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리아의 이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시리아의 이삭은 7세기에 활동한 동방 교회의 신학자이자 수도사이다. 메소포타미아에서 태어나 니네베의 주교로 서품되었으나, 은둔 생활을 선호하여 사임하고 수도원에서 생을 마감했다. 그는 영적인 설교와 저술을 통해 내면 생활과 신학적 깊이를 강조했으며, 동방 정교회와 오리엔트 정교회, 동방 교회에서 성인으로 존경받고 있다. 그의 저작은 다양한 언어로 번역되었으며, 특히 만인 구원론과 자비, 겸손, 믿음을 강조하는 사상으로 평가받는다. 2024년 11월 9일, 교황 프란치스코는 그를 로마 순교록에 추가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7세기 기독교 성인 - 교황 에우제니오 1세
에우제니오 1세는 온화한 성품으로 동로마 황제의 지지하에 교황으로 선출되었으나, 단성론 반대와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 불인정으로 황제와 갈등을 겪었으며, 이후 성인으로 시성되어 기념되고 있다. - 7세기 기독교 성인 - 교황 그레고리오 1세
교황 그레고리오 1세는 6세기 후반 로마 교황으로, '하느님의 종들의 종'이라는 칭호를 사용하며 교황권의 봉사 강조, 교회 개혁, 앵글로색슨족 기독교 전파, 전례 개정 및 그레고리오 성가 발전, 그리고 중세 영성에 큰 영향을 미친 저술 활동을 했다.
시리아의 이삭 | |
---|---|
기본 정보 | |
이름 | 이사악 시리아인 |
다른 이름 | 이사악 니네베인 |
본명 | 마리 이사악 드니네와 |
로마자 표기 | Isḥaq of Nineveh |
시리아어 | ܡܪܝ ܐܝܣܚܩ ܕܢܝܢܘܐ |
그리스어 | Ἰσαὰκ Σῦρος |
출생지 | 베트 카트라이 |
사망 | 700년 경 |
사망지 | 니네베, 우마이야 칼리파조 |
공경 | 동방 교회 가톨릭 교회 동방 정교회 오리엔트 정교회 |
기념일 | 1월 28일 |
직함 | 주교 수도사 |
상징물 | 터번 망토 두루마리 필기도구 |
주요 성지 | 라반 호르미즈드 수도원 |
![]() | |
생애 | |
활동 시기 | 7세기 |
신학 | |
주제 | 사랑, 믿음, 기도, 금욕주의, 겸손 |
2. 생애
시리아의 이삭은 니네베의 이삭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이라크를 중심으로 널리 퍼져 있는, 현재 아시리아 동방 교회(네스토리우스파)의 일원이었다. 그는 7세기 전반 페르시아만 서안의 현재 카타르에서 태어났다.[52]
이삭이 살았던 시대는 이슬람교의 발흥 시대였지만, 그의 시대에는 기독교인과 이슬람교도가 반드시 적대적인 관계는 아니었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52]
2. 1. 초기 생애와 수도 생활
메소포타미아 남동부와 아라비아 반도 북동부를 포함하는 시리아어와 아랍어가 혼합된 지역인 동부 아라비아의 베스 카트레이 지역에서 태어났다.[6][7][8] 그는 아주 어렸을 때 수도원에 들어가 금욕주의 실천에 힘을 쏟았다. 수도원 부속 도서관에서 수년간 공부한 끝에 신학계의 권위 있는 인물로 떠올랐다. 얼마 지나지 않아 수도원 생활에 평생을 바쳤고 베스 카트레이 지역 전역의 종교 교육에 참여했다. 가톨리코스 기워기스 1세(661~680)가 676년에 베스 카트레이를 방문했을 때, 멀리 북쪽에 있는 아시리아의 니네베 주교로 이삭을 임명했다.[9]형제와 함께 수도원에 들어갔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숙련된 수도 생활이 다른 수도사들에게 인정받게 되었고, 수도원의 지도자로 추대되기에 이르렀다. 조용함을 좋아했던 이삭은 이를 거절하고 수도원을 떠나 은둔했으며, 형제들의 수도원으로 돌아오라는 설득에도 응하지 않았다.[53]
2. 2. 니네베 주교 임명과 사임
메소포타미아 남동부와 아라비아 반도 북동부를 포함하는 시리아어와 아랍어가 혼합된 지역인 동부 아라비아의 베스 카트레이 지역에서 태어났다.[6][7][8] 수도원에 들어가 금욕주의 실천에 힘을 쏟았으며, 수도원 부속 도서관에서 수년간 공부한 끝에 신학계의 권위 있는 인물로 떠올랐다. 수도원 생활에 평생을 바쳤고 베스 카트레이 지역 전역의 종교 교육에 참여했다. 동방 교회의 가톨리코스인 기워기스 1세(661~680)가 676년에 시노드에 참석하기 위해 베트 카트라이예를 방문했을 때, 이삭을 북쪽 멀리 아시리아의 니네베 주교로 서품했다.[9]행정적인 임무는 그의 은둔적이고 고행적인 성향과 맞지 않아, 불과 5개월 만에 사임을 요청하고 남쪽의 마토우 산의 황야로 가서 은수자들의 피난처가 되었다. 그곳에서 수년 동안 홀로 살면서 일주일에 빵 세 덩이와 익히지 않은 채소를 조금 먹었는데, 이 세부 사항은 그의 성인전 작가들을 항상 놀라게 했다. 결국 실명과 노령으로 인해 메소포타미아의 랍반 샤부르 아시리아 수도원으로 은퇴해야 했고, 그곳에서 사망하여 묻혔다. 그가 죽을 무렵 거의 실명 상태였는데, 일부는 그의 학문에 대한 헌신 때문이라고 한다.
2. 3. 만년과 죽음
가톨리코스 기워기스 1세(661~680)가 676년에 베스 카트레이를 방문했을 때, 이삭은 북쪽의 아시리아 니네베의 주교로 임명되었다.[9] 그러나 행정 업무는 은둔적이고 금욕적인 그의 성향과 맞지 않아, 5개월 만에 사임을 요청하고 남쪽의 마트아우트산 광야로 가서 은수자가 되었다.[53] 그는 그곳에서 수년 동안 고독하게 살았으며, 일주일에 빵 세 개와 익히지 않은 채소만을 먹었다.[9]결국 실명과 노령으로 인해 메소포타미아에 있는 아시리아 수도원인 라반 샤부르로 물러나 그곳에서 죽고 묻혔다. 그는 사망할 당시 거의 눈이 먼 상태였는데, 일부 사람들은 그가 공부에 전념했기 때문이라고 말한다.[9]
3. 저작 및 유산
이삭은 내면 생활에 대한 영적인 설교로 기억되며, 이는 인간적인 폭과 초월적인 신학적 깊이를 가지고 있다.[10] 그의 저작들은 시리아어 필사본과 후기 그리스어, 아랍어, 조지아어 번역본으로 남아 있으며,[11] 그리스어에서 슬라브어로도 번역되었다.[12] 8세기와 9세기 동안 그의 교회 외부의 수도원 집단에서도 지속적으로 연구되었다.
이삭은 동방 신비주의 성자들의 전통에 서 있으며, 성령의 활동을 상당히 강조했다. 그의 우울한 문체와 아픈 사람, 죽어가는 사람에 대한 친밀함은 동방 정교회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10] 게헨나(불의 호수, 즉 지옥)의 신비로 하느님이 사람들을 끝없이 벌한다는 개념은 그의 모든 것을 포용하는 사랑과 양립할 수 없다는 신념은 그의 두 번째 신비주의 가르침 논문의 핵심 주제이다.[13]
금욕에 관한 저술 외에도 어록이 전해지고 있으며, 정교회에서는 성인으로 숭경받아 왔다. 반면, 서방 교회에서는 오랫동안 무명의 존재였으나, 19세기 말 이후 연구되기 시작했다. 이삭의 수행 생활에 관한 저작은 『수도적 설교집(en)』으로 묶여 있으며, 최근 미국판에서는 대형 판본으로 600페이지에 달한다.
3. 1. 저작 목록
이삭은 그의 내면 생활에 대한 영적인 설교로 기억되며, 이는 인간적인 폭과 초월적인 신학적 깊이를 가지고 있다.[10] 그것들은 시리아어 필사본과 후기 그리스어, 아랍어, 조지아어 번역본으로 남아 있다.[11] 그리스어에서 슬라브어로 번역되었다.[12]에바그리우스 폰티쿠스와 다른 초기 기독교 작가들의 영향을 크게 받은 이삭의 저작은[14] 경험 많은 은둔자가 쓴 광범위한 금욕주의 텍스트의 드문 예시를 제공하며, 초기 기독교 금욕주의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작가이다.[15]
현재까지 알려진 시리아의 이삭 저작 모음은 제1부, 제2부, 제3부로 분류되며, 최근에는 제5부까지 발견되었다. 많은 텍스트가 Sabino Chialà|사비노 키알라it에 의해 이탈리아어로, 세바스찬 P. 브록, 메리 T. 한스버리, 성 변용 수도원 등에 의해 영어로 번역되었다. 1983년까지는 제1부만이 널리 알려지고 배포되었다. 다른 모든 부분은 아람어를 사용하는 세계 밖의 학자들에게 알려지지 않았으나, 최근 시리아 학자들에 의해 여러 기록 보관소에서 재발견되었다.
'''제1부'''는 가장 널리 알려진 부분이다. Arent Jan Wensinck|아렌트 얀 웬신크nl (1923)는 이 텍스트를 영어로 번역하여 ''Mystic Treatises''로 출판했다.[21] 영어 번역본이 포함된 비평판, ''시리아의 이삭의 금언집''이 1983년 성 변모 수도원에서 출판되었고,[22] 개정된 2판은 2011년에 출판되었다(2020년에 3쇄).[23] 브록(2006)에 따르면, 제1부는 82개의 설교로 구성되어 있지만, 설교의 수와 순서는 필사본이나 판본에 따라 크게 다를 수 있다.[24]
''제2부''는 41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중 3장이 가장 길다. 3장은 ''케팔라이아 그노스티카''(또는 "영적 지식에 관한 장/제목")라고도 알려져 있으며, 4세(각 100개의 섹션으로 구성된 그룹)로 나뉜 400개의 섹션으로 구성되어 있다.[29] 최근 ''케팔라이아 그노스티카''(즉, ''제2부''의 3장)의 일부가 소그드어의 투르판 조각에서 확인되었다.[25][26]
''제2부''는 1983년 4월 보들리안 도서관에서 세바스찬 브록에 의해 발견되었는데, 그는 아시리아 사제 야루 마이클 니산(1853–1937)이 1898년 6월 29일 보들리안 도서관에 기증한 MS syr. e. 7이 서방 학자들에게는 알려지지 않았지만 시리아어를 읽는 사람들에게는 정기적으로 읽혀졌던 시리아의 이삭의 글을 실제로 포함하고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31]
1983년 이후, 제2부의 불완전한 필사본이 케임브리지 MS Or. 1144에서 발견되었으며, 이는 프랑스 국립 도서관의 일부이다. MS syr. 298(11-13세기경).[28] 1-3장은 브록(2022)에 의해 영어로 번역되었으며[29] (이전에는 1-2장이 브록(1997)에도 출판되었다[30]), 4-41장의 영어 번역본은 원본 시리아어 텍스트와 함께 브록(1995)에서 찾을 수 있다.[31] 전체 프랑스어 번역본은 앙드레 루프에 의해 출판되었고(2003),[32] 부분적인 그리스어 번역본은 카바다스(2006)에 의해 출판되었다.[33] 제2부의 발췌문은 베티올로(1985)에 의해 이탈리아어로[34], 닌(2005)에 의해 카탈루냐어로 번역되었다.[35]
''제2부''를 포함하는 필사본 목록은 다음과 같다:[31]
필사본 | 내용 | 연대 |
---|---|---|
옥스퍼드, 보들리안 도서관, MS syr. e.7 | 완전한 필사본 | 10/11세기 |
테헤란, 마르 이사야 컬렉션, MS 4 | MS syr. e.7에서 복사 | 1895년 |
파리 MS syr. 298 | 11/12세기 | |
하버드 대학교, 호턴 도서관, MS syr. 57 | 13/14세기 | |
바그다드, 칼데아 수도원, MS syr. 680 (olim Alqosh 237) | 7, 9, 15.1-6, 11, 18.18-22, 32, 34-36장 | 1288/9 |
밍가나 컬렉션 syr. 601 | 바그다드 MS syr. 680에서 복사 | 1932년 |
밍가나 syr. 86 | 24.11-13, 20.25, 25장 | 1300년경 |
대영 도서관, Add. 14632 | 16-17장 | 10세기 |
대영 도서관, Add. 14633 | 16-17장 | 11세기경 |
테헤란, 마르 이사야 컬렉션, MS 5 | 25장 | 1900년 |
폴 베드잔의 제1부 54-55장(= 제2부 16-17장) 에디션 | 1235년 MS 기준 | |
폴 베드잔의 유실된 우르미아 필사본 에디션 | 5.5, 22-26, 29-30장 및 11장; 원본 필사본은 제1차 세계 대전 중에 유실된 것으로 추정되지만, 베드잔의 필사본은 출판되었다. |
''세 번째 부분''은 메리 T. 핸스버리(2016)에 의해 영어로,[36] 앙드레 루프 (2009)에 의해 프랑스어로,[37] 사비노 키알라(2004, 2011)에 의해 이탈리아어로 번역되었다.[38][39][40] 이 작품은 이란 테헤란에 보관된 Issayi MS 5를 기반으로 한다. 이 필사본은 현재는 유실된 14세기 원본을 1903년에 필사한 것이다. 이 필사본은 테헤란의 칼데아 대주교 유한난 사만 이사야에 의해 골동품 유대교 서점에서 발견되었으며 그의 개인 서재에 보관되었다. 1999년 그가 사망한 후 벨기에 학자 미셸 반 에스브로크가 테헤란에 있는 이사야의 서재에서 이 필사본을 발견하고 국제 학계에 그 발견을 알렸다.[41] Issayi MS 5는 133쪽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11쪽에는 이삭에게 귀속될 수 있는 17개의 설교가 포함되어 있다. 세 번째 부분에는 다른 텍스트에서는 발견되지 않는 14개의 설교가 있으며, 이들은 1–13번과 16번으로 번호가 매겨져 있다. Issayi MS 5에 있는 다른 세 텍스트는 현존하는 첫 번째 부분과 두 번째 부분 필사본에서도 발견할 수 있다.[36]
"다섯째 부분"의 일부[42]는 MS 라흐마니 80(샤르페트에 소장), MS 다우라 시르 694와 MS 다우라 시르 938(둘 다 바그다드에 소장), 그리고 바티칸 MS 시르 592에서 발견되었다. 한스버리(2016)는 다섯째 부분의 두 강론에 대한 영어 번역을 담고 있다.[36] 다섯째 부분의 다른 강론들은 한스버리(2015)에서 찾아볼 수 있다.[43]
금욕에 관한 저술 외에도 어록이 전해지고 있으며, 정교회에서는 성인으로 숭경받아 왔다. 반면, 서방 교회에서는 오랫동안 무명의 존재였으나, 19세기 말 이후 연구되기 시작했다.
이삭의 수행 생활에 관한 저작은 『수도적 설교집(en)』으로 묶여 있으며, 최근 미국판에서는 대형 판본으로 600페이지에 달한다.
3. 2. 번역 및 연구
이삭은 그의 내면 생활에 대한 영적인 설교로 기억되며, 이는 인간적인 폭과 초월적인 신학적 깊이를 가지고 있다.[10] 그것들은 시리아어 필사본과 후기 그리스어, 아랍어, 조지아어 번역본으로 남아 있다.[11] 그리스어에서 슬라브어로 번역되었다.[12]에바그리우스 폰티쿠스 등 초기 기독교 작가들의 영향을 크게 받은 이삭의 저작은[14] 경험 많은 은둔자가 쓴 광범위한 금욕주의 텍스트의 드문 예시를 제공하며, 초기 기독교 금욕주의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작가이다.[15]
시리아의 이삭에게 주요 영향을 미친 인물로는 에바그리우스 폰티쿠스, 가짜 디오니시오스, 고독자 요한, 시리아의 에프렘, 나르사이, 모프수에스티아의 테오도레 등이 있다. 이삭은 달랴타의 요한과 요셉 하자야 같은 후기 시리아 작가들에게 영향을 미쳤다.[16] 현재까지 알려진 시리아의 이삭 저작 모음은 제1부, 제2부, 제3부로 분류되며, 최근에는 제5부까지 발견되었다. 많은 텍스트가 Sabino Chialàit에 의해 이탈리아어로, 세바스찬 P. 브록, 메리 T. 한스버리, 성 변용 수도원 등에 의해 영어로 번역되었다. 1983년까지는 제1부만이 널리 알려지고 배포되었다. 다른 모든 부분은 아람어를 사용하는 세계 밖의 학자들에게는 알려지지 않았으나, 최근 시리아 학자들에 의해 여러 기록 보관소에서 재발견되었다.
'''제1부'''는 가장 널리 알려진 부분이다. Arent Jan Wensincknl (1923)는 이 텍스트를 영어로 번역하여 ''Mystic Treatises''로 출판했다.[21] 영어 번역본이 포함된 비평판, ''시리아의 이삭의 금언집''이 1983년 성 변모 수도원에서 출판되었고,[22] 개정된 2판은 2011년에 출판되었다(2020년에 3쇄).[23] 브록(2006)에 따르면, 제1부는 82개의 설교로 구성되어 있지만, 설교의 수와 순서는 필사본이나 판본에 따라 크게 다를 수 있다.[24]
''제2부''는 41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중 3장이 가장 길다. 3장은 ''케팔라이아 그노스티카''(또는 "영적 지식에 관한 장/제목")라고도 알려져 있으며, 4세(각 100개의 섹션으로 구성된 그룹)로 나뉜 400개의 섹션으로 구성되어 있다.[29] 최근 ''케팔라이아 그노스티카''(즉, ''제2부''의 3장)의 일부가 소그드어의 투르판 조각에서 확인되었다.[25][26]
''제2부''는 1983년 4월 보들리안 도서관에서 세바스찬 브록에 의해 발견되었는데, 그는 아시리아 사제 야루 마이클 니산(1853–1937)이 1898년 6월 29일 보들리안 도서관에 기증한 MS syr. e. 7이 서방 학자들에게는 알려지지 않았지만 시리아어를 읽는 사람들에게는 정기적으로 읽혔던 시리아의 이삭의 글을 실제로 포함하고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31]
1983년 이후, 제2부의 불완전한 필사본이 케임브리지 MS Or. 1144에서 발견되었으며, 이는 프랑스 국립 도서관의 일부이다. MS syr. 298(11-13세기경).[28] 1-3장은 브록(2022)에 의해 영어로 번역되었으며[29] (이전에는 1-2장이 브록(1997)에도 출판되었다[30]), 4-41장의 영어 번역본은 원본 시리아어 텍스트와 함께 브록(1995)에서 찾을 수 있다.[31] 전체 프랑스어 번역본은 앙드레 루프에 의해 출판되었고(2003),[32] 부분적인 그리스어 번역본은 카바다스(2006)에 의해 출판되었다.[33] 제2부의 발췌문은 베티올로(1985)에 의해 이탈리아어로,[34] 닌(2005)에 의해 카탈루냐어로 번역되었다.[35]
''제2부''를 포함하는 필사본 목록:[31]
필사본 | 내용 | 연대 |
---|---|---|
옥스퍼드, 보들리안 도서관, MS syr. e.7 | 완전한 필사본 | 10/11세기 |
테헤란, 마르 이사야 컬렉션, MS 4 | MS syr. e.7에서 복사 | 1895년 |
파리 MS syr. 298 | 11/12세기 | |
하버드 대학교, 호턴 도서관, MS syr. 57 | 13/14세기 | |
바그다드, 칼데아 수도원, MS syr. 680 (olim Alqosh 237) | 7, 9, 15.1-6, 11, 18.18-22, 32, 34-36장 | 1288/9년 |
밍가나 컬렉션 syr. 601 | 바그다드 MS syr. 680에서 복사 | 1932년 |
밍가나 syr. 86 | 24.11-13, 20.25, 25장 | 1300년경 |
대영 도서관, Add. 14632 | 16-17장 | 10세기 |
대영 도서관, Add. 14633 | 16-17장 | 11세기경 |
테헤란, 마르 이사야 컬렉션, MS 5 | 25장 | 1900년 |
폴 베드잔의 제1부 54-55장(= 제2부 16-17장) 에디션 | 1235년 MS 기준 | |
폴 베드잔의 유실된 우르미아 필사본 에디션 | 5.5,22-26,29-30장; 그리고 11장 | 원본 필사본은 제1차 세계 대전 중에 유실된 것으로 추정되지만, 베드잔의 필사본은 출판되었다. |
''세 번째 부분''은 메리 T. 핸스버리(2016)에 의해 영어로,[36] 앙드레 루프 (2009)에 의해 프랑스어로,[37] 사비노 키알라(2004, 2011)에 의해 이탈리아어로 번역되었다.[38][39][40] 이 작품은 이란 테헤란에 보관된 Issayi MS 5를 기반으로 한다. 이 필사본은 현재는 유실된 14세기 원본을 1903년에 필사한 것이다. 이 필사본은 테헤란의 칼데아 대주교 유한난 사만 이사야에 의해 골동품 유대교 서점에서 발견되었으며 그의 개인 서재에 보관되었다. 1999년 그가 사망한 후 벨기에 학자 미셸 반 에스브로크가 테헤란에 있는 이사야의 서재에서 이 필사본을 발견하고 국제 학계에 그 발견을 알렸다.[41] Issayi MS 5는 133쪽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11쪽에는 이삭에게 귀속될 수 있는 17개의 설교가 포함되어 있다. 세 번째 부분에는 다른 텍스트에서는 발견되지 않는 14개의 설교가 있으며, 이들은 1–13번과 16번으로 번호가 매겨져 있다. Issayi MS 5에 있는 다른 세 텍스트는 현존하는 첫 번째 부분과 두 번째 부분 필사본에서도 발견할 수 있다.[36]
"다섯째 부분"의 일부[42]는 MS 라흐마니 80(샤르페트에 소장), MS 다우라 시르 694와 MS 다우라 시르 938(둘 다 바그다드에 소장), 그리고 바티칸 MS 시르 592에서 발견되었다. 한스버리(2016)는 다섯째 부분의 두 강론에 대한 영어 번역을 담고 있다.[36] 다섯째 부분의 다른 강론들은 한스버리(2015)에서 찾아볼 수 있다.[43]
금욕에 관한 저술 외에도 어록이 전해지고 있으며, 정교회에서는 성인으로 숭경받아 왔다. 반면, 서방 교회에서는 오랫동안 무명의 존재였으나, 19세기 말 이후 연구되기 시작했다.
이삭의 수행 생활에 관한 저작은 『수도적 설교집』으로 묶여 있으며, 최근 미국판에서는 대형 판본으로 600페이지에 달한다.
- 일본 정교회에 의한 일본어 문헌으로는, 메이지 42년(1909년)에 정교회 편집국에서 출판된 『시리아의 성 이사악 전서』가 있으며, 국립국회도서관 디지털 컬렉션에서 열람할 수 있다.
- 19세기 러시아인 주교 테오판의 편집에 의한 『기도성성집』(1896년, 호리에 후쿠/역)에서 "시리아의 성 이사악의 교훈" 장에 그의 교훈이 수록되어 있다.
- (카지와라 시로 역, A.M. Allchin, Sebastian P. Brock) 『동정의 마음 - 시리아의 성 이사크에 의한 묵상의 60일 -』 (Sebastian Brock영어에 의한 시리아어 원전의 영어 번역으로부터의 일본어 번역, 총 126페이지) 성공회 출판, 1990년. ISBN 978-4882740605
- 아토스 에우티미우스의 조지아 번역(9세기)
- 니케포로스 테오토키스의 그리스어 인쇄본 (1770년)
- 파이시 벨리치코프스키의 슬라브어 번역 (1812년)
- 세르게이 소보레프스키의 러시아어 번역(19세기)
- 폴 베잔의 시리아어 텍스트 (1909년)
- A. J. 벤싱크의 영어 번역 (1923년)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8/82/Isaac_of_Nineveh_-_Mystic_Treatises.pdf 신비 논문]"
- 판토크라토르 수도원의 칼리니코스에 의한 현대 그리스어 번역 (1961년)
- 자크 투라예 데스크레 드 브루에에 의한 현대 프랑스어 번역 (1981년)
- 갈로 & 베티올로의 이탈리아어 번역 (1984년) (설교 1-38)
- 핸즈버리의 영어 번역 (1989년) (설교 1-6)
- 플라시드 데세이유 생-앙투안-르-그랑 수도원 및 솔랑 수도원의 현대 프랑스어 번역 (2006년)
- ''성 이삭 시리아인 수도자의 금욕 설교'', 제1판 영어 번역 (1986년) Holy Transfiguration Monastery, ISBN 978-0913026557 제2판 영어 번역 (2011년) ISBN 978-0943405162
- (일라리온 알페예프 저, 칼리스토스 웨어 서문) "시리아의 이삭의 영적 세계" (2004). ISBN 978-0879077754
3. 3. 영향
이삭은 내면 생활에 대한 영적인 설교로 기억되며, 인간적인 폭과 초월적인 신학적 깊이를 지니고 있다.[10] 이 설교들은 시리아어 필사본과 후기 그리스어, 아랍어, 조지아어 번역본으로 남아 있으며,[11] 그리스어에서 슬라브어로 번역되었다.[12]이삭은 동방 신비주의 성자들의 전통에 서 있으며, 성령의 활동을 상당히 강조했다. 그의 우울한 스타일과 아픈 사람, 죽어가는 사람에 대한 친밀함은 동방 정교회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10] 그의 저작은 8세기와 9세기 동안 그의 교회 외부의 수도원 집단에서 지속적으로 연구되었다.
이삭은 게헨나(불의 호수, 즉 지옥)의 신비로 하느님이 사람들을 끝없이 벌한다는 개념은 그의 모든 것을 포용하는 사랑과 양립할 수 없다는 신념을 가졌으며, 이는 그의 두 번째 신비주의 가르침 논문의 핵심 주제적 갈등으로 나타난다.[13]
에바그리우스 폰티쿠스를 비롯한 초기 기독교 작가들에게 큰 영향을 받은 이삭의 저작은,[14] 경험 많은 은둔자가 쓴 광범위한 금욕주의 텍스트의 드문 예시로서 초기 기독교 금욕주의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이다.[15]
이삭에게 주요 영향을 미친 인물로는 에바그리우스 폰티쿠스, 가짜 디오니시오스, 고독자 요한, 시리아의 에프렘, 나르사이, 모프수에스티아의 테오도레 등이 있다. 이삭은 달랴타의 요한과 요셉 하자야와 같은 후기 시리아 작가들에게 영향을 미쳤다.[16]
이삭의 금욕에 관한 저술 외에도 어록이 전해지고 있으며, 정교회에서는 성인으로 숭경받아 왔다. 반면, 서방 교회에서는 오랫동안 무명의 존재였으나, 19세기 말 이후 연구되기 시작했다. 이삭의 수행 생활에 관한 저작은 『수도적 설교집(en)』으로 묶여 있으며, 최근 미국판에서는 대형 판본으로 600페이지에 달한다.
4. 사상
이삭은 내면 생활에 대한 영적인 설교로 기억되며, 이는 인간적인 폭과 초월적인 신학적 깊이를 가지고 있다.[10] 그의 설교는 시리아어 필사본과 후기 그리스어, 아랍어, 조지아어 번역본으로 남아 있으며,[11] 그리스어에서 슬라브어로도 번역되었다.[12]
이삭은 동방 신비주의 전통에 서 있으며, 성령의 활동을 상당히 강조했다. 그의 우울한 문체와 아픈 사람, 죽어가는 사람에 대한 친밀함은 동방 정교회에 큰 영향을 미쳤다.[10] 그의 저작은 8세기와 9세기 동안 그의 교회 외부 수도원 집단에서도 지속적으로 연구되었다. 게헨나(불의 호수, 즉 지옥)의 신비로 하느님이 사람들을 끝없이 벌한다는 개념은 그의 모든 것을 포용하는 사랑과 양립할 수 없다는 신념이 그의 두 번째 신비주의 가르침 논문의 핵심 주제적 갈등으로 나타난다.[13]
에바그리우스 폰티쿠스 등 초기 기독교 작가들의 영향을 크게 받은[14] 이삭의 저작은 경험 많은 은둔자가 쓴 광범위한 금욕주의 텍스트의 드문 예시를 제공하며, 초기 기독교 금욕주의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작가이다.[15]
시리아의 이삭에게 주요 영향을 미친 인물로는 에바그리우스 폰티쿠스, 가짜 디오니시오스, 고독자 요한, 시리아의 에프렘, 나르사이, 모프수에스티아의 테오도레 등이 있다. 이삭은 달랴타의 요한과 요셉 하자야와 같은 후기 시리아 작가들에게 영향을 미쳤다.[16]
일부 학자들은[44] 이삭의 저작 제2부(1983년 발견)에 대한 번역본이 이삭이 만인 구원 옹호자였다는 존 웨슬리 핸슨 (1899)과 같은 초기 만인 구원론 역사가들의 주장을 확인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지적했다.[45] 이삭은 제2부 39장에서 "자비로운 창조주께서는 이성적인 존재를 창조하여 그들이 지어지기도 전에 아셨고, 그들이 어떻게 될지 알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무자비하게 그들을 끝없는 고통에 넘겨 벌을 주시는 분이 아니시다"라고 썼다.[46] 제3부 5장에서는 "이것이 신비다. 하나를 통해 모든 창조물이 신비 속에서 하나님께 가까이 왔고, 이는 모든 이에게 전달된다. 그리하여 모든 것이 그분과 연합된다... 이 행위는 모든 창조를 위해 행해졌으며, 실제로 어떤 부분도 전체에 미치지 못하는 때는 없을 것이다."라고 설명한다.[47]
제1부(이삭의 금언집)에서도 만인 구원론의 암시가 많이 나타난다. 예를 들어 "하나님은 아무도 버리지 않으실 것이다.",[48] "죄가 존재하지 않던 때가 있었고, 죄가 존재하지 않을 때가 있을 것이다."[49] "바다에 던져진 한 줌의 모래와 같이, 모든 육체의 죄는 하나님의 마음에 비하면 그러하며, 풍성하게 흐르는 샘이 한 줌의 흙에 막히지 않듯이, 창조주의 자비는 피조물의 악함에 의해 극복되지 않는다... 만약 그분께서 여기서 자비로우시다면, 우리는 그분에게 변화가 없을 것이라고 믿는다. 우리가 하나님께서 자비로우실 수 없다고 사악하게 생각하는 일이 결코 없기를 바란다. 하나님의 속성은 필멸자의 속성과 같이 변하기 쉽지 않다... 부활의 은혜에 비하면 지옥은 무엇인가? 와서 우리 창조주의 은혜에 경탄하자."[50]와 같은 구절들이 있다. 이삭의 저작 전체에는 보편적인 구원을 믿는다는 것을 보여주는 많은 구절이 인용될 수 있다.[51]
이삭은 동정심, 자비, 겸손한 마음, 기도와 침묵을 사랑하는 마음을 강조한다.
- "회개는 자비의 문이며, 이 문을 통하지 않고서는 사람은 자비를 찾을 수 없다."[54]
- "자신 안에 받아들인 모습으로 경멸당하고 거부당하라. 그러면 당신은 당신 안에서 하나님의 영광을 볼 것이다. 겸손이 꽃피는 곳에는 하나님의 영광이 빛을 발한다."[55]
- "가난한 사람을 사랑하라. 그들을 통해 당신은 자비를 찾을 것이다."[56]
- "동정심이란 모든 피조물, 인간, 새, 동물, 악령, 그리고 존재하는 모든 것을 위해 타오르는 마음이다."[57]
- "덕은 노고와 어려움이 따르지 않는다면 덕이라는 이름에 걸맞지 않다."[58]
- "기도 중에 때로는 성경 말씀이 입 안에서 달콤해질 것이다. 그리고 기도의 아주 짧은 구절이 수없이 반복될 것이다."[59]
- "마음이 겸손하지 않다면, 마음의 방황을 멈추는 것은 불가능하다. 겸손이야말로 마음을 집중시키기 때문이다."[60]
- "지식은 믿음에 반대한다. 믿음은 모든 것에 속하는 지식에 의한 방법의 파괴이며, 비영적인 지식의 파괴이다. ...... 믿음은 궁리를 하고 방법을 찾아내려는 모든 것을 멀리하며, 사고방식에 오직 순수하고 단순할 것을 요구한다."[61]
- "지식은 두려움을 동반하고, 믿음은 희망을 동반한다."[61]
5. 평가 및 기념
시리아의 이삭은 오랫동안 동방 정교회, 오리엔트 정교회[17][18] 및 동방 교회 전통에서 성인으로 여겨져 왔다.[19] 교황 프란치스코는 2024년 11월 9일, 시리아의 이삭이 라틴 교회에서 공경하는 성인들의 공식 목록인 로마 순교록에 추가될 것이라고 발표했다.[20] 이삭의 축일은 에프렘 시리아인과 함께 1월 28일이다.
5. 1. 시성
그는 오랫동안 동방 정교회, 오리엔트 정교회[17][18] 및 동방 교회 전통에서 성인으로 여겨져 왔다.[19]교황 프란치스코는 2024년 11월 9일, 시리아의 이삭이 라틴 교회에서 공경하는 성인들의 공식 목록인 로마 순교록에 추가될 것이라고 발표했다.[20]
이삭의 축일은 4세기 신학자이자 찬송가 작가인 성 에프렘 시리아인과 함께 1월 28일에 해당한다.
5. 2. 축일
그는 오랫동안 동방 정교회, 오리엔트 정교회[17][18] 및 동방 교회 전통에서 성인으로 여겨져 왔다.[19]교황 프란치스코는 2024년 11월 9일, 시리아의 이삭이 로마 순교록 (라틴 교회에서 공경하는 성인들의 공식 목록)에 추가될 것이라고 발표했다.[20]
이삭의 축일은 4세기 신학자이자 찬송가 작가인 성 에프렘 시리아인과 함께 1월 28일에 해당한다.
참조
[1]
웹사이트
Saint Isaac the Syrian Ascetical Homily
https://www.stmarkbo[...]
[2]
간행물
Ὁ Ὅσιος Ἰσαὰκ ὁ Σύρος Ἐπίσκοπος Νινευΐ
http://www.synaxario[...]
Great Synaxaristes
[3]
웹사이트
St Isaac the Syrian the Bishop of Nineveh
http://oca.org/saint[...]
[4]
서적
Qatar: A Modern History
I. B. Tauris
[5]
서적
Gorgias Encyclopedic Dictionary of the Syriac Heritage
https://gedsh.bethma[...]
[6]
서적
Prayers and Fasts According to Bar Ebroyo (AD 1225/6-1286): A Study on the Prayers and Fasts of the Oriental Churches
LIT Verlag
[7]
서적
The Encyclopedia of Christian Literature, Volume 2
Scarecrow Press
[8]
서적
Encyclopedia of Monasticism: A-L
Taylor & Francis
[9]
서적
The Syriac Writers of Qatar in the Seventh Century
Gorgias Press LLC
[10]
웹사이트
St Isaac the Syrian: Desert hermit whose voice resonates across centuries
https://www.vaticann[...]
2024-01-28
[11]
서적
The Sabaite Heritage in the Orthodox Church from the Fifth Century to the Present
Peeters
2001
[12]
웹인용
Commentary on Song of Songs; Letter on the Soul; Letter on Ascesis and the Monastic Life
http://www.wdl.org/e[...]
World Digital Library
2013-03-07
[13]
간행물
The Wisdom of Saint Isaac the Syrian
SLG Press, Convent of the Incarnation
1997
[14]
논문
The Limit of the Mind (NOΥΣ): Pure Prayer according to Evagrius Ponticus and Isaac of Nineveh
2011
[15]
서적
The Asceticism of Isaac of Nineveh
Oxford University Press
2010
[16]
서적
Isaac of Nineveh's Ascetical Eschat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2017
[17]
웹사이트
St. Isaac the Syrian: Ascetical Homily #1
https://www.stmarkbo[...]
2024-07-26
[18]
웹사이트
Saint Isaac the Syrian
https://www.livesoft[...]
[19]
서적
Isaac of Nineveh and Syriac Thought
https://www.academia[...]
[20]
보도자료
Audience with His Holiness Mar Awa III, Catholicos-Patriarch of the Assyrian Church of the East, and of the Joint Commission for Theological Dialogue between the Catholic Church and the Assyrian Church of the East, 09.11.2024
https://press.vatica[...]
Holy See Press Office
2024-11-09
[21]
서적
Mystic Treatises by Isaac of Nineveh
https://books.google[...]
Gorgias Press
2011-11
[22]
간행물
The Ascetical Homilies of Saint Isaac the Syrian
Holy Transfiguration Monastery
1984
[23]
서적
The Ascetical Homilies of Saint Isaac the Syrian
Holy Transfiguration Monastery Publications
[24]
서적
The Wisdom of St. Isaac of Nineveh
Gorgias Press
2006
[25]
간행물
"Isaac of Nineveh, Gnostic Chapters," in Nicholas Sims-Williams, From Liturgy to Pharmacology: Christian Sogdian Texts from the Turfan Collection
Brepols
2019
[26]
간행물
An Ascetic Miscellany: The Christian Sogdian Manuscript E28
Brepols
2017
[27]
웹사이트
Bodleian Library MS. Syriac e. 7
https://digital.bodl[...]
[28]
간행물
New Manuscript Witnesses to the ‘Second Part’ of Isaac of Nineveh
Peeters
2013
[29]
서적
Headings on Spiritual Knowledge: the Second Part, Chapters 1-3
https://books.google[...]
St Vladimir's Seminary Press
2022
[30]
간행물
St Isaac the Syrian, Two Unpublished Texts
1997
[31]
서적
Isaac of Nineveh (Isaac the Syrian): The Second Part, Chapters 4
1995
[32]
서적
Œuvres spirituelles, II. 41 Discours récemment découverts
Abbaye de Bellefontaine
2003
[33]
서적
Isaak tou Syrou: Asketika
Thesbitēs
2005-6
[34]
서적
Isacco di Ninive. Discorsi spirituali e altri opuscoli
Qiqajon
1985
[35]
서적
Isaac de Ninive, Centuries sobre el coneixement
Proa
2005
[36]
서적
Isaac the Syrian's Spiritual Works
Gorgias Press
2016
[37]
간행물
Œuvres spirituelles, III: D’après un manuscrit récemment découvert
Abbaye de Bellefontaine
2009
[38]
간행물
Isacco di Ninive: Discorsi ascetici: terza collezione
Comunità di Bose
2004
[39]
간행물
Isacco di Ninive: Terza Collezione
Peeters
2011
[40]
간행물
Isacco di Ninive: Terza Collezione
Peeters
2011
[41]
서적
Diving for Pearls
Liturgical Press
2021-07-20
[42]
논문
"Due discorsi ritrovati della Quinta parte di Isacco di Ninive?"
2013
[43]
간행물
"Isaac the Syrian: the Fifth Part"
Gorgias Press
2015
[44]
문서
Wacław Hryniewicz, Ilaria Ramelli, et al.
[45]
문서
Wacław Hryniewicz The challenge of our hope: Christian faith in dialogue
2007
[46]
문서
The Second Part, 39.6 (Tr. Brock, p. 165)
[47]
문서
Isaac, The Third Part, 5. Translated from Syriac by Mary T. Hansbury, Isaac the Syrian's Spiritual Works, 84.
[48]
문서
The First Part, Ch. 5.
[49]
문서
The First Part, Ch. 26.
[50]
문서
The First Part, Ch. 50.
[51]
문서
For instance, see The First Part 19, 27, 43, 65, 74; The Second Part 3.1.62, 3.2.30, 3.3.70-73, 3.3.81-82, 3.3.94, 5.29-32, 38-40; The Third Part 5.9-14, 6.59-63, 11.24-30.
[52]
서적
同情の心
[53]
웹사이트
The Monk Isaac the Syrian, Bishop of Ninevah
http://www.holytrini[...]
[54]
서적
『同情の心 -シリアの聖イサクによる黙想の60日-』
[55]
서적
『同情の心 -シリアの聖イサクによる黙想の60日-』
[56]
서적
『同情の心 -シリアの聖イサクによる黙想の60日-』
[57]
서적
『同情の心 -シリアの聖イサクによる黙想の60日-』
[58]
서적
『同情の心 -シリアの聖イサクによる黙想の60日-』
[59]
서적
『同情の心 -シリアの聖イサクによる黙想の60日-』
[60]
서적
『同情の心 -シリアの聖イサクによる黙想の60日-』
[61]
문서
シリヤの聖イサアク全書/第二十五説教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