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슈와타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슈와타마는 힌두 서사시 《마하바라타》에 등장하는 인물로, 드로나차르야의 아들이자 쿠루크셰트라 전쟁에서 카우라바 편에 참전한 전사이다. 그는 태어날 때 말 울음소리를 내어 이름이 붙여졌으며, 이마에 신성한 보석을 지니고 태어나 거의 무적에 가까운 존재로 묘사된다. 쿠루크셰트라 전쟁에서 아버지 드로나가 죽자 판다바 진영에 야습을 가해 많은 전사를 죽였으나, 브라흐마스트라를 잘못 사용한 죄로 저주를 받아 불멸의 존재가 되어 고통 속에 살아가게 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브라만 - 라마누자
라마누자는 11~12세기에 활동한 인도의 철학자이자 힌두교의 스리바이슈나바 전통의 중요한 인물로, 비시슈타드바이타 철학을 발전시키고 박티 운동을 이끌었으며 사회 개혁에도 기여했다. - 브라만 - 라바나
라바나는 힌두교 신화 라마야나에 등장하는 열 개의 머리를 가진 라크샤사 악마 왕으로, 랑카를 다스렸으며 강력한 힘과 지략을 가졌으나 라마에게 패배하고 시바신의 숭배자이자 일부 지역에서 신으로 숭배받는다. - 쿠루크셰트라 전쟁 관련자 - 카르나
카르나는 마하바라타에 등장하는 중요 인물로, 태양신의 아들이자 뛰어난 전사였으나 미혼모의 아들로 버려져 마부에게 길러졌고, 아르주나의 숙명적인 라이벌이자 두리요다나의 충실한 동맹으로서 쿠루크셰트라 전쟁에서 활약하며 그의 삶과 죽음은 다르마에 대한 윤리적 질문을 제기하고 다양한 인도 문화 작품에서 재해석되고 있다. - 쿠루크셰트라 전쟁 관련자 - 비카르나
비카르나는 마하바라타에 등장하는 카우라바 백형제 중 한 명으로, 옳고 그름을 분별하는 지혜와 정의로운 면모를 지녔으나, 친구 두료다나를 지지하여 쿠루크셰트라 전쟁에서 비마에게 죽임을 당하는 비극적인 인물이다. - 마하바라타의 등장인물 - 유디슈티라
유디슈티라는 힌두 서사시 《마하바라타》의 주요 등장인물로, 정의롭고 덕망 있는 판다바 형제의 장남이며, 주사위 도박과 쿠룩셰트라 전쟁을 겪고 하스티나푸라의 왕이 되어 선정을 베풀다가 히말라야로 순례를 떠나 천상에 도달하는 인물이다. - 마하바라타의 등장인물 - 카르나
카르나는 마하바라타에 등장하는 중요 인물로, 태양신의 아들이자 뛰어난 전사였으나 미혼모의 아들로 버려져 마부에게 길러졌고, 아르주나의 숙명적인 라이벌이자 두리요다나의 충실한 동맹으로서 쿠루크셰트라 전쟁에서 활약하며 그의 삶과 죽음은 다르마에 대한 윤리적 질문을 제기하고 다양한 인도 문화 작품에서 재해석되고 있다.
아슈와타마 - [가상 인물]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이름 | 아슈와타마 |
원어 이름 | अश्वत्थामा |
다른 이름 | 아슈밧타만 |
로마자 표기 | Aśvatthāmā |
별칭 | 치란지비 |
인물 정보 | |
등장 작품 | 마하바라타 |
성별 | 남성 |
소속 | 치란지비 |
종교 | 힌두교 |
혈연 | |
아버지 | 드로나 |
어머니 | 크리피 |
외삼촌 | 크리파 |
할아버지 | 바라드바자 |
역할 | |
직업 | 브라만 |
소속 왕국 | 쿠루 왕국 |
작위/직책 | 카우라바 군사령관 |
동료 | 두료다나 |
적대 세력 | 판다바 |
무기 | |
주요 무기 | 브라흐마시라스트라 나라야나스트라 아그네야스트라 |
기타 무기 | 활과 화살 검 |
2. 어원 및 다른 이름
अश्वत्थामा|아슈와타마sa는 "말의 소리와 관련된 신성한 목소리"라는 뜻으로, 그가 태어날 때 말처럼 울부짖었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3] [4] [19]
아슈와타마의 다른 이름으로는 드로나푸트라, 구루푸트라, 크리피쿠마라, 아차르야푸트라 등이 있다.
2. 1. 어원
अश्वत्थामा|아슈와타마sa는 "말의 소리와 관련된 신성한 목소리"를 의미한다.[3] 그는 태어날 때 말처럼 울부짖었다고 믿어지기 때문에 그렇게 이름 붙여졌다.[4] [19]그의 다른 이름은 다음과 같다.
- द्रोणपुत्र|드로ന്തപു트라sa - 드로나차르야( द्रोणाचार्य|드로냐차르야sa)의 아들
- गुरुपुत्र|구루푸트라sa - 구루 드로나의 아들
- कृपिकुमार|크리피쿠마라sa - कृपी|크리피sa의 아들
- आचार्यपुत्र|아차르야푸트라sa - 드로나차르야( आचार्य|아차르야sa)의 아들
2. 2. 다른 이름
अश्वत्थामा|Aśvatthāmāsa는 "말의 소리와 관련된 신성한 목소리"라는 뜻이다.[3] 아슈와타마는 태어날 때 말처럼 울부짖었기 때문에 이런 이름이 붙여졌다.[4]아슈와타마의 다른 이름은 다음과 같다.
이름 | 의미 |
---|---|
드로나푸트라(द्रोणपुत्र|Dronaputrasa) | 드로나의 아들 |
구루푸트라(गुरुपुत्र|Guruputrasa) | 구루 드로나의 아들 |
크리피쿠마라(कृपिकुमार|KripiKumarasa) | 크리피의 아들 |
아차르야푸트라(आचार्यपुत्र|Acharyaputrasa) | 아차르야(드로나)의 아들 |
아슈와타마는 드로나와 크리피의 아들로, 숲 속의 동굴(현재의 인도 우타라칸드주 데라둔에 있는 탭케스와르 마하데브 사원)에서 태어났다. 드로나는 시바와 똑같은 용맹함을 지닌 아들을 얻기 위해 시바를 기쁘게 하려고 수년간 고행을 했다.[31] 아슈와타마는 이마에 신성한 보석을 달고 태어났는데, 이 보석은 그에게 인간보다 낮은 모든 생명체에 대한 힘을 부여했고, 굶주림, 갈증, 피로, 노화, 질병, 무기, 신으로부터 그를 보호했다. 이 보석은 그를 거의 무적이고 불멸하게 만들었다.
3. 탄생과 전쟁 이전의 삶
드로나는 무술 전문가였지만 가난하여 아슈와타마는 어려운 어린 시절을 보냈다. 가족이 우유조차 살 수 없을 정도였다. 한번은 아슈와타마가 친구에게 밀가루를 물에 갠 것을 받아 우유라고 믿고 마시기도 했다.[20]
가족에게 더 나은 삶을 제공하고 싶었던 드로나는 과거 동급생이자 친구였던 판찰라 왕국의 왕 드루파다에게 도움을 요청하기 위해 찾아갔다. 드루파다는 왕이 되면 왕국의 절반을 주겠다고 드로나에게 약속했었다. 그러나 드루파다는 왕과 거지 친구가 될 수 없다고 말하며 우정을 거절했고, 드로나에게 굴욕감을 안겨주었다.
이후 크리파의 초대로 드로나는 하스티나푸라로 가게 되었고, 판다바와 카우라바 모두의 스승이 되었다. 아슈와타마 역시 그들과 함께 무술을 훈련받았다.[1][21] 그는 무술의 전문가가 되어 다양한 비법과 신성한 무기를 배우게 된다.
왕자들과 함께하는 동안 두르요다나는 아슈와타마가 말을 좋아한다는 것을 알고 그에게 잘 길들여진 말을 선물했다. 그 대가로 두르요다나는 아슈와타마의 개인적인 충성을 얻었고, 더 나아가 카우라바에게도 충성을 얻었으며, 하스티나푸라에 대한 드로나의 의무적인 충성심도 얻게 되었다.
드로나가 제자들에게 닥시나를 주고 드루파다를 생포해 오라고 요청했을 때 카우라바는 실패했지만 판다바는 드루파다를 물리치고 드로나 앞에 그를 데려왔다. 드로나는 드루파다 왕국의 북쪽 절반을 차지하고 아슈와타마를 수도가 아히치트라인 왕국의 왕으로 즉위시켰다.
4. 쿠루크셰트라 전쟁에서의 역할
아슈와타마는 아버지 드로나가 크리슈나의 계략에 의해 죽자 복수심에 불탔다. 쿠루크셰트라 전쟁 막바지에 두료다나가 비마세나에게 패배하여 죽어가자, 아슈와타마는 크리파, 크리타바르마와 함께 두료다나의 복수를 맹세하며 방심한 판다바들을 야습하기로 결심했다.[34]
아슈와타마는 시바로부터 거대한 칼을 받고,[35] 밤에 판다바 진영을 습격하여 나라야나스트라와 아그네야스트라를 발사했다. 그러나 크리슈나가 미리 대책을 알려준 덕분에 판다바들은 큰 피해를 입지 않았다.[33] 아슈와타마는 판다바 5형제, 크리슈나, 사티야키, 유유추를 제외한 대부분의 판다바 전사들을 학살했다.[35]
다음 날, 야습을 알아챈 판다바들에게 쫓기던 아슈와타마는 브라흐마시라스트라를 발사했고, 아르주나도 이에 대응하여 브라흐마시라스트라를 쏘았다.[36] 그러나 두 아스트라의 충돌로 세계가 멸망할 것을 우려한 리쉬들의 요청으로 아르주나는 브라흐마시라스트라를 거두었다.[37] 브라흐마시라스트라를 거두는 방법을 몰랐던 아슈와타마는 판다바들의 씨를 말리기 위해 웃타라에게 브라흐마시라스트라를 발사했지만, 크리슈나의 도움으로 실패하고 판다바들에게 포로로 잡혔다.[38]
4. 1. 카우라바 측 참전
하스티나푸라가 드로나에게 카우라바들을 가르칠 특권을 제공했을 때, 드로나와 아슈와타마는 모두 하스티나푸라에 충성을 다했고, 쿠룩셰트라 전쟁에서 카우라바 편에서 싸웠다.[22] 비슈마는 "아슈와타마는 위대한 전사이지만, 생명을 매우 아끼기 때문에 최고의 전사(마하라티)로 꼽을 수는 없다"라고 평했다.
전쟁 10일째, 비슈마가 쓰러진 후 드로나가 군대의 최고 사령관이 되었다. 드로나는 두르요다나에게 유디슈티라를 붙잡겠다고 약속했지만, 반복적으로 실패했다. 두르요다나는 그를 조롱하고 모욕했는데, 이는 아슈와타마를 매우 화나게 하여 아슈와타마와 두르요다나 사이에 균열을 일으켰다.
아르주나가 그의 스승을 죽이는 것을 거부했기 때문에 그날 무장한 드로나를 물리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알고, 크리슈나는 속임수를 써서 드로나의 무장을 해제하는 계획을 제안했다. 비마는 아슈와타마라는 이름의 코끼리를 죽이고 드로나에게 그의 아들을 죽였다고 주장했다. 드로나는 그의 주장을 믿지 않고 다르마와 정직함으로 유명한 유디슈티라에게 진실을 요구했고, 유디슈티라는 "아슈와타마는 죽었습니다. 그 코끼리가."라고 대답했다. 드로나가 듣지 못하도록 "코끼리"라는 단어를 덧붙였다.[5]
드리슈타드윰나는 드로나가 그의 아버지 드루파다를 죽인 것에 대한 복수로, 슬퍼하는 드로나를 죽일 기회를 이용했다.[23] 아버지가 속아서 죽었다는 것을 알게 된 아슈와타마는 분노하여 나라야나스트라를 판다바스에 대항하여 소환했다.
무기가 소환되었을 때, 격렬한 바람이 불기 시작하고 천둥 소리가 울려 퍼졌으며 판다바 병사마다 화살이 나타났다. 크리슈나는 아스트라는 무장하지 않은 사람들을 무시한다는 것을 알고, 모든 군인들에게 전차를 버리고 무장 해제하라고 지시했다. 병사들이 무장 해제한 후(비마도 약간 어려움을 겪음), 아스트라는 해를 입히지 않고 지나갔다. 승리를 갈망하며 두르요다나가 그 무기를 다시 사용하라고 촉구했을 때, 아슈와타마는 그 무기를 다시 사용하면 사용자에게 돌아갈 것이라고 말했다.[24]
나라야나스트라는 판다바 군대의 악쇼히니 하나를 파괴했다. 그러나 나라야나스트라를 사용한 후, 양 군대 사이에 끔찍한 전쟁이 벌어졌다. 아슈와타마는 아그네야스트라를 소환하여 모든 적에게 발사했다. 그 무기는 곧 아르주나를 압도하여 여러 개의 불타는 화살로 둘러쌌고, 판다바 군대 내에서 혼란을 야기했다. 아르주나는 바루나스트라를 사용하여 아그네야스트라의 영향을 진압했지만, 그때까지 그것은 판다바 군대의 또 다른 악쇼히니를 완전히 파괴했고, 아르주나와 크리슈나만이 살아남았다. 아슈와타마는 자신의 지식과 기술에 대해 혼란과 의심을 품고 전장에서 도망쳤다. 나중에, 아슈와타마는 직접적인 전투에서 드리슈타드윰나를 물리쳤지만, 사탸키와 비마가 그의 퇴각을 보호하면서 그를 죽이는 데 실패했고, 그 과정에서 아슈와타마와의 전투가 벌어졌다. 아슈와타마는 두 전사를 물리치고 전장에서 퇴각하게 했다.[6]
두샤사나의 끔찍한 죽음 이후, 아슈와타마는 하스티나푸라의 복지를 염두에 두고 두르요다나에게 판다바스와 화평을 맺을 것을 제안했다. 나중에, 두르요다나가 비마에게 쓰러져 죽음을 맞이한 후, 카우라바 측의 마지막 세 생존자인 아슈와타마, 크리파, 크리타바르마가 그의 곁으로 달려갔다. 아슈와타마는 두르요다나에게 복수를 하겠다고 맹세했고, 두르요다나는 그날 초에 살리야가 죽은 후 그를 최고 사령관으로 임명했다.
4. 2. 드로나의 죽음과 복수
드로나가 크리슈나의 계략에 의해 죽자, 아슈와타마는 복수심에 불타 판다바 진영을 야습했다.[33] 그는 나라야나스트라와 아그네야스트라를 발사했지만, 크리슈나가 미리 대책을 알려준 덕분에 판다바들은 큰 피해를 입지 않았다.[33]
쿠루크셰트라 전쟁 막바지에 두료다나가 비마세나에게 패배하여 죽어가자, 아슈와타마는 크리파, 크리타바르마와 함께 두료다나의 복수를 맹세하며 방심한 판다바들을 야습하기로 결심했다.[34] 야습 직전 시바로부터 거대한 칼을 받은 아슈와타마는 그 칼로 판다바 5형제, 크리슈나, 사티야키, 유유추를 제외한 대부분의 판다바 전사들을 학살했다.[35]
다음 날, 야습을 눈치챈 판다바들에게 쫓기던 아슈와타마는 브라흐마시라스트라를 발사했고, 아르주나도 이에 맞서 브라흐마시라스트라를 쏘았다.[36] 그러나 두 아스트라의 충돌로 세계가 멸망할 것을 우려한 리쉬들의 요청으로 아르주나는 브라마시라스트라를 거두었다.[37]
브라흐마시라스트라를 거두는 방법을 몰랐던 아슈와타마는 판다바들의 씨를 말리기 위해 웃타라에게 브라마시라스트라를 발사했지만, 크리슈나의 도움으로 실패하고 판다바들에게 포로로 잡혔다.[38] 아슈와타마는 이마의 보석을 빼앗기고 영원히 낫지 않는 상처의 고통을 받으며 숲 속에서 살아가야 하는 저주를 받았다.[39]
전쟁 10일째, 비슈마가 쓰러진 후 드로나가 군 최고 사령관이 되었다. 드로나는 유디슈티라를 붙잡겠다고 약속했지만 실패했고, 이로 인해 두료다나와의 갈등이 생겼다.
크리슈나는 드로나를 속이기 위해 비마에게 아슈와타마라는 코끼리를 죽이게 하고, 유디슈티라를 통해 드로나에게 아슈와타마가 죽었다고 거짓말을 하게 했다. 드로나는 슬픔에 빠졌고, 드리슈타드윰나는 이 틈을 타 드로나를 죽였다.[5]
아버지의 죽음에 분노한 아슈와타마는 나라야나스트라를 소환했지만, 크리슈나의 지시로 판다바 군대는 무장 해제하여 피해를 입지 않았다. 아슈와타마는 아그네야스트라를 발사했지만, 아르주나의 바루나스트라에 의해 저지되었다.[6]
두샤사나의 죽음 이후, 아슈와타마는 두료다나에게 판다바스와 화평을 제안했지만 거절당했다. 두료다나가 비마에게 쓰러진 후, 아슈와타마는 크리파, 크리타바르마와 함께 판다바 진영을 야습하기로 결심했다.
아슈와타마는 시바의 축복을 받아 판다바 진영을 공격하여 드리슈타드윰나, 시칸디, 우파판다바스 등 많은 전사들을 학살했다.[8],[9] 학살 후 아슈와타마는 두료다나에게 판다바 전멸 소식을 전했고, 두료다나는 숨을 거두었다.[10]
판다바스와 크리슈나는 아슈와타마를 추격했고, 아슈와타마는 브라마스트라를 소환했다. 아르주나도 브라마스트라로 맞섰지만, 세상의 멸망을 막기 위해 무기를 거두었다. 아슈와타마는 무기를 거두는 방법을 몰라 우타라에게 발사했지만, 크리슈나의 도움으로 실패했다.[12],[13] 아슈와타마는 저주를 받고 숲으로 떠났다.[14]
4. 3. 판다바 진영 야습
쿠루크셰트라 전쟁 막바지에 두료다나가 비마세나와의 싸움에서 패배해 죽어가자, 아슈와타마는 크리파, 크리타바르마와 함께 두료다나 앞에서 복수를 맹세했다.[34] 이들은 방심하고 있던 판다바들을 야습하기로 결정했다.[34]
야습 직전 시바로부터 거대한 칼을 받은 아슈와타마는[35] 그 칼로 판다바 5형제, 크리슈나, 사티야키, 유유추를 제외한 대부분의 판다바 전사들을 학살하였다.[35]
다음 날, 야습을 알아챈 판다바들에게 쫓기던 아슈와타마는 브라흐마시라스트라를 발사했고, 아르주나도 이에 대응하여 브라흐마시라스트라를 쏘았다.[36] 그러나 두 아스트라의 충돌로 세계가 멸망할 것을 우려한 리쉬들의 요청으로 아르주나는 브라흐마시라스트라를 거두었다.[37]
브라흐마시라스트라를 거두는 방법을 몰랐던 아슈와타마는 판다바들의 손자인 파리크시트를 임신하고 있던 웃타라에게 브라흐마시라스트라를 발사했지만, 크리슈나에 의해 실패하고 판다바들에게 포로로 잡혔다.[38]
18일째, 아슈와타마는 살아남은 카우라바의 전사 크리타바르만, 크리파를 소집하여 판다바의 진지를 습격했다.[26]
두르요다나가 쓰러진 다음 날 밤, 아슈와타마는 잠을 이루지 못하고 거목 앞에서 앉아 있었는데, 올빼미가 매복하여 까마귀를 습격하는 것을 보았다. 이것을 본 아슈와타마는 판다바에게 야습을 가할 것을 생각해냈다.[27] 아슈와타마는 "판다바는 부당한 방법으로 아버지 드로나를 죽였으니, 이런 수단을 써도 괜찮을 것이다"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크리파는 아슈와타마의 이 말에 납득하지 못하고, "이런 방식은 법(다르마)에 어긋나니 그만두는 것이 좋다"라고 말했다.
아슈와타마는 칼바이라바를 숭배했기 때문에, 시간조차 파괴해버리는 이 시바의 화신은 판다바에 대한 야습에 축복을 내렸다.[28] 칼바이라바가 체내로 들어오자, 아슈와타마는 칼을 휘둘러 잠자고 있던 드리슈타두유므나를 시작으로 죽였고, 시칸딘, 우타마우자스, 5명의 판다바의 아들들, 그 외 판다바의 전사들도 잇따라 죽였다. 그에게서 도망친 자들도 입구에서 매복하고 있던 크리파와 크리타바르만에 의해 죽임을 당했다. 판다바 중에서 생존한 것은 사트야키, 크리슈나와 5명의 판다바뿐이었다.[29] 아슈와타마는 판다바의 야영을 잿더미로 만들었고, 뒤에는 아무것도 남지 않았다. 야영을 괴멸시킨 후, 아슈와타마는 두르요다나에게 "판다바를 전멸시켰다"라고 보고했다.
5. 저주와 불사성
아슈와타마는 시바 신의 일부가 깃든 채로 태어났으며, 이마에는 각종 생물을 지배할 수 있는 힘이 깃든 보석이 박혀 있었다.[31] 쿠루크셰트라 전쟁에서 아버지 드로나가 크리슈나의 간계에 의해 죽자 복수심에 불타 판다바 진영을 야습했지만, 크리슈나 덕분에 큰 피해를 주지 못했다.[33] 전쟁 막바지에 두료다나의 복수를 맹세하며 판다바들을 야습하여 대부분의 전사들을 학살했다.[34][35]
이에 쫓기던 아슈와타마는 판다바들에게 브라흐마시라스트라를 발사했고, 아르주나도 이에 대응하여 같은 무기를 발사했다.[36] 두 아스트라의 충돌로 세계가 멸망할 것을 우려한 리쉬들의 요청으로 아르주나는 무기를 거두었지만, 아슈와타마는 방법을 몰라 웃타라에게 발사하여 파리크시트를 죽이려 했다.[38] 그러나 크리슈나에 의해 실패하고 판다바들에게 포로로 잡혔다.[38]
크리슈나는 아슈와타마에게 이마의 보석을 빼앗고 영원히 낫지 않는 상처의 고통을 받으며 숲 속에서 살아가야 하는 저주를 내렸다.[39] 크리슈나는 "3000년 동안 숲 속을 헤매게 될 것이다. 피가 몸 속의 상처에서 스며나와 고통스러울 것이다. 너는 죽음을 바라게 되겠지만, 죽음조차 너에게 자비를 베풀지 않을 것이다. 너는 대접이나 환대를 받지 못할 것이다. 인간 사회로부터 완전히 격리되어 고독하게 지내게 될 것이다. 이마의 보석을 빼앗겨 생긴 상처는 낫지 않을 것이다. 무수한 병이 너의 몸을 좀먹고, 통증과 궤양을 일으킬 것이다. 그리고 그 병은 3000년 동안 낫지 않을 것이다."라고 말했다. 아슈와타마는 오늘날까지 이 저주를 받으며 살아가고 있다고 전해진다.
6. 대중 문화에서의 묘사
작품명 | 배우 | 비고 |
---|---|---|
스리 크리슈나 사티야 | M. 프라바카르 레디 | |
1988년 마하바라타 TV 시리즈 | 프라딥 라와트 | |
크리슈나 (TV 시리즈) | 무쿨 나그 | |
2013년 마하바라타 TV 시리즈 | 안키트 모한 | |
수르야푸트라 카르나 | 쿠날 박시 | TV 쇼 |
다르마크셰트라 | 사우라브 고얄 | |
쿠룩셰트라 | 바랏 고우다 | |
에크 아우르 마하바라트 | 아쇼크 로칸데 | |
칼키 2898 AD | 아미타브 밧찬 |
7. 기타
힌두 문학에 나오는 만트라인 사프타 치란지비 스토트람은 아슈와타마를 발리, 비야사, 하누만, 비비샤나, 크리파, 마르칸데야, 파라슈라마와 함께 여덟 명의 불멸자 중 한 명으로 언급한다. 이 만트라를 통해 이들을 기억하면 질병 없이 장수할 수 있다고 한다.
7. 1. 팔라바 왕조와의 연관성
역사가 R. 사티아나타이에르와 D. C. 시르카르가 제안하고 헤르만 쿨케, 디트마르 로테르문트, 버턴 스타인이 지지한 이론이 있다.[15] 시르카르는 팔라바스의 가문 전설에 따르면, 그들의 조상이 아슈와타마와 나가족 공주의 결합으로 태어났으며, 이 결합에서 태어난 아들이 왕조를 시작했다고 지적한다. 이 주장은 칸치푸람이 팔라바스의 거주지였고, 이곳이 이전에는 "나가 왕국"의 일부였다는 사실로 뒷받침된다.팔라바스가 자신들의 기록에서 주장하는 고트라가 아슈와타마의 할아버지인 바라드와자와 동일하다는 점도 추가적인 증거로 제시된다.[16]
참조
[1]
웹사이트
The Mahabharata, Book 5: Udyoga Parva: Uluka Dutagamana Parva: section CLXVIII
https://www.sacred-t[...]
2022-12-24
[2]
서적
Srimad Bhagwat Puran
https://books.google[...]
Diamond Pocket Books Pvt Ltd
2020
[3]
웹사이트
The Mahabharata, Book 7: Drona Parva: Drona-vadha Parva: Section CXCVII
http://www.sacred-te[...]
[4]
웹사이트
Sanskrit – Asien.net
http://spokensanskri[...]
[5]
웹사이트
The Mahabharata, Book 7: Drona Parva: Section CXCI
https://sacred-texts[...]
[6]
웹사이트
The Mahabharata, Book 7: Drona Parva: Drona-vadha Parva: Section CCI
https://www.sacred-t[...]
2022-12-24
[7]
웹사이트
The Mahabharata, Book 8: Karna Parva Index
https://www.sacred-t[...]
2022-12-24
[8]
웹사이트
The Mahabharata, Book 10: Sauptika Parva: Section VII
https://sacred-texts[...]
[9]
웹사이트
The Mahabharata, Book 10: Sauptika Parva: Section VIII
https://sacred-texts[...]
[10]
웹사이트
The Mahabharata, Book 10: Sauptika Parva: Section IX
https://sacred-texts[...]
[11]
웹사이트
The Mahabharata, Book 10: Sauptika Parva: Section XIII
https://sacred-texts[...]
[12]
웹사이트
The Mahabharata, Book 10: Sauptika Parva: Section XV
https://sacred-texts[...]
[13]
서적
Srimad Bhagwat Puran
https://books.google[...]
Diamond Pocket Books Pvt Ltd
2020
[14]
웹사이트
The Mahabharata, Book 10: Sauptika Parva: Section XVI
https://sacred-texts[...]
[15]
간행물
Book Reviews: Kancipuram in Early South Indian History, by T. V. Mahalingam (Madras: Asia Publishing House, 1969), pp. vii-243
[16]
서적
History Of Medieval Hindu India
http://archive.org/d[...]
1921
[17]
웹사이트
Ganguli版1巻67章
https://sacred-texts[...]
[18]
웹사이트
Ganguli版10巻15章
https://sacred-texts[...]
[19]
웹사이트
Ganguli版1巻131章
https://sacred-texts[...]
[20]
웹사이트
Ganguli版1巻133章
https://sacred-texts[...]
[21]
웹사이트
Ganguli版1巻134章
https://sacred-texts[...]
[22]
웹사이트
Ganguli版5巻168章
https://sacred-texts[...]
[23]
웹사이트
Ganguli版7巻194章
https://sacred-texts[...]
[24]
웹사이트
Ganguli版7巻201章
https://sacred-texts[...]
[25]
웹사이트
Ganguli版8巻88章
https://sacred-texts[...]
[26]
서적
"The Siva Purana - The Complete Set in 4 Volumes"
Motilal Banarsidass Publishers Pvt Ltd
2008
[27]
웹사이트
Ganguli版10巻1章
https://sacred-texts[...]
[28]
웹사이트
Ganguli版10巻6章
https://sacred-texts[...]
[29]
서적
The Mahābhārata: an abridged translation
Penguin Books
2009
[30]
웹사이트
Ganguli版10巻16章
https://sacred-texts[...]
[31]
서적
<마하바라타> 제1권 주사위가 던져지다
[32]
서적
<마하바라타> 제4권 해방
[33]
서적
<마하바라타> 제4권 해방
[34]
서적
<마하바라타> 제4권 해방
[35]
서적
<마하바라타> 제4권 해방
[36]
서적
마하바라타 제4권 해방
나들목
[37]
서적
마하바라타 제4권 해방
나들목
[38]
서적
마하바라타 제4권 해방
나들목
[39]
서적
마하바라타 제4권 해방
나들목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