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트리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트리움은 고대 로마 주택의 안마당을 지칭하는 용어로, 현대 건축에서는 개방감과 자연 채광을 극대화하는 요소로 활용된다. 고대 로마에서는 빗물을 받는 임플루비움과 콤플루비움, 그리고 호화로운 장식으로 꾸며진 중앙 공간을 포함했다. 19세기 산업 혁명 이후 유리와 철강 기술의 발전으로 현대적인 아트리움이 등장했으며, 건물 내 시각적 연결과 공동체 의식을 부여하는 공간으로 활용된다. 현대 건축에서 아트리움은 런던의 로이드 빌딩, 멜버른의 페더레이션 광장, 베이징의 리자 SOHO 등에서 찾아볼 수 있으며, 화재 안전과 공간 효율성이 중요한 설계 고려 사항이다. 초기 기독교 건축에서는 바실리카 입구 앞에 있는 뜰을 아트리움이라고 불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방 - 사우나
사우나는 핀란드에서 유래한 뜨거운 방에서 증기욕을 즐기는 시설 또는 행위로, 건식과 습식으로 나뉘며 혈액 순환 촉진, 스트레스 해소 등의 효과가 있어 전 세계적으로 이용되고 핀란드 문화의 중요한 요소이다. - 방 - 스튜디오
스튜디오는 예술, 미디어 제작, 교육, 훈련, 마스터링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작업 공간 또는 시설을 의미한다. - 건축의장 - 계단
계단은 층간 이동을 위한 구조물로, 다양한 형태와 재료로 만들어지며 디딤판, 챌면, 난간 등으로 구성되고, 건축적 실용성과 더불어 현대에는 유니버설 디자인과 안전이 중요하며 예술적 상징으로도 활용된다. - 건축의장 - 장미창
장미창은 로마 건축의 오쿨루스에서 유래된 원형 창으로, 초기 기독교 건축에서 시작하여 고딕 시대에 이르러 크고 화려하게 발전했으며, 다양한 상징적 의미를 지닌다.
아트리움 | |
---|---|
개요 | |
정의 | 건물 내부에 만들어진, 하늘이 보이는 넓은 공간 |
어원 | 고대 로마 주택의 중앙 안뜰 (Atrium) |
특징 | |
기능 | 채광 환기 공간 활용 |
디자인 요소 | 유리 지붕 식물 분수 |
역사 | |
기원 | 고대 로마 주택의 안뜰에서 유래 |
현대 건축 | 19세기 후반부터 공공건물 및 상업 건물에 도입 |
종류 | |
아트리움 유형 | 지붕의 개폐 여부에 따라 개방형, 폐쇄형으로 분류 디자인에 따라 다양한 형태 존재 |
주요 건축물 | 다양한 공공건물, 상업 건물, 주거 건물 등 |
2. 역사
고대 로마 건축의 대저택 ''도무스''에서 아트리움은 사방에 방이 있는 열린 중앙 안뜰이었다. 아트리움 중앙에는 지붕에서 떨어지는 빗물을 받기 위해 바닥에 움푹 들어간 얕은 수영장인 ''임플루비움''이 있었다. 몇몇 남아있는 예시들은 아름답게 장식되어 있다. 수영장 위 천장의 개구부(''콤플루비움'')는 지붕을 지탱할 수단을 필요로 했고, 여기서 카바에디움의 다섯 가지 스타일을 구별한다. 집의 중심 공간으로서 아트리움은 가장 호화롭게 가구가 비치된 방이었다.
20세기 후반 이후의 현대 건축에서, 벽면이나 천장에 유리를 사용한 개방적인 공간이 설치되게 되었고, 그것을 아트리움이라고 부르게 되었다.
2. 1. 고대의 아트리움
고대 로마 건축의 큰 주택이었던 '도무스'에서 아트리움은 사방이 벽으로 막혀 있고 천장이 개방되어 있는 안마당을 가리킨다. 카바이디움 (cavaedium)이라고도 했다.아트리움의 정중앙에는 지붕에서 떨어지는 빗물을 받기 위해 바닥을 얕게 파내어 만든 '임플루비움' (impluvium)이라는 웅덩이를 두었다. 임플루비움 위 천장의 개구부는 '콤플루비움' (compluvium)이라 불렀으며 지붕을 지지하기 위한 수단에 따라 다섯 가지의 건축유형이 확인되고 있다. 임플루비움에는 구멍을 여러 개 뚫어두어 수조로 이어지게 하였으며, 그 수조에 모인 물은 원통형의 푸테알 (puteal, 우물 담)을 통해 퍼올릴 수 있었다. 이로써 아트리움은 실내의 수동 냉각 기능에 한몫하기도 하였다.
아트리움은 주택의 중앙공간으로서 실내에서도 가장 호화롭게 꾸며진 공간이었다. 아트리움에는 부유층 저택에 주로 설치된 대리석으로 만든 직사각형 테이블인 '카르티불룸' (cartiblulum),[21][6] 조상의 영혼을 기리는 작은 예배당인 '라라리움' (lararium), 가정용 금고인 '아르카' (arca), 집주인의 흉상 등이 배치되었다.
개인 주택뿐만 아니라 공공시설이나 신전 등 다양한 건물 내에서 아케이드로 둘러싸인 더 큰 규모의 안마당도 '아트리움'이라고 불렀다. 동로마 제국 시대의 교회는 이 아트리움을 거쳐 실내로 들어가는 구조를 띈 경우가 많았다. 이슬람의 모스크도 이와 마찬가지이지만, 이슬람 건축에서 아트리움이라는 용어는 그다지 널리 사용되지 않는다.
2. 2. 근현대의 아트리움
19세기 서양에서는 제철과 유리 제조 기술이 크게 발전하면서 산업혁명이 일어났다. 이 시기에 안마당 공간의 천장에 수평형 유리창을 설치하여 비와 눈 등의 환경 요소를 차단하는 근대적인 아트리움이 탄생했다.[22]2. 2. 1. 현대 건축의 아트리움
현대 건축에서 아트리움은 개방감과 자연 채광을 극대화하는 장점 덕분에 널리 사용된다. 특히 여러 층을 시각적으로 연결하고 공동체 의식을 형성하여 기업 사옥에서 많이 채택된다.[22]그러나 아트리움은 여러 층의 공간을 활용하지 못하게 하고, 화재 발생 시 불길이 상층부로 빠르게 확산될 위험이 있어 방화 요소를 철저히 고려해야 한다.
현대 건축에서 아트리움 활용의 예는 다음과 같다.
- 영국 런던의 로이드 빌딩은 리처드 로저스가 설계한 보험사 로이즈의 사옥이다. 건물 중앙을 비우고 수정궁에서 영감을 얻은 반원통형 유리 지붕을 설치한 아트리움을 통해 사내 공동체 의식을 높이고 있다.[23][22]
- 오스트레일리아 멜버른의 페더레이션 광장에 있는 '더 아트리움'은 5층 높이의 유리 벽과 지붕을 가진 공간이다. 프랙탈 구조를 띄는 내부 구조와 유리창 패턴은 연방 광장의 다른 시설의 정면 패널 배치에도 사용되었다.
- 중화인민공화국 베이징의 리자 SOHO는 높이 194m의 아트리움을 보유하여 세계 최고 높이의 아트리움으로 기록되었다.[24] 이전 기록은 두바이의 버즈 알 아랍이었다.[7] 미국 네바다주 라스베이거스 스트립의 럭소 호텔은 29e6cuft 규모의 아트리움을 보유하여 부피 기준 세계 최대 규모이다.
3. 기독교 건축
초기 기독교 건축에서 바실리카식 구조의 입구 앞에 펼쳐진 공간을 아트리움이라고 불렀으며, 뜰 등으로 번역되기도 한다.[9] 아트리움은 뚫린 중정과 그 주변을 둘러싼 회랑으로 구성되었으며,[9][10] 세례 지원자를 위한 공간이었다.[11]
현존하는 아트리움은 로마의 산 클레멘테 성당 (로마)it, 밀라노의 산탄브로조 성당, 살레르노의 살레르노 대성당it 등에서 찾아볼 수 있다.[12] 그 외에도 독일의 마리아 라흐 수도원영어,[13] 로마의 산타 프라세데 성당영어[14], 16세기에 개축되기 전의 성 베드로 대성당에도 아트리움이 존재했다.[15]
4. 사진
참조
[1]
웹사이트
atrium
http://dictionary.ca[...]
[2]
웹사이트
Atrium
http://www.thefreedi[...]
The Free Dictionary
2014-04-08
[3]
서적
Model Making for Architects
https://books.google[...]
Crowood Press
2013
[4]
서적
Architecture, City, Environment
https://books.google[...]
Earthscan Press
2000
[5]
논문
Roof obstructions and daylight levels in atria: a model study under real skies
SAGE Publications
1999-12
[6]
서적
The World of Pompeii
Routledge Press
2007
[7]
웹사이트
China opens skyscraper with world's tallest atrium twisting
https://construction[...]
2020-07-06
[8]
서적
図解インテリア・ワードブック
建築資料研究社
[9]
간행물
1924
[10]
간행물
2009
[11]
간행물
2009
[12]
간행물
2009
[13]
간행물
2003
[14]
간행물
2009
[15]
간행물
1924
[16]
웹인용
atrium
http://dictionary.ca[...]
[17]
웹인용
Atrium
http://www.thefreedi[...]
The Free Dictionary
2014-04-08
[18]
서적
Model Making for Architects
https://books.google[...]
Crowood Press
2013
[19]
서적
Architecture, City, Environment
https://books.google[...]
Earthscan Press
2000
[20]
저널
Roof obstructions and daylight levels in atria: a model study under real skies
SAGE Publications
1999-12
[21]
서적
The World of Pompeii
Routledge Press
2007
[22]
뉴스
‘밥상머리 사옥’ 로이드빌딩, 유대감 형성에 좋아
https://www.joongang[...]
중앙일보
2024-05-03
[23]
뉴스
STS로 멋을 낸 英 로이드 빌딩
http://www.snmnews.c[...]
철강금속신문
2024-05-03
[24]
웹인용
China opens skyscraper with world's tallest atrium twisting
https://construction[...]
2020-07-06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