쓰나시마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쓰나시마역은 1926년 쓰나시마 온천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여, 여러 차례 역명 변경과 개량을 거쳐온 역이다. 1963년 고가역으로 변경되었으며, 2001년에는 역사 개량, 2012년에는 도쿄 메트로 후쿠토신선과의 직결 운행을 위한 승강장 연장 공사가 이루어졌다. 역 주변에는 버스터미널, 상업 지구, 주택가가 위치해 있으며, 2020년에는 역내 상업시설인 에토모 쓰나시마가 개업했다. 도요코선 상에 위치하며, 급행과 각역정차가 운행된다. 2023년 기준 하루 평균 승하차 인원은 82,967명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호쿠구의 철도역 - 히요시역 (가나가와현)
히요시역은 가나가와현에 있는 철도역으로, 4개 노선이 직결 운행하며 환승역 역할을 하고, 지상역과 지하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변에는 교육 시설과 상업 시설이 밀집해 있다. - 고호쿠구의 철도역 - 신요코하마역
신요코하마역은 일본 가나가와현 요코하마시에 위치한 철도역으로, 도카이도 신칸센 등 5개 노선이 지나가며, 다양한 시설과 요코하마 국제종합경기장과도 인접해 있다. - 도큐 도요코선 - 히요시역 (가나가와현)
히요시역은 가나가와현에 있는 철도역으로, 4개 노선이 직결 운행하며 환승역 역할을 하고, 지상역과 지하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변에는 교육 시설과 상업 시설이 밀집해 있다. - 도큐 도요코선 - 시부야역
시부야역은 도쿄 시부야의 주요 철도 터미널역으로, JR 동일본, 게이오 전철, 도큐 전철, 도쿄 메트로 4개 회사의 노선이 운행하며, 복잡한 구조와 주변 상업 시설, 최근 재개발을 통한 시설 개선이 특징이다. - 도큐 전철의 철도역 - 나가쓰타역
나가쓰타역은 가나가와현 요코하마시에 위치한 요코하마 선, 도큐 덴엔토시 선, 고도모노쿠니 선의 환승역으로, JR 동일본, 도큐 전철, 요코하마 고속철도가 운영하며, 요코하마 선의 특정 도구 시내 제도상 "요코하마 시내"의 서쪽 끝 지점에 해당하고, 인근에 나가쓰타 검차구가 있다. - 도큐 전철의 철도역 - 미조노쿠치역
미조노쿠치역은 1927년 다마가와 전기철도 미조노쿠치선의 역으로 개업하여 고가화와 역명 변경을 거쳐 덴엔토시선과 오이마치선이 운행되는 섬식 승강장 2면 4선의 역이다.
쓰나시마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역 이름 | 쓰나시마역 |
로마자 표기 | Tsunashima-eki |
다른 이름 | 쓰나시마온센 (1944년까지) |
위치 | 가나가와현 요코하마시 고호쿠구 쓰나시마 1-1-8 |
좌표 | 35°32′12.91″N 139°38′05.32″E |
운영 기관 | 도쿄 급행 전철 |
노선 | 도쿄 급행 전철 도요코 선 |
시부야역으로부터 거리 | 15.8km |
승강장 | 2면 2선 |
구조 | 고가역 |
역 번호 | TY14 |
개업일 | 1926년 2월 14일 |
일일 승객 수 | 103,630명 (2019년도) |
홈페이지 | 쓰나시마역 공식 홈페이지 |
노선 정보 | |
도쿄 급행 전철 도요코 선 | 급행: 기쿠나 (TY16) ← 쓰나시마 (TY14) → 히요시 (TY13) 일반: 오쿠라야마 (TY15) ← 쓰나시마 (TY14) → 히요시 (TY13) |
이미지 정보 | |
![]() | |
![]() | |
![]() | |
통계 | |
2023년 승차 인원 | 82,967명 |
2. 역사
(내용 없음)
2. 1. 초기 역사 (1926년 ~ 1963년)
쓰나시마역은 1926년 2월 14일 綱島温泉駅|쓰나시마온센역일본어이라는 이름으로 처음 영업을 시작했다.[5] 개업 당시에는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었으나,[5] 1933년 7월에 섬식 승강장으로 변경되었다. 이후 1944년 10월 20일 현재의 역명인 '''쓰나시마역'''으로 바뀌었다.[5] 1950년경 매표구가 증설되었고,[5] 1963년 11월 26일에는 3.77억엔의 사업비를 들여 700m 구간의 고가화 공사를 완료하여 고가역이 되었다. 이 공사로 3곳의 건널목이 폐지되었다.[6][5][7]연도 | 날짜 | 내용 |
---|---|---|
1926년 | 2월 14일 | 綱島温泉駅|쓰나시마온센역일본어으로 영업 개시. 당시에는 상대식 승강장의 지상역이었음.[5] |
1933년 | 7월 | 섬식 승강장으로 개축.[5] |
1944년 | 10월 20일 | 쓰나시마역으로 역명 변경.[5] |
1950년경 | 매표구 증설.[5] | |
1962년 | 3월 1일 | 고가화 공사 착수.[6] |
1963년 | 11월 26일 | 고가역으로 변경 완료.[6][5] 공사 구간 700m, 사업비 3.77억엔, 3곳 건널목 폐지.[7] |
2. 2. 고가화 및 현대화 (1963년 ~ 현재)
1962년 3월 1일 고가화 공사를 시작했다.[6] 1963년 11월 26일 고가역으로 전환되었다.[6][5] 공사 구간은 총 700m이었고, 사업비는 3.77억엔이 소요되었다. 이 공사로 고에다구치쓰나시마 선 등 3곳의 건널목이 폐지되었다.[7]2001년에는 역사를 개량했다.[8] 북쪽 출구 개찰구를 신설하고 정면 출구에는 시스루 개찰구를 설치했으며, 승강장에는 에스컬레이터와 엘리베이터를 설치하여 편의성을 높였다.[8]
2009년 10월 31일에는 북쪽 출구에 있던 도큐 버스 쓰나시마 안내소가 영업을 종료했다.[9]
2012년에는 도쿄 메트로 후쿠토신선과의 상호 직결 운행을 위해 승강장과 지붕을 연장하는 공사를 마쳤다.
2020년 3월 13일, 역사 내 및 고가 하부에 역내 상업시설인 "에토모 쓰나시마"가 개업했다. 이곳에는 도큐 스토어 등이 입점해 있다.[10]
3. 역명의 유래
1926년 2월 14일 역을 설치했을 당시, 이곳은 가지키군 오쓰나무라 대자 미나미 '''쓰나시마'''에 위치해 있었기 때문에 지명에서 역명을 따왔다. 개업 당시에는 온천거리로서 관광지 개발을 목적으로 綱島温泉駅|쓰나시마온센역일본어이라는 이름이 붙여졌으나, 1944년 10월 20일에 전시 체제에 따라 "온천"이라는 글자를 빼고 현재의 역명인 "쓰나시마역"으로 변경했다. 이는 당시 사치스러운 명칭을 자제할 필요가 있었고, 주변 지역 온천여관의 폐업이 잇따랐던 상황도 영향을 미쳤다. 전시 중에 쓰나시마역과 비슷한 이유로 역명을 변경한 사례는 다른 곳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4. 역 구조
역사와 버스 터미널이 아래에 위치하고, 위쪽에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이 있는 고가역 구조이다.[11]
4. 1. 승강장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고가역이다.[11] 개찰구는 2곳으로, 서쪽 출구·동쪽 출구 방면의 유인 개찰구와 버스터미널에 연결되는 북쪽 출구의 무인 개찰구가 있다.고가화 이전에는 섬식 승강장 1면 2선으로 18m급 차량 5량 편성분의 유효장이었지만, 6량 편성이 증가하면서 역 남쪽의 가나가와 현도 106호 쓰보구쓰나시마 선子母口綱島線일본어 건널목을 사쿠라기초 방향 1량이 막는 형태로 정차하게 되어, 이에 따른 교통 체증도 고가화의 요인이 되었다. 고가화 이전 6량 편성의 경우 사쿠라기초 방향 1량의 승하차용 문은 폐쇄(도어컷) 처리되었다.
2009년 10월부터, 2013년 3월 16일부터 시작된 도쿄 지하철 후쿠토신 선東京メトロ副都心線일본어과의 직통 운행에 따른 급행 열차의 10량 편성화에 대비하여 승강장 연장 및 지붕 연장 공사를 시작했다. 히요시日吉일본어 방면에 2량분 승강장을 더 연장하여 10량 편성의 정차에 대응할 수 있게 되었다.[64][12]
번선 | 노선 | 방향 | 행선지 |
---|---|---|---|
1 | 하행 | 기쿠나・요코하마・미나토미라이 선 모토마치·주카가이 방면[13] | |
2 | 상행 | 시부야・후쿠토신 선 이케부쿠로・세이부 선 도코로자와・도부 도조 선 가와고에시 방면[14] |
5. 이용 현황
2023년 기준 하루 평균 승하차 인원은 82,967명이다.[43]
다른 노선과 연결되지 않은 도큐 전철의 단독역 중에서는 아오바다이역 다음으로 승하차 인원이 많다. 2015년도에는 8년 만에 승하차 인원이 10만 명을 넘었으나[35], 2020년도에는 다시 10만 명 아래로 떨어졌다.[40]
최근 연도별 하루 평균 승하차·승차 인원 추이는 다음과 같다.
6. 역 주변
역 동쪽에는 버스터미널과 소규모 상점가가 있다. 쓰나시마가도를 사이에 둔 역 동쪽 지하에는 도큐 신요코하마 선의 '''신쓰나시마역'''이 있으며[44], 과거 이곳에는 당일치기 입욕 시설 '쓰나시마 온천 도쿄엔'이 있었다. 쓰나시마역과 신쓰나시마역은 별개의 역으로 취급되어 환승이 되지 않지만, 정기권 이용 시에는 요금 계산 특례가 적용된다(자세한 내용은 신쓰나시마역#요금계산 참조).
역 서쪽 일대는 활기찬 상업지구이며, 과거 쓰나시마 온천 유흥가의 흔적으로 파칭코점과 러브호텔 등 풍속업소가 다수 존재한다. 역 북쪽은 언덕 지형으로, 가파른 언덕길을 올라가면 녹지가 있는 쓰나시마 공원(내부에 쓰나시마 고분 소재)과 쓰나시마 시민의 숲이 있다. 역 남쪽으로는 도요코 선 철교가 놓인 쓰루미 강이 흐르며, 강변은 주민들의 휴식 공간으로 이용된다. 근처에는 오쓰나바시가 있다.
쓰나시마가도나 코모구치쓰나시마 선 등 주변 도로는 폭이 좁고 교통량이 많아 역 앞은 만성적인 정체가 발생한다. 손님을 기다리는 택시와 불법 주차로 인해 더욱 좁아진 골목길을 많은 노선버스와 보행자가 함께 통행하여 안전 문제가 지적되고 있다.[45][65] 과거 재개발 계획이 검토되었으나 실현되지는 않았다.
'''주요 시설'''
- '''공공기관'''
- * 요코하마시 쓰나시마 지구 센터
- * 요코하마시 안전 관리국 고호쿠 소방서 쓰나시마 출장소
- * 쓰나시마 우체국
- * 쓰나시마혼도리 우체국
- * 요코하마 미나미쓰나시마 우체국
- * 요코하마 신요시다 우체국
- * 아피타 테라스 요코하마 쓰나시마 우체국
- '''금융기관'''
- * 미쓰이 스미토모 은행 쓰나시마 지점
- * 요코하마 은행 쓰나시마 지점
- * 미쓰비시 UFJ 은행 쓰나시마 지점
- * 미즈호 은행 쓰나시마 지점
- * 리소나 은행 쓰나시마 지점
- * 시즈오카은행 쓰나시마 지점
- * 요코하마 신용금고 쓰나시마 지점
- * 가와사키 신용금고 쓰나시마 지점
- * 죠난 신용금고 쓰나시마 지점
- '''상업시설 및 기타'''
- * 이나게야 요코하마 쓰나시마점
- * 육의 하나마사 PLUS 쓰나시마점[46]
- * 아피타 테라스 요코하마 쓰나시마[57]
- * 메가로스 크로스 쓰나시마 24
- * 코야마 드라이빙 스쿨 요코하마 교장[47]
'''주변 상점회'''
- https://www.navida.ne.jp/snavi/3710_1.html 綱島モール商店会(쓰나시마 몰 상점회)
- https://www.navida.ne.jp/snavi/4038_1.html 綱島さわやか通り商店会(쓰나시마 사와야카도리 상점회)
- https://www.navida.ne.jp/snavi/4052_1.html 綱島東口商店会(쓰나시마 히가시구치 상점회)
- https://www.navida.ne.jp/snavi/4039_1.html 綱島桃栄会(쓰나시마 도에이카이)
- https://www.navida.ne.jp/snavi/4063_1.html 綱島西口商栄会(쓰나시마 니시구치 쇼에이카이)
- https://www.navida.ne.jp/snavi/4055_1.html 綱島駅ビル商店街(쓰나시마역 빌딩 상점가)
- https://www.navida.ne.jp/snavi/3658_1.html 綱島東商竜会(쓰나시마 히가시 쇼류카이)
- 綱島にこにこ会(쓰나시마 니코니코카이)
6. 1. 에토모 쓰나시마
2020년 3월 16일, 도큐 전철의 역사 내 상업시설인 '에토모 쓰나시마'(エトモ綱島|에토모 쓰나시마일본어)[48]가 개업하였다.[49][50] 이는 도큐( 東急|도큐일본어 )가 'etomo'라는 통일 브랜드[48]로 운영하는 12번째 매장이며, 브랜드명은 '역과, 더욱 더'(駅と、もっと|에키토, 못토일본어)라는 의미에서 유래한다.[48] 이 시설은 철도 고가교의 내진 보강 공사[50][53]로 인해 2016년에 폐쇄된 '쓰나시마역 빌딩 상점가'(綱島駅ビル商店街|쓰나시마에키비루 쇼텐가이일본어) 터의 고가 아래 공간과 2018년에 폐쇄된 역사 내 매장 터를 통합하여 재활용한 것이다.[50]원래 '쓰나시마역 빌딩 상점가'는 쓰나시마역이 고가화된 1963년에 역 고가 아래에 개업하여[54][55][56] 오랫동안 영업해왔다. 핵심 점포인 '쓰나시마역 앞 도큐 스토어'(綱島駅前東急ストア|쓰나시마에키마에 도큐 스토아일본어)[56]를 비롯해 11개 점포가 입점한 2층 규모의 상점가였다.[54] 하지만 도요코선 고가교의 내진 보강 공사[55]가 시작되면서 2015년부터 점포 철수가 진행되었고,[54] 2016년 1월 8일 도큐 스토어 폐점을 끝으로 완전히 문을 닫고 건물은 해체되었다.[56][55]
'에토모 쓰나시마'의 핵심 점포인 '도큐 스토어 쓰나시마역 앞점'(東急ストア綱島駅前店|도큐 스토아 쓰나시마에키마에텐일본어)[50][51]은 2020년 3월 13일에 먼저 개업했으며,[50][51][52] 이는 같은 해 2월 29일에 폐점한 쓰나시마가이도(綱島街道)변의 '도큐 스토어 쓰나시마점'(東急ストア綱島店|도큐 스토아 쓰나시마텐일본어)을 이전한 것이다.[57] 2018년 3월 아피타 테라스 요코하마 쓰나시마( アピタテラス横浜綱島|아피타테라스 요코하마 쓰나시마일본어 )가 개업한 영향으로[57] 기존 두 개의 도큐 스토어 점포를 유지하기 어려워지자, '에토모 쓰나시마'로 통합 이전하는 방식을 선택했다.[57]
역사 내에서 영업하던 오다큐 그룹의 베이커리 호쿠오( HOKUO 北欧トーキョー|호쿠오 호쿠오 도쿄일본어 )[54]와 역 매점 'toks'(toks)[49] 등은 역사 개량 공사로 인해 2018년에 잠시 폐점했다가 '에토모 쓰나시마'에 다시 입점했으며,[49] 스타벅스 등 신규 매장도 들어섰다.[49][50] 또한, 2020년 3월 31일에는 '에토모 쓰나시마' 외부 인접 건물에 '도큐 구르메 프론트 시부소바 쓰나시마점'( 東急グルメフロント しぶそば 綱島店|도큐 구루메 후론토 시부소바 쓰나시마텐일본어 )이 새로 문을 열었다. 이곳은 역소바( 駅そば|에키소바일본어 )를 판매하면서 2층에서는 '셀프 쵸이노미'( セルフちょい飲み|세루후 쵸이노미일본어, 셀프 간단 음주)도 가능한 새로운 형태의 매장이다.[58][59]
'''주요 입점 매장'''
매장명 | 비고 |
---|---|
도큐 스토어( 東急ストア|도큐 스토아일본어 ) 쓰나시마역 앞점[60] | 재입점 (기존 쓰나시마점 이전 통합) |
LAWSON + toks( LAWSON + toks|로손 플러스 토크스일본어 )[48] 에토모 쓰나시마점 | 재입점[58] |
호쿠오( HOKUO 北欧トーキョー|호쿠오 호쿠오 도쿄일본어 ) 쓰나시마점 | 재입점[58] |
오무스비 곤베에( おむすび権米衛|오무스비 곤베에일본어 ) 에토모 쓰나시마점 | 재입점[58] |
스타벅스 커피( スターバックスコーヒー|스타박쿠스 코히일본어 ) 에토모 쓰나시마점 | 신규입점[58] |
비어드 파파( ビアードパパ|비아도 파파일본어 )( 麦の穂|무기노호일본어 ) 에토모 쓰나시마점 | 신규입점[58] |
아오야마 플라워 마켓( 青山フラワーマーケット|아오야마 후라와 마켓토일본어 )( パーク・コーポレーション|파쿠 코포레숀일본어 ) 쓰나시마점 | 재입점[58] |
시부소바( しぶそば|시부소바일본어 )( 東急グルメフロント|도큐 구루메 후론토일본어 ) 쓰나시마점[61] | 신규입점[58][59] (인접 건물) |
6. 2. 버스 노선

버스터미널은 역 동쪽 고가철로 아래에 있으며, 1963년 고가화될 때 설치되었다. 현재는 동급버스가 운행하는 노선만 들어온다.[63] 부지가 좁아 1번 승강장을 제외하고는 버스가 후진하여 진입하는 스위치백 방식으로 운영된다.
과거에는 6번 승강장(가와사키 쓰루미 린코 버스·요코하마시 교통국)과 7번 승강장(가와사키 쓰루미 린코 버스)을 이용하는 노선도 있었으나, 2023년 12월 23일부터 모두 신쓰나시마역 발착(13계통은 쓰나시마역 입구 정류장 도착 후 신쓰나시마역 출발)으로 변경되었다.[62] 참고로, 7번 승강장은 도요코 선 고가철로 아래가 아닌, 역에서 쓰나시마 가도 방면으로 약 40m 떨어진 곳에 위치했었다.[63]
승강장 | 노선 | 경유 | 행선지 | 회사 | 비고 |
---|---|---|---|---|---|
1 | (하차 전용) | 동급버스 | |||
2 | 쓰나71 | 요쓰가·신하 영업소 간신보리 | 캇타 회차장 | 심야버스 있음 | |
쓰나72 | 신하 영업소 간신보리·신하역 | 신요코하마역 | |||
쓰나73 | 요쓰가·신하 영업소 간신보리 | 신하역 | |||
쓰나79 | 요쓰가 | 신하 영업소 | 심야버스 있음 | ||
3 | 쓰나44 | 다카다역 앞·요코하마시 역사박물관 앞 | 에다역 | ||
쓰나45 | 다카다역 앞·센터남역 | ||||
쓰나46 | 다카다역 앞 | 도츄사카시타 | 심야버스 있음 | ||
쓰나47 | 다카다역 앞·도츄사카시타 | 신하 영업소 | |||
쓰나48 | 캇타 회차장 | ||||
쓰나49 | 센터남역 | ||||
쓰나50 | 다카다역 앞 | 【순환】히가시야마다역 | |||
4 | 조01 | 다카다역·가니가야 | 신조역 | ||
다카다역 | 가니가야 | ||||
5 | 쓰나74 | 마치나이카이칸 앞 | 신하역 | ||
6 | (발착 노선 없음) |
이 외에도 역 동쪽 쓰나시마 가도 위에 '''쓰나시마역 입구''' 정류장이 있다. 북쪽 방면(쓰나시마역 쪽, 가와사키 쓰루미 린코 버스·요코하마시 교통국) 정류장은 하차 전용이다. 승차가 가능한 곳은 남쪽 방면(신쓰나시마역 쪽, 동급버스) 정류장이며, 다음 노선만 이용할 수 있다. 노선 경로상, 이들 노선의 반대 방향 운행 시에는 쓰나시마역 입구를 경유하지 않는다.
- 일93: 히요시역 동쪽 입구행
- 일81·일92: 신쓰나시마역행
과거 운행되었던 심야급행버스 '미드나이트 애로우' (고속 신요코하마선)는 쓰나시마역 입구 정류장에 정차했었다.
7. 인접역
(급행)
(급행)
(각역정차)
(각역정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