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헬베티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헬베티족은 로마 문헌에 '헬베티이'로 기록된 골족의 부족으로, '땅이 풍요로운'이라는 의미를 지닌다. 기원전 1세기에 헬베티족은 수에비족의 공격을 피해 서쪽으로 이동하려 했고, 이 과정에서 로마의 갈리아 나르보넨시스를 통과하려다 카이사르의 반대에 부딪혀 갈리아 전쟁이 발발했다. 헬베티족은 비브락테 전투에서 로마군에게 패배하여 많은 수가 사망하고, 일부는 포로로 잡히거나 고향으로 돌아갔다. 이후 로마의 지배를 받게 되었고, 68/69년 봉기 이후 자치권을 누리다 멸망했다. 헬베티족은 스위스 지역의 켈트족 오피다를 건설했고, 스위스의 국가명칭과 관련된 유산을 남겼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헬베티족 - 아벤티쿰
    아벤티쿰은 스위스에 위치한 고대 로마 도시로, 헬베티족의 정착지에서 로마 시대로 발전하여 헬베티아의 수도로 번성했으며, 원형 경기장 등 다양한 유적이 남아 있다.
  • 헬베티족 - 아그리 데쿠마테스
    아그리 데쿠마테스는 로마 제국 시대 라인 강과 도나우 강 사이 독일 남서부 지역으로, 로마에 점령되어 약 200년간 지배를 받았으며, 로마 제국에 전략적으로 중요하고 곡물을 공급하는 역할을 했다.
  • 포이데라티 - 라티움 동맹
    라티움 동맹은 기원전 7세기경 라티움 지역 도시들이 결성한 군사 동맹으로, 로마와 상호 방위 조약을 맺었으나 로마의 세력 확장에 따라 라티움 전쟁 후 해체되어 로마 제국 발전의 기반이 되었다.
  • 포이데라티 - 수에비
    수에비족은 게르만족의 일파로 발트해 남부에서 기원하여 게르마니아 지역으로 이주, 로마 제국과 충돌하며 이베리아 반도에 수에비 왕국을 건설했고, 그 흔적이 현대 독일 슈바벤 지역에 남아있다.
  • 스위스의 민족 - 스위스인
    스위스인은 스위스에 거주하거나 국적을 가진 사람들로, 골족, 갈로-로마인, 알레만니족, 라에티족의 혼합에서 유래했으며, 다양한 언어와 문화를 가진 민족 집단으로 구성되어 알프스 산맥의 영향을 받은 문화를 공유하며 칸톤에 속한 시민권을 가진다.
  • 스위스의 민족 - 예니셰인
    예니셰는 프랑스, 독일 등 유럽에 거주하며 예니쉬라는 고유 언어를 사용하는 민족 집단으로, 나치 정권의 박해와 격리 정책을 겪었지만 현재는 문화와 권리를 보호받고 있다.
헬베티족
개요
1세기 경의 갈리아 부족 지도
1세기 경의 갈리아 부족 지도. 헬베티족은 원으로 표시됨.
다른 이름토우게노이 (Τωυγενοί, 그리스어)
위치스위스
민족 정보
민족켈트족
언어갈리아어
역사
기원기원전 2세기 말 또는 1세기 초
주요 사건기원전 58년: 율리우스 카이사르에게 패배
관련 부족티구리니족
투링기족
라우라키족
라토비키족
보이이족
문화
종교켈트 다신교
기타
로마자 표기Helvetii

2. 명칭

헬베티족은 키케로(기원전 1세기 중반), 카이사르(기원전 1세기 중반), 타키투스(2세기 초)에 의해 ''헬베티이''(Helvetii)로 언급되었으며,[6][7][8] 생격으로 리비우스(기원전 1세기 후반)에 의해 ''헬베티오룸''(Helvetiorum)으로,[9] 플리니우스(1세기 중반)에 의해 ''헬베티''(Helveti)로,[10] 프톨레마이오스(2세기)에 의해 ''엘루에티오이''(Ἐλουήτιοι)로 언급되었다.[11][12]

골족 민족 명칭 ''헬베티이''(Helvetii)는 일반적으로 '땅이 풍요로운'으로 해석되며, 이는 '다수'를 뜻하는 ''elu''-(고대 아일랜드어 ''il''과 유사)가 '목초지'를 뜻하는 ''etu''- (고대 아일랜드어 ''iath''와 유사)에 결합된 형태이다.[3][12] 초기 ''h''-는 고대 형태의 흔적을 증명한다.

이 이름의 가장 초기의 증거는 기원전 300년경으로 추정되는 만토바의 한 용기에서 발견된 ''낙서''(graffito)에 있다.[13] 에트루리아 문자로 된 이 비문은 ''eluveitie''로, 이는 켈트어 ''elu̯eti̯os''("헬베티아인")의 에트루리아어 형태로 해석되어 만토바에 살고 있던 헬베티아 출신의 남자를 지칭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3. 부족 구성

헬베티족은 4개의 파기(pagi, 하위 부족)로 나뉘었다. 카이사르는 그중 베르비게니족(《갈리아 전쟁기》 1.27)과 티구리니족(1.12)만을 언급했고, 포세이도니우스는 티구리니족과 투게니족(Τωυγενοί|토우게노이grc)을 언급했다.[14]

카이사르에 따르면, 헬베티족이 버린 영토는 400개의 마을과 12개의 오피둠(요새화된 정착지)으로 구성되었다.[15]

4. 역사

가이우스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갈리아 전기』에 따르면, 기원전 1세기 헬베티족은 수에비족의 공격을 받고 있었다. 당시 족장이었던 오르게토리크스는 부족을 이끌고 서쪽으로 이동하기로 결정했고, 이는 갈리아 전쟁의 계기가 되었다.[34][35][36]

『갈리아 전기』에 따르면, 헬베티족 전체 인구는 390,000명이었고, 이 중 110,000명이 무기를 소지할 수 있는 성인 남자였다. 반면 카이사르가 이끄는 로마군은 6개 군단 29,000명이었으며, 카이사르는 새롭게 2개 군단을 동원했다.

헬베티족은 손 강을 건너는 과정에서 카이사르가 이끄는 로마 군의 공격을 받았고 (손 강 전투), 비브락테 부근에서 벌어진 전투에서 크게 패배하였다. (비브락테 전투)[2][37] 이 과정에서 헬베티족의 약 6할이 살해당하고 2할이 포로가 되었으며, 나머지는 흩어져 헬베티아로 돌아갔다.

기원전 52년, 아르베르니족베르킨게토릭스가 로마에 대항하여 봉기했을 때, 10,000명의 헬베티족이 이에 가담했다.

4. 1. 초기 역사 및 정착

키케로(기원전 1세기 중반), 카이사르(기원전 1세기 중반), 타키투스(2세기 초)는 헬베티족을 ''헬베티이''(Helvetii)로 언급했으며,[6][7][8] 리비우스(기원전 1세기 후반)는 생격으로 ''헬베티오룸''(Helvetiorum)으로,[9] 플리니우스(1세기 중반)는 ''헬베티''(Helveti)로,[10] 프톨레마이오스(2세기)는 ''엘루에티오이''(Ἐλουήτιοι)로 불렀다.[11][12]

골족 민족 명칭 ''헬베티이''(Helvetii)는 '땅이 풍요로운'이라는 뜻의 ''(h)elu-ētioi''로 해석된다. 이는 '다수'를 뜻하는 ''elu''- (고대 아일랜드어 ''il''과 유사)와 '목초지'를 뜻하는 ''etu''- (고대 아일랜드어 ''iath''와 유사)가 결합된 형태이다.[3][12] 인도유럽 조어 ''*pelh1u-''에서 켈트어 ''helu-''를 거쳐 ''elu-''로 변화하는 과정에서 초기 ''p''-의 흔적인 초기 ''h''-가 나타나는 것은 고대 형태의 흔적을 보여준다.

이 이름의 가장 초기의 증거는 기원전 300년경으로 추정되는 만토바의 한 용기에서 발견된 ''낙서''(graffito)에 있다.[13] 에트루리아 문자로 된 이 비문은 ''eluveitie''로, 이는 켈트어 ''elu̯eti̯os''("헬베티아인")의 에트루리아어 형태로 해석되어 만토바에 살고 있던 헬베티아 출신의 남자를 지칭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킴브리족과 암브론족의 게르만 부족은 기원전 111년경에 남부 독일로 진출했을 가능성이 높으며, 그곳에서 티구리니족과, 아마도 테우토니-투토노이-토이게노이가 합류했을 것이다.(후자 집단의 정확한 정체성은 불분명하다).[29]

이 부족들은 로마의 나르보넨시스 속주를 포함한 갈리아를 공동 침공하기 시작했고, 이는 기원전 107년 아겐디쿰 근처에서 L. 카시우스 롱기누스 휘하의 로마 군대가 티구리니족에게 패배하고 집정관이 사망하는 결과를 낳았다. 카이사르에 따르면, 포로로 잡힌 로마 군인들은 승리한 갈리아인들에 의해 설치된 멍에를 지나가도록 명령받았는데, 이는 공적, 사적으로 모두 복수를 요구하는 수치였다.[30] 카이사르는 이 사건에 대한 유일한 서술 자료이며, 리비우스의 역사서에서 해당 책들은 내용 요약 목록인 ''페리오케''로만 보존되어 있는데, 여기에는 로마인들이 제공한 인질에 대한 언급은 있지만 멍에는 언급되어 있지 않다.[31]

기원전 105년에 동맹군은 아라우시오 근처에서 또 다른 로마 군대를 격파하고 스페인, 갈리아, 노리쿰, 북부 이탈리아를 약탈했다. 기원전 103년에 그들은 두 그룹으로 나뉘었고, 테우토네스족과 암브론족은 ''속주''를 통과하는 서쪽 경로로 행진했고, 킴브리족과 티구리니족은 동알프스(아마도 브레너 고개)를 건넜다. 기원전 102년에 가이우스 마리우스가 아쿠아 섹스티아이 근처에서 테우토네스족과 암브론족을 학살한 반면, 킴브리족과 티구리니족은 파단 평원에서 겨울을 보냈다. 이듬해 마리우스는 베르켈라이 전투에서 사실상 킴브리족을 궤멸시켰다. 킴브리족을 따를 계획이었던 티구리니족은 전리품을 가지고 알프스를 넘어 돌아와 습격에 참여하지 않은 헬베티족에 합류했다.

4. 2. 카이사르와 헬베티족의 갈리아 전쟁 (기원전 58년)



가이우스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갈리아 전기』에 따르면, 기원전 1세기 헬베티족은 수에비족의 공격을 받고 있었다. 당시 족장이었던 오르게토리크스는 부족을 이끌고 서쪽으로 이동하기로 결정했다. 이를 위해서는 당시 로마의 속주였던 갈리아 나르보넨시스(현재의 프로방스) 일대를 통과해야만 했다. 오르게토리크스는 속주 총독 카이사르에게 통과 허가를 요청했지만, 카이사르는 이를 거절했다. 오르게토리크스는 강행 돌파를 결의했고, 이것이 갈리아 전쟁의 계기가 되었다.[34][35][36]

『갈리아 전기』에 따르면, 헬베티족 전체 인구는 390,000명이었고, 이 중 110,000명이 무기를 소지할 수 있는 성인 남자였다. 반면 카이사르가 이끄는 로마군은 6개 군단 29,000명이었다. 카이사르는 새롭게 2개 군단을 동원했다.

헬베티족은 손 강을 건너는 과정에서 카이사르가 이끄는 로마 군의 공격을 받았고 (손 강 전투), 비브락테 부근에서 벌어진 전투에서 크게 패배하였다. (비브락테 전투)[2][37] 이 과정에서 헬베티족의 약 6할이 살해당하고 2할이 포로가 되었으며, 나머지는 흩어져 헬베티아로 돌아갔다. 붙잡힌 헬베티족은 노예로 팔리거나 카이사르의 군단에 흡수되었다.

기원전 52년, 아르베르니족베르킨게토릭스가 로마에 대항하여 봉기했을 때, 10,000명의 헬베티족이 이에 가담했다.

카이사르는 헬베티족 야영지에서 발견된 그리스 문자로 된 목록을 통해 헬베티족과 동맹 부족들의 총 인구를 추정했다.[40] 그러나 현대 학자들은 카이사르의 기록이 과장되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본다.[42]

4. 2. 1. 배경

카이사르의 갈리아 전기에 따르면, 헬베티족은 그가 갈리아에서 처음으로 마주한 부족이었다.[32] 헬베티족의 귀족 오르게토리크스는 새로운 이주를 주도했는데, 카이사르는 헬베티족 전체가 그들의 영토를 떠나 갈리아 전체를 지배하려 했다고 기록했다. 이 이주는 3년에 걸쳐 계획되었으며, 오르게토리크스는 인접 부족인 세콰니의 카스티쿠스, 아에두이의 두므노릭스와 공모하여 각자 자신의 나라에서 쿠데타를 일으키고 세 명의 왕이 협력하기로 했다. 오르게토리크스가 왕이 되려는 야망을 품었다는 소식이 헬베티족에게 전해지자 그는 재판에 소환되었고, 유죄 판결을 받으면 화형에 처해질 위기에 놓였다. 그는 1만 명의 추종자와 노예를 거느리고 공청회에 참석하여 판결을 피했지만, 당국이 소집한 대규모 병력이 그를 체포하기 전에 설명할 수 없는 상황에서 죽었고, 헬베티족은 그가 자살했다고 믿었다.[34]

헬베티족은 이주 계획을 포기하지 않고, 기원전 58년에 집을 불태웠다.[35] 그들은 인접 지역의 여러 부족 집단, 라우리치, 라토브리게, 툴링기, 노레아를 포위했던 보이 집단과 합류했다.[36] 그들은 산토네스 (상통)에 정착하려는 의도로 집을 버렸다.

4. 2. 2. 손 강 전투

카이사르가 제네바의 다리를 해체하여 헬베티족의 진격을 막자, 헬베티족은 세콰니족 영토를 통과하는 북쪽 경로를 택했다. 아에두이족의 땅을 유린한 후, 헬베티족은 손 강을 건너기 시작했다. 이때 카이사르는 강을 건너는 헬베티족을 공격하여 격파했다.[37] 이 전투에서 죽은 이들은 티구리니족으로, 카이사르는 이들을 죽임으로써 공화국과 그의 가문을 위해 복수했다고 언급했다.[37]

4. 2. 3. 비브락테 전투

두므노릭스가 이끄는 카이사르의 아이두이 동맹군은 헬베티족과의 기병 전투에서 패배했지만, 헬베티족은 계속 이동했다. 한편 카이사르의 군대는 오르제토릭스의 사주를 받은 두므노릭스 때문에 곡물 공급이 지연되어 발이 묶였다. 두므노릭스는 오르제토릭스의 딸과 결혼한 상태였다. 며칠 후, 카이사르는 아이두이의 비브락테 부근에서 헬베티족을 따라잡아 대규모 전투를 벌였다. 이 전투에서 헬베티족은 패배하고 로마군은 헬베티족의 짐 대부분을 빼앗았다.

헬베티족은 보급품 대부분을 뒤에 남겨두고 4일 만에 약 60km를 이동하여 링고네스 (오늘날의 랑그르 고원) 땅에 도착했다. 카이사르는 전투 후 3일이 지나서야 그들을 추격했고, 링고네스에게 헬베티족을 돕지 말라는 경고를 보냈다. 헬베티족은 즉시 항복하고 인질을 제공했으며, 다음 날 무기를 넘기기로 했다. 밤중에 베르비게니족 6,000명이 학살될까 두려워 진영에서 도망쳤다. 카이사르는 기병을 보내 그들을 추격했고, 붙잡힌 자들은 "적으로 간주"되어 노예로 팔려갔을 것으로 추정된다.

가이우스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갈리아 전기』에 따르면, 헬베티족은 아에두이족의 도시 비브락테 부근에서 로마군에게 공격받아 패배했다. 헬베티족의 약 60%가 살해당하고 20%가 포로가 되었으며, 나머지는 흩어져 헬베티아로 돌아갔다. 붙잡힌 헬베티족은 노예로 팔리거나 카이사르의 군단에 흡수되었다.[2]

4. 2. 4. 이주민의 귀환

카이사르는 라인강 전선을 게르만족으로부터 방어하기 위해 헬베티족, 툴링기족, 라토브리기를 고향으로 돌려보내고 집을 재건하도록 했다. 알로브로게스에게는 이들에게 충분한 곡물을 공급하도록 지시했다. 라우리키는 돌아온 후 바젤-뮌스터휘겔에 새로운 ''오피둠''(oppidum)을 건설한 것으로 보인다. 아에두이족은 보이족이 동맹으로서 자신들의 영토인 ''오피둠'' 고르고비나에 정착하기를 바랐고, 그 소원이 받아들여졌다.[39]

키케로는 기원전 56년 자신의 연설 ''[http://la.wikisource.org/wiki/Pro_Cornelio_Balbo Pro Balbo]''에서 헬베티족을 공화국의 시민도, 신민도 아니지만 조약에 의해 로마에게 일정 수의 병력을 지원해야 하는 ''페데라티''(foederati), 즉 동맹국으로 언급했다.[39] 이는 헬베티족이 로마와 대등한 관계를 맺었음을 보여준다.

비브락테 부근에서 벌어진 전투에서 헬베티족은 로마군에게 패배했다. 이 전투로 헬베티족의 약 6할이 살해당하고, 2할이 포로가 되었으며, 나머지는 흩어져 헬베티아로 돌아갔다. 붙잡힌 헬베티족은 노예로 팔리거나 카이사르의 군단에 흡수되었다.

기원전 52년 아르베르니족베르킨게토릭스가 로마에 대항하여 봉기했을 때, 10,000명의 헬베티족이 이에 가담했다.

4. 2. 5. 카이사르의 인구 보고

가이우스 율리우스 카이사르는 헬베티족 야영지에서 발견된 그리스 문자로 된 목록을 통해 헬베티족과 동맹 부족들의 총 인구를 추정했다.[40] 이 목록에는 무기를 들 수 있는 남성의 이름과 함께 여성, 어린이, 노인의 수가 기록되어 있었다. 카이사르는 이 기록을 바탕으로 헬베티족 263,000명, 툴린기 36,000명, 라토브리지 14,000명, 라우라키 23,000명, 보이이 32,000명으로 총 368,000명이며, 이 중 92,000명이 전사였다고 주장했다. 고향으로 돌아온 생존자는 110,000명으로, 이주민의 약 30%만이 전쟁에서 살아남았다고 한다.

그러나 현대 학자들은 카이사르의 기록이 과장되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본다.[42] 다른 자료에서는 헬베티족의 인구를 300,000명 (플루타르코스) 또는 200,000명 (아피아노스)으로 추정한다.[43] 푸르거-군티는 전투 병력이 60,000명 이상인 것은 비현실적이며, 실제로는 총 160,000명의 이주민 중 약 40,000명의 전사였을 것이라고 추정한다.[44] 델브뤼크는 더 낮은 숫자인 100,000명(전사 16,000명)을 제시하며, 이는 로마군 병력(약 30,000명)의 절반 정도였을 것이라고 추정한다.[45]

4. 3. 로마의 속민이 된 헬베티족

비브락테 전투 이후 헬베티족은 로마의 동맹 부족(포에데라티)으로서의 지위를 잃었을 가능성이 크다. 기원전 52년 베르킨게토릭스를 지원하면서 헬베티족은 8,000명, 라우라키는 2,000명의 병력을 제공했다.[14] 기원전 50년에서 45년 사이, 로마는 헬베티족 정착지였던 '노비오두눔'(현재의 니옹) 부지에 '콜로니아 율리아 에퀘스트리스'를 건설했고, 기원전 44년경에는 라우라키족 영토에 '콜로니아 라우리카'를 건설했다. 이 식민지들은 헬베티족 영토와 나머지 갈리아 사이의 가장 중요한 두 군사 접근로를 통제하고, 계곡과 순트가우를 통과하는 길을 막기 위해 설립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아우구스투스 통치 시기에 로마의 지배는 더욱 강화되었다. 빈도니사나 바실레아(현재의 바젤)와 같은 일부 전통적인 켈트족의 오피다(요새화된 도시)는 군단 주둔지로 사용되었고, 다른 곳들은 이전되었다. 예를 들어 부아 드 샤텔의 언덕 요새 주민들은 인근 아벤티쿰에 새로운 "수도"인 키비타스를 건설했다. 헬베티족의 이전 영토와 그 주민들은 처음에는 로마 속주 갈리아 벨기카에 편입되었고, 나중에는 게르마니아 수페리오르에, 마지막으로는 디오클레티아누스의 막시마 세콰노룸 속주에 편입되어 갈리아의 나머지 지역처럼 철저하게 로마화되었다.

4. 4. 68/69년 봉기

네로 황제 사후인 68년, 헬베티족은 부족으로서 마지막으로 보이는 사건을 일으켰다. 다른 갈리아 부족들과 마찬가지로 헬베티족은 ''키비타스''로 조직되었고, 전통적인 4개의 ''파구스''[49]로 구성되어 자체 군대를 이용해 요새를 방어하는 등 일정 수준의 자치권을 누렸다. 네로 황제 사후 벌어진 내전에서 ''키비타스 헬베티오룸''은 갈바를 지지했다. 갈바가 죽은 것을 몰랐던 그들은 그의 경쟁자 비텔리우스의 권위를 인정하지 않았다. 빈도니사에 주둔하며 비텔리우스를 지지하던 제21군단 라팍스는 헬베티족 주둔군의 봉급을 빼앗았고, 이에 헬베티족은 비텔리우스의 사절들을 가로막고 로마군 분견대를 체포했다. 아울루스 카에키나 알리에누스는 갈바를 지지하다가 비텔리우스의 이탈리아 침공을 이끌게 되었고, 사령관 클라우디우스 세베루스 휘하의 헬베티족을 대규모 징벌 원정으로 격파했으며, 보케티우스 산에서 잔여 병력을 격파하여 수천 명을 죽이거나 노예로 만들었다. 수도 아벤티쿰은 항복했고, 헬베티족 반란의 수장으로 여겨진 율리우스 알피누스는 처형되었다. 타키투스에 따르면, ''키비타스''는 이미 광범위한 피해와 파괴를 입었음에도 불구하고, 비텔리우스에게 보낸 헬베티족 사절 클라우디우스 코수스와, 타키투스의 표현을 빌리자면 "유명한 웅변술" 덕분에 완전히 멸망하는 것을 면했다고 한다.[50]

5. 유산

헬베티족은 15세기 후반에서 16세기 초 스위스 역사학 초기에 스위스인의 조상으로 재발견되었다.[59] 헬베티족의 이름은 신라틴어로 '스위처'에 해당하는 이름으로 채택되었고, 스위스 연방은 ''Republica Helvetiorum''이라는 라틴어 이름을 부여받았다. 스위스의 국가 의인화인 헬베티아와 이 나라의 현대 신라틴어 이름인 ''Confoederatio Helvetica''(약칭 CH)는 이 전통에서 파생되었다.

골어는 3세기까지 라틴어에 의해 대부분 대체되었지만, 많은 켈트어 지명이 스위스에 남아 있다. 현재 스위스에서 가장 큰 도시 10곳 중 최소 6곳이 켈트어 지명 어원을 가지고 있으며,[56] 대부분의 주요 스위스 강은 켈트어 또는 켈트 이전 이름을 가지고 있다.[57]

2015년, 외계 행성을 가진 최초의 주계열성인 별 51 페가시([60])는 IAU의 NameExoWorlds 공모전의 일환으로 헬베티족을 기리기 위해 헬베티오스라는 이름이 붙었다.[61]

6. 스위스의 켈트족 오피다

라텐 문화 시대 스위스 고원의 인구 밀도는 로잔빈터투어 사이에서 비교적 높았다. 헬베티족의 거의 모든 ''오피둠''은 스위스 중부의 더 큰 강 근처에 건설되었다. 이 ''오피둠''들이 모두 같은 시기에 존재했던 것은 아니다. 대부분의 경우, 한두 가지 가능한 예외를 제외하고는 ''오피둠''의 갈리아어 이름이 무엇인지 전혀 알 수 없다.[62] 로마 이전의 이름이 보존된 경우 괄호 안에 추가되며, 별표(*)로 표시된 곳은 헬베티족보다는 인접 부족(라우리치족, 베라그리족 등)이 점유했을 가능성이 높다.

오피둠
알텐부르크-라인아우
바젤*
베른-엔게할빈젤 (아마도 브레노두룸[63])
부아 드 샤텔, 아방슈
에펜베르크-뵈슈나우
옌스베르크
제네바(제네바)*
로잔(로소나)
마르티니(옥토두루스)*
몽 샤이뵈프*
몽 테리*
몽 뷔리
세르무
위틀리베르크, 취리히
빈디슈 (빈도니사)


참조

[1] 서적 The Atlas of Ancient and Classical Geography J. M. Dent; E. P. Dutton
[2] 서적 Julius Caesar https://archive.org/[...] Simon and Schuster
[3] 서적 Celtic Culture: A Historical Encyclopedia ABC-CLIO
[4] 문서 Bell.Gall. 1.27 and 1.12, respectively
[5] 문서 Strabo 4.1.8, 7.2.2.
[6] 문서 Cicero. Epistulae ad Atticum, 1:19:2
[7] 문서 Caesar. Commentarii de Bello Gallico, 1:1:4
[8] 문서 Tacitus. Historiae, 1:67
[9] 문서 Livy. Ab Urbe Condita Libri, epit. 65
[10] 문서 Pliny. Naturalis Historia, 4:106
[11] 문서 Ptolemy. Geōgraphikḕ Hyphḗgēsis, 2:9:10
[12] 문서 Harvnb|Falileyev|2010, s.v. Helvetii.
[13] 문서 Reproduction in R.C. De Marinis, Gli Etruschi a Nord del Po, Mantova, 1986.
[14] 문서 Stähelin, Die Schweiz in römischer Zeit (1927) suggested a corruption of the tribal name in the manuscript tradition of Strabo. A stone marker bearing the inscription INTER TOVTONOS CAH(F?) found in Miltenberg on the Main (river)|Main (which had been the nordern border of the older Helvetian territory according to Tacitus, Germania, 28) is sometimes taken to support this theory. See Stähelin, 1948, p. 59; Strabo 4.1.8, 7.2.2. Ancient writers usually classify the Teutons as "Germanic" and the Helvetii as "Gallic", but the ethnic attributions are debatable; the fluidity of these terms is well illustrated by Ludwig Rübekeil, lang|de|Diachrone Studien zur Kontaktzone zwischen Kelten und Germanen, Vienna 2002.
[15] 문서 harvnb|Caesar|58 BC|loc=Book I Section 5
[16] 문서 harvnb|Caesar|58 BC|loc=Book I Section 29
[17] 문서 Other tribal aristocracies were the Aedui (Bell. Gall. 1.3), the Arverni (Bell. Gall. 7.4), or the Remi (Bell. Gall. 2.3).
[18] 문서 Bell. Gall. 1.4.
[19] 문서 Pliny the Elder, Historia naturalis 12.2.
[20] 문서 Strabon 7.2.2.
[21] 문서 SPM IV Eisenzeit, Basel 1999, p. 31f.
[22] 서적 Geographia Karl Tauchnitz
[23] 문서 Germ. 28.2.
[24] 문서 Keltisches Geld in Zürich: Der spektakuläre «Potinklumpen». Amt für Städtebau der Stadt Zürich, Stadtarchäologie, Zürich October 2007.
[25] 웹사이트 75 kilogrammes of Celtic small coin - Recent research on the "Potinklumpen" from Zürich http://ca.www.mcu.es[...] Ministerio de Educación, Cultura y Deporte, España 2014-12-12
[26] 문서 Beat Eberschweiler: Schädelreste, Kopeken und Radar: Vielfältige Aufgaben für die Zürcher Tauchequipe IV. In: NAU 8/2001. Amt für Städtebau der Stadt Zürich, Denkmalpflege und Archäologie Unterwasserarchäologie / Labor für Dendrochronologie. Zürich 2001.
[27] 웹사이트 Prehistoric Pile Dwellings in Switzerland http://www.palafitte[...] Swiss Coordination Group UNESCO Palafittes (palafittes.org) 2014-12-07
[28] 웹사이트 World Heritage http://www.palafitte[...] palafittes.org 2014-12-07
[29] 문서 Posidonius saw the Toutonoi/Teutoni as a subgroup of the Helvetii. Cf. Furger-Gunti, p. 76f.
[30] 문서 Bell.Gall. 1.12.
[31] 문서 L. Cassius cos. a Tigurinis Gallis, pago Heluetiorum, qui a ciuitate secesserant, in finibus Nitiobrogum cum exercitu caesus est. / Milites, qui ex ea caede superauerant, obsidibus datis et dimidia rerum omnium parte, ut incolumes dimitterentur, cum hostibus pacti sunt. (Periochae LXV)
[32] 문서 Book 1, Chapters 2-29
[33] 서적 Julius Caesar as Artful Reporter: The War Commentaries as Political Instruments Classical Press of Wales
[34] 문서 harvnb|Caesar|58 BC|loc=Book I Section 4.
[35] 서적 Berlitz: Switzerland Pocket Guide Berlitz Publishing Company 1999-04-01
[36] 서적 Caesar 58 BC
[37] 문서 Is pagus appellabatur Tigurinus; nam omnis civitas Helvetia in quattuor pagos divisa est. Hic pagus unus, cum domo exisset, patrum nostrorum memoria L. Cassium consulem interfecerat et eius exercitum sub iugum miserat. Ita sive casu sive consilio deorum immortalium quae pars civitatis Helvetiae insignem calamitatem populo Romano intulerat, ea princeps poenam persolvit. Qua in re Caesar non solum publicas, sed etiam privatas iniurias ultus est, quod eius soceri L. Pisonis avum, L. Pisonem legatum, Tigurini eodem proelio quo Cassium interfecerant. Bell. Gall.
[38] 문서 Bell. Gall.
[39] 문서 Cic.
[40] 문서 Bell. Gall.
[41] 서적
[42] 논문 Caesar und die Germanen. Studien zur polit. Tendenz römischer Feldzubgerichte. 1956
[43] 문서 To illustrate this staple of exaggeration with an example, one can take a look at the numbers given for the forces of two [[Valais]]an tribes as a basis for calculation. Caesar tells us (Bell. Gall. 3.1-6.) that his legate [[Servius Sulpicius Galba (praetor 54 BC)|Galba]] was attacked by an army of 30,000 men of the [[Veragri]] and the [[Seduni]], who lived around their capitals [[Octodurus]] and modern [[Sierre]]. Geiser (''Un monnayage celtique en Valais.'' Schweizerische numismatische Rundschau 63, p. 55-125, 1984) has been able to determine the extent of the former tribe's territory, and it will be safe to assume that the Veragri and Seduni together occupied about half the cultivated land of the [[Valais]], with the [[Nantuates]] and [[Ubii]] inhabiting the other half. As commonly done for Celtic nations, in order to arrive at the total number of people, we multiply the number of fighting men by four, thus arriving at a total population of 120,000 for the two tribes combined. By adding an equal number of people for the two other tribes, one arrives at a total of 240,000 inhabitants for the [[Valais]] valley in the 1st century BC. In contrast, the modern-day Swiss [[Cantons of Switzerland|canton]] has only 278,000 inhabitants, including the urban settlements.
[44] 서적
[45] 서적 Geschichte der Kriegskunst im Rahmen der politischen Geschichte 1900
[46] 서적
[47] 문서 Furger-Gunti (p. 116) allows only 60 km for the distance between Bibracte and the ''fines Lingonum'', while Langres and Autun are in fact separated by more than twice this distance. For the average speed of pre-motorised travel, cf. Norbert Ohler ''Reisen im Mittelalter'', p. 141.
[48] 서적
[49] 문서 CIL 13,5076 names the [[Tigurini]] as one of these ''pagi''.
[50] 문서 Tacitus Hist. 1.67-69.
[51] 서적 The History of Rome 1880
[52] 웹사이트 Hauptschlüssel zu zerschiedenen Alterthumen: oder Beschreibung [...] Galliae Comatae https://books.google[...] 1767
[53] 서적 Die Kelten und ihre Geschichte 1981
[54] 서적
[55] 웹사이트 zur kaiserzeitlichen Religionslage in der Schweiz https://books.google[...] 1954
[56] 문서 [[Zürich]] (''[[Turicum]]''), [[Geneva]] (''Genava''), [[Bern]] (''Berna'', see [[Bern zinc tablet]]), [[Lausanne]] (''Lausodunon''), [[Winterthur]] (''[[Vitudurum]]''), [[Biel/Bienne]] (''Belena'', derived from the theonym [[Belenos]]). Derivation of the names of [[Lucerne]] and [[Lugano]] are uncertain, the latter may contain the theonym [[Lugus]]. [[Basel]] is the site of a Celtic oppidum, but its name dates to the Roman era, derived from the personal name Basilius, while [[St. Gallen]] is an early medieval foundation.
[57] 문서 [[Rhine]] (''Renos''), [[Aare]] (see [[Berne zinc tablet]]), [[Rhône]] (''Rodonos''), [[Linth]]/[[Limmat]], [[Saane/Sarine]], [[Thur (Switzerland)|Thur]]. The name of the [[Reuss (river)|Reuss]] (formerly ''Silana'') is of Germanic origin.
[58] 서적 Die ersten Kulturen zwischen Alpen und Jura Schwabe 2006
[59] 문서 The identification of ''Suecia, alias Helvicia, inde Helvici, id est Suetones'' is found in a gloss from [[Reichenau Abbey|Reichenau]], dated to the late 15th century. Guy P. Marchal, "Die frommen Schweden in Schwyz: Das 'Herkommen der Schwyzer und Oberhasler' als Quelle zum schwyzerischen Selbstverständnis im 15. und 16. Jahrhundert", ''Basler Beiträge zur zur Geschichtswissenschaft'' Vol. 138), Basel/Stuttgart 1976, p. 65. 1976
[60] 간행물 A Jupiter-mass companion to a solar-type star 1995
[61] 웹사이트 NameExoWorlds The Approved Names https://web.archive.[...] 2016-07-28
[62] 서적 1984
[63] 웹사이트 Bern, Engehalbinsel, Römerbad http://www.erz.be.ch[...]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