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베리아 왕국 (고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베리아 왕국은 고대 캅카스 지역에 존재했던 왕국으로, 현재의 조지아 지역에 해당한다. '이베리아'라는 명칭의 기원은 여러 설이 있으며, 조지아어, 아르메니아어, 페르시아어 등 다양한 언어에서 유래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기원전 4세기경 파르나바즈 1세에 의해 건국되었으며, 헬레니즘 시대를 거치며 세력을 확장했다. 로마 제국과 파르티아 제국 사이의 지정학적 경쟁 속에서 로마의 영향력을 받기도 했지만, 사산 제국의 등장으로 페르시아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 4세기에 동방 정교회를 받아들였으나, 6세기에는 왕국이 분열되고 멸망했다. 이후 아랍의 지배를 받다가, 바그라티온 왕조에 의해 조지아 왕국으로 통합되었다. 이베리아인과 이베리아 반도의 민족 간의 관계에 대한 논의도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이베리아 왕국 (고대)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일반 명칭 | 이베리아, 카르틀리 |
시대 | 고전 고대 |
상태 | 셀레우코스 제국의 속국 (기원전 302–159년) 로마 공화국의 고객 국가 (기원전 65–63년, 기원전 40–36년, 기원후 1–115년) 로마 제국의 고객 국가 (기원후 1–115년, 160–260년) 사산 제국의 봉신 국가 (260–265년) 동로마 제국의 고객 국가 (298–363년) 사산 제국의 봉신 국가 (363–482년, 502–523년) 사산 페르시아의 직접 통치 (523–580년) 사산 페르시아에 합병 (580–588년) |
정치 체제 | 군주제 |
건국 | 기원전 302년경 |
멸망 | 580년 |
건국 사건 | 파르나바즈 1세의 통치 |
멸망 사건 | 사산 제국의 통제 및 군주제 폐지 |
수도 | 아르마지 므츠헤타 트빌리시 |
공용어 | 고대 조지아어 (문자 해독 및 모국어) |
통치 언어 | 그리스어-아람어 (통치, 문자 해독, 문화 언어) |
종교 | 조지아 토속 신앙 조로아스터교 기독교 (319년부터) |
지도 | |
역사 | |
주요 사건 | 미리안 3세 통치 기간 중 이베리아 왕국의 기독교화 (317년) |
후계 | |
계승 국가 | 이베리아 공국 |
2. 명칭
"이베리아"라는 이름의 기원은 명확하지 않다. 그 어원에 대한 한 가지 설은 기오르기 멜리키슈빌리가 제시했는데, 조지아인의 조지아어 명칭인 "스베르"(또는 "스비르")와 연관되는 아르메니아어 명칭 "비르크"(Վիրքhy, 이비르크[Իվերք]와 이베르크[Իվերք])에서 유래했다는 것이다.[42] 예를 들어 철자 "ㅅ"(s)는 "베르"(또는 "비르")라는 단어의 어근에 접두사 역할을 했다. 따라서 이바네 자바키슈빌리의 이론에 따르면, 민족 명칭 "스베르"(Sber)는 스베르(Sver)가 변형된 것이며, "흐베르"(Hver, 이베리아)와 아르메니아어 변형인 베리아(Veria)와 비리아(Viria)에서 유래했다.[42]
이베리아 왕국은 초기 청동기 시대부터 쿠라-아락세스 문화의 영향을 받은 여러 부족들이 거주하던 지역이었다. 이들은 후대의 연대기 작가들에 의해 이베리아인으로 불렸으며, 자신들의 나라를 카르틀로스의 이름을 따 카르틀리라고 불렀다.[43]
역사학자 아돌포 도밍게스 모네데로는 고대 그리스인들이 세계 양 끝(이베리아 반도, 캅카스)에 위치한 두 민족과 관련된 신화적인 부(타르테소스와 콜키스의 황금 양털) 때문에 이 지역에 '이베리아'라는 이름을 붙였다고 주장한다.[17]
영어 명칭은 조지아인에 대한 페르시아어 명칭에서 파생되었을 가능성이 높은데, 이는 파르티아어와 중세 페르시아어 wiručān을 거쳐 "늑대들의 땅"을 뜻하는 고대 페르시아어에서 유래했다. 이는 고대 아르메니아어에도 반영되었고, 고대 그리스어의 어원이 되었으며, 라틴어로는 Hiberia로 들어갔다. 고대 페르시아어가 페르시아어로 변환되며 'v'가 'g'로 바뀐 것은 원 아리아어 및 고대 이란어의 단어 형성에서 나타나는 음성적 현상이었다. 모든 엑소님은 "늑대"를 의미하는 동일한 어근의 단순한 음성적 변형일 뿐이다.[16]
3. 역사
무스키는 이 지역 부족 통합에 중요한 역할을 했을 것으로 추정되며, 그들의 후손으로 추정되는 사스페르스족이 이 과정에 기여했을 수 있다. 무스키는 북동쪽으로 이동하며 므츠헤타를 포함한 여러 정착지를 형성했는데, 므츠헤타는 이후 이베리아 왕국의 수도가 되었다. 당시 므츠헤타는 '마마사클리시'라는 통치자가 다스렸다.
중세 조지아 사료에 따르면, 페르시아 제국 멸망 시기 아조라는 인물과 그의 백성이 므츠헤타에 정착하려 했다고 한다. 또 다른 기록에는 아조가 알렉산드로스 3세의 장교였으며, 기원전 4세기 말 파르나바즈에게 패배할 때까지 이 지역을 지배했다고 전해진다. 알렉산드로스 3세의 침입 이야기는 허구이지만, 헬레니즘 시대 조지아 왕국 성립과 이를 유명 정복자와 연결하려는 후대 문학자들의 시도를 보여준다.[43]
기원전 302년경부터 기원전 237년경까지 통치한 파르나바즈 1세는 최초의 이베리아 왕으로, 콜키스 왕국을 포함한 인접 지역을 복속시키고 셀레우코스 제국에게 승인받으려 했다. 그는 아르마즈치케 요새와 아르마지 신전을 건설하고 행정 시스템을 정비했으며, 조지아 문자를 개정하고 '사에리스타보스'라는 행정 구역을 만들었다. 그의 후계자들은 다르얄을 포함한 캅카스 주요 통로들을 관리했다.
이후 이베리아는 잦은 침략에 맞서 영토를 방어해야 했다. 아르메니아에게 남부 지방을 잃기도 했고, 콜키스는 별도의 왕자국으로 분리되었다. 기원전 2세기 말, 파르나바즈 왕조의 이베리아의 파르나좀 왕은 조로아스터교로 개종한 후 폐위되었고, 기원전 93년 아르메니아의 아르탁세스가 왕위에 올라 이베리아의 아르탁세스 왕조가 시작되었다.
아르메니아, 폰토스 왕국과의 관계로 인해 기원전 65년 로마 제국 장군 폼페이우스의 침략을 받았다.[42] 그러나 로마는 영구적 지배를 확립하지 못했고, 기원전 36년 로마군은 다시 이베리아를 공격하여 파르나바즈 2세를 캅카스 알바니아 원정에 참여시켰다.
콜키스는 로마 속주가 되었지만, 이베리아는 로마 보호를 받았다. 므츠헤타에서 발견된 석비는 1세기 통치자 미트라다테스 1세를 "카이사르의 친구"이자 "로마를 사랑하는 이베리아인"의 왕이라고 언급한다.[42] 베스파시아누스 황제는 서기 75년 이베리아 왕들을 위해 므츠헤타의 아르자미 유적지를 요새화했다.
파르스만 2세 (116–132년) 통치 시기 이베리아는 힘을 되찾았다. 하드리아누스 황제와 긴장 관계였지만, 안토니누스 피우스 황제 시기에는 관계가 개선되어 파르스만이 고대 로마를 방문하고 동상이 세워지기도 했다. 이 시기 로마는 이베리아를 동맹국으로 인정했으며, 이는 파르티아와 적대 관계에서도 유지되었다.
기독교 시대 초기부터 미트라교와 조로아스터교가 이베리아에서 행해졌다. 보리, 아르마지 등에서 발견된 유물에는 말과 불 제단이 새겨진 은제 술잔 등이 있다.[25]
224년 사산 제국 건국으로 이베리아는 로마에서 멀어져 사산 제국 영향권으로 들어갔다. 샤푸르 1세 시기 이베리아는 사산 제국의 조공국이 되었지만, 초기에는 우호적 관계였다. 이베리아는 로마에 대항하는 페르시아 원정에 협력했고, 아마자스프 3세 왕은 사산 제국 고위 관료로 기록되기도 했다.[30] 그러나 260년대~290년대 조로아스터교 전파와 함께 사산 제국의 공격성이 드러났다.
니시비스 평화 조약(298년)으로 로마 제국은 캅카스 이베리아 통제권을 회복하고 미리안 3세를 왕으로 인정했다.[30] 317년 미리안 3세와 귀족들이 동방 정교회로 개종하고 국교로 선포하면서, 조지아는 로마 (이후 비잔티움 제국)와 강한 유대를 맺게 되었다.[31] 이는 성녀 니노의 선교 활동과 관련되며, 동방 정교회는 조지아 문화와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다.[31]
363년 율리아누스 황제 사망 후, 로마는 이베리아 통제권을 페르시아에 넘겼다. 바라즈-바쿠르 1세는 페르시아 봉신이 되었고, 387년 아킬리세네 평화 조약으로 확인되었다.[32] 파르스만 4세는 자치권을 유지하고 공물 중단했으나,[32] 페르시아는 태수를 임명하여 감시했다.[32] 태수들은 넓은 영토를 통치하며 페르시아 영향력을 강화했고, 조로아스터교를 장려하며 조지아 동방 정교회를 탄압했다.[32] 5세기 중반 조로아스터교는 동부 조지아 공식 종교가 되었다.[33]
이베리아의 바흐탕 1세 통치 초기, 왕국은 부흥했다. 그는 북부 국경을 안정시키고 서부와 남부 지역을 통합했으며, 므츠헤타에 자치 독립 교회 총대주교직을 확립하고 트빌리시를 새 수도로 건설했다. 482년 바흐탕 1세는 페르시아에 대항하여 봉기했지만, 동로마 제국 지원을 받지 못하고 502년 전사했다.[34]
동로마와 사산 페르시아 경쟁 속 523년 구르겐 지휘 아래 일어난 이베리아 반란 실패는 심각한 결과를 초래했다.[35] 이베리아 왕은 명목상 권력만 가졌고, 580년 바쿠르 3세 사망 후 호르미즈드 4세는 왕정을 폐지하고 페르시아 주로 편입시켰다. 582년 조지아 귀족들은 동로마 황제 마우리키우스에게 왕국 재건을 요청했지만, 591년 동로마와 사산 제국은 트빌리시는 페르시아, 므츠헤타는 동로마가 지배하기로 합의했다.[35]
7세기 초, 동로마와 사산 페르시아 휴전이 붕괴되었다. 스테판 1세는 이베리아 재통합을 위해 페르시아 편에 섰지만, 624년~628년 이라클리오스 황제 반격으로 동로마가 승리했고, 이후 아랍 침입까지 조지아 지역에서 동로마 제국 우위를 확보했다.[36]
아랍은 645년경 이베리아에 도달, 에리스타비 스테파노즈 2세에게 칼리프 종주권을 인정하게 했다. 이베리아는 봉신국이 되었고, 653년 트빌리시에 아랍계 토후국이 건국되었다.[37] 9세기 초, 바그라티온 왕조 에리스타비 아쇼트 1세는 세력을 확장했다.[37] 그의 후계자 아다르나세는 888년 "이베리아의 왕"으로 등극, 바그라트 3세는 조지아 공국들을 통합하여 '''조지아 왕국'''을 출범시켰다.[37]
3. 1. 초기 역사
이 지역은 일찍부터 쿠라-아락세스 문화와 관련이 있는 여러 부족들이 거주하고 있었으며, 이들은 후대의 연대기 작가들에 의해 총체적으로 이베리아인이라고 불렸다. 이베리아인들은 그들의 나라를 신화 속 족장 카르틀로스의 이름을 따 카르틀리라고 불렀다.
무스키는 몇몇 역사가들에 의해 언급되며, (헤로도토스가 언급한) 그들의 후손일 수 있는 사스페르스족은 이 지역에 거주했던 부족들의 통합에 중요한 역할을 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무스키는 북동부로 서서히 이동하며 곳곳에 정착지를 형성했는데, 그 중 하나가 훗날 이베리아 왕국의 수도가 된 므츠헤타였다. 당시 므츠헤타는 (조지아에서 "가정의 어른"을 의미하는) ''마마사클리시''라는 통치자에 의해 지배되었다.
중세 조지아 사료 ''목체바이 카르들리사이''("카르틀리의 전환")는 므츠헤타가 성립된 곳에 정착하려 했던, 페르시아 제국의 함락 때까지 아케메네스 조의 통치 하에 있었던 아조와 그의 백성에 대한 이야기를 전한다. 또 다른 조지아 연보 ''카르틀리스 츠코브레바''("카르틀리의 역사")에서는 아조가 기원전 4세기 말에 파르나바즈에게 패배할 때까지 지방 가문들을 학살하고 그 지역을 정복한 알렉산드로스 3세의 장교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알렉산드로스 3세의 카르틀리 침입 이야기는 전적으로 허구이지만, 헬레니즘 시대에 조지아 군주국이 성립되었고 후대 조지아 문학자들이 유명한 정복자와 이 사건을 연관 지으려는 시도를 잘 보여준다.[43]
3. 2. 파르나바즈 1세와 그 후손들
파르나바즈 1세는 기원전 302년경부터 기원전 237년경까지 통치한 최초의 이베리아 왕이었다. 후대의 조지아 연대기에 따르면, 그는 서부 조지아(에그리시)의 콜키스 왕국을 포함한 인접 지역들을 복속시켰으며, 시리아의 셀레우코스 제국에게 새로운 왕국으로 승인받으려 한 것으로 보인다. 파르나바즈는 아르마즈치케 요새와 아르마지 신전을 건설하고, 행정 시스템을 정비했다. 그는 조지아 문자를 개정하고, ''사에리스타보스''라 불리는 여러 지역으로 세분화한 새로운 관리 체계를 만들었다.
그의 후계자들은 다르얄 (이베리아 관문)을 비롯한 캅카스 전역의 주요 통로들에 대한 통제권을 획득하여 관리했다.
이후 이베리아 왕국은 잦은 침략에 맞서 영토를 방어해야 했다. 이베리아는 아르메니아에게 남부 지방 일부를 잃었고, 콜키스 지역은 별도의 왕자국(스켑투초이)으로 분리되었다. 기원전 2세기 말, 파르나바즈 왕조의 마지막 왕 이베리아의 파르나좀은 조로아스터교로 개종한 후 백성들에 의해 폐위되었고, 기원전 93년에 아르메니아의 아르탁세스가 이베리아 왕좌를 차지하면서 이베리아의 아르탁세스 왕조가 성립되었다.
3. 3. 로마 시대 – 로마와 파르티아의 경쟁
아르메니아와 폰토스 왕국과의 긴밀한 연관성은 당시 폰토스의 미트라다테스 6세 및 아르메니아와 전쟁 중이던 로마 제국의 장군 폼페이우스에 의한 침략(기원전 65년)을 불러왔다.[42] 그러나 로마는 이베리아에 영구적인 지배력을 확립하지 못했다. 기원전 36년, 로마군은 다시 이베리아로 진격하여 파르나바즈 2세 왕을 강제로 캅카스 알바니아에 대항하는 원정에 참여시켰다.
콜키스는 로마의 속주로 통치되었지만, 이베리아는 로마 제국의 보호를 자유롭게 받아들였다. 므츠헤타에서 발견된 석비는 1세기 통치자 미트라다테스 1세(서기 58–106년)를 "카이사르의 친구"이자 "로마를 사랑하는 이베리아인"의 왕이라고 언급하고 있다.[42] 황제 베스파시아누스는 서기 75년에 이베리아 왕들을 위해 고대 므츠헤타의 아르자미 유적지를 요새화했다.
파르스만 2세 왕(116–132)의 통치에 이르러 이베리아는 과거의 힘을 어느 정도 되찾았다. 로마 황제 하드리아누스와 파르스만 2세 사이의 관계는 긴장되었지만, 하드리아누스는 파르스만을 달래려 했다고 전해진다. 그러나 하드리아누스의 후계자 안토니누스 피우스 치하에서 파르스만이 고대 로마를 방문하여 디오 카시우스가 그의 명예를 기리는 동상이 세워지고 희생할 권한이 주어졌다고 보고할 정도로 관계가 개선되었다. 이 시기는 로마가 이베리아를 이전의 속국 지위가 아닌 동맹국으로 인정한 이베리아의 정치적 지위에 큰 변화를 가져왔으며, 이는 제국이 파르티아와 적대 관계를 유지하는 동안에도 변함없이 지속되었다.
기독교 시대 초부터 미트라교와 조로아스터교가 이베리아에서 일반적으로 행해졌다. 보리, 아르마지, 즈구데리에서 발견된 부유한 매장 유적에서 말 한 마리가 불 제단에 서 있거나 오른쪽 앞다리를 제단 위로 들어올린 모습이 새겨진 은제 술잔이 발견되었다.[25]
3. 4. 로마/동로마와 페르시아의 대립
224년 아르다시르 1세에 의해 사산 제국이 건국되면서 이베리아의 역사는 큰 전환점을 맞이했다. 약했던 파르티아를 대신하여 강력한 중앙 집권 국가가 들어서면서, 이베리아는 점차 로마에서 멀어져 사산 제국의 영향권으로 들어갔다. 샤푸르 1세(241~272년) 통치 시기에 이베리아는 사산 제국의 조공국이 되었지만, 초기에는 양국 관계가 우호적이었다. 이베리아는 로마에 대항하는 페르시아의 군사 원정에 협력했고, 이베리아 왕 아마자스프 3세(260~265년)는 사산 제국의 고위 관료로 기록되기도 했다.[30] 그러나 260년대에서 290년대 사이에 조로아스터교가 전파되면서 사산 제국의 공격적인 성향이 드러나기 시작했다.
니시비스 평화 조약(298년)을 통해 로마 제국은 캅카스 이베리아에 대한 통제권을 다시 획득하고, 미리안 3세를 이베리아의 왕으로 인정했다.[30]
3. 5. 동방 정교회의 전파와 사산 지배기의 도래
317년, 미리안 3세와 주요 귀족들이 동방 정교회로 개종하고 이를 국교로 선포하면서, 조지아는 로마(이후 비잔티움 제국)와 강한 유대 관계를 맺게 되었다.[31] 이는 303년부터 이베리아(동부 조지아)에서 동방 정교회를 전파한 카파도키아 출신의 여성 성녀 니노의 선교 활동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었다.[31] 동방 정교회는 조지아의 문화와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4세기 이후 조지아 미술에서 페르시아적인 요소는 점차 사라졌다.[31]
그러나 363년 율리아누스 황제가 페르시아 원정에서 사망한 후, 로마는 이베리아에 대한 통제권을 페르시아에 넘겨주었다. 바라즈-바쿠르 1세(363~365년)는 페르시아의 봉신이 되었고, 이는 387년 아킬리세네 평화 조약으로 확인되었다.[32] 그러나 파르스만 4세(406~409년)는 자치권을 유지하고 페르시아에 공물 바치는 것을 중단했다.[32]
이에 페르시아는 이베리아를 감시하기 위해 태수("피티악사에/비닥사에")를 임명했다.[32] 이 직위는 하부 카르틀리 통치 가문에서 세습되었고, 태수들은 넓은 영토를 통치하며 페르시아의 영향력을 강화했다.[32] 사산 제국은 조로아스터교를 장려하며 조지아의 동방 정교회를 탄압했고, 5세기 중반에는 조로아스터교가 동부 조지아의 공식 종교가 되기도 했다.[33]
이베리아의 바흐탕 1세(447~502년)의 통치 초기는 왕국이 부흥한 시기였다. 그는 캅카스 산맥의 산악 민족들을 복속시켜 북부 국경을 안정시켰고, 서부와 남부 지역을 통합했다. 또한 므츠헤타에 자치 독립 교회 총대주교직을 확립하고 트빌리시를 새로운 수도로 건설했다. 482년, 바흐탕 1세는 페르시아에 대항하여 봉기했지만, 동로마 제국의 지원을 받지 못하고 502년에 전사했다.[34]
3. 6. 왕국의 몰락
캅카스에서의 패권을 놓고 동로마와 사산 페르시아 사이에 경쟁이 지속되었다. 구르겐의 지휘 아래 523년에 일어난 이베리아 반란의 실패는 이베리아 왕국에 심각한 결과를 초래했다.[35] 그 후, 이베리아 왕은 명목상의 권력만 가졌을 뿐, 나라는 사실상 페르시아가 통치했다. 580년 바쿠르 3세가 죽자, 당시 사산 황제였던 호르미즈드 4세(578–590)는 이베리아 왕정을 폐지하고, 마르즈판(총독)이 크테시폰에서 직접 통치하는 페르시아 주로 편입시켰다. 582년 조지아 귀족들은 동로마 황제 마우리키우스에게 이베리아 왕국 재건을 요청했지만, 591년 동로마 제국과 사산 제국은 트빌리시 일대는 페르시아에, 므츠헤타 일대는 동로마가 지배하기로 합의했다.[35]
7세기 초, 동로마와 사산 페르시아 사이의 휴전이 붕괴되었다. 이베리아 왕자 스테판 1세(590–627년)는 이베리아 영토 전체를 재통합하기 위해 페르시아 편에 섰다. 실제로 페르시아는 전쟁 초반에 승리했고, 스테판 1세는 일시적으로나마 왕국을 복구할 수 있었다. 그러나 624년부터 628년까지 이라클리오스 황제의 대반격으로 동로마는 조지아와 페르시아에 승리했고, 이후 아랍이 캅카스를 침입할 때까지 조지아 지역에서 동로마 제국의 확실한 우위를 확보했다.[36]
3. 7. 아랍 시대
아랍은 약 645년경 이베리아에 도달했고, 당시 에리스타비(왕자) 스테파노즈 2세(637년~650년)에게 동로마에 대한 충성을 포기하고 칼리프의 종주권을 인정할 것을 강요했다. 이베리아는 그렇게 봉신국이 되었고, 653년에는 트빌리시에 아랍계 토후국이 건국되었다.[37] 9세기 초, 바그라티온 왕조의 에리스타비 아쇼트 1세(813~830년)는 아랍 세력이 약화된 틈을 타서 서남부 조지아에 있는 그의 거점으로부터 점차 세력을 확장해 나갔다.[37] 그의 후계자들 중 한 명인 아다르나세는 형식적으로는 동로마의 신하였지만 888년에 "이베리아의 왕"으로 등극했으며, 다시 그의 후손인 바그라트 3세(975~1014)는 조지아의 여러 공국들을 통합시킴으로써 '''조지아 왕국'''을 출범시켰다.[37]
4. 동이베리아와 서이베리아
이베리아반도와 이름이 유사하여, '서'이베리아인과 캅카스 이베리아인('동'이베리아인) 사이에 민족·유전학적 관계가 있다는 관념이 있었다.[44] 고대와 중세의 많은 작가들이 이 혈족 관계를 옹호했지만, 그 기원에 대해서는 서로 다른 의견을 보였다. 이 이론은 중세 조지아에서 널리 알려졌던 것으로 보인다. 저명한 조지아의 종교 필자 게오르기 므타츠민델리(1009~1065년)는 조지아 귀족들이 이베리아반도를 여행하여 "서부의 조지아인"을 방문하려 했다는 기록을 남기기도 했다.[44]
참조
[1]
서적
Edge of Empires: A History of Georgia
[2]
서적
The Making of the Georgian Nation
[3]
서적
Edge of Empires: A History of Georgia
[4]
서적
[5]
서적
Edge of Empires: A History of Georgia
[6]
서적
Edge of Empires: A History of Georgia
[7]
서적
Edge of Empires: A History of Georgia
[8]
간행물
Iberia and Rome
[9]
서적
k'art'veli eris istoria
Tbilisi State University Press
[10]
간행물
Georgian Soviet Encyclopedia
[11]
서적
The Blackwell Companion to Eastern Christianity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24-12-10
[12]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Iran: The Seleucid, Parthian, and Sasanian period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3-09-18
[13]
서적
The Making of the Georgian Nation
Indiana University Press
[14]
서적
Readings in the History of the Ancient World
[15]
서적
[16]
서적
The Designations of the Georgians and Their Etymology
Tbilisi State University Press
[17]
논문
Los términos "Iberia" e "Íberos" en las fuentes grecolatinas: estudio acerca de su origen y ámbito de aplicación
1983
[18]
서적
Studies in Christian Caucasian History
Georgetown University Press
[19]
간행물
Georgian Soviet Encyclopedia
[20]
서적
Studies in medieval Georgian historiography: early texts and Eurasian contexts
Peeters Publishers
[21]
서적
Studies In Medieval Georgian Historiography: Early Texts And Eurasian Contexts
Peeters Publishers
[22]
서적
[23]
서적
Fasti Ostienses
[24]
문서
Simon Janashia Museum of Georgia 122.jpg
https://commons.wiki[...]
[25]
서적
[26]
서적
[27]
서적
[28]
서적
[29]
서적
[30]
서적
History of Georgia: from ancient times to 2009
Tbilisi
[31]
웹사이트
GEORGIA iii. Iranian elements in Georgian art and archeology
http://www.iranicaon[...]
2015-01-01
[32]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Georgia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15-02-06
[33]
서적
The Making of the Georgian Nation
https://books.google[...]
Indiana University Press
2015-01-02
[34]
서적
Kings of Georgia
Tbilisi
[35]
서적
Georgia in the 4th-8th cent
Matiane, Tbilisi
[36]
서적
საქართველო და ქართველები
თბილისი
[37]
서적
History of the Georgian Nation
Tbilisi: Georgia
[38]
서적
ピョートル前夜のロシア
彩流社
[39]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Iran: The Seleucid, Parthian, and Sasanian period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3-09-18
[40]
서적
The Making of the Georgian Nation
Indiana University Press
[41]
서적
Readings in the History of the Ancient World
[42]
간행물
«Իբերիա»
Yerevan, Armenian SSR: Armenian Academy of Sciences
[43]
서적
Studies In Medieval Georgian Historiography: Early Texts And Eurasian Contexts
Peeters Publishers
[44]
웹사이트
Georgians: Webster's Quotations, Facts and Phrases pg 25
http://books.googl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