니라 칸톤의 연방으로 간주되었다.[21]
1999년 스위스 헌법 서문에는 "스위스 국민"(''Schweizervolk'')이 주권 실체로서 "칸톤"과 함께 언급되며, 제1조는 "국민과 칸톤[... ]은 스위스 연방을 구성한다"고 명시한다. 제37조는 여전히 스위스 국적을 코뮌 및 칸톤 국적에서 상속받는 것으로 정의한다.[23]
스위스는 유럽에서 비귀화 거주자의 비율이 높은 국가 중 하나로, 2003년에는 35,424명이 귀화했다. 1983년부터 2007년까지 25년 동안 479,264명의 외국인 거주자가 스위스 국적을 취득했다.[28]
5. 1. 국적법과 귀화
스위스 국적은 주로 스위스 칸톤 중 하나에 속하는 국적이며, 외국 시민의 귀화는 칸톤의 특권이다. 1848년 스위스 헌법은 칸톤이 다른 칸톤의 시민에게 부여해야 하는 특정 권리(예: 거주권)를 규정했다.[21] 1874년 스위스 헌법은 스위스 국적을 칸톤 국적에서 상속받는 것으로 정의했다.[22] 1999년 스위스 헌법 제37조는 스위스 국적을 코뮌 및 칸톤 국적에서 상속받는 것으로 정의한다.[23]스위스 국적은 전적으로 ''혈통주의''에 기반하기 때문에, 신분증에는 출생지가 아닌 원적지가 기록된다. 스위스 국적은 "원적지"(''Heimatort'' 또는 ''Bürgerort'', "고향 코뮌, 국적 코뮌")와 관련된 칸톤 국적과 연결되어 있으며, 시민의 원적지는 아버지로부터 상속된다. 2012년부터 시민의 원적지인 지방 자치 단체 또는 칸톤은 더 이상 해당 시민에게 사회 복지를 제공할 책임이 없다.[24] 2013년부터 여성은 결혼 시 남편의 원적지를 더 이상 취득하지 않는다.[25]
칸톤이 귀화에 대한 책임을 지는 동안, 연방 스위스 국적법은 귀화에 필요한 최소 요건을 규제한다. 2018년 법 개정으로 최소 10년(경우에 따라 5년)의 거주 기간 후 귀화가 가능해졌다. 추가 요건은 지원자가 "잘 통합"되어 있고 "스위스 생활에 익숙"해야 하며 스위스의 국어 중 하나에 대한 구두 및 서면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는 것이다.[26] 연방 법률은 귀화에 대한 최소 요건만 명시하고 있으며, 칸톤은 더 엄격한 요건을 도입할 수 있다.[27] 실제로 칸톤은 귀화 절차를 코뮌에 위임한다.
인구의 25%가 외국인인 스위스는 유럽에서 비귀화 거주자의 비율이 가장 높은 국가 중 하나이다. 2003년에는 35,424명의 거주자가 귀화했으며, 1983년부터 2007년까지 25년 동안 479,264명의 외국인 거주자가 귀화했다.[28]
5. 2. 원적지 제도
스위스 국적은 주로 스위스 칸톤 중 하나에 속하는 국적이며, 외국 시민의 귀화는 칸톤의 특권이다. 1915년 이전에는 시민들이 칸톤에서 발급한 여권을 소지했는데, 연방은 시민으로서의 자연인으로 구성된 국가가 아니라 칸톤의 연방으로 간주되었다.[21]1848년 스위스 헌법은 칸톤이 다른 칸톤의 시민에게 부여해야 하는 특정 권리(예: 거주권, 귀화 시민의 경우 5년 후)를 규정했다.[21] 1874년 스위스 헌법은 스위스 국적을 칸톤 국적에서 상속받는 것으로 정의했다.[22] 1999년 스위스 헌법 서문에서 "스위스 국민"(''Schweizervolk'')은 주권 실체로서 "칸톤"과 함께 언급되며, 제1조는 "국민과 칸톤[... ]은 스위스 연방을 구성한다"고 명시한다. 제37조는 여전히 스위스 국적을 코뮌 및 칸톤 국적에서 상속받는 것으로 정의한다.[23]
스위스 국적은 혈통주의에 기반하기 때문에, 신분증에는 출생지가 아닌 원적지가 기록된다. 스위스 국적은 "원적지"(''Heimatort'' 또는 ''Bürgerort'', "고향 코뮌, 국적 코뮌")와 관련된 칸톤 국적과 연결되어 있으므로, 시민의 원적지는 아버지로부터 상속된다(사생아 또는 아버지가 국적을 갖고 있지 않은 경우 어머니로부터).
귀화 절차 외에서 원적지의 중요성은 21세기 초에 점차 폐지되었다. 2012년부터 시민의 원적지인 지방 자치 단체 또는 칸톤은 더 이상 해당 시민에게 사회 복지를 제공할 책임이 없다.[24] 2013년부터 여성은 결혼 시 남편의 원적지를 더 이상 취득하지 않는다.[25]
6. 유전적 구성
스위스 인구의 유전적 구성은 일반적으로 중앙 유럽과 유사하다. 한편으로는 여러 선사 시대의 이동의 교차로에 있는 스위스이고, 다른 한편으로는 알프스 산맥이 어떤 경우에는 피난처 역할을 했다. 유전자 연구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하플로그룹이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플로그룹 R1b-U152 (R1b-S28로도 알려짐)는 스위스인에게서 빈번하게 나타나는 하플로그룹이며, 그 다음으로 R1b-U106/R1b-S21가 뒤따른다.
참조
[1]
웹사이트
Bestand und Entwicklung der Bevölkerung der Schweiz im Jahr 2023: Definitive Ergebnisse
https://www.bfs.admi[...]
Swiss Federal Statistical Office (FSO), Swiss Confederation
2023-12-31
[2]
웹사이트
Swiss citizens living abroad by country of residence, 1993-2023 Bundesamt für statistik
https://www.bfs.admi[...]
[3]
문서
Swiss Americans
http://factfinder.ce[...]
[4]
웹사이트
2024년 9월 출입국외국인정책 통계월보
https://www.immigrat[...]
2024-10-21
[5]
웹사이트
在留外国人統計
https://www.e-stat.g[...]
2023-12-15
[6]
웹사이트
Ständige Wohnbevölkerung ab 15 Jahren nach Religionszugehörigkeit
https://www.bfs.admi[...]
Swiss Central Statistical Office
[7]
웹사이트
Ständige Wohnbevölkerung ab 15 Jahren nach doppelter Staatszugehörigkeit (2016)
https://www.bfs.admi[...]
[8]
백과사전
Schwyz
[9]
서적
One Europe, Many Nations: A Historical Dictionary of European National Groups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2000
[10]
웹사이트
Languages
https://www.bfs.admi[...]
[11]
웹사이트
Population résidante permanente de 15 ans et plus, ventilée selon le statut migratoire et le canton
http://www.bfs.admin[...]
Office fédéral de la statistique
[12]
웹사이트
Ständige Wohnbevölkerung nach Hauptsprachen 2016
https://www.bfs.admi[...]
BFS
2018-02-28
[13]
문서
Painting commissioned for the chamber of the Council of States in the Federal Palace
[14]
서적
Heritage, memory and the politics of identity: new perspectives on the cultural landscape
Ashgate Publishing
2007
[15]
서적
Ueber die Sage von der Herkunft der Schwyzer und Oberhasler aus Schweden und Friesland
https://archive.org/[...]
1877
[16]
서적
2007
[17]
서적
1956
[18]
서적
Carl Gustav Jung
1997
[19]
서적
2007
[20]
서적
2007
[21]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1848
http://www.verfassun[...]
[22]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1874
http://www.verfassun[...]
[23]
웹사이트
Federal Constitution of the Swiss Confederation of 18 April 1999 (SR 101)
https://www.admin.ch[...]
[24]
웹사이트
Der Heimatort wird irrelevant
https://www.nzz.ch/d[...]
NZZ
2012-01-08
[25]
법률
Swiss nationality law, Art. 161 ZGB.
[26]
웹사이트
Regular naturalisation
http://www.bfm.admin[...]
[27]
웹사이트
Naturalisation: on ne devient pas Suisse partout de la même façon
http://archives.24he[...]
Archives.24heures.ch
2011-03-22
[28]
웹사이트
Bundesamt für Migration
http://www.bfm.admin[...]
[29]
웹사이트
Persons Granted British Citizenship, 2004
http://www.homeoffic[...]
[30]
웹사이트
relativegenetics.com
http://www.relativeg[...]
[31]
문서
Associated with the Neolithic Revolution
[32]
웹사이트
Relativegenetics.com
http://www.relativeg[...]
[33]
웹사이트
Relativegenetics.com
http://www.relativeg[...]
[34]
웹사이트
Relativegenetics.com
http://www.relativeg[...]
[35]
웹사이트
relativegenetics.com
http://www.relativeg[...]
[36]
웹아카이브
https://web.archive.[...]
2015-05-01
[37]
웹아카이브
https://web.archive.[...]
2008-06-25
[38]
웹인용
Ständige Wohnbevölkerung ab 15 Jahren nach doppelter Staatszugehörigkeit (2016)
https://web.archive.[...]
2018-04-20
[38]
웹인용
Auslandschweizerstatistik 2016
https://www.eda.admi[...]
2018-04-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