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돌프 슐라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돌프 슐라터는 1852년 스위스에서 태어나 독일의 철학 및 신학을 공부한 개신교 신학자이다. 베른 대학교 강사를 거쳐 그라이프스발트, 베를린, 튀빙겐 대학교에서 교수를 역임하며 신약성경 분석으로 명성을 얻었다. 그는 자연과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하나님의 현현을 믿었으며, 독일 관념론의 신철학적 사상을 비판했다. 슐라터는 칼 바르트, 디트리히 본회퍼 등에게 영향을 미쳤으나, 나치 정권에 대한 양가적인 태도와 반유대주의적 발언으로 논란을 빚기도 했다. 주요 저서로는 '그리스도의 역사'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튀빙겐 대학교 교수 - 랄프 다렌도르프
    랄프 다렌도르프는 사회 갈등 이론과 계급 이론을 발전시키고 정치 경력을 거쳐 영국에서 귀족 작위를 받은 독일 출신의 사회학자이자 작가이다.
  • 튀빙겐 대학교 교수 - 펠릭스 호페-자일러
    펠릭스 호페-자일러는 독일의 생화학자이자 생리학자로, 의학과 생물학 분야에 걸쳐 다수의 저작물을 남겼으며, 특히 생리학 및 병리학 화학 분야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와 《Zeitschrift für Physiologische Chemie》 창간을 통해 생리학 화학 발전에 기여했다.
  • 장크트갈렌 출신 - 케빈 피알라
    스위스 출신 프로 아이스하키 선수 케빈 피알라는 NHL 로스앤젤레스 킹스 소속으로, NHL 드래프트에서 내슈빌 프레데터스에 지명된 후 미네소타 와일드를 거쳐 로스앤젤레스 킹스로 이적, NHL 올스타 게임에 선정되었고 스위스 국가대표로 IIHF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
  • 장크트갈렌 출신 - 트란퀼로 바르네타
    트란퀼로 바르네타는 빠른 속도와 창의적인 플레이로 알려진 스위스의 전 축구 선수로, 미드필더로 활약하며 FC 장크트갈렌에서 프로 데뷔 후 독일 분데스리가와 필라델피아 유니언을 거쳐 국가대표로도 활약했다.
  • 신약 신학자 - 니컬러스 토머스 라이트
    니컬러스 토머스 라이트는 영국의 성공회 주교이자 신약성서 학자로,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신학 박사 학위를 받았고 케임브리지 대학교 등에서 신약성서학을 가르쳤으며 더럼 주교를 역임했고 현재는 세인트앤드류스 대학교에서 신약성경학과 초기 기독교 역사를 가르치며 역사적 예수 연구와 바울 신학 분야에서 세계적인 석학으로 인정받고 '바울에 대한 새 관점'을 제시하고 전통적인 칭의론에 대한 비판적 견해를 제시한 것으로 유명하며 그의 신학적 관점은 많은 지지와 함께 논란과 비판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 신약 신학자 - 에르네스트 르낭
    에르네스트 르낭은 프랑스의 역사가, 철학자, 작가로, 《기독교 기원사》를 저술하고 《예수전》으로 논란을 일으켰으며, 종교에서 자연주의적 경향을 보이고 국가에 대한 독창적인 정의를 제시했으며 1892년 사망했다.
아돌프 슐라터
기본 정보
1925년 아돌프 슐라터
1925년 아돌프 슐라터
출생일1852년 8월 16일
출생지장크트갈렌
사망일1938년 5월 19일
사망지튀빙겐
국적스위스
직업신학자, 교수
학문 분야성서학
세부 학문 분야신약성서, 조직신학
근무지그라이프스발트, 베를린, 튀빙겐
학력 및 경력

2. 생애

아돌프 슐라터는 1895년 독일 신학부에서 신학적 자유주의가 만연한 것을 비판하는 개신교 회의에 참여했다. 이 선언은 직업적 지위와 명예를 훼손한다고 느낀 베를린 동료들의 항의를 받았지만, 슐라터는 "나에게 선택은 분명하게 정의되어 있다: 하나님의 믿는 공동체인가, 전문적인 동료인가? 그리고 내 결정은 선택만큼 분명했다... 믿음은 지식보다 더 중요하고, 교회는 교수진보다 더 중요하다."라며 자신의 입장을 굽히지 않았다.[2]

2. 1. 학문적 여정

아돌프 슐라터는 피에티즘 목사의 아들로 상트갈렌에서 태어나 1871년부터 1875년까지 바젤튀빙겐에서 철학신학을 공부했으며, 1880년에 박사후 강사 자격(Habilitation)을 취득했다. 이 자격을 얻는 과정은 슐라터의 경력에서 비교적 복잡하고 극적인 시기였다. 이 시기의 중요한 사건들은 당시 독일 대학에서 자유주의적 패러다임이 얼마나 지배적이고 편향적이며 차별적이었는지를 보여준다. 로버트 야브러는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아돌프 슐라터가 스위스 베른에서 박사 학위 논문(Habilitation) 완성을 가로막은 것은 예상치 못한 장애물들의 산맥이었다... 슐라터는... 니폴드 교수의 적대적인 반응에 의해 충격을 받았다. 그러나 그는 쉽게 좌절하지 않았다... 논문을 제출한 후... 슐라터는 엄격한 일련의 시험을 치를 특권을 부여받기까지 기다려야 했다... 교수진은 슐라터의 지원에 전혀 흥미를 느끼지 않았기 때문에 그들이 결정한 시험 절차는 의도적으로 매우 엄격했다. 5과목의 구두 시험 외에도 슐라터는 감독 하에 8개의 에세이를 작성해야 했다! 만약 그가 이 모든 시험을 '우수'로 통과해야... 교수진은 그에게 강연 권한을 부여할 의향이 있었다... 이 규정은... 그 이후 다른 누구에게도 적용되지 않았다!... 슐라터는 1880년 12월에 시험을 치를 수 있었고... 교수진 결의에 따라 칭찬할 만한 방식으로 합격했다. 그의 전체 점수인 '우수'는 그 후 수십 년 동안 최고점을 넘지 못했다..."''

1888년에는 베른 대학교에서 강사가 되었다. 1893년부터 1930년까지 그는 그라이프스발트, 베를린, 튀빙겐에서 교수를 역임했으며, 튀빙겐에서 그는 매우 생산적이고 성공적인 학문적 경력을 쌓은 후 사망했다.

아돌프 슐라터


1897년부터 그는 헤르만 크레머와 함께 "Beiträge zur Förderung christlicher Theologie"(기독교 신학 진흥 기고)라는 잡지의 공동 편집인이 되었다.

슐라터는 폭넓은 독자층에게 접근 가능한 신약성경 분석으로 특히 유명해졌다. 그는 자연과 예수 그리스도 안에 하나님이 나타나는 것을 굳게 믿었고, 이러한 신념은 그를 독일 관념론의 신철학적 사상에 대한 비판으로 이끌었다. 그의 현실적인 성경 해석은 또한 슐라터를 독일 복음주의 교회의 동시대 사상과 갈등을 일으켰다. 또한 슐라터는 자신의 종교적 신념과 화해할 수 있는 인식론 개발을 위해 노력했다.

1890년대에 베를린 교수가 되면서 슐라터는 아돌프 폰 하르나크의 학문적 "상대"가 되었다. 후자는 나중에 슐라터의 예리한 정신과 그의 작품을 비판하는 통찰력을 인정했으며, 심지어 슐라터가 베를린을 떠나 튀빙겐으로 갔을 때 슬픔을 표현했다. 베를린 시절에 있었던 중요한 사건 중 하나는 베를린뿐만 아니라 자유주의적 독일 전체에 큰 긴장을 야기했는데, 이에 대해 언급할 가치가 있다. 로버트 야브러는 이 사건을 다음과 같이 묘사한다.

슐라터는 수많은 학생들에게 깊은 영향을 미쳤다(아래 디트리히 본회퍼에 대한 논의 참조). 그의 믿음, 과학, 성경 비평에 대한 접근 방식은 수많은 신학 학생들에게 신선한 공기 같은 존재였으며, 그렇지 않으면 초자연적인 지적 환경에서 희망을 주었다. 거기에서는 신약성경의 전부라고는 사회를 위한 최고의 도덕적 이상을 제시하는 "역사적 예수"만 남아 있었다.

3. 신학 사상

(내용 없음)

3. 1. 신학적 영향

그의 신학은 칼 바르트, 폰 라트, 디트리히 본회퍼, 케제만, 페터 슈툴마허 등 튀빙겐의 성서신학자들에게 크게 영향을 미쳤을 뿐만 아니라 도날드 거스리, 알리스터 맥그래스 등 영국과 미국의 신학자들에도 영향을 주었다. 한국에서는 박윤선, 김성봉, 김성규, 김세윤, 한제호 박사 등의 신학자들이 슐라터의 영향을 받고 있다. 박윤선 박사는 그의 성경 주석이 슐라터의 신학에 근거하고 있다고 말했다.[1]

4. 나치즘과의 관계

사울 프리드랜더 등 여러 역사학자들은 아돌프 슐라터가 나치즘에 대해 복잡하고 모순된 입장을 취했다고 평가한다. 슐라터는 나치의 반유대주의 정책에 일부 동조하면서도, 나치즘의 인종차별적 이데올로기를 비판하기도 했다. 이러한 양면적인 태도는 그에 대한 평가를 둘러싼 논란을 야기했다.

슐라터 관련 자료는 슈투트가르트의 슐라터 작품 보관소와 재단에 보관되어 있다. 튀빙겐에는 그의 이름을 딴 "아돌프 슐라터 하우스"(외스터베르크슈트라세)가 있으며, 레케에도 "아돌프 슐라터 홈"이 있다.

4. 1. 반유대주의 논란

사울 프리드랜더는 그의 저서에서 슐라터가 나치 반유대주의 법을 온건하다고 생각했던 "유대인 혐오의 핵심"에 속한다고 주장했다. 프리드랜더는 슐라터가 1935년에 쓴 팜플렛에서 당시 독일 유대인의 "유리한 상황"에 대해 유감을 표명한다고 주장한다.[3]

슐라터가 나치즘의 인종차별에 맞섰다는 옹호자들의 주장이 있을 수 있지만, 슐라터가 한 일은 당시 유행하던 반정부 논쟁, 즉 "유대인으로서의 나치" 개념을 이용한 것이었다. 스테판 헤인스에 따르면, 반나치 저자들은 민족사회주의를 유대화하는 것이 독일인에게 그들의 주장을 강화할 것이라는 것을 알고 있었다고 한다.[4] 슐라터의 논문은 그를 당시의 반유대주의 정신에 위치시키며, 유대인 사제와 교사들의 민족적 이기심은 인종적 영혼 외에는 더 높은 것을 알지 못하는 자들과 다를 바 없으며, 둘 다 완전히 유대적인 방식으로 생각했다고 주장했다. 역사적 맥락에서 슐라터의 마지막 저서 『우리는 예수를 아는가?』는 예수와 제자들이 유대인과의 투쟁을 교회와 나치즘의 투쟁에 비유하는 동일한 틀 내에서 작업하고 있음을 보여준다.[5]

2012년, 제임스 E. 맥너트는 슐라터의 나치즘 비판이 유대인에 대한 그의 견해와 어떻게 연결되는지에 대한 자신의 이해를 발표했다.[6]

슐라터의 유대인, 나치당, 그리고 히틀러에 대한 이해는 많은 사람들에 의해 계속 논의되고 연구되고 있다. 슐라터는 나치당이 집권했을 때 80세가 넘는 노인이었음에도 불구하고 공개적으로 제국을 비판했다. 그의 대표작 『하나님의 정의』는 바울의 로마서에 대한 주석이었다.[7] 슐라터는 정권에 대한 비판에도 불구하고 나치 이데올로기의 측면에 대해 양가적인 태도를 보였다. 1933년 4월 초 유대인 보이콧이 있은 지 몇 주 후에 슐라터는 "아돌프 히틀러를 우리 민족에게 깊은 고난에서 구원하고 지도자로 주신 것에 하나님께 감사드립니다"라는 공개 성명에 서명했다. 슐라터는 유대인 혈통의 개신교 성직자를 강단에서 제거하는 아리아인 조항을 비난하기를 거부하며 "지금 이 시점에서는 유대인 기독교인과의 교제보다 동포와의 교제가 더 중요하다"고 말했다. 슐라터는 1934년 고백교회의 바르멘 신학선언에 서명하기를 거부했는데, 이는 민족과는 별개로 하나님의 계시를 받아들이는 것은 그로 하여금 "성경을 덮고 그의 신앙을 그의 존재 자체와 분리"하게 만들 것이기 때문이었다.

마틴 룸샤이트에 따르면, 디트리히 본회퍼는 슐라터에게서 큰 영감을 받았다. 슐라터는 본회퍼의 세계 신학을 뒷받침하는 '세계'에 대한 관점을 제공했다. 하지만 본회퍼의 존경은 슐라터가 "벳셀 고백"이 될 본회퍼의 초기 초안에 대한 비판을 한 후 1933년에 줄어들었다. 슐라터는 고백이 독일 고유의 표현에서 정당하지 않게 분리되었다고 보고 초안을 거부했다. 슐라터와 같은 태도는 본회퍼가 프로젝트를 중단하게 만들었다.[9] 그러나 슐라터가 나치의 인간관과 히틀러와 제국이 취한 위험한 노선에 대해 끊임없이 비판한 것은 나중에 본회퍼의 비판에 대한 균형추를 제공한다. 또한 슐라터가 유대인에게 물리적 해를 가하라고 결코 선동하지 않았다는 점도 기억해야 한다.

슐라터는 게르하르트 키텔과 밀접한 개인적, 전문적 관계를 맺고 있었다.[10] 슐라터의 딸은 키텔과 그녀의 아버지가 서로의 저작물을 읽고 편집하는 데 긴밀히 협력했으며, 슐라터는 "1938년 5월 사망하기 전 마지막 날까지 키텔 교수를 따라 그가 가야 할 길을 걸었다"고 증언했다. 키텔이 발터 프랑크의 반유대주의 ''제국 연구소''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나치 선전을 지지하는 작품을 생산하는 동안, 슐라터의 장례식에서 추도 연설자로 초청되었다는 사실이 있다.

5. 저서

아돌프 슐라터는 신학과 성서 주석, 철학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많은 저술을 남겼다. 그의 저서는 깊이 있는 학문적 통찰력을 보여주는 것으로 평가받는다. 슐라터는 독일 팔레스타인 협회지에 논문을 기고하기도 했다.

5. 1. 주요 저서

제목출판 연도출판사비고
Der Dienst der Christen in der älteren Dogmatikde1897년베를린1999년에 Der Dienst des Christende으로 재출판
Die Tage Trajans und Hadriansde1897년C. Bertelsmannde, 귀터슬로
Die hebräischen Namen bei Josephusde1913년C. Bertelsmannde, 귀터슬로
Die Gründe der christlicher Gewißheitde1917년Calwer Vereinsbuchhandlungde, 베를린
Haering, Theodor vonde1918년Verlag J. F. Steinkopfde, 슈투트가르트
Die Geschichte des Christusde1921년슈투트가르트
Evangelium und Dienst am Volkde1932년고타
Der Brief des Jakobusde1932년Calwer Vereinsbuchhandlungde, 베를린
Am Leiden teilnehmende1934년베를린
Gottes Gerechtigkeit: ein Kommentar zum Römerbriefde1935년슈투트가르트
Die Apostelgeschichtede1961년베를린
Die Briefe an die Galater, Epheser, Kolosser und Philemonde1962년베를린EzNT, 7권
Die Briefe des Petrus, Judas, Jakobus, der Brief an die Hebräerde1965년베를린EzNT, 9권


5. 2. 논문

Einige Ergebnisse aus Niese's Ausgabe des Josephus|요세푸스 니스 판의 일부 결과de는 1896년 독일 팔레스타인 협회지에 게재된 아돌프 슐라터의 논문이다.[1]

6. 기념 및 평가

Vom Dienst an Theologie und Kirche : Festgabe für Adolf Schlatter zum 75. Geburtstag 16. August 1927de (Furche-Verlagde)에서 1927년 8월 16일 아돌프 슐라터의 75세 생일을 기념하여 출판되었다.[1]

참조

[1] 서적 Eugene(OR) Wipf & Stock 2009
[2] 서적 Robert Yarbrough 2024-09
[3] 서적 Nazi Germany and the Jews: The Years of Persecution, 1933-1939 HarperCollins 1997
[4] 간행물 Who Needs Enemies? Jews and Judaism in Anti-Nazi Discourse 2002
[5] 서적 Do We Know Jesus? Daily Insights for the Mind and Soul Kregel 2005
[6] 논문 A Very Damning Truth: Walter Grundmann, Adolf Schlatter, and Susannah Heschel's The Aryan Jesus 2012
[7] 서적 Romans: The Righteousness of God Hendrickson Publishers 1995
[8] 서적 The Cambridge Companion to Dietrich Bonhoeffer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9
[9] 서적 No RustySwords Harper Row 1965
[10] 서적 Theologians Under Hitler Yale University Press 198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