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상 털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상 털기는 개인의 신상 정보를 온라인에서 공개하는 행위를 의미하며, 영어로는 "doxing"이라고 한다. 이는 개인의 사생활 침해, 명예훼손, 협박, 스와팅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종종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한다. 신상 털기는 인터넷 이전 시대에도 존재했지만, 인터넷과 소셜 미디어의 발전으로 개인 정보 접근이 쉬워지면서 더욱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신상 털기는 피해자에게 정신적 고통, 신원 도용, 금융 피해 등을 야기할 수 있으며, 찬반 논란이 존재한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개인 정보 보호, 증거 확보 및 신고, 법적 조치, 예방 서비스 이용 등의 노력이 필요하며, 대한민국을 포함한 여러 국가에서 신상 털기를 규제하는 법적 조치를 시행하고 있다.
신상 털기는 신조어이다. "신상 털기"는 한국어 단어 "신상 정보"와 "털기"를 합쳐 만든 말이다. 영어로는 "doxing" 또는 "doxxing"이라고 하며, 이는 "문서(documents)"의 약어인 "docs"에서 유래하였다. "dox"라는 용어는 "dox를 떨어뜨린다(dropping dox)"라는 속어에서 파생되었는데, 와이어드의 맷 호난에 따르면 "1990년대 해커 문화에서 등장한 구식 보복 전술"이었다. 당시 법 바깥에서 활동하던 해커들은 상대방의 익명성을 침해하여 괴롭힘이나 법적 불이익에 노출시키는 수단으로 사용했다.[7]
신상 털기는 인터넷 이전 시대에도 존재했다. 예를 들어, 1765년 인지세법(Stamp Act 1765)에 대응하여, 자유의 아들들(Sons of Liberty)과 같은 급진 단체들은 세금 징수원과 영국 상품 보이콧에 불응하는 사람들의 이름을 팸플릿과 신문 기사에 게재하여 압력을 가했다.[9][10]
인터넷 포털 사이트의 검색 서비스와 SNS의 발전으로 개인 정보 접근이 용이해졌다.[52] 또한, 사생활 침해나 명예훼손, 비인격적 행동을 저지르는 사람에 대한 개인적인 처벌 및 보복 심리가 신상 털기의 원인으로 작용한다.[52]
신상 털기의 피해는 다양하며, 개인에게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2. 어원
신상 털기는 이전에 사적이거나 얻기 어려웠던 개인의 기록을 공개하고 대중에게 알리는 행위이며, 사생활 침해를 통한 보복의 수단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종종 부정적인 의미를 지닌다.[8]
3. 역사
해커 문화에서 "dox"라는 용어는 "dox를 떨어뜨린다(dropping dox)"라는 표현에서 유래되었는데, 이는 와이어드의 기고가 맷 호난에 따르면 "1990년대 해커 문화에서 등장한 구식 보복 전술"이었다. 당시 해커들은 상대방의 익명성을 침해하여 괴롭힘이나 법적 불이익에 노출시키는 수단으로 사용했다.[7]
1990년대 후반 Usenet과 같은 인터넷 토론 포럼에서 신나치주의자 혐의자들의 목록을 유포하거나, 닐 호슬리(Neal Horsley)가 운영하는 뉘른베르크 파일(Nuremberg Files)이라는 웹사이트에서 낙태(abortion) 시술 제공자들의 자택 주소를 공개하는 등의 형태로 나타났다.[11]
2010년대 중반, 게이머게이트 (사건)(Gamergate harassment campaign) 사건을 통해 이 용어는 대중에게 널리 알려졌다. 게이머게이트 참여자들은 종종 대상에게 신체적 해를 가하려는 의도로, 대상에 대한 민감한 정보를 공개했다.[11]
최근에는 정치적, 사회적 논쟁 과정에서 특정인의 신상 정보를 공개하여 공격하는 형태로 자주 발생한다. 특히 이스라엘-하마스 전쟁(Israel-Hamas war)으로 인해 미국에서 신상 털기 활동이 급증했다. 우익 옹호 단체인 정확한 미디어(Accuracy in Media)는 예일 대학교(Yale University)와 컬럼비아 대학교(Columbia University)에 신상 털기 트럭을 보내, 캠퍼스에서 "대표적인 반유대주의자"로 간주되는 학생들의 이름과 얼굴을 표시했다.[15][16] 카나리 미션(Canary Mission)은 "이스라엘 정권이 모든 폭력 사태에 전적으로 책임이 있다"고 주장한 하버드 대학교(Harvard University) 학생들의 신원과 사진을 공개했다.[17][18]
4. 원인
해커들은 상대방의 익명성을 침해하여 괴롭힘이나 법적 불이익에 노출시키는 수단으로 신상 털기를 사용하기도 한다.[7] 신상 털기는 사생활 침해를 통한 보복의 수단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부정적인 의미를 지니기도 한다.[8]
신상 털기에는 여러 가지 동기가 있다. 유해한 행동을 폭로하고 가해자에게 책임을 묻기 위해 신상 털기를 하기도 하며, 다른 사람들은 누군가를 당황하게 하거나, 겁을 주거나, 위협하거나, 처벌하기 위해 사용하기도 한다. 또한 사이버 스토킹에 자주 사용되며, 이는 누군가 자신의 안전에 대해 두려움을 느끼게 할 수 있다. 연구자들은 신상 털기가 유해한 행동을 폭로하는 경우와 같이 일부는 정당화될 수 있지만, 대중과 일치하는 경우에만 정당화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27]
5. 유형
6. 피해
7. 찬반 논란
신상 털기에 대해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찬반 논란이 있다. 일부는 신상 털기를 비윤리적, 반사회적 행동에 대한 현대 사회의 처벌 방식으로 보지만, 다른 일부는 무고한 피해자가 발생하고 가해자의 가족과 주변인까지 피해를 볼 수 있다는 점을 들어 반대한다.[1]
7. 1. 찬성 측
일부 네티즌들은 신상 털기가 비윤리적, 반사회적 행동에 대한 현대 사회의 처벌 방식 중 하나라고 보며 찬성한다.[1]7. 2. 반대 측
일부 네티즌들은 신상 털기로 인해 전혀 관계없는 엉뚱한 사람이 피해자가 되어 인생이 망가지는 결과를 낳을 수 있으며, 무고한 가해자의 가족과 주변인들까지 피해를 본다며 반대 입장을 표하고 있다.[1]8. 관련 사례
1990년대 후반, 닐 호슬리(Neal Horsley)가 운영하는 뉘른베르크 파일(Nuremberg Files)이라는 웹사이트에는 낙태(abortion) 시술 제공자들의 자택 주소가 게시되었으며, 웹사이트 방문자들이 해당 인물들을 스토킹하고 살해해야 한다는 암시적인 내용이 담겨 있었다.[11]
2012년, 가커(Gawker) 기자 에이드리언 첸(Adrian Chen)이 레딧(Reddit) 트롤 Violentacrez의 신원을 마이클 브루츠(Michael Brutsch)로 밝히자, 레딧 사용자들은 첸이 브루츠의 신상을 털었다고 비난하고 ''가커''에 "전쟁"을 선포했다. 2010년대 중반, 게이머게이트 (사건)(Gamergate harassment campaign) 사건으로 인해 이 용어는 더 널리 사용되었다.[11]
2014년, ''뉴스위크(Newsweek)''가 비트코인(Bitcoin)의 가명(pseudonym) 개발자를 찾으려고 시도하자, 암호화폐(cryptocurrency) 옹호자들로부터 신상 털기 혐의를 받았다. 2016년, 이탈리아(Italy)의 한 기자가 익명의 이탈리아 소설가(novelist) 엘레나 페란테(Elena Ferrante)의 신원을 찾으려고 하자, 성별을 이용한 괴롭힘 혐의를 받았고, ''복스(Vox (website))''는 이 검색을 "엘레나 페란테의 신상 털기"라고 언급했다.[11]
2020년, ''뉴욕 타임스(The New York Times)''가 ''슬레이트 스타 코덱스(Slate Star Codex)'' 블로그를 운영하는 캘리포니아(California) 정신과 의사의 실제 이름을 공개할 계획이라고 밝히자, 블로그 팬들은 ''타임스''가 신상을 털었다고 비난했다.[11]
2022년, ''버즈피드 뉴스(BuzzFeed News)'' 기자 케이티 노토풀로스(Katie Notopoulos)는 공개 비즈니스 기록을 사용하여, 이전에 익명으로 활동했던 보어드 에이프 요트 클럽(Bored Ape Yacht Club) 설립자들의 신원을 밝혀냈다. 설립자 중 한 명인 그레그 솔라노(Greg Solano)는 "원치 않게 신상이 털렸다"고 주장했다.[11]
2022년 4월, ''워싱턴 포스트(The Washington Post)'' 기자 테일러 로렌츠(Taylor Lorenz)는 트위터(Twitter) 계정 Libs of TikTok 운영자인 차야 라이치크(Chaya Raichik)의 신원을 공개했는데, 그녀는 부동산(real estate) 분야에서 일하고 있었다. 이로 인해 라이치크와 우파 인사들은 로렌츠를 신상 털기로 비난했다.[11]
이스라엘 온 캠퍼스 연합(Israel on Campus Coalition) 및 카나리 미션(Canary Mission)을 포함한 친 이스라엘 NGO들은 전단과 웹사이트를 통해 팔레스타인 활동가들의 공개 정보를 배포하여 도싱을 했다는 비난을 받았다.[13][14] 이스라엘-하마스 전쟁(Israel-Hamas war)으로 인해 미국에서 도싱 활동이 급증했다. 우익 옹호 단체인 정확한 미디어(Accuracy in Media)는 예일 대학교(Yale University)와 컬럼비아 대학교(Columbia University)에 도싱 트럭을 보내, 캠퍼스에서 "대표적인 반유대주의자"로 간주되는 학생들의 이름과 얼굴을 표시했다.[15][16] 카나리 미션은 10월 7일에 발행된 공개 서한에 참여하여 "이스라엘 정권이 모든 폭력 사태에 전적으로 책임이 있다"고 주장한 하버드 대학교(Harvard University) 학생들의 신원과 사진을 공개했다.[17][18]
9. 예방 및 대응
신상 털기를 예방하려면, 여러 사이트에서 같은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쓰지 않고, 검색하기 어렵도록 특이한 아이디보다는 흔한 아이디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인터넷에 신상 정보나 민감한 정보를 담은 글을 올리지 않도록 주의하고, 출처가 불분명한 이메일은 열어보지 않으며, 특히 페이스북, 트위터 등 SNS(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사칭하는 이메일에 유의해야 한다.[53] 평소 온라인과 오프라인 모두에서 올바른 언어와 행동 습관을 가지는 것이 신상 털기를 예방하는 가장 좋은 방법이다.
사이버 신상 털기(doxing)가 증가하면서 사이버 보안, 인터넷 개인 정보 보호 관련 회사들이 발전해 왔고,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28]와 같은 단체들은 구성원 보호를 위한 온라인 지침을 만들었다. 전자 프론티어 재단의 에바 갤퍼린은 자신을 구글 검색하고, 스스로를 보호하며, 자신에 대한 정보 접근을 더 어렵게 만들라고 조언했다.[29]
9. 1. 예방
여러 사이트에서 동일한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사용하지 않도록 주의한다.[53] 아이디를 만들 때에는 검색하기 어렵도록 특이한 아이디보다는 흔한 아이디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인터넷에는 신상 정보나 민감한 정보를 담은 글을 올리지 않도록 조심하고, 특히 페이스북, 트위터 등 SNS(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사칭하는 이메일에 주의하며 출처가 불분명한 이메일은 열어보지 않는 것이 좋다. 무엇보다 평소 비도덕적인 행동이나 언행은 신상 털기의 대상이 될 수 있으므로, 온라인과 오프라인 모두에서 올바른 언어와 행동 습관을 가지는 것이 중요하다.9. 2. 대응
신상 털기 피해가 발생하면 증거 자료를 확보(캡처, 녹화 등)하고 사이버수사대, 방송통신심의위원회 등에 신고해야 한다. 법률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민형사상 조치를 취할 수도 있다. 신상 털기 방지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도 방법이다.[28]사이버 보안, 인터넷 개인 정보 보호 관련 회사들이 신상 털기 방지 서비스를 제공한다.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와 같은 단체들은 구성원 보호를 위한 온라인 지침을 만들었다. 전자 프론티어 재단의 에바 갤퍼린은 자신을 구글 검색하고, 스스로를 보호하며, 자신에 대한 정보 접근을 더 어렵게 만들라고 조언했다.[29]
10. 법적 규제
대한민국은 신상 털기를 특별히 다루는 형법 조항을 가진 몇 안 되는 국가 중 하나이다.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제49조는 이름, 생년월일, 주소, 외모 등 특정 개인을 식별하기에 충분하다고 여겨지는 개인 정보를 불법적으로 수집하고 유포하는 행위를 의도와 상관없이 금지한다.[40] 그러나 실제로는, 이 법률에서 "불법적인 수집"의 모호한 특성으로 인해, 법적 조치는 종종 같은 법의 제44조에 근거한다. 제44조는 모욕적이거나 비속한 언어로 개인을 모욕하거나, 오정보 또는 개인의 명예를 훼손할 수 있는 특권적인 사실 정보를 유포하여 개인을 비방하는 행위를 금지한다(이는 신상 털기 사건에서 자주 발생한다). 이 조항은 한국 형법에 존재하는 "전통적인" 명예훼손 조항보다 더 엄격한 최고 형량을 부과한다. 이는 원래 사이버 괴롭힘으로 인한 연예인 자살 증가에 부분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제정되었다.
2024년, 오스트레일리아 정부는 유대계 호주인들의 WhatsApp 그룹 구성원 600명 이상의 개인 정보가 유출된 사건을 계기로 신상 털기를 범죄화하는 새로운 법안을 도입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개인 정보가 유출된 일부 사람들은 명예 훼손 및 살해 협박을 받았다.[30][31] 이 법안은 신상 털기를 징역형으로 처벌하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초당적인 지지를 받았고, 앤서니 앨버니지 총리의 지지를 받았다.[30][32]
2020년 3월 1일부터 중화인민공화국의 "온라인 정보 콘텐츠의 생태 거버넌스 규정"이 시행되어, 온라인 정보 콘텐츠 서비스 및 플랫폼의 사용자 및 제작자는 온라인 폭력, 신상 털기, 딥페이크, 데이터 사기, 계정 조작 등 불법 행위를 해서는 안 된다고 명시했다.[33]
2021년, 홍콩에서는 특정 개인의 사적인 정보나 공개되지 않은 정보를 공개하여 "협박, 위협, 괴롭힘 또는 정신적 피해를 야기할 목적"으로 하는 행위인 신상 털기가 형사 범죄에 해당한다. 이 법에 따라 유죄 판결을 받은 사람은 최대 5년의 징역형과 100만 홍콩 달러(128324.4달러)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다.[34]
2021년, 네덜란드 활동가, 정치인, 언론인 등을 대상으로 한 신상 털기 사건이 증가함에 따라 당시 법무부 장관 페르디난트 하퍼하우스는 신상 털기 방지법을 제안했다. 이 법은 위협, 괴롭힘 또는 업무 방해를 목적으로 개인 정보를 공유하는 행위를 중범죄로 규정하며, 최대 2년의 징역 또는 25750EUR (28204USD)의 벌금에 처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특정 공인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 형량이 3분의 1까지 가중된다.[35] 이 법안은 의회 양원을 통과하여 2024년 1월 1일부터 발효되었다.[36][37][38]
개인 정보 공개, 대중 매체, 인터넷,[39] 심지어 공공 행사 등을 이용하여 개인 정보를 공유하는 행위는 「개인 사생활 침해」에 해당하는 범죄로 간주되며, 최대 18개월의 급여에 해당하는 벌금, 최대 360시간의 강제 노동, 최대 1년의 교정 노동, 또는 최대 2년의 강제 노동에 처해질 수 있다. 또한 특정 직책을 맡거나 특정 활동에 참여할 권리를 최대 3년까지 박탈하거나 박탈하지 않을 수 있으며, 최대 4개월의 구류 또는 최대 2년의 징역에 처해지고 최대 3년까지 특정 직책을 맡거나 특정 활동에 참여할 권리가 박탈될 수 있다. 정보의 불법적인 복사 및 획득 행위 또한 별도의 범죄이다.[39]
스페인 형법은 197조부터 201조까지 비밀 발견 및 누설에 대한 처벌을 규정하고 있다. 형법 제197조 1항은 "타인의 비밀을 발견하거나 사생활을 침해할 목적으로, 동의 없이 타인의 서류, 편지, 이메일 메시지 또는 기타 문서나 개인 소지품을 압수하거나, 통신을 가로채거나, 소리나 이미지 또는 기타 통신 신호의 청취, 전송, 녹음 또는 재생을 위한 기술 장치를 사용하는 자는 1년에서 4년의 징역형과 12개월에서 24개월의 벌금에 처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제197조 2항에 따르면, "컴퓨터, 전자 또는 텔레매틱 파일 또는 매체, 또는 기타 유형의 파일 또는 공공 또는 개인 기록에 등록된 타인의 사적 또는 가족 데이터를 제3자에게 불리하게 압수, 사용 또는 수정하는 자"도 동일한 처벌을 받는다. 상기 데이터를 제3자에게 "유포, 공개 또는 이전"하는 자는 2년에서 5년의 징역형에 처해진다 (발견에 직접 관여하지 않았지만 "불법적인 출처를 알고 있는" 경우 1년에서 3년의 징역형과 12개월에서 24개월의 벌금). 이러한 범죄는 해당 파일, 매체, 기록 또는 보관소의 책임자가 저지르거나, 개인 데이터의 무단 사용을 통해 저질러진 경우, 피해자의 이념, 종교, 신념, 건강, 인종적 기원 또는 성생활이 드러난 경우, 피해자가 미성년자 또는 장애인인 경우, 그리고 경제적 이윤을 위해 저질러진 경우 특히 가중 처벌된다.[41]
2015년 형법 개정에 따라,[42] 피해자의 허가 없이 "제3자의 눈에 띄지 않는 집이나 기타 장소에서 그들의 동의를 얻어 얻은 이미지나 시청각 녹음을 공개하여, 공개가 해당 개인의 사생활을 심각하게 훼손하는 경우"는 제197조 7항에 따라 3개월에서 1년의 징역형과 6개월에서 12개월의 벌금에 처해진다. 이 범죄는 피해자가 결혼 또는 "유사한 정서적 관계"로 가해자와 연결된 경우, 미성년자이거나 장애인인 경우 특히 가중 처벌된다.[41]
미국에서는 신상 털기 피해자를 위한 법적 구제 수단이 거의 없다.[43] 신상 털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연방법 두 가지는 주간 통신법과 주간 스토킹법이다. 그러나 한 학자는 "[이 법률은] ... 신상 털기를 방지하기에는 턱없이 부족하다. 그 조항이 포괄적이지 않고 거의 시행되지 않기 때문이다."라고 주장한다. 예를 들어, 주간 통신법은 "사람을 납치하거나 해칠 명시적인 위협을 가하는 행위만 범죄로 규정한다." 그러나 많은 신상 털기 사례에서 가해자는 납치나 해악에 대한 명시적인 위협을 하지 않을 수 있지만, 피해자는 여전히 끔찍한 공포를 느낄 만한 충분한 이유가 있을 수 있다. 주간 스토킹법은 "거의 시행되지 않으며, 온라인 괴롭힘으로부터 형식적인 보호만을 제공한다."
적어도 한 가지 추정에 따르면, 매년 3백만 명 이상이 인터넷을 통해 스토킹을 당하지만, 주간 스토킹법에 따라 기소되는 경우는 3건 정도에 불과하다. 따라서 "이러한 연방 집행의 부재는 신상 털기를 줄이려면 주(州)가 개입해야 함을 의미한다."
2023년 말과 2024년 초, 미국 정치인에 대한 스와팅 사건이 잇따르면서, 미국 시민들의 개인 정보가 다양한 데이터 브로커로 인해 온라인에서 쉽게 접근할 수 있기 때문에, 정보 프라이버시와 관련된 법이 취약한 미국에서 공격을 조장하는 방식으로 널리 사용되었다.[44]
10. 1. 대한민국
대한민국은 신상 털기를 특별히 다루는 형법 조항을 가진 몇 안 되는 국가 중 하나이다.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제49조는 이름, 생년월일, 주소, 외모 등 특정 개인을 식별하기에 충분하다고 여겨지는 개인 정보를 불법적으로 수집하고 유포하는 행위를 의도와 상관없이 금지한다.[40] 그러나 실제로는, 이 법률에서 "불법적인 수집"의 모호한 특성으로 인해, 법적 조치는 종종 같은 법의 제44조에 근거한다. 제44조는 모욕적이거나 비속한 언어로 개인을 모욕하거나, 오정보 또는 개인의 명예를 훼손할 수 있는 특권적인 사실 정보를 유포하여 개인을 비방하는 행위를 금지한다(이는 신상 털기 사건에서 자주 발생한다). 이 조항은 한국 형법에 존재하는 "전통적인" 명예훼손 조항보다 더 엄격한 최고 형량을 부과한다. 이는 원래 사이버 괴롭힘으로 인한 연예인 자살 증가에 부분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제정되었다.10. 2. 해외
2024년, 오스트레일리아 정부는 유대계 호주인들의 WhatsApp 그룹 구성원 600명 이상의 개인 정보가 유출된 사건을 계기로 신상 털기를 범죄화하는 새로운 법안을 도입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개인 정보가 유출된 일부 사람들은 명예 훼손 및 살해 협박을 받았다.[30][31] 이 법안은 신상 털기를 징역형으로 처벌하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초당적인 지지를 받았고, 앤서니 앨버니지 총리의 지지를 받았다.[30][32]2020년 3월 1일부터 중화인민공화국의 "온라인 정보 콘텐츠의 생태 거버넌스 규정"이 시행되어, 온라인 정보 콘텐츠 서비스 및 플랫폼의 사용자 및 제작자는 온라인 폭력, 신상 털기, 딥페이크, 데이터 사기, 계정 조작 등 불법 행위를 해서는 안 된다고 명시했다.[33]
2021년, 홍콩에서는 특정 개인의 사적인 정보나 공개되지 않은 정보를 공개하여 "협박, 위협, 괴롭힘 또는 정신적 피해를 야기할 목적"으로 하는 행위인 신상 털기가 형사 범죄에 해당한다. 이 법에 따라 유죄 판결을 받은 사람은 최대 5년의 징역형과 100만 홍콩 달러(128324.4달러)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다.[34]
2021년, 네덜란드 활동가, 정치인, 언론인 등을 대상으로 한 신상 털기 사건이 증가함에 따라 당시 법무부 장관 페르디난트 하퍼하우스는 신상 털기 방지법을 제안했다. 이 법은 위협, 괴롭힘 또는 업무 방해를 목적으로 개인 정보를 공유하는 행위를 중범죄로 규정하며, 최대 2년의 징역 또는 25750EUR (28204USD)의 벌금에 처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특정 공인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 형량이 3분의 1까지 가중된다.[35] 이 법안은 의회 양원을 통과하여 2024년 1월 1일부터 발효되었다.[36][37][38]
개인 정보 공개, 대중 매체, 인터넷,[39] 심지어 공공 행사 등을 이용하여 개인 정보를 공유하는 행위는 「개인 사생활 침해」에 해당하는 범죄로 간주되며, 최대 18개월의 급여에 해당하는 벌금, 최대 360시간의 강제 노동, 최대 1년의 교정 노동, 또는 최대 2년의 강제 노동에 처해질 수 있다. 또한 특정 직책을 맡거나 특정 활동에 참여할 권리를 최대 3년까지 박탈하거나 박탈하지 않을 수 있으며, 최대 4개월의 구류 또는 최대 2년의 징역에 처해지고 최대 3년까지 특정 직책을 맡거나 특정 활동에 참여할 권리가 박탈될 수 있다. 정보의 불법적인 복사 및 획득 행위 또한 별도의 범죄이다.[39]
스페인 형법은 197조부터 201조까지 비밀 발견 및 누설에 대한 처벌을 규정하고 있다. 형법 제197조 1항은 "타인의 비밀을 발견하거나 사생활을 침해할 목적으로, 동의 없이 타인의 서류, 편지, 이메일 메시지 또는 기타 문서나 개인 소지품을 압수하거나, 통신을 가로채거나, 소리나 이미지 또는 기타 통신 신호의 청취, 전송, 녹음 또는 재생을 위한 기술 장치를 사용하는 자는 1년에서 4년의 징역형과 12개월에서 24개월의 벌금에 처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제197조 2항에 따르면, "컴퓨터, 전자 또는 텔레매틱 파일 또는 매체, 또는 기타 유형의 파일 또는 공공 또는 개인 기록에 등록된 타인의 사적 또는 가족 데이터를 제3자에게 불리하게 압수, 사용 또는 수정하는 자"도 동일한 처벌을 받는다. 상기 데이터를 제3자에게 "유포, 공개 또는 이전"하는 자는 2년에서 5년의 징역형에 처해진다 (발견에 직접 관여하지 않았지만 "불법적인 출처를 알고 있는" 경우 1년에서 3년의 징역형과 12개월에서 24개월의 벌금). 이러한 범죄는 해당 파일, 매체, 기록 또는 보관소의 책임자가 저지르거나, 개인 데이터의 무단 사용을 통해 저질러진 경우, 피해자의 이념, 종교, 신념, 건강, 인종적 기원 또는 성생활이 드러난 경우, 피해자가 미성년자 또는 장애인인 경우, 그리고 경제적 이윤을 위해 저질러진 경우 특히 가중 처벌된다.[41]
2015년 형법 개정에 따라,[42] 피해자의 허가 없이 "제3자의 눈에 띄지 않는 집이나 기타 장소에서 그들의 동의를 얻어 얻은 이미지나 시청각 녹음을 공개하여, 공개가 해당 개인의 사생활을 심각하게 훼손하는 경우"는 제197조 7항에 따라 3개월에서 1년의 징역형과 6개월에서 12개월의 벌금에 처해진다. 이 범죄는 피해자가 결혼 또는 "유사한 정서적 관계"로 가해자와 연결된 경우, 미성년자이거나 장애인인 경우 특히 가중 처벌된다.[41]
미국에서는 신상 털기 피해자를 위한 법적 구제 수단이 거의 없다.[43] 신상 털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연방법 두 가지는 주간 통신법과 주간 스토킹법이다. 그러나 한 학자는 "[이 법률은] ... 신상 털기를 방지하기에는 턱없이 부족하다. 그 조항이 포괄적이지 않고 거의 시행되지 않기 때문이다."라고 주장한다. 예를 들어, 주간 통신법은 "사람을 납치하거나 해칠 명시적인 위협을 가하는 행위만 범죄로 규정한다." 그러나 많은 신상 털기 사례에서 가해자는 납치나 해악에 대한 명시적인 위협을 하지 않을 수 있지만, 피해자는 여전히 끔찍한 공포를 느낄 만한 충분한 이유가 있을 수 있다. 주간 스토킹법은 "거의 시행되지 않으며, 온라인 괴롭힘으로부터 형식적인 보호만을 제공한다."
적어도 한 가지 추정에 따르면, 매년 3백만 명 이상이 인터넷을 통해 스토킹을 당하지만, 주간 스토킹법에 따라 기소되는 경우는 3건 정도에 불과하다. 따라서 "이러한 연방 집행의 부재는 신상 털기를 줄이려면 주(州)가 개입해야 함을 의미한다."
2023년 말과 2024년 초, 미국 정치인에 대한 스와팅 사건이 잇따르면서, 미국 시민들의 개인 정보가 다양한 데이터 브로커로 인해 온라인에서 쉽게 접근할 수 있기 때문에, 정보 프라이버시와 관련된 법이 취약한 미국에서 공격을 조장하는 방식으로 널리 사용되었다.[44]
참조
[1]
뉴스
What doxxing is, and why it matters
https://www.economis[...]
2016-01-05
[1]
웹사이트
The Security of Our Election Systems
https://www.schneier[...]
2016-08-06
[1]
간행물
The FBI's warning about doxing was too little too late
http://www.thetechhe[...]
2012-10-23
[1]
뉴스
Duke freshman reveals porn identity
https://www.bbc.co.u[...]
2014-04-09
[1]
뉴스
Anti-fascists say police post mugshots on Twitter to 'intimidate and silence'
https://www.theguard[...]
2018-08-16
[2]
뉴스
What is Doxing?
http://www.technewsd[...]
2013-10-24
[3]
논문
Doxing: What Adolescents Look for and Their Intentions
2019-01-14
[4]
웹사이트
What is Doxxing?
https://www.usnews.c[...]
2021-12-16
[5]
뉴스
Doxed: how Sabu was outed by former Anons long before his arrest
https://arstechnica.[...]
Ars Technica
2012-10-23
[6]
뉴스
Did LulzSec Trick Police Into Arresting the Wrong Guy? – Technology
http://www.theatlant[...]
The Atlantic Wire
2012-10-23
[7]
간행물
What Is Doxing?
https://www.wired.co[...]
2014-12-10
[8]
간행물
Doxing: An Etymology
https://www.theatlan[...]
2014-12-10
[9]
서적
American History: From Pre-Columbian to the New Millennium
https://www.ushistor[...]
[10]
웹사이트
Terms of Estrangement: Who Were the Sons of Liberty?
https://research.col[...]
The Colonial Williamsburg Foundation
2023-07-10
[11]
웹사이트
'Doxxing' Means Whatever You Want It To
https://www.theatlan[...]
2022-05-01
[12]
웹사이트
'Doxxing' Means Whatever You Want It To
https://www.theatlan[...]
2022-10-24
[13]
간행물
Israel's War on American Student Activists
https://www.thenatio[...]
2023-11-18
[14]
웹사이트
Canary Mission's Threat Grows, From U.S. Campuses To The Israeli Border
https://forward.com/[...]
2018-09-16
[15]
웹사이트
"'Doxxing truck' appears on Yale's campus, displays student names and photos"
https://yaledailynew[...]
2023-11-18
[16]
웹사이트
"'Doxxing Truck' Takes Columbia—Here's What To Know About The Trucks That Post Names Of Students"
https://www.forbes.c[...]
2023-11-18
[17]
웹사이트
Harvard Student Groups Face Intense Backlash for Statement Calling Israel 'Entirely Responsible' for Hamas Attack {{!}} News {{!}} The Harvard Crimson
https://www.thecrims[...]
2024-01-19
[18]
웹사이트
The Canary Mission's doxxing needs to stop
https://dailycollegi[...]
2023-11-18
[19]
conference
Non-Zero Sum Games and Survivable Malware
[20]
서적
Malicious Cryptography: Exposing Cryptovirology
Wiley
[21]
논문
Cryptovirology: Virus Approach
[22]
웹사이트
California Penal Code 653y PC – Misusing 911
https://www.shousela[...]
2022-07-22
[23]
간행물
What to Know About Swatting
https://time.com/508[...]
2021-09-20
[24]
웹사이트
Love in an algorithmic age
https://www.kaspersk[...]
2022-08-19
[25]
서적
Proceedings of the 2018 CHI Conference on Human Factors in Computing Systems
Association for Computing Machinery
2018-04-21
[26]
뉴스
Someone is blackmailing dark web users to pay up or get doxxed
https://thenextweb.c[...]
2017-12-06
[26]
웹사이트
Gamergate hits new low with attempts to send Swat teams to critics
https://www.theguard[...]
2015-07-02
[26]
웹사이트
Recent wave of swatting nationwide fits definition of terrorism, Princeton police chief says
http://www.nj.com/me[...]
2015-07-03
[26]
웹사이트
The dangers and ramifications of doxxing and swatting
http://www.gamezone.[...]
2014-10-28
[26]
간행물
Anti-Vaxxers Are Using Twitter to Manipulate a Vaccine Bill
https://www.wired.co[...]
Conde Nast
2015-07-03
[27]
논문
Doxing: a conceptual analysis
https://doi.org/10.1[...]
2016-09-01
[28]
웹사이트
Protect yourself from "Doxxing" {{!}} Office of Ethics
https://ethics.berke[...]
2022-06-02
[29]
간행물
What To Do If You've Been Doxed
https://www.wired.co[...]
2022-05-01
[30]
뉴스
Albanese government to propose legislation to crack down on doxing
https://www.theguard[...]
2024-02-14
[31]
웹사이트
Anthony Albanese wants stronger doxing laws. Experts aren't so sure
https://www.sbs.com.[...]
2024-02-14
[32]
논문
Drinking water act has bipartisan support
http://dx.doi.org/10[...]
1996-07-08
[33]
뉴스
《网络信息内容生态治理规定》明确不得开展人肉搜索、流量造假等违法活动
http://www.gov.cn/xi[...]
中国政府网
2019-12-21
[34]
뉴스
Hong Kong introduces new legal amendments to outlaw doxxing
https://www.scmp.com[...]
2021-07-31
[35]
뉴스
Strafrechtelijke aanpak intimidatie door delen persoonsgegevens
https://www.rijksove[...]
2022-03-22
[36]
뉴스
Dutch Senate votes to make 'doxing' a crime
https://www.reuters.[...]
2023-07-11
[37]
웹사이트
Doxing wordt binnenkort strafbaar, Eerste Kamer akkoord
https://www.rtlnieuw[...]
2023-07-11
[38]
웹사이트
Wet van 12 juli 2023 tot wijziging van het Wetboek van Strafrecht, het Wetboek van Strafrecht BES, het Wetboek van Strafvordering en het Wetboek van Strafvordering BES in verband met de strafbaarstelling van het zich verschaffen, verspreiden of anderszins ter beschikking stellen van persoonsgegevens voor intimiderende doeleinden (strafbaarstelling gebruik persoonsgegevens voor intimiderende doeleinden)
https://zoek.officie[...]
2023-07-28
[39]
웹사이트
"Criminal liability for disseminating personal data on the Internet"
https://admmozhaysk.[...]
2023-09-22
[40]
웹사이트
대한민국 영문법령
https://elaw.klri.re[...]
2020-08-01
[41]
간행물
Ley Orgánica 10/1995, de 23 de noviembre, del Código Penal
https://www.boe.es/e[...]
1995-11-24
[42]
웹사이트
El Tribunal Supremo considera delito difundir imágenes obtenidas con el permiso de la víctima que afectan gravemente a su intimidad · Noticias Jurídicas
https://noticias.jur[...]
2022-08-19
[43]
서적
[44]
뉴스
US Must Stop 'Swatting' From Becoming an Election Weapon
https://www.bloomber[...]
2024-01-04
[45]
논문
ネットいじめの実態とその抑止策に関する実証的研究
https://www.taf.or.j[...]
[46]
간행물
「ネットで叩く」側の論理 誰が「私刑」を執行するのか
http://dot.asahi.com[...]
朝日新聞出版
[47]
서적
アメリカは今日も「炎上」中
2015-06-25
[48]
뉴스
大学教授、白人至上主義者だと誤って名指しされ シャーロッツビル衝突
https://www.bbc.com/[...]
2017-08-16
[49]
서적
インターネットと人権侵害
[50]
논문
テキスト系CGM利用時の不安に関する自由記述を中心とした調査結果について
https://doi.org/10.1[...]
[51]
웹사이트
第23回: ケータイが侵食するインターネット~異なる文化の邂逅によって生じるトラブルへの対処を~
http://www.glocom.ac[...]
2007-01
[52]
뉴스
신상털기? 막장털기!
http://news.donga.co[...]
동아닷컴
2010-10-21
[53]
뉴스
"당신도 예외는 아니다"…'무시무시한 신상털기' 공포
https://news.naver.c[...]
뉴시스
2011-06-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