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인증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실인증은 시각, 청각, 촉각 등 감각 자극을 인지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신경학적 증상이다. 뇌의 두정엽, 측두엽, 후두엽 손상으로 주로 발생하며, 뇌졸중, 치매, 외상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실인증은 시각실인증, 청각실인증, 촉각실인증 등으로 분류되며, 각 유형에 따라 특정 감각 정보 처리에 장애가 나타난다. 진단은 감각, 언어 능력, 지능 검사를 통해 이루어지며, 지각 실인증과 연합 실인증을 구분하기 위한 검사가 시행된다. 현재 직접적인 치료법은 없으며, 손상되지 않은 다른 감각을 활용하거나 인지 훈련을 통해 증상 개선을 시도한다. "실인증"이라는 용어는 1891년 지그문트 프로이트에 의해 처음 사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실인 - 감정표현불능증
감정표현불능증은 자신의 감정을 인식하고 표현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성격 특질로, 정신분석학적 및 인지행동 모델에서 구성 요소에 차이가 있으며 다양한 질환과 관련되고 대인 관계에 영향을 미치며 현재 정서 스키마 발달 수준을 높이는 치료법이 연구 중이다. - 실인 - 안면인식장애
안면인식장애는 뇌 손상 유무에 따라 후천성과 선천성으로 나뉘며, 얼굴 인식에 어려움을 겪어 옷차림이나 목소리 등으로 사람을 식별하는 신경학적 장애로, 현재 널리 받아들여지는 치료법은 없으나 사회적 지지가 중요하다. - 신경계 증상 및 징후 - 운동실조
운동실조는 근력 저하 없이 사지와 몸통의 수의 운동 조절에 장애가 생기는 신경계 질환으로, 감각성, 전정성, 소뇌성 등 다양한 유형이 있으며, 원인 질환에 따라 약물 치료, 물리 치료 등으로 증상 완화 및 기능 개선을 목표로 치료한다. - 신경계 증상 및 징후 - 신경통
신경통은 특정 말초 신경 영역에서 발생하는 통증을 통칭하며, 원인 불명의 특발성부터 대상 포진 후 신경통과 같은 증후성까지 다양한 형태로 발작성 통증을 반복적으로 보이는 질환으로, 통증 병력, 신체 검사 등으로 진단하고 약물, 물리, 외과적 치료를 시행한다. - 의학 용어 - 만성질환
만성질환은 암, 심혈관 질환, 당뇨병 등 장기간 지속되는 건강 문제로, 식습관, 생활 습관, 사회경제적 요인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며, 예방을 위해서는 건강한 생활 습관과 조기 진단이 중요하다. - 의학 용어 - 후유증
후유증은 질병이나 외상 이후에 나타나는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건강 문제이며, 다양한 질환과 외상으로 인해 발생하고, 진단과 치료, 사회적 지원이 필요하다.
실인증 | |
---|---|
질병 정보 | |
분야 | 정신과, 신경과, 신경심리학 |
증상 | 감각 정보 처리 불능 |
상세 정보 | |
종류 | 시각 실인증 청각 실인증 촉각 실인증 |
원인 | 뇌 손상 |
진단 방법 | 신경 심리 검사 |
치료 | 인지 재활 치료, 보상 전략 |
2. 원인
실인증은 주로 뇌의 두정엽, 측두엽, 혹은 후두엽이 손상을 입을 때 발생한다.
대부분 뇌 손상 또는 뇌졸중 발병 후에 갑자기 발생한다. 다른 원인으로는 뇌종양, 뇌농양 및 알츠하이머병과 같이 특정 뇌 영역의 점진적인 퇴행을 유발하는 질환이 있다.[4] 뇌졸중, 치매 또는 기타 신경 질환이나 머리 부상, 뇌 감염, 유전적인 요인으로 인한 외상으로 발생할 수도 있다. 어떤 형태의 실인증은 발달 장애의 결과일 수도 있다.[4] 실인증을 유발하는 손상은 일반적으로 뇌의 후두엽 또는 두정엽에서 발생하며, 한 가지 양식에 영향을 줄 수 있지만 다른 영역의 인지 능력은 보존된다.[4]
극적인 시각 회복을 경험한 환자들은 상당한 또는 전반적인 실인증을 경험한다.[24]
상측 측두 회전 손상은 여러 유형의 신경언어학적 결손과 일치하며, 일부는 실인증이 그중 하나라고 주장한다. 상측 측두 회전은 어휘 인터페이스에 크게 관여하기 때문에 언어 이해에 매우 중요하다. 1985년 TRACE II 모델에 따르면, 어휘 인터페이스는 소리 파동(음소)을 형태소적 특징과 연결하여 의미 있는 단어를 생성한다. 이 연관 과정은 개인의 어휘(어휘집) 내에서 특정 단어의 측면 억제/흥분에 의해 수행된다.[23] 예를 들어, 실험자가 DOG를 크게 말하면, 그 발화는 피험자의 어휘 인터페이스 내의 다양한 단어를 활성화하고 억제한다.
단어 | 활성화 | 억제 | 총점 |
---|---|---|---|
DOG | 3 | 0 | +3 |
OG | 2 | 1 | +2 |
DAN | 1 | 2 | +1 |
실인증에 대한 직접적인 치료법은 사실상 존재하지 않는다. 손상된 감각 양식 이외의 다른 양식으로 정보를 제시하면 환자의 상태가 호전될 수 있다. 다양한 유형의 치료법이 실인증의 영향을 되돌리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원인에 따라 작업 치료 또는 언어 치료가 실인증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실인증은 주로 뇌의 두정엽, 측두엽, 후두엽 손상으로 인해 발생한다. 두부 손상이나 뇌졸중 발병 후 갑자기 발생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뇌종양, 뇌농양, 알츠하이머와 같은 특정 뇌 영역의 퇴행을 유발하는 질환도 원인이 될 수 있다.
이 모델과 실인증의 일관성은 상측 측두 회전의 양측 병변이 '순수 언어성 난청'(Kussmaul, 1877)을 유발하거나, 오늘날 이해하는 바와 같이 언어 실인증을 유발한다는 증거에 의해 보여진다. 순수 언어성 난청 환자는 피질 수준 이하의 비언어적 소리에 대한 정상적인 청각 처리를 하면서도 언어 소리를 인식하고 처리할 수 없는 능력을 보여준다.[23]
피질성 난청은 피질성 청각장애, 피질성 난청이라고도 하며, 청각 방사선, 일차 청각 피질(헤슐 회전)의 양측성 장애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청력 검사에서 경도에서 중등도의 이상을 보이는 경우가 많다. 모든 음 자극에 대해 듣기 어렵다고 호소하며, 농아처럼 행동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이단계성 경과로 발병한다. 첫 번째 발작에서는 청력에 관해서는 무증상이지만, 두 번째 대측 장애에서 일과성 난청 상태가 된다. 경과에 따라 호전되고, 청각 실인증 상태가 되는 경우도 있다.
3. 치료 방법
초기에 많은 실인증 환자들은 자신이 지각 또는 인식 결손을 얼마나 심하게 겪고 있는지 인지하지 못하는데, 이는 결손에 대한 인식 부족인 무지각증(anosognosia)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인식 부족은 일반적으로 어떤 형태의 도움이나 치료에도 거부와 저항으로 이어진다. 개인이 자신이 가질 수 있는 지각 또는 인식 장애를 인식하도록 돕는 데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이 있다. 환자에게 손상된 감각 양식에만 자극을 제시하여 결손에 대한 인식을 높일 수 있다. 또는 과제를 구성 요소로 분해하여 결손으로 인한 문제의 각 부분을 개인이 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개인이 자신의 지각 또는 인식 결손을 인정하면 치료법이 권장될 수 있다. 보상 전략(대체 감각 양식 사용), 언어 전략, 대체 단서 및 조직 전략과 같은 다양한 치료법이 있다.[3]
어떤 유형의 실인증 환자들에게는 구두 설명이 도움이 될 수 있다. 안면인식장애 환자의 경우, 친구나 가족 구성원에 대한 설명을 듣고 시각적 단서보다 설명을 통해 그들을 더 쉽게 인식할 수 있다.[3]
환경실인증이나 안면인식장애가 있는 사람에게는 대체 단서가 특히 유용할 수 있다. 환경실인증이 있는 사람에게는 새로운 방을 나타내거나 특정 지역을 기억하는 데 색상 단서나 촉각 표식과 같은 대체 단서를 사용할 수 있다. 안면인식장애가 있는 사람은 개인을 인식하기 위해 그 사람 얼굴의 흉터나 고르지 못한 치아와 같은 대체 시각 단서나 그 사람 목소리와 같은 다른 감각의 단서를 사용할 수 있다.[3] 머리 색깔과 길이도 유용한 단서가 될 수 있다.[5]
시각실인증 환자에게는 조직 전략이 매우 도움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옷을 다른 옷걸이에 따라 정리하면 촉각적 단서를 제공하여 시각적 단서에만 의존하는 것보다 특정 종류의 옷을 식별하기 쉽게 해준다.[3]
4. 종류
신경심리학에서 실인증은 특정 감각 종류에 한정된 대상 인지 장애로, 감각 장애, 지능 저하, 주의력 장애, 실어증에 의한 명칭 장애, 자극에 대한 지식 부족(익숙하지 않음)과는 구분된다.[29] 하지만 실인증이라는 병 자체가 실제로 존재하는지에 대해서는 의문이 제기되기도 한다.
실인증은 다양한 종류로 나뉜다.이름 설명 운동실인증 뇌 운동실인증이라고도 하며, 시각적 움직임을 볼 수 없는 증상이다. 피질 시각 영역 외부 병변이 원인 중 하나이다.[6] 이소공간인지장애 자신의 신체 외부 표적(타인의 신체 부위나 물체)은 가리키지 못하지만, 자신의 신체 부위는 정확히 가리킬 수 있다. 무시증 자신의 상태에 대한 피드백을 받지 못하는 증상으로, 뇌의 피드백 메커니즘 문제로 발생한다. 신경 손상으로 인해 발생하며, 뇌졸중 후 마비 환자에게서 흔히 나타난다. 입체인식불능증 촉각 실인증이라고도 하며, 촉각으로 물체의 질감, 크기, 무게를 인식하지 못한다. 체성 감각 피질 손상과 관련이 있다. 자기 신체 인식 장애 신체 부위 방향 설정 능력이 없는 증상으로, 두정엽 부분의 병변으로 인해 발생한다. 대뇌 색각 실인증 색상을 인식하기 어려워 세상이 칙칙하거나 회색 음영으로 보이는 증상이다. 신경 손상으로 발생하며,[9][10] V4 영역의 일측성 병변의 경우 시야 절반에서만 색상 인식 상실이 발생하는 반측 색각 실인증이 나타날 수 있다.[3] 손가락 실인증 손가락을 구별하지 못하는 증상으로, 두정엽 병변과 관련 있으며 거스트만 증후군의 구성 요소이다. 타인 신체 인식 장애 다른 사람의 신체 부위는 가리키지 못하지만, 자신의 신체 부위는 가리킬 수 있다. 통각 실인증 선천적 무통증이라고도 하며, 통증을 인식하고 처리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사회 정서적 실인증 표현 실인증이라고도 하며, 얼굴 표정, 몸짓, 억양 등을 인식하지 못해 비언어적으로 감정을 인식하지 못한다. 시공간 인지 장애 자신과 환경, 물체 간의 관계에서 "위치" 감각을 상실하는 증상이다. 구성 실행증, 지형지각장애, 시각 운동 실조, 안구 운동 실행증, 착의 실행증, 좌우 혼동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청각실인증 1877년부터 알려진 질환이다.[27] 청력은 정상이지만, 환경적 소리와 말소리를 구별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등 비언어적 청각 신호를 구별하기 어렵다. 의미 연합형(좌반구 병변)과 식별형(우반구 병변)으로 나뉜다.[8] 언어 청각실인증 순수 언어성 난청(PWD)이라고도 한다. 청력은 정상이지만 말하는 단어를 의미 있는 것으로 인식하기 어렵다. 음성인식장애 친숙한 목소리를 인식하지 못하는 증상이다.[12]
4. 1. 시각 실인증 (Visual agnosia)
시각 실인증은 시각적 대상을 인식하는 능력에 결함이 있는 상태를 말한다. 시각 실인증은 크게 지각성 시각 실인증과 연합성 시각실인증 두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21]
지각성 시각 실인증 환자는 물체의 윤곽과 외곽선을 볼 수 있지만, 물체를 분류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이 유형은 주로 우반구 후두부 손상과 관련이 있다.[21]
반면, 연합성 시각 실인증 환자는 물체의 이름을 말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이 유형은 후두측두 경계에서 양쪽 반구 모두의 손상과 관련이 있다.[21] 안면실인증은 연합성 시각 실인증의 한 형태로, 얼굴을 인식하지 못하는 증상이다. 안면 실인증 환자는 친구, 가족, 동료를 알아보는 데 어려움을 겪지만, 다른 시각 자극은 인식할 수 있다.[21][22]
고전적인 신경학적 모델에서는 시각적으로 제시된 사물의 이름을 말할 때 다음과 같은 세 가지 과정이 있다고 보았다.
# 시각 분석 (사물을 정확하게 보는 단계)
# 인지 (하나의 형상으로 파악하는 단계와 관련된 지식을 불러일으켜 최종적으로 의미 개념과 연결되는 단계)
# 명칭 (연결된 개념을 말로 표현하여 음성으로 발음하는 단계)
이 중 인지 과정의 장애가 시각 실인증이라고 생각되었다.
Lisser(1890)는 시각 정보 처리 단계에 따라 시각 실인증을 통각형과 연합형으로 나누었다.
시각 실인증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이름 | 설명 |
---|---|
지각성 시각 실인증 | 시각적 모양을 구별할 수 없어 다양한 시각 자극을 인식, 복사, 구별하기 어렵다. 연합성 실인증과 달리 이미지를 복사할 수 없다.[7] |
연합성 시각실인증 | 시각적 장면과 물체의 종류를 설명할 수 있지만 여전히 인식하지 못한다. 예를 들어 포크가 먹는 데 사용하는 도구라는 것은 알지만, 수저로 착각할 수 있다. 이미지를 복사하여 재현할 수 있다. |
형태 실인증 | 전체 물체가 아닌 세부 사항의 일부만 인식한다. |
통합성 실인증 | 연합성 실인증과 지각성 실인증의 중간에 해당한다. 무언가의 요소를 인식할 수는 있지만, 이를 이해할 수 있는 지각 전체로 통합하지 못한다. |
동시인지장애 | 시각 입력을 전체적으로 처리하지 못하고, 얼굴, 신체, 물체, 방, 장소, 그림 등을 조금씩 처리한다.[16] 그림의 부분을 설명할 수는 있지만, 그림 전체를 이해하기는 어렵다. 발린트 증후군[17]이나 뇌 손상에서 발생할 수 있다. 한 번에 하나의 물체만 볼 수 있다고 설명할 수도 있다. |
지형지각장애 | 지형 실인증 또는 지형인식장애라고도 한다. 물체를 인식하지 못해 시각적 단서에 의존하여 방향을 안내할 수 없다. 하지만 같은 장소의 시각적 배치는 매우 잘 설명할 수 있다. 지도를 읽을 수는 있지만, 익숙한 환경에서 길을 잃는다.[19] |
시각실인증 | 좌측 후두엽 및 측두엽의 병변과 관련이 있다. 많은 유형의 시각 실인증은 물체를 인식할 수 없는 것과 관련된다.[20] |
안면인식장애 | 얼굴인식장애 및 안면 실인증이라고도 한다. 친숙한 얼굴을 의식적으로 인식하지 못하며, 때로는 자신의 얼굴도 포함된다. 이름을 기억하지 못하는 것으로 오해되기도 한다. |
순수 읽기 장애 | 텍스트를 인식하지 못한다. 뇌량 손상과 좌측 시각 연합 영역 손상을 가진 경우가 많다.[3] 인쇄된 자료를 읽을 수는 없지만, 글을 쓸 수는 있다. 일반적으로 단어를 글자 단위로 읽지만,[13] 빈도 효과를 보여 저빈도 단어보다 고빈도 단어를 더 잘 읽을 수 있다.[14] |
의미 실인증 | 시각 이외의 감각(촉각, 청각 등)을 사용하여 물체를 인식할 때까지 물체에 눈이 먼 상태이다. |
4. 2. 청각 실인증 (Auditory agnosia)
청각실인증은 1877년부터 알려진 질환이다.[27] 청력은 정상이지만, 환경적 소리와 말소리를 구별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등 비언어적 청각 신호를 구별하기 어렵다. 청각실인증에는 의미 연합형과 식별형 두 가지 유형이 있는데, 의미 연합형은 좌반구 병변, 식별형은 우반구 병변과 관련이 있다.[8]엄밀히 말하면, 비언어적 소리만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를 청각실인증(환경 소리 인지에 장애가 있다면 환경음실인증, 음악 인지에 장애가 있다면 수용성 음악실인증이라고 함), 언어 소리만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를 순수어농, 모두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를 전반성 청각실인증으로 구분하기도 한다. 환자들은 소리가 들리지만 무슨 소리인지 모르겠다고 호소하는 경우가 많다. 피질성 난청은 청력 검사에서 이상이 나타나므로 실인증이 아니다.
종류 | 설명 |
---|---|
언어 청각실인증 | 순수 언어성 난청(PWD)이라고도 한다. 의미 "난청"의 한 형태로 나타나며, 청력은 정상이지만 말하는 단어를 의미론적으로 의미 있는 것으로 인식하는 데 상당한 어려움이 있다. |
피질성 난청 | 청력은 정상이지만 청각 정보를 인식하지 못하는 상태를 말한다. |
환경 실인증 | 친숙한 특정 방이나 건물을 찾을 수 없고 특정 위치에 도착하는 방법에 대한 방향을 제공할 수 없는 것이다. 이러한 개인은 경로 학습에 어려움을 겪는다. 이 형태의 실인증은 종종 양측성 또는 우반구 후부 영역의 병변과 관련이 있다. 또한 안면인식장애 및 파킨슨병과 관련이 있다.[3] |
음성인식장애 | 듣는 사람이 사용된 단어를 이해할 수 있더라도 친숙한 목소리를 인식할 수 없는 것이다.[12] |
언어 청각 실인증(auditory verbal agnosia) 또는 언어실인증은 "정상적인 청력, 언어 생성 능력 및 읽기 능력에도 불구하고 말하는 단어를 이해할 수 없는 상태"를 말한다. 환자들은 소리가 들리지만 그 소리가 근본적으로 알아볼 수 없거나 해석할 수 없다고 말한다.[23]
다음은 검사자와 환자의 대화 예시다.
- 검사자: 아침에 무엇을 먹었습니까?
- 환자: 아침, 아침, 익숙한 소리인데 저에게 와닿지 않습니다. (Obler & Gjerlow 1999:45)
말하는 사람이 무슨 말을 하는지 처리할 수 없음에도 불구하고, 일부 환자들은 화자의 목소리에 대한 특정한 특징 정보(남성인지 여성인지와 같은)를 인식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23]
읽고, 쓰고, 말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말의 이해만 안 되는 상태이다. 순수 언어성 난청(純粋語聾)은 양측 측두엽 또는 우세 측두엽의 병변에 의해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양측 측두엽 장애에서는 음 자극의 시간적 지각 장애(연속되는 두 음의 식별력 저하)로, 우세 측두엽 병변에서는 언어와 관련된 음소의 식별 장애로 순수 언어성 난청 상태가 된다고 생각된다. 청각 자극으로부터 베르니케 영역이 고립되는 병태가 생각되고 있으며, 베르니케 실어증의 개선 과정에서도 인지될 수 있다. 하지만 그런 경우에도 진단하기는 어렵다.
동물의 울음소리 등을 인식하지 못하는 등, 언어나 음악을 제외한 의미 있는 소리의 식별 및 인식에 장애가 있는 상태를 환경음실인증이라고 한다.
음악을 인식할 수 없는 상태를 음악실인증이라고 한다.
4. 3. 촉각 실인증 (Tactile agnosia)
촉각 실인증은 Tactile agnosia영어라고도 하며, 촉각과 관련이 있다. 환자는 질감, 크기, 무게를 기반으로 물체를 촉각으로 인식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그러나 구두로 설명하거나, 사진에서 같은 종류의 물체를 인식하거나, 그림을 그릴 수는 있다. 체성 감각 피질의 병변 또는 손상과 관련이 있다고 생각된다.[18]4. 4. 기타 실인증
이름 | 설명 |
---|---|
운동실인증 | 뇌 운동실인증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시각적 움직임을 볼 수 없는 것과 관련이 있다. 뇌 운동실인증의 한 원인은 피질 시각 영역 외부의 병변이다.[6] |
이소공간인지장애 | 환자는 자신의 신체 외부에 있는 외부 표적(다른 사람의 신체 부위나 물체)을 가리킬 수 없지만, 자신의 신체 부위는 완벽하게 가리킬 수 있다. |
무시증 | 자신의 상태에 대한 피드백을 얻을 수 없는 것으로, 통찰력 부족과 혼동될 수 있지만 뇌의 피드백 메커니즘 문제로 인해 발생한다. 신경 손상으로 인해 발생하며 다양한 신경 장애와 관련하여 발생할 수 있지만, 뇌졸중 후 마비의 경우 가장 일반적으로 언급된다. 다중 장애가 있는 무시증 환자는 일부 장애를 인식할 수 있지만 다른 장애는 완전히 인식하지 못할 수도 있다. |
지각성 시각 실인증 | 환자는 시각적 모양을 구별할 수 없으므로 다양한 시각 자극을 인식, 복사 또는 구별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연합성 실인증 환자와 달리 지각성 실인증 환자는 이미지를 복사할 수 없다.[7] |
연합성 시각실인증 | 환자는 시각적 장면과 물체의 종류를 설명할 수 있지만 여전히 인식하지 못한다. 예를 들어, 포크는 먹는 데 사용하는 도구라는 것을 알 수 있지만 수저로 잘못 생각할 수 있다. 연합성 실인증 환자는 여전히 복사를 통해 이미지를 재현할 수 있다. |
입체인식불능증 | 촉각 실인증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촉각과 관련이 있다. 환자는 질감, 크기 및 무게를 기반으로 촉각으로 물체를 인식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그러나 구두로 설명하거나 사진에서 같은 종류의 물체를 인식하거나 그림을 그릴 수 있다. 체성 감각 피질의 병변 또는 손상과 관련이 있다고 생각된다. |
청각실인증 | 1877년부터 인식되어 왔다.[27] 청력은 일반적으로 정상이지만, 말소리와 비말소리를 구별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것을 포함하여 환경적 및 비언어적 청각 신호를 구별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청각실인증에는 의미 연합형과 식별형 두 가지 유형이 있다. 의미 연합형 청각실인증은 좌반구 병변과 관련이 있는 반면, 식별형 청각실인증은 우반구 병변과 관련이 있다.[8] |
언어 청각실인증 | 순수 언어성 난청(PWD)으로도 알려져 있다. 의미 "난청"의 한 형태로 나타나며, 청력은 온전하지만 말하는 단어를 의미론적으로 의미 있는 것으로 인식하는 데 상당한 어려움이 있다. |
자기 신체 인식 장애 | 신체 부위의 방향을 설정하는 능력이 없는 것과 관련이 있으며, 종종 후부 시상 방사선의 두정엽 부분에 있는 병변으로 인해 발생한다. |
대뇌 색각 실인증 | 세상이 칙칙하거나 회색 음영으로 보일 수 있는 색상을 인식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신경 손상으로 인해 발생한다.[9][10] 색상 인식을 전문으로 하는 뇌의 두 영역인 V4 영역과 V8 영역이 있다. V4 영역에 일측성 병변이 있는 경우, 시야의 절반에서만 색상 인식 상실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를 반측 색각 실인증이라고 한다.[3] 유사하지만 구별되는 색각 실인증은 색상 일치 또는 분류 작업으로 측정한 대로 여전히 색상을 인식할 수 있지만 색상을 인식하는 데 어려움이 있는 것을 포함한다.[11] |
피질성 난청 | 청력은 온전하지만 청각 정보를 인식하지 못하는 사람들을 말한다. |
환경 실인증 | 친숙한 특정 방이나 건물을 찾을 수 없고 특정 위치에 도착하는 방법에 대한 방향을 제공할 수 없는 것이다. 이러한 개인은 경로 학습에 어려움을 겪는다. 이 형태의 실인증은 종종 양측성 또는 우반구 후부 영역의 병변과 관련이 있다. 또한 안면인식장애 및 파킨슨병과 관련이 있다.[3] |
손가락 실인증 | 손가락을 구별할 수 없는 것이다. 우세한 두정엽의 병변에 존재하며, 거스트만 증후군의 구성 요소이다. |
형태 실인증 | 환자는 전체 물체가 아닌 세부 사항의 일부만 인식한다. |
타인 신체 인식 장애 | 환자는 다른 사람의 신체 부위는 가리킬 수 없지만 자신의 신체 부위는 가리킬 수 있다. |
통합성 실인증 | 일반적으로 환자는 연합성 실인증이나 지각성 실인증의 형태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통합성 실인증의 경우 환자는 연합성 실인증과 지각성 실인증의 중간에 해당한다. 이것은 무언가의 요소를 인식할 수 있지만 이러한 요소를 이해할 수 있는 지각 전체로 통합할 수 없는 경우이다. |
통각 실인증 | 선천적 무통증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통증을 인식하고 처리하는 데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일부 자해의 원인이 된다고 생각된다. |
음성인식장애 | 듣는 사람이 사용된 단어를 이해할 수 있더라도 친숙한 목소리를 인식할 수 없는 것이다.[12] |
안면인식장애 | 얼굴인식장애 및 안면 실인증으로도 알려져 있다. 환자는 친숙한 얼굴을 의식적으로 인식할 수 없으며, 때로는 자신의 얼굴도 포함된다. 이것은 종종 이름을 기억할 수 없는 것으로 오해된다. |
순수 읽기 장애 | 텍스트를 인식할 수 없는 것이다. 뇌량 손상과 좌측 시각 연합 영역 손상을 가지고 있다.[3] 인쇄된 자료를 읽을 수 없는 것을 포함하지만, 이러한 개인은 여전히 글을 쓸 수 있다. 일반적으로 단어를 글자 단위로 읽는다.[13] 그러나 순수 읽기 장애 환자는 빈도 효과를 보입니다. 저빈도 단어보다 고빈도 단어를 더 잘 빠르게 읽을 수 있다.[14] |
의미 실인증 | 시각 이외의 감각 시스템을 사용하여 물체를 인식할 때까지 효과적으로 물체에 눈이 먼 상태이다. 예를 들어, 물체를 만지거나, 두드리거나, 냄새를 맡거나, 흔들거나, 튕기면 의미를 깨닫게 될 수 있다.[15] |
사회 정서적 실인증 | 표현 실인증이라고도 하며, 사람이 얼굴 표정, 바디 랭귀지 및 억양을 인식할 수 없는 실인증의 한 형태이다. 비언어적으로 사람들의 감정을 인식할 수 없게 하고 사회적 상호 작용의 그 측면을 제한한다. |
동시인지장애 | 시각 입력을 전체적으로 처리할 수 없는 것이다. 대신 사람은 얼굴, 신체, 물체, 방, 장소, 그림을 조금씩 처리한다.[16] 그림을 볼 때 그림의 부분을 설명할 수 있지만 그림을 전체적으로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발린트 증후군[17]에서 발생하지만 뇌 손상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 한 번에 하나의 물체만 볼 수 있다고 설명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시야에 컵이 두 개 있는데 한 번에 하나씩만 볼 수 있다. |
촉각 실인증 | 촉각만으로 물체를 인식하거나 식별하는 능력이 손상된 것이다.[18] |
지형지각장애 | 지형 실인증 또는 지형인식장애라고도 하며, 물체를 인식할 수 없기 때문에 시각적 단서에 의존하여 방향을 안내할 수 없는 시각 실인증의 한 형태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같은 장소의 시각적 배치를 매우 잘 설명할 수 있다. 지도를 읽을 수 있지만 익숙한 환경에서 길을 잃는다.[19] |
시공간 인지 장애 | 자신과 환경의 관계와 서로 다른 물체의 관계에서 "위치" 감각의 상실이다. 여기에는 구성 실행증, 지형지각장애, 시각 운동 실조, 안구 운동 실행증, 착의 실행증 및 좌우 혼동이 포함될 수 있다. |
시각실인증 | 좌측 후두엽 및 측두엽의 병변과 관련이 있다. 많은 유형의 시각실인증은 물체를 인식할 수 없는 것과 관련이 있다.[20] |
5. 진단
실인증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개인의 감각 상실 여부, 언어 능력, 지능이 온전한지 확인해야 한다. 실인증 진단을 받으려면 단일 감각 영역에서만 감각 결손을 경험해야 한다. 지각 실인증과 연합 실인증을 구분해야 하는데, 이는 복사 및 일치 작업을 통해 가능하다. 지각 실인증의 경우 동일한 두 자극을 일치시키지 못하고, 연합 실인증의 경우 서로 다른 자극의 예를 일치시키지 못한다. 예를 들어, 시각 영역에서 연합 실인증 환자는 열린 노트북과 닫힌 노트북의 그림을 일치시키지 못한다.[3]
순수 알렉시아 환자는 보통 단어 읽기와 문자 인식에 어려움을 겪는다. 순수 알렉시아 여부를 평가하기 위해 복사 및 인지 검사를 실시하며, 환자는 단어를 복사하고 문자를 인식할 수 있어야 한다.[3]
안면실인증의 경우, 유명 배우, 가수, 정치인, 가족 구성원 등 친숙한 사람들의 사진을 보여주고, 연령과 문화에 적합한 사진을 선택한다. 검사자는 피험자에게 각 얼굴의 이름을 말하도록 요청하고, 피험자가 이름을 말하지 못하면 사진 속 얼굴을 인식하는 데 도움이 될 질문을 할 수 있다.[3]
신경심리학에서 실인증은 특정 감각 종류에 한정된 대상 인지 장애로, 요소적 감각 장애, 지능 저하, 주의 장애, 실어증에 의한 명칭 장애, 자극에 대한 지식 부재(익숙하지 않음)와는 구분된다.[29]
실인증이 있는지 확인하려면 실제 물건을 보여주고 식별할 수 없는지 확인하고, 사진이나 선화 등에 대해서도 식별하여 성적을 비교한다.[33]
시각 실인증의 감별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병태 | 시력 검사 | 대상의 명칭 | 대상의 사용 모방 | 대상의 분류 | 다른 감각을 통해 명칭 |
---|---|---|---|---|---|
시력 장애 | × | × | × | × | ○ |
시각 실인증 | ○ | × | × | × | ○ |
시각적 실어증 | ○ | × | ○ | ○ | ○ |
실어증 | ○ | × | × | × | × |
시각적 실어증은 시각적으로 주어진 대상을 명칭할 수 없지만, 사용법을 보여줌으로써 대상을 인식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상태이다. 물체 실인증과 병변 부위가 같고, 좌측 후두엽이나 측두엽 후부가 중요시된다.
청각실인증은 청력 장애가 없음에도 언어 음 또는 비언어 음을 인식할 수 없는 상태이다. 비언어 음만 인식할 수 없는 경우(환경음실인증, 수용성 음악실인증), 언어 음만 인식할 수 없는 경우(순수어청), 모두 인식할 수 없는 경우(전반성 청각실인증)로 구분한다. 환자는 "들리는데 무엇인지 모르겠다"고 호소하는 경우가 많다. 피질성 난청은 청력 검사에 이상이 있어 실인증이 아니다. 청력 검사나 청각뇌간반응 검사를 실시하며, 이러한 검사에서는 정상을 나타낸다. 실어증 검사를 병행하는 경우가 많지만, 청각실인증 진단에는 청각 이외의 자극에서는 이해가 가능하다는 것이 필수적이므로, 내언어 장애가 있는 경우에는 진단이 불가능하다.
6. 역사
"실인증"이라는 용어는 고대 그리스어 아그노시아(''agnosia'')에서 유래했으며, "무지", "지식의 부재"를 의미한다. 이 용어는 1891년 지그문트 프로이트(Sigmund Freud)에 의해 도입되었다.[26] 프로이트는 "물체 인식 장애에 대해, 핑켈른부르크(Finkelnburg)가 무상징증(asymbolia)으로 분류한 것에 대해, 저는 '실인증'이라는 용어를 제안하고 싶습니다."라고 밝혔다.
프로이트가 이 용어를 도입하기 전, 실인증에 대한 초기 아이디어 중 일부는 1874년 수용성 언어 장애(receptive aphasia)에 대한 이론을 제시한 카를 베르니케(Carl Wernicke)에서 비롯되었다. 그는 수용성 언어 장애 환자는 말을 이해하거나 단어를 반복하는 능력이 없다는 것을 발견했다. 그는 수용성 언어 장애가 좌측 상측두회(superior temporal gyrus)의 후방 3분의 1의 병변 때문이라고 믿었다. 이러한 병변으로 인해, 베르니케는 수용성 언어 장애 환자는 말에서 특정 소리와 주파수에 대한 청각 장애가 제한적으로 있다고 믿었다.[27]
베르니케 이후, 1877년 쿠스마울(Kussmaul)은 단어 청각 장애(word deafness)로도 알려진 청각적 언어 실인증(auditory verbal agnosia)이 왜 발생하는지 설명하려고 시도했다. 베르니케의 설명과는 달리, 쿠스마울은 청각적 언어 실인증이 좌측 제1측두회의 주요 파괴의 결과라고 믿었다. 쿠스마울은 또한 단어 눈먼 증후군(word blindness)으로도 알려진 읽기 장애(alexia (acquired dyslexia))의 기원에 대해서도 가정했다. 그는 단어 눈먼 증후군이 좌측 각회(angular gyrus)와 상연합회(Supramarginal gyrus)의 병변의 결과라고 믿었다.[27]
하인리히 리사우어(Heinrich Lissauer)는 베르니케와 쿠스마울 이후 실인증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공유했다.[27] 1890년, 그는 물체 인식 장애가 발생할 수 있는 두 가지 방법에 대해 이론화했다. 장애가 발생할 수 있는 한 가지 방법은 초기 지각 처리에 손상이 있거나 실제 물체 표상에 손상이 있는 경우였다. 실제 물체 표상이 손상되면 물체가 시각 기억에 저장될 수 없게 되어 개인은 물체를 인식할 수 없게 된다.[28] 베르니케, 쿠스마울, 리사우어 시대에는 대뇌 피질(cerebral cortex)에 대해 거의 알려진 것이 없었다. 오늘날, 새로운 신경 영상(neuroimaging) 기술을 통해 우리는 실인증에 대한 지식을 크게 확장할 수 있었다.[3]
참조
[1]
웹사이트
Agnosia
https://www.brainfac[...]
2023-08-15
[2]
서적
Fundamentals of Human Neuropsychology
https://books.google[...]
Worth Publishers
2003-03-03
[3]
학술지
Clinical management of agnosia
http://thomasland.me[...]
[4]
웹사이트
NINDS Agnosia Information Page
http://www.ninds.nih[...]
National Institute of Neurological Disorders and Stroke
2012-03-28
[5]
웹사이트
Agnosia
http://cirrie.buffal[...]
2016-12-16
[6]
학술지
Cerebral akinetopsia (visual motion blindness)
[7]
학술지
Visual agnosia
2003-05-01
[8]
학술지
Auditory Agnosia
[9]
학술지
Pupillary responses to coloured and contourless displays in total cerebral achromatopsia
2008-08-01
[10]
학술지
Analysis of errors in color agnosia: A single case study
[11]
학술지
A century of cerebral achromatopsia
1990-01-01
[12]
학술지
Phonagnosia: a dissociation between familiar and unfamiliar voices
1988-06-01
[13]
학술지
Aphasia, alexia, and oral reading
[14]
학술지
Varieties of alexia from fusiform, posterior inferior temporal and posterior occipital gyrus
[15]
학술지
Category specificity in object agnosia: preservation of sensorimotor experiences related to objects
1999-01-01
[16]
학술지
Simultanagnosia. To see but not two see
1991-08-01
[17]
학술지
Psychoanatomical substrates of Bálint's syndrome
2002-02-01
[18]
학술지
Tactile agnosia. Underlying impairment and implications for normal tactile object recognition
1996-06-01
[19]
학술지
Agnosia for scenes in topographagnosia
[20]
학술지
Apraxia, agnosias, and higher visual function abnormalities
2005-12-01
[21]
서적
Cognitive psychology : in and out of the laboratory
Nelson
[22]
서적
Cognitive science : an introduction to the study of mind
SAGE
2011-07-14
[23]
웹사이트
The superior temporal sulcus
http://www.tulane.ed[...]
2015-12-06
[24]
잡지
The New Yorker: From the Archives: Content
http://www.newyorker[...]
2010-05-05
[25]
웹사이트
ClinicalTrials.gov
https://clinicaltria[...]
[26]
서적
Zur Auffassung der Aphasien
[27]
학술지
Auditory agnosia for speech ("pure word-deafness")
[28]
학술지
What processing is impaired in appreceptive agnosia? Evidence from normal subjects
[29]
서적
The agnosias: Disorders of perceptual recognition
North-Holland
[30]
서적
標準言語聴覚障害学 高次脳機能障害学 第3版
[31]
서적
標準言語聴覚障害学 高次脳機能障害学 第3版
[32]
서적
標準言語聴覚障害学 高次脳機能障害学 第3版
[33]
서적
標準言語聴覚障害学 高次脳機能障害学 第3版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