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르다한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르다한 주는 튀르키예 북동부에 위치한 주로, 역사적으로 다양한 제국과 왕국의 지배를 받았으며, 험준한 지형과 혹독한 기후 조건을 가진 지역이다. 고대에는 아르메니아와 이베리아 왕국의 일부였으며, 중세 시대에는 아바스 칼리파조, 조지아 왕국 등의 영향 아래에 있었다. 19세기에는 러시아 제국에 편입되었다가, 1921년 터키에 반환되었고, 1992년 카르스 주에서 분리되어 아르다한 주가 되었다. 경제는 농업과 축산업에 기반하며, 바쿠-트빌리시-제이한 파이프라인 건설이 지역 경제에 영향을 미쳤다. 아르다한은 6개의 구로 나뉘며, 츠르드르 호, 셰이탄 성 등 관광 자원도 보유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동아나톨리아 지역 - 에르주룸주
    에르주룸주는 터키 동부의 고지대에 위치한 네 번째로 넓은 주로, 대륙성 기후와 다양한 지형을 가지며, 역사적 문명의 지배를 받아왔고, 현재는 농업, 축산업, 관광업이 발달했다.
  • 동아나톨리아 지역 - 무슈주
    무슈 주는 터키 동부의 쿠르드족 다수 지역에 위치하며, 다양한 산맥과 평원, 아름다운 호수 및 튤립 평원을 포함한 자연 경관과 무슈 공항 등의 교통망을 갖춘 6개의 구로 나뉜 행정 구역을 가진다.
  • 튀르키예의 주 - 마르딘주
    마르딘주는 튀르키예 남동부에 위치하며 다양한 민족과 종교 집단이 거주하는 언어적, 민족적, 종교적 다양성을 보이는 주로, 아시리아인들에게 오랜 역사를 가진 지역으로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수도원들이 남아있다.
  • 튀르키예의 주 - 부르사주
    부르사주는 터키 북서부에 위치하며 지중해성 및 대륙성 기후를 보이고, 울루다르 산을 중심으로 겨울 스포츠가 발달했으며, 터키 내에서 높은 인구 증가율을 보이는 주이다.
아르다한주
지도 정보
튀르키예 내 아르다한 위치
기본 정보
이름아르다한
다른 이름Ardahan ili
행정
유형
중심지아르다한
지도자 이름하이레틴 치체크
지도자 직함주지사
지역 코드0478
웹사이트http://www.ardahan.gov.tr/ 아르다한 공식 웹사이트
지리
면적4934 km²
인구 통계
총 인구92481명
인구 조사 기준 시점2022년

2. 역사

아르다한 지역은 고대부터 여러 세력의 지배를 거쳐왔다. 중세 시대에는 조지아 왕국 등의 영향을 받았으며, 이후 오스만 제국의 영토가 되었다. 19세기 후반 러시아-튀르크 전쟁의 결과로 러시아 제국에 편입되었으나, 20세기 초 카르스 조약을 통해 터키 영토로 확정되었다.[11] 1992년 카르스 주에서 분리되어 현재의 아르다한 주가 신설되었으며,[11][12] 2000년대 초반 바쿠-트빌리시-제이한 파이프라인 건설이 지역 경제에 영향을 미쳤다.

2. 1. 고대

기원전 680년, 스키타이인들이 코카서스 산맥을 넘어 북쪽에서 침입하여 우라르투 왕국으로부터 이 지역을 빼앗아 지배했다. 그들은 반 호수 남쪽 연안에 수도를 두었다.

이후 페르시아 제국에게 점령되었으며, 기원전 330년경에는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마케도니아 제국의 지배하에 들어갔다.

이 지역에 대한 가장 오래된 기록 중 하나는 고대 그리스의 지리학자 스트라보가 남긴 것이다. 그는 이곳을 고가레네(구가르크)라고 불렀으며, 당시 아르메니아 왕국의 일부였으나 이베리아 왕국으로부터 빼앗긴 영토였다고 언급했다.[7][8]

2. 2. 중세

중세 시대 동안 아르다한은 아바스 칼리파조에서 출발하여 흑해 주변 지역으로 향하는 물품의 중요한 경유지 역할을 했다. 8세기부터 10세기까지 이 지역은 타오-클라르제티의 바그라티오니 공작들이 지배했으며, 이후 11세기부터 15세기까지는 조지아 왕국의 일부였다. 이곳은 비잔틴-조지아 전쟁의 전장이 되기도 했는데, 아랍 역사가 안티오크의 야흐야에 따르면, 비잔틴인들은 1021년에 아르다한을 초토화하고 주민들을 학살했다.[8]

1068년에는 셀주크 왕조 아래의 쿠만족과 페체네그족이 이 지역을 지배하기 시작했고, 1124년에는 킵차크가 코카서스를 넘어 들어왔다. 1230년대에는 몽골 제국이 이 지역을 점령했으나, 1266년 삼츠케의 조지아 공작이 다시 탈환하는 데 성공했다. 1267년 일 칸국 시대에는 아할치헤를 수도로 하는 킵차크 왕조가 세워졌으며, 이 왕조는 1578년 오스만 제국에 정복될 때까지 존속했다.

1555년, 사파비 페르시아와 체결된 아마시아 조약의 결과로 아르다한은 오스만 제국의 영토가 되었다.[9] 1578년, 오스만 제국은 이 지역의 킵차크 왕조를 정복하고, 칠디르 에야레트에 속한 아르다한 산자크로 재편했다. 오스만 제국은 이슬람교로 개종하여 '무스타파'라는 이름을 사용하게 된 전 조지아 공작 마누차르를 초대 총독으로 임명했다.[9] 1625년부터 칠디르 에야레트 전체는 이슬람교도가 된 삼츠케의 아타베그 가문의 세습 영지가 되었으며, 이들은 몇 가지 예외를 제외하고는 18세기 중반까지 세습 총독으로서 이 지역을 다스렸다.[10][9]

2. 3. 근세

사파비 페르시아와 1555년에 체결한 아마시아 조약의 결과로 아르다한은 오스만 제국의 지배하에 들어갔다. 오스만 제국은 이 지역을 칠디르 에야레트의 일부인 아르다한 산자크로 재편하였다.[9] 1267년부터 이 지역 일대를 통치해 온 킵차크 왕조는 1578년 오스만 제국에 의해 정복되었다.[10] 같은 해 오스만 제국은 이슬람교로 개종하여 '무스타파'라는 이름을 사용하게 된 전 조지아 공작 마누차르 2세 자켈리를 아르다한 산자크의 초대 총독으로 임명했다.[9] 1625년부터 아르다한을 포함한 칠디르 에야레트 전체는 이슬람교로 개종한 삼츠케 아타베그 가문의 세습 영지가 되었으며,[10] 이 가문은 몇몇 예외를 제외하고 18세기 중반까지 세습 총독으로서 이 지역을 관리했다.[9]

2. 4. 근대 ~ 현대

1555년 사파비 페르시아와 체결한 아마시아 조약의 결과로, 아르다한은 오스만 제국의 영토가 되었다.[9] 오스만 제국은 이 지역을 칠디르 에야레트의 일부인 아르다한 산자크로 재편하였다. 1578년, 오스만 제국은 이슬람교로 개종하여 '무스타파'라는 이름을 사용하게 된 전 조지아 공작 마누차르 2세 자켈리를 초대 총독으로 임명했다.[9] 1625년부터 칠디르 에야레트 전체는 이슬람교도가 된 삼츠케 아타베그 가문의 세습 영지가 되었으며, 몇 가지 예외를 제외하고는 18세기 중반까지 이 가문이 세습 총독으로서 지역을 관리했다.[10][9]

1878년, 러시아-튀르크 전쟁 (1877–1878) 이후, 이 지역은 러시아 제국에 편입되었고, 1918년까지 카르스주의 일부로 관리되었다.[11]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혼란기에 주의 북부 지역은 1919년부터 1921년까지 조지아 민주 공화국에 속했고, 남부 지역은 1919년부터 1920년까지 아르메니아 민주 공화국의 통치를 받았다.[11] 아르다한은 1921년 카르스 조약에 따라 터키 영토로 최종 편입되었다.[11]

현대에 들어 1992년, 아르다한 주는 기존의 카르스 주 북부 지역이 분리되어 새롭게 만들어졌다.[11][12] 2000년부터 시작된 바쿠-트빌리시-제이한 파이프라인 건설은 지역 경제에 단기적인 활력을 불어넣기도 했다.

3. 인구

아르다한주의 인구는 역사적으로 다양한 민족 구성을 보여왔다. 19세기 말 러시아 제국 통치 시기에는 튀르크인, 쿠르드인, 카라파파흐인, 그리스인, 투르크멘인, 러시아인, 아르메니아인 등이 공존했다. 이 시기 인구는 꾸준히 증가하여 1886년 약 4만 3천 명에서 1908년에는 약 7만 1천 명으로 늘어났다.[4] 당시 아르다한 시의 인구 구성 또한 시대에 따라 변화하는 모습을 보였다.[5]

터키 공화국 수립 이후인 1927년 첫 인구 조사에서는 아르다한 구역의 인구가 약 8만 9천 명으로 집계되었으며, 모국어 기준으로 튀르크어 사용자가 다수를 차지했다. 쿠르드어 사용자도 상당수 존재했으며, 종교적으로는 무슬림이 압도적이었다. 1935년에는 인구가 10만 명을 넘어섰다.[6]

3. 1. 19세기 말 ~ 20세기 초

1902년 아르다한 오크루크 민족 지도


1886년 아르다한 지역의 인구는 43,643명이었다. 민족 구성은 튀르크인 46.6%(20,351명), 쿠르드인 16.0%(6,974명), 카라파파흐인 14.3%(6,229명), 그리스인 12.9%(5,617명), 투르크멘인 7.2%(3,128명), 러시아인 2.4%(1,036명), 아르메니아인 0.6%(262명) 순이었다. 당시 아르다한 시의 인구는 778명이었으며, 튀르크인 51.8%(403명), 러시아인 22.1%(172명), 아르메니아인 18.1%(141명), 그리스인 6.2%(48명)으로 구성되었다.

1897년 러시아 제국 인구 조사에 따르면, 아르다한 오크루크의 인구는 65,763명으로 증가했다. 주요 민족 집단은 튀르크인 42.6%(28,047명), 쿠르드인 19.1%(12,565명), 카라파파흐인 12.0%(7,874명), 그리스인 11.9%(7,839명), 투르크멘인 6.6%(4,328명), 아르메니아인 2.9%(1,918명) 등이었다. 슬라브인은 전체 인구의 3.9%(2,564명)를 차지했다.[4] 아르다한 시의 인구는 4,142명이었으며, 슬라브인 37.1%(1,537명), 아르메니아인 31.8%(1,315명), 튀르크인 18.0%(746명), 그리스인 2.6%(107명) 순으로 구성되었다.[5]

1908년 아르다한 산자크의 인구는 71,469명으로 집계되었다. 민족별로는 튀르크인 41.6%(29,755명), 쿠르드인 18.1%(12,929명), 그리스인 15.4%(11,020명), 카라파파흐인 14.4%(10,266명), 투르크멘인 7.9%(5,613명), 러시아인 2.2%(1,605명), 아르메니아인 0.4%(272명) 순이었다.

1927년 터키 공화국 수립 후 실시된 첫 인구 조사에서 아르다한 구역의 인구는 88,989명이었다. 모국어 사용자 기준으로 튀르크어 사용자가 85.8%(76,312명), 쿠르드어 사용자가 13.8%(12,248명)였다. 쿠르드어 사용자 대다수(98.8%, 12,101명)는 괴레 구역에 거주했다. 종교적으로는 인구의 거의 대부분(99.9% 이상, 88,956명)이 무슬림이었으며, 기독교인은 14명에 불과했다. 1935년에는 이 구역의 인구가 104,911명으로 증가했다.[6]

3. 2. 터키 공화국 초기



러시아 제국 통치 하의 아르다한 지역은 다양한 민족 구성을 보였다. 19세기 말과 20세기 초의 인구 조사는 이러한 변화를 보여준다.

러시아 제국 시기 아르다한 지역(오크루크/산자크) 인구 구성 변화
연도총 인구튀르크인 (%)쿠르드인 (%)카라파파흐 (%)그리스인 (%)투르크멘 (%)러시아인/슬라브인 (%)아르메니아인 (%)
1886년43,643명46.6%16.0%14.3%12.9%7.2%2.4% (러시아인)0.6%
1897년[4]65,763명42.6%19.1%12.0%11.9%6.6%3.9% (슬라브인)2.9%
1908년71,469명41.6%18.1%14.4%15.4%7.9%2.2% (러시아인)0.4%



같은 시기 아르다한 시의 인구 구성은 다음과 같았다.

러시아 제국 시기 아르다한 시 인구 구성 변화
연도총 인구튀르크인 (%)러시아인/슬라브인 (%)아르메니아인 (%)그리스인 (%)
1886년778명51.8%22.1% (러시아인)18.1%6.2%
1897년[5]4,142명18.0%37.1% (슬라브인)31.7%2.6%



터키 공화국 수립 이후 처음 실시된 1927년 인구 조사에서 아르다한 구역의 인구는 88,989명으로 집계되었다. 이 조사에서는 모국어를 기준으로 인구를 파악했는데, 전체 인구의 약 85.8%(76,312명)가 튀르크어를, 약 13.8%(12,248명)가 쿠르드어를 모국어로 사용했다. 쿠르드어를 사용하는 인구의 대다수(약 98.8%, 12,101명)는 괴레 하위 구역에 거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교적으로는 인구의 거의 대부분인 약 99.96%(88,956명)가 무슬림이었으며, 기독교인은 14명에 불과했다.

1935년 인구 조사에서는 아르다한 구역의 인구가 104,911명으로 증가했다.[6]

3. 3. 현대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까지 아르다한 지역의 인구 구성 변화는 다음과 같다.

연도별 아르다한 지역 민족 구성 변화
연도조사 지역총 인구튀르크인 (%)쿠르드인 (%)카라파파흐 (%)그리스인 (%)투르크멘 (%)러시아인/슬라브인 (%)아르메니아인 (%)
1886아르다한 빌라예트43,64320,351 (46.6%)6,974 (16.0%)6,229 (14.3%)5,617 (12.9%)3,128 (7.2%)1,036 (2.4%)262 (0.6%)
1897아르다한 오크루크65,76328,047 (42.6%)12,565 (19.1%)7,874 (12.0%)7,839 (11.9%)4,328 (6.6%)2,564 (3.9%)[4]1,918 (2.9%)
1908아르다한 산자크71,46929,755 (41.6%)12,929 (18.1%)10,266 (14.4%)11,020 (15.4%)5,613 (7.9%)1,605 (2.2%)272 (0.4%)



1886년 당시 아르다한 시에는 778명이 거주했으며, 이 중 튀르크인이 403명(51.8%)으로 가장 많았고, 러시아인 172명(22.1%), 아르메니아인 141명(18.1%), 그리스인 48명(6.2%) 순이었다. 1897년 러시아 제국 인구 조사에 따르면 아르다한 시의 인구는 4,142명으로 증가했으며, 슬라브인이 1,537명(37.1%)으로 가장 많았고, 아르메니아인 1,315명(31.8%), 튀르크인 746명(18.0%), 그리스인 107명(2.6%)이 뒤를 이었다.[5]

1927년 실시된 터키 공화국의 첫 인구 조사에서 아르다한 구역의 인구는 88,989명이었다. 이 중 튀르크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인구가 76,312명(85.8%)으로 압도적이었고, 쿠르드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인구는 12,248명(13.8%)이었다. 쿠르드어 사용자 중 대다수인 12,101명(98.8%)은 괴레 하위 구역에 거주했다. 종교적으로는 인구의 거의 대부분인 88,956명(약 99.9%)이 무슬림이었으며, 기독교인은 14명에 불과했다. 1935년 조사에서는 구역 인구가 104,911명으로 증가했다.[6]

4. 지리

아르다한 주는 튀르키예 최북동부에 위치하며, 동아나톨리아 고원 동쪽 끝이 소 카프카스 산맥과 만나는 고지대에 자리 잡고 있다. 조지아의 삼츠헤-자바헤티 지역과 국경을 접하며, 포소프와 칠드르에 두 개의 통과 지점이 있다 (칠드르 지점은 현재 폐쇄됨).

지역 경제는 주로 농업과 목축업에 의존한다. 1993년 카르스 주에서 분리되어 독립된 주가 되면서 인프라 투자가 기대되었으나, 1950년대부터 시작된 인구 유출은 멈추지 않아 빈곤한 상태에 머물러 있다. 1990년 17만 명이었던 인구는 2000년 약 12만 명으로 감소했다. 거주민은 킵차크족, 튀르크인, 투르크멘인, 카라파파크인, 아제르바이잔계 튀르크인 등 다양하게 구성되어 있다.

터키군은 이 국경 지역에 강력한 주둔군을 유지하고 있으며, 이는 군 관련 시설 운영 및 고용 창출 등을 통해 지역 경제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중 하나이다. 또한 바쿠-트빌리시-제이한 파이프라인(BTC 파이프라인)이 이 지역을 통과하며 지역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다.

4. 1. 지형

아르다한 주는 튀르키예 최북동부에 위치하며, 동아나톨리아 고원 동쪽 끝이 소 카프카스 산맥과 만나는 곳에 자리 잡고 있다. 이로 인해 매우 높은 고도를 가지며, 전반적으로 개방된 시골 풍경을 특징으로 한다. 고지대에 위치한 탓에 기후는 혹독하여 겨울이 길고 추우며, 연중 여러 달 동안 눈에 덮여 있는 경우가 많다. 기온은 평균 -20°C까지 내려가기도 하며, 여름을 포함하여 연중 언제든지 영하로 떨어질 수 있다.

4. 2. 기후

아르다한 주는 튀르키예 최북동부, 동아나톨리아 고원 동쪽 끝이 소 카프카스 산맥과 만나는 곳에 위치한다. 이 때문에 고도가 매우 높고 겨울이 혹독한 기후를 보인다. 일 년 중 여러 달 동안 눈에 덮여 있는 경우가 많으며, 높은 고도에서는 기온이 평균 -20°C까지 내려가기도 한다. 여름을 포함하여 연중 어느 때라도 기온이 영하로 떨어질 수 있다.

아르다한주의 주된 기후는 습윤 대륙성 기후(쾨펜 기후 구분 Dfb)이며, 아한대 기후 (Dfc)와 경계를 이룬다. 아르다한주의 주요 정착지들은 연중 추위를 피하기 위해 가능한 한 낮은 고도에 자리 잡아 아한대 기후 경계선 바로 아래에 해당하는 습윤 대륙성 기후대에 속한다. 그러나 더 작은 지역, 구, 마을 및 지형의 상당 부분은 진정한 아한대 기후 (Dfc)를 나타내며, 이는 이 지역에서 두 번째로 널리 퍼진 기후이다.[13]

5. 행정 구역

아르다한 주의 행정 구역 지도


아르다한 주는 6개의 구로 나뉜다. 주도는 '''굵은 글씨'''로 표시한다.

  • '''아르다한'''
  • 츠르르
  • 다말
  • 괼레
  • 하나크
  • 포소프


또한, 아르다한 주에는 다음과 같은 6개의 하위 자치체가 있다.

  • 아르다한 (Ardahantr)
  • 칠드르 (Çıldır|츨드르tr)
  • 다말 (Damaltr)
  • 괴레 (Göletr)
  • 하나크 (Hanaktr)
  • 포소프 (Posoftr)

6. 경제

1993년 카르스주에서 분리된 이후 인프라 투자를 유치하려 했으나, 1950년대부터 지속된 인구 유출로 인해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1990년 17만 명이었던 인구는 2000년에 약 12만 명으로 감소하며 빈곤 문제가 심화되었다. 주요 경제 활동은 목축업이며, 국경 지역이라는 특성상 터키군 주둔 및 바쿠-트빌리시-제이한 파이프라인(BTC 파이프라인) 건설 등도 지역 경제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6. 1. 농업 및 목축업

아르다한주의 경제는 목축업이 활발하다.

6. 2. 기타 산업

터키군은 이 국경 지역에 주둔하며 존재감을 드러내고 있으며, 군 관련 시설 운영이나 군사적 고용 등은 이 주의 경제를 강화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또한, 바쿠-트빌리시-제이한 파이프라인(BTC 파이프라인) 건설 및 운영도 이 지역 경제 활성화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7. 관광

아르다한주에는 셰이탄 성과 아르다한 성을 포함한 여러 중세 시대 성들이 남아 있다. 아름다운 자연 경관을 자랑하는 츠르드르 호도 주요 볼거리 중 하나이다.

특히 다말(Damal) 지역에서는 독특한 자연 현상을 경험할 수 있다. 매년 6월 중순부터 7월 중순까지 해 질 녘 무렵, 태양 광선의 각도에 따라 다말 산의 한쪽 경사면에 아타튀르크의 얼굴 윤곽과 매우 흡사한 그림자가 나타난다. 이 신기한 현상은 과거 언덕 너머에서 양떼를 돌보던 한 양치기에 의해 우연히 발견되었다고 전해진다.[14]

참조

[1] 뉴스 Bakûr di bin berfê de ye! Rêya 1.609 gundan hate girtin https://web.archive.[...] Sopger 2020-04-27
[2] 웹사이트 İl ve İlçe Yüz ölçümleri https://www.harita.g[...] General Directorate of Mapping 2023-09-19
[3] 웹사이트 Address-based population registration system (ADNKS) results dated 31 December 2022, Favorite Reports https://biruni.tuik.[...] TÜİK 2023-09-19
[4] 웹사이트 Первая всеобщая перепись населения Российской Империи 1897 г. Распределение населения по родному языку и уездам. Российской Империи кроме губерний Европейской России http://www.demoscope[...] 2020-01-08
[5] 웹사이트 Первая всеобщая перепись населения Российской Империи 1897 г. Распределение населения по родному языку и уездам. Российской Империи кроме губерний Европейской России http://www.demoscope[...] 2020-01-08
[6] 간행물 Atatürk Dönemi Iğdır'da Nüfus Sayımları (1923- 1938) https://www.kafkas.e[...] Kafkas University 2016
[7] 문서 Geographica http://perseus.uchic[...] 2014-02-01
[8] 문서 Արդահան Armenian Academy of Sciences 1976
[9] 서적 Encyclopedia of the Ottoman Empire https://books.google[...] Infobase Publishing 2013-06-01
[10] 서적 An Historical Geography of the Ottoman Empire: From Earliest Times to the End of the Sixteenth Century https://books.google[...] Brill Archive 2013-06-01
[11] 문서 Kanun No. 3806 https://www.resmigaz[...] Resmî Gazete 1992-06-03
[12] 웹사이트 İl İdaresi ve Mülki Bölümler Şube Müdürlüğü İstatistikleri - İl ve İlçe Kuruluş Tarihleri https://www.icisleri[...] 2023-10-25
[13] 웹사이트 Climate:Ardahan http://en.climate-da[...] Climate-data.org 2016-06-09
[14] 웹사이트 Ardahan'da "Atatürk Silueti" görülmeye başlandı https://www.ntv.co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