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산시 (선거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산시 선거구는 1995년 온양시와 아산군의 통합으로 아산시가 출범하면서 설치되었다. 제15대 국회의원 선거부터 제19대 국회의원 선거까지 존재했으며, 제20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아산시 갑, 아산시 을로 분구되면서 폐지되었다. 역대 국회의원으로는 이상만, 원철희, 복기왕, 이진구, 이명수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산시의 정치 - 아산시장
아산시장은 충청남도 아산시의 행정 수반으로, 아산군과 온양시 통합 이후 8명의 시장이 시정을 운영해 왔으며, 본 페이지는 역대 군수 및 시장들의 재임 기간과 시정 구호, 방침을 상세히 정리하고 있다. - 아산시의 정치 - 아산군 (선거구)
아산군은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시작으로 1973년 폐지될 때까지 존재했던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선거구이며, 서용길, 이규갑, 홍순철, 이민우 등이 역대 국회의원을 지냈다. - 충청남도의 폐지된 선거구 - 공주시·연기군
공주시·연기군은 2000년 제1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공주시 선거구와 연기군 선거구가 통합되어 2000년부터 2012년까지 존속했던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구였으나, 2012년 연기군 지역이 세종특별자치시로 편입되면서 폐지되었다. - 충청남도의 폐지된 선거구 - 부여군·서천군·보령군
부여군·서천군·보령군은 1973년 제9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신설되어 1988년 부여군, 서천군, 대천시·보령군으로 재편될 때까지 존속했던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구이다. - 2016년 폐지된 대한민국 선거구 - 중구 (1988년 서울 선거구)
중구 (1988년 서울 선거구)는 1988년 제13대 총선을 앞두고 종로구·중구 선거구에서 분리되어 신설된 서울특별시 중구 지역의 국회의원 선거구였으나, 2016년 인구 감소로 성동구 갑·을 선거구와 통합되어 중구·성동구 을 선거구로 개편되었다. - 2016년 폐지된 대한민국 선거구 - 군포시 (1996년 선거구)
군포시 선거구는 1996년 신설되어 2016년 인구 증가로 분구되기 전까지 존속했던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선거구로, 유선호, 김부겸, 이학영 의원을 배출했다.
아산시 (선거구) - [선거구 정보]에 관한 문서 | |
---|---|
대한민국 선거구 정보 | |
이름 | 아산시 |
의회 | 국회 |
큰 지도 | 충청남도 |
연도 | 1996 |
폐지 | 2016 |
유형 | 국회 |
이전 선거구 | 온양시·아산군 |
이후 선거구 | 아산시 갑 아산시 을 |
의원수 | 1인 |
2. 역사
1995년 1월, 온양시와 아산군이 통합되면서 통합 아산시가 출범했다. 이에 대한민국 제15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온양시·아산시 선거구가 아산시 선거구로 개편되었다.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아산시 선거구가 갑, 을로 분구되면서 폐지되었다.
3. 역대 국회의원
아산시에서는 자유민주연합, 열린우리당, 한나라당, 자유선진당 등 다양한 정당 출신 국회의원들이 선출되었다. 특히, 이명수 의원은 자유선진당 소속으로 재선하며, 아산시에서 보수 정당의 지지세를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3. 1.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1996년)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이상만 | 자유민주연합 | 35,589 | 48.92% |
황명수 | 신한국당 | 21,413 | 29.43% |
이진구 | 통합민주당 | 8,978 | 12.34% |
이원창 | 새정치국민회의 | 4,273 | 5.87% |
이한범 | 무소속 | 1,079 | 1.48% |
박인재 | 무소속 | 916 | 1.25% |
박창호 | 무소속 | 493 | 0.67% |
합계 | 72,741 | 100% |
대한민국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자유민주연합 이상만 후보가 48.92%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신한국당 황명수 후보는 29.43%, 통합민주당 이진구 후보는 12.34%, 새정치국민회의 이원창 후보는 5.87%를 득표했다. 무소속 후보로는 이한범 (1.48%), 박인재 (1.25%), 박창호 (0.67%) 후보가 출마했다.
3. 2.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2000년)
대한민국 제1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자유민주연합 원철희 후보가 한나라당 이진구 후보, 새천년민주당 이원창 후보, 희망의한국신당 이상만 후보 등을 누르고 당선되었다.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원철희 | 자유민주연합 | 25,524 | 37.55% |
이진구 | 한나라당 | 19,722 | 29.01% |
이원창 | 새천년민주당 | 12,920 | 19.00% |
이상만 | 희망의한국신당 | 7,579 | 11.15% |
박창호 | 민주국민당2000 | 2,223 | 3.27% |
합계 | 67,968 | 100% |
3. 3.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2004년)
2004년한국어에 실시된 대한민국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의 충청남도 아산시 선거구 결과이다. 열린우리당 복기왕 후보가 당선되었으며, 이는 당시 노무현 대통령 탄핵 역풍과 맞물려 진보 진영의 지지세 확산에 기여했다. 자유민주연합 이명수 후보, 한나라당 이진구 후보 등이 출마했다.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
복기왕 | 열린우리당 | 27,769 | 37.35 | |
이명수 | 자유민주연합 | 25,470 | 34.25 | |
이진구 | 한나라당 | 11,570 | 15.56 | |
김병성 | 민주노동당 | 5,436 | 7.31 | |
이원창 | 새천년민주당 | 2,262 | 3.04 | |
이상만 | 무소속 | 1,837 | 2.47 | |
합계 | 74,344 | 100 |
3. 4. 2005년 재보궐선거
2005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 충청남도 아산시 국회의원 보궐선거에서는 한나라당 이진구 후보가 열린우리당 임좌순 후보, 자유민주연합 원철희 후보 등을 누르고 당선되었다. 이 선거는 복기왕 의원이 아산시장 선거에 출마하면서 치러지게 되었다.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
이진구 | 한나라당 | 20,023 | 42.39% |
임좌순 | 열린우리당 | 11,956 | 25.31% |
원철희 | 자유민주연합 | 5,422 | 11.48% |
서용석 | 무소속 | 4,809 | 10.18% |
김영환 | 민주노동당 | 3,838 | 8.12% |
조병현 | 무소속 | 1,181 | 2.50% |
합계 | 47,229 | 100% |
3. 5.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2008년)
대한민국 제1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자유선진당 이명수 후보가 53.09%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한나라당 이훈규 후보는 31.36%, 통합민주당 강훈식 후보는 13.75%를, 평화통일가정당 유경득 후보는 1.78%를 득표하였다.
3. 6.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2012년)
대한민국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자유선진당 이명수 후보가 재선에 성공하였다. 민주통합당 김선화 후보, 새누리당 이건영 후보 등이 출마하였으며, 이명수 후보의 재선은 자유선진당의 약세 속에서도 지역 기반과 보수 표심을 바탕으로 이루어낸 결과로 평가받는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