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젠슈타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이젠슈타트는 오스트리아 부르겐란트 주에 위치한 도시로, 할슈타트 문화 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했던 유서 깊은 지역이다. 1118년 "Castrum ferrum"(철의 성)으로 처음 문헌에 등장했으며, 헝가리 왕국의 일부였다가 여러 차례 지배 세력의 변화를 겪었다. 1925년부터 부르겐란트 주의 주도로, 제2차 세계 대전 중 폭격을 겪었으며, 1960년 아이젠슈타트 로마 가톨릭 교구의 관할지가 되었다. 현재는 오스트리아 국민당 소속 시장이 시정을 이끌고 있으며, 요제프 하이든을 기리는 하이든 페스티벌 개최, 에스테르하지 궁전, 아이젠슈타트 대성당 등 다양한 문화 유산을 보유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르겐란트주의 도시 - 루스트 (부르겐란트주)
오스트리아 부르겐란트주에 위치한 루스트는 1317년 문헌에 처음 기록되었고 1681년 자유 도시가 되었으며, 1921년 오스트리아로 편입된 후 독일 쿨름바흐, 헝가리 토카이와 자매 결연을 맺었다. - 부르겐란트주의 도시 - 마터스부르크
마터스부르크는 오스트리아 부르겐란트주 북부에 위치한 도시로, 헝가리 국경과 인접하며 로마 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했고, 과거 유대인 공동체의 중심지였으나 현재는 펠릭스 오스트리아 본사가 위치하고 도로와 철도를 통해 연결된다. - 오스트리아의 주도 - 빈
오스트리아의 수도이자 연방 주이며 다뉴브 강에 위치한 빈은 로마 시대 군사 기지에서 기원하여 합스부르크 가문의 중심지로서 정치, 문화, 예술의 중심지로 성장했고, 빈 회의 개최와 음악 발전, 국제 기구 유치를 통해 국제적 위상을 회복하여 현재 유럽 연합에서 다섯 번째로 큰 도시가 되었다. - 오스트리아의 주도 - 린츠
린츠는 오스트리아 상오스트리아 주의 주도로, 다뉴브 강 연안의 상업 및 산업 도시이며, 로마 시대 요새에서 기원하여 중세 무역 중심지로 번성했고, 2차 세계대전의 어두운 역사를 딛고 현재는 문화 도시이자 미디어 아트 중심지로 국제적 명성을 얻은 도시이다. - 오스트리아의 행정 구역 - 마이들링
마이들링은 오스트리아 빈의 12구역으로, 1892년 빈에 통합되어 주거 지역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며, 빈 메들링 역 등 주요 건축물과 대중교통이 발달한 지역이다. - 오스트리아의 행정 구역 - 잘츠부르크주
잘츠부르크주는 오스트리아 중앙 서쪽에 위치하며 알프스 산맥 북동부에 자리 잡은 주로, 다채로운 역사를 거쳐 현재는 1개의 헌장 도시와 5개의 구로 이루어져 지속적인 발전을 이루고 있다.
아이젠슈타트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 | |
바이에른어 | Eisnstod |
헝가리어 | Kismarton |
크로아티아어 | Željezni grad, Željezno |
슬로베니아어 | Železno |
![]() | |
지리 | |
면적 | 42.91 km² |
해발 고도 | 182 m |
행정 | |
국가 | 오스트리아 |
주 | 부르겐란트주 |
하위 행정 구역 종류 | 헌장 도시 |
시장 | 토마스 슈타이너 (ÖVP) |
인구 | |
인구 (2006년 1월) | 12,190명 |
인구 (2016년) | 14,241명 |
인구 밀도 | 284명/km² |
경제 | |
예산 (2021년) | 4225만 6천 유로 |
지출 (2021년) | 4225만 5천 유로 |
기타 정보 | |
시간대 | CET (UTC+1) |
여름 시간대 | CEST (UTC+2) |
차량 번호판 | E |
우편 번호 | 7000 |
지역 번호 | 02682 |
웹사이트 | www.eisenstadt.gv.at |
2. 역사
아이젠슈타트 지역은 할슈타트 문화 시대부터 사람이 살았던 흔적이 발견되었다. 켈트족과 로마 제국이 차례로 정착했다. 민족 대이동 시기에는 게르만족과 훈족 등 다양한 민족들이 거쳐 갔다. 800년경 샤를마뉴 통치하에 바이에른족의 정착이 시작되었다. 이 영토는 11세기에 헝가리 왕국의 일부가 되었다.
1118년 "Castrum ferrum"(철의 성)으로 처음 문헌에 등장하였는데, 이는 이 지역의 철광 채굴과 철 거래의 역사를 나타낸다. 1264년 "minor Mortin"(작은 마르틴)으로 언급되었으며, 이는 헝가리어 명칭인 키슈마르톤(Kismarton)과 일치한다. 투르의 마르티누스를 기리는 헝가리어 이름이다. 1241년 몽골 제국의 침략으로 파괴되었다.
1373년 커니절 가족 소유가 되었으며, 성벽 재건 및 1388년부터 1392년 사이에 현재의 성 자리에 요새를 건설했다. 1388년, 신성 로마 황제 지기스문트로부터 시장 개설 권한을 획득했다.
1440년부터 오스트리아 대공 알브레히트 6세가 대출의 담보로 이 도시를 소유했다. 1451년, 마차시 1세는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프리드리히 3세에게 헝가리 왕관의 대가로 이 도시를 양도했다. 1482년 마차시 1세가 무력으로 탈환했으나, 1490년 신성 로마 황제 막시밀리안 1세가 다시 획득했다.
오스만 제국은 빈을 진격하는 동안 1529년과 1532년에 아이젠슈타트(키슈마르톤)를 잠시 점령했다. 1589년에 화재로 파괴되었다. 1622년까지 합스부르크의 지배를 받았다.
1648년 에스테르하지 가문의 지배하에 들어가면서 도시의 모습이 크게 변화하기 시작했다. 특히, 에스테르하지 성 건설이 대표적이다. 1683년 임레 테쾨이 군대에 점령되었다. 1704년 반란군 쿠루츠 군대가 합스부르크에 의해 샨도르 카로이에게 패배하였다. 1776년 다시 화재로 파괴되었다.
요제프 하이든이 궁정 악장으로 임명되면서 예술적 전성기를 맞이했다. 1809년 나폴레옹 전쟁 중 프랑스 군대에 점령되었다. 1897년 철도망에 연결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 종전까지 아이젠슈타트는 헝가리 왕국 쇼프론 주 키슈마르톤 구의 소재지였다. 1921년 생제르맹 조약과 트리아농 조약에 따라 주민 투표 없이 오스트리아에 병합되었다. 단, 쇼프론 시와 다른 11개 마을은 주민 투표를 실시했다. 1925년 4월 30일부터 부르겐란트 주 정부 소재지이자 주도가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심하게 폭격당했다. 1945년 4월 2일, 빈 공세 과정에서 제3우크라이나 전선의 소련 군대에 점령되었고, 1955년까지 소련 점령하에 있었다. 1960년 아이젠슈타트 로마 가톨릭 교구의 관할지가 되었다.
2. 1. 초기 역사
아이젠슈타트 지역은 할슈타트 문화 시대부터 사람이 살았던 흔적이 발견되었다. 켈트족과 로마 제국이 차례로 정착했다. 민족 대이동 시기에는 게르만족과 훈족 등 다양한 민족들이 거쳐 갔다. 800년경 샤를마뉴 통치하에 바이에른족의 정착이 시작되었다. 이 영토는 11세기에 헝가리 왕국의 일부가 되었다.1118년 "Castrum ferrum"(철의 성)으로 처음 문헌에 등장하였는데, 이는 이 지역의 철광 채굴과 철 거래의 역사를 나타낸다. 1264년 "minor Mortin"(작은 마르틴)으로 언급되었으며, 이는 헝가리어 명칭인 키슈마르톤(Kismarton)과 일치한다. 투르의 마르티누스를 기리는 헝가리어 이름이다. 1241년 몽골 제국의 침략으로 파괴되었다.
2. 2. 중세 및 근세
1373년 커니절 가족 소유가 되었으며, 성벽 재건 및 1388년부터 1392년 사이에 현재의 성 자리에 요새를 건설했다. 1388년, 신성 로마 황제 지기스문트로부터 시장 개설 권한을 획득했다.1440년부터 오스트리아 대공 알브레히트 6세가 대출의 담보로 이 도시를 소유했다. 1451년, 마차시 1세는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프리드리히 3세에게 헝가리 왕관의 대가로 이 도시를 양도했다. 1482년 마차시 1세가 무력으로 탈환했으나, 1490년 신성 로마 황제 막시밀리안 1세가 다시 획득했다.
오스만 제국은 빈을 진격하는 동안 1529년과 1532년에 아이젠슈타트(키슈마르톤)를 잠시 점령했다. 1589년에 화재로 파괴되었다. 1622년까지 합스부르크의 지배를 받았다.
1648년 에스테르하지 가문의 지배하에 들어가면서 도시의 모습이 크게 변화하기 시작했다. 특히, 에스테르하지 성 건설이 대표적이다. 1683년 임레 테쾨이 군대에 점령되었다. 1704년 반란군 쿠루츠 군대가 합스부르크에 의해 샨도르 카로이에게 패배하였다. 1776년 다시 화재로 파괴되었다.
요제프 하이든이 궁정 악장으로 임명되면서 예술적 전성기를 맞이했다. 1809년 나폴레옹 전쟁 중 프랑스 군대에 점령되었다. 1897년 철도망에 연결되었다.
2. 3. 현대
제1차 세계 대전 종전까지 아이젠슈타트는 헝가리 왕국 쇼프론 주 키슈마르톤 구의 소재지였다. 1921년 생제르맹 조약과 트리아농 조약에 따라 주민 투표 없이 오스트리아에 병합되었다. 단, 쇼프론 시와 다른 11개 마을은 주민 투표를 실시했다. 1925년 4월 30일부터 부르겐란트 주 정부 소재지이자 주도가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심하게 폭격당했다. 1945년 4월 2일, 빈 공세 과정에서 제3우크라이나 전선의 소련 군대에 점령되었고, 1955년까지 소련 점령하에 있었다. 1960년 아이젠슈타트 로마 가톨릭 교구의 관할지가 되었다.3. 지리
아이젠슈타트는 불카 강으로 이어지는 평원에 위치하며, 라이타 산맥의 남쪽 기슭에 자리 잡고 있다. 헝가리 국경에서 약 12km 떨어져 있다.
아이젠슈타트는 4개의 구역으로 나뉜다.
- 오버베르크/펠쇼키슈마르톤헤지(위의 산)
- 운터베르크/알쇼키슈마르톤헤지(아래의 산)
- 클라인회플라인/키슈회플라니
- 장크트 게오르겐/라이타센트제르지
3. 1. 위치 및 지형
아이젠슈타트는 불카 강으로 이어지는 평원에 위치하며, 라이타 산맥의 남쪽 기슭에 자리 잡고 있다. 헝가리 국경에서 약 12km 떨어져 있다. 아이젠슈타트는 오버베르크/펠쇼키슈마르톤헤지(위의 산), 운터베르크/알쇼키슈마르톤헤지(아래의 산), 클라인회플라인/키슈회플라니, 장크트 게오르겐/라이타센트제르지 4개의 구역으로 나뉜다.3. 2. 행정 구역
아이젠슈타트는 아이젠슈타트-슈타트(아이젠슈타트 본시), 클라인회플라인 임 부르겐란트(아이젠슈타트 본시 서쪽), 장크트게오르겐 암 라이타게비르게(아이젠슈타트 본시 동쪽)의 세 개 구역(Ortsteile)으로 나뉜다.또한 아이젠슈타트는 아이젠슈타트-슈타트, 오버베르크, 운터베르크, 클라인회플라인 임 부르겐란트, 장크트게오르겐 암 라이타게비르게의 다섯 개 ''Katastralgemeinden''으로 나뉜다. 오버베르크(Oberberg)는 유대인 지구 너머에서 시작하는 아이젠슈타트 북부 지역이며,펠쇠키슈머르톤헤지/Felsőkismartonhegyhu 또는 젤레즈노 브리그/Željezno Brighr라고도 불린다. 운터베르크(Unterberg)는 칼바리엔베르크 광장 및 루스터 슈트라세 너머에서 시작하여 유대인 지구를 포함하는 아이젠슈타트 남부 지역으로, 얼쇼키슈머르톤헤지/Alsókismartonhegyhu 또는 젤레즈노 도니 브리그/Željezno Donji Brighr라고도 불린다.
그 외 비공식적인 지역으로는 비제커와 로베커가 있으며, 이들은 불카의 지류인 아이스바흐 남쪽에 있다. 아이젠슈타트는 아이젠슈타트-움게붕 구(''Bezirk'')로 둘러싸여 있다.
3. 3. 주변 지역
아이젠슈타트는 그로스회플라인, 뮐렌도르프, 슈타인브룬, 노이펠트/라이타, 에벤푸르트, 호른슈타인, 불카프로더스도르프, 트라우스도르프/불카 (불카와 아이스바흐에 위치)와 접한다.아이젠슈타트는 4개의 구역으로 나뉜다.
- 오버베르크/펠쇼키슈마르톤헤지(위의 산)
- 운터베르크/알쇼키슈마르톤헤지(아래의 산)
- 클라인회플라인/키슈회플라니
- 장크트 게오르겐/라이타센트제르지
3. 4. 기후
아이젠슈타트는 온화한 기후를 보이며, 비교적 강수량이 적고 일조량이 풍부하다.[5][6][7][8][9][10] 1981년~2010년 기준 연평균 기온은 약 10.4°C이며, 1월 평균 기온은 약 -0.1°C, 7월 평균 기온은 약 21°C이다. 연간 강수량은 약 758mm 정도이다. 1971년~2000년 기준 연평균 기온은 약 10.0°C이며, 연간 강수량은 618.0mm였다.[10]1981년~2010년 기준 월별 평균 기온은 다음과 같다.[5][6][7][8][9]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
평균 기온 (°C) | -0.1 | 1.3 | 5.5 | 10.7 | 15.7 | 18.8 | 21.0 | 20.2 | 15.5 | 10.2 | 4.9 | 0.8 |
1971년~2000년 기준 월별 평균 강수량은 다음과 같다.[10]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
평균 강수량 (mm) | 33.7 | 29.7 | 45.1 | 51.9 | 62.6 | 71.2 | 66.7 | 59.8 | 58.8 | 43.7 | 53.6 | 41.2 |
4. 정치
아이젠슈타트의 현 시장은 오스트리아 국민당(ÖVP) 소속의 토마스 슈타이너 (정치인)이다.[11]
시의회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 오스트리아 국민당(ÖVP): 17석
- 오스트리아 사회민주당(SPÖ): 8석
- 오스트리아 녹색당(Grüne): 3석
- 오스트리아 자유당(FPÖ): 1석
2021년 아이젠슈타트의 총 연간 예산은 약 4,226만 유로였다.[11]
5. 문화
아이젠슈타트는 요제프 하이든을 기리는 하이든 페스티벌(Haydn Festspiele)을 개최했다. 과거에는 '1000 와인의 축제'(Fest der 1000 Weine)라는 포도주 축제가 열렸다. 월드 애슬레틱스 컨티넨탈 투어의 오스트리아 오픈 대회를 개최했다.
6. 관광 명소
6. 1. 주요 건축물
에스테르하지 궁전은 아이젠슈타트의 대표적인 건축물이다.[12] 궁전 공원, 오랑제리, 레오폴디넨템펠이 있다. 글로리에트는 이전 에스테르하지 사냥 별장으로 사용되었다.6. 2. 박물관
하이든 박물관은 1766년부터 1778년까지 이 건물에 거주했던 요제프 하이든을 기리는 박물관이다. 요제프 하이든의 거주지를 개조한 곳으로, 규모는 자료관에 가깝다. 아이젠슈타트에서는 소규모이지만 "하이든 음악제"가 개최된다. 주립 박물관은 지역 박물관이다. 오스트리아 유대인 박물관이 있다. 교구 박물관은 지역 로마 가톨릭 아이젠슈타트 교구 박물관이다. 소방 박물관이 있다.7. 교육
아이젠슈타트는 부르겐란트 응용과학대학교(FH Burgenland),[13] 부르겐란트 교육대학교(PH Burgenland),[14] 요제프 하이든 사립 음악대학교(Joseph-Haydn-Privathochschule Burgenland)가 위치한 곳이다.[15]
8. 자매 도시
아이젠슈타트는 다음과 같은 도시들과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9. 저명한 인물
파울 1세 에스테르하지 공작은 1687년부터 1713년까지 갈란타의 초대 에스테르하지 공작이었다.[16] 파울 2세 안톤, 에스테르하지 공작은 헝가리 공작이자 군인이며, 음악 후원가였다. 아이자이아 베를린 (랍비)는 독일의 탈무드 학자이자 랍비였다.[17] 요제프 프란츠 바이글은 첼리스트였으며, 요제프 바이글의 아버지였다. 요제프 바이글은 작곡가이자 지휘자였다. 페르디난트 폰 로젠츠바이크는 오스트리아 군 장교이자 건축가로, 멕시코에서 활동했다. 요제프 히르틀은 해부학자였다.[18] 모리츠 베네딕트는 신경학자였으며, 페렌츠 파르카스 데 키슈바르나크는 헝가리 보이 스카우트의 수석 스카우트였다. 안드레아 프라운쉴은 정치인(ÖVP)이자 지역 시장이었고, 안드레아스 이반시츠와 필리프 호시너는 축구 선수이다.
=== 기타 거주 인물 ===
요제프 하이든은 로라우 출신의 작곡가이다.[19] 이그나츠 플레옐은 1772년부터 아이젠슈타트에서 요제프 하이든의 제자가 된 작곡가이다.[20] 요한 네포무크 훔멜은 오스트리아 작곡가이자 뛰어난 피아니스트였다. 로베르트 무질은 오스트리아의 철학 작가이다. 삼손 베르트하이머는 헝가리와 모라비아의 수석 랍비이자 아이젠슈타트의 랍비였다. 파울 이비는 아이젠슈타트 로마 가톨릭 교구의 개혁주의 주교이다.
아이젠슈타트는 예시바가 있던 도시였기 때문에, 이곳에서 배운 랍비가 많다. 헝가리 수석 랍비는 아이젠슈타트의 랍비였던 경우도 많다. 아이젠슈타트의 예시바에서 공부를 하거나 랍비를 한 인물들은 다음과 같다.
- 모르데카이 모키아흐(1650년경~1724년), 유대인 사바테안, 예언자이자 메시아 주장자
- 메이어 아이젠슈타트(1670~1744) 지벤게마인데의 랍비, 현지에서 사망
- 아키바 아이거(1761~1837), 랍비이자 정통 유대교의 옹호자.[21]
- 아담 리스트(1776~1827), 음악가, 프란츠 리스트의 아버지, 요제프 하이든의 지휘 아래 첼로 연주.
- 레오폴트 뢰브(1811~1875), 체르나 호라, 모라비아 출생, 아이젠슈타트의 예시바에서 공부
- 사무엘 뢰브 브릴(1814~1897), 랍비이자 탈무드 학자; 부다페스트 출생; 예시바에 다님
- 아이작 히르쉬 바이스(1815~1905), 탈무드 학자; 벨케 메지리치, 모라비아 출생; 예시바에서 공부
- 아즈리엘 힐데스하이머(1820~1899), 독일 랍비, 토라 임 데레크 에레츠를 설립; 1851년부터 아이젠슈타트의 랍비
- 마르쿠스 호로비츠(1844~1915), 독일 랍비이자 역사학자; 예시바에서 랍비 연구
- 아론 와이즈(1844~1896), 랍비, 에게르, 헝가리 출생, 예시바에서 공부; 스테판 사무엘 와이즈의 아버지
- 에마누엘 슈라이버(1852~1932), 미국 랍비, 리프니크 나트 베초우, 모라비아 출생; 현지 예시바에 다님
- 프리츠 슈피글(1926~2003), 음악가, 저널리스트, 방송인 및 유머 작가, 아이젠슈타트의 김나지움에 다님
9. 1. 출신 인물
파울 1세, 에스테르하지 공작은 1687년부터 1713년까지 갈란타의 초대 에스테르하지 공작이었다.[16] 파울 2세 안톤, 에스테르하지 공작은 헝가리 공작이자 군인이며, 음악 후원가였다. 아이자이아 베를린 (랍비)는 독일의 탈무드 학자이자 랍비였다.[17] 요제프 프란츠 바이글은 첼리스트였으며, 요제프 바이글의 아버지였다. 요제프 바이글은 작곡가이자 지휘자였다. 페르디난트 폰 로젠츠바이크는 오스트리아 군 장교이자 건축가로, 멕시코에서 활동했다. 요제프 히르틀은 해부학자였다.[18] 모리츠 베네딕트는 신경학자였으며, 페렌츠 파르카스 데 키슈바르나크는 헝가리 보이 스카우트의 수석 스카우트였다. 안드레아 프라운쉴은 정치인(ÖVP)이자 지역 시장이었고, 안드레아스 이반시츠와 필리프 호시너는 축구 선수이다.9. 2. 기타 거주 인물
요제프 하이든은 로라우 출신의 작곡가이다.[19] 이그나츠 플레옐은 1772년부터 아이젠슈타트에서 요제프 하이든의 제자가 된 작곡가이다.[20] 요한 네포무크 훔멜은 오스트리아 작곡가이자 뛰어난 피아니스트였다. 로베르트 무질은 오스트리아의 철학 작가이다. 삼손 베르트하이머는 헝가리와 모라비아의 수석 랍비이자 아이젠슈타트의 랍비였다. 파울 이비는 아이젠슈타트 로마 가톨릭 교구의 개혁주의 주교이다.아이젠슈타트는 예시바가 있던 도시였기 때문에, 이곳에서 배운 랍비가 많다. 헝가리 수석 랍비는 아이젠슈타트의 랍비였던 경우도 많다. 아이젠슈타트의 예시바에서 공부를 하거나 랍비를 한 인물들은 다음과 같다.
- 모르데카이 모키아흐(1650년경~1724년), 유대인 사바테안, 예언자이자 메시아 주장자
- 메이어 아이젠슈타트(1670~1744) 지벤게마인데의 랍비, 현지에서 사망
- 아키바 아이거(1761~1837), 랍비이자 정통 유대교의 옹호자.[21]
- 아담 리스트(1776~1827), 음악가, 프란츠 리스트의 아버지, 요제프 하이든의 지휘 아래 첼로 연주.
- 레오폴트 뢰브(1811~1875), 체르나 호라, 모라비아 출생, 아이젠슈타트의 예시바에서 공부
- 사무엘 뢰브 브릴(1814~1897), 랍비이자 탈무드 학자; 부다페스트 출생; 예시바에 다님
- 아이작 히르쉬 바이스(1815~1905), 탈무드 학자; 벨케 메지리치, 모라비아 출생; 예시바에서 공부
- 아즈리엘 힐데스하이머(1820~1899), 독일 랍비, 토라 임 데레크 에레츠를 설립; 1851년부터 아이젠슈타트의 랍비
- 마르쿠스 호로비츠(1844~1915), 독일 랍비이자 역사학자; 예시바에서 랍비 연구
- 아론 와이즈(1844~1896), 랍비, 에게르, 헝가리 출생, 예시바에서 공부; 스테판 사무엘 와이즈의 아버지
- 에마누엘 슈라이버(1852~1932), 미국 랍비, 리프니크 나트 베초우, 모라비아 출생; 현지 예시바에 다님
- 프리츠 슈피글(1926~2003), 음악가, 저널리스트, 방송인 및 유머 작가, 아이젠슈타트의 김나지움에 다님
참조
[1]
웹사이트
Eisenstadt Ergebnishaushalt
https://www.offenerh[...]
2021-04-02
[2]
웹사이트
Eisenstadt Ergebnishaushalt
https://www.offenerh[...]
2021-04-02
[3]
웹사이트
Eisenstadt | Baroque Architecture, Burgenland & Music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4]
웹사이트
Burgenland | Austria's Easternmost State & its History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5]
웹사이트
Klimamittel 1981–2010: Lufttemperatur
https://www.zamg.ac.[...]
Central Institute for Meteorology and Geodynamics
2019-10-29
[6]
웹사이트
Klimamittel 1981–2010: Niederschlag
https://www.zamg.ac.[...]
Central Institute for Meteorology and Geodynamics
2019-10-29
[7]
웹사이트
Klimamittel 1981–2010: Schnee
https://www.zamg.ac.[...]
Central Institute for Meteorology and Geodynamics
2019-10-29
[8]
웹사이트
Klimamittel 1981–2010: Luftfeuchtigkeit
https://www.zamg.ac.[...]
Central Institute for Meteorology and Geodynamics
2019-10-29
[9]
웹사이트
Klimamittel 1981–2010: Strahlung
https://www.zamg.ac.[...]
Central Institute for Meteorology and Geodynamics
2019-10-29
[10]
웹사이트
Klimadaten von Österreich 1971–2000 – Burgenland-Eisenstadt
http://www.zamg.ac.a[...]
Central Institute for Meteorology and Geodynamics
2019-10-29
[11]
웹사이트
Eisenstadt Ergebnishaushalt
https://www.offenerh[...]
2021-04-02
[12]
Flickr
Filckr photos
https://www.flickr.c[...]
[13]
website
FH Burgenland website
https://www.fh-burge[...]
[14]
website
PH Burgenland
https://www.ph-burge[...]
[15]
웹사이트
Joseph-Haydn-Privathochschule Burgenland
https://haydnkons.at[...]
2023-08-01
[16]
EB1911
[17]
EB1911
[18]
CathEncy
[19]
EB1911
[20]
EB1911
[21]
EB1911
[22]
encyclopedia
Ash
http://www.jewishenc[...]
[23]
웹사이트
デジタル大辞泉の解説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
2018-05-13
[24]
웹인용
Klimamittel 1981–2010: Lufttemperatur
https://www.zamg.ac.[...]
Central Institute for Meteorology and Geodynamics
2019-10-29
[25]
웹인용
Klimamittel 1981–2010: Niederschlag
https://www.zamg.ac.[...]
Central Institute for Meteorology and Geodynamics
2019-10-29
[26]
웹인용
Klimamittel 1981–2010: Schnee
https://www.zamg.ac.[...]
Central Institute for Meteorology and Geodynamics
2019-10-29
[27]
웹인용
Klimamittel 1981–2010: Luftfeuchtigkeit
https://www.zamg.ac.[...]
Central Institute for Meteorology and Geodynamics
2019-10-29
[28]
웹인용
Klimamittel 1981–2010: Strahlung
https://www.zamg.ac.[...]
Central Institute for Meteorology and Geodynamics
2019-10-29
[29]
웹인용
Klimadaten von Österreich 1971–2000 – Burgenland-Eisenstadt
http://www.zamg.ac.a[...]
Central Institute for Meteorology and Geodynamics
2019-10-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