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쑹자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쑹자수는 중국의 사업가이자 혁명가로, 1861년 하이난성에서 출생했다. 미국 유학 후 선교사로 활동하다가 쑨원과 만나 혁명 운동을 지원하며 사업가로 변신했다. 쑹자수는 쑹아이링, 쑹칭링, 쑹메이링 등 여섯 자녀를 두었으며, 자녀들을 미국에서 교육시켰다. 쑹자수는 쑨원과 쑹칭링의 결혼을 반대하며 관계를 끊었으며, 1918년 브라이트병으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의 기독교 선교사 - 존 리빙스톤 네비우스
    존 리빙스톤 네비우스는 19세기 미국의 장로교 선교사로, 중국 선교에 헌신하며 네비우스 선교 정책을 통해 자립, 자치, 자전의 원칙을 강조하는 현지인 중심의 선교 방법론에 영향을 미쳤다.
  • 하이난성 출신 - 해서 (명나라)
    강직하고 청렴한 명나라의 관료인 해서는 가정제 비판 상소로 투옥되었지만 융경제 시기 석방되어 토지 문제 해결에 힘썼으며, 사후 청렴결백한 관리의 상징으로 추앙받고 기념관과 묘소가 조성되었다.
  • 중화민국의 개신교도 - 양허링
    양허링은 마카오 출신으로 쑨원의 동지로서 흥중회 혁명 운동에 참여했으며, 쑨원을 도와 혁명 자금을 지원하고 국민당 고문을 지내다 1934년 사망했다.
  • 중화민국의 개신교도 - 여우례
    여우례는 청나라 말기 반청 비밀결사에 참여하여 혁명 운동을 전개하고 신해혁명 이후 중화민국 국민정부에서 중국 국민당 최고위원을 지낸 중국의 혁명가이자 정치가이며, 쑨원의 동지로서 혁명 이후 정부를 '중화민국'이라 칭하는 데 기여하고 동남아시아에 혁명 사상을 전파했다.
쑹자수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찰리 쑹, [[밴더빌트 대학교]]에서
찰리 쑹, 밴더빌트 대학교에서
본명한자오준
출생일1861년 10월 17일
출생지중국, 하이난성, 원창시
사망일1918년 5월 3일
사망지상하이, 중국
다른 이름쑹자수
쑹야오루
알려진 이유신해혁명의 주요 인물 및 쑹씨 가문의 가장
모교밴더빌트 대학교
듀크 대학교
배우자니구이텡 (니구이쩡)
자녀6명 (아래 포함)
쑹아이링
쑹칭링
쑹쯔원
쑹메이링
중국어 이름간체: 宋嘉澍
정체: 宋嘉澍
병음: Sòng Jiāshù
웨이드-자일스: Sung Chia-shu
하이난어: Thang Yawjee
다른 중국어 이름간체: 宋耀如
정체: 宋耀如
병음: Sòng Yàorú
웨이드-자일스: Sung Yao-ju
하이난어:
다른 중국어 이름간체: 韓教準
정체: 韓教準
병음: Hán Jiàozhǔn
웨이드-자일스: Han Chiao-chun
하이난어:

2. 초기 생애 및 교육

쑹자수(韓教準|한자오준중국어)는 1861년 10월 17일 하이난성 원창시 서부 교외에서 하카족의 후손으로 태어났다.[1] 아버지는 한훙이(韓鴻翼|한훙이중국어)이며, 어머니는 허난성 3귀신 왕씨 가문 출신이다.[2]

17세 무렵, 자녀가 없던 외가 친척에게 입양되어 성을 쑹(Soong)으로 바꾸고 매사추세츠주 보스턴으로 갔다. 잠시 찻집과 비단 가게에서 견습생으로 일한 후 도망쳐 미 해군 해양경비대(미국 해안 경비대의 전신)에 입대하여 에릭 가브리엘슨 선장의 지휘 아래 USS ''앨버트 갤러틴'' 호에서 선실 소년으로 일했다. 약 1년 후 가브리엘슨을 따라 노스캐롤라이나주 윌밍턴으로 가서 USS ''스카일러 콜팩스'' 호에서 일했다. 윌밍턴에서 기독교로 개종하여 찰스 존스 순으로 세례를 받았고, 이후 성의 철자를 쑹(Soong)으로 변경했다.[3]

윌밍턴의 제5가 감리교회는 토머스 리코 목사의 지휘 아래 쑹자수를 훈련하고 교육하여 기독교 선교사로 중국에 파견할 준비를 했다. 노스캐롤라이나주 더럼 출신의 자선가이자 담배 재벌인 줄리안 S. 카가 쑹자수의 후원자가 되었다. 카의 도움으로 1880년 트리니티 칼리지(현 듀크 대학교)에 입학했고, 1년 후 밴더빌트 대학교로 전학하여[4] 1885년 신학 학위를 받았다.[5]

2. 1. 출생과 입양

쑹자수는 1861년 10월 17일 하이난성 원창시에서 하카계 한자오준(韓教準|한자오준중국어)이라는 이름으로 태어났다.[1] 아버지는 한훙이(韓鴻翼|한훙이중국어)이며, 어머니는 허난성 3귀신 왕씨 가문 출신이다.[2] 17세 무렵, 자녀가 없던 외가 친척에게 입양되어 성을 쑹(宋, Soong)으로 바꾸었다.

2. 2. 미국 유학과 선교 활동

쑹자수는 17세 무렵, 자녀가 없던 외삼촌에게 입양되어 성을 쑹(Soong)으로 바꾸고 매사추세츠주 보스턴으로 갔다. 그곳에서 찻집과 비단 가게에서 잠시 일한 후, 미국 해군 해양경비대(미국 해안 경비대의 전신)에 입대하여 에릭 가브리엘슨 선장의 지휘 아래 USS ''앨버트 갤러틴'' 호에서 선실 소년으로 일했다.[3] 약 1년 후 가브리엘슨을 따라 노스캐롤라이나주 윌밍턴으로 가서 USS ''스카일러 콜팩스'' 호에서 근무했다. 윌밍턴에서 쑹자수는 기독교로 개종하고 찰스 존스 순이라는 세례명을 받았으며, 이후 성의 철자를 쑹(Soong)으로 변경했다.[3]

윌밍턴의 제5가 감리교회는 토머스 리코 목사의 지휘 아래 쑹자수를 훈련시켜 중국에 파견할 기독교 선교사로 준비시켰다. 담배 재벌이자 자선가인 줄리안 S. 카가 이 계획에 참여하여 쑹자수의 후원자가 되었다. 카의 도움으로 쑹자수는 1880년 트리니티 칼리지(현 듀크 대학교)에 입학했다.[4] 1년 후 밴더빌트 대학교로 옮겨[4] 1885년 신학 학위를 받았다.[5]

3. 선교사에서 혁명가로

宋嘉澍중국어는 청년 시절부터 여우례, 쑨원, 양허링(楊鶴齡), 루하오둥(陸皓東), 천사오보(陳少白), 관징량(關景良)과 절친한 친구였다.

1886년 감리교 선교사로 임명되어 상하이로 돌아왔으나, 1880년대 후반에 선교에 싫증을 느끼기 시작했고, 교회를 위해 일하는 데 따르는 제약과 방식에 얽매이지 않고 백성을 위해 더 많은 일을 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그는 첫 사업으로 작은 인쇄소를 시작하였고, 1892년에는 출판사인 중미 인쇄소를 설립하였다. (나중에는 상무인서관을 공동 설립하기도 했다.)[6] 이때 설교직을 사임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생각했던 것으로 보인다. 宋嘉澍중국어는 이 무렵 비밀리에 상하이, 선전, 광저우의 번성하는 혁명 운동, 더 구체적으로는 홍방(紅幫)이라는 조직에 가담했다. 이 조직은 17세기 후반 명나라를 복원하려는 운동에서 기원했지만, 이후 공화주의 혁명 세력으로 변모했다.[7]

1894년, 宋嘉澍중국어는 상하이의 한 감리교회 예배에서 쑨원을 만나면서 인생의 가장 중요한 인연을 맺었다. 두 사람은 서구식 교육, 객가인 혈통, 기독교 신앙, 그리고 중국의 변화에 대한 뜨거운 야망과 갈망을 공유하는 일종의 정신적 동지였다. 아마도 가장 중요한 것은, 그들이 얽혀 있는 반청 삼합회 조직의 일원이라는 점이었다. 그들은 곧 좋은 친구가 되었고, 宋嘉澍중국어는 쑨원의 운동 자금을 지원하기 시작했다. 정치 기구가 설립되었고, 삼합회를 반대 세력의 네트워크로 연결하는 계획이 세워졌다. 1895년 첫 번째 광저우 봉기가 실패하자, 쑨원은 중국을 탈출하여 16년 동안 돌아오지 못했다. 宋嘉澍중국어는 저항 기간 동안 잠행했고, 자신의 이름이 실패한 쿠데타와 아직 연결되지 않았기 때문에 상하이에 머무르는 것이 안전하다고 판단했다. 이후 몇 년 동안 宋嘉澍중국어는 쑨원의 지원 및 주요 재정 지원을 위한 여행에 자금을 지원했다.[8]

4. 쑹씨 가문의 형성

1911년 신해혁명 전, 쑹자수는 상하이 출신의 아내 니구이전과 가정을 꾸렸다. 1888년에 첫 딸 쑹아이링을, 1893년에는 둘째 딸 쑹칭링을, 1894년에는 첫 아들 쑹쯔원을, 1898년에는 막내 딸 쑹메이링을 낳았고, 이후 아들 쑹쯔량쑹쯔안을 낳았다.[9]

쑹자수는 자녀들을 모두 미국에서 교육시키려 했다. 쑹아이링은 13세에 미국으로 건너가 조지아주 웨슬리안 대학교에서 특별 학생이 되었다. 세 자매 모두 웨슬리안 대학교에 다녔으며, 쑹칭링쑹메이링1907년에 조지아로 이주했다. (그러나 쑹메이링은 웰즐리 대학교를 졸업했다.) 1909년쑹아이링은 졸업 후 중국으로 돌아와 쑨원의 비서로 임명되어 그의 서신 처리와 공화주의자들의 메시지 해독을 맡았다. 1911년, 쑨원은 신해혁명을 성공적으로 이끌었고, 청나라는 멸망하여 짧은 기간 동안 쑨원 대통령이 들어섰다.[10]

1912년, 쑹칭링은 중국으로 돌아왔으나 위안스카이의 지도 하에 공화국이 붕괴되는 것을 보았다. 쑹자수와 쑨원의 관계가 널리 알려지면서 쑹자수는 가족의 안전을 우려하여 1913년에 가족과 함께 쑨원을 따라 도쿄로 피신했다. 그들은 1916년까지 그곳에 머물렀고, 이후 쑹자수는 상하이의 상황이 안전하다고 판단하여 돌아왔다.[11]

4. 1. 결혼과 자녀

쑹자수는 상하이 출신 니구이전(倪桂珍)과 결혼하여 슬하에 3남 3녀를 두었다.

이름관계설명
쑹아이링쿵상시의 부인
쑹칭링쑨원의 부인
쑹메이링장제스의 부인
쑹쯔원아들국민정부의 재무부 장관, 외무부 장관 역임
쑹쯔량아들뉴욕에서 사업가가 됨
쑹쯔안아들홍콩 광동은행 은행장



쑹자수는 자녀들을 모두 미국으로 유학 보내 근대적 교육을 받게 하였다.[10] 쑹아이링은 1909년 미국 유학을 마치고 귀국하여 쑨원의 비서로 활동하며 그의 혁명 활동을 도왔다.[10]

4. 2. 쑨원과의 갈등

쑹아이링쿵샹시와 결혼하면서 1914년 도쿄에서 쑹칭링이 쑨원의 비서직을 이어받았다. 쑹칭링과 쑨원의 관계는 곧 연인 관계로 발전했다. 그러나 쑨원은 이미 결혼한 상태였기 때문에 이 관계는 문제가 있었다. 쑹칭링이 쑨원을 만나기 위해 일본으로 가겠다고 하자 쑹자수는 분노했다. 쑹칭링이 이에 반항하여 한밤중에 배를 타고 도쿄로 떠나자, 쑹자수는 쑨원과의 모든 관계를 끊고 딸과 의절했다.[12]

5. 사망

쑹자수는 1918년 5월 4일에 브라이트병(만성 신장염)으로 사망했다.[13][14] 쑨원과 중국 국민당은 쑹칭링과의 갈등을 의식하여 공개적인 애도를 표하지 않았다.[15]

6. 가족 관계

쑹자수는 니구이전(倪桂珍)과 결혼하여[16] 3남 3녀를 두었으며, 이들은 모두 중국 근현대사에서 중요한 인물들이다.

6. 1. 가계도



캐서린 니구이전[16] 倪桂珍|예계진중국어쑹자수 宋嘉樹|송가수중국어
!
,|-|-|-|v|-|-|-|-|-|^|-|v|-|v|-|-|-|-|-|v|-|-|-|-|-|.|
!|낸시 쑹아이링宋藹齡|송애령중국어쿵샹시孔祥熙|공상희중국어로라 장러이張樂怡|장악이중국어 쑹쯔원宋子文|송자문중국어시메이잉席曼英|석만영중국어 쑹쯔량宋子良|송자량중국어!|로삼몬드 쑹칭링宋慶齡|송경령중국어쑨원孫中山|손중산중국어쑹메이링宋美齡|송미령중국어장제스蔣介石|장개석중국어우지이웅吴其英|오기영중국어쑹쯔안宋子安|송자안중국어
!|!|!|!|!|
!| |,|-|-|-|-|-|+|-|.|!|!|
!|로레트 쑹宋琼頤|송경의중국어아이번 펑馮彥達|풍언달중국어캐서린 쑹宋瑞頤|송서의중국어아서 영杨成竹|양성죽중국어[16]!|!|
!|!|!|!|!|
!|sMJ |~|eCK | |sQY |~|lTC |!||sMJ=메리-제인 쑹宋曼頤|송만의중국어eCK=찰스 K. 유余經鵬|여경붕중국어sQY=쑹칭이宋慶頤|송경의중국어lTC=로버트 린林展翅|임전시중국어
!|!|!|!|!|
,|-|^|-|-|-|v|-|-|-|v|-|-|-|.|,|-|-|-|(||
로삼몬드 쿵링이孔令儀|공령의중국어황슝성黄雄盛|황웅성중국어!|kLC1!|wSara|~|sRona|!||kLC1=자넷 쿵링웨이孔令偉|공령위중국어wSara=사라 웡sRona=로널드 쑹보슝宋伯熊|송백웅중국어tShir=셜리 차오sLeo=레오 쑹중후宋仲虎|송중호중국어
!|!|!|
~|kLK | |pDG |~|kLC2tShir|~|sLeopLH=바이란화白兰花|백란화중국어kLK=데이비드 쿵링칸孔令侃|공령간중국어pDG=데브라 패짓kLC2=루이스 쿵링지에孔令傑|공령걸중국어tShir=셜리 차오曹琍璇|조리선중국어sLeo=레오 쑹중후宋仲虎|송중호중국어


참조

[1]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Modern China (1800-1949)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2009
[2] 웹사이트 宋氏家族奠基人宋耀如:曾愤怒庆龄嫁孙中山(图) http://www.chinanews[...] China News Service 2011-10-17
[3] 문서 Seagrave, p. 57
[4] 뉴스 State News https://chroniclinga[...] 1882-09-02
[5] 문서 Seagrave, p. 57
[6] 문서 Bernard Brizay, ''Les Trois Sœurs Soong'', ed. du Rocher, 2007, p. 116.
[7] 문서 Seagrave, p. 65.
[8] 문서 Seagrave, p. 78.
[9] 문서 Seagrave, p. 96.
[10] 문서 Seagrave, p. 109.
[11] 문서 Seagrave, p. 129.
[12] 문서 Seagrave, p. 138.
[13] 뉴스 Rev. Charles Soong Dies in Shanghai 1918-07-03
[14] 문서 Haag, p. 178, 197.
[15] 문서 Seagrave, p. 143.
[16] 서적 https://books.google[...] Joint Publishin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