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맹꽁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시아맹꽁이(Kaloula pulchra)는 1831년 존 에드워드 그레이에 의해 처음 기술된 개구리 종이다. 몸길이는 5.5~7.5cm이며, 동남아시아가 원산지로, 인도 북동부, 네팔, 중국 남부 등 광범위한 지역에 분포한다. 숲이나 물가에 서식하며, 야행성이다. 굴을 파는 습성이 있으며, 건조한 환경에서 생존하고 포식자를 피하는 데 도움이 된다. 몬순 우기에 번식하며, 곤충류를 먹는다. 환경 적응력이 뛰어나 도시에서도 발견되며, 애완동물로 사육되기도 한다. IUCN은 아시아맹꽁이를 관심대상으로 분류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아시아맹꽁이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보전 상태 | LC - 최소 관심 |
학명 | Kaloula pulchra |
명명자 | (Gray, 1831) |
![]() | |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양서강 |
목 | 개구리목 |
아목 | 신와아목 |
과 | 맹꽁이과 |
속 | 짐그리가엘속 (Kaloula) |
종 | 아시아짐그리가엘 (K. pulchra) |
형태 | |
크기 | 5.4 ~ 7.5 센티미터 |
일반 명칭 | |
영어 이름 | Banded bullfrog Asian painted frog Malaysian painted frog Burmese painted frog Rice frog Bubble frog Chubby frog |
일본어 이름 | 아시아짐그리가엘 (アジアジムグリガエル) |
2. 분류 및 어원
아시아맹꽁이는 1831년 영국의 동물학자 존 에드워드 그레이에 의해 처음 기술되었으며, 학명은 ''Kaloula pulchra''로 명명되었다. 학명의 'pulchra'는 라틴어로 "아름다운"을 의미한다.[2] 테오도어 칸토어는 1847년에 이 종을 ''Hylaedactylus bivittatus''라는 다른 이름으로 기술했으나,[3] 알베르트 귄터가 1858년에 이를 ''K. pulchra''와 동의어로 정리하였다.[4]
과거에 몇몇 아종이 제안되기도 했다. 저드슨 린슬리 그레시트는 1938년에 ''K. p. hainana'' 아종을 기준 아종인 ''K. p. pulchra''보다 주둥이와 뒷다리가 짧다고 기술했다.[5] 또한, 스리랑카에서 발견된 개체를 대상으로 햄프턴 와일드먼 파커가 1934년에 ''K. p. taprobanica'' 아종을 제안했으나, 이는 나중에 별도의 종인 ''Uperodon taprobanicus''로 재분류되었다.[6] 르네 레옹 부레가 1942년에 기술한 ''K. p. macrocephala'' 아종 역시 현재는 많은 학자들이 별개의 종 ''K. macrocephala''로 간주하고 있다.[7][8][9]
다렐 프로스트의 ''Amphibian Species of the World''에 따르면, ''Kaloula pulchra''는 다양한 일반명으로 불린다.[10]
영어 일반명 | 한국어 번역 (직역 또는 통용명) |
---|---|
Malaysian narrow-mouthed frog | 말레이시아 좁은입 개구리 |
Asian painted frog | 아시아 페인티드 개구리 |
Digging frog | 파는 개구리 |
Painted bullfrog | 페인티드 황소개구리 |
Malaysian bullfrog | 말레이시아 황소개구리 |
Painted burrowing frog | 페인티드 땅굴 개구리 |
Common Asian bullfrog | 일반 아시아 황소개구리 |
Painted balloon frog | 페인티드 풍선 개구리 |
Painted microhylid frog | 페인티드 마이크로힐리드 개구리 |
애완동물 시장에서는 '통통한 개구리'라는 이름으로 유통되기도 한다.[39]
3. 형태
아시아맹꽁이는 튼튼한 삼각형 몸체와 짧은 주둥이를 가진 중간 크기의 개구리이다.[11][12] 주둥이-항문 길이(SVL)는 수컷이 5.4cm에서 7cm, 암컷이 5.7cm에서 7.5cm까지 자라며, 암컷이 수컷보다 약간 더 크다. 길이 차이를 제외하면 성적 이형성은 매우 제한적이다.[13] 일반적으로 몸길이는 5.5cm에서 7.5cm 정도이다. 몸무게는 80g에서 120g 사이이다.[14]
몸 색깔은 등 쪽이 짙은 갈색이며, 구리색에서 연어 핑크색까지 다양한 색의 줄무늬가 있다. 배 쪽은 크림색이다.[11][15] 주둥이에서 몸 측면에 걸쳐 밝은 갈색 줄무늬가 있는데, 이 색상 덕분에 숲 바닥에서는 몸의 윤곽이 불분명해져 보호색 역할을 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앞다리 발가락 끝은 삼각형 모양으로 넓어져 있다.
올챙이는 부화 후 약 0.5cm이며, 변태가 끝날 때 SVL이 약 1.1cm에 이른다. 올챙이는 갈색 또는 검은색의 타원형 몸체를 가지며 배는 옅은 색이다. 주둥이는 둥글고, 꼬리는 적당히 길고 가늘어지며 노란색 반점과 높은 지느러미가 있다. 꼬리 필라멘트는 없다.[16] 눈은 비교적 작고 머리 측면에 있으며, 검은색 또는 짙은 회색 홍채와 동공 주위의 금색 고리가 특징이다.[16] 변태 과정에서 눈의 크기가 커지고 튀어나오며, 둥근 끝을 가진 가늘고 긴 팔다리와 손가락을 발달시킨다.[17] 올챙이는 부화 후 2주부터 변태를 시작한다.[18]
4. 분포 및 서식지
아시아맹꽁이는 동남아시아가 원산지이다.[19] 자연 분포 지역은 인도 북동부,[21] 네팔,[20] 남인도, 스리랑카,[20] 중국 남부[21][20] (특히 하이난), 미얀마,[20] 캄보디아, 방글라데시, 베트남, 말레이시아, 태국, 라오스 및 동남아시아 해양 국가의 여러 섬에 이른다.[21][22][20] 이처럼 넓은 지역에 분포할 수 있는 것은 근연종인 ''Kaloula assamensis''에 비해 땅을 파는 능력이 뛰어나기 때문으로 여겨진다.[34]
서식 고도는 해수면부터 해발 750m까지 다양하다.[1] 도시와 시골 환경 모두에서 발견되며, 숲 서식지에서도 서식하는 등 다양한 환경에 잘 적응한다.[23]
4. 1. 침입종
아시아맹꽁이는 잠재적인 침입종으로 분류된다. 애완동물 거래와 해상 운송을 통해 타이완, 필리핀[24], 괌[25], 싱가포르, 보르네오, 술라웨시 등지에 유입되어 정착했다.[20][26] 특히 필리핀으로의 유입은 식물 묘목 운송 중 오염되거나 배 또는 보트에 숨어 들어오는 등 의도치 않은 경로를 통해 이루어졌을 가능성이 제기된다.[19]
오스트레일리아와 뉴질랜드에서도 일부 개체가 관찰된 바 있다.[26][27][28] 오스트레일리아 퍼스의 공항이나 뉴질랜드의 화물 항구 등지에서 발견된 기록이 있지만, 2019년 기준으로 두 나라 모두에서 침입하여 정착한 개체군은 확인되지 않았다.[30]
미국 플로리다에서도 2006년과 2008년에 애완동물 거래를 통해 유입된 것으로 추정되는 개체들이 발견되었으나, 2011년 조사 결과 개체수가 통제되고 있으며 번식의 증거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29]
5. 생태
평지의 숲이나 물가에 서식한다. 주로 땅 위에서 생활하는 지표성이지만, 나무 위에서 발견되기도 한다.[35] 야행성으로, 낮에는 낙엽이나 돌 밑 등에서 쉰다.
몸 형태는 점프보다는 걷기와 굴 파기에 더 적합하다.[33] 건조한 환경에서는 생존을 위해 땅 속에 몸을 묻고 비가 오기를 기다린다. 이때 뒷다리부터 땅 속으로 파고 들어가며, 앞다리를 사용하여 흙을 밀어내 몇 인치 깊이까지 파고 들어갈 수 있다.[17][34] 이렇게 굴을 파는 행동은 건조기를 버티는 것 외에도 포식자를 피하는 데 도움이 된다.
식성은 동물성으로, 주로 개미를 포함한 곤충류 등을 먹는다. 아시아 맹꽁이는 낮 동안 낙엽 아래에 숨어 있다가 저녁에 나와 먹이를 찾는다. 나무 위에서 흰개미를 사냥하는 모습이 관찰되기도 했다.[35]
번식은 주로 몬순 시기의 잦은 비에 자극받아 시작된다.[22][31] 비가 오면 땅 속에 있던 개구리들이 빗물이 고인 웅덩이나 연못으로 이동한다.[22][31] 습한 밤에 더 흔하게 발견되며, 건조한 시기에는 생식 활동을 하지 않지만, 생식샘은 우기가 시작되면 바로 짝짓기를 할 수 있도록 준비된 상태를 유지한다.[31] 인도에서는 수컷 개구리가 4월이나 5월 몬순 시작 후 울음소리를 내는데, 기록된 울음소리의 맥박은 초당 28–56회, 주파수 범위는 50–1760 Hz였다. 태국에서는 주파수 250 Hz (지속 시간 560–600 ms), 울음 당 18–21 펄스로 기록되었다.[32] 번식 형태는 난생이며, 우기에 생긴 웅덩이에 모여 수컷은 수면에 떠서 메이팅 콜을 한다.
외부의 적으로부터 위협을 받으면, 사지를 뻗고 몸을 부풀려 자신을 더 크게 보이게 함으로써 상대를 위협한다.
6. 인간과의 관계
아시아맹꽁이는 환경 적응력이 뛰어나 시가지나 쓰레기 처리장 등 인간 거주 환경 근처에서도 서식하며, 서식지에서는 개체 수가 가장 많은 개구리 중 하나로 꼽힌다.
애완동물로 사육되기도 하는데, 애완동물 가게에서 흔히 판매되며 테라리움 환경에 잘 적응한다.[39][45] 사육 시에는 바닥재로 피트-토양 혼합물, 이끼 혼합물, 야자 껍질 토양, 부엽토 등 보습력이 좋은 재료를 사용한다.[39][45] 바닥재는 숨기 좋도록 두껍게 깔아주고, 표면은 약간 건조하게, 바닥 부분은 습하게 유지하여 스스로 적절한 습도를 찾도록 하는 것이 좋다. 바닥재에 물을 주거나 야간에 분무기로 습도를 조절할 수 있다. 야생에서는 주로 개미와 흰개미를 먹지만, 사육 시에는 일반적으로 귀뚜라미나 밀웜과 같이 약간 더 큰 곤충을 먹이로 제공한다.[39] 다만, 머리와 입이 작기 때문에 몸 크기에 비해 작은 먹이를 선택해야 한다.
국제 애완동물 거래 시장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2015년에서 2018년 사이 유럽과 미국의 인터넷 애완동물 거래 목록 조사 결과, 아시아맹꽁이에 대한 구매 요청보다 판매 제안이 3~4배 더 많았으며, 인공 사육의 증거는 발견되지 않았다.[46] 필리핀에서는 상인들이 야생 개체를 직접 수집하여 판매하는데, 현지에서는 옅은 색상과 땅속에 숨는 습성 때문에 애완동물로서 인기가 낮은 것으로 보인다.[47] 1980년대 아르헨티나와 2020년 브라질에서 발견된 사례를 근거로, 수십 년간 남아메리카에서 불법적으로 거래되었을 가능성도 있다.[48]
일본에서도 과거 애완동물로 수입되어 사육되었으며, 아시아맹꽁이속(lat) 중 유통량이 가장 많았다. 유통되는 개체는 대부분 야생에서 포획된 것이었다. 그러나 2016년 10월 1일부터 생태계 교란 생물의 생태계 등에 관한 피해 방지법에 따라 생태계 교란 생물로 지정되어 현재는 사육이 금지되어 있다.
7. 보전 상태
국제 자연 보전 연맹은 아시아맹꽁이가 넓은 지역에 분포하고, 다양한 환경에 잘 적응하며, 개체수가 많을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관심대상으로 분류했다.[1] 여러 지역에서 사람들이 아시아맹꽁이를 식용으로 잡기도 하지만, 이러한 포획이 전체 개체수에 심각한 영향을 주는 수준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1]
8. 사진
참조
[1]
간행물
"''Kaloula pulchra''"
[2]
서적
The zoological miscellany: to be continued occasionally
https://www.biodiver[...]
Treuttel, Wurtz and Co., G.B. Sowerby, W. Wood
[3]
서적
Catalogue of reptiles inhabiting the Malayan peninsula and islands
https://www.biodiver[...]
J. Thomas
[4]
서적
Catalogue of the Batrachia Salientia in the collection of the British Museum
Taylor & Francis
[5]
논문
A new burrowing frog and a new lizard from Hainan Island
https://www.biodiver[...]
Biological Society of Washington
[6]
논문
An integrative taxonomic review of the South Asian microhylid genus ''Uperodon''
[7]
서적
Les batraciens de l'Indochine
L'Institut océanographique de l'Indochine
[8]
논문
Translation of the original description of ''Kaloula aureata'' Nutphand, 1989 (Anura: Microhylidae), with lectotype designation
[9]
논문
A new species of ''Kaloula'' (Amphibia: Anura: Microhylidae) from southern Guangxi, China
[10]
웹사이트
"''Kaloula pulchra'' Gray, 1831"
https://amphibiansof[...]
American Museum of Natural History
2022-01-31
[11]
논문
A New Host Record for ''Tritetrabdella taiwana'' (Hirudinida: Arhynchobdellida: Haemadipsidae) from the Asian Painted Frog ''Kaloula pulchra'' (Anura: Microhylidae) in Hong Kong, China, with a Taxonomic Note on ''T. taiwana''
[12]
논문
Defensive behavior of Banded Bullfrogs, ''Kaloula pulchra'' Gray 1831 (Anura: Microhylidae) from Kedah, peninsular Malaysia
[13]
논문
Sex Determination in Two Species of Anuran Amphibians by Magnetic Resonance Imaging and Ultrasound Techniques
[14]
논문
Characteristics of hemolytic activity induced by skin secretions of the frog ''Kaloula pulchra hainana''
[15]
논문
Sighting of Asian Painted Frog (''Kaloula pulchra'') from West Bhubanban (near Agartala city), West Tripura district, Tripura
[16]
웹사이트
Asian Banded Bullfrog
http://online-field-[...]
2021-12-03
[17]
논문
Larval morphology of three syntopic species of ''Kaloula'' Gray (Anura: Microhylidae) from Vietnam
[18]
서적
Frogs, toads, and treefrogs: everything about selection, care, nutrition, breeding, and behavior
https://archive.org/[...]
Barron's Educational Series
[19]
논문
Island Hopping in a Biodiversity Hotspot Archipelago: Reconstructed Invasion History and Updated Status and Distribution of Alien Frogs in the Philippines
[20]
서적
Naturalized reptiles and amphibians of the world
Oxford University Press
[21]
논문
Recent Records of Alien Anurans on the Pacific Island of Guam
[22]
논문
Heterospecific Amplexus Between a Male Paddy Frog, ''Fejervarya multistriata'' (Hallowell 1861) (Anura: Dicroglossidae), and a Male Banded Bullfrog, ''Kaloula pulchra'' Gray 1831 (Anura: Microhylidae), from Hong Kong
[23]
논문
Gruesome twosome kukri rippers: ''Oligodon formosanus'' (Günther, 1872) and ''O. fasciolatus'' (Günther, 1864) eat ''Kaloula pulchra'' Gray, 1831 either by eviscerating or swallowing whole
[24]
논문
Amphibians and Reptiles of Luzon Island (Philippines), VII: Herpetofauna of Ilocos Norte Province, Northern Cordillera Mountain Range
[25]
논문
Multiple pathways for invasion of anurans on a Pacific island
[26]
논문
An Asian species of frog (''Kaloula pulchra'', Microhylidae) intercepted at Perth International Airport, Australia
[27]
논문
Records of foreign reptiles and amphibians accidentally imported to New Zealand
[28]
서적
The systematics and zoogeography of the amphibia of Borneo
[29]
논문
Verified non-indigenous amphibians and reptiles in Florida from 1863 through 2010: Outlining the invasion process and identifying invasion pathways and stages
[30]
웹사이트
"''Kaloula pulchra'' Gray, 1831"
https://nas.er.usgs.[...]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2021-12-03
[31]
논문
The Breeding Patterns of Seven Species of Singapore Anura
[32]
논문
Advertisement Call and Breeding Period of the Frog, ''Kaloula pulchra'' (Microhylidae)
http://www.nfsci.org[...]
[33]
논문
Burrowing in frogs
[34]
논문
Defensive and burrowing behaviour of ''Kaloula assamensis'' Das et al., 2004 and ''Kaloula pulchra'' Gray, 1831 (Microhylidae)
https://www.zoosprin[...]
[35]
논문
Observations of Arboreality in a Burrowing Frog, the Banded Bullfrog, ''Kaloula pulchra'' (Amphibia: Anura: Microhylidae)
[36]
논문
Density and diet of invasive alien anuran species in a disturbed landscape: A case in the University of the Philippines Mindanao, Davao City, Philippines
[37]
논문
The diet of some Singapore Anura (Amphibia)
[38]
논문
Skull Shape in Frogs: Correlations with Diet
[39]
논문
Asian Painted Bullfrog Care
https://reptilesmaga[...]
2021-12-15
[40]
논문
Invasive apple snails (''Pomacea canaliculata'') are predators of amphibians in South China
[41]
논문
Are toad tadpoles unpalatable: evidence from the behaviour of a predatory dragonfly in South China
https://brill.com/vi[...]
[42]
논문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trypsin inhibitor from the skin secretions of ''Kaloula pulchra hainana''
[43]
논문
Adhesive Strength of Amphibian Skin Secretions
[44]
논문
''Sphaerechinorhynchus macropisthospinus'' sp. n. (Acanthocephala: Plagiorhynchidae) from Lizards, Frogs, and Fish in Thailand
https://archive.org/[...]
[45]
서적
Breeding Terrarium Animals: Amphibians and Reptiles Care—Behavior—Reproduction
TFH Publications
[46]
논문
The Internet-Based Southeast Asia Amphibian Pet Trade
https://www.traffic.[...]
Traffic
[47]
논문
Checklist of Exotic Species in the Philippine Pet Trade, I. Amphibians
https://www.journalo[...]
[48]
논문
Amphibian Illegal Pet Trade and a Possible New Case of an Invasive Exotic Species in Brazil
http://www.herpconb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