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후이 구는 중화인민공화국 헤이룽장성 헤이허 시에 위치한 구이다. 당나라 시대부터 청나라 시대까지 다양한 왕조에 의해 점령되었으며, 1685년 아이후이 시가 건설되어 북만주에서 중요한 도시 중 하나로 발전했다. 1908년 아이후이 청이 설치되었고, 중화민국 수립 후 아이후이 현으로 통합되었다가 1956년 아이후이 현으로 개칭되었다. 1980년 헤이허 시가 분할 설치되었고, 1993년 헤이허 시가 지급시로 승격되면서 구 헤이허 시가 아이후이 구로 개편되었다. 아이후이 구는 4개의 가도, 3개의 진, 5개의 향, 3개의 민족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26개의 민족이 거주하고 있다. 지리적으로는 숲이 많고 러시아와 국경을 접하고 있으며, 경제적으로는 다양한 광물 매장량을 보유하고 있다. 교통은 국도 202, 베이안-헤이허 철도, 헤이허 아이후이 공항을 통해 이루어지며, 교육 기관으로는 헤이허 학원이, 의료기관으로는 아이후이 구 인민 병원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헤이허시의 행정 구역 - 베이안시 베이안시는 중화인민공화국 헤이룽장성 헤이허시에 위치한 현급시로, 냉대 동계 소우 기후를 보이며, 철도, 고속도로, 병원 등의 시설을 갖추고 있다.
헤이허시의 행정 구역 - 넌장시 넌장시는 중화인민공화국 헤이룽장성에 위치한 현급시이며, 과거 머르겐으로 불리며 헤이룽장성의 성도였고, 몬순의 영향을 받는 습윤 대륙성 기후를 보이며 간허강이 흐르고, 푸시선 철도 등이 지나간다.
헤이룽장성의 시할구 - 시린구 시린구는 고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정치, 경제, 문화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해왔으며 다양한 교통 수단을 제공하는 편리한 교통 환경을 갖춘 지역이다.
헤이룽장성의 시할구 - 둥안구 둥안구는 중화인민공화국 헤이룽장성 무단장 시에 위치한 시할구로, 1901년 동청 철도 개통과 함께 시가지가 형성되어 행정 구역 명칭 변경을 거쳐 1980년 둥안구로 개칭되었으며, 현재 5개의 가도를 관할하고 교통의 요지이다.
1683년, 러시아 제국 군대의 침략을 막기 위해 청나라 군대가 현재의 아이후이에 주둔했다.[2]1685년, 흑룡강성 아문의 명령에 따라 아이후이 시(아이후이/瑷珲중국어)가 건설되었다.[2] 건립 이후 2세기 동안 아이후이는 북부 만주에서 가장 중요한 도시 중 하나였다.
의화단 운동 이후, 1906년까지 러시아가 이 도시를 잠시 점령했다가 청나라에 반환되었다.[2]1908년(광서제 34년)에 설치된 '''아이후이 청'''을 전신으로 한다.
아이후이구는 1908년(광서제 34년)에 설치된 '''아이후이 청'''을 전신으로 한다.[9][10]중화민국이 성립되면서 1913년(민국 2년)에 '''아이후이 현'''(瑷珲县)으로 통합되었다.[2]1934년12월부터 1945년까지는 일본의 괴뢰국가인 만주국의 통치를 받았다.[2]
1956년12월 11일, '''아이후이 현'''(爱辉县)으로 이름이 변경되었다.[2]1980년11월 15일, 헤이허 시가 설치되었고, 1983년6월 6일, 아이후이 현은 폐지되어 헤이허 시에 병합되었다.[3]1993년에 지급시인 헤이허 시가 성립될 때, 구 헤이허 시는 '''아이후이 구'''로 개편되었다.[3]2015년5월 18일, 헤이룽장성 정부의 결정에 따라 관할 하의 "아이후이 진"의 이름이 옛 이름인 "아이후이 진"으로 돌아갔지만[9][10], 구의 이름은 "아이후이 구"로 남아있다.[11]
구의 중심인 아이후이 진(愛輝鎭)은 예전에 아이훈(璦琿)이라는 이름으로 알려져 있었고 1680년에 세워진 이래로 두 세기 동안 북만주에서 가장 중요한 마을 중 하나였다.[9][10]
1956년에 '''아이후이 현'''으로 개칭되었다.[9][10]1980년에 현 성(縣城)부에 '''헤이허 시'''가 분할 설치되었고, 1983년에는 아이후이 현이 폐지되어 헤이허 시에 편입되었다.[9][10]1993년에 지급시인 헤이허 시가 성립될 때, 구 헤이허 시는 '''아이후이 구'''로 개편되었다.[9][10]
2. 1. 청나라
1683년, 러시아 제국 군대의 침략을 막기 위해 청나라 군대가 현재의 아이후이에 주둔했다.[2]1685년, 흑룡강성 아문의 명령에 따라 아이후이 시(아이후이/瑷珲중국어)가 건설되었다.[2] 건립 이후 2세기 동안 아이후이는 북부 만주에서 가장 중요한 도시 중 하나였다.
의화단 운동 이후, 1906년까지 러시아가 이 도시를 잠시 점령했다가 청나라에 반환되었다.[2]1908년(광서제 34년)에 설치된 '''아이후이 청'''을 전신으로 한다.
2. 2. 중화민국
아이후이구는 1908년(광서 34년)에 설치된 아이후이 청을 전신으로 한다.[9][10] 중화민국이 성립되면서 1913년(민국 2년)에 아이후이 현(瑷珲县)으로 통합되었다.[2] 1934년 12월부터 1945년까지는 일본의 괴뢰국가인 만주국의 통치를 받았다.[2]
1956년 12월 11일, 아이후이 현(爱辉县)으로 이름이 변경되었다.[2] 1980년 11월 15일, 헤이허 시가 설치되었고, 1983년 6월 6일, 아이후이 현은 폐지되어 헤이허 시에 병합되었다.[3] 1993년에 지급시인 헤이허 시가 성립될 때, 구 헤이허 시는 아이후이 구로 개편되었다.[3] 2015년 5월 18일, 헤이룽장성 정부의 결정에 따라 관할 하의 "아이후이 진"의 이름이 옛 이름인 "아이후이 진"으로 돌아갔지만[9][10], 구의 이름은 "아이후이 구"로 남아있다.[11]
2. 3. 중화인민공화국
아이후이 구의 중심인 아이후이 진(愛輝鎭)은 예전에 아이훈(璦琿)이라는 이름으로 알려져 있었고 1680년에 세워진 이래로 두 세기 동안 북만주에서 가장 중요한 마을 중 하나였다.[9][10]
1908년(광서 34년)에 설치된 '''아이후이 청'''을 전신으로 한다.[9][10]중화민국이 성립되면서 1913년(민국 2년)에 '''아이후이 현'''으로, 1956년에 '''아이후이 현'''으로 개칭되었다.[9][10]1980년에 현 성(縣城)부에 '''헤이허 시'''가 분할 설치되었고, 1983년에는 아이후이 현이 폐지되어 헤이허 시에 편입되었다.[9][10]1993년에 지급시인 헤이허 시가 성립될 때, 구 헤이허 시는 '''아이후이 구'''로 개편되었다.[9][10]2015년5월 18일, 헤이룽장성 정부의 결정에 따라 관할 하의 "아이후이 진"의 이름이 옛 이름인 "아이후이 진"으로 돌아갔다. 하지만, 구의 이름은 "아이후이 구"로 남아있다.[11]
3. 지리
아이후이 구에는 파볘라허/法别拉河중국어와 궁볘라허/贡别拉河중국어가 흐른다.[4] 구의 대부분은 숲으로 덮여 있으며, 특히 서쪽에 숲이 많다.[4] 주요 수종은 낙엽송, 적송, 포플러, 자작나무이다.[4]
아이후이 구는 러시아와 184.3km의 경계를 접하고 있으며, 블라고베셴스크 시를 마주보고 있다.[5]
아이후이구에는 한족, 만주족, 회족, 다우르족, 오로첸족, 한국인, 몽골족을 포함한 26개의 서로 다른 민족이 거주하고 있다.[5] 전체 인구의 9.4%인 약 18,500명이 소수 민족에 속한다.[3][5] 1990년대 기준으로, 아이후이 구에 위치한 다우우자 촌(다우우자 촌/大五家子屯중국어)은 만주어가 흔히 사용되는 몇 안 되는 지역 중 하나였다.[7]
6. 경제
아이후이구에는 69가지 종류의 광물 매장량이 있다.[5] 증명된 석탄 매장량은 총 11억 톤이며, 증명된 금 매장량은 80톤, 증명된 실리콘 매장량은 100만 톤, 증명된 석회암 매장량은 총 1,200만 톤이다.[5] 대리석, 현무암, 펄라이트, 석영 모래의 상당한 매장량도 있다.[5]
7. 교통
국도 202가 이 구를 지나며, 베이안-헤이허 철도도 지난다.[4]
고속도로
* 지헤이고속도로
국도
* 33px G202 국도
중국 국가 철로 집단 베이안-헤이허 철도가 이곳을 지난다.[4]
북흑선 흑하역이 아이후이구에 있다.
헤이허 아이후이 공항
7. 1. 도로
국도 202가 아이후이구를 지나며, 베이안-헤이허 철도도 지난다.[4]
고속도로
*지헤이고속도로
국도
* G202 국도
7. 2. 철도
중국 국가 철로 집단 베이안-헤이허 철도가 이곳을 지난다.[4]
북흑선 흑하역이 아이후이구에 있다.
7. 3. 항공
헤이허 아이후이 공항
8. 교육
헤이허 학원이 있다.
9. 의료
아이후이 구에는 아이후이 구 인민 병원, 헤이허 시 제2인민 병원, 헤이허 시 아이후이 구 부녀 아동 보건원 등이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