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언어 프로그래밍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경언어 프로그래밍(NLP)은 1970년대에 존 그린더와 리처드 밴들러에 의해 시작된 심리학 분야의 한 접근법이다. NLP는 언어학, 심리학, 그리고 치료법을 결합하여, 사람들의 사고, 행동, 그리고 의사소통 방식을 이해하고 개선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NLP는 모델링, 메타 모델, 밀턴 모델과 같은 다양한 기법을 활용하며, 1980년대에 상업화되어 자기 계발 및 상담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었다. 그러나 과학적 연구를 통해 효과가 입증되지 않아, 사이비 과학으로 간주되기도 하며, 학계에서는 비판적인 시각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심리학의 분과 - 진화심리학
진화심리학은 다윈의 진화론에 기반하여 인간의 심리적 적응이 자연선택과 성선택을 통해 진화해왔다고 보고, 인류의 진화적 적응 환경에서 생존과 번식에 관련된 문제 해결에 특화된 심리적 메커니즘을 강조하며, 다양한 심리학 분야에 적용되어 인간 행동을 설명하지만 유전자 결정론, 검증 어려움, 윤리적 문제 등 비판도 존재하는 학문이다. - 심리학의 분과 - 사회심리학
사회심리학은 개인의 사고, 감정, 행동이 사회적 상황 및 상호작용에 의해 영향받는 방식을 연구하는 심리학 분야로, 사회적 촉진 효과 실험을 시작으로 순응, 복종, 인지 부조화, 방관자 효과 등 다양한 이론과 개념이 발전해 왔으며, 설득, 귀인, 집단 역동, 대인 매력 등의 연구 분야를 통해 여러 분야에 응용되고 있다. - 인간 관계 - 동성애
동성애는 동성 간의 성적 매력, 행위, 애정을 의미하는 용어로, LGBT와 같은 포괄적인 용어가 사용되며 사회적 인식 변화와 함께 동성애자 권리 보호 노력이 진행 중이나, 원인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 인간 관계 - 연인
연인은 서로 사랑하는 관계를 뜻하며, 일본어의 '이모세', '오모히비토', '애인'과 영어의 'boyfriend', 'girlfriend', 'steady' 등 다양한 표현이 존재하지만, '아베크'는 점차 사용되지 않는 추세이다.
| 신경언어 프로그래밍 | |
|---|---|
| 개요 | |
![]() | |
| 유형 | 유사과학적인 심리 치료 접근법 |
| 개발 | |
| 개발자 | 리처드 밴들러 존 그린더 |
| 영향 받은 항목 | 프리츠 펄스 밀턴 에릭슨 버지니아 사티어 변형 문법 그레고리 베이트슨 알프레드 코르지프스키 |
| 정보 | |
| 분야 | 의사소통 심리 치료 자기 계발 |
| 관련 용어 | 표상 체계 (NLP) 은밀 최면 |
| 비판 | |
| 과학적 근거 부족 | 과학적 근거가 부족한 유사과학으로 간주됨. |
2. 역사
신경언어 프로그래밍(NLP)은 1970년대 미국 캘리포니아 대학교 샌타크루즈에서 존 그린더(언어학 조교수)와 리처드 밴들러(심리학 학생, 수학으로 표기되기도 함)가 만나면서 시작되었다.
1980년대 초, NLP는 심리 치료와 상담의 중요한 발전으로 여겨졌고[89], 상담 연구와 정신 의료 분야에서 일정 수준의 주목을 받았다. 당시 NLP는 치료의 돌파구로 소개되었고, 업계 잡지에는 훈련 워크숍, 비디오, 책 광고가 게재되었다.[89]
초기 공동 개발자로는 주디 드 로지어, 로버트 딜츠, 레슬리 캐머론-밴들러, 프랭크 퓨실릭, 스티븐 귈리건, 데이비드 고든, 스티브 앤드리아스와 코닐리 앤드리아스, 라라 유잉, 크리스티나 홀, 와이어트 우즈몰 등이 있으며, 이들은 각자의 관심사에 따라 모델을 구축했다.
하지만 1980년대 중반, "상담 심리학 저널"[114]과 전미 연구 위원회[90] 등에서 NLP의 가설을 지지할 만한 데이터가 거의 없다는 발표가 있었다.
존 그린더와 리처드 밴들러의 협력은 1980년대에 끝났고[93], 지적 재산권을 둘러싼 분쟁이 계속되었다.[95] 2000년 2월, 양측은 서로 NLP에 관한 공적을 폄하하지 않기로 합의하면서 오랜 분쟁은 마무리되었고, 신경언어 프로그래밍 및 NLP라는 명칭은 누구도 소유하지 않으며, 제공하는 데 제한이 없게 되었다.[96][97][98]
일본에는 1970년대 말경 리츠메이칸 대학의 기독교 교육 연구소를 통해 소개된 것으로 보인다.[101] 초기에는 임상 심리학자들에 의해 상담의 한 수법으로 학문적으로 여겨졌으나,[101] 일부 자기계발 세미나 관계자들이 적극적으로 도입하면서 민간 치료사와 자기계발 세미나 관계자들 사이에서 잘 알려지게 되었다.[101]
2. 1. 초기 발전 (1970년대)
신경언어 프로그래밍(NLP)은 1970년대 미국 캘리포니아 대학교 샌타크루즈에서 존 그린더(언어학 조교수)와 리처드 밴들러(심리학 학생, 수학으로 표기되기도 함)가 만나면서 시작되었다.[15][10]밴들러와 그린더는 NLP가 '모델링'이라는 방법론과 초기 적용에서 파생된 일련의 기술로 구성된다고 설명한다. 이들은 버지니아 사티어, 밀턴 에릭슨, 프리츠 펄스의 연구에서 많은 기본 기술을 차용했다. 또한 그레고리 베이트슨, 알프레드 코르지브스키, 노엄 촘스키 (특히 생성 문법)의 이론에도 의존했다.[15][10]
밴들러와 그린더는 그들의 방법론이 펄스, 사티어, 에릭슨이 치료에서 사용한 치료적 "마법"과 모든 복잡한 인간 활동에 내재된 구조를 코드화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 코드화를 통해 다른 사람들도 그 구조와 활동을 배울 수 있다고 말한다. 1975년 저서 ''마법의 구조 I: 언어와 치료에 관한 책''은 펄스와 사티어의 치료 기술을 코드화하기 위한 것이었다.
밴들러와 그린더는 버지니아 사티어를 모델링하여 정보를 수집하고 고객의 언어와 기본적인 사고에 도전하기 위한 모델인 메타 모델을 만들었다고 말한다.[20] 이들은 언어적 왜곡에 도전하고, 일반화를 명시하며, 고객의 진술에서 삭제된 정보를 복구함으로써, 생성 문법의 표면 구조 개념이 기본 심층 구조의 보다 완전한 표현을 생성하므로 치료적 이점이 있다고 주장했다.[11][12] 사티어로부터 유래된 기술로는 앵커링, 퓨처 페이싱(미래 설정), 그리고 대표 시스템이 있다.[13]
반대로, 밀턴 에릭슨의 최면 언어 모델인 밀턴 모델은 반델러와 그린더에 의해 "교묘하게 모호"하고 은유적이라고 묘사되었다. 밀턴 모델은 메타 모델과 함께 "트랜스(최면 상태)"를 유도하고 간접적인 치료적 제안을 전달하기 위해 사용된다.
1970년대 중반, 게슈탈트 치료법의 모델링 계획에서 최초의 모델인 메타 모델이 만들어졌고, 이어서 밀턴 모델, 아이 액세싱 큐(눈동자 움직임으로 상대의 정보를 간파하는 방법), 6단계 재구성 등이 만들어졌다.
초기 공동 개발자로는 주디 드 로지어, 로버트 딜츠, 레슬리 캐머론-밴들러, 프랭크 퓨실릭, 스티븐 귈리건, 데이비드 고든, 스티브 앤드리아스와 코닐리 앤드리아스, 라라 유잉, 크리스티나 홀, 와이어트 우즈몰 등이 있으며, 각자의 관심사에 따라 모델을 구축했다.
2. 2. 상업화 및 확장 (1980년대)
1970년대 후반, 인간 잠재력 운동이 산업으로 발전하면서 NLP 아이디어에 대한 시장이 형성되었다. 이 성장의 중심에는 캘리포니아주 빅서에 있는 에살렌 연구소가 있었다. 프레데릭 펄스는 에살렌에서 게슈탈트 치료 세미나를 이끌었고, 버지니아 사티어는 초기 지도자였으며, 그레고리 베이트슨은 객원 강사였다. 리처드 밴들러와 존 그린더(언어학자)는 NLP가 치료 방법일 뿐만 아니라 의사소통 연구이며, 비즈니스 도구로도 활용될 수 있다고 홍보했다.[20]캘리포니아주 산타크루즈에서 열린 10일간의 워크숍에 150명의 학생들이 각각 1000USD를 지불한 후, 밴들러와 그린더는 학술적인 글쓰기를 중단하고 세미나 내용을 바탕으로 대중적인 책을 출판하기 시작했다. 그중 하나인 ''개구리를 왕자로''는 27만 부 이상 판매되었다. 법원 문서에 따르면, 밴들러는 1980년에 워크숍 및 책 판매로 800000USD 이상을 벌었다.[20]
심리 치료사와 학생들의 커뮤니티가 밴들러와 그린더의 초기 작품을 중심으로 형성되면서 NLP는 이론과 실천으로서 성장하고 확산되었다.[21] 토니 로빈스는 그린더와 함께 훈련을 받았고 자신의 자기 계발 프로그램에 NLP의 몇 가지 아이디어를 활용했다.[22] 밴들러는 다른 사람들이 NLP를 사용하는 것을 막으려 했으나 실패했다. 한편, 실무자와 이론가의 수가 증가하면서 NLP는 초기보다 통일성이 약화되었다.[15]
1980년대 초, NLP는 심리 치료와 상담의 중요한 발전으로 여겨졌고, 상담 연구와 정신 의료 분야에서 주목을 받았다.[89] NLP는 치료의 돌파구로 소개되었고, 업계 잡지에 훈련 워크숍, 비디오, 책 광고가 게재되기 시작했다.[89]
그린더와 밴들러의 협력은 1980년대에 끝났고,[93] 1981년에 밴들러는 그린더와 그의 회사에 상업 활동 중단 및 손해 배상을 요구하며 소송을 제기했다.[94] 지적 재산권 분쟁은 계속되었고,[95] 2000년 2월에 양측은 서로 NLP에 관한 공적을 폄하하지 않기로 합의했다. 오랜 분쟁과 화해의 결과, 신경언어 프로그래밍 및 NLP라는 명칭은 누구도 소유하지 않으며, 제공하는 데 제한이 없다.[96][97][98]
2. 3. 분쟁과 분열 (1980년대 후반 ~ 2000년대)
1980년대에 존 그린더와 리처드 밴들러의 협력이 끝난 후[93], 1981년에 밴들러는 그린더와 그의 회사에 상업 활동 중단 및 손해 배상을 요구하며 소송을 제기했고,[94] 지적 재산권에 관한 분쟁이 계속되었다.[95] 밴들러는 1996년 7월과 1997년 1월에 언리미티드 사(Unlimited Ltd.)와 신경언어 프로그래밍 커뮤니티 내의 여러 인물들, 그리고 처음에는 이름이 밝혀지지 않은 200명의 피고들을 상대로 추가 민사 소송을 제기했다. 밴들러는 그라인더가 최초 합의 조건을 위반했다고 주장하며 각 피고로부터 최소 1,000만 달러의 손해 배상을 요구했다.[76]2000년 2월, 법원은 밴들러에게 불리한 판결을 내렸다. 판결은 밴들러가 신경언어 프로그래밍 지적 재산의 독점적 소유권과 신경언어 프로그래밍 협회(Society of NLP) 회원 자격 및 인증에 대한 단독 권한을 허위 진술했다고 주장했다.[77][78] 1997년 12월, 토니 클락슨이 제기한 별도의 민사 소송으로 밴들러의 영국 상표 NLP는 취소되었다. 법원은 클락슨의 손을 들어주었다.[79][80]
밴들러와 그린더는 2000년 말에 합의에 도달하여, 자신들이 신경언어 프로그래밍(NLP)의 공동 창시자이자 공동 설립자임을 인정하고 서로의 NLP 관련 노력에 대해 비방하지 않기로 약속했다.
이러한 분쟁과 합의로 인해 'NLP'와 '신경언어 프로그래밍'이라는 용어는 공유 저작권 상태로 남아있다. 특정 당사자가 독점적인 권리를 소유하지 않으며, NLP 자격증을 제공하는 데에도 제한이 없다.[81][82][83][84] "NLP" 및 "신경언어 프로그래밍"이라는 명칭은 소유, 상표 등록 또는 중앙 집중식 규제의 대상이 아니다.[85][86][83][84] 결과적으로, 개인들이 스스로를 "NLP 마스터 실무자" 또는 "NLP 마스터 트레이너"로 식별하는 데 아무런 제한이 없다.[65] 이러한 분산화는 수많은 자격증 협회로 이어졌다.
2. 4. 현재 (2000년대 이후)
신경언어 프로그래밍(NLP)은 파킨슨병, HIV/AIDS, 암 등 다양한 질병을 치료할 수 있다고 홍보되었으나, 이러한 주장은 의학적 증거가 부족하다.[26] 신경언어 프로그래밍을 치료 형태로 사용하는 사람들은 효과적인 의학적 치료 제공을 지연시켜 심각한 건강 악영향을 받을 위험이 있다.[26]밴들러와 그린더는 2000년 말에 합의하여, 자신들이 신경언어 프로그래밍(NLP)의 공동 창시자이자 공동 설립자임을 인정하고 서로의 NLP 관련 노력에 대해 비방하지 않기로 약속했다.
이러한 분쟁과 합의로 'NLP'와 '신경언어 프로그래밍'이라는 용어는 공유 저작권 상태이며, 특정 당사자가 독점적인 권리를 소유하지 않고 NLP 자격증을 제공하는 데에도 제한이 없다.[81][82][83][84] "NLP" 및 "신경언어 프로그래밍"이라는 명칭은 소유, 상표 등록 또는 중앙 집중식 규제의 대상이 아니므로,[85][86][83][84] 개인들이 스스로를 "NLP 마스터 실무자" 또는 "NLP 마스터 트레이너"로 식별하는 데 아무런 제한이 없다.[65] 이러한 분산화는 수많은 자격증 협회로 이어졌다.
중앙 집중식 통제의 부재는 신경언어 프로그래밍(NLP) 실천이나 훈련에 대한 단일 표준이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무자들은 자신만의 방법론을 홍보할 수 있으며, 이는 분야 내에서 불일치로 이어진다.[19][87] 이는 비판의 원천이 되어 왔으며, 2009년 영국의 한 텔레비전 진행자가 자신의 고양이를 영국 신경언어 프로그래밍 위원회(BBNLP)에 등록한 사건[88]으로 인해 강조되었는데, 이는 이 단체의 느슨한 자격 기준을 보여주는 것이었다. 카렌 스톨즈노우(Karen Stollznow)와 같은 비평가들은 밴들러와 그린더 간의 초기 법적 공방에서, 그들이 자신의 NLP 원칙을 갈등 해결에 적용하지 못한 점을 고려하여 아이러니함을 발견했다.[15] 그랜트 데빌리(Grant Devilly)와 같은 다른 사람들은 NLP 협회를 통일된 원칙이나 공유된 목적 의식이 부족하다는 것을 암시하는 용어인 "그란팔룬"으로 특징짓는다.[46]
2008년 시점에서 NLP를 임상에서 사용하는 과학자・연구자들이 이러한 실증 부족을 우려하여 리서치 프로젝트를 시작했다.[99] 전투 경험으로 인한 PTSD 개선을 위해 NLP를 사용하는 자선 단체가 있으며, 아프가니스탄 전쟁의 참전 용사 중 NLP를 받고 PTSD가 완화되었다고 하는 사람도 있다.[100]
이론과 수법이 계속 추가되었기 때문에, 최근에는 초기와는 상당히 다른 혼돈된 것이 되었다. 2007년에 출판된 스티븐 파머, 앨리슨 와이블라우의 ''Handbook of Coaching Psychology: A Guide for Practitioners''에서는 "신경언어 프로그래밍(NLP) 코칭"이 코칭의 한 수법으로 다루어지고 있으며, 코칭의 세계에서 사용되고 있다.
3. 주요 개념 및 기법
신경언어 프로그래밍(NLP)은 심리학, 언어학, 컴퓨터 프로그래밍 등 다양한 분야의 영향을 받아 발전했다. 로버트 캐롤에 따르면, NLP는 무의식이 의식적인 사고와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프로이트의 사상, 프로이트의 꿈 분석 기법에 기초한 은유, 밀턴 에릭슨의 최면 요법, 그레고리 베이트슨과 노엄 촘스키의 연구 등에서 영향을 받았다.[101]
그레고리 베이트슨은 NLP가 시스템 이론, 생성 문법, 게슈탈트 심리 치료의 영향을 받았다고 기록했다. NLP는 성공한 사람들의 행동을 모델링하여 그들과 같은 방식으로 행동함으로써 비슷한 수준의 우수성을 발휘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인간은 자신의 신념을 선택하고 바꿀 수 있으며, NLP 기술을 통해 원하는 자신이 될 수 있다고 믿는다. 신념의 진실성보다는 기능이 중요하며, 신념이 사람을 북돋아주는지가 중요하다고 여긴다.
NLP는 동기 부여와 자기 개혁에 자기 최면을 사용하는 것을 강조하며, 다양한 커뮤니케이션과 설득 기술을 가르친다.[101] 건강한 사람과 아픈 사람, 개인 또는 기업에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101]
영국 심리 치료 협회는 신경언어 프로그래밍 치료 및 상담 협회를 산하 조직의 경험 구성주의 부문에 두고 있으며, NLP의 이론적 기반은 구성주의로 간주된다. NLP는 앵커링 등 행동주의 심리학과 유사한 전문 용어를 사용하는 등 절충주의적인 특징을 보인다.
NLP의 초기 모델은 심리치료사였기 때문에 초기 서적들은 심리치료에 초점을 맞추었다. NLP는 해결 중심 단기 치료와 같은 일부 현대 단기 및 시스템적 치료와 핵심 가정 및 기반을 공유하며,[27][28][31] 행동의 ''맥락'' 또는 ''의미''를 바꾸어 행동 변화를 꾀하는 리프레이밍 기술을 통해 이러한 치료법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인정받고 있다.[33]
NLP는 주로 다른 치료 분야에서 활동하는 치료사들의 보조적인 역할[34]과 신경언어 심리치료라는 특정 치료법[35]으로 사용된다.
NLP는 다양한 연구가들에 의해 접근 방식이 추가되면서 초기와 달리 통일성 없이 다방면에 걸친 기법을 포함하게 되었다.[101]
3. 1. 주요 개념
신경언어 프로그래밍(NLP)은 주관성, 의식, 학습이라는 세 가지 구성 요소를 기반으로 한다.[23]반들러와 그린더에 따르면, 사람들은 세상을 주관적으로 경험하며, 그 경험에 대한 내부 표상을 만든다. 이 표상은 시각, 청각, 감각, 후각, 미각, 그리고 언어를 포함한다. 즉, 우리의 의식적인 경험은 이러한 감각의 형태로 나타나며, 무언가를 상상하거나 과거를 회상하거나 미래를 생각할 때 우리는 마음속에서 이러한 감각 체계를 활용한다. 그리고 이러한 경험의 주관적 표상은 뚜렷한 패턴을 가지고 있다.
반들러와 그린더는 행동(자신과 타인의 행동)이 이러한 감각 기반의 내부 표상을 통해 이해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여기서 행동은 언어적, 비언어적 의사 소통뿐만 아니라 효과적이거나 적응적인 행동, 그리고 덜 도움이 되거나 "병리적인" 행동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자신과 타인의 행동은 이러한 감각 기반의 주관적 표상을 조작함으로써 수정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NLP는 의식을 의식적 요소와 무의식적 요소로 나눌 수 있다고 가정한다. 우리의 직접적인 인식 범위를 벗어나 작동하는 내부 표상의 부분은 "무의식"이라고 한다.
NLP는 "모델링"이라는 학습 방법을 사용하는데, 이는 모든 분야의 전문성을 복제하도록 설계되었다. 반들러와 그린더에 따르면, 숙련된 사람이 기술을 수행할 때 사용하는 감각 및 언어적 표상의 순서를 분석함으로써 다른 사람들이 배울 수 있는 정신적 모델을 만들 수 있다.
3. 2. 주요 기법
슈타인바흐의 연구에 따르면,[24] NLP의 고전적인 상호 작용은 라포(Rapport, 친밀한 관계) 형성을 포함한 여러 주요 단계, 문제의 정신 상태 및 원하는 목표에 대한 정보 수집, 개입을 위한 특정 도구 및 기술 사용, 제안된 변경 사항을 클라이언트의 삶에 통합하는 것을 기준으로 이해할 수 있다. 전체 과정은 클라이언트의 비언어적 반응에 의해 안내된다.[24]
첫 번째는 실무자와 클라이언트 간의 라포를 형성하고 유지하는 행위로, 클라이언트의 언어적(예: 감각적 술어) 및 비언어적 행동(예: 비언어적 행동 일치 및 미러링, 또는 눈의 움직임에 반응)을 통해 달성된다.
라포가 형성되면, 실무자는 클라이언트의 현재 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클라이언트가 상호 작용에 대한 원하는 상태 또는 목표를 정의하도록 도울 수 있다. 실무자는 클라이언트가 현재 상태와 원하는 상태를 정의하고 이 간극을 메우는 데 필요한 모든 자원을 정의할 때 언어적 및 비언어적 반응에 주의를 기울인다.[24] 클라이언트는 일반적으로 원하는 결과가 자신의 개인적 또는 직업적 삶과 관계에 미칠 수 있는 영향, 그리고 발생할 수 있는 모든 문제의 긍정적인 의도를 고려하도록 권장된다.[24]
그 후, 실무자는 특정 도구와 기술을 사용하여 내부 표현과 세상의 자극에 대한 반응을 변경하여 클라이언트가 원하는 결과를 달성하도록 돕는다.[25] 마지막으로, 실무자는 클라이언트가 변화를 정신적으로 연습하고 삶에 통합하도록 돕는다.[24]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는 이미 결과를 달성한 것이 어떤 것인지 상상해 보라고 요청받을 수 있다.
스톨즈노우에 따르면, "NLP는 또한 주변 담론 분석과 '개선된' 의사 소통을 위한 '실용적인' 지침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한 텍스트는 '하지만' 단어를 사용하면 사람들은 그 후에 당신이 말한 것을 기억할 것이다. '그리고' 단어를 사용하면 사람들은 당신이 전후에 말한 것을 기억한다.'"[15]
1970년대 중반, 프레데릭 펄스적인 방법으로 내담자의 깨달음을 돕는 게슈탈트 치료법의 모델화 계획에서 최초의 모델인 메타 모델이 만들어졌고, 밀턴 모델, 아이 액세싱 큐(눈동자 움직임으로 상대의 정보를 간파하는 방법), 6단계 재구성 등이 이어서 만들어졌다.
불쾌한 기억을 떠올리기 어렵게 하는 퀵 레시피나, 사람들의 확신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레시피 등이 있다. 이는 컴퓨터 과학의 개념의 영향을 받은 기법이다. 예를 들어, 불쾌한 기억을 떠올리기 어렵게 하는 레시피는, 어떤 "입력"에 대해 사람이 불쾌감을 느낀다. 이는 그 사람의 정보 처리의 결과, 또는 처리 중인 상태로서 불쾌감을 느끼는 것으로 해석한다. 이는 뇌 내 물질의 화학적 반응이기도 하다. 그 "입력"에 대한 반응을 바람직한 상태로 제어하기 위한 인위적인 처리를 하기 위한 레시피라고 한다. 구체적으로는, 자신이 무엇을 느끼고 있는지를 각 "모달 채널"(오감+언어의 뇌 입출력 채널)별로 세밀하게 검증하고 분석한다. 예를 들어, 그때 들었던 소리는 오른쪽에서 들렸는지, 왼쪽에서 들렸는지, 음량은 어떠했는지, 그 소리에는 어떤 이미지가 느껴지는지, 그 당시의 시각적 기억은 어떤 색채인지, 그 이미지는 크게 느껴지는지, 작게 느껴지는지, 현재의 신체 감각은 어떻게 느껴지는지와 같은 방식이다.[102]
다양한 NLP 연구가들이 접근 방식을 추가했기 때문에, 초기와 달리 통일감 없이 다방면에 걸친 기법이 있다.[101]
4. 과학적 비판 및 논란
신경언어 프로그래밍(NLP)은 파킨슨병, HIV/AIDS, 암 등 다양한 질병을 치료할 수 있다고 홍보되었으나, 이러한 주장은 의학적 증거가 부족하다.[26] NLP를 치료의 한 형태로 사용하는 사람들은 효과적인 의학적 치료를 늦출 수 있어 심각한 건강상의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26]
초기 NLP 서적들은 심리치료에 초점을 맞추었으며, NLP는 해결 중심 단기 치료와 같은 현대 단기 및 시스템적 치료와 유사한 핵심 가정과 기반을 공유한다.[27][28][31] 또한, NLP는 행동의 '맥락' 또는 '의미'를 바꾸어 행동 변화를 꾀하는 리프레이밍 기술을 통해 이러한 치료법에 영향을 미쳤다.[33]
NLP의 주요 치료적 사용은 다른 치료 분야 치료사들의 보조적 역할[34]과 신경언어 심리치료라는 특정 치료법[35]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스톨즈노우(Stollznow)에 따르면, NLP는 간질, 근시, 난독증, 정신 분열증, 우울증,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등 광범위한 신체 및 정신 질환을 치료하는 만병통치약처럼 홍보되었으며, 이는 사이언톨로지 및 시민 인권 위원회(CCHR)와 유사하다고 비판했다.[15] 스터트(Sturt) 외 (2012)의 체계적 검토는 NLP가 건강 관련 결과를 개선한다는 증거가 거의 없다고 결론지었다.[103] 스티븐 브리어스는 NLP가 일관된 치료법이 아니며, 이론적 기반이 없고, 증거 기반이 사실상 존재하지 않는다고 비판했다.[36] 아이스너(Eisner)는 NLP가 정신 질환을 치료한다고 주장하지만, 이론이나 임상 효과에 대한 실증적 또는 과학적 지원이 부족하다고 지적했다.[37]
밀턴 에릭슨의 친구이자 동료인 앙드레 뮬러 바이첸호퍼는 NLP가 성공적인 치료의 본질을 추출하고 설명하지 못했으며, 에릭슨 기법에 대한 이해와 사용에 기여한 바도 의심스럽다고 비판했다.
임상 심리학자 스티븐 브리어스는 "실패는 없고, 피드백만 있을 뿐"이라는 NLP 격언이 실패의 교훈적 가치를 감소시키고, 자기 비하로 이어진다고 비판했다.[38] 또한, 이 격언이 자기애적이고 자기중심적이며 도덕적 책임 개념과 동떨어져 있다고 주장했다.[39]
1980년대 초, NLP는 심리치료와 상담 분야에서 중요한 발전으로 홍보되었으나, 통제된 실험에서 NLP의 이점이 나타나지 않고 옹호자들의 주장이 의심스러워지면서 과학적 관심이 줄어들었다.[46][47]
수많은 문헌 검토와 메타 분석에서 NLP의 가정이나 치료 효과에 대한 증거를 제시하지 못했다. 일부 NLP 실무자들은 경험적 증거 부족이 연구 부족 때문이라고 주장하지만, 과학계의 일반적인 의견은 NLP가 사이비 과학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주장에 근거하여 연구 결과를 일축하려는 시도는 NLP가 증거 기반이 없음을 인정하는 것과 같다.[65][66]
학계 설문 조사에 따르면 NLP는 과학자들 사이에서 널리 불신받고 있다. NLP를 사이비 과학으로 간주하는 이유는 증거가 일화적 증거와 개인적인 증언에 국한되어 있고[12][70], 신경과학과 언어학에 대한 과학적 이해가 부족하며[12][71], "신경언어 프로그래밍"이라는 이름 자체가 전문 용어를 사용하여 아이디어를 모호하게 하지만, NLP는 어떤 현상도 신경 구조와 관련시키지 않으며 언어학이나 프로그래밍과 공통점이 없기 때문이다.[6][72][73][55] 교육에서 NLP는 사이비 과학의 주요 사례로 사용되었다.[61][62][63]
사회학자와 인류학자들은 NLP를 뉴에이지 및/또는 인간 잠재력 운동에 속하는 준종교로 분류해왔다. 의학 인류학자 진 M. 랭포드(Jean M. Langford)는 NLP를 민간 마법의 한 형태로 분류하며, 이는 비특이적 효과(예: 위약 효과)를 통해 변화를 일으킬 수 있다고 보았다. 랭포드(Langford)에게 NLP는 "민간 관행의 마법을 전문 의학의 과학과 결합하려는" 혼합 민간 종교와 유사하다.[119][120]
반들러(Bandler)와 그린더(Grinder)는 카를로스 카스타네다의 저서에 묘사된 샤머니즘의 영향을 받았다. NLP 모델링의 핵심 개념인 "이중 유도" 및 "세상 멈추기"와 같은 개념은 이러한 영향에서 비롯되었다. 일부 이론가들은 NLP를 일종의 "심리-샤머니즘"으로 특징짓고, 모델링에 대한 초점은 특정 혼합 종교의 의례적 관행과 비교되었다.[70][121] NLP 구루로부터의 계보 강조는 일부 동양 종교의 유사 개념과 비교되었다. Aupers, Houtman, Bovbjerg는 NLP를 뉴에이지 "심리-종교"로 규정한다. Bovbjerg는 뉴에이지 운동이 초월적인 "타자"를 중심으로 하며, 무의식과 그 숨겨진 잠재력에 대한 강조가 NLP 기술의 근본이라고 주장한다.
Bovbjerg의 세속적 비판은 데이비드 제레미아가 예시하는 보수 기독교적 관점과 유사하다. 그는 NLP의 자기 변혁과 내적 힘에 대한 강조가 신성한 은총을 통한 구원에 대한 기독교적 믿음과 상충된다고 주장한다.
NLP는 실천이나 훈련에 대한 단일 표준이 없는 중앙 집중식 통제가 부재하다. 실무자들은 자신만의 방법론을 홍보할 수 있어 분야 내 불일치가 발생한다.[19][87] 이는 비판의 원인이 되었으며, 2009년 영국의 한 텔레비전 진행자가 자신의 고양이를 영국 신경언어 프로그래밍 위원회(BBNLP)에 등록한 사건[88]은 이 단체의 느슨한 자격 기준을 보여주었다. 카렌 스톨즈노우(Karen Stollznow)와 같은 비평가들은 반들러(Bandler)와 그린더(Grinder) 간의 초기 법적 공방에서 그들이 NLP 원칙을 갈등 해결에 적용하지 못한 점을 아이러니하게 여겼다.[15] 그랜트 데빌리(Grant Devilly)와 같은 사람들은 NLP 협회를 통일된 원칙이나 공유된 목적 의식이 부족하다는 것을 암시하는 용어인 "그란팔룬"으로 특징짓는다.[46]
NLP에서 가르치는 내용을 그대로 받아들이는 세미나와 저작이 많지만, 일반 사회과학에서는 거의 채택되지 않고 있다.[106] NLP 이론이나 작용 방식을 연구하려는 시도는 있었지만, 1999년 시점에는 그 수가 적었고, 판매되는 NLP 관련 서적 등의 판매 부수와 큰 차이를 보였다.[106] 2008년, NLP를 임상에서 사용하는 과학자・연구자들이 이러한 실증 부족을 우려하여 리서치 프로젝트를 시작했다.[99]
전투 경험으로 인한 PTSD 개선을 위해 NLP를 사용하는 자선 단체가 있으며, 아프가니스탄 전쟁 참전 용사 중 NLP를 받고 PTSD가 완화되었다고 하는 사람도 있다.[100] 이론과 수법이 계속 추가되면서, 최근에는 초기와 상당히 다른 혼란스러운 것이 되었다.[101] 2007년에 출판된 스티븐 파머, 앨리슨 와이블라우의 ''Handbook of Coaching Psychology: A Guide for Practitioners''에서는 "신경언어 프로그래밍(NLP) 코칭"이 코칭의 한 수법으로 다루어지고 있으며, 코칭의 세계에서 사용되고 있다.
2012년의 체계적 문헌고찰은 건강 상태 개선에 대한 증거가 거의 없음을 발견했다.[103] 2015년의 체계적 문헌고찰은 알레르기성 면역 기능, 특정 공포증에 효과적인 연구가 포함되었지만, 대화 불안 경감에는 무효함을 나타냈다.[104] 2016년에는 응급 구조 간호사의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다는 무작위 대조 시험에 의한 연구가 있다.[105]
1999년 Peter Hartley는 NLP가 효과를 실증하기에는 불충분한 경험적 증거밖에 없기 때문에 학술적 신뢰성에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고,[106] 일반 사회 과학에서는 대체로 무시되고 있다.[106][107]
신경과학자,[108] 심리학자,[109] 언어학자[110][111]들은 과학적 증거에 의한 뒷받침이 없고, 부정확한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NLP를 사용한 커뮤니케이션 기법 세미나를 진행하는 단체 관계자 의사 등, PTSD 치료에의 이용 등 의료적 접근에 대해 학회 등에서 드물게 발표도 있다.[112]
NLP의 주장은 과학적 뒷받침을 갖지 못하고, 전문가로부터 유사과학으로 의문시되어 왔다.[113][114] 과학적 리뷰는 현재의 신경 이론과는 모순되는, 시대에 뒤떨어진 뇌에 대한 은유에 기초하고 있다고 지적했다.[115][116] 그러나 최면 요법사나 조직 개발의 세미나 및 워크숍을 제공하는 기업의 일부 등에 의해 계속 판매되고 있다.[113][117][118]
믿음의 힘이 중시되기 때문에 종교학자로부터 영성의 영역과 관련이 있다고 간주되고 있다. 사회학·인류학 등의 학자들은 인간 잠재력 운동이나 뉴에이지에서의 준종교로 분류하며, 효능을 나타내는 상징을 사용한 의식으로 민속적인 실천을 의과학에 결부시키려는 민간 신앙의 한 형태라고 생각하는 학자도 있다.[119][120] 카를로스 카스타네다의 샤머니즘 아이디어와 기술이 도입되어, 그의 이중 귀납법과 "세계를 멈추는" 것이 NLP 모델의 핵심에 있으며, NLP를 사이코 샤머니즘의 일종으로 여기는 학자도 있다.[121] 종교 단체가 사람들을 개종시키기 위해 NLP 기술을 이용하고 있는 경우가 있고, NLP 단체가 그것을 방치하고 있는 경우도 있지만, 종교에 관해서는 기본적으로 중립이며, 어떤 종교적 신념이 개인의 신념을 저해하려는 것이 아니라면, 그 종교의 영역과 관련되지 않는다.
5. 관련 도서
- 박의순, 김미숙, 이찬종, 허조은 공역, 《NLP, 그 마법의 구조 1》(시그마 프레스)
- 박의순, 김미숙, 이찬종, 허조은 공역, 《NLP, 그 마법의 구조 2》(시그마 프레스)
- 설기문 역, 《NLP 입문》(학지사)
- 전경숙 저, 《NLP 기본의 원리》(학지사)
참조
[1]
웹사이트
Introducing Neuro-Linguistic Programming
http://www.som.surre[...]
Centre for Management Learning & Development, School of Management, University of Surrey.
2019-09-12
[2]
AV media
What is NLP?
https://www.youtube.[...]
NLP Life
2013-06-01
[3]
논문
Chapter 4: Personal Antecedents of NLP
[4]
학술지
NLP – help or hype? Investigating the uses of neuro-linguistic programming in management learning
1996-01-01
[5]
서적
Science and Pseudoscience in Social Work Practice
https://books.google[...]
Springer Publishing Company
2015
[6]
학술지
Thirty-Five Years of Research on Neuro-Linguistic Programming. NLP Research Data Base. State of the Art or Pseudoscientific Decoration?
2010-01-01
[7]
학술지
Selected alternative training techniques in HRD
[8]
학술지
Be All That You Can Be: Enhancing Human Performance
2004-11-01
[9]
학술지
Research findings on neurolinguistic programming: Nonsupportive data or an untestable theory?
1987-01-01
[10]
서적
Neurolinguistic psychotherapy: a postmodern perspective
https://books.google[...]
Routledge
[11]
서적
A Guide to Transformational Grammar: History, Theory, Practice
Holt, Rinehart and Winston
[12]
학술지
Bandler and Grinder's neurolinguistic programming: Its historical context and contribution
1985-01-01
[13]
학술지
Virginia Satir & Origins of NLP
http://www.social-en[...]
2013-06-05
[14]
서적
The Encyclopedia of Clinical Psychology, Volume II
John Wiley & Sons
2015
[15]
학술지
Not-so Linguistic Programming
http://www.skeptic.c[...]
2013-06-01
[16]
웹사이트
NLP Seminars Group – Frequently Asked Questions
http://www.purenlp.c[...]
2013-08-08
[17]
논문
[18]
웹사이트
1996 Interview with John Grinder PhD, co-creator of NLP
http://www.inspiriti[...]
1996-07
[19]
웹사이트
Neuro-linguistic programming (NLP)
http://skepdic.com/n[...]
The Skeptic's Dictionary
2009-02-23
[20]
학술지
The Bandler Method
https://books.google[...]
2024-04-26
[21]
서적
Social Engineering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Inc
2010
[22]
서적
Sham: How the Self-Help Movement Made America Helpless
https://books.google[...]
Crown Publishing Group
[23]
서적
Patterns of the Hypnotic Techniques of Milton H. Erickson: Volume 2
https://books.google[...]
Meta Publications
[24]
간행물
Neurolinguistic programming: a systematic approach to change
[25]
학술지
The NLP swish pattern: An innovative visualizing technique
http://psycnet.apa.o[...]
[26]
서적
American Cancer Society Complete Guide to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Cancer Therapies
American Cancer Society
[27]
서적
Expectation: The Very Brief Therapy Book
Crown House Publishing
[28]
간행물
Pretreatment expectations of psychotherapy clients
University of Alberta (Canada)
[29]
서적
Solution-focused therapy (Brief therapy series)
https://books.google[...]
Sage; Second Edition
[30]
서적
Dryden's handbook of individual therapy
https://books.google[...]
Sage
[31]
학술지
Some thoughts on integration in solution-focused therapy
[32]
학술지
The art, science, and techniques of reframing in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ing
1991-01-01
[33]
논문
[34]
학술지
Neurolinguistic programming as an adjunct to other psychotherapeutic/hypnotherapeutic interventions
[35]
간행물
"Neuro-linguistic psychotherapy." In Therapeutic perspectives on working with lesbian, gay and bisexual clients
[36]
서적
Brilliant Cognitive Behavioural Therapy: How to use CBT to improve your mind and your life
https://books.google[...]
Pearson UK
2012-12-27
[37]
서적
The Death of Psychotherapy: From Freud to Alien Abductions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38]
서적
Encyclopedia of Systemic Neuro-Linguistic Programming and NLP New Coding
http://nlpuniversity[...]
NLP University Press
2013-07-16
[39]
서적
Psychobabble: Exploding the myths of the self-help generation
Pearson Education Limited
[40]
서적
Persuasion: Social Influence and Compliance Gaining
Routledge
2022-04-06
[41]
간행물
Social Workers and Salesworkers
[42]
문서
'Fabulous Creatures of HRD: A Critical Natural History of Neuro-Linguistic Programming'
University of Surrey
2007-06-26
[43]
간행물
Can NLP help or harm your business?
2006-01-01
[44]
문서
Cognition and athletic behavior: An investigation of the NLP principle of congruence.
1988
[45]
웹사이트
Neuro-linguistic programming (NLP) explained
https://www.ionos.co[...]
2022-04-04
[46]
간행물
Power Therapies and possible threats to the science of psychology and psychiatry
2005-06-01
[47]
간행물
Counseling Psychology: Theory and Research on Interventions
1990-01-01
[48]
간행물
Predicate matching in NLP: a review of research on the preferred representational system.
[49]
서적
Enhancing Human Performance: Issues, Theories, and Techniques
National Academies Press
1988-01-01
[50]
서적
Neurolinguistic programming – an interim verdict
http://www.mheap.com[...]
Croom Helm
[51]
간행물
Observations concerning research literature on neuro-linguistic programming.
1985-01-01
[52]
간행물
Limited evidence that neurolinguistic programming improves health-related outcomes.
http://ebmh.bmj.com/[...]
2013-05-30
[53]
웹사이트
Neuro-Linguistic Programming and Research
http://www.som.surre[...]
2010-02-22
[54]
간행물
Exploring inner landscapes through psychophenomenology: The contribution of neuro-linguistic programming to innovations in researching first person experience
http://epubs.surrey.[...]
2019-01-28
[55]
간행물
Brainscams: Neuromythologies of the New Age
[56]
서적
Neuroscience in Education: The good, the bad, and the ugly
Oxford University Press
[57]
서적
'[[Crazy Therapies (book)|Crazy Therapies: What Are They? Do They Work?]]'
Jossey Bass
1997
[58]
서적
Science and Pseudo-science in Clinical Psychology
The Guilford Press
2004
[59]
서적
Tall Tales About the Mind and Brain: Separating Fact from Fiction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60]
서적
Encyclopedia of Pseudoscience: From Alien Abductions to Zone Therapy
Fitzroy Dearborn Publishers
2000
[61]
서적
Scientific Thinking in Speech and Language Therapy
Psychology Press
[62]
간행물
The Teaching of Courses in the Science and Pseudoscience of Psychology: Useful Resources
2001-07-01
[63]
서적
Teaching Critical Thinking in Psychology
https://archive.org/[...]
Wiley-Blackwell
[64]
서적
Brain Lateralization in Children: Developmental Implications
https://archive.org/[...]
Guilford Press
[65]
간행물
Neuro-linguistic programming: Cargo cult psychology?
https://web.archive.[...]
[66]
간행물
NLP is not based on constructivism
http://www.sgcp.org.[...]
2008-12
[67]
간행물
Discredited psychological treatments and tests: A Delphi poll.
2006-01-01
[68]
간행물
What Does Not Work? Expert Consensus on Discredited Treatments in the Addictions
2010-09-01
[69]
간행물
Evidence-based practices in addiction treatment: Review and recommendations for public policy
2010-10-01
[70]
간행물
Neurolinguistic programming: Magic or myth?
[71]
논문
u voor neuro-linguistische programmering
http://www.skepsis.n[...]
[72]
서적
Mind Myths: Exploring Popular Assumptions About the Mind and Brain
John Wiley & Sons
[73]
논문
Growing anti-intellectualism in Europe; a menace to science
http://www.allea.org[...]
[74]
논문
The Seductive Allure of Neuroscience Explanations
[75]
법률
http://63.197.255.15[...]
1981-10-29
[76]
웹사이트
Summary of the Legal Proceedings January 1997 – June 23, 2003
http://www.steverrob[...]
2013-06-12
[77]
법률
http://63.197.255.15[...]
2000-02-10
[78]
웹사이트
NLP Matters 2
http://www.anlp.org/[...]
2013-06-12
[79]
웹사이트
NLP Matters
http://www.anlp.org/[...]
2013-06-12
[80]
웹사이트
Case details for trade mark UK00002067188
http://www.ipo.gov.u[...]
2013-06-13
[81]
웹사이트
3.5. Who Owns NLP?
http://users.telenet[...]
2013-06-12
[82]
웹사이트
"((This page contains the ruling in the case of Richard Bandler against many others in the NLP community))"
http://users.telenet[...]
2013-06-12
[83]
웹사이트
75351747
http://tsdr.uspto.go[...]
United States Patent and Trademark Office
2013-06-13
[84]
웹사이트
73253122
http://tsdr.uspto.go[...]
United States Patent and Trademark Office
2013-06-13
[85]
웹사이트
NLP FAQ
http://users.telenet[...]
2001-07-27
[86]
웹사이트
NLP Comprehensive Lawsuit Response
http://www.steverrob[...]
2013-06-14
[87]
서적
The NLP Professional: Create a More Professional, Effective and Successful NLP Business
Ecademy Press
[88]
뉴스
Cat registered as hypnotherapist
http://news.bbc.co.u[...]
BBC
2009-10-12
[89]
논문
Power therapies and possible threats to the science of psychology and psychiatry
http://www.devilly.o[...]
[90]
간행물
Enhancing Human Performance: Issues, Theories, and Techniques
http://www.nap.edu/o[...]
National Academy Press
[91]
문서
Predicate matching in NLP: A review of research on the preferred representational system.
[92]
문서
リフレーミング -心理的枠組の変換をもたらすもの-
星和書店
[93]
논문
The Bandler Method
http://www.american-[...]
Mother Jones
2013-05-24
[94]
법률
http://63.197.255.15[...]
1981-10-29
[95]
서적
Whispering In The Wind
J & C Enterprises
[96]
웹사이트
The lawsuit that almost killed NLP
http://www.neurosema[...]
2010-09-20
[97]
웹사이트
NLP Archives – Frequently Asked Questions about NLP
http://users.telenet[...]
2013-06-12
[98]
웹사이트
Trademark Status and Document Retrieval
http://tsdr.uspto.go[...]
2013-06-13
[99]
웹사이트
NLP Research and Recognition Project - Just another Attayn Sites
http://nlprandr.org/
Attayn
2008
[100]
뉴스
Veterans now fight mental battle
http://news.bbc.co.u[...]
2009-06-23
[101]
문서
神経言語プログラミング(neuro-linguistic programming) (NLP)
http://www.dma.aoba.[...]
[102]
문서
望む人生を手に入れよう―NLPの生みの親バンドラーが語る 今すぐ人生を好転させ真の成功者になる25の秘訣
エル書房
[103]
논문
Neurolinguistic programming: a systematic review of the effects on health outcomes
https://doi.org/10.3[...]
2012-11
[104]
논문
Evidence-based Neuro Linguistic Psychotherapy: a meta-analysis
2015-12
[105]
논문
The effect of neuro-linguistic programming on occupational stress in critical care nurses
https://doi.org/10.4[...]
2016
[106]
서적
"Chapter 10: How useful are 'popular' models of interpersonal communication?"
Routledge, United Kingdom
1999
[107]
간행물
Neurolinguistic programming: An interim verdict
http://www.mheap.com[...]
Croom Helm, London
1988
[108]
서적
"Are we in our right minds?"
Wiley, John & Sons
1999
[109]
논문
Thirty-Five Years of Research on Neuro-Linguistic Programming. NLP Research Data Base. State of the Art or Pseudoscientific Decoration?
2010-01-01
[110]
논문
Not-so Linguistic Programming
[111]
서적
Scientific Thinking in Speech and Language Therapy
Psychology Press
[112]
간행물
災害・事故後の PTSD に対する神経言語プログラミング(NLP)による治療効果についての検討
http://www.jisinsin.[...]
第29回 日本小児心身医学会学術集会プログラム
2011-09-17
[113]
서적
Science and Pseudoscience in Social Work Practice
https://books.google[...]
Springer Publishing Company (社会福祉実習の科学と疑似科学)
2015-05-15
[114]
논문
Research findings on neurolinguistic programming: Nonsupportive data or an untestable theory?
1987-01-01
[115]
논문
Selected alternative training techniques in HRD
[116]
논문
Be All That You Can Be: Enhancing Human Performance
2004-11-01
[117]
논문
Thirty-Five Years of Research on Neuro-Linguistic Programming. NLP Research Data Base. State of the Art or Pseudoscientific Decoration?
2010-01-01
[118]
논문
NLP – help or hype? Investigating the uses of neuro-linguistic programming in management learning
1996-01-01
[119]
문서
Master the Nlp Yoga Now
Kirin International A.G.
[120]
논문
Medical Mimesis: Healing Signs of a Cosmopolitan "Quack"
Wiley
1999-02
[121]
논문
Neurolinguistic programming: Magic or myth?
[122]
웹인용
Introducing Neuro-Linguistic Programming
http://www.som.surre[...]
Centre for Management Learning & Development, School of Management, University of Surrey.
2019-09-12
[123]
영상
What is NLP?
https://www.youtube.[...]
NLP Life
2013-06-01
[124]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