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 반응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 반응(Real-time PCR)은 형광체를 사용하여 유전자 발현 수준을 감지하는 분자 생물학 기술이다. 소량의 RNA에서 유전자 발현을 정량화하기 위해 RNA를 cDNA로 역전사한 후, 형광 물질과 센서가 장착된 열 사이클러를 사용하여 DNA를 증폭하고 각 사이클에서 증폭된 생성물의 양을 측정한다. 이 기술은 유전자 발현 연구, 진단, 미생물학, 식물 병원체 검출, GMO 검출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유전자 발현량 측정, 바이러스 정량화, 유전자형 결정, SNP 분석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다.

2. 역사적 배경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 반응 기술은 유전자 발현을 연구하는 현대적인 방법론이다. 이전에는 mRNA의 양을 측정하기 위해 차등 표시, RNase 보호 분석 및 노던 블롯과 같은 방법이 사용되었다.[4] 노던 블롯은 샘플에서 mRNA 전사체의 양을 시각화하여 유전자의 발현 수준을 추정하는 데 자주 사용되는 방법이다. 이 방법에서는 정제된 RNA를 아가로스 겔 전기영동으로 분리하고, 고체 매트릭스(예: 나일론 막)로 옮긴 다음, 관심 유전자에 상보적인 특정 DNA 또는 RNA 프로브로 탐침한다. 이 기술은 여전히 유전자 발현을 평가하는 데 사용되지만, 비교적 많은 양의 RNA가 필요하며 mRNA 수준에 대한 정성적 또는 반정량적 정보만 제공한다.[4]

정량화 방법의 변동으로 인한 추정 오류는 DNA 무결성, 효소 효율 및 기타 여러 요인의 결과일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여러 표준화 시스템(종종 정규화 방법이라고 함)이 개발되었다. 일부는 전체 유전자 발현을 정량화하기 위해 개발되었지만, 가장 일반적인 것은 거의 일정한 발현 수준으로 선택된 정규화 유전자라고 하는 다른 유전자와 관련하여 연구 중인 특정 유전자를 정량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러한 유전자는 종종 기본 세포 생존과 관련된 기능이 일반적으로 구성적 유전자 발현을 의미하는 하우스키핑 유전자에서 선택된다.[5][6] 이를 통해 연구자는 관심 유전자의 발현과 선택된 정규화 유전자의 발현의 비율을 보고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발현의 절대적 수준을 실제로 알지 못하고도 전자를 비교할 수 있다.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정규화 유전자는 튜불린, 글리세르알데히드-3-인산 탈수소효소, 알부민, 사이클로필린, 및 리보솜 RNA를 암호화하는 유전자이다.[4]

3. 실험 과정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 반응은 지정된 파장 이상의 빛을 조사하고 여기된 형광체에서 방출되는 형광을 감지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춘 열 순환기에서 수행된다. 열 순환기는 시료를 빠르게 가열 및 냉각할 수 있어 핵산DNA 중합효소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활용한다.

PCR 과정은 일반적으로 25~50회 반복되는 일련의 온도 변화로 구성되며, 대개 다음 세 단계로 이루어진다.

단계온도설명
변성약 95°C핵산의 이중 가닥을 분리한다.
결합약 50~60°C프라이머가 DNA 주형과 결합한다.
중합68~72°CDNA 중합효소에 의해 중합이 촉진된다.



단편 크기가 작기 때문에 마지막 단계는 생략되기도 한다. 이때는 효소가 결합 단계와 변성 단계 사이에서 DNA 증폭 산물을 복제할 수 있다. 비특이적 염료를 사용할 때는 프라이머 이량체로 인한 신호를 줄이기 위해 약 80°C에서 짧은 시간 동안 형광을 측정하는 추가 단계를 거치기도 한다. 각 주기에 사용되는 온도와 시간은 DNA 합성에 사용되는 효소, 반응 내 이가 이온 및 dNTP 농도, 프라이머의 결합 온도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달라진다.[52]

3. 1. 기본 원리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 반응의 실험 과정은 일반적인 중합효소 연쇄 반응을 따르지만, 증폭된 DNA가 실시간으로 측정된다는 중요한 차이점이 있다. 일반적인 중합효소 연쇄 반응에서는 DNA가 마지막에 관측되는 반면,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 반응에서는 증폭 과정이 실시간으로 모니터링된다.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 반응에서는 DNA 증폭을 실시간으로 측정하기 위해 두 가지 방법을 사용한다.

  • 불특정 형광 염색: DNA 이중 나선에 끼어들어갈 수 있는 불특정 형광 염색을 사용한다. 이 염색은 상보적인 DNA 목표에 결합한 뒤 검출된다.
  • 서열-특이적 DNA 탐침: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로 이루어진 서열-특이적 DNA 탐침을 사용한다. 이 탐침은 형광으로 표지되어 있으며, 상보적인 DNA 목표에 결합한 뒤 검출된다.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 반응은 형광체를 사용하여 유전자 발현 수준을 감지한다.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 반응은 종종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 반응과 결합되어 세포 또는 조직의 mRNA와 비번역 RNA를 수량화하는 데 사용된다. 모든 유기체의 세포는 유전자 전사체(단일 가닥 RNA)의 교체를 통해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데, 세포 내에서 발현되는 유전자의 양은 샘플에 존재하는 해당 유전자의 RNA 전사체 복사본 수로 측정할 수 있다. 소량의 RNA로부터 유전자 발현을 정확하게 감지하고 정량화하려면 유전자 전사체의 증폭이 필요하다. 중합효소 연쇄 반응(PCR)은 DNA를 증폭하는 일반적인 방법이며, RNA 기반 PCR의 경우 RNA 샘플을 먼저 역전사 효소를 사용하여 상보적 DNA(cDNA)로 역전사한다.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 반응에서는 소량의 DNA를 증폭하기 위해 DNA 주형, 최소 한 쌍의 특정 프라이머, 데옥시리보뉴클레오티드 삼인산, 적절한 완충 용액 및 열 안정성 DNA 중합효소를 사용하여 기존 PCR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한다. 여기에 형광체로 표시된 물질을 추가하고, 열 사이클러를 사용하여 특정 파장에서 여기된 후 형광을 측정하여 특정 생성물의 생성 속도를 측정한다.[3] 이를 통해 각 PCR 사이클에서 증폭된 생성물의 생성 속도를 측정할 수 있으며, 생성된 데이터는 컴퓨터 소프트웨어로 분석하여 여러 샘플에서 ''상대적 유전자 발현''(또는 ''mRNA 복사본 수'')을 계산할 수 있다.

정량적 PCR은 샘플에서 DNA의 존재와 양을 결정하기 위해 DNA 검출 및 정량화에도 적용될 수 있다.[3] 이 측정은 각 증폭 사이클 후에 이루어지기 때문에 실시간 PCR (즉각적 또는 동시 PCR)이라고 불린다.

정량적 PCR과 DNA 마이크로어레이유전자 발현을 연구하는 현대적인 방법이다. 이전에는 mRNA의 양을 측정하기 위해 차등 표시, RNase 보호 분석 및 노던 블롯과 같은 방법이 사용되었다.[4]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 반응은 각 시료에 대해 지정된 파장 이상의 빛을 조사하고 여기된 형광체에서 방출되는 형광을 감지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춘 열 순환기에서 수행된다. 열 순환기는 또한 시료를 빠르게 가열 및 냉각할 수 있어 핵산DNA 중합효소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활용한다.

PCR 과정은 일반적으로 25~50회 반복되는 일련의 온도 변화로 구성된다.

  • 1단계: 약 95 °C에서 핵산의 이중 가닥을 분리한다.
  • 2단계: 약 50~60 °C의 온도에서 프라이머가 DNA 주형과 결합하도록 한다.
  • 3단계: 68~72 °C 사이에서 DNA 중합효소에 의해 수행되는 중합을 촉진한다.


단편의 크기가 작기 때문에 마지막 단계는 일반적으로 생략되는데, 효소가 정렬 단계와 변성 단계 사이의 변화 동안 DNA 증폭 산물을 복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비특이적 염료를 사용할 때는 프라이머 이량체 존재로 인한 신호를 줄이기 위해, 4단계 PCR을 통해 80 °C의 온도에서 각 사이클에서 몇 초만 지속되는 짧은 온도 단계에서 형광을 측정하기도 한다. 각 사이클에 사용되는 온도와 시간은 사용된 DNA 합성 효소, 반응 내 이가 이온 및 데옥시리보뉴클레오티드 삼인산(dNTP)의 농도, 프라이머의 결합 온도 등 다양한 매개변수에 따라 달라진다.

3. 2. 화학적 분류

(이중 가닥 DNA 결합 염료)DNA 이중 나선에 결합하는 형광 염료를 사용한다. (예: SYBR Green)* 프로브가 필요 없어 저렴하다.* 프라이머 이량체 등 비특이적 DNA도 검출한다.특이적 검출
(형광 리포터 프로브)형광 표지된 특이적 DNA 탐침(프로브)을 사용한다. (예: TaqMan 프로브)* 특이적 DNA만 검출하여 정확도가 높다.* 프로브 설계 및 합성에 비용과 노력이 필요하다.


3. 2. 1. 비특이적 검출: 이중 가닥 DNA 결합 염료 (SYBR Green)

SYBR Green과 같은 이중 가닥 DNA 결합 염료는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 반응(PCR)에서 DNA 증폭을 검출하는 데 사용된다. 이 염료는 모든 이중 가닥 DNA(dsDNA)에 결합하여 형광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PCR 과정에서 DNA 생성물이 증가하면 형광 강도도 함께 증가하여 실시간으로 증폭을 확인할 수 있다.[3]

이 방법은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가진다.

하지만 다음과 같은 단점도 존재한다.



비특이적 반응을 확인하기 위해 융해 곡선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융해 곡선 분석은 PCR 후 반응액의 온도를 서서히 올리면서 SYBR Green의 형광 신호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온도가 낮을 때는 DNA가 이중 나선 구조를 유지하여 형광 신호가 강하지만, 온도가 융해 온도(Tm)에 도달하면 DNA가 단일 가닥으로 해리되면서 형광 신호가 급격히 감소한다.

일반적으로 프라이머 이량체가 없으면 융해 곡선은 하나의 피크를 나타낸다. 그러나 목적 산물 외 다른 증폭이 일어나거나 프라이머 이량체가 형성되면 두 개 이상의 피크가 나타날 수 있다. 이 경우 증폭 산물을 전기 영동하여 밴드가 하나인지 확인해야 한다.[11]

3. 2. 2. 특이적 검출: 형광 리포터 프로브 (TaqMan 프로브)

형광 리포터 프로브는 프로브에 상보적인 서열을 포함하는 DNA만 감지한다. 따라서 리포터 프로브를 사용하면 특이성이 크게 증가하며, 다른 이중가닥 DNA(dsDNA)가 있는 경우에도 이 기술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색상의 라벨을 사용하면 형광 프로브를 멀티플렉스 분석에 사용하여 동일한 튜브에서 여러 표적 서열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형광 리포터 프로브의 특이성은 또한 PCR에서 바람직하지 않은 잠재적 부산물인 프라이머 이합체로 인한 측정 간섭을 방지한다. 그러나 형광 리포터 프로브는 프라이머 이합체의 억제 효과를 방지하지 못하며, 이는 반응에서 원하는 산물의 축적을 감소시킬 수 있다.[3]

이 방법은 한쪽 끝에 형광 리포터가 있고 프로브 반대쪽 끝에 형광 소광제가 있는 DNA 기반 프로브에 의존한다. 리포터와 소광제가 가까이 있으면 형광 감지를 방지한다. Taq 중합효소의 5'에서 3' 엑소뉴클레아제 활성에 의한 프로브의 분해는 리포터-소광제 근접성을 깨뜨리고, 따라서 레이저로 여기된 후 감지할 수 있는 소광되지 않은 형광 방출을 허용한다. 따라서 각 PCR 사이클에서 리포터 프로브에 의해 표적화된 산물의 증가는 프로브의 분해 및 리포터 방출로 인해 형광이 비례적으로 증가한다.[3]

(1) 온전한 프로브에서 리포터 형광은 소광된다. (2) 프로브와 상보적인 DNA 가닥이 혼성화되고 리포터 형광은 여전히 소광된다. (3) PCR 동안 프로브는 Taq 중합효소에 의해 분해되고 형광 리포터가 방출된다.


TaqMan 프로브를 사용한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 반응(Real-time PCR) 과정은 다음과 같다.[3]

# PCR은 평상시와 같이 준비되며(PCR 참조), 리포터 프로브가 추가된다.

# 반응이 시작되면 PCR의 어닐링 단계 동안 프로브와 프라이머가 모두 DNA 표적에 어닐링된다.

# 새로운 DNA 가닥의 중합이 프라이머로부터 시작되고, 중합효소가 프로브에 도달하면 5'-3'-엑소뉴클레아제가 프로브를 분해하여 형광 리포터를 소광제로부터 물리적으로 분리하여 형광이 증가한다.

# 형광은 실시간 PCR 기계에서 감지 및 측정되며, 산물의 기하급수적 증가에 해당하는 기하급수적 증가는 각 반응에서 정량 사이클 (Cq)을 결정하는 데 사용된다.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 반응은 종말점 PCR(기존 PCR)과 달리 형광을 측정하여 증폭 과정의 임의 시점에서 원하는 산물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실시간 프레임에서 주어진 임계값 이상으로 수준을 측정).[3]

TaqMan 프로브는 배열 특이적인 올리고뉴클레오티드의 5' 말단에 리포터, 3' 말단에 퀀처를 표지한 프로브이다.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 반응(Real-time PCR)에서는 리포터의 형광 물질을 검출하여 증폭을 확인한다. 리포터에는 FITC나 VIC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한편, 퀀처는 리포터의 형광을 형광 공명 에너지 전달(FRET)에 의해 소광시키는 표지물로, 종래에는 TAMARA 등의 형광 물질이 사용되는 경우가 많았다. 이 경우 리포터로부터 받은 에너지를 빛으로 방출했지만, 최근에는 Eclipse나 DABCYL, MGB 등의 에너지를 열로 변환하는 다크 퀀처가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후자의 장점으로는 백그라운드가 낮다는 점을 들 수 있다. FRET는 퀀처와 리포터의 거리가 멀어지면 일어나지 않으며, 리포터로부터 형광이 발생한다. PCR 반응이 진행되고, Taq DNA 중합효소의 5'→3' 엑소뉴클레아제 활성에 의해 하이브리드화되었던 TaqMan 프로브가 가수분해되면 리포터와 퀀처의 거리가 멀어져 형광 신호가 발생하며, 이를 검출함으로써 PCR 산물량을 정량할 수 있다.[3]

TaqMan 프로브법의 장점은 특이적인 배열을 가진 형광 프로브를 사용하기 때문에, SYBR Green법과 같은 프라이머 이량체의 비특이적인 검출이 없어 특이도가 뛰어나다는 점이다. 또한, 복수의 프로브에 다른 형광 물질을 표지해두면 멀티플렉스 분석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단점으로는 형광 프로브를 검출할 배열마다 설계, 합성해야 하므로, SYBR Green법보다 비용과 수고가 더 든다는 점을 들 수 있다.[3]

3. 3. 주기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 반응(PCR) 과정은 일반적으로 25~50회 반복되는 온도 변화 주기로 구성된다. 각 주기는 대개 다음 세 단계로 이루어진다.

단계온도설명
1. 변성약 95°C핵산의 이중 가닥을 분리한다.
2. 결합약 50~60°C프라이머가 DNA 주형과 결합한다.
3. 중합68~72°CDNA 중합효소에 의해 중합이 촉진된다.



단편의 크기가 작기 때문에, 마지막 단계는 종종 생략되기도 한다. 이때는 효소가 결합 단계와 변성 단계 사이에서 DNA 증폭 산물을 복제할 수 있다. 또한, 비특이적 염료를 사용할 때는 프라이머 이량체로 인한 신호를 줄이기 위해 약 80°C에서 짧은 시간 동안 형광을 측정하는 추가적인 단계를 거치기도 한다.[51]

각 주기에 사용되는 온도와 시간은 DNA 합성에 사용되는 효소, 반응 내 이가 이온 및 dNTP 농도, 프라이머의 결합 온도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달라진다.[52]

지수 증폭 단계에서는 매 주기마다 표적 DNA 템플릿(증폭산물)의 양이 두 배로 증가한다. 예를 들어, 다른 샘플보다 Cq (정량 사이클) 값이 3 사이클 앞선 DNA 샘플은 8배 더 많은 템플릿을 포함한다.[1] 그러나 증폭 효율은 프라이머와 템플릿에 따라 다를 수 있으므로, 적정 실험을 통해 표준 곡선을 작성하여 효율을 평가하기도 한다.

4. 정량 방법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 반응(Real-time PCR)은 DNA나 RNA의 양을 정량하는 데 사용되는 기술이다. 실시간 PCR 데이터를 분석하는 방법에는 크게 절대 정량법과 상대 정량법이 있다.

실시간 PCR은 형광체를 사용하여 유전자 발현 수준을 감지한다. 모든 유기체의 세포는 유전자 전사체(단일 가닥 RNA)의 교체를 통해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데, 세포 내에서 발현되는 유전자의 양은 샘플에 존재하는 해당 유전자의 RNA 전사체 복사본 수로 측정할 수 있다. 실시간 PCR은 각 PCR 사이클에서 증폭된 생성물의 생성 속도를 측정하며, 생성된 데이터는 컴퓨터 소프트웨어로 분석하여 여러 샘플에서 ''상대적 유전자 발현''(또는 ''mRNA 복사본 수'')을 계산한다.[3]

정량적 PCR과 DNA 마이크로어레이유전자 발현을 연구하는 현대적인 방법론이다. 이전에는 mRNA의 양을 측정하기 위해 차등 표시, RNase 보호 분석 및 노던 블롯과 같은 방법이 사용되었다. 노던 블롯은 비교적 많은 양의 RNA가 필요하며 mRNA 수준에 대한 정성적 또는 반정량적 정보만 제공한다.[4]

실시간 PCR에 의한 DNA 정량화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은 형광을 로그 척도의 사이클 수에 대하여 그래프로 표시하는 것이다. 형광이 임계값을 초과하는 사이클 수를 임계 사이클(Ct) 또는 정량 사이클 (Cq)이라고 한다.[1] 지수 증폭 단계에서 표적 DNA 템플릿(증폭산물)의 양은 매 사이클마다 두 배로 증가한다.

유전자 발현을 정량화하기 위해, 관심 유전자에서 RNA 또는 DNA의 (Cq)는 동일한 샘플의 하우스키핑 유전자에서 RNA/DNA의 (Cq)에서 빼서 서로 다른 샘플 간의 RNA 양과 품질의 변화를 정규화한다. 이 정규화 절차는 일반적으로 ''ΔCt-방법''[13]이라고 한다.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 반응에는 SYBR Green법과 TaqMan 프로브법이 있다. SYBR Green법은 프로브 설계나 준비가 필요 없어 저렴하지만, 프라이머 이량체와 같은 비특이적인 이중 가닥 DNA도 검출해버린다는 단점이 있다. TaqMan 프로브법은 특이적인 배열을 가진 형광 프로브를 사용하기 때문에, SYBR Green법과 같은 프라이머 이량체의 비특이적인 검출이 없어 특이도가 뛰어나다는 장점이 있지만, 형광 프로브를 검출할 배열마다 설계, 합성해야 하므로, SYBR Green법보다 비용과 수고가 더 든다는 단점이 있다.

4. 1. 절대 정량법

절대 정량법은 미리 농도를 알고 있는 목적 산물의 DNA를 단계적으로 희석하고, 희석 계열을 이용하여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 반응을 수행하여 검량선을 작성한다. 그리고 농도를 알 수 없는 시료의 Ct값을 검량선에 적용하여 복제수를 계산하는 방식이다.[1] 주로 바이러스나 세균 검출에 사용된다.[1]

4. 2. 상대 정량법

상대 정량화는 내부 참조 유전자(하우스키핑 유전자)를 기반으로 하여 표적 유전자 발현의 배수 차이를 결정하는 방법이다. 정량화는 mRNA의 발현 수준 변화로 표현되며, 이는 상보적 DNA(cDNA, mRNA의 역전사에 의해 생성됨)로 해석된다. 상대 정량화는 연구 중인 유전자의 양을 대조 참조 유전자의 양과 비교하기 때문에 검량선이 필요하지 않아 수행하기가 더 쉽다.[56]

상대 정량화 결과를 표현하는 데 사용되는 단위는 중요하지 않으므로, 여러 다른 RTqPCR에서 결과를 비교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하우스키핑 유전자를 사용하는 이유는 역전사 및 전체 PCR 과정의 효율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용된 RNA의 양과 품질 차이와 같은 비특이적 변동을 수정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점은 참조 유전자가 안정적이어야 한다는 것이다.[57]

이러한 참조 유전자는 일반적으로 세포 생존과 관련된 기능을 담당하며, 구성적 유전자 발현을 의미하는 경우가 많다.[5][6]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정규화 유전자는 튜불린, 글리세르알데히드-3-인산 탈수소효소, 알부민, 사이클로필린, 리보솜 RNA 등을 암호화하는 유전자이다.[4]

이러한 참조 유전자의 선택은 전통적으로 RNA 겔의 육안 검사, 노던 블롯 농도 측정 또는 반정량적 PCR(PCR 모방)과 같은 정성적 또는 반정량적 연구를 사용하여 분자 생물학에서 수행되었다. 그러나 mRNA 발현을 정량화하는 데 사용되는 대부분의 참조 유전자의 증폭은 실험 조건에 따라 다르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59][60][61] 따라서 가장 적합한 참조 유전자를 선택하기 위해서는 초기에 통계적으로 건전한 방법론적 연구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주어진 조건에서 사용하기에 가장 적합한 유전자를 검출할 수 있는 geNORM, BestKeeper와 같은 통계적 알고리즘이 개발되었다.[62][63]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 반응(Realtime PCR)에서 상대 정량법은 주로 mRNA의 발현 정량에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으로, 목적 유전자와 레퍼런스 유전자를 동시에 분석하여 레퍼런스 유전자에 비해 목적 유전자가 얼마나 발현하고 있는지를 상대적으로 비교하는 것이다. 전제 조건으로, 레퍼런스 유전자와 목적 유전자의 증폭 효율이 같아야 하고, 분석하는 모든 시료에서 레퍼런스 유전자가 안정적으로 일정하게 발현해야 한다. PCR 증폭 효율은 검량선의 기울기(Slope)를 이용하여 E = 10-1/Slope - 1 로 계산할 수 있다.

5. 활용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 반응은 실험실에서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이는 진단 및 기초 연구 모두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며, 산업 분야에서는 식품 또는 채소류의 미생물 부하를 정량화하거나, 유전자 변형 생물체(GMO)를 검출하고, 인체 바이러스 병원체의 정량 및 유전자형 분석 등에 활용된다.

5. 1. 유전자 발현량 측정

mRNA 발현량 변화를 정량화함으로써 유전자 발현 연구에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 반응을 활용한다.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 반응은 상대 정량화와 절대 정량화 두 가지 방법으로 핵산을 정량화할 수 있다.[55] 절대 정량화는 검량선을 사용하여 DNA 표준과 비교, 표적 DNA 분자의 정확한 수를 제공하며, 시료와 표준물질의 증폭 효율이 동일해야 한다.[56] 상대 정량화는 내부 참조 유전자를 기반으로 표적 유전자 발현의 배수 차이를 결정한다. 정량화는 mRNA의 역전사에 의해 생성된 상보적 DNA(cDNA)로 해석되는 mRNA 발현 수준의 변화로 나타낸다. 상대 정량화는 보정 곡선이 필요하지 않아 더 쉽다.

상대 정량화 결과를 표현하는 단위는 중요하지 않으므로, 여러 RTqPCR에서 결과를 비교할 수 있다. 사용된 RNA 양과 품질 차이 등 비특이적 변이를 보정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하우스키핑 유전자를 사용한다. 그러나 참조 유전자는 안정적이어야 한다.[57]

참조 유전자 선택은 전통적으로 RNA 겔 육안 검사, 노던 블롯 농도 측정, 반정량적 PCR 등 정성적/반정량적 연구를 통해 이루어졌다. 게놈 시대에는 전사체 기술을 이용해 더 자세한 추정이 가능하다.[58] 그러나 대부분의 참조 유전자 증폭은 실험 조건에 따라 다르다는 연구 결과가 있으므로,[59][60][61] 통계적으로 건전한 방법론적 연구가 필요하다.

geNORM, BestKeeper 같은 통계 알고리즘은 서로 다른 참조 유전자 및 조직의 매트릭스에 대한 쌍 또는 기하학적 평균을 비교하여 최적의 유전자를 찾는다.[62][63]

모든 유기체의 세포는 유전자 전사체(단일 가닥 RNA) 교체를 통해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며, 세포 내 발현 유전자 양은 해당 유전자 RNA 전사체 복사본 수로 측정할 수 있다. 소량의 RNA에서 유전자 발현을 정량화하려면 유전자 전사체 증폭이 필요하다. RNA 기반 PCR의 경우, RNA 샘플을 역전사 효소를 사용하여 상보적 DNA(cDNA)로 역전사한다.

DNA 증폭을 위해 DNA 주형, 특정 프라이머 쌍, 데옥시리보뉴클레오티드 삼인산, 적절한 완충 용액, 열 안정성 DNA 중합효소를 사용한다. 형광체로 표시된 물질을 추가하고, 센서가 포함된 열 사이클러에서 형광을 측정하여 특정 생성물 생성 속도를 측정한다.

생성된 데이터는 컴퓨터 소프트웨어로 분석하여 여러 샘플에서 ''상대적 유전자 발현''(또는 ''mRNA 복사본 수'')을 계산한다. 정량적 PCR은 DNA 검출 및 정량화에도 적용된다.[3] 각 증폭 사이클 후 측정하기 때문에 실시간 PCR이라고 불린다.

DNA 마이크로어레이와 함께 유전자 발현 연구에 사용되는 방법이다. 이전에는 차등 표시, RNase 보호 분석, 노던 블롯 등이 사용되었다. 노던 블롯은 mRNA 양을 시각화하여 유전자 발현 수준을 추정하는 데 사용되지만, 많은 양의 RNA가 필요하며 정성적/반정량적 정보만 제공한다.[4] 정량화 방법 변동으로 인한 오류는 DNA 무결성, 효소 효율 등 여러 요인으로 발생한다. 정규화 방법이 개발되었으며, 일반적으로 하우스키핑 유전자에서 선택된 정규화 유전자를 사용하여 특정 유전자 발현을 정량화한다.[5][6] 이를 통해 연구자는 관심 유전자와 정규화 유전자 발현 비율을 보고하여 절대적 수준을 알지 못하고도 비교할 수 있다.

가장 흔히 사용되는 정규화 유전자는 튜불린, 글리세르알데히드-3-인산 탈수소효소, 알부민, 사이클로필린, 리보솜 RNA를 암호화하는 유전자이다.[4]

5. 2. 진단

진단 정성적 PCR은 감염성 질환,[64] 암, 유전적 이상을 진단하는 핵산을 신속하게 검출하는 데 사용된다. 임상 미생물학 연구실에 이러한 분석법이 도입되면서 감염성 질병 진단이 크게 향상되었으며,[64] 신종 인플루엔자코로나바이러스[65]와 같이 새롭게 등장하는 질병을 감지하는 도구로 활용되고 있다.[66][67]

기존 PCR에 비해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 반응은 B형 간염 바이러스, C형 간염 바이러스, 인간 면역 결핍 바이러스의 정량을 더 민감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게 해 주었으며,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결핵균군, 코로나19, RS 바이러스, 사람 메타뉴모바이러스 검사도 제품화되어 있다.

5. 3. 미생물학

정량적 중합효소 연쇄 반응(qPCR)은 식품 안전, 식품 부패 및 발효 분야에서 일하는 미생물학자와 수질(음용수 및 레크리에이션 용수) 및 공중 보건 보호의 미생물 위험 평가에 사용된다.[68]

qPCR은 또한 환경 샘플에서 채취한 DNA에 있는 유전자의 분류학적 또는 기능적 마커를 증폭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69] 마커는 DNA 또는 상보적 DNA(cDNA)의 유전적 단편으로 표시된다. 특정 유전 요소를 증폭함으로써 증폭 전에 샘플에서 요소의 양을 정량화할 수 있다. 분류학적 마커(리보솜 유전자)와 qPCR을 사용하면 샘플에서 미생물의 양을 결정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으며, 마커의 특이성을 기반으로 다른 과, 속 또는 종을 식별할 수 있다. 기능적 마커(단백질 코딩 유전자)를 사용하면 커뮤니티 내에서 유전자 발현을 표시할 수 있으며 이는 환경에 대한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69]

5. 4. 식물 병원체 검출

농업 분야에서는 경제적 손실을 막고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 병원균이 없는 식물 번식체나 묘목을 생산하고자 끊임없이 노력한다. 참나무 등 여러 종을 죽이는 난균류인 ''피토프토라 라모룸(Phytophthora ramorum)''의 DNA 소량과 숙주 식물의 DNA를 혼합하여 검출할 수 있는 시스템이 개발되었다. 병원균과 식물의 DNA를 구별하는 것은 각 분류군에 특징적인 리보솜 RNA 유전자 코딩 영역에 위치한 ITS 서열(스페이서)의 증폭을 기반으로 한다.[35] 이 기술의 현장 기반 버전도 동일한 병원균을 식별하기 위해 개발되었다.[36]

5. 5. GMO 검출

역전사를 이용한 qPCR(RT-qPCR)은 DNA 검출 시 감도와 동적 범위를 고려할 때 GMO를 검출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DNA 또는 단백질 분석과 같은 대안은 일반적으로 덜 민감하다. 형질전환 유전자가 아니라 벡터를 조작하는 과정에서 사용되는 프로모터, 종결자 또는 중간 서열을 증폭시키는 특정 프라이머가 사용된다. 형질전환 식물을 생성하는 과정은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의 형질전환 유전자 사본 삽입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그 양도 일반적으로 평가된다. 이것은 종종 단일 사본으로만 존재하는 처리된 종의 대조군 유전자를 사용하여 상대적 정량화로 수행된다.[72][73]

6. 의료 분야에서의 응용

B형 간염 바이러스, C형 간염 바이러스, 인간 면역 결핍 바이러스(HIV)와 같은 바이러스의 정량화 및 유전자형 결정(균주의 특성화)에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 반응(qPCR)이 사용된다.[39] 기존 PCR에 비해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 반응은 감도가 높고 신속하여 현재 주류를 이루고 있다. 바이러스는 직접적인 감염 또는 공동 감염으로 인해 인체 내에 존재할 수 있으며, 이는 기존 기술을 사용한 진단을 어렵게 만들고 잘못된 예후 및 치료로 이어질 수 있다. qPCR을 사용하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감염 정도는 환자의 조직 단위당 바이러스 게놈 사본 수로 정량화되며, 이는 바이러스의 활동 정도를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가 된다. 예를 들어, 제1형 단순 헤르페스 바이러스가 재활성화될 확률은 신경절 내 감염된 신경 세포의 수와 관련이 있다.[40]

실시간 PCR은 역전사 반응을 사용하거나 사용하지 않고 수행될 수 있다. 바이러스가 주기 중 어느 시점에서든 인체 게놈에 통합되는 경우(예: 자궁경부암 발생과 관련된 인간 유두종 바이러스(HPV)의 일부 변종[41])에 역전사 반응이 필요하다. 또한, 실시간 PCR은 고형 장기 또는 골수 이식을 받은 후 면역 억제된 환자에게서 보이는 인간 거대 세포 바이러스(CMV)의 정량화에도 사용된다.[42]

결핵균군, 코로나19, RS 바이러스, 사람 메타뉴모바이러스 검사도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 반응을 이용하여 제품화되어 있다.

7. 기타 응용

최근에는 단순한 PCR 반응에 의한 DNA 및 RNA의 '정량'은 물론, 고해상도 융해 곡선 분석(HRM)을 이용한 변이 분석, SNP 분석[43][44], 더 나아가 단백질 정량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참조

[1] 논문 The MIQE guidelines: minimum information for publication of quantitative real-time PCR experiments
[2] 서적 Real-Time PCR: Current Technology and Applications Caister Academic Press
[3] 서적 Molecular Biology of the Gene Benjamin Cummings 2004
[4] 논문 Determination of stable housekeeping genes, differentially regulated target genes and sample integrity: BestKeeper--Excel-based tool using pair-wise correlations 2004-03
[5] 논문 Relative Expression Software Tool (REST©) for group wise comparison and statistical analysis of relative expression results in real-time PCR
[6] 논문 Accurate normalization of real-time quantitative RT-PCR data by geometric averaging of multiple internal control genes
[7] 논문 Optimization of the annealing temperature for DNA amplification in vitro
[8] 논문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Externally Standardized Quantitative Insulin-like Growth Factor-1 RT-PCR Using LightCycler SYBR Green I Technology http://gene-quantifi[...]
[9] 서적 Molecular Cloning: A Laboratory Manual https://archive.org/[...] Cold Spring Harbor Laboratory Press 2001
[10] 논문 Real-time PCR based on SYBR-Green I fluorescence: An alternative to the TaqMan assay for a relative quantification of gene rearrangements, gene amplifications and micro gene deletions
[11] 논문 Product Differentiation by Analysis of DNA Melting Curves during the Polymerase Chain Reaction http://www.sh.lsuhsc[...]
[12] 논문 Robust Quantification of Polymerase Chain Reactions Using Global Fitting
[13] 논문 Quantitative real-time RT-PCR data analysis: current concepts and the novel "gene expression's CT difference" formula
[14] 논문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different normalization strategies for gene expression studies in Candida albicans biofilms by real-time PCR
[15] 논문 Quantification of mRNA using real-time RT-PCR
[16] 논문 A Mechanistic Model of PCR for Accurate Quantification of Quantitative PCR Data
[17] 논문 Evaluation of qPCR curve analysis methods for reliable biomarker discovery: bias, resolution, precision, and implications
[18] 웹사이트 PEMF For Treatment Of Corneal Disorders http://lemuriatechno[...]
[19] 논문 The use of real-time reverse transcriptase PCR for the quantification of cytokine gene expression
[20] 논문 Comparison of different standards for real-time PCR-based absolute quantification 2010-03
[21] 논문 Validation of kinetics similarity in qPCR 2011-10-19
[22] 논문 Validating internal controls for quantitative plant gene expression studies
[23] 논문 Transcriptomics in the RNA-seq era
[24] 논문 Housekeeping genes as internal standards: use and limits http://orbi.ulg.ac.b[...]
[25] 논문 Guideline for reference gene selection for quantitative real-time PCR http://www.plantphys[...]
[26] 논문 Validation of housekeeping genes for normalizing RNA expression in real-time PCR
[27] 웹사이트 How is the COVID-19 Virus Detected using real time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https://www.iaea.org[...] 2020-03-27
[28] 논문 A RT-PCR assay for the detection of coronaviruses from four genera 2020-07
[29] 논문 Real-Time PCR in Clinical Microbiology: Applications for Routine Laboratory Testing 2006-01
[30] 논문 COVID-19: molecular and serological detection methods. 2020
[31] 웹사이트 FDA-cleared RT-PCR Assays and Other Molecular Assays for Influenza Viruses https://www.cdc.gov/[...]
[32] 웹사이트 rRT-PCR, a method to confirm Wuhan coronavirus case – Artificial Intelligence for Chemistry https://ai4c.com/202[...] 2020-01-24
[33] 서적 Quantitative Real-time PCR in Applied Microbiology Caister Academic Press
[34] 논문 Molecular Microbiology Methods For Environmental Diagnosis https://www.research[...] 2016-09
[35] 논문 Phylogenetic utility of the internal transcribed spacers of nuclear ribosomal DNA in plants: An example from the Compositaogy
[36] 논문 Faster, Simpler, More-Specific Methods for Improved Molecular Detection of Phytophthora ramorum in the Field
[37] 논문 PCR technology for screening and quantification of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 (GMOs)
[38] 논문 … -Time Quantitative Polymerase Chain Reaction Methods for Four Genetically Modified Maize Varieties …
[39] 논문 Quantification and genotyping of hepatitis B virus in a single reaction by real-time PCR and melting …
[40] 논문 The Probability of in Vivo Reactivation of Herpes Simplex Virus Type 1 Increases with the Number of Latently Infected Neurons in the Ganglia
[41] 논문 MYC activation associated with the integration of HPV DNA at the MYC locus in genital tumours
[42] 논문 Real-time PCR in virology 2002-03-15
[43] 웹사이트 https://www.aist.go.[...]
[44] 웹사이트 https://www.eco-tech[...]
[45] 저널 Twenty-five years of quantitative PCR for gene expression analysis
[46] 저널 Eleven Golden Rules of Quantitative RT-PCR
[47] 저널 Type A influenza virus detection and quantitation by real-time RT-PCR
[48] 저널 Relative quantification of mRNA levels in Jurkat T cells with RT-real time-PCR (RT-rt-PCR): new possibilities for the screening of anti-inflammatory and [[cytotoxic]] compounds
[49] 서적 Real-Time PCR: Current Technology and Applications Caister Academic Press
[50] 저널 Optimization of the annealing temperature for DNA amplification in vitro ; https://academic.oup[...] 1990
[51] 웹인용 biochemica http://gene-quantifi[...]
[52] 서적 Molecular cloning : a laboratory manual https://www.worldcat[...] Cold Spring Harbor Laboratory Press 2001
[53] 문서 PEMF For Treatment Of Corneal Disorders
[54] 문서 The use of real-time reverse transcriptase PCR for the quantification of cytokine gene expression
[55] 저널 Comparison of different standards for real-time PCR-based absolute quantification https://linkinghub.e[...] 2010-03
[56] 저널 Validation of kinetics similarity in qPCR https://academic.oup[...] 2012-02-01
[57] 저널 "[No title found]" http://bmcplantbiol.[...] 2004
[58] 저널 Transcriptomics in the RNA-seq era https://linkinghub.e[...] 2013-02
[59] 저널 Housekeeping genes as internal standards: use and limits https://www.scienced[...] 1999-10-08
[60] 저널 Guideline to reference gene selection for quantitative real-time PCR https://linkinghub.e[...] 2004-01
[61] 저널 Validation of housekeeping genes for normalizing RNA expression in real-time PCR https://www.future-s[...] 2004-07
[62] 저널 Determination of stable housekeeping genes, differentially regulated target genes and sample integrity: BestKeeper – Excel-based tool using pair-wise correlations http://link.springer[...] 2004-03
[63] 저널 "[No title found]" http://genomebiology[...] 2002
[64] 저널 Real-Time PCR in Clinical Microbiology: Applications for Routine Laboratory Testing https://journals.asm[...] 2022-02-17
[65] 저널 COVID-19: molecular and serological detection methods https://peerj.com/ar[...] 2020-10-07
[66] 웹인용 FDA.PDF https://www.cdc.gov/[...]
[67] 웹인용 rRT-PCR, a method to confirm Wuhan coronavirus case – Artificial Intelligence for Chemistry https://ai4c.com/202[...] 2022-02-17
[68] 서적 Quantitative real-time PCR in applied microbiology https://www.worldcat[...] Caister Academic Press 2012
[69] 저널 Molecular microbiology methods for environmental diagnosis http://link.springer[...] 2016-12
[70] 저널 Phylogenetic utility of the internal transcribed spacers of nuclear ribosomal DNA in plants: An example from the compositae https://linkinghub.e[...] 1992-03
[71] 저널 Faster, Simpler, More-Specific Methods for Improved Molecular Detection of Phytophthora ramorum in the Field https://journals.asm[...] 2007-06-15
[72] 저널 PCR technology for screening and quantification of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 (GMOs) http://link.springer[...] 2003-04
[73] 저널 Real-Time Quantitative Polymerase Chain Reaction Methods for Four Genetically Modified Maize Varieties and Maize DNA Content in Food https://academic.oup[...] 2002-05-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