쓰레기 매립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쓰레기 매립지는 폐기물을 땅에 묻어 처리하는 시설로, 역사를 거치며 다양한 기술과 구조로 발전해왔다. 초기에는 단순한 투기 방식에서 시작하여, 위생 매립, 개량형 위생 매립, 봉쇄형 매립지 등 침출수와 가스 발생을 관리하는 방식으로 발전했다. 현대에는 호기성 매립, 준호기성 매립, 생물 반응기형 매립과 같은 기술을 통해 환경 영향을 최소화하고 자원 회수를 추구한다. 쓰레기 매립지는 사회 기반 시설, 토양 및 지하수 오염, 악취 및 해충 발생 등 다양한 사회적, 환경적 영향을 미치며, 매립지의 잔여 용량 부족, 부적정 처리, 폭력 조직의 관여 등 문제도 발생한다. 한국은 폐기물 감량 및 재활용 정책, 폐기물 에너지화 정책, 주민 지원 사업 등을 통해 매립지 문제를 해결하려 노력하며, 유럽연합 등 여러 국가에서도 매립 폐기물 감축을 위한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미래에는 생물 반응기형 매립, 플라즈마 용융 등과 같은 기술과 더불어, 태양광 발전소 설치를 통한 부지 재활용 등 친환경적인 방향으로 매립 기술이 발전할 전망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쓰레기 매립지 - 패총
패총은 원시인들의 생활상을 보여주는 중요한 고고학 자료로, 조개껍데기 등 생물 잔해가 쌓여 형성된 유적이며 수골, 어골, 석기, 토기 등 다양한 유물과 인골, 주거 흔적을 포함하기도 한다. - 쓰레기 매립지 - 스모키 마운틴
스모키 마운틴은 필리핀 마닐라에 50년간 운영된 거대한 쓰레기 매립지이자 빈민촌이었으나, 폐쇄 후 공공 주택 단지로 재개발되었으며, 이 과정에서 삶의 터전을 잃은 빈민들의 이야기는 필리핀 빈곤의 상징으로 남아있다. - 폐기물 관리 - 폐기물 계층
폐기물 계층은 제품 및 서비스 전 과정에서 환경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폐기물 발생 예방, 재사용, 재활용, 에너지 회수, 폐기 순으로 우선순위를 정하는 체계이며, 유럽 연합에서는 법적 구속력을 가진다. - 폐기물 관리 - 침출수
침출수는 매립지에서 폐기물과 빗물이 만나 생성되는 오염된 액체로, 유해 물질을 포함하여 환경 오염을 유발하며, 현대 매립지에서는 침출수 유출을 방지하고 처리하기 위한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쓰레기 매립지 |
---|
2. 역사
매립은 인류 역사와 함께 시작된 오래된 폐기물 처리 방식이다. 초기에는 단순히 쓰레기를 쌓아두는 방식이었으나, 환경 문제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위생 매립, 관리형 매립 등 다양한 기술이 도입되었다.
폐기물의 최종 처분은 폐기물을 감량화, 안정화, 무기화, 무해화하는 것을 의미하며, 최종 처분장에서는 안정화를 주요 목적으로 한다. 이를 돕기 위해 중간 처리가 이루어지며, 주로 소각 방식이 사용된다.[31]
일본에서는 매립지의 구조와 방식이 복토나 침출수 배제의 실시 형태 등에 따라 여러 단계를 거쳐 왔다. 하지만 세계적으로는 초기 단계가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실제 최종 처분장은 크게 차단형, 안정형, 관리형의 세 종류로 나뉜다.
- 차단형 처분장: 안정화에 오랜 시간이 필요한 유해 폐기물을 격리하는 목적이다.
- 안정형 처분장: 이미 안정되었거나 매립 후 빠르게 안정되는 무해한 폐기물을 처리하는 목적이다.
- 관리형 처분장: 위의 두 가지 유형에 해당하지 않으며, 매립 후에도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한 경우이다.
하지만 실제로는 이러한 구분이 명확하지 않은 채 운영되는 경우가 많아, 안정형 처분장에서도 수질 오염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31]
2. 1. 초기 매립 방식
저습지 등 이용 가치가 낮은 토지에 쓰레기를 쌓아 올리는 방식이다. 노천 소각이나 유가물 수집이 함께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쓰레기는 조금씩 분해되지만, 과도한 반입과 플라스틱 등 분해되지 않는 쓰레기의 대량 유입으로 인해 급격히 팽창하는 문제가 개발도상국의 도시 지역에서 자주 발생하고 있다. 주변의 위생 환경은 매우 나빠지고, 발효 및 화합열에 의한 자연 발화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마닐라의 스모키 마운틴이 이러한 투기 적재 방식의 대표적인 예시이다.[6]투기형 매립은 불투수층 등 지하수 오염의 우려가 비교적 적은 토지를 굴착하여 폐기물을 투기하고 중장비로 압축 및 이동 작업을 실시하여 메우는 방식이다. 고전적인 "구덩이를 파서 묻는" 처리 방법으로, 고대부터 사용되어 왔다. 소규모로 유해 물질을 포함하지 않는 쓰레기를 처리하는 방법으로, 일본에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6]
2. 2. 위생 매립 및 발전
위생 매립은 매립 규모가 커지면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입된 방식이다. 매일 흙으로 얇게 덮는 일일 복토 작업을 통해 파리와 같은 위생 해충의 발생을 억제한다. 그러나 이 방식은 침출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4]개량형 위생 매립(혐기성 매립)은 매립지 바닥에 차수 시설과 침출수 집배수관을 설치하여 침출수를 처리하는 방식이다. 전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지만, 생화학적 산소 요구량(BOD)·화학적 산소 요구량(COD) 성분과 암모니아성 질소를 많이 포함하는 침출수가 장기간 계속 발생하여 처리 비용이 많이 든다.[4]
봉쇄형 매립지는 빗물 유입을 차단하여 침출수 발생을 억제하는 방식이다. 주로 구미에서 사용되었으며, 침출수 처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그러나 수분 부족으로 인해 생분해가 진행되지 않아 폐기물 안정화에 수백 년이 걸린다.[4]
2. 3. 현대적 매립 기술

매립 기술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발전해 왔으며, 환경 영향을 줄이고 폐기물 분해를 촉진하는 다양한 방법이 개발되었다.
- 호기성 매립: 송풍기를 사용하여 공기를 강제로 주입함으로써 폐기물의 호기성 분해를 촉진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침출수의 생화학적 산소 요구량(BOD)을 빠르게 낮추는 등 긍정적인 결과를 보였지만, 높은 동력 비용으로 인해 실용화는 보류되었다.[32]
- 준호기성 매립 (Fukuoka Method): 침출수 배제와 자연 대류를 통해 공기를 유입시켜 호기성 분해를 유도하는 방식이다. 1975년 후쿠오카현에서 개발되었으며,[33] 침출수의 BOD를 효과적으로 낮추는 것이 확인되어 한국의 표준 매립 방식으로 채택되었다.
- 생물 반응기형 매립 (Bioreactor landfill): 혐기성 및 호기성 조건, 수분 함량을 조절하고 미생물을 주입하여 폐기물 분해를 가속화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바이오가스 활용도 가능하다.
3. 매립지의 종류 및 구조
폐기물의 종류와 유해성에 따라 매립지는 안정형, 차단형, 관리형으로 구분된다.[31]
- 안정형 매립지: 이미 안정화되었거나 매립 후 바로 안정되는 무해한 폐기물을 처리한다.
- 차단형 매립지: 안정화에 오랜 시간이 걸리는 유해 폐기물을 격리한다.
- 관리형 매립지: 안정형이나 차단형에 해당하지 않으며, 매립 후에도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하지만 이러한 구분이 실제로는 명확하지 않아 안정형 매립지에서도 수질 오염이 발생하기도 한다.[31]
일본에서는 매립지 구조와 방식이 여러 단계를 거쳐 발전해 왔지만, 세계적으로는 초기 단계의 매립 방식이 여전히 많이 사용되고 있다.
- 투기 적재 (Open Dumps): 저지대 등 이용 가치가 낮은 땅에 쓰레기를 쌓는 방식이다. 노천 소각이나 유가물 수집이 함께 이루어지기도 한다. 개발도상국의 도시 지역에서 흔하며, 스모키 마운틴이 대표적인 예이다.
- 투기형 매립 (Controlled Dumps): 불투수층 등 지하수 오염 우려가 적은 땅을 파서 폐기물을 묻고 중장비로 다지는 방식이다. 고대부터 사용된 전통적인 방법이다.
- 위생 매립 (Engineered Dumps): 매립 규모가 커지면서 발생하는 위생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매일 흙으로 얇게 덮는(즉일 복토) 방식이다. 침출수가 문제가 되는 경우가 많다.
- 개량형 위생 매립 (Sanitary Landfills): 매립지 바닥에 차수 시설과 침출수 집배수관을 설치하고, 침출수를 처리하는 방식이다. 혐기성 매립이라고도 하며,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사용된다.
- 봉쇄형 매립지 (Containment landfill): 빗물을 차단하고 내부를 건조하게 유지하여 침출수 발생을 억제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생물 분해가 잘 이루어지지 않아 안정화에 매우 오랜 시간이 걸린다.
- 호기성 매립: 송기관을 통해 공기를 주입하여 폐기물의 호기성 분해를 촉진하는 실험적인 방식이다. 침출수 수질 개선 효과는 좋지만, 동력 비용이 많이 든다.
- 준호기성 매립 (Fukuoka Method): 1975년 후쿠오카현에서 실용화된 일본 표준 방식이다.[33] 침출수를 배출하고 자연 대류로 공기를 유입시켜 호기성 분해를 유도한다.
- 생물 반응기형 매립 (Bioreactor landfill): 준호기성 매립을 기반으로, 혐기/호기 조건과 수분량을 조절하고 미생물을 주입하여 분해를 촉진하는 방식이다. 바이오가스 활용도 고려된다.
폐기물 처리법에 따라 처분장의 종류와 구조가 규정되어 있다. 일반 폐기물과 산업 폐기물은 배출자에 따른 법률상의 구분이며, 성상이나 유해성에 따른 것은 아니다.
- 일반 폐기물 최종 처분장: 시/군/구가 수집, 운반, 처분 의무를 지는 산업 폐기물 이외의 폐기물을 처리한다.
- 산업 폐기물 최종 처분장: 사업자가 배출한 산업 폐기물을 처리하며, 도지사가 감독한다.
3. 1. 안정형 매립지
안정형 매립지는 환경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폐기물만 매립하는 시설이다. 주로 폐플라스틱류, 금속 부스러기, 유리, 도자기 부스러기, 고무 부스러기, 파편류와 같은 안정 5품목 중 제외 항목에 해당하지 않는 산업 폐기물을 처리한다. 이러한 폐기물은 지하수로의 침투를 막는 차수 공법이나 공공 수역으로의 침출수를 처리하는 침출수 처리 시설 설치 없이 매립이 가능하다. 다만, 안정형 매립지에서도 지하수 수질 모니터링은 의무적으로 실시해야 한다.3. 2. 차단형 매립지
중금속이나 유해한 화학 물질 등이 기준을 초과하여 포함된 유해한 산업 폐기물을 보관한다. 폐기물이 무해화되는 일은 없으므로, 공공 수역과 지하수로부터 영구적으로 차단을 유지하도록 지속적으로 관리해야 한다.[32] 이 때문에, 유해 물질을 포함한 누수가 주변의 일반 환경으로 누출되지 않도록, 엄격한 구조 설치 기준(콘크리트로 주변을 덮는 등의 차단 대책 등) 및 보유수의 누출 관리가 이루어진다. 미래의 신기술에 최종 처분을 맡기는, 장기·무기한 보관 장소라고 할 수 있다. 지붕 구조 형식, 인공 지반 형식, 칼버트 형식 등이 있다.3. 3. 관리형 매립지
관리형 매립지는 대부분의 폐기물을 매립하며, 침출수 발생을 고려하여 차수 시설과 침출수 처리 시설을 설치한다. 저농도의 유해 물질과 생활 환경 항목의 오염 물질을 발생시키는, 대부분의 폐기물에 대해 안정화를 도모한다.[31] 매립 후에는 중금속이나 BOD, COD, 질소, 산·알칼리를 포함한 침출수가 발생한다. 이 때문에, 고무 시트 등으로 차수 공법과 침출수 처리 시설을 설치하고, 수질 시험 및 모니터링을 통해 관리한다.[31]강수는 대부분 그대로 받아들이지만, 처분장 주변에 내린 비가 지표면을 흐르는 표면수는 우수 배제 시설로 흘러 들어가지 않도록 한다. 차수 공법의 열화나 파손으로 인한 누출을 감지하기 위한 파손 감지 설비 및 지하수위 상승에 대비하는 지하수 집·배수 설비 등 다중 안전 구조를 갖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매립 완료 후, 표면도 차수 공법으로 덮는 경우도 있다.[31]
현재는 해면 매립지도 호안과 차수 공법을 설치하여 실시하는 관리형 처분장이다. 1973년(쇼와 48년) 도쿄항 중앙 방파제 내측 매립 처분장이 최초이다.[31]
최종 처분장의 주 목적인 "안정화"는 바로 이 관리형 처분장에서 실시한다.[31]
4. 매립지 운영 및 관리
매립지는 폐기물 처리 계획에 따라 설치되며, 환경영향평가를 통해 주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한다. 폐기물은 매립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환경 오염을 줄이기 위해 여러 단계의 관리를 거친다.
매립이 종료된 후에도 침출수 처리, 매립 가스 측정, 모니터링을 지속해야 한다. 침출수와 매립 가스가 자연 환경과 차이가 없어지면 기록을 정비하고 매립지를 폐지하며, 관리를 종료한다.
폐지된 매립지는 부지로 활용될 수 있다. 안정형 매립지는 폐지 후 비교적 빠른 시일 내에, 관리형 매립지는 약 10년 후에 부지 이용이 가능하다. 그러나 차단형 매립지는 미래에 무해화 기술이 개발될 때까지 임시 보관소 역할을 하므로 부지 이용이 어렵다. 매립지 내부가 완전히 안정화되지 않았기 때문에 최종 복토 시공은 신중하게 진행해야 하며, 재이용을 고려하여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4. 1. 운영 과정
쓰레기 매립지 운영은 폐기물 관리의 중요한 과정이며, 여러 단계를 거쳐 신중하게 진행된다.폐기물 수집 차량이 매립지에 도착하면, 저울 또는 계량대에서 무게를 측정한다.[2] 이때, 직원들은 폐기물이 매립지 수용 기준에 적합한지 검사한다.[2] 반입된 폐기물은 압착기나 불도저를 사용하여 펴고 폐기물 압축하여 부피를 줄인다.[2]
압축된 폐기물은 매일 흙이나 나무 조각, 미세 입자 등 다른 종류의 재료로 덮는다.[3] 이를 '매일 복토'라고 하며, 덮개 재료는 악취를 줄이고 해충 발생을 막는다. 압축된 폐기물과 덮개 재료가 매일 차지하는 공간을 '일일 셀'이라고 부른다.
매립지에서는 썩어가는 음식물과 기타 유기 폐기물로 인해 분해 가스가 발생한다.[8] 이 가스는 주로 이산화탄소(CO2)와 메테인(CH4)으로 구성되며, 황화 수소(H2S) 및 비메탄 유기 화합물(NMOC)도 포함된다.[8] 메테인은 온실 가스이므로, 매립 가스를 적절히 관리해야 한다.[9]
적절하게 관리되는 매립지에서는 가스를 수집하여 소각하거나 매립 가스 활용을 통해 에너지를 생산한다.[12] 예를 들어, 미국에서는 850개 이상의 매립지에서 활성 매립 가스 회수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12]
매립지가 제대로 관리되지 않으면 쥐나 파리와 같은 전염 매개체(전염 매개체)가 발생하여 감염을 확산시킬 수 있다. 이러한 문제는 매일 복토를 통해 완화할 수 있다.
4. 2. 침출수 관리
강수가 개방된 매립지에 떨어지면, 물이 쓰레기를 통과하면서 침전물과 용해된 물질에 의해 오염되어 침출수가 형성된다. 이것이 억제되지 않으면 지하수를 오염시킬 수 있다.[7] 모든 현대식 매립지에서는 불투수성 매립지 라이너를 여러 미터 두께로 사용하고, 지질학적으로 안정적인 부지를 사용하며, 이러한 침출수를 가두고 포집하기 위한 수집 시스템을 결합하여 사용한다. 그런 다음 처리하여 증발시킨다. 매립지가 가득 차면, 강수의 유입과 새로운 침출수 형성을 막기 위해 밀봉한다. 그러나 라이너는 수명이 있어야 하며, 수백 년 이상이어야 한다. 결국, 모든 매립지 라이너는 새어 나올 수 있으므로,[7] 오염 물질이 지하수를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매립지 주변의 토양에 침출수 검사를 실시해야 한다.4. 3. 매립지 수명 주기
일반적으로 생활 폐기물 매립지의 수명 주기는 5단계로 구분된다.[4][5] 각 단계별 특징은 다음과 같다.단계 | 설명 |
---|---|
1단계: 초기 조정 | 쓰레기가 매립지에 투입되면 빈 공간에 많은 양의 분자 산소(O2)가 존재한다. 쓰레기가 추가되고 압축되면서 매립지 내부의 O2 함량은 점차 감소한다. 미생물 개체 수가 증가하고 밀도가 높아지며, 호기성 생분해가 우세해진다. 이때 주요 전자 수용체는 O2이다. |
2단계: 전환 | O2는 기존 미생물 개체군에 의해 빠르게 분해된다. O2가 감소하면 호기성이 줄어들고 혐기성 조건이 증가한다. 전환 과정에서 주요 전자 수용체는 질산염과 황산염이며, O2는 배출 가스 내 CO2에 의해 빠르게 대체된다. |
3단계: 산 생성 | 고형 폐기물의 생분해성 부분의 가수 분해가 시작되며, 이는 침출수 내 휘발성 지방산(VFA)의 빠른 축적을 초래한다. 유기산 함량 증가는 침출수 pH를 약 7.5에서 5.6으로 감소시킨다. 긴 사슬 휘발성 유기산(VOA)은 아세트산(C2H4O2), CO2 및 수소 가스(H2)로 변환된다. 높은 농도의 VFA는 생화학적 산소 요구량(BOD)과 VOA 농도를 모두 증가시키며, 이는 발효 박테리아에 의한 H2 생성을 시작하여 H2 산화 박테리아의 성장을 자극한다. 산 생성 박테리아의 바이오매스 증가는 폐기물 물질의 분해량과 영양소 소비량을 증가시킨다. 일반적으로 낮은 pH에서 물에 더 잘 녹는 금속은 이 단계에서 더 이동성이 커질 수 있으며, 침출수 내 금속 농도 증가로 이어진다. |
4단계: 메탄 발효 | 산 생성 단계의 중간 생성물(예: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부티르산)은 메탄 생성 미생물에 의해 CH4와 CO2로 변환된다. 휘발성 지방산(VFA)이 메탄 생성 미생물에 의해 대사되면서 매립지 물의 pH는 중성으로 돌아간다. 침출수의 유기물 강도는 산소 요구량으로 표현되며, CH4와 CO2 가스 생산량이 증가함에 따라 빠른 속도로 감소한다. 이 단계는 가장 긴 분해 단계이다. |
5단계: 최종 숙성 및 안정화 | 미생물 활동 속도는 영양분 공급이 화학 반응을 제한함에 따라 둔화된다. 예를 들어, 생물학적 이용 가능 인의 공급이 점점 줄어드는 경우이다. CH4 생산은 거의 완전히 사라지고, O2와 산화된 물질이 대류권에서 아래로 O2가 침투하면서 가스정에서 점차 다시 나타난다. 이는 침출수의 산화 환원 전위(ORP)를 산화 과정으로 변화시킨다. 잔류 유기 물질은 점차 기상으로 전환될 수 있으며, 유기 물질이 퇴비화됨에 따라, 즉 유기 물질이 휴믹 유사 화합물로 변환된다.[6] |
5. 사회적, 환경적 영향
쓰레기 매립지는 무거운 차량으로 인한 접근 도로 손상 등 사회 기반 시설 붕괴, 지하수, 대수층, 토양 오염 등 자연 환경 오염, 차량 바퀴에서 발생하는 오염 물질로 인한 지역 도로 및 수로 오염( 바퀴 세척 시스템으로 완화 가능) 등 여러 가지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7]
5. 1. 긍정적 영향
매립지는 폐기물을 안전하게 처리하고 격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12] 또한, 매립지에서 발생하는 가스를 매립 가스 활용 및 전력 생산과 같은 에너지원으로 사용할 수 있다.[12] 미국에서는 850개 이상의 매립지에서 활성 매립 가스 회수 시스템을 갖추고 있을 정도로 매립 가스 회수가 광범위하게 이루어지고 있다.[12]매립이 완료된 부지는 공원이나 체육 시설 등으로 활용될 수 있다. 안정형 매립지는 폐지 후 얼마 지나지 않아, 관리형 매립지는 10년 정도 후에 부지 이용이 시작되거나 검토된다.
5. 2. 부정적 영향
쓰레기 매립지는 여러 가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사회 기반 시설 붕괴: 무거운 차량으로 인해 접근 도로가 손상될 수 있다.
- 자연 환경 오염: 차량 바퀴에서 발생하는 오염 물질로 인해 지역 도로와 수로가 오염될 수 있으며, 바퀴 세척 시스템으로 완화할 수 있다. 또한 지하수, 대수층, 토양 오염 등 지역 자연 환경의 오염이 발생할 수 있다.
- '''침출수 문제''': 강수가 개방된 매립지에 떨어지면 쓰레기를 통과하면서 오염된 침출수가 형성된다. 이는 지하수를 오염시킬 수 있다. 현대식 매립지에서는 불투수성 라이너를 사용하고, 지질학적으로 안정적인 부지를 사용하며, 침출수 수집 시스템을 통해 침출수를 가두고 포집하여 처리한다.[7] 그러나 라이너는 수명이 있으며, 결국 새어 나올 수 있으므로, 주변 토양에서 침출수 검사를 실시해야 한다.[7]
- '''매립 가스 문제''': 썩어가는 음식물과 유기 폐기물은 분해 가스를 생성하며, 주로 이산화탄소(CO2)와 메탄(CH4)이 발생한다. 평균적으로 매립 가스의 약 절반은 CH4, 절반보다 약간 적은 양은 CO2이며, 분자 질소(N2), 황화 수소(H2S), 비메탄 유기 화합물 (NMOC)도 포함되어 있다.[8] 메탄은 온실 가스이며, 가연성이 있고 폭발 가능성이 있어 연소를 통해 전기를 생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산화 탄소는 대기 중에 열을 가두어 기후 변화에 영향을 미친다.[9] 적절하게 관리되는 매립지에서는 가스를 수집하여 소각하거나 매립 가스 활용을 위해 회수한다.
- '''전염 매개체 발생''': 제대로 관리되지 않은 매립지는 쥐나 파리와 같은 전염 매개체(전염 매개체)가 발생하여 감염을 확산시킬 수 있다. 이는 매일 복토를 통해 완화할 수 있다.
- '''야생 동물 피해''': 서식지 점유로 인한 야생 동물 교란,[10] 매립지 폐기물 섭취로 인한 동물 건강 교란이 발생할 수 있다.[11]
- '''기타 문제''': 먼지, 악취, 소음 공해, 지역 부동산 가치 하락 등이 있다.
- '''부적정 처리''': 부실한 관리로 인해 안정형 처분장에 부패성 폐기물이 반입되거나, 관리형 시설에서 침출수 처리가 불충분하여 유해 물질(중금속 등)이 유출될 수 있다.
- '''부적정 보관''': 폐기물 운반 과정에서 장기간 대량으로 보관될 경우, 부적정 처리나 불법 투기와 유사해질 위험이 있다.
- '''범죄 조직 관여''': 폭력단 관계자들이 산업 폐기물 처분업에 관여하는 경우가 있어, 행정 관여형 처분장 건설 및 관리가 고려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도 이권 구조를 유지하는 문제점이 지적되기도 한다.[35]
6. 한국의 매립지 현황 및 정책
쓰레기 매립지는 폐기물 처리 계획에 따라 매립 처분 계획을 수립하고, 필요한 조건을 갖춘 용지를 선정한다. 선정 시에는 매립 예정 폐기물의 종류에 따른 수문지질 조사와 자연 및 생활 환경에 미치는 영향(피해)을 측정하는 환경영향평가를 실시한다.
대한민국의 매립지는 환경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관리 감독을 받는다. 더불어민주당은 매립지 문제 해결을 위해 폐기물 감량 및 재활용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주요 정책은 다음과 같다.
- 3R (Reduce, Reuse, Recycle) 정책: 폐기물 발생량 감소, 재사용, 재활용을 통해 매립 폐기물 최소화.
- 생산자 책임 재활용 제도 (EPR): 생산자에게 재활용 의무를 부과하여 재활용률 제고.
- 폐기물 에너지화: 매립 가스, 소각열 등을 활용한 에너지 생산.
- 매립지 주변 지역 지원: 매립지 주변 지역 주민의 건강과 복지를 위한 지원 사업 추진 (주민 지원 기금 조성 등).
현대 사회에서 최종 처분장은 필수적이지만, 경제적 이점을 제공하지 않아 여러 면에서 관리가 미흡한 상황이다.
- 잔여 용량 및 연수: 처분장의 남은 수용 능력을 용적과 연수로 나타낸 것으로, 매년 환경부에서 발표한다. 잔여 용량은 일반 및 산업 폐기물 모두 감소 추세이나, 분리 배출 및 재활용 확산으로 최종 처분량은 감소하여 연수는 소폭 증가하는 경향이다. 그러나 도시 주변의 신규 처분장 확보는 규제 강화와 주민 반대 운동으로 어려워 위기 상황이다. 특히, 간토(関東)나 간사이(関西) 등 인구 밀집 지역은 처분장이 부족하여 도시 쓰레기를 지방으로 전가하는 문제가 있다.[34]
7. 국제적 동향
유럽 연합 (EU)을 비롯한 많은 국가들이 폐기물 매립을 줄이기 위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EU는 매립 지침을 통해 매립되는 유기성 폐기물의 양을 제한하고, 재활용 및 에너지 회수를 장려한다.
독일, 오스트리아, 스웨덴[28], 덴마크, 벨기에, 네덜란드, 스위스 등은 미처리 폐기물의 매립을 금지하고 있다. 이들 국가에서는 특정 유해 폐기물, 소각 시설의 플라이 애시, 기계적 생물학적 처리 시설의 안정화된 산출물만 매립할 수 있다.
1999년 EU는 매립 지령을 공포하여 유기성 폐기물의 직접 매립을 전면적으로 전환하고, 20년 안에 3분의 1로 줄이도록 결정했다. 매립 지령은 최종 처분장을 유기물, 유해 폐기물, 비유해 폐기물, 안정 폐기물의 4종으로 규정하고, 중간 처리를 의무화했다.
일본은 매립지의 구조와 방식을 복토 및 침출수 배제 형태에 따라 여러 단계를 거쳐 발전시켜 왔다. 그러나 세계적으로는 아직 초기 단계가 다수를 차지한다. 폐기물 학회의 국제 비교 연구[36]에 따르면, 일본의 최종 처분장은 세계 최고 수준이다. 이는 준 호기성 매립에 의한 효율적인 안정화와 소각 중심의 중간 처리가 널리 보급되었기 때문이다. 국제 협력 기구는 준 호기성 매립 기술 도입 사업을 말레이시아, 이란, 멕시코, 중화인민공화국, 오세아니아 등에서 실시하여 좋은 평가를 받았다.[37]
개발 도상국은 재정난으로 사회 기반 정비가 폐기물 처리까지 미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선진국 폐기물을 받는 최종 처분장의 관리 수준은 기대하기 어렵다. 대부분의 개발 도상국에서는 유가물을 주워 생계를 유지하는 사람들(웨스트 피커)이 재활용과 폐기물 감량에 큰 역할(10~20% 추산)[38]을 하지만, 열악한 생활 환경 개선이 필수적이다.
신흥 공업국은 인구 집중과 생활 수준 향상으로 도시 쓰레기 처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법 정비 지연과 의식 부족에 따른 산업 폐기물의 미처리 투기가 상시화되어 환경 오염이 급격히 확대되고 있다. 적절한 최종 처분장 건설은 중요하지만, 대부분 지역에서 손을 대지 못하고 있다.
구 동유럽 국가들은 미처리 투기가 많고, 재활용 및 최종 처분장 건설도 진척되지 않고 있다. 소각에 대한 저항감이 강해 중간 처리 없이 직접 매립하는 경우가 많다. 사회주의 정권 시대의 유산으로 유해 폐기물 대량 투기지를 안고 있는 나라도 있다.
8. 매립 기술의 미래
매립 기술은 환경 오염을 줄이고 자원 회수를 늘리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새로운 기술로는 생물 반응기형 매립, 플라즈마 용융 등이 연구 및 개발되고 있다.
솔라 매립지는 사용이 끝난 매립지를 태양광 어레이 태양광 발전소로 전환한 것이다.[13]
매립지는 유용하고 풍부한 에너지 및 자원의 원천으로 취급될 수 있다. 개발도상국에서는 쓰레기 수집인들이 재사용 가능한 물질을 찾기 위해 쓰레기를 뒤지기도 한다. 상업적 맥락에서, 많은 기업들이 자원과 에너지를 회수하기 시작했다.[25] 대표적인 예로 가스 회수 시설이 있다.[26]
다른 상업 시설로는 자재 회수 기능이 있는 폐기물 소각 시설이 있다. 이러한 물질 회수는 여과 장치(전기 여과 장치, 활성탄 및 칼륨 필터, 급랭, 염산 세척기, SO2 세척기, 바닥재 격자 등)를 통해 가능하다.
폐기물 감량 및 재활용 전략 외에도, 폐기물 에너지화 소각, 혐기성 소화, 퇴비화, 기계적 생물학적 처리, 열분해 및 플라즈마 아크 가스화 등 매립지에 대한 다양한 대안이 있다. 지역 경제 및 인센티브에 따라 매립지보다 재정적으로 더 매력적일 수 있다.
폐기물 제로 개념은 매립지 부피를 최소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27]
일본에서는 매립지의 구조와 방식이 여러 단계를 거쳐왔다. 하지만 세계적으로는 초기 단계가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Waste Management. Background information. General objectives of waste policy.
https://sustainabled[...]
2024-05-10
[2]
웹사이트
How a Landfill Operates
http://www.co.cumber[...]
2020-02-22
[3]
웹사이트
Alternative Daily Cover (ADC)
https://web.archive.[...]
2012-09-14
[4]
서적
Municipal Landfill, D. Vallero and G. Blight, pp. 235–249 in Waste: A Handbook for Management
Elsevier Academic Press
2019
[5]
간행물
Landfill bioreactor performance: second interim report: outer loop recycling & disposal facility - Louisville, Kentucky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2007
[6]
논문
Life Cycle Management of Municipal Solid Waste
1999-07
[7]
간행물
"Solid Waste Disposal Facility Criteria; Proposed Rule"
US EPA
1988-08-30
[8]
논문
Methane generation in landfills.
2007
[9]
뉴스
CO2 101: Why is carbon dioxide bad?
http://www.mnn.com/e[...]
2016-11-30
[10]
웹사이트
How does landfill and litter affect our wildlife?
https://myzerowaste.[...]
2020-02-22
[11]
웹사이트
Landfills are Ruining Lives
https://www.cdenviro[...]
2020-02-22
[12]
논문
Estimates of solid waste disposal rates and reduction targets for landfill gas emissions
2015-09-21
[13]
잡지
U.S. Landfills Are Getting a Second Life as Solar Farms
https://time.com/618[...]
2022-06-02
[14]
웹사이트
Ministry of the Environment, Conservation and Parks | ontario.ca
http://www.ontario.c[...]
[15]
웹사이트
Aging Landfills: Ontario's Forgotten Polluterswork=Eco Issues
http://www.ecoissues[...]
2010-09-28
[16]
웹사이트
CEWEP - The Confederation of European Waste-to-Energy Plants
https://www.cewep.eu[...]
[17]
웹사이트
Fighting Mountains Of Garbage: Here Is How Indian Cities Dealt With Landfill Crisis In 2018 {{!}} Swachh Year Ender
https://swachhindia.[...]
2020-02-21
[18]
웹사이트
India's 'Mount Everest' of Trash Is Growing So Fast, It Needs Aircraft Warning Lights
https://www.sciencea[...]
2020-02-21
[19]
문서
"Waste Management: A Half Century of Progress."
http://www.epaalumni[...]
EPA Alumni Association
2016-03
[20]
웹사이트
Modern landfills
https://web.archive.[...]
2015-02-21
[21]
웹사이트
Basic Information about Landfills
http://www.epa.gov/l[...]
2017-03-14
[22]
웹사이트
Disposal and Storage of Polychlorinated Biphenyl (PCB) Waste
http://www.epa.gov/p[...]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2017-05-10
[23]
논문
Characterization of bacterial diversity at different depths in the Moravia Hill Landfill site at Medellín, Colombia
[24]
논문
Marine microbes digest plastic
http://www.nature.co[...]
2011-03
[25]
웹사이트
Sinologie Spectrum
https://www.chinaliz[...]
[26]
웹사이트
Commercial exploitation of gas from landfills
https://web.archive.[...]
2009-11-28
[27]
논문
Exploration and practice of "zero-waste city" in China
2024-03
[28]
웹사이트
Regeringskansliets rättsdatabaser
http://rkrattsbaser.[...]
2019-05-09
[29]
뉴스
【くらし探検隊】家庭のごみの一生をたどってみた*埋め立て ピークの10分の1
2021-07-24
[30]
뉴스
高レベル放射性廃棄物、最終処分場の候補地選び本格化 自治体誘致の流れ大切に
https://www.sankeibi[...]
2021-08-27
[31]
서적
環境安全な廃棄物埋立処分場の建設と管理
技報堂出版
2000
[32]
문서
FULL SCALE APPLICATION OF IN SITU AEROBIC STABILIZATION OF OLD LANDFILLS
http://www.spinoffsr[...]
[33]
문서
準好気性埋立構造(福岡方式)の開発
http://www.adm.fukuo[...]
[34]
서적
ゴミは田舎へ?
http://www.kawabe.jp[...]
川辺書林
1996
[35]
서적
産廃汚職 利権に群がる議員・業者・暴力団
リム出版新社
2006
[36]
간행물
世界の埋立処分の現状と将来トレンドに関する研究
http://home.att.ne.j[...]
廃棄物学会研究委員会廃棄物埋立処理処分研究部会小集会「循環型社会における埋立地のあり方を考える」(第15回廃棄物学会研究発表会・2004年11月・高松市)
2004
[37]
웹사이트
技術協力プロジェクト「廃棄物管理改善プロジェクト」
http://www.jica.go.j[...]
[38]
문서
Observations of Solid Waste Landfills in Developing Countries:Africa, Asia, and Latin America
http://web.mit.edu/u[...]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