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베노 히라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베노 히라후는 7세기 일본의 인물로, 그의 생애는 사후 수십 년 후에 기록된 《일본서기》와 《고사기》에 전해진다. 그의 출신에 대해서는 중앙 귀족 출신 설과 에치고 지방 호족 출신 설이 있으며, 아버지의 이름은 불분명하다. 그는 고시(越後) 국의 지사로 활동하며, 에조와 숙신을 정벌하고 백강 전투에 참전했다. 백강 전투 패배 후 규슈 지방의 방위 책임을 맡았으며, 아베 씨족, 안도 씨족, 아키타 씨족의 조상으로 추정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베씨 - 아베노 나카마로
    아베노 나카마로는 8세기 견당사로 당나라에 건너가 과거에 급제 후 당 현종의 총애를 받으며 관리로 활동하고 이백, 왕유 등과 교류하며 문학 활동을 펼쳤으나, 귀국에 실패하고 안남 도호를 지내다 장안에서 사망한 일본인 유학생이다.
  • 백강 전투 - 유인궤
    유인궤는 수나라 말부터 당나라 시기까지 활약한 인물로, 당 고종 시기 백강 전투에서 왜의 수군을 격파하고 백제 부흥 운동 진압, 고구려 정벌 등에 공을 세워 당나라 영토 확장에 기여했으며 민생 안정에도 힘썼다.
  • 에조 - 미시하세
    미시하세 또는 아시하세는 일본서기에 등장하는 숙신을 지칭하는 명칭으로, 숙신의 위치와 정체성은 논쟁 중이며, 다양한 지역과 민족과의 관련성이 추정되지만 일본 중심적인 기록이므로 객관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 에조 - 진수부장군
    진수부장군은 일본 고대의 군사 관직으로, 무쓰국과 데와국의 방위를 담당했으며, 세이와 겐지 가문에서 대대로 역임하며 명예로운 관직으로 여겨졌으나 가마쿠라 막부 개창 이후 유명무실해졌다.
아베노 히라후 - [인물]에 관한 문서
인물 정보
이름아베노 히라후
원어 이름阿倍 比羅夫
출생 정보알 수 없음
사망 정보알 수 없음
직업군사 지휘관, 전략가, 정치가
활동 기간645년-664년
시대아스카 시대
가문
자녀스쿠나마마로, 야스마로, 히로메, 후나모리
부모아버지: 아베노 모쿠?
관직
관위대금상, 쓰쿠시 대재수
섬긴 군주고교쿠 천황 → 고토쿠 천황 → 사이메이 천황
기타
씨족아베 히케타 오미

2. 출신

아베노 히라후의 생애는 사후 수십 년 뒤에 쓰여진 일본서기고사기에 기록되어 있다. 아버지의 이름과 출신은 기록마다 다르고, 당시 씨족 족보의 미화 가능성 때문에 정확히 알 수 없다.

2. 1. 중앙 귀족 가문 출신 설

아베씨(阿倍氏)는 예로부터 에치고·호쿠리쿠도(北陸道) 지방에서 활약한 씨족이다. 복성(複姓)이 많이 보이며, 아베히키타오미(阿倍引田臣)도 그 중 하나이다. 히키타오미(引田臣)의 성격에 대해서는, 히라후(比羅夫)의 활동과 관련하여 두 가지 설이 있다. 하나는 중앙 귀족인 아베씨(阿倍氏)의 한 분가라는 설이고, 다른 하나는 에치고(越国)의 지방 귀족이라는 설이다.

중앙 출신설은 당시의 쿠니지(国司)가 중앙 귀족으로부터 파견되었다는 것을 근거로 한다.[3]

히라후(比羅夫)의 아버지의 이름은 반드시 명확하지 않지만, 여러 족보[4]에서는 아베씨(阿倍氏) 종족인 아베마(阿倍目)로 보는 경우가 많다.

오타 료(太田亮)는 에치고(越国) 수(守)였던 것을 근거로 에치고노미야쓰코(越国造) 가문의 일족일 가능성을 지적하고 있다.[5]

일본서기(日本書紀)에서 히라후(比羅夫)의 활동을 기록한 부분은 당시 아베씨(阿倍氏) 종가(아베미야주닌(阿倍御主人)의 후세씨(布勢氏)))가 제출한 가계 기록에 따른 것으로 추정되지만, "아베오미(阿倍臣)(이름 생략)"으로 이름은 기록되어 있지 않다. 역사학자 사카모토 타로는 서기 편찬 당시 아베 종가가 히키타씨(引田氏)를 좋게 생각하지 않았기 때문에, 일부러 이름을 감추고 아베씨(阿倍氏)의 활약만을 기록한 자료를 제출한 것이 아닌가 추정하고 있다.[6]

2. 2. 에치고 지방 호족 출신 설

아베씨(阿倍氏)는 옛부터 에치고·호쿠리쿠도(北陸道) 지방에서 활약한 씨족이다. 복성(複姓)이 많이 보이며, 아베히키타오미(阿倍引田臣)도 그 중 하나이다. 히키타오미(引田臣)의 성격에 대해서는, 히라후(比羅夫)의 활동과 관련하여 중앙 귀족인 아베씨(阿倍氏)의 한 분가라는 설과 에치고(越国)의 지방 귀족이라는 두가지 설이 있다.

오타 료(太田亮)는 히라후가 에치고(越国) 수(守)였던 것을 근거로 에치고노미야쓰코(越国造) 가문의 일족일 가능성을 지적하고 있다.[5]

3. 생애

아베노 히라후의 생애에 대한 기록은 사후 수십 년 후에 쓰여진 일본서기고사기에 전해진다. 아버지의 이름과 출신은 기록들이 서로 모순되고 당시 살아 있던 씨족의 족보를 미화하기 위해 변경되었을 가능성이 있어 알 수 없다.

성인이 된 후 아베는 고시(越後) 국의 지사가 되었다. 658년, 토착민들의 요청으로 "와타리시마"(쓰가루 반도 또는 홋카이도를 의미할 가능성이 있음)에서 미시하세를 물리쳤다. 660년까지 홋카이도와 오쿠시리 섬을 약탈하며 다수의 전리품과 포로들을 궁정으로 가져왔는데, 살아있는 곰 2마리, 곰가죽 70개, 포로 353명 이상이 포함되어 있었다. 660년 3월, 현지 동맹군이 홋카이도의 이시카리 강에서 군사 지원을 요청하여 다시 승리했다.

662년, 주군(곧 덴지 천황이 됨)은 부여풍 왕자와 함께 백제 부흥 운동에 참여하여 멸망한 백제를 재건하도록 명령했다.[2] 아베는 세 개의 부대 중 후방 부대를 지휘했으며, 완전히 해군 부대였다. 662년 8월 대륙에 도착했고, 663년 8월 백강 전투에서 패배한 후 소환되었다.

아베노 히라후는 아베 씨족, 안도 씨족, 아키타 씨족의 조상일 가능성이 있다. 태화 5년(649년) 좌대신 아베노 우치마로가 죽어 아베씨의 종가가 끊기자, 방계 출신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아베씨 일족의 최고 실력자로서 씨상과 같은 지위에 올랐을 것으로 추정된다.[7]

664년, 관위 26계가 제정되면서 대금상에 서임되었다. 이 무렵 대자재수에 임명되었다는 기록이 『속일본기』에 전해진다.[18] 백강 전투 이후, 신라의 침략에 대비하기 위해 군사 경험이 풍부한 히라후를 규슈 지방의 방위 책임자로 임명한 것으로 추정된다.[7]

3. 1. 에조 및 숙신 정벌

일본서기고사기에 따르면, 아베노 히라후는 658년부터 660년까지 에조와 숙신 정벌에 나섰다.[7]

658년 4월, 히라후는 180척의 함선을 이끌고 에조를 정벌하여 아키타와 누시로 두 군의 에조를 항복시켰다. 항복한 에조의 족장 온가에게 소을상의 관위를 부여하고, 누시로와 쓰가루 두 군의 군령으로 임명했다. 또한 아리아마하마에서 오시마의 에조를 환대하였다.[8] 같은 해 7월, 에조 200명 이상이 조정에 와서 물자를 바치고 환대를 받았다.[9] 같은 해, 히라후는 '''숙신(미시하세)'''을 정벌하고 살아있는 불곰 2마리와 불곰 가죽 70장을 바쳤다.[10]

659년 3월, 히라후는 다시 180척의 함선을 이끌고 에조를 정벌했다. 아키타와 누시로 두 군의 에조 241명과 포로 31명, 쓰가루 군의 에조 112명과 포로 4명, 히다카의 에조 20명을 모아 환대하고 녹을 주었다. 또한 고호양제(後方羊蹄)에 정소(政所)를 설치하고 군령을 임명하고 돌아왔다.[11] '고호양제'의 위치는 불분명하나, 후시국 요이치군,[12][13] 삿포로·에베쓰, 에니와·치토세 등 여러 설이 있다. 이 무렵 숙신과 싸워 이기고 포로 49명을 조정에 바쳤다고도 한다.[14]

660년 3월, 히라후는 200척의 함선을 이끌고 숙신을 정벌했다. 이시카리 강 (또는 후시리베쓰 강) 근처의 오시마 에조가 숙신의 공격을 받아 도움을 요청하자, 히라후는 숙신을 헤로베노시마(幣賄弁島, 사할린[15] 또는 오쿠시리섬 등으로 추정)까지 추격하여 격파했다.[16] 같은 해 5월, 에조 50명 이상을 바치고 숙신 47명을 환대했다.[17]

3. 2. 백강 전투 참전

662년, 덴지 천황의 명에 따라 중대형황자(훗날 덴지 천황)는 아베노 히라후를 신라 정벌군의 후장군으로 임명했다. 히라후는 백제 구원을 위해 조선반도로 향하여 무기와 식량을 보냈다. 당시 그의 관위는 대화하였다.[2] 히라후는 세 개의 부대 중 후방 부대를 지휘했으며, 그의 부대는 완전히 해군 부대였다. 그는 같은 해 8월 대륙에 도착했다.[2]

그러나 이듬해인 663년, 백강 전투에서 신라의 연합군에게 패배하면서 백제 부흥은 실패로 끝났다. 히라후는 백강 전투에서 패배한 후 본국으로 소환되었다.[2]

664년, 신관위 제도(관위 26계)가 제정되면서 히라후는 대금상에 서임되었다. 또한 이 무렵 대자재수에 임명되었다는 기록이 『속일본기』에 전해진다.[18] 백강 전투 이후, 신라의 침략에 대비하기 위해 군사 경험이 풍부한 히라후를 규슈 지방의 방위 책임자로 임명한 것으로 추정된다.[7]

3. 3. 백강 전투 이후

662년 8월, 천지 천황의 명에 따라 신라 정벌군의 후장군으로서 백제 구원을 위해 한반도로 향하여 무기와 식량을 보냈다(이때 관위는 대화하). 그러나 이듬해 663년 백강 전투에서 신라의 연합군에게 패배하여 백제 부흥은 이루어지지 못했다.[18]

664년 신관위 제도(관위 26계) 제정에 따라 대금상에 서임되었고, 대자재수에 임명되었다. 백강 전투 후, 당과 신라의 침략에 대비하여 군사 경험이 풍부한 히라후를 규슈 지방의 방위 책임자로 임명한 것으로 추정된다.[7]

4. 가계

일본서기고사기에 따르면, 아베노 히라후의 아버지와 출신은 기록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며, 당시 씨족의 족보를 미화하기 위해 변경되었을 가능성이 있어 정확히 알 수 없다. 아베 씨족, 안도 씨족, 아키타 씨족의 조상으로 추정된다.

항목내용
아버지불명 (아베메(阿倍目)라는 설이 있음)
어머니불명
자녀


5. 작품

불새 (만화) - 태양편에 등장한다.

참조

[1] 웹사이트 Abe no Hirafu • . A History . . of Japan . 日本歴史 https://historyofjap[...] 2022-05-11
[2] 웹사이트 Abe no Hirafu https://wiki.samurai[...] 2021-03-00 #날짜 정보가 부정확하여 임의로 2021-03-00으로 설정
[3] 서적 古代東北史のひとびと
[4] 문서 阿倍家系
[5] 서적 姓氏家系大辞典 角川書店 1963-00-00 #날짜 정보가 부정확하여 임의로 1963-00-00으로 설정
[6] 논문 日本書紀と蝦夷
[7] 논문 1990-00-00 #날짜 정보가 부정확하여 임의로 1990-00-00으로 설정
[8] 문서 日本書紀 斉明天皇4年4月条
[9] 문서 日本書紀 斉明天皇4年7月4日条
[10] 문서 日本書紀 斉明天皇4年条
[11] 웹사이트 北海道と胆振地方の古代史 http://www.t-komazaw[...] 2019-01-09 #아카이브 날짜 사용
[12] 논문 後方羊蹄
[13] 웹사이트 余市町でおこったこんな話 その158「『余市』の刊行と阿倍比羅夫(その2)」 https://www.town.yoi[...]
[14] 문서 日本書紀 斉明天皇5年条
[15] 논문 樺太史の栞
[16] 문서 日本書紀 斉明天皇6年3月条
[17] 문서 日本書紀 斉明天皇6年5月8日条
[18] 문서 続日本紀 養老4年正月27日条
[19] 문서 続日本紀 養老4年正月27日条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