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르나르 드 클레르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베르나르 드 클레르보는 1090년 프랑스에서 태어나 1153년 사망한 신학자이자 설교가이다. 그는 시토회에 입회하여 클레르보 수도원장이 되었으며, 교황 분열 해결, 이단 척결, 제2차 십자군 설교 등 활발한 활동을 펼쳤다. 신비주의적이고 실천적인 신학을 강조하며, 마리아론과 기도를 중시했다. 그의 저술은 중세 교회 사상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꿀처럼 달콤한 박사'로 칭송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153년 사망 - 안나 콤니니
유럽 최초의 여성 역사가로 알려진 안나 콤니니는 비잔티움 제국 황제의 딸로서, 아버지의 치세를 기록한 역사서 『알렉시아스』를 저술하여 비잔티움 제국 역사 연구에 기여했으나 정치적 편향성 논란도 있다. - 1153년 사망 - 다이라노 다다모리
다이라노 다다모리는 헤이안 시대 후기의 무장으로, 시라카와 법황과 도바 상황을 섬기며 교토 치안 유지와 해적 토벌에 기여했으며, 아들 다이라노 기요모리가 헤이케 정권을 수립하는 기반을 마련했다. - 12세기 로마 가톨릭 신학자 - 안셀무스 칸투아리엔시스
안셀무스 칸투아리엔시스는 '이해하기 위하여 나는 믿는다'는 신념으로 신앙과 이성의 조화를 추구한 중세 스콜라 철학의 선구자이자 신학자, 철학자로서, 르 벡 수도원 원장과 캔터베리 대주교를 역임하며 주요 저서를 남겼고 잉글랜드 국왕과의 서임권 투쟁에서 교회의 독립을 옹호했다. - 12세기 로마 가톨릭 신학자 - 힐데가르트 폰 빙엔
힐데가르트 폰 빙엔은 1098년경 태어난 신성 로마 제국의 베네딕토회 수녀이자, 신비주의자, 작가, 작곡가, 철학자, 의학자로서 환시를 바탕으로 다양한 저술과 음악 작품을 남겼으며, 자연과 인간의 조화를 강조하는 의학 사상으로 현대에도 영향을 주고 2012년 교회 학자로 지명되었다.
베르나르 드 클레르보 | |
---|---|
기본 정보 | |
![]() | |
존칭 접두사 | 성인 |
이름 | 베르나르도 디 키아라발레 |
존칭 접미사 | 오. 치스트. |
칭호 | 교회 박사 감미로운 박사 교부 시대의 마지막 고해 사제 아빠스 |
출생 | 1090년경 |
출생지 | 부르고뉴, 폰텐레디종, 프랑스 왕국 |
사망일 | 1153년 8월 20일 (62–63세) |
사망지 | 샹파뉴, 클레르보 수도원, 클레르보, 프랑스 왕국 |
공경하는 교파 | 가톨릭교회 성공회 루터교 |
시복일 | 해당 없음 |
시성일 | 1174년 1월 18일 |
시성 장소 | 교황령, 로마 |
시성자 | 교황 알렉산데르 3세 |
주요 성지 | 트루아 대성당 |
상징물 | 시토회 수도복 책 주교 지팡이 |
수호 | 시토회 부르고뉴 양봉가 양초 제조업자 지브롤터 알헤시라스 퀸스 칼리지, 케임브리지 슈파이어 대성당 템플 기사단 비낭고난, 리잘 |
생애 | |
영향 | 해당 없음 |
영향을 준 인물 | 해당 없음 |
주요 저서 | |
주요 저서 | 해당 없음 |
2. 생애
베르나르 드 클레르보는 1090년 프랑스 디종 근처 퐁텐레디종의 귀족 가문에서 태어났다. 세속적인 교육을 마친 후, 22세에 31명의 사람들과 함께 시토회에 들어갔다. 시토회는 베네딕토회의 수도 규칙을 따르는 부르고뉴의 개척 수도원이었다. 1115년, 베르나르는 클레르보에 있는 시토회 수도원의 자원 수도원장이 되었으며, 이후 많은 자원을 설립했다.[2]
초기에 베르나르는 지나치게 엄격하다는 비판을 받기도 했지만, 기도 시간을 줄이고 음식을 개선하는 등 수도원의 상태를 향상시켰다. 그는 《신애론》, 《강론집 아가》 등 많은 저술을 남겼다.[5]
2. 1. 초기 생애 (1090-1113)
베르나르는 1090년 프랑스 디종 근처 퐁텐레디종의 부유한 귀족 가문에서 태어났다.[2] 그의 아버지는 퐁텐레디종의 영주 테셀린 드 퐁텐이었고, 어머니는 몽바르의 알레트 드 몽바르로, 두 사람 모두 부르고뉴 최고 귀족 가문 출신이었다.[2] 베르나르는 일곱 자녀 중 셋째였으며, 그 중 여섯은 아들이었다. 9살 때 샤티용쉬르센에 있는 세속 성직자들이 운영하는 학교에 보내져 문학과 수사학에 큰 관심을 보였다.[2]베르나르의 어머니는 그가 젊었을 때 사망했다.[2] 그는 사제들과 함께 교육을 받는 동안 사제가 될 것을 자주 생각했으나, 가족들은 그가 군인이 되기를 바랐다. 하지만 베르나르는 어머니의 영향으로 수도원에 들어가고 싶어 했다.[29]
1098년, 몰렘의 로베르가 이끄는 한 무리가 디종 근처에 시토 수도원을 설립했다. 이들은 성 베네딕토 규칙을 문자 그대로 해석하여 생활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고, 수도원들 사이에 새로운 행정 구조를 수립하여 사실상 시토회라는 새로운 수도회를 창설했다.[2]
어머니가 돌아가신 후, 베르나르는 시토 수도원으로 가기로 결심했다. 1113년, 그는 부르고뉴 출신의 다른 젊은 귀족 30명과 함께 시토회에 입회하여 수도 생활을 시작했다.[3],[29],[30] 베르나르의 모범은 매우 설득력이 있어서 그의 아버지도 그를 따라 수도원 생활을 하게 되었다.[3]
2. 2. 클레르보 수도원장 (1115-1153)
1115년, 베르나르는 12명의 수도승들과 함께 랑그르 교구의 발레 다브상트(Vallée d'Absinthe)에 새로운 수도원을 세우기 위해 파견되었다. 베르나르는 이 곳의 이름을 '클레르 발레(Claire Vallée)' 또는 '클레르보(Clairvaux)'라고 명명했고, 베르나르와 클레르보의 이름은 곧 뗄 수 없는 관계가 되었다. 베르나르는 샬롱 쉬르 마른 주교인 윌리엄 드 샹포에 의해 수도원장이 되었다. 그 후 수도원장과 주교 사이에는 굳건한 우정이 싹텄다.[5]클레르보 수도원의 시작은 검소했고 베르나르도 마찬가지였다. 그는 수련기 이후 극심한 단식으로 인해 자주 병을 앓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수도 생활을 원하는 많은 사람들이 그에게 몰려들었다. 클레르보는 곧 새로운 공동체를 설립하기 시작했다. 1118년에는 샬롱 교구에 트루아 퐁텐 수도원이, 1119년에는 오텬 교구에 퐁트네 수도원이, 1121년에는 베르뱅 근처에 푸아니 수도원이 설립되었다. 베르나르 생전에 60개 이상의 수도원이 뒤따랐다.[5]
수도원장 베르나르는 처음엔 지나치게 엄격하다는 이유로 수도회의 비난을 받기도 하였으나, 기도 시간을 줄이고 음식을 개선했으며 지역 주교의 도움으로 수도원의 일치를 강화하여 수도원의 상태를 크게 향상시켰다.
성공 외에도 베르나르는 시련을 겪기도 했다. 한번은 그가 클레르보에 부재중일 때, 경쟁 관계에 있던 클뤼니 수도원의 부원장이 클레르보에 와서 베르나르의 사촌인 샤티용의 로베르를 설득하여 베네딕토회원이 되도록 했다. 그의 형제 제라르가 죽었을 때 베르나르는 큰 슬픔에 잠겼다.[8]
클뤼니 베네딕토회는 시토회가 너무 빠르게 두각을 나타내는 것을 탐탁지 않아 했는데, 특히 많은 베네딕토회원들이 시토회원이 되면서 더욱 그랬다. 그들은 시토회의 생활 방식을 비판했다. 생-티에리의 윌리엄의 요청에 따라 베르나르는 자신의 《변명》으로 시토회를 변호했다. 클뤼니 수도원장인 피터 더 베너러블은 베르나르에게 답장을 보내 그의 존경과 우정을 확신했다. 한편, 클뤼니는 개혁을 시작했고 베르나르는 수제르 수도원장과 친분을 맺었다.[9]
그는 종교개혁가 장 칼뱅에게도 영향을 주었다.[40] 존 칼빈과 마르틴 루터는 베르나르를 여러 번 인용하여 ''오직 믿음'' 교리를 뒷받침했다. 칼빈은 또한 그를 인용하여, 통상적으로 전가된 의라고 불리는, 법정적 타인의 의 교리를 제시했다.
2. 3. 교회 정치와 분열 (1130-1139)
1130년 교황 호노리우스 2세가 사망하자, 교황 인노첸시오 2세와 대립 교황 아나클레토 2세가 선출되어 교회에 분열이 일어났다.[16] 인노첸시오 2세는 아나클레토 2세에 의해 로마에서 추방되어 프랑스로 피신했고, 루이 6세는 에탕프에서 프랑스 주교 회의를 소집했다. 베르나르는 주교들에 의해 소환되어 경쟁 교황들 사이에서 판결을 내리는 역할을 맡았고, 인노첸시오 2세를 지지했다.[16]베르나르는 이탈리아로 건너가 피사와 제노아를 화해시키고, 밀라노를 교황과 화해시켰다. 같은 해, 랭스 공의회에 인노첸시오 2세와 함께 참석했다. 이후 아키텐으로 가서 아키텐 공작 기욤 10세를 아나클레토 2세 지지에서 떼어내는 데 성공했다.[16]

독일은 베르나르의 친구 잔텐의 노르베르트를 통해 인노첸시오 2세를 지지하기로 결정했다. 교황 인노첸시오 2세는 신성 로마 제국 황제 로타르 2세를 만날 때 베르나르의 동행을 고집했다. 로타르 2세는 인노첸시오 2세의 가장 강력한 동맹이 되었다. 에탕프, 부르츠부르크, 클레르몽 공의회, 랭스 공의회 모두 인노첸시오 2세를 지지했지만, 기독교 세계의 상당 부분은 여전히 아나클레토 2세를 지지했다.
베르나르는 독일 황제 로타르에게 보낸 편지에서 대립 교황 아나클레토 2세에 대해 "유대인이 성 베드로의 옥좌에 앉아 있는 것은 그리스도에게 수치스러운 일"이며 "아나클레토는 친구들에게조차 평판이 좋지 않은 반면, 인노첸시오는 의심할 여지 없이 빛나고 있다"라고 썼다.[17]
베르나르는 앙굴렘의 제라르에게 편지를 써서 그가 아나클레토 2세를 지지하는 이유에 대해 의문을 제기했다. 베르나르는 나중에 제라르가 분열 기간 동안 자신의 가장 강력한 적이라고 언급했다. 제라르를 설득한 후, 아키텐 공작 기욤 10세를 방문하여 설득했다. 1135년까지 기욤 10세는 인노첸시오 2세에게 충성을 맹세하지 않았다. 이후 베르나르는 대부분의 시간을 이탈리아에서 이탈리아인들이 인노첸시오 2세에게 충성을 맹세하도록 설득하는 데 보냈다.
1132년, 베르나르는 인노첸시오 2세와 함께 이탈리아로 갔고, 클뤼니에서 교황은 클레르보가 그 수도원에 지불해야 했던 부과금을 폐지했다. 이 조치로 인해 백색 수도사와 흑색 수도사 사이의 20년간 지속된 싸움이 일어났다. 그 해 5월, 로타르 3세의 군대 지원을 받은 교황은 로마에 입성했지만, 로타르 3세는 아나클레토 2세 추종자들에게 저항하기에는 너무 약하다고 느껴 알프스 너머로 물러났고, 인노첸시오 2세는 1133년 9월 피사로 피신했다. 베르나르는 6월에 프랑스로 돌아와 1130년에 시작한 평화 조성을 계속하고 있었다.
1134년 말, 그는 아키텐으로 두 번째 여행을 갔는데, 기욤 10세가 분열로 재발했다. 베르나르는 기욤을 라 쿠드레 교회에서 자신이 집전하는 미사에 초대했다. 성찬례에서 그는 "공작에게 하나님의 종들을 멸시하는 것처럼 하나님을 멸시하지 말라"라고 훈계했다. 기욤은 굴복했고 분열은 끝났다.
베르나르는 다시 이탈리아로 가서 시칠리아의 로제 2세가 피사인들이 인노첸시오 2세에게 충성을 철회하도록 노력했다. 그는 폐위된 밀라노 대주교 안셀모 5세를 따랐던 밀라노시를 교황에게 복종하도록 불렀다. 이를 위해 그는 밀라노 주교구를 제안받았지만 거절했다. 그 후 그는 클레르보로 돌아갔다.
1137년, 교황의 명령에 따라 다시 수도원을 떠나 로타르와 시칠리아의 로제 간의 싸움을 종식시켜야 했다. 팔레르모에서 열린 회의에서 베르나르는 로제에게 인노첸시오 2세의 권리를 설득하는 데 성공했다. 그는 또한 분열을 지지하는 마지막 지지자들을 침묵시켰다. 아나클레토 2세는 1138년 "슬픔과 실망"으로 사망했고, 그와 함께 분열이 끝났다.
1139년, 베르나르는 제2차 라테란 공의회에 참석하여 분열의 생존 추종자들을 최종적으로 정죄했다.
2. 4. 아벨라르와의 논쟁 (1141)
11세기 말, 철학과 신학 학교에서 독립 정신이 싹텄다. 이 운동은 피에르 아벨라르라는 열렬하고 강력한 옹호자를 얻었다. 아벨라르의 삼위일체에 관한 논문은 1121년 이단으로 정죄되었고, 그는 자신의 책을 불태워야 했다. 그러나 아벨라르는 논란이 많은 자신의 가르침을 계속 발전시켰다. 베르나르는 아벨라르를 만나 그의 저술을 수정하도록 설득하려 했고, 아벨라르는 뉘우치고 그렇게 하겠다고 약속했다고 한다. 그러나 베르나르가 자리를 떠나자 그는 약속을 어겼다.[17]베르나르는 아벨라르를 교황청의 교황과 추기경들에게 고발했다. 아벨라르는 베르나르와의 공개 토론을 원했지만, 베르나르는 처음에는 거절하며, 그런 중요한 문제는 논리적 분석으로 해결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베르나르가 생 티에리 윌리엄에게 보낸 편지에서도 그는 탁월한 논리학자와 대결하는 것에 대한 불안감을 드러냈다. 아벨라르는 공개 토론을 계속 압박했고, 자신의 도전을 널리 알려 베르나르가 거절하기 어렵게 만들었다. 1141년, 아벨라르의 권유로 센스 대주교는 주교 회의를 소집했고, 아벨라르와 베르나르는 각자의 주장을 펼쳐 아벨라르가 자신의 명예를 회복할 기회를 얻게 되었다.[17]
베르나르는 토론 전날 밤에 성직자들에게 로비를 벌여 그들 중 많은 사람들을 자신의 견해로 돌렸다. 다음 날, 베르나르가 시작 발언을 한 후, 아벨라르는 답변을 시도하지 않고 물러나기로 결정했다.[17] 회의는 베르나르의 편을 들었고, 그들의 판결은 교황에 의해 확정되었다. 아벨라르는 저항 없이 굴복했고, 존경받는 베드로의 보호 아래 살기 위해 클뤼니로 은퇴했으며, 그곳에서 2년 후 사망했다.
1140년의 상스 종교 회의에서, 당대 최고의 학식으로 명성을 떨치던 기예의 학자 아벨라르는 연하의 베르나르두스 앞에서 맥을 못 추고 토론 중에 퇴장했다. 결국 아벨라르는 유죄 선고를 받았다.[36]
2. 5. 이단과의 투쟁
베르나르 드 클레르보는 로잔의 앙리와 같은 이단 설교자들에 맞서 프랑스 남부 지역을 순회하며 설교하여 이들의 영향력을 약화시켰다.[37] 오스티아의 알베리코 추기경의 초청으로 프랑스 남부를 방문하여 설교했는데, 그의 고행적인 외모와 단순한 복장은 그가 새로운 종파를 멸망시키는 데 도움을 주었다. 앙리쿠스파와 페트루부르시안 신앙은 그해 말까지 쇠퇴하기 시작했다.[37]로잔의 앙리는 체포되어 툴루즈 주교 앞에 소환되었고, 아마도 종신형을 선고받았을 것이다.[37] 베르나르는 1146년 말에 쓰여진 것으로 보이는 툴루즈 사람들에게 보낸 편지에서, 이단의 마지막 잔재를 근절할 것을 촉구했다. 그는 카타리파에 대해서도 설교했다.[37]
2. 6. 십자군 설교 (1146-1149)
1144년, 에데사 공방전에서 기독교 세력이 셀주크 투르크에게 패배하고 예루살렘 왕국 등 십자군 국가들이 위기에 처하자, 킬리키아 아르메니아 왕국과 프랑스 왕국이 교황에게 지원을 요청했다.[20] 이에 에우제니오 3세는 베르나르 드 클레르보에게 제2차 십자군을 설교하도록 지시하고, 교황 우르바노 2세가 제1차 십자군에 부여했던 것과 같은 면죄부를 부여했다.[20]1095년 제1차 십자군 때와 달리 처음에는 대중의 열정이 거의 없었으나, 베르나르는 십자가를 짊어지는 것을 죄의 사면과 은총을 얻는 강력한 수단으로 강조했다.[20] 1146년 3월 31일, 프랑스 왕 루이 7세가 참석한 가운데 베즐레에서 "생애 최고의 연설"을 통해 수많은 군중을 십자군에 참여시켰다.[20] 새로운 지원병을 위한 십자가를 만드는 데 사용된 천이 바닥날 정도였다.[20]
제1차 십자군과 달리, 제2차 십자군에는 프랑스 왕비 아키텐의 엘레오노르와 수많은 고위 귀족 및 주교와 같은 왕족들이 참여했다.[20] 베르나르는 며칠 후 교황 에우제니우스에게 "도시와 성들이 이제 비어 있습니다. 일곱 명의 여자에게 한 명의 남자가 남아 있지 않으며, 곳곳에 아직 살아있는 남편이 있는 미망인들이 있습니다."라고 편지를 썼다.[20]
베르나르는 독일로 건너가 독일 왕 콘라트 3세와 그의 조카 프리드리히 1세를 십자군에 참여시켰다.[20] 교황 에우제니우스도 직접 프랑스로 와서 십자군 운동을 장려했다.[20] 그러나 제1차 십자군 때처럼 설교는 유대인에 대한 공격으로 이어졌다.[20] 라돌프라는 광신적인 프랑스 수도사가 라인란트, 쾰른, 마인츠, 보름스, 슈파이어에서 유대인 학살을 부추기자, 쾰른 대주교와 마인츠 대주교의 요청을 받은 베르나르는 직접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플랑드르에서 독일로 이동하여 라돌프를 찾아 그를 침묵시키고 수도원으로 돌려보냈다.[20]

그러나 제2차 십자군의 실패로 인해 베르나르는 큰 슬픔에 잠겼고, 모든 책임이 그에게 쏟아졌다. 베르나르는 교황에게 사과문을 보내고, 자신의 ''"고찰의 서"'' 두 번째 부분에서 십자군들의 죄가 그들의 불행과 실패의 원인이었다고 설명했다.[38]
2. 7. 벤드 십자군 (1147)
베르나르는 벤드 십자군을 직접 설교하지는 않았지만, 서슬라브족이 제2차 십자군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진압해야 한다는 편지를 썼다.[21] 그는 "신의 도움으로 개종하거나 제거될 때까지" 그들과 싸워야 한다고 주장했다.[21] 프랑크푸르트에서 발표된 칙령은 이 편지를 널리 알리고 읽도록 명시하여, "그 편지가 설교의 역할을 했다."[22]2. 8. 말년 (1149-1153)
베르나르는 말년에 제2차 십자군의 실패로 큰 슬픔을 겪었고, 그 책임이 자신에게 있다고 여겼다. 그는 교황에게 사과문을 보내 십자군들의 죄가 실패의 원인이라고 설명했다.[23]
동시대 사람들의 죽음은 베르나르에게 자신의 죽음이 가까워졌음을 알리는 듯했다. 1152년에는 쉬제르가 먼저 사망했고, 베르나르는 교황 에우제니우스 3세에게 그를 기리는 편지를 썼다.[23] 같은 해, 독일 왕 콘라트 3세와 그의 아들 하인리히도 세상을 떠났다.
베르나르는 40년간의 수도원 생활을 마치고 1153년 8월 20일, 63세의 나이로 클레르보 수도원에서 사망했다.[23] 그는 클레르보 수도원에 묻혔으나, 1792년 프랑스 혁명으로 수도원이 파괴된 후 그의 유해는 트루아 대성당으로 옮겨졌다.
3. 사상과 저술
베르나르 드 클레르보는 신비주의적이고 실천적인 신학을 강조했으며, 그의 저술은 중세 교회 사상에 큰 영향을 미쳤다. 주요 저서로는 『겸손과 교만의 단계』, 『하느님 사랑에 관하여』, 『은총과 자유 의지에 관하여』, 『새로운 기사도 찬양』, 『숙고에 관하여』, 『성 말라키, 아일랜드 주교의 삶과 죽음』, 『아가의 설교』 등이 있다.
특히, 『아가의 설교』는 성경의 아가서를 영적으로 해석하여 그리스도와 영혼의 사랑을 노래한 작품으로, 중세 신비주의 문학의 걸작으로 평가받는다.[19] 십자가의 요한과 같은 다른 신비주의자들도 아가서에서 그들의 언어와 상징을 찾았다.[19] 클레르보 수도승들에게 한 설교에서 기원했을 수 있지만, 이론은 다르다. 이 설교에는 자전적인 구절과 그의 형제 제라드의 죽음을 애도하는 설교 26편이 있다. 베르나르가 죽은 후, 영국의 시토회 수도사 길버트 오브 호일랜드는 성경 아가에 관한 베르나르의 미완성 설교 86편을 계속했다.
그의 저서들은 다음과 같다.
원제 | 한국어 번역 제목 | 비고 |
---|---|---|
De gradibus humilitatis et superbiaela | 겸손과 오만의 단계 | 1120년경 |
Apologia ad Guillelmum Sancti Theoderici Abbatemla | 생 테오도리크의 빌헬름에게 보낸 변호 | 클뤼니 수도원의 주장에 대한 시토회의 변호 |
De conversione ad clericos sermo seu liberla | 성직자들의 회심에 관하여 | 1122년 |
De gratia et libero arbitriola | 은총과 자유 의지에 관하여 | 1128년경 |
De diligendo Deila | 하느님 사랑에 관하여 | |
Liber ad milites templi de laude novae militiaela | 새로운 기사도 찬양 | 1129년[26] |
De praecepto et dispensatione librila | 규범과 특권의 책 | 1144년경 |
De considerationela | 숙고에 관하여 | 교황 에우제니오 3세에게 보냄, 1150년경 |
Liber De vita et rebus gestis Sancti Malachiae Hiberniae Episcopila | 성 말라키, 아일랜드 주교의 삶과 죽음 | |
De moribus et officio episcoporumla | 주교의 의무에 관한 편지 | 앙리 상글리에, 센스 대주교에게 보냄 |
그의 설교 또한 많다.
- 125편의 Sermones per annumla (전례 연도에 관한 설교)
- Sermones de diversisla (다양한 주제에 관한 설교)
- 547통의 편지
많은 편지, 논문 및 기타 작품이 그에게 잘못 귀속되었다. 여기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 L'échelle du cloître프랑스어 (수도원의 사다리, 1150년경, Guigo I의 가명)
- Meditatiola (묵상, 13세기 어느 시점에 쓰여졌을 것으로 추정)
- L'édification de la maison intérieure프랑스어
4. 유산과 평가
베르나르는 사후 수세기 동안 영향력을 유지했으며, 1830년에 교회학자로 지정되었다. 1953년, 그의 서거 800주년을 기념하여 교황 비오 12세는 회칙 ''꿀처럼 달콤한 박사(Doctor Mellifluus)''를 그에게 헌정했다. 비오 12세는 베르나르를 "마지막 교부"라고 칭했다.[11]
베르나르는 스콜라 철학자들이 하나님을 이해하기 위해 사용한 합리적인 접근 방식에 반대하여, 더 직접적인 신앙 경험을 키우기 위해 감성과 회심에 호소하는 시적인 방식으로 설교했다. 그는 기독교 수사학의 대가로 여겨지며, 그의 언어 사용은 아마도 그의 가장 보편적인 유산으로 남아있다.[12] 그는 시토회 찬송가에 가사를 기고했다.
마리아론 학자로서 베르나르는 기독교 신학에서 마리아의 중심적인 역할을 강조했으며, 마리아 숭배에 대해 효과적으로 설교했다. 그는 마리아의 공동 구원자이자 중재자로서의 역할에 대한 신학을 발전시켰다.[13]
기도의 대가로서, 베르나르는 그리스도와의 개인적이고 경험적인 우정의 가치를 강조했다.[14]
베르나르는 자신감 있는 인상을 주었고, 동시대인들의 눈에는 부인할 수 없는 카리스마를 가지고 있었다. 역사가 홀즈워스는 "그의 첫 번째이자 가장 위대한 기적은 그 자신이었다."라고 썼다.[15]
그의 신학과 마리아론은 여전히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베르나르는 유럽 각지에 163개의 수도원을 설립하는 데 기여했다. 시토회는 그를 가장 위대한 초기 시토회 수도사 중 한 명으로 존경하며, 그의 축일은 8월 20일이다.
베르나르는 단테 알리기에리의 『신곡』에서 단테가 천국을 여행할 때 마지막 안내자 역할을 한다.[24]
종교 개혁 시기 존 칼빈과 마르틴 루터는 베르나르를 여러 번 인용하여 ''오직 믿음'' 교리를 뒷받침했다.[25] 칼빈은 또한 그를 인용하여, 통상적으로 전가된 의라고 불리는, 법정적 타인의 의, 즉 그의 교리를 제시했다. 베르나르는 중세 신학에 "근본적인 방향 전환"이라는 주요한 변화를 도입했다.
퐁텐레디종(Fontaine-lès-Dijon)에 위치한 쿠방 에 바실리크 생 베르나르(Couvent et Basilique Saint-Bernard)는 베르나르에게 헌정되었다. 수많은 교회와 예배당이 성 베르나르를 수호 성인으로 모시고 있다.
참조
[1]
서적
Lesser Feasts and Fasts 2018
https://books.google[...]
Church Publishing, Inc.
2019-12-17
[2]
간행물
Conference Notes on Stephen Harding as the Sole Author of the Carta Caritatis: Did the Carta found the Order?
https://www.amad.org[...]
2020
[3]
서적
Bernard of Clairvaux, Saint. Defender of Christianity Against Rationalism
Taylor & Francis
[4]
웹사이트
St. Bernard of Clairvaux – Promoter of the Religious Life Par Excellence
https://vocationblog[...]
2017-08-20
[5]
서적
The Cistercian Evolution: The Invention of a Religious Order in Twelfth-Century Europ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2010
[6]
서적
The Soul of the Apostolate
[7]
Citation
Chapter One. Bernard of Clairvaux: The Chimera of His Age
https://www.degruyt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11-03-15
[8]
간행물
"Exeat Sane ad Oculos Filiorum: The Holiness of Grief and Vulnerability in Sermon 26 of the Sermones super Cantica Canticorum of Bernard of Clairvaux,"
2023
[9]
간행물
The "Crisis of Cenobitism" Reconsidered: Benedictine Monasticism in the Years 1050-1150
https://www.journals[...]
1986
[10]
서적
The difficult saint: Bernard of Clairvaux and his tradition
Cistercian Publications
1991
[11]
웹사이트
Doctor Mellifluus
https://www.vatican.[...]
1953-05-24
[12]
간행물
The Experience of Reading: Bernard of Clairvaux "Sermons on the Song of Songs", I
https://www.jstor.or[...]
1987
[13]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Mar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9-08-07
[14]
간행물
Jesus as Mother and Abbot as Mother: Some Themes in Twelfth-Century Cistercian Writing
https://www.jstor.or[...]
1977
[15]
Citation
Bernard of Clairvaux: his first and greatest miracle was himself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2-11-22
[16]
간행물
The Gregorian Ideal and Saint Bernard of Clairvaux
https://www.jstor.or[...]
1960
[17]
웹사이트
Pierleóni nell'Enciclopedia Treccani
http://www.treccani.[...]
[18]
웹사이트
Preaching Conversion through the Beatitudes: Bernard of Clairvaux's Ad clericos de conversione
https://media.christ[...]
1995-12-24
[19]
간행물
The Virile Bride of Bernard of Clairvaux
https://www.jstor.or[...]
2000
[20]
서적
The age of Faith; a history of medieval civilization (Christian, Islamic, and Judaic) from Constantine to Dante, A.D. 325-1300
https://books.google[...]
Simon and Schuster
1935
[21]
서적
The northern Crusades
https://www.worldcat[...]
Penguin
1997
[22]
서적
Bernard of Clairvaux, the 1143/44 Sermons and the 1145 Preaching Mission: From the Domestic to the Lord’s Vineyard
Boydell & Brewer
2001
[23]
서적
The Life and Times of St. Bernard
[24]
문서
Paradiso (Dante)
[25]
간행물
Review of Bernard of Clairvaux by G. R. Evans
https://www.jstor.or[...]
2000
[26]
서적
In Praise of the New Chivalry
https://books.google[...]
Dalcassian Publishing Company
2011-06
[27]
문서
[28]
문서
[29]
웹사이트
聖ベルナルド修道院長教会博士 Laudate 女子パウロ会
http://www.pauline.o[...]
[30]
문서
[31]
웹사이트
St. Bernard of Clairvaux A Catholic Life
https://acatholiclif[...]
[32]
문서
[33]
웹사이트
St. Bernard of Clairvaux Catholic Encyclopedia
http://www.newadvent[...]
[34]
문서
[35]
문서
[36]
서적
1999
[37]
서적
1999
[38]
서적
1999
[39]
서적
1999
[40]
서적
Recovering the Reformed confession : our theology, piety, and practice
https://www.worldcat[...]
20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