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누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누만은 힌두교의 중요한 신으로, '라마야나'와 '마하바라타' 등 힌두 서사시에 등장한다. 원숭이의 모습을 하고 있으며, 용감하고 헌신적인 모습으로 묘사된다. 하누만은 바람의 신 바유의 아들이자, 시바의 화신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그는 라마의 충실한 조력자이자 메신저로서, 시타를 구출하고 락슈마나를 치료하는 등 '라마야나'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하누만은 힌두교, 불교, 자이나교, 시크교 등 다양한 종교에서 숭배되며, 동남아시아에서도 널리 알려져 있다. 인도 전역에 하누만을 위한 많은 사원과 신사가 있으며, 그의 탄생일인 하누만 자얀티는 힌두교 축제 중 하나이다. 현대 대중문화에서도 하누만은 영화, 텔레비전 시리즈, 애니메이션, 음악 등 다양한 형태로 재해석되어 나타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신화의 원숭이 - 토트
토트는 고대 이집트 신화에서 지혜, 마법, 달, 문자, 계산 등을 관장하는 신으로, 신들의 서기관이자 상형문자 발명가이며, 저승 세계의 심판에도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다재다능한 존재이다. - 신화의 원숭이 - 세 원숭이
세 원숭이는 눈, 귀, 입을 가린 세 마리 원숭이 그림으로, "나쁜 것은 보지도 말고, 듣지도 말고, 말하지도 말라"는 잠언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며, 다양한 문화적, 종교적 기원을 가지고 부적절함을 외면하는 행태에 대한 비판적 의미를 내포하기도 한다. - 지혜의 남신 - 토트
토트는 고대 이집트 신화에서 지혜, 마법, 달, 문자, 계산 등을 관장하는 신으로, 신들의 서기관이자 상형문자 발명가이며, 저승 세계의 심판에도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다재다능한 존재이다. - 지혜의 남신 - 케찰코아틀
케찰코아틀은 "귀중한 뱀" 또는 "케찰-깃털 뱀"을 뜻하는 나와틀어에서 유래한 이름으로, 고대 메소아메리카 문명에서 숭배받던 깃털 달린 뱀의 신이자 종교적, 정치적 상징으로, 바람, 통치, 사제, 금성과 관련되어 현대 대중 매체, 항공, 고생물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라마야나의 등장인물 - 자타유
자타유는 라마야나에 등장하는 거대한 독수리로 라마의 친구이자 라바나의 시타 납치를 막으려다 죽었으며, 그의 희생은 라마의 시타 구출 여정에 영향을 주었고 용기, 헌신, 정의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 라마야나의 등장인물 - 라바나
라바나는 힌두교 신화 라마야나에 등장하는 열 개의 머리를 가진 라크샤사 악마 왕으로, 랑카를 다스렸으며 강력한 힘과 지략을 가졌으나 라마에게 패배하고 시바신의 숭배자이자 일부 지역에서 신으로 숭배받는다.
하누만 | |
---|---|
개요 | |
![]() | |
숭배일 | 토요일 화요일 |
역할 | 지혜, 힘, 용기, 헌신, 자기 수양의 신 |
소속 | 라마 헌신자 데바 치란지비 바나라 시바의 아바타 (시바파) 바유의 아들 및 아바타 (비슈누파) |
거주지 | 키슈킨다 |
축제 | 하누만 자얀티 디왈리 |
만트라 | 옴 슈리 하누마테 나마하 (Oṁ Śrī Hanumate Namaḥ) |
부모 | 바유 (정신적 아버지) 케사리 (아버지) 안자나 (어머니) |
무기 | 가다 |
문헌 | 라마야나 및 다른 버전 하누만 찰리사 |
형제자매 | 마티만, 슈루티만, 케투만, 가티만, 드리티만 (형제) |
소속 | 치란지비 |
신화적 정보 | |
종교 | 힌두교 |
성별 | 남성 |
다른 이름 | Anjaneya Mahavira Bajrangbali |
일반 정보 | |
로마자 표기 | Hanumān |
데바나가리 문자 | हनुमान् |
2. 명칭과 어원
"하누만"이라는 단어의 의미나 어원은 불분명하다. 힌두교 판테온에서 신들은 일반적으로 많은 동의어를 가지며, 각 단어는 해당 신의 고귀한 특징, 속성 또는 업적을 상기시키는 것을 기반으로 한다.[16] "하누만"의 한 가지 해석은 "얼굴이 일그러진 자"이다. 이 버전은 어린 하누만이 태양을 과일로 착각하여 영웅적으로 태양에 도달하려다가 신들의 왕인 인드라에 의해 턱에 상처를 입는다는 푸라나 전설에 의해 뒷받침된다.[16]
하누만은 힌두교 박티-샤크티 숭배 전통에서 가장 소중히 여겨지는 두 가지 특징인 "영웅적이고 강하며 단호한 탁월함"과 "개인적인 신에 대한 사랑스럽고 감정적인 헌신"을 결합한다.[16]
"하누만"의 언어적 변형에는 ''하누마트'', ''아누만''(타밀어), ''하누만타''(칸나다어), ''하누만투두''(텔루구어)가 있다. 하누만의 다른 이름은 다음과 같다.
이름 | 의미 |
---|---|
안자네야,[16] 안자니푸트라(칸나다어), 안자네야르(타밀어), 안자네유두(텔루구어), 안자니스우타 | 모두 "안자나의 아들"을 의미 |
케사리 난다나 또는 케사리수타 | "케사리의 아들" |
바유푸트라/ 파반푸트라 | 바유 데바 - 바람의 신의 아들[85] |
바즈랑 발리/바즈랑 발리 | "바즈라(다이아몬드)"만큼 단단하거나 질긴 사지 (앙가)를 가진 강한 자 (발리)"; 이 이름은 북부 인도 시골에서 널리 사용[16] |
상카타 모차나 | "위험, 어려움 또는 장애물 (상카타) 제거자"[16] |
마루티 | "마루타의 아들"(바유 데바의 또 다른 이름)[16] |
카피슈와라 | "원숭이의 군주" |
라마 두타 | "라마의 메신저 (두타)" |
마하카야 | "거대한" |
비라, 마하비라 | "가장 용감한" |
마하발라/마하발리 | "가장 강한 자" |
바나르쿨라틴 톤디마 | "바나르 씨족의 후손"(타밀어) |
판차박트라 | "다섯 얼굴" |
무키야 프라나 데바루 | "원시 생명 제공자"(마드와스와 같은 드바이타 추종자들 사이에서 더 두드러짐) |
3. 역사적 발전
하누만은 힌두교의 주요 서사시와 푸라나 문헌에 등장하며, 시간이 흐르면서 그의 역할과 중요성이 변화해 왔다.3. 1. 베다 시대의 기원
신성한 원숭이에 대한 가장 초기의 언급은 기원전 1500년에서 1200년 사이에 작성된 ''리그베다''의 찬송가 10.86절에 등장한다.[17][18] 이 찬송가는 은유적이고 수수께끼로 가득 찬 23개 절의 전설을 담고 있으며, 여러 인물 간의 대화 형식으로 제시된다. 인드라, 그의 아내 인다라니, '브리사카피'(''Vrisakapi'')라고 불리는 활기찬 원숭이와 그의 아내 '카피'가 등장한다. 찬송가는 인드라니가 인드라에게, 인드라를 위한 소마 제물 중 일부가 활기차고 강한 원숭이에게 할당되었고 사람들이 인드라를 잊어가고 있다고 불평하는 내용으로 시작된다. 신들의 왕 인드라는 아내에게 그녀를 귀찮게 하는 이 생물(원숭이)을 친구로 여겨 평화롭게 공존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말한다. 이 찬송가는 모두가 인드라의 집에 모여 제물의 부를 함께 나누기로 동의하면서 끝을 맺는다.
3. 2. 서사시와 푸라나 시대
하누만은 힌두교의 서사시인 ''라마야나''와 ''마하바라타''에 모두 언급되어 있다.[20]
하누만은 푸라나에도 언급되어 있다.[21][22] 시바 푸라나에서는 하누만을 시바의 아바타로 언급하고 있으나, 다른 푸라나와 경전에서는 바유의 영적인 아들이나 바유의 화신, 또는 루드라(바유의 또 다른 이름)의 아바타로 명확하게 언급하고 있다.[22][23] 일반적으로 하누만은 비슈누 숭배 전통에서는 시바와 관련이 없지만, 시바 숭배 전통에서는 시바의 아바타 또는 아들로 알려져 있다.[24]
남인도에서 발견되는 텍스트에서는 하누만을 시바와 비슈누의 결합으로 묘사하거나, 아야판의 기원과 연관시키기도 한다.[11] 17세기 오디아어 작품인 디나크리쉬나다사의 ''라사비노다''는 세 신 - 브라흐마, 비슈누, 시바 - 가 하누만의 형태로 결합했다고 언급한다.[25]
힌두교의 성전이기도 한 서사시 『라마야나』에서 하누만은 원숭이 왕 수그리바가 형 바린에 의해 왕도 키시키다에서 쫓겨났을 때 수그리바를 따랐고, 이후 비슈누 신의 화신인 라마 왕자와 락슈마나에게 도움을 요청한다. 라마가 약속대로 바린을 물리치고 수그리바의 왕위를 회복한 후, 라마 왕자의 요청에 따라 왕비 시타를 수색하는 데 참여한다. 하누만은 락샤사 (불교에서의 나찰) 왕 라바나의 거성이 있는 랑카(실론섬으로 여겨짐)에서 시타를 찾아내 라마에게 알린다. 그 외에도 단신 또는 원숭이 종족을 이끌고 여러 차례 라마를 도왔다고 하며, 그 중에서도 가장 뛰어난 전사, 변설가로 여겨진다.
3. 3. 중세 후기와 근대
기원전 3세기경에 쓰여진 것으로 추정되는 바르미키의 ''라마야나''에서 하누만은 라마의 원조이자 메신저 역할을 하는 중요한 존재로 그려진다.[26] 그러나 하누만의 비중이 더욱 커지고 전형적인 영적 신봉자로서 두각을 나타낸 것은 후기 중세 시대, 특히 툴시다스가 쓴 대중적인 민간 텍스트 ''람차리트마나스''(1575년경)를 통해서였다.[85][27] 패트릭 피블스 등 학자들에 따르면, 종교적 혼란과 이슬람 통치가 겹치던 인도 아대륙 시대에 박티 운동과 헌신을 중시하는 박티 요가가 16세기까지 힌두 문화의 주요 흐름으로 떠올랐으며, ''람차리트마나스''는 라마를 비슈누의 화신, 즉 숭배할 가치가 있는 최고의 존재이자 개인적인 신으로 묘사했고, 하누만은 전설적인 용기, 힘, 초능력을 가진 이상적인 사랑의 신봉자로 그려졌다.[72][28]
이 시대에 하누만은 샤크티와 박티의 이상적인 조합으로 발전하고 부상했다. 17세기 이후의 이야기와 민간 전승에서는 하누만을 신성한 존재, 신들의 후손, 시바의 화신으로 재구성하여 묘사하기 시작했다.[28] 그는 종교적 박해를 받는 자들의 옹호자, 저항의 상징, 요기, 무술가와 전사들에게 영감을 주는 존재, 털이 줄어들고 점점 인간적인 모습으로 변해가는 인물로, 소중한 미덕과 내면의 가치를 상징하며 그 자체로 숭배받을 가치가 있는 존재로 부상했다.[72][29] 하누만의 종교적 지위와 문화적 역할, 그리고 그의 도상학적 변화는 식민지 시대를 거쳐 탈식민 시대까지 이어졌다.[30]
4. 신화와 전설
힌두교의 성전이자 서사시인 『라마야나』에서 하누만은 원숭이 왕 수그리바가 형 바린에게 왕도 키시키다에서 쫓겨났을 때 수그리바를 따랐으며, 이후 비슈누 신의 화신인 라마 왕자와 락슈마나에게 도움을 요청한다. 라마가 바린을 물리치고 수그리바의 왕위를 회복시킨 후, 하누만은 라마 왕자의 부탁으로 왕비 시타를 찾는 일에 참여한다. 락샤사 (불교의 나찰) 왕 라바나의 거성이 있는 랑카에서 시타를 찾아 라마에게 알린다. 그 외에도 하누만은 단독으로 또는 원숭이 종족을 이끌고 라마를 여러 차례 도왔으며, 뛰어난 전사이자 변설가로 여겨진다.[39]
4. 1. 탄생
힌두교 전설에 따르면, 하누만은 어머니 안자나와 아버지 케사리 사이에서 태어났다.[11][31] 하누만은 또한 바유(바람의 신)의 아들이라고도 불리는데, 이는 하누만의 탄생에 바유가 역할을 했다는 전설과 관련이 있으며, 시바(파괴의 신)의 화신이라고도 전해진다. 에크나트의 ''바바르타 라마야나''(16세기 CE)에 언급된 한 이야기에 따르면, 안자나가 바유를 숭배하고 있을 때, 아요디아의 왕 다샤라타는 아이를 갖기 위해 푸트라카메스티 야그나 의식을 수행하고 있었다. 그 결과, 그는 세 아내에게 나눠줄 신성한 푸딩(파야삼)을 받았고, 이로 인해 라마, 락슈마나, 바라타, 샤트루그나가 태어났다. 신의 섭리에 따라, 솔개가 그 푸딩 조각을 낚아채서 안자나가 숭배를 하고 있던 숲 위를 날아가다 떨어뜨렸다. 바유는 떨어지는 푸딩을 손을 뻗은 안자나에게 전달했고, 그녀는 그것을 먹고 하누만을 낳았다.[31]마하르쉬 베다 비아사는 티루말라의 안자나드리 언덕을 하누만의 탄생지로 제안했다. 마하라슈트라의 나시크에 있는 안자네리[32][33]와 카르나타카의 강가바티 탈루크 코팔 지역에 있는 안제네리 안자나드리(함피 근처)는 키시키다가 위치했다고 주장하는 여러 장소 중 하나이다.[34][35][36]
4. 2. 어린 시절

《발미키 라마야나》에 따르면, 하누만은 어린 시절 어느 날 아침 배가 고파 태양을 보았다. 그는 태양을 잘 익은 과일로 착각하고 그것을 먹기 위해 뛰어올랐다. 힌두교 전승의 한 버전에서는 신들의 왕인 인드라가 개입하여 하누만에게 번개를 던졌다. 번개는 하누만의 턱에 명중했고, 하누만은 턱이 부러진 채 죽어 땅에 떨어졌다.[37] 하누만의 아버지 바유는 화가 나 지구에서 모든 공기를 거두어갔다. 공기 부족은 모든 생물에게 엄청난 고통을 초래했다. 이로 인해 시바가 개입하여 하누만을 소생시켰고, 이로 인해 바유는 생물에게 공기를 돌려주었다. 인드라가 실수로 벌인 일이었기 때문에 그는 하누만에게 그의 몸이 인드라의 바즈라만큼 강해질 것이며, 그의 바즈라도 그를 해칠 수 없다는 소원을 허락했다.[37]
인드라와 더불어 다른 신들도 그에게 소원을 허락했다.[37] 아그니는 불이 그를 해치지 않도록 소원을 허락했고, 바루나는 물이 그를 해치지 않도록 소원을 허락했으며, 바유는 그가 바람만큼 빨리 움직이고 바람이 그를 해치지 않도록 소원을 허락했다.[37] 브라흐마 역시 하누만이 그를 막을 수 없는 어떤 곳으로든 이동할 수 있다는 소원을 허락했다.[37] 따라서 이러한 소원들은 하누만을 독특한 힘과 강점을 지닌 불멸의 존재로 만들었다.[37]
그의 어린 시절 전설의 또 다른 힌두교 버전은, 아마도 더 오래되었고 8세기 ''두르타크야나''와 같은 자이나교 텍스트에서도 발견되는데, 하누만이 태양으로 뛰어오르는 것이 치명적이고 태양의 열에 의해 재로 변한다는 내용이다. 그의 재는 땅과 바다로 떨어진다. 이후 신들은 땅에서 그의 재와 뼈를 모아 물고기의 도움으로 그를 재조립한다. 그들은 그의 턱뼈의 한 조각을 제외하고 모든 것을 찾는다. 그의 외할아버지는 수르야에게 아이를 다시 살려달라고 부탁한다. 수르야는 그를 다시 살리지만, 하누만은 턱이 기형이 된 채로 남게 된다. 하누만은 어린 시절을 키슈킨다에서 보냈다고 한다.
이 사건이 있은 후 얼마 지나지 않아, 하누만은 단순한 장난으로 무고한 구경꾼들에게 초자연적인 힘을 사용하기 시작했고, 그러던 어느 날 그는 명상하는 현자를 놀린다. 격분한 현자는 하누만에게 그의 힘의 대부분을 잊어버리는 저주를 내린다. 이 저주는 그가 성인이 되어 그의 힘을 상기할 때까지 유효하다.
4. 3. 라마야나에서의 활약
하누만은 힌두교 서사시인 ''라마야나''에 등장한다.[20]
발미키의 ''라마야나''는 기원전 3세기경에 쓰여졌는데,[26] 하누만은 라마의 조력자이자 메신저 역할을 하는 중요한 존재로 그려진다. 라마와 그의 형제 락슈마나가 라마의 납치된 아내 시타를 찾아 키시키다에 도착한 후, 원숭이 왕 수그리바는 라마의 잃어버린 아내를 찾기 위해 네 방향으로 정찰대를 파견하기로 한다. 수그리바는 남쪽으로 하누만과 잠바반을 포함한 몇몇 다른 사람들을 보낸다. 이들은 인도의 최남단에서 란카 섬(현재의 스리랑카로 추정)이 보이는 바다를 만난다. 잠바반은 하누만이 과거에 저주로 잊었던 능력을 다시 쓸 수 있도록 저주를 푼다.[38]
저주가 풀린 하누만은 자신의 모든 신성한 힘을 기억해내고, 산만 한 크기로 변신하여 란카로 가는 좁은 해협을 건너 날아갔다고 한다. 도착하자 그는 란카 왕 라바나와 그의 악마 추종자들로 가득 찬 도시를 발견하고, 개미 크기로 줄어들어 도시로 잠입한다. 도시를 수색한 후 그는 악마 전사들이 지키고 있는 숲에서 시타를 발견한다. 시타는 라바나가 그녀를 납치했고 곧 그녀와 결혼하라고 강요하고 있다고 밝힌다. 하누만은 그녀를 구출하겠다고 제안하지만 시타는 남편이 그렇게 해야 한다고 말하며 거절한다.[38][39]
이후 하누만은 라바나의 궁정에서 붙잡히고, 하누만이 라마가 시타를 데리러 올 것이라고 말하자 라바나는 그의 꼬리에 불을 지르라고 명령한다. 그러나 꼬리에 불이 붙자 그는 꼬리를 다시 줄이고 초인적인 힘으로 묶여 있는 곳에서 풀려난다. 그는 창밖으로 뛰어내려 지붕에서 지붕으로 뛰어다니며 건물마다 불을 질러 도시의 많은 부분이 불타게 된다. 이러한 승리를 본 하누만은 인도로 돌아간다.[38][39]
그는 돌아와서 정찰대에게 일어난 일을 말하고, 그들은 키시키다로 서둘러 돌아간다. 시타가 안전하고 그를 기다리고 있다는 소식을 듣고 라마는 수그리바의 군대의 지원을 받아 란카로 진군한다. 이렇게 전설적인 란카 전투가 시작된다.[38]
길고 긴 전투 동안 하누만은 군대의 장군 역할을 했다. 격렬한 전투 중에 락슈마나가 치명상을 입었고, 약초가 없으면 죽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하누만은 히말라야 산에서 약초를 가져오기 위해 보내졌는데, 산에서 그는 잘못된 약초를 가져가고 싶지 않아 산을 통째로 뜯어내 전투로 날아갔다. 이 행위는 아마도 힌두교도들 사이에서 그의 가장 전설적인 행위일 것이다.[39] 결국 라마는 라바나와 나머지 악마 군대를 죽였다. 라마는 하누만에게 선물을 주려 했지만, 하누만은 라마를 기억하기 위해 선물이 필요한 것이 아니라 항상 그의 마음속에 있을 것이라고 대답했다. 어떤 궁정 관리들은 그에게 증거를 요구했고, 하누만은 가슴을 찢어 그의 마음속에 라마와 시타의 이미지를 보여주었다.
라마는 그를 치유하고 불멸을 축복했지만, 하누만은 이것을 거부하고 라마의 발치에서 그를 숭배할 자리를 요청했다. 감동받은 라마는 어쨌든 그에게 불멸을 축복했다. 셰샤 나가처럼 하누만은 칼파 (우주의 파괴) 후에도 살아있을 것이다.[38][39]
힌두교의 성전이기도 한 서사시 『라마야나』에서 하누만은 원숭이 왕 수그리바가 형 바린에 의해 왕도 키시키다에서 쫓겨났을 때 수그리바를 따랐고, 이후 비슈누 신의 화신인 라마 왕자와 락슈마나에게 도움을 요청한다. 라마가 약속대로 바린을 물리치고 수그리바의 왕위를 회복한 후, 라마 왕자의 소원에 따라 그 왕비 시타를 수색하는 데 참여한다. 그리고 락샤사 (불교에서의 나찰) 왕 라바나의 거성, 바다를 건너 랑카에서 시타를 찾아내 라마에게 알린다. 그 외에도 단신 또는 원숭이 종족을 이끌고 여러 차례 라마를 도왔다고 하며, 그 중에서도 가장 뛰어난 전사, 변설가로 여겨진다.
4. 4. 마하바라타에서의 등장

하누만은 힌두교 서사시인 마하바라타에도 등장한다. 라마야나 사건 이후 수 세기가 지나, 하누만은 숲에서 살아가는 거의 잊혀진 반신이 되었다. 어느 날, 그의 영적인 형제인 비마가 아내 드라우파디를 위해 꽃을 찾으러 숲을 지나가게 되었다. 하누만은 이를 감지하고 비마에게 교훈을 주기로 결심했는데, 비마는 초인적인 힘을 자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기 때문이다.[40]
하누만은 허약한 늙은 원숭이의 모습으로 땅에 누워 비마와 마주쳤다. 비마가 움직이라고 요청했지만, 하누만은 그럴 수 없다고 말했다. 이 시대에는 사람을 밟고 지나가는 것이 매우 무례한 행동으로 여겨졌기 때문에, 하누만은 비마에게 자신의 꼬리를 들어 올려 길을 만들라고 제안했다. 비마는 기꺼이 꼬리를 들어 올리려 했지만, 꼬리는 꿈쩍도 하지 않았다.[40]
결국 비마는 굴복하고 늙은 원숭이가 평범한 존재가 아님을 깨달았다. 그는 하누만에게 정체를 밝혀달라고 요청했고, 하누만은 자신의 모습을 드러냈다. 형제는 서로를 껴안았다. 하누만은 비마가 곧 쿠룩셰트라 전쟁에 참여할 것이라고 예언하며, 그의 형제 아르주나의 전차 깃발에 앉아 비마를 위해 외치는 함성이 적들의 마음을 약하게 만들 것이라고 약속했다.
5. 속성
"하누만"이라는 단어의 의미나 어원은 불분명하다. 힌두교 판테온에서 신들은 일반적으로 많은 동의어를 가지며, 각 단어는 해당 신의 고귀한 특징, 속성 또는 업적을 상기시키는 것을 기반으로 한다. "하누만"의 한 가지 해석은 "얼굴이 일그러진 자"이다. 이 버전은 어린 하누만이 태양을 과일로 착각하여 영웅적으로 태양에 도달하려다가 신들의 왕인 인드라에 의해 턱에 상처를 입는다는 푸라나 전설에 의해 뒷받침된다.
하누만은 힌두교 박티-샤크티 숭배 전통에서 가장 소중히 여겨지는 두 가지 특징인 "영웅적이고 강하며 단호한 탁월함"과 "개인적인 신에 대한 사랑스럽고 감정적인 헌신"을 결합한다.
"하누만"의 언어적 변형에는 ''하누마트'', ''아누만''(타밀어), ''하누만타''(칸나다어), ''하누만투두''(텔루구어)가 있다. 다른 이름은 다음과 같다.
이름 | 의미 및 설명 |
---|---|
안자네야,[16] 안자니푸트라(칸나다어), 안자네야르(타밀어), 안자네유두(텔루구어), 안자니스우타 | 모두 "안자나의 아들"을 의미한다. |
케사리 난다나 또는 케사리수타 | 그의 아버지에 기반하여 "케사리의 아들"을 의미한다. |
바유푸트라/ 파반푸트라 | 바유 데바 - 바람의 신의 아들[85] |
바즈랑 발리/바즈랑 발리 | "바즈라(다이아몬드)"만큼 단단하거나 질긴 사지 (앙가)를 가진 강한 자 (발리)"; 이 이름은 북부 인도 시골에서 널리 사용된다. |
상카타 모차나 | "위험, 어려움 또는 장애물 (상카타) 제거자" |
마루티 | "마루타의 아들"(바유 데바의 또 다른 이름) |
카피슈와라 | "원숭이의 군주" |
라마 두타 | "라마의 메신저 (두타)" |
마하카야 | "거대한" |
비라, 마하비라 | "가장 용감한" |
마하발라/마하발리 | "가장 강한 자" |
바나르쿨라틴 톤디마 | "바나르 씨족의 후손"(타밀어) |
판차박트라 | "다섯 얼굴" |
무키야 프라나 데바루 | "원시 생명 제공자"(마드와스와 같은 드바이타 추종자들 사이에서 더 두드러짐) |
바르미키의 ''라마야나''는 기원전 3세기경에 쓰여진 것으로 추정되는데,[26] 하누만은 라마의 원조이자 메신저 역할을 하는 중요한 존재로 그려진다. 그러나 그의 비중이 더욱 커지고 전형적인 영적 신봉자로서 두각을 나타낸 것은 후기 중세 시대, 특히 툴시다스가 쓴 대중적인 민간 텍스트 ''람차리트마나스''(1575년경)를 통해서였다.[85][27] 패트릭 피블스 등 학자들에 따르면, 종교적 혼란과 이슬람 통치가 겹치던 인도 아대륙 시대에 박티 운동과 헌신을 중시하는 박티 요가가 16세기까지 힌두 문화의 주요 흐름으로 떠올랐으며, ''람차리트마나스''는 라마를 비슈누의 화신, 즉 숭배할 가치가 있는 최고의 존재이자 개인적인 신으로 묘사했고, 하누만은 전설적인 용기, 힘, 초능력을 가진 이상적인 사랑의 신봉자로 그려졌다.[72][28]
이 시대에 하누만은 샤크티와 박티의 이상적인 조합으로 발전하고 부상했다. 17세기 이후의 이야기와 민간 전승에서는 하누만을 신성한 존재, 신들의 후손, 시바의 화신으로 재구성하여 묘사하기 시작했다.[28] 그는 종교적 박해를 받는 자들의 옹호자, 저항의 상징, 요기, 무술가와 전사들에게 영감을 주는 존재, 털이 줄어들고 점점 인간적인 모습으로 변해가는 인물로, 소중한 미덕과 내면의 가치를 상징하며 그 자체로 숭배받을 가치가 있는 존재로 부상했다.[72][29] 하누만의 종교적 지위와 문화적 역할, 그리고 그의 도상학적 변화는 식민지 시대를 거쳐 탈식민 시대까지 이어졌다.[30]
하누만은 다음과 같은 많은 속성을 가지고 있다.
- ''치란지비''(불멸자): 다양한 버전의 ''라마야나''와 ''라마 카타''는 라마와 락슈마나가 죽기 직전, 하누만이 불멸의 축복을 받았다고 말한다. 그는 라마의 이야기가 살아있는 동안, 그리고 신들이 항상 이야기를 읊조릴 때 그 이야기가 계속될 것이기 때문에 영원히 인류의 일부가 될 것이다. 따라서 그는 영원히 살 것이다.[41]
- ''브라마차리''(자제력): 물질 세계의 모든 물질적인 것들에 대한 욕망을 제어하는 사람.[96]
- ''쿠룹''과 ''선다르'': 그는 힌두교 경전에서 외모는 ''쿠룹''(추함)하지만 내면은 신성하게 ''선다르''(아름다움)로 묘사된다. 하누만 찰리사는 그를 녹은 금색의 피부를 가진 잘생긴 사람으로 묘사한다(''kanchana barana birāja subesā'').[42]
- ''카마-루핀'': 그는 변신할 수 있으며, 원할 때 가장 작은 것보다 더 작아지거나 가장 큰 적보다 더 커질 수 있다. 그는 이 속성을 사용하여 랑카로 들어가기 위해 작아진다. 랑카에는 납치된 시타가 갇혀 있었기 때문이다. 나중에 그는 시타에게 자신의 진정한 힘을 보여주기 위해 산의 크기로 변하여 빛을 낸다.[43]
- ''힘'': 하누만은 특별히 강하며, 어떤 대의를 위해 어떤 짐이라도 들어 운반할 수 있다. 그는 ''비라'', ''마하비라'', ''마하발라''와 같은 이름으로 불리며 그의 속성을 나타낸다. 라마와 라바나의 서사시 전쟁 동안, 라마의 형제 락슈마나가 부상을 입었다. 그는 특정 히말라야 산에서 발견되는 약초로만 치료할 수 있으며, 그의 죽음을 막을 수 있었다. 하누만은 뛰어 올라 산을 찾는다. ''라마야나''는 하누만이 그 산이 많은 약초로 가득 차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고 말한다. 그는 어떤 것을 가져가야 할지 몰랐다. 그래서 그는 히말라야 산 전체를 들어 락슈마나를 위해 인도 전역을 가로질러 랑카로 가져갔다. 그의 엄청난 힘은 락슈마나가 부상에서 회복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이 전설은 그가 손바닥에 산을 들고 날아가는 모습으로 묘사되는 도상의 대중적인 근거이다.
- ''혁신'': 하누만은 매우 어려운 상황에 끊임없이 직면하는 사람으로 묘사되며, 적이나 상황이 그의 임무를 확실한 패배와 그의 존재 자체를 위협한다. 그러나 그는 역경을 바꿀 혁신적인 방법을 찾는다. 예를 들어, 그가 시타를 찾고, 라마의 메시지를 전달하고, 그가 실제로 라마의 진정한 메신저임을 설득한 후, 그는 감옥 경비병에게 발견된다. 그들은 하누만을 체포하고 라바나의 명령에 따라 공개 처형을 한다. 그곳에서 라바나의 경비병들은 그의 꼬리에 기름칠한 천을 묶어 불을 지르는 것으로 고문을 시작한다. 하누만은 한 궁전 옥상에서 다른 옥상으로 뛰어넘으며 그 과정에서 모든 것을 불태운다.
- ''바크티'': 하누만은 라마와 시타의 모범적인 헌신자(''박타'')로 제시된다. ''바가바타 푸라나'', ''박타 말라'', ''아난다 라마야나'' 및 ''라마차리트마나스''와 같은 힌두교 경전은 그를 재능 있고, 강하고, 용감하며 라마에게 영적으로 헌신하는 사람으로 제시한다.[44] ''라마야나'' 및 ''라마차리트마나스''와 같은 라마 이야기는 이상적이고, 덕이 있으며, 자비로운 남성(라마)과 여성(시타)의 힌두교 달마 개념을 제시하여 하누만을 위해 거기에 할당된 속성을 제공한다.[45][46]
- ''유능한 요기'': 툴시다스와 같은 후기 중세 텍스트와 그 이후의 텍스트에서 하누만의 속성은 힌두교의 베단타 철학, 베다, 시인, 박학다식가, 문법학자, 뛰어난 가수 및 음악가에 정통한 것을 포함한다.[44][11]
- ''장애 제거자'': 헌신적인 문학에서 하누만은 어려움을 제거한다.[44]
- ''질병, 고통 및 슬픔의 치유자:'' 헌신자들의 모든 종류의 질병, 고통 및 슬픔을 치유한다.
- ''악마, 악 및 부정적인 에너지의 살해자:'' 하누만은 귀신, 악령 및 악의적인 인간과 같은 부정적인 영향력을 제거하기 위해 숭배된다.[47] 하누만의 다음과 같은 이름은 이러한 특성 중 일부를 설명한다. ''Rakshovidhwansakaraka, Akshahantre, Dashagreevakulantaka, Lankineebhanjana, Simhikaprana Bhanjana, Maharavanamardana, Kalanemi Pramathana.''
- ''슈리 람과 그 자신의 헌신자의 보호자이자 구원자:'' 라마 궁전으로 가는 문의 문지기이자 보호자, 그리고 헌신자의 보호자이자 구원자.
- ''다섯 얼굴 또는 판차무카 그가 맹렬한 모습을 취할 때:'' 동쪽을 향한 하누만 얼굴 (안자네야)은 마음의 순수함과 성공을 부여한다. 남쪽을 향한 인간-사자 얼굴 나라심하, 서쪽을 향한 가루다 얼굴, 북쪽을 향한 멧돼지 얼굴 바라하, 그리고 하늘(위)을 향한 말 얼굴 (하야그리바).[48]
upright=0.85의 하누만 결가부좌]]
하누만은 중세 시대에 더 중요해졌으며 라마의 이상적인 신봉자(박타)로 묘사되었다.[22] 하누만의 삶, 헌신, 힘은 인도에서 레슬러들에게 영감을 주었다.[70]
하누만에 대한 숭배와 그의 신학적 중요성은 ''라마야나''가 쓰여진 후 2천 년대에 나타났다. 그는 인도 아대륙에 이슬람 통치가 도래한 후 두각을 나타냈다.[9] 그는 샤크티("힘, 영웅적인 주도권 및 단호한 탁월함")와 박티("그의 개인적인 신 라마에 대한 사랑하고 감성적인 헌신")의 이상적인 조합으로 여겨진다. 레슬러 외에도 다른 무술의 수호신이 되었다. 그는 재능 있는 문법학자이자 명상하는 요기이며 부지런한 학자라고 한다. 그는 절제, 믿음, 대의를 위한 봉사의 인간적 탁월함을 보여준다.[10][12][13]
17세기의 인도 북부 및 서부 지역에서 하누만은 이슬람 박해에 대한 저항과 헌신의 표현으로 나타났다. 예를 들어, 박티 시인-성자 람다스는 하누만을 마라타 민족주의와 무굴 제국에 대한 저항의 상징으로 제시했다.[72]
식민지 시대와 탈식민지 시대의 하누만은 샤크티와 박티의 상징적인 이상적인 조합으로서, 힌두교도들이 그들의 영성과 종교적 신념(달마)의 형태를 표현하고 추구할 권리로서 문화적 아이콘이 되었다.[73] 정치 및 종교 단체들은 그 또는 바즈랑과 같은 그의 동의어의 이름을 따서 이름을 지었다.[74][75][76] 정치적 퍼레이드나 종교적 행렬에는 힌두교 유산, 문화 및 종교적 신념에 대한 자부심과 권리의 표현으로 하누만으로 분장한 남성과 고피 (여유모)로 분장한 여성이 등장했다.[77][78] 일부 학자에 따르면 하누만과 관련된 청년 단체는 준군사 조직을 갖는 경향이 있으며 "이슬람, 기독교, 공산주의의 악의적인 시선"에 저항하거나 힌두 민족주의의 상징으로서 다른 종교에 반대해왔다.[79][80]
6. 다른 종교에서의 하누만
힌두교에서 하누만은 민간 신앙의 대상으로 인기가 높다. 인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원숭이의 일종인 하누만랑구르는 하누만 신의 권속으로 여겨져 힌두교 사원에서 보호받고 있다. 하누만은 중국에 전해져 서유기의 등장인물인 제천대성손오공의 모델이 되었다는 설도 있다.[131] 후쿠인칸 서점에서는 『해님을 원했던 하누만』이라는 제목으로 동화화되기도 했다.[132]
6. 1. 불교
하누만은 티베트 불교(중국 남서부)와 호탄 (중국 서부, 중앙 아시아, 이란 북부) 버전의 라마야나에 등장한다. 호탄 버전은 자타카 이야기와 유사한 주제를 가지고 있지만 하누만의 줄거리는 일반적으로 힌두교 텍스트와 유사하다. 티베트 버전은 더 장식적이며 자타카를 참조하려는 시도가 없다. 또한, 티베트 버전에서는 힌두교 버전에서 라마가 시타에게 메시지로 결혼 반지를 보내는 것 외에도 하누만이 라마와 시타 사이의 연애 편지를 전달하는 것과 같은 새로운 요소가 나타난다. 또한, 티베트 버전에서 라마는 원숭이 메신저이자 전사인 하누만이 더 자주 편지를 통해 자신과 소통하지 않는다고 꾸짖는데, 이는 그가 읽고 쓸 수 있는 배운 존재임을 암시한다.[58][59]
라마야나의 스리랑카 버전은 라바나의 이름을 따서 제목이 붙여졌으며, 이야기는 인도 이야기보다 덜 멜로드라마적이다. 하누만의 용감함과 혁신적인 능력을 설명하는 많은 전설이 싱할라 버전에서 발견된다. 등장인물이 관련된 이야기는 불교적 주제를 가지고 있으며 힌두교 다르마에 따른 윤리와 가치 구조가 내장되어 있지 않다.[61] 헤라 워커에 따르면, 일부 싱할라 공동체는 하누만의 어머니에게 기도함으로써 그의 도움을 구한다.[62] 아서 코터럴은 중국 불교 텍스트에서 신화는 부처와 하누만의 만남뿐만 아니라 하누만의 위대한 승리에 대해 언급한다고 말한다.[63] 로잘린 레페버에 따르면, 하누만이 동아시아 불교 텍스트에 등장하는 것은 6세기 CE에 라마야나가 중국어와 티베트어로 번역된 것에서 그 기원을 찾을 수 있다.[64]
중국과 일본 모두 인도와 마찬가지로 인간과 동물을 근본적으로 구분하지 않으며, 모든 생물과 자연이 인간과 관련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서양 전통과 달리 인간을 동물이나 자연보다 높이 평가하지 않는다. 신성한 원숭이는 2천 년 이상 불교 승려와 인도로의 순례를 통해 긴밀한 문화적 접촉을 하여 중국과 일본의 역사적 문학과 문화의 일부가 되었다. 예를 들어, 일본 텍스트 ''계란주요집''은 신성한 원숭이에 대한 신화를 제시하면서, 신토의 히에 신사의 수수형 (獸獸形) 상징을 제시하면서, 인도의 산을 중국으로, 그 다음 중국에서 일본으로 옮기는 하늘을 나는 흰 원숭이에 대해 설명한다.[65] 이 이야기는 부상당한 영웅이 하누만에게 히말라야에서 어떤 약초를 가져다 달라고 부탁하는 라마야나의 한 구절을 바탕으로 한다. 하누만은 그 약초를 몰라서 영웅이 선택할 수 있도록 산 전체를 가져온다. 그 당시 란카에서 온 학식이 풍부한 의사가 치료법을 발견했고 하누만은 산을 그가 가져온 곳으로 다시 가져온다. 8세기에서 14세기에 이르는 많은 일본 신토 신사와 마을 경계에는 원숭이 신이 인간과 신(카미) 사이의 수호자 또는 중재자 역할을 한다.
자타카 이야기는 하누만과 유사한 이야기를 담고 있다. 예를 들어, 부처는 그의 초기 생애 중 하나에서 ''마하카피 자타카''에서 원숭이 왕으로 묘사되는데, 그는 연민심이 많은 원숭이로서 고통받고 학대받지만, 길을 잃고 위험에 처한 인간을 돕는 달마를 계속 따른다.[66][67] 지금도 민간 신앙의 대상으로서 인기가 높으며, 인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원숭이의 일종인 하누만랑구르는 이 하누만 신의 권속으로 여겨져 힌두교 사원에서 보호받고 있다. 중국에 전해져, 서유기의 등장인물인 제천대성손오공의 모델이 되었다는 설도 있다.[131] 후쿠인칸 서점에서 『해님을 원했던 하누만』이라는 제목으로 동화화되었다.[132]
6. 2. 자이나교

비말라수리가 쓴 라마야나의 자이나교 버전인 《파우마차리야》(《파우마 차리우》 또는 《파드마차리트》라고도 함)는 하누만을 신성한 원숭이가 아닌 비디아다라(자이나교 우주론에서 초자연적 존재, 반신)로 언급한다. 하누만은 파방가티(바람 신)와 안자나 순다리의 아들이다. 안자나는 시어머니에게 추방당한 후 숲 속 동굴에서 하누만을 낳는다. 안자나의 외삼촌이 숲에서 그녀를 구출하고 비마나에 탑승하는 동안, 안자나는 실수로 아기를 바위에 떨어뜨린다. 그러나 아기는 다치지 않고 바위는 산산이 부서진다. 아기는 하누루하에서 자라나 "하누만"이라는 이름을 얻는다.[1]
힌두교 텍스트와 주요한 차이점이 있다. 자이나교 텍스트에서 하누만은 초자연적인 존재이고, 라마는 누구도 죽이지 않는 경건한 자이나교 신자이며, 라바나를 죽인 사람은 락샤마나이다. 하누만은 라마를 만나 그에 대해 배우고 시타가 라바나에게 납치된 것을 알게 된 후 라마를 지지하게 된다. 하누만은 라마를 대신하여 랑카로 가지만 라바나에게 시타를 포기하도록 설득할 수 없다. 결국 하누만은 라바나와의 전쟁에서 라마와 합류하여 여러 영웅적인 행위를 한다.[1]
구나바드라의 《우타라푸라나》(9세기)와 《안자나-파바난자야》(12세기)와 같은 후기 자이나교 텍스트에서도 같은 이야기를 전하고 있다.[1]
자이나교의 《라마야나》 이야기의 여러 버전에는 하누만과 라마(자이나교에서는 파우마라고 함)의 관계를 설명하는 구절이 있다. 이 버전들에서 하누만은 결국 모든 사회 생활을 버리고 자이나교 고행자가 된다.[1]
6. 3. 시크교
시크교에서 힌두교의 신 라마는 스리 람 찬다르로 불렸으며, 하누만의 이야기는 ''싯다''로서 영향력이 있었다. 1699년 무술 시크교 칼사 운동이 시작된 후 18세기와 19세기 동안 하누만은 칼사의 영감이자 존경의 대상이었다. 일부 칼사 연대는 하누만 이미지를 전장으로 가져갔다. 히르다 람 발라가 지은 ''하누만 나탁''과 카비 칸칸이 지은 ''다스 구르 카타''와 같은 시크교 경전은 하누만의 영웅적인 행적을 묘사하고 있다.[68] 루이스 페네흐에 따르면, 시크교 전통은 구루 고빈드 싱이 ''하누만 나탁'' 텍스트를 즐겨 읽었다고 한다.파키스탄이 된 지역의 식민지 시대 시크교 신학교에서 시크교 교사들은 ''바이''라고 불렸으며, 구르무키 문자로 된 ''Ramcharitmanas''와 다른 텍스트를 포함한 하누만 이야기를 담은 ''하누만 나탁''을 공부해야 했다.[69]
경전의 저명한 작가인 바가트 카비르는 하누만이 신성의 완전한 영광을 알지 못한다고 명시적으로 말한다. 이 진술은 신성을 무한하고 끊임없이 확장되는 것으로 보는 맥락에서 이루어진다. 따라서 안안타는 신의 이름이다. 산스크리트어에서 ''anta''는 "끝"을 의미한다. 접두사 ''-an''이 추가되어 단어 ''Ananta''("끝이 없는" 또는 "무한한" 의미)를 만든다.
7. 동남아시아에서의 하누만
마자파힛 시대의 하누만 조각상(안산암, 14세기)이 인도네시아 동 자바에서 발견되었다.
인도 외 지역에도 라마야나의 변형된 이야기가 존재하는데, 태국의 라마키엔이 그 예이다. ''라마야나''의 변형에 따르면, 맛차누는 라바나의 딸 수완나마차에게서 태어난 하누만의 아들이다.
동남아시아 텍스트에 등장하는 하누만은 북인도 힌두교 버전과 여러 면에서 다르다. 예를 들어, 버마의 ''라마 야간'', ''아라운 라마 타긴''(아라칸 방언), ''라마 바투'', ''라마 타긴'', 말레이의 ''히카얏 스리 라마''와 ''히카얏 마하라자 라바나'', 그리고 태국의 ''라마키엔''이 있다. 그러나 일부 경우, 이야기의 측면은 인도 아대륙의 다른 지역에서 발견되는 힌두교 버전과 불교 버전의 라마야나와 유사하다.
하누만은 동남아시아의 크메르 역사에서 존경받는 영웅이다. 그는 캄보디아 서사시인 리암케르에 주로 등장하며, 이는 산스크리트어 이티하사 라마야나 서사시에 기반한다.[101] 앙코르 와트 벽에 새겨진 정교한 조각들은 하누만을 포함한 라마야나의 장면들을 묘사한다.[102]
캄보디아와 동남아시아의 다른 많은 지역에서 가면 무용과 그림자극 예술은 하누만을 라마 (인도의 라마와 동일)와 함께 기념한다. 하누만은 흰색 가면으로 표현된다.[103][104] 특히 동남아시아 극장에서 하누만이 무술가로서 이룬 업적인 ''라마야나''가 인기를 끈다.[105]
하누만(인도네시아어: ''하노만'' 또는 ''아노만'')은 자바인 문화, 인도네시아에서 발견되는 와양 웡과 같은 역사적인 춤과 드라마 예술 작품의 핵심 인물이다. 이러한 공연 예술은 적어도 10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106] 그는 자바와 같은 인도네시아의 다른 섬에서 현지 버전의 ''라마야나''와 함께 인기가 있었다.[107][108]
중세 시대 주요 힌두교 사원, 고고학 유적지 및 인도네시아와 말레이 제도에서 발견된 필사본에서 하누만은 라마, 시타, 락슈마나, 비슈바미트라 및 수그리바와 함께 두드러지게 나타난다.[109][110] 가장 연구가 많이 되고 상세한 부조 예술 작품은 인도네시아 칸디의 파나타란과 쁘람바난에서 발견된다.[111][112]
하누만은 ''라마야나''의 다른 인물들과 함께 오달란 축제 및 발리의 다른 축제에서 연극 및 댄스 극장의 중요한 원천이다.[113]
자바의 와양 속 하노만은 바타라 구루의 아들이자, 바유(Vayu)의 제자이자 양자이다. 하노만은 라마 시대부터 자야바야 시대까지 여러 시대를 거치는 인물이다. 안자니는 리시 고타마의 장녀로, 원숭이의 얼굴을 갖게 되는 저주를 받았다. 아버지의 명령에 따라 마디르다 호수에 알몸으로 갇혔다. 옛날에 바타라 구루와 나라다(Batara Narada)가 하늘을 날아다녔다. 안자니를 본 바타라 구루는 너무 놀라 정액을 배출했다. 인형 신들의 왕은 그것을 타마린드 잎으로 비벼 호수에 던졌다. 시놈 잎이 안자니의 무릎에 떨어졌다. 그녀는 그것을 집어 먹고 임신했다. 출산할 때가 되자 안자니는 바타라 구루가 보낸 천사들의 도움을 받았다. 그녀는 하얀 털을 가진 아기 원숭이를 낳았고, 자신은 다시 아름다운 얼굴을 갖게 되어 천국으로 천사가 되었다.
안자니의 아들인 흰 원숭이 모습의 아기는 바타라 바유가 데려가 아이로 입양했다. 교육을 마친 후 하노만은 세상으로 돌아와 숙부인 키스켄다 동굴의 원숭이 왕 수그리바를 섬겼다. 그 당시 수그리바는 형제인 수발리, 하노만의 또 다른 숙부에게 막 패배했다. 하노만은 망명 중인 아요디아의 두 왕자 라마와 락슈마나를 만났다. 두 사람은 수그리바와 함께 수발리를 물리치고, 수발리의 제자인 라바나에게 납치된 라마의 아내 시타를 구출하기 위해 랑카(Alengka)의 땅을 공격했다.
하노만은 라바나의 권력을 조사하고 시타의 고난을 목격하기 위해 알렝카 궁전에 침투했다. 그는 그곳에서 소동을 일으켜 잡혀 불태워졌다. 대신 하노만은 알렝카의 수도의 일부를 불태우는 데 성공했다. 이 사건은 하누만 오봉으로 알려져 있다. 하노만이 라마의 자리로 돌아온 후 원숭이 군대는 알렝카를 공격하기 시작했다. 하노만은 수많은 알렝카 군대를 죽이는 영웅으로 등장했는데, 예를 들어 수르파나카(사르파케나카) 라바나의 여동생이 있다. 라마와 라바나의 마지막 전투에서 그는 영원히 살 수 있는 능력인 아지 판카수에게 압도당했다. 라마의 무기가 라바나를 죽일 때마다 라바나는 즉시 다시 일어났다. 라마 편에 선 라바나의 여동생 비비사나는 즉시 하노만에게 도움을 요청했다. 하노만은 또한 라바나가 라마의 손에 여러 번 죽었을 때 라바나의 시체 위에 떨어지도록 운가란 산을 들어 올렸다. 하누만의 뻔뻔함에 라마는 그에게 라바나의 무덤을 지키도록 벌을 내렸다. 라마는 라바나가 산에 깔려 아직 살아 있으며 언제든지 그의 영혼을 풀어 세상에 파괴를 일으킬 수 있다고 믿는다.
라마가 죽은 지 여러 해가 지난 후, 라바나의 영혼은 파티 산에서 탈출하여 수마트라 섬으로 가서 크리슈나의 여동생인 수바드라의 환생을 찾았다. 크리슈나는 라마의 환생이다. 하노만은 비마, 그의 남동생이자 바유의 양아들을 쫓아 만나 그 후 크리슈나를 섬겼다. 그는 또한 라바나의 영혼을 사로잡아 켄달리사다 산에 가두는 데 성공했다. 하노만은 그 산에서 은둔자로 활동한다.
원본과 달리, 와양의 하노만에게는 두 자녀가 있다. 첫째는 트리강가로, 자신과 같은 흰 원숭이의 형태를 하고 있다. 그가 알렝카를 불태우고 돌아왔을 때, 하노만은 시타를 돌본 비비사나의 딸인 트리야타의 얼굴을 한 형상을 하고 있었다고 한다. 바다 위에서 하누만의 정액이 떨어져 바닷물이 끓게 되었다. 그가 모르는 사이에 바루나는 거품을 트리강가로 만들었다. 트리강가는 즉시 성장하여 라바나의 아들 부크비스를 만났다. 두 사람은 친구가 되어 라마에 맞서 알렝카를 편들었다. 전쟁에서 트리강가는 라마와 락스마나를 납치했지만 하노만에게 쫓겼다. 나라다가 끼어들어 두 흰 원숭이의 혈연 관계를 설명했다. 결국 트리강가는 라바나를 배신했다.
하누만의 둘째 아들은 푸르와간티로, 판다바 시대에만 등장했다. 그는 유디스티라가 잃어버린 가보인 칼리마사다를 찾은 것으로 알려졌다. 푸르와간티는 하노만이 결혼한 제사장의 딸 푸르와티에게서 태어났다. 하누만은 너무 오래 살아서 사는 데 지쳐 있었다. 나라다가 그의 소원을 들어주기 위해 내려왔는데, 그것은 아르주나의 여섯 자손이 내전에 연루된 마지막 과제를 완수하는 한 죽는 것이었다. 하노만은 레시 마양가라로 변장하여 사리와하나의 아들 아스트라다르마를 자야바야의 딸 프라메스티와 결혼시키는 데 성공했다. 사리와하나 가문과 자야바야는 모두 아르주나의 후손임에도 분쟁에 연루되었다. 하노만은 자야바야의 적 얔사데와, 셀라후마의 왕을 상대하기 위해 나타났다. 그 전쟁에서 하누만은 죽었고, 그의 몸으로 목샤를 했으며, 얔사데와는 그의 원래 모습, 즉 죽음의 신 바타라 칼라로 돌아갔다.
하누만은 ''라마키엔''에서 훨씬 더 두드러진 역할을 한다.[116] 인도에서 라마에게 헌신하는 엄격한 삶과는 대조적으로, 하누만은 태국에서 바람둥이적이고 여성 편력이 있는 인물로 알려져 있다.[117] ''라마키엔''의 유명한 에피소드 중 하나는 그가 인어 수완나마차와 사랑에 빠져 그녀와의 사이에서 맛차누를 낳는 것이다. 또 다른 에피소드에서는 하누만이 라바나의 모습으로 변하여 라바나의 배필인 만도다리와 잠자리를 하여 그녀의 순결을 파괴하는데, 이는 라바나의 생명을 보호하는 마지막 수단이었다.
인도 전통과 마찬가지로, 하누만은 태국에서 무술의 후원자이자 용기, 굳건함, 그리고 탁월함의 본보기이다.[118] 그는 머리에 왕관을 쓰고 갑옷을 입은 모습으로 묘사된다. 그는 강인한 성격, 벌린 입, 그리고 때로는 삼지창을 들고 있는 백색증 환자로 묘사된다.
하누만은 태국 방콕에서 열린 제1회 아시아 무술 대회의 마스코트이다.
8. 사원과 신사
16세기 인도 시인 툴시다스는 하누만을 찬양하는 찬송가인 ''하누만 찰리사''를 썼다. 그는 하누만과 직접 만나는 환영을 보았다고 주장했으며, 이 만남을 바탕으로 라마야나의 아와디어 버전인 ''람차리트마나스''를 썼다.[56]
하누만의 도상은 발미키의 ''라마야나''에서 파생되었다. 그는 일반적으로 라마야나의 다른 중심 인물, 즉 라마, 시타, 락슈마나와 함께 묘사된다. 그는 가다(철퇴)와 뇌정(''바즈라'')과 같은 무기를 지닌다.[11][83]
그의 도상과 사원은 오늘날 흔히 볼 수 있다. 그는 일반적으로 라마, 시타, 락슈마나와 함께, 또는 그 근처의 바이슈나바교 사원에서 묘사되며, 또는 가슴을 열어 마음 가까이에 라마와 시타의 이미지를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모습으로 묘사된다. 그는 또한 샤이바교 신자들 사이에서도 인기가 있다.[10]
하누만은 종종 바이슈나바교의 라마와 시타와 함께 숭배되며, 때로는 그들과 독립적으로 숭배된다.[85] 인도 전역에는 하누만을 기리는 수많은 조각상이나 사원이 있다. 샤이바교도들은 그를 시바의 화신이라고 주장한다.[85]
매주 화요일과 토요일은 하누만 사원에서 특히 인기 있는 날이다. 어떤 사람들은 그 두 날 중 하루에 부분적인 금식이나 완전한 금식을 하고 하누만과 그들에게 그가 나타내는 신학을 기억한다.[11][12]
하누만의 주요 사원과 신사는 다음과 같다.
- 가장 오래된 독립적인 하누만 사원과 조각상은 약 922년으로 추정되는 카주라호에 있으며, 이는 카주라호 하누만 비문에서 유래되었다.[86]
- 아요디아의 하누만가르히는 하누만을 위한 10세기 사원이다.[87]
- 판치무키 하누만 사원은 파키스탄에 있는 1,500년 된 사원이다. 파키스탄 카라치의 솔저 바자르에 위치해 있다. 이 사원은 파키스탄 힌두교도들이 매우 숭배하는데, 이는 사람의 손으로 만들어지지 않은 하누만의 자연상태 조각상(스와얌부)이 있는 세계 유일의 사원이기 때문이다.[88][89]
- 히마찰 프라데시의 심라에 있는 자쿠 사원에는 108피트(33m) 높이의 기념비적인 하누만 조각상이 있으며, 심라에서 가장 높은 지점이다.[90]
- 가장 높은 하누만 조각상은 2003년에 설치된 비라 아바야 안자네야 스와미로, 안드라 프라데시 비자야와다에서 32km 떨어진 파리탈라에 있으며, 높이가 135피트에 달한다.
- 마드야 프라데시의 치트라쿠트에는 하누만의 판치무키 조각상이 있는 하누만 다라 사원이 있다. 숲 안에 위치해 있으며, 몇 킬로미터 떨어진 람가트와 함께 중요한 힌두교 순례지이다.[91]
- 18세기의 푸네의 페슈와 시대 통치자들은 시바, 가네쉬 또는 비탈과 같은 다른 신들의 사원보다 더 많은 하누만 사원에 기증했다. 심지어 현재에도 이 도시와 지역에는 다른 신들보다 더 많은 하누만 사원이 있다.
- 하누만의 주요 사원 중 하나는 구자라트 살랑푸르에 위치한 하누만 사원 살랑푸르이다.[92] 또한 높이가 54피트에 달하는 하누만 조각상도 있다.[93]

- 인도 외에도, 말레이시아 바투 동굴 근처에 타밀 힌두교도들이 건설한 주요 하누만 조각상과 트리니다드 토바고 카라피차이마에 식민 시대 힌두교 계약 노동자들의 후손들이 만든 약 25.91m의 카르야 시디 하누만 조각상이 있다. 또 다른 카르야 시디 하누만 사원이 미국 프리스코, 텍사스에 건설되었다.[94] 2024년에는 미국에서 세 번째로 높은 조각상이 된 연방 조각상이라는 이름의 또 다른 하누만 조각상이 텍사스에 개장되었다.[95]
지금도 민간 신앙의 대상으로서 인기가 높으며, 인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원숭이의 일종인 하누만랑구르는 이 하누만 신의 권속으로 여겨져 힌두교 사원에서 보호받고 있다. 중국에 전해져, 서유기의 등장인물인 제천대성손오공의 모델이 되었다는 설도 있다.[131]
9. 축제와 기념행사
하누만은 인도의 연례 람릴라 축제와 동남아시아, 특히 태국, 인도네시아의 발리, 자바 지역에서 열리는 계절별 연극의 중심 인물이다. 람릴라는 고대 힌두 서사시인 ''라마야나'' 또는 ''람차리트마나스''와 같은 2차 문학에 따라 라마의 삶을 극적으로 재현한 민속극이다.[96] 인도의 연례 가을 축제 나브라트리 기간 동안 열리는 수천 개의[97] 연극 및 무용 행사가 람릴라에 해당하며,[98] 하누만은 선과 악의 전설적인 전쟁을 묘사한 민속극의 많은 부분에 등장한다. 축제는 비자야다사미를 절정으로 한다.[99][100]
람릴라 축제는 2008년 유네스코에 의해 "인류의 무형 문화유산" 중 하나로 선언되었다. 람릴라는 우타르 프라데시, 우타라칸드, 비하르 및 마디아 프라데시에 위치한 역사적으로 중요한 힌두 도시인 아요디아, 바라나시, 브린다반, 알모라, 사트나 및 마두바니에서 특히 주목할 만하다.[99]
하누만의 생일은 일부 힌두교도들이 하누만 자얀티로 기념한다. 이 날은 인도의 대부분 지역에서 윤태양력 힌두력의 전통적인 차이트라 월에 해당하며, 이는 3월과 4월에 해당한다. 그러나 케랄라와 타밀나두 지역에서는 하누만 자얀티가 12월과 1월에 해당하는 지역 힌두력의 마르갈리 월에 기념된다. 이 축제일은 해가 뜨기 전에 하누만 사원에 모여 하루 종일 영적인 낭송과 선이 악을 이긴 이야기에 대한 읽기를 통해 기념된다.[8]
10. 현대 대중문화에서의 하누만
하누만은 라마야나 관련 영화에 자주 등장하는 인물이며, 하누만을 주인공으로 한 영화도 제작되었다. 1976년에는 레슬러 다라 싱이 하누만 역을 맡은 힌두어 영화 바즈란발리가 개봉되었다. 다라 싱은 라마난드 사가르의 텔레비전 시리즈 라마얀과 B. R. 초프라의 마하바라트에서도 하누만 역을 연기했다.[120] 1997년에는 텔레비전 시리즈 자이 하누만이 두르다르샨에서 방영되었다.
2005년에는 애니메이션 영화 하누만이 개봉되어 어린이들에게 큰 인기를 얻었다. 배우 무케쉬 칸나가 하누만 목소리를 연기했다.[121] 이후 하누만을 주인공으로 한 애니메이션 영화 시리즈가 제작되었는데, 2006년부터 2012년까지 제작된 발 하누만 시리즈가 대표적이다. 2009년 영화 마루티 메라 도스트는 현대적으로 하누만을 각색한 작품이다.[122]
2015년 볼리우드 영화 바즈란기 바이잔에서 살만 칸은 하누만의 열렬한 신봉자이자 보호, 용기, 힘을 얻기 위해 하누만을 찾는 파완 쿠마르 차투르베디 역을 맡았다.[123]
미국 대통령 버락 오바마는 사람들에게서 받은 작은 물건들을 가지고 다니는 습관이 있었는데, 그 중에는 하누만 작은 조각상도 있었다.[124][125]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 영화 블랙 팬서(2018)와 블랙 팬서: 와칸다 포에버(2022)에서 하누만이 언급되었다. 이 영화는 가상의 아프리카 국가 와칸다를 배경으로 한다. 자바리 부족은 조상 고릴라 신을 숭배할 때 "하누만에게 영광을"이라고 말한다. 이 언급은 인도 극장 상영본에서는 삭제되었지만, 무삭제 버전은 디지털 스트리밍 플랫폼에서 공개되었다.[126][127]
멕시코 어쿠스틱 메탈 듀오 로드리고 이 가브리엘라는 앨범 11:11에 수록된 "하누만"이라는 싱글을 발표했다. 이 곡은 카를로스 산타나에게 헌정되었다. 밴드가 하누만이라는 이름을 사용한 이유는 불분명하지만, 산타나가 "훌륭한 음악을 만들고 국제적인 음악가가 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준 멕시코 음악가들의 롤모델"이었다고 언급했다.[128]
2022년 영화 ''하누만 화이트 몽키''는 하누만을 주인공으로 하며, 특수 효과와 콘(태국 가면극) 공연 스타일을 결합한 판타지 영화이다.[129] 2022년 액션 어드벤처 영화 ''람 세투''에서는 "AP"라는 캐릭터가 하누만임을 암시한다.[130] 2024년, 텔루구 영화 감독 프라산트 바르마는 하누만의 힘을 바탕으로 한 슈퍼히어로 영화 ''하누-맨''을 연출했다. 후속편 ''자이 하누만''은 2025년 상크란티에 개봉될 예정이며, 하누만이 라마에게 한 약속을 보여줄 것이다.
하누만은 지금도 민간 신앙의 대상으로 인기가 높으며, 인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원숭이인 하누만랑구르는 하누만 신의 권속으로 여겨져 힌두교 사원에서 보호받고 있다. 하누만은 중국에 전해져 서유기 등장인물 손오공의 모델이 되었다는 설도 있다.[131]
후쿠인칸 서점에서 『해님을 원했던 하누만』이라는 제목으로 동화로 출간되었다.[132]
참조
[1]
웹사이트
Hanuman: A Symbol of Unity
https://www.thestate[...]
2021-01-21
[2]
서적
The Mythology of Supernatural: The Signs and Symbols Behind the Popular TV Show
https://books.google[...]
Penguin Publishing Group
2024-01-04
[3]
서적
Handbook of Hindu Mythology
https://books.google[...]
OUP USA
2024-01-04
[4]
서적
Hinduism in the Modern World
https://books.google[...]
Routledge
[5]
웹사이트
Hanuman
https://www.dictiona[...]
[6]
웹사이트
Anjaneya, Āñjaneya, Amjaneya: 9 definitions
https://www.wisdomli[...]
2022-11-13
[7]
서적
The Mahabharata: Volume 3
https://books.google[...]
Penguin Books
[8]
서적
Religions of the World: A Comprehensive Encyclopedia of Beliefs and Practices, 2nd Edition
https://books.google[...]
ABC-CLIO
[9]
간행물
'Review: Lutgendorf, Philip''s Hanuman''s Tale: The Messages of a Divine Monkey'
2010-11
[10]
서적
Encyclopedia of Hinduism
https://books.google[...]
Infobase
2017-05-26
[11]
서적
Handbook of Hindu Mytholog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2]
논문
Monkey in the Middle: The Status of Hanuman in Popular Hinduism
[13]
서적
Hanumān in the Rāmāyaṇa of Vālmīki and the Rāmacaritamānasa of Tulasī Dāsa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14]
웹사이트
Hanuman: Hindu mythology
https://www.britanni[...]
[15]
문서
Indigenous or Foreign? A Look at the Origins of the Monkey Hero Sun Wukong
https://telugustotra[...]
University of Pennsylvania
1998-09
[16]
서적
India through the ages
https://archive.org/[...]
Publication Division, Ministry of Information and Broadcasting, Government of India
[17]
웹사이트
ऋग्वेद:_सूक्तं_१०.८६
https://sa.wikisourc[...]
[18]
간행물
Like Mother, Like Son, Sita and Hanuman
http://www.manushi.i[...]
[19]
간행물
Like Mother, Like Son, Sita and Hanuman
http://www.manushi.i[...]
[20]
서적
Sacred Animals of India
https://books.google[...]
Penguin Books India
[21]
서적
Encyclopaedic Dictionary of Puranas, Vol. 1
https://books.google[...]
Sarup & Sons
2012-07-14
[22]
서적
Rāmakathā and Other Essays
https://books.google[...]
Vani Prakashan
2012-07-14
[23]
서적
The Rigveda, with Dayananda Saraswati's Commentary, Volume 1
https://books.google[...]
Sarvadeshik Arya Pratinidhi Sabha
[24]
서적
Gender Fluidity in Hindu Mythology
https://books.google[...]
Penguin Random House
2018-09-10
[25]
서적
Genesis and evolution of the Rāma kathā in Indian art, thought, literature, and culture: from the earliest period to the modern times
https://books.google[...]
B.R. Pub. Co.
2012-07-14
[26]
논문
The Two Epics
https://www.jstor.or[...]
1966
[27]
서적
The Rāmāyaṇa of Tulasīdāsa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28]
서적
Voices of South Asia: Essential Readings from Antiquity to the Present
https://books.google[...]
Routledge
[29]
서적
Martial Arts of the World: En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ABC-CLIO
[30]
간행물
Evolving a monkey: Hanuman, poster art and postcolonial anxiety
[31]
서적
Encyclopaedic Dictionary of Puranas Vol 2. (D-H)
https://books.google[...]
Sarup & Sons
[32]
웹사이트
Hanuman devotees to visit Anjaneri today
https://timesofindia[...]
2021-04-16
[33]
웹사이트
Maharashtra govt to develop Hanuman's birthplace Anjaneri
https://www.deccanhe[...]
2021-04-16
[34]
웹사이트
At Hampi, fervour peaks at Hanuman's birthplace
https://www.deccanch[...]
2020-12-04
[35]
웹사이트
Anjaneya Hill
http://hampi.in/anja[...]
2020-12-04
[36]
웹사이트
Anjeyanadri Hill ! Sightseeing Hampi
https://www.karnatak[...]
2020-12-04
[37]
서적
Hanumān in the Rāmāyaṇa of Vālmīki and the Rāmacaritamānasa of Tulasī Dāsa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38]
서적
Valmiki's Ramayana
Amar Chitra Katha
[39]
서적
Hanuman
Amar Chitra Katha
[40]
서적
Bheema and Hanuman
Amar Chitra Katha
[41]
서적
Hanuman, God and Epic Hero: The Origin and Growth of Hanuman in Indian Literary and Folk Tradition
https://books.google[...]
Manohar Publications
[42]
서적
Mahaviri: Hanuman Chalisa Demystified
Bloomsbury Publishing, 2018
[43]
서적
The Ramayana of Valmiki: An Epic of Ancient India, Volume V: Sundarakanda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New Jersey
[44]
서적
Hanumān in the Rāmāyaṇa of Vālmīki and the Rāmacaritamānasa of Tulasī Dāsa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45]
서적
Indian Epic Values: Rāmāyaṇa and Its Impact
https://books.google[...]
Peeters Publishers
[46]
서적
Comparative Ethics in Hindu and Buddhist Traditions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47]
논문
Hanumān: The Power-Dispensing Monkey in North Indian Folk Religion
https://doi.org/10.2[...]
1978
[48]
논문
Five Heads and No Tale: Hanumān and the Popularization of Tantra
https://www.jstor.or[...]
2001
[49]
서적
The Rāmāyaṇa of Tulasīdāsa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50]
서적
Hanumān in the Rāmāyaṇa of Vālmīki and the Rāmacaritamānasa of Tulasī Dāsa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51]
서적
South Asian Folklore: An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52]
논문
Narrative Reliefs of Bhima and Purushamriga at Vijayanagara
[53]
서적
The Mahabharata, Vol. 2: Book 2: The Book of Assembly; Book 3: The Book of the Forest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54]
서적
Devotion divine: Bhakti traditions from the regions of India : studies in honour of Charlotte Vaudeville
https://books.google[...]
Egbert Forsten
2012-07-14
[55]
서적
Sixty Upanishads of the Veda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Publ.
[56]
서적
Hanumān in the Rāmāyaṇa of Vālmīki and the Rāmacaritamānasa of Tulasī Dāsa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asidas publ.
2012-07-14
[57]
문서
Mystery of Hanuman Inspiring Tales from Art and Mythology –The Story of Ahiravan Vadh – Hanuman Saves Lord
[58]
서적
The Silk Road: Trade, Travel, War and Faith
https://books.google[...]
Serindia Publications
[59]
서적
Righteous Rāma: The Evolution of an Epic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60]
서적
The Monkey as Mirror: Symbolic Transformations in Japanese History and Ritual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61]
서적
The Buddhist Visnu: Religious Transformation, Politics, and Culture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62]
서적
Indigenous Or Foreign?: A Look at the Origins of the Monkey Hero Sun Wukong, Sino-Platonic Papers, Issues 81–87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Pennsylvania
[63]
서적
The Pimlico Dictionary of Classical Mythologies
https://books.google[...]
Random House
[64]
서적
The Ramayana of Valmiki: An Epic of Ancient India-Kiskindhakanda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65]
서적
Re-Visioning "Kamakura" Buddhism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Hawaii Press
[66]
서적
Buddhism in the Public Sphere: Reorienting Global Interdependence
https://books.google[...]
Routledge
[67]
서적
Unfortunate Destiny: Animals in the Indian Buddhist Imagination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68]
서적
The Sikh Zafar-namah of Guru Gobind Singh: A Discursive Blade in the Heart of the Mughal Empir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69]
서적
Studying the Sikhs: Issues for North America
https://books.googl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70]
서적
The Goddess in India: The Five Faces of the Eternal Feminine
https://books.google[...]
Inner Traditions * Bear & Company
2012-07-18
[71]
논문
Monkey in the Middle: The Status of Hanuman in Popular Hinduism
[72]
서적
Tradition and Modernity in Bhakti Movements
https://books.google[...]
Brill Academic
[73]
문서
Evolving a monkey: Hanuman, poster art and postcolonial anxiety
[74]
서적
Religion, Caste, and Politics in India
https://books.google[...]
Primus Books
2017-05-28
[75]
서적
Peasants and Monks in British India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76]
서적
Anatomy of a Confrontation: Ayodhya and the Rise of Communal Politics in India
https://books.google[...]
Palgrave Macmillan
[77]
서적
Religion, Caste, and Politics in India
https://books.google[...]
Primus Books
2017-05-28
[78]
서적
Religion and the Morality of the Market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79]
서적
Future of Multicultural Britain: Confronting the Progressive Dilemma: Confronting the Progressive Dilemma
https://books.google[...]
Edinburgh University Press
[80]
서적
Hindu nationalism: origins, ideologies and modern myths
https://archive.org/[...]
Berg
[81]
논문
Five heads and no tale: Hanumān and the popularization of Tantra
[82]
웹사이트
Hanuman Bearing the Mountaintop with Medicinal Herbs
https://www.metmuseu[...]
1800
[83]
서적
Elements of Hindu iconography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84]
서적
Bhakti Religion in North India: Community Identity and Political Action
https://books.googl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85]
서적
South Asian Folklore: An Encyclopedia : Afghanistan, Bangladesh, India, Nepal, Pakistan, Sri Lanka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86]
간행물
Reports of a Tour in Bundelkhand and Rewa in 1883–84, and of a Tour in Rewa, Bundelkhand, Malwa, and Gwalior, in 1884–85
[87]
웹사이트
Hanuman Garhi
http://www.uptourism[...]
2020-07-28
[88]
웹사이트
Five historical Hindu temples of Pakistan
https://www.wionews.[...]
2020-12-04
[89]
웹사이트
Hinduism Today Magazine
https://www.hinduism[...]
2020-12-04
[90]
뉴스
The Indian Express
2010-11-02
[91]
서적
Temples of Madhya Pradesh
https://books.google[...]
Eicher Goodearth and Government of Madhya Pradesh
[92]
서적
An introduction to Swaminarayan Hinduism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9-05-14
[93]
웹사이트
Amit Shah Unveils 54-Feet-Tall Statue Of Lord Hanuman At Gujarat Temple
https://www.ndtv.com[...]
2023-08-10
[94]
웹사이트
New Hindu temple serves Frisco's growing Asian Indian population
https://www.dallasne[...]
Dallas Morning News
2015-08-06
[95]
뉴스
90-ft Hanuman Statue of Union unveiled in Texas, 3rd tallest in US
https://timesofindia[...]
2024-09-04
[96]
서적
The Illustrated Encyclopedia of Hinduism: N-Z
https://archive.org/[...]
The Rosen Publishing Group
[97]
논문
The Ramlila of Ramnagar [India]
[98]
웹사이트
Navratri – Hindu festival
https://www.britanni[...]
2017-05-28
[99]
웹사이트
Ramlila, the traditional performance of the Ramayana
http://www.unesco.or[...]
UNESCO
[100]
서적
Ramlila
https://books.google[...]
ABC-CLIO
[101]
웹사이트
Reamker
http://asiasociety.o[...]
Asia Society
[102]
논문
Reamker (Rāmakerti), the Cambodian Version of the Rāmāyaṇa. A Review Article
[103]
서적
Classical Dance and Theatre in South-East Asia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04]
서적
Expressions of Cambodia: The Politics of Tradition, Identity and Change
https://books.google[...]
Routledge
[105]
서적
The Cambridge Guide to Asian Theatr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06]
서적
Bali: Magical Dances
https://books.google[...]
epubli
[107]
간행물
The Rāmāyana in Indonesia
https://www.jstor.or[...]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27
[108]
간행물
The Ramayana in Indonesia: alternate tellings
https://www.jstor.or[...]
India International Centre Quarterly
2005
[109]
서적
Rāma-legends and Rāma-reliefs in Indonesia
https://books.google[...]
Abhinav Publications
[110]
서적
Archaeology: Indonesian Perspective : R.P. Soejono's Festschrift
https://books.google[...]
Yayasan Obor Indonesia
[111]
서적
From Lanka Eastwards: The Ramayana in the Literature and Visual Arts of Indonesia
https://books.google[...]
BRILL Academic
[112]
서적
The Ramayana Reliefs of Prambanan
https://books.google[...]
Penerbit Kanisius
[113]
서적
The Life of a Balinese Temple: Artistry, Imagination, and History in a Peasant Villag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14]
간행물
Hanoman, Akhir bisu sebuah perang besar
https://books.google[...]
Pitoyo Ebook
2023-03-19
[115]
서적
Many Rāmāyaṇas: The Diversity of a Narrative Tradition in South Asi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16]
문서
KHON: MASKED DANCE DRAMA OF THE THAI EPIC RAMAKIEN
https://library.umai[...]
University of Maine
1997
[117]
서적
Lonely Planet Thailand
https://books.google[...]
Lonely Planet
2018
[118]
서적
Muay Thai
https://books.google[...]
New Holland
[119]
웹사이트
Wives Of Hanuman
https://www.speaking[...]
2020-01-03
[120]
웹사이트
Did you know how Dara Singh was chosen for the role of Hanuman in Ramayan?
https://www.mid-day.[...]
2020-06-14
[121]
웹사이트
Hanuman: the journey of a mythical superhero
https://www.news18.c[...]
2020-06-14
[122]
웹사이트
5 Bollywood Movies About Hanuman
https://in.bookmysho[...]
2019-03-29
[123]
웹사이트
Bajrangi Bhaijaan (2015)
https://www.rottento[...]
2019-03-19
[124]
뉴스
Revealed: Obama always carries Hanuman statuette in pocket
https://www.thehindu[...]
2016-01-16
[125]
웹사이트
Obama Reveals Lucky Charms During Interview
https://www.youtube.[...]
Associated Press
2016-01-16
[126]
웹사이트
What India can learn from 'Black Panther'
https://www.washingt[...]
2018-05-17
[127]
웹사이트
'Black Panther' Movie Had a Word Censored in India
http://comicbook.com[...]
2018-05-17
[128]
뉴스
Rodrigo y Gabriela: Fusing Flamenco And Metal
https://www.npr.org/[...]
2020-09-21
[129]
웹사이트
'White Monkey' Khon performance film to hit cinemas on December 5
https://thainews.prd[...]
2022-12-05
[130]
웹사이트
Who is AP in Ram Setu?
https://www.truescoo[...]
2022-12-24
[131]
서적
孫悟空の誕生 ― サルの民話学と「西遊記」
[132]
문서
[133]
문서
[134]
문서
[135]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