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심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심회는 심온의 아들로, 조선 문종 때 관직에 등용되어 세조 때 공조판서, 판한성부사, 영의정을 역임했다. 예종 때 익대공신 2등에 녹훈되고 청송군에 봉해졌으며, 성종 때 원상을 지내고 청송부원군으로 봉해졌다. 1491년 궤장을 하사받았으나 1493년에 사망했다. 갑자사화 때 관직이 추탈되었으나 중종반정 이후 신원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493년 사망 - 난니나 데 메디치
    난니나 데 메디치는 피에로 디 코시모 데 메디치와 루크레치아 토르나부오니의 딸로 태어나 베르나르도 루첼라이와 결혼하여 자녀를 낳았으며 1493년에 사망했다.
  • 1493년 사망 - 마쓰다이라 나가카쓰
    마쓰다이라 나가카쓰는 센고쿠 시대의 무장으로 마쓰다이라 지카타다를 섬기다 1493년 이와쓰 성 전투에서 전사했다.
  • 익대공신 - 신숙주
    신숙주는 조선 전기의 문신, 학자, 언어학자, 외교관, 정치인으로, 훈민정음 창제에 참여하고 세조 즉위 후 주요 관직을 역임하며 외교와 국방에 기여했으며, 《해동제국기》, 《동국정운》 등의 저술을 남기고 영의정을 지냈다.
  • 익대공신 - 노사신
    노사신은 조선 초기의 문신으로, 단종 때 문과에 급제한 후 세조 반정 이후 훈구파 중신으로 활동하며 《경국대전》 편찬에 참여했고, 우의정, 좌의정을 거쳐 영의정까지 오른 인물이다.
  • 1418년 출생 - 안평대군
    안평대군은 조선 전기의 왕자로서 학문과 예술에 능했으며 안견, 박팽년 등과 교류하며 몽유도원도와 같은 서화 작품을 남겼으나, 계유정난으로 유배 후 사사되었고 후에 복권되었다.
  • 1418년 출생 - 정희왕후
    정희왕후는 조선 세조의 왕비로서, 계유정난을 통해 남편의 왕위 등극을 도왔으며, 성종 대에 수렴청정을 실시하여 정치적 안정을 이룩했다.
심회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청송부원군 심회
원어명靑松府院君 沈澮
별명청송부원군(靑松府院君), 공숙공(恭肅公)
출생일1418년
사망일1493년 (76세)
종교유교(성리학)
가족 관계
배우자정경부인 원주 김씨
아버지심온
어머니삼한국대부인 순흥 안씨
형제소헌왕후(누나), 심준(형), 심결(남동생)
자녀심인(아들), 심한(아들), 심원(아들)
친인척안천보(외조부), 김연지(장인), 조선 세종(매부), 강석덕(매부), 노물재(매부), 유자해(매부), 이숭지(매부), 박거소(매부), 심미(조카), 심치(조카), 심정원(조카), 정소공주(조카), 조선 문종(조카), 정의공주(조카), 조선 세조(조카), 안평대군(조카), 임영대군(조카), 광평대군(조카), 금성대군(조카), 평원대군(조카), 영응대군(조카), 강희안(조카), 강희맹(조카), 영빈 강씨(조카), 노사신(조카), 박중선(조카), 심순로(손자), 심순도(손자), 심순경(손자), 심순문(손자)
관직 정보
직책조선국 의정부 영의정(朝鮮國 議政府 領議政)
군주조선 세조 이유
임기1467년 5월 20일 ~ 1467년 9월 20일
정치 성향 및 경력
국적조선
정당훈구파 세력
경력외척, 문신, 공신
서훈 정보
서훈익대공신 2등, 좌리공신 2등

2. 생애

심회는 세조 때 공조판서[4], 판한성부사[5], 영중추원사[6]를 거쳐 1466년 의정부 좌의정[7], 1467년 의정부 영의정[8]에 올랐다. 세조는 심회를 숙부라 부르며 특별히 총애했다.[1]

예종 즉위년인 1468년 남이의 옥사에 공을 세워 익대공신 2등에 녹훈되고 청송군(靑松君)으로 봉해졌다.[9][10] 성종 때에는 원상을 지냈고,[11] 청송부원군(靑松府院君)으로 봉해졌으며,[12] 좌리공신 2등에 녹훈되었다.[13] 1476년 다시 의정부 좌의정이 되는 등 원로대신으로 권세를 누렸다.[14] 1491년 궤장을 하사받고,[15] 1493년 76세의 나이로 죽었다.

1504년 갑자사화폐비 윤씨 사건에 동조하였다는 이유로 관직이 추탈되고 부관참시되었지만,[1] 중종반정 이후 신원되었다.

2. 1. 초기 생애

역모죄로 처형당한 아버지 심온의 일에 연좌되어 관직에 나가지 못하다가,[1] 문종 때에 동생 심결, 조카 심미(沈湄, 큰형 심준의 아들), 조카 강희안 등과 함께 관직에 등용되어 돈녕부 주부(敦寧府注簿)가 되었고,[2] 단종 때에는 동지돈녕부사(同知敦寧府事)가 되었다.[3]

2. 2. 세조 집권기의 활동

심온의 일에 연좌되어 관직에 나가지 못하다가,[1] 문종 때에 돈녕부 주부(敦寧府注簿)로 등용되었고,[2] 단종 때에는 동지돈녕부사(同知敦寧府事)가 되었다.[3] 세조 때에는 공조판서,[4] 판한성부사,[5] 영중추원사를 거쳐,[6] 1466년 의정부 좌의정이 되었으며,[7] 1467년 의정부 영의정에 올랐다.[8] 세조는 심회를 숙부라 부르고 이름은 부르지 않으며 특별히 총애하고 대접했다.[1] 명문가 출신으로 왕실은 물론 관료들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었던 심회는 정난을 통해 보위에 오른 세조에게 있어 새 왕실의 합리화에 절실히 필요한 존재였다.[1]

2. 3. 예종, 성종 대의 활동

예종 즉위년인 1468년, 남이의 옥사에 공을 세워 익대공신 2등에 녹훈되고 청송군(靑松君)으로 봉해졌다.[9][10] 성종 때에는 원상을 지냈고,[11] 청송부원군(靑松府院君)으로 봉해졌으며,[12] 좌리공신 2등에 녹훈되었다.[13] 1476년에는 다시 의정부 좌의정이 되는 등 원로대신으로 권세를 누렸다.[14] 1491년 궤장을 하사받고,[15] 1493년 76세의 나이로 죽었다.

2. 4. 사후

아버지 심온의 일에 연좌되어 관직에 나가지 못하다가,[1] 문종 때 관직에 등용되었다.[2] 세조 때 의정부 영의정에 오르는 등 권세를 누렸다.[8] 1491년 궤장을 하사받고,[15] 1493년 76세의 나이로 죽었다. 1504년 갑자사화폐비 윤씨 사건에 동조하였다는 이유로 뒤늦게 관직이 추탈되고 부관참시되었지만,[1] 중종반정 이후 신원되었다.

3. 평가

조선왕조실록의 사관은 심회에 대해 다음과 같이 평가했다.

: 沈澮|심회중국어는 성품이 대범하고 중후하며, 학문은 부족했으나 천성이 정직했다. 나랏일을 논할 때 아첨하지 않고 신중하고 치밀하게 처리하여 훈공(勳功)을 보전할 수 있었으며, 외척 가운데 가장 현명한 인물이었다.[1]

4. 가족 관계

관계이름비고
할아버지심덕부(沈德符)
아버지심온(沈溫)
어머니삼한국대부인 순흥 안씨(三韓國大夫人 順興 安氏)좌의정 영돈녕부사 소의공 안천보(昭懿公 安天保)의 딸
형님심준(沈濬)
형수여흥 민씨여원군 민무휼(驪原君 閔無恤)의 딸
조카심미황해도 관찰사
조카심치한성부 판관
동생심결(沈決)
조카심정원전라좌도 수군 절도사
아내정경부인 원주 김씨(貞敬夫人 原州 金氏)판중추원사 대경공 김연지(戴敬公 金連枝)의 딸
아들심인(沈麟)병조참의
손자심순로(沈順路)고성군수, 증 좌찬성, 청안군(靑安君) - 세종의 왕자 수춘군의 사위, 성종의 왕자 영산군의 장인, 심규섭(沈奎燮, 국회의원)의 16대조, 심재덕(沈載德, 수원시장 · 국회의원)의 17대조
아들심한(沈瀚)좌리공신, 청천군(靑川君), 한성부 우윤, 이경공(夷敬公)
아들심원(沈湲)내자시 판관, 증 좌찬성
손자심순도(沈順道)돈녕부 도정
손자심순경(沈順經)정국공신, 청성군(靑城君), 한성부 좌윤, 증 병조판서, 호양공(胡襄公) - 심한(沈瀚)에게 입양됨
손자심순문(沈順門)사헌부 장령, 증 영의정
첫째 누나소헌왕후
첫째 매형세종
조카정소공주
조카문종
조카정의공주
조카세조
조카안평대군
조카임영대군
조카광평대군
조카금성대군
조카평원대군
조카영응대군
둘째 누나청송 심씨
둘째 매형강석덕
조카강희안
조카강희맹
셋째 누나청송 심씨
셋째 매형노물재
조카노사신
넷째 누나청송 심씨
넷째 매형유자해
다섯째 누나청송 심씨
다섯째 매형이숭지
여섯째 누나청송 심씨
여섯째 매형박거소
조카박중선


참조

[1] 서적 조선건국기 재상열전 지성사 1998
[2] 실록 문종실록 1451-08-06
[3] 실록 단종실록 1455-04-04
[4] 실록 세조실록 1457-07-21
[5] 실록 세조실록 1458-06-28
[6] 실록 세조실록 1461-04-15
[7] 실록 세조실록 1466-10-19
[8] 실록 세조실록 1467-05-20
[9] 실록 예종실록 1468-10-28
[10] 실록 예종실록 1468-10-30
[11] 실록 성종실록 1470-02-09
[12] 실록 성종실록 1470-08-12
[13] 실록 성종실록 1471-03-27
[14] 실록 성종실록 1476-08-11
[15] 실록 성종실록 1491-06-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