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개 바다 위의 방랑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안개 바다 위의 방랑자》는 독일 낭만주의 화가 카스파르 다비트 프리드리히의 1818년 유화 작품이다. 그림은 녹색 외투를 입고 지팡이를 든 남자가 안개 바다를 바라보는 뒷모습을 묘사하며, 독일 엘베 사암 산맥의 풍경을 바탕으로 제작되었다. 이 작품은 낭만주의 회화 스타일과 프리드리히의 특징을 잘 보여주며, 뤼켄피구어 기법을 활용하여 관람객이 그림 속 풍경을 함께 경험하는 듯한 느낌을 준다. 《안개 바다 위의 방랑자》는 낭만주의 시대의 걸작으로 평가받으며, 등산의 표상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안개 바다 위의 방랑자 | |
|---|---|
| 작품 정보 | |
![]() | |
| 다른 이름 | Der Wanderer über dem Nebelmeer (독일어) Wanderer above the Mist (영어) Mountaineer in a Misty Landscape (영어) |
| 화가 | 카스파르 다비트 프리드리히 |
| 제작 연도 | 1818년경 |
| 종류 | 캔버스에 유채 |
| 크기 | 가로 74.8 센티미터, 세로 94.8 센티미터 |
| 소장 | 함부르크 미술관 |
| 소장 위치 | 함부르크 |
2. 상세
그림의 전경에는 제목에서 언급된 방랑자, 즉 한 남자가 관람객에게 등을 보인 채 바위 절벽 위에 서 있다. 그는 짙은 녹색의 고풍스러운 독일 양식의 외투를 입고 있으며, 오른손에는 지팡이를 쥐고 있다.[34][4][23][25] 남자는 바람에 머리카락을 날리며 짙은 안개 바다로 뒤덮인 풍경을 응시하고 있다. 중경에는 방랑자가 서 있는 곳과 유사한 여러 개의 능선이 안개 바다 위로 솟아 있으며,[33][3][24] 이 절벽들의 꼭대기에는 나무 몇 그루로 이루어진 숲이 보인다. 왼쪽 후경에는 희미한 산들이 솟아 있고, 오른쪽으로는 저지대 평야가 완만하게 펼쳐진다. 그 너머로 광활한 안개가 끝없이 이어져 지평선과 뒤섞이며, 구름 낀 하늘과 구분하기 어려운 풍경을 만들어낸다.[34][4][25]
<안개 바다 위의 방랑자>의 제작 연도는 1818년으로 보지만 일부 문헌에서는 1817년으로 표기하기도 한다.[37][6] 그림이 처음 제작된 후 19세기 동안의 행방은 불분명하나,[37] 1939년에는 독일 베를린의 빌헬름 아우구스트 루츠 갤러리 (Wilhelm August Luz)의 소유였다.[37][6] 한때 변호사 에른스트 헨케가 매입했다가 다시 루츠 갤러리로 반환된 것으로 보이며,[37][6] 이후 여러 개인 소장품으로 전시를 거듭하다 1970년 함부르크 미술관(Hamburger Kunsthalle)의 소장품이 되어 오늘에 이른다.[37][6]

이 그림의 풍경은 독일 작센과 체코 보헤미아에 걸쳐 있는 엘베 사암 산맥의 실제 경치를 바탕으로 한다. 화가인 프리드리히는 현장에서 직접 스케치를 했지만, 그림 속 풍경은 실제 모습 그대로가 아니라 그의 작업실에서 여러 요소를 재배치하고 조합하여 새롭게 구성한 것이다.[35][15][27] 구체적으로, 그림 오른쪽 배경에 보이는 산은 독일 작센주에 위치한 지르켈슈타인산( Zirkelsteinde )이다.[35][15] 왼쪽 배경의 산은 체코의 로젠베르크산( Rosenbergde ) 또는 칼텐베르크산( Kaltenbergde )으로 추정된다. 전경 가까이 보이는 바위는 독일 라텐 근처의 감리크산( Gamrigde )이며, 방랑자가 서 있는 바위 절벽은 작센주 카이저크론 언덕( Kaiserkronede )의 바위들을 모델로 삼았다.[36][5][27]
3. 역사
프리드리히의 생애에서 1817년~1818년경의 사건이 본 작품의 제작 배경으로 거론된다. 프리드리히는 1817년 과학자 칼 구스타프 카루스와 노르웨이 화가 요한 크리스티안 달과 우정을 쌓았고,[38][7] 1818년 1월에는 캐롤라인 브로머(Caroline Bommer)와 결혼하여, 프리드리히의 고향 그라이프스발트로 신혼여행을 떠났다.[38][7]
4. 해설

이 작품의 독일어 원제는 Der Wanderer über dem Nebelmeer|데어 반더러 위버 뎀 네벨메어de이다. 한국어 제목으로 흔히 사용되는 《안개 바다 위의 방랑자》는 원제의 의미 일부를 담지 못할 수 있다는 지적이 있다. 독일어 단어 Wanderer|반더러de는 단순히 '방랑자'(정처 없이 떠도는 사람)라는 의미 외에도, '하이커'(뚜렷한 목적을 가지고 도보 여행을 하는 사람)라는 의미를 함께 내포한다. 또한, Nebelmeer|네벨메어de는 '안개의 바다'로 해석될 수도 있지만, '바다의 안개'라는 의미로도 이해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이 그림의 제목은 《안개의 바다를 바라보는 방랑자》나 《안개 바다를 내려다보는 산책자[31]》 등으로 번역되기도 한다.
4. 1. 낭만주의
《안개 바다 위의 방랑자》는 계몽시대 이후 등장한 광범위한 예술 및 문학 운동인 낭만주의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39][8] 그림 속 남자의 신원은 불확실하지만, 붉은 머리카락 등 일부 외모 특징이 화가 프리드리히 자신과 유사하다는 점에서 그의 자화상으로 해석되기도 한다.[40][41][42][9] 이러한 해석에 따라, 이 작품은 자아성찰이나 인생의 방향에 대한 고찰을 주제로 삼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된다.[3][4]
작품 속 풍경은 단순한 자연 묘사를 넘어 숭고함과 신비로움, 그리고 무한한 잠재력을 느끼게 하는 것으로 평가받는다. 프리드리히는 "화가는 눈앞에 보이는 것뿐만 아니라, 자신의 내면에서 보는 것도 그려야 한다"고 생각했으며,[43][10] 특히 안개에 대해 "땅이 안개로 덮이면 더 장대하고 숭고해 보이며, 상상력을 자극하고 기대감을 불러일으키는 것이 마치 베일을 쓴 소녀와 같다"고 언급했다.[44][22] 독일 철학자 고트힐프 하인리히 폰 슈베르트는 이 그림이 마치 구름 위를 비행하며 안개 너머의 풍경을 보는 듯한 특별한 경험을 선사한다고 감상을 남겼다.[26]
이 작품을 통해 프리드리히는 다른 낭만주의자들과 차별화되는 지점을 보여준다는 시각도 존재한다. 미술사학자 베르너 호프만은 《안개 바다 위의 방랑자》가 일반적인 낭만주의 작품보다 더 개방적이며 질문을 던지는 성격이 강하다고 평가했다. 그는 이 작품을 외젠 들라크루아의 《민중을 이끄는 자유의 여신》과 비교하며, 들라크루아의 작품이 사상적 행동 방향을 더 명확히 제시하는 반면, 프리드리히의 '방랑자'는 미래를 알 수 없는 탐구적 자세를 보여준다고 분석했다. 이는 당시 독일과 프랑스의 민족주의 성격 차이와 연관될 수 있다는 해석을 덧붙였다.[45][11]
프리드리히는 당대의 다른 예술가들이 캔버스의 모든 부분을 새로운 특징으로 채워 넣는 '호기심 상점' 같은 그림을 그린다고 비판하였다. (베르너 호프만은 프리드리히의 비판 대상이 요제프 안톤 코흐일 수 있다고 추정했다.[46][12]) 반면 《안개 바다 위의 방랑자》는 상세한 풍경을 담아내면서도 지형과 인물 같은 핵심 요소에 초점을 잃지 않고, 산과 안개에 집중하여 관람객이 자신의 속도에 맞춰 작품을 탐험하도록 유도한다는 평가를 받는다.
《안개 바다 위의 방랑자》는 《뤼겐 섬의 백악 절벽》이나 《얼음 바다》와 마찬가지로, 프리드리히 특유의 낭만주의 회화 스타일을 잘 보여주는 작품이다.[28] 2004년 마이클 고라는 이 그림이 칸트적인 자기 성찰의 메시지를 담고 있으며, 안개 바다를 응시하는 방랑자를 통해 이를 표현했다고 해석했다.[24] 2001년 론 덴보는 이 그림이 알 수 없는 미래에 대한 암시를 담고 있다고 보았다.[29] 예일 대학교 교수 존 루이스 개디스는 이 작품이 주는 인상의 모순성에 대해 언급하며, 풍경을 압도하는 듯한 구도이지만 그 앞에 선 인물의 감정(경외감인지, 두려움인지, 혹은 둘 다인지)은 명확히 드러나지 않아 해석의 여지를 남긴다고 지적했다.[30]
4. 2. 뤼켄피구어 (후면 인물상)
전통 서양회화에서는 풍경 속에 배치된 인물은 앞모습이나 옆모습을 보이는 것이 일반적이다. 뒷모습을 보이는 경우가 드물게 있지만, 주로 군중 속 작은 인물에 한정되었다. 이러한 전통과 달리 인물의 뒷모습을 핵심 구도로 삼는 기법을 독일어로 '''뤼켄피구어'''(Rückenfigur|뤼켄피구어de)라 부른다.
프리드리히는 뤼켄피구어를 활용한 최초의 화가는 아니지만, 다른 화가들보다 훨씬 더 자주 이 기법을 사용했으며, 관객에게 등을 돌리고 거리를 둔 구도를 지속적으로 활용하였다.[48][13] 《안개 바다 위의 방랑자》 외에도 《창가의 여인》, 《월출, 바닷가의 두 남자》, 《노이브란덴부르크》 등 여러 작품에서 뤼켄피구어 구도를 찾아볼 수 있다.[47][15]
프리드리히 작품 속 등 돌린 인물은 관람객을 그림의 '내부'로 초대하여, 얼굴을 볼 수 없게 묘사된 신비로운 인물의 시야를 공유하게 만들려는 의도로 해석된다.[13] 《안개 바다 위의 방랑자》는 이러한 소재의 탁월함 덕분에 미술계에서 가장 유명한 뤼켄피구어 그림으로 꼽힌다.[48][13] 그림 속 인물은 작품의 의미와 초점을 바꾸는 역할을 하는데, 미술사학자 헬무트 뵈르슈수판(Helmut Börsch-Supan)은 "이 그림에서 인물 없는 풍경을 상상하기란 그 어떤 그림보다도 어렵다"고 평가했다.[49][14]
미술사학자 빌란트 슈미트는 《안개 바다 위의 방랑자》가 르네 마그리트의 초현실주의 작품보다 앞선 선구자적 성격을 지닌다고 평가했다. 프리드리히가 작품 속에 '미묘한 부조화'와 '불가능해 보이는 시점'을 담아냈으며, 마그리트가 이러한 요소를 더욱 발전시켰다는 것이다.[50][16] 실제로 이 그림의 배경은 전경 속으로 갑자기 들어간 듯 보이며, 그 사이의 깊이감도 명확하지 않다.[51][17]
4. 3. 이데올로기
프리드리히는 독일의 자유주의와 민족주의적 감정을 표현하는 데 거리낌이 없었다.[52] 1803년부터 1815년까지 이어진 나폴레옹 전쟁의 여파로 옛 독일 군주국들은 혼란에 빠졌고 통치자의 권위도 위태로워진 상황이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독일 민족주의자들은 독일의 통일과 함께 수구적인 귀족정의 타파, 독일 연방 지도부 수립 등을 주장하며 목소리를 높였다.[52][18]
독일의 자유주의자들과 민족주의자들은 자신들의 이상을 표현하는 한 방식으로, 16세기에서 17세기 사이의, (비록 역사적 사실과는 거리가 있지만 민족주의적 열망 속에서 상상된[48][13]) 통일 독일 시대와 마르틴 루터 시대를 이상적인 모습으로 여기며 그 시대의 옷차림을 따라 입는 유행을 만들었다. 이를 알트도이체 트라흐트(Altdeutsche Tracht|알트도이체 트라흐트de, 옛 독일인의 옷차림)라고 불렀다.[52][18] 당시 민족주의자들은 이처럼 상실된 국가적 위대함을 되찾는 일에 자신을 동일시했으며, 프리드리히 역시 이러한 흐름에서 벗어나지 않았다. 미술사학자 노르베르트 볼프(Norbert Wolf)와 요제프 코어너(Joseph Koerner) 등은 그림 속 방랑자가 바로 이 '알트도이체 트라흐트'를 입고 있으며, 이는 그림이 제작되던 시대의 정치적 선언과 같다고 해석한다.[52][18] 다만, 그림 속 인물의 의상을 엽병의 군복으로 보는 다른 학자들의 해석도 존재한다.[53][13]
프리드리히의 종교였던 루터교가 이 작품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도 제기되지만, 명확하게 밝혀진 바는 없다.[54][19] 프리드리히의 다른 작품인 <산 속의 십자가> (1810년작)는 그의 종교적 성향을 보여주는 예시로 자주 언급되는데, 자연 속에서 아름다움을 찾는 겸손한 기독교 신앙을 표현한다는 해석이 있다. 이는 마르틴 루터가 당시 가톨릭교회의 화려한 대성당과 장식적인 성상들을 비판하며 진정한 신앙의 가치를 강조했던 것과 맥을 같이 한다. 프리드리히는 루터교를 통해 진정한 종교는 자연, 단순함, 그리고 개인에게서 발견될 수 있다고 보았으며, 이 세 가지 요소는 모두 <안개 바다 위의 방랑자>의 중요한 주제이기도 하다.[54][19]
종교적 배경과 관련하여 또 다른 근거는 프리드리히가 이 그림을 구상하고 제작하던 시기인 1817년에 과학자이자 동료 화가였던 칼 구스타프 카루스와 친구가 되었다는 사실이다.[56][13] 미술사학자 요제프 코어너는 카루스가 루터 성경의 창세기 2장 6절, Aber ein Nebel ging auf von der Erde und feuchtete alles Landde (한국어: 땅에서 안개가 일어나 온 땅을 적셨다)라는 구절에 주목했다는 점을 지적한다.[55][20] 카루스는 이 구절을 근거로 안개가 창조 과정에서 신의 조력자 역할을 했으며, 황량한 산을 푸른 숲으로 바꾸었다고 주장했다. 코어너는 프리드리히와 카루스가 교류하며 이러한 생각을 나누었을 가능성을 제기하며, <안개 바다 위의 방랑자>가 마치 천지창조와 유사한 장면, 즉 안개 속에 가려진 미지의 땅을 바라보며 '나'로부터 발현되는 무한한 가능성을 그려낸 것일 수 있다고 해석한다.[56][13]
4. 4. 등산의 표상
로버트 맥팔레인은 이 그림이 낭만주의 시대 이후 서양 세계에서 등산에 대한 인식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고 주장했다.[57][21] 그는 이 작품을 "등산하는 몽상가의 전형적인 표상"이라고 칭하며, 이전 시대에는 거의 찾아볼 수 없었던 '산 정상에 서는 것은 경탄할 만한 일'이라는 생각을 강력하게 표현한 점을 높이 평가했다.[57][21]
5. 제목
이 작품의 독일어 원제는 Der Wanderer über dem Nebelmeerde이다. 한국어 제목을 『안개 바다 위의 방랑자』로 번역할 경우, 원제의 의미 중 일부가 빠질 수 있다. 독일어 단어 "Wanderer"에는 "방랑자"(방황하며 목적을 찾는 사람)라는 의미와 "하이커"(목적을 가지고 여행하는 사람)라는 두 가지 의미가 함께 담겨 있다. 또한, 독일어 "Nebelmeer"는 "안개의 바다" 또는 "바다의 안개"로 해석될 여지가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이 그림의 한국어 제목은 『안개의 바다를 바라보는 방랑자』나 『안개 바다를 내려다보는 산책자[31]』 등으로 번역되기도 한다.
6. 평가

프리드리히는 독일과 러시아 화파에서는 존경받던 작가였지만, 《안개 바다 위의 방랑자》를 포함한 그의 작품 전체가 처음부터 걸작으로 평가받지는 않았다.[58][22] 오히려 프리드리히가 말년에 접어들면서 명성은 점차 줄어들었으며, 그는 당시 미술 심사위원들이 자신의 작품 속 겨울 풍경과 안개를 충분히 감상하지 못한다고 생각했다.[58][22]
프리드리히가 낭만주의 시대의 거장으로 인정받게 된 것은 20세기 초, 특히 1970년대에 이르러서였다.[59][19] 이 과정에서 《안개 바다 위의 방랑자》는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미술 전문가들 사이에서뿐만 아니라 수많은 다른 작품에 영감을 주었다.[59][19] 이 그림은 고급 문화에서의 명성을 넘어 책 표지, 티셔츠, CD, 머그잔 등 다양한 상품에 사용되며 대중문화 속에서도 친숙한 이미지가 되었다.[59][19] 미술사학자 베르너 호프만은 그림 속 인물이 열린 가능성으로 가득 찬 풍경을 바라보며 결단을 내리고 미래를 마주할 준비를 하는 모습이 오늘날 관람객들에게 매력적으로 다가간다고 분석했다.[54][19]
《안개 바다 위의 방랑자》는 뤼겐 섬의 백악 절벽이나 얼음 바다와 마찬가지로, 낭만주의 회화 및 프리드리히 특유의 화풍을 잘 보여주는 작품이다.[28] 2004년 마이클 고라는 이 그림이 안개 바다를 바라보는 방랑자를 통해 칸트적인 자기 성찰의 메시지를 전달한다고 해석했다.[24] 2001년 론 덴보는 방랑자가 마주한 풍경이 알 수 없는 미래를 암시한다고 보았다.[29] 예일 대학교의 역사학 교수 존 루이스 개디스는 이 작품이 주는 인상의 모순성에 주목했다.[30] 그는 `"그림이 남기는 인상은, 풍경을 정복하면서도 그 안에 그려진 개인에게는 별다른 의미가 없다는 것을 시사하며, 모순적이다. 얼굴을 볼 수 없으므로, 젊은 남자가 마주하는 조망이 그를 격려하는 것인지 공포에 질리게 하는 것인지, 혹은 둘 다인지 알 수 없다."`라고 언급하며, 그림 속 인물이 느끼는 감정의 불확실성을 지적했다.[30]
작품의 원제는 Der Wanderer über dem Nebelmeer|데어 반더러 위버 뎀 네벨메어deu인데, 이를 한국어 '안개 바다 위의 방랑자'로 번역할 경우 원어의 의미 일부가 달라질 수 있다. 독일어 'Wanderer'는 '방랑자'(목적 없이 헤매는 사람)와 '하이커'(목적을 가지고 걷는 사람)라는 두 가지 의미를 내포하며, 'Nebelmeer' 역시 '안개의 바다' 또는 '바다의 안개'로 해석될 여지가 있다. 이 때문에 '안개의 바다를 바라보는 방랑자'나 '안개 바다를 내려다보는 산책자'[31] 등으로 번역되기도 한다.
참조
[1]
서적
The romantic movement. Fifth exhibition to celebrate the tenth anniversary of the Council of Europe, 10 July to 27 September 1959, the Tate Gallery and the Arts Council Gallery, London.
https://catalog.hath[...]
Arts Council of Great Britain
[2]
문서
Exhibition Catalogue: Caspar David Friedrich. Die Underling der Romantic in Essen ind Hamburg, Firmer Verlag, München
2006-12
[3]
서적
The Bells in Their Silence: Travels Through Germany
https://archive.org/[...]
Princeton University Press
[4]
서적
The Landscape of History: How Historians Map the Past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5]
서적
Caspar David Friedrich und die böhmischen Berge
https://books.google[...]
Kohlhammer Verlag
[6]
웹사이트
Wanderer über dem Nebelmeer, UM 1817
https://www.hamburge[...]
[7]
문서
Hofmann 2000, p. 286
[8]
서적
Romanticism
https://books.google[...]
The Creative Company
[9]
웹사이트
A Closer Look at Wanderer Above the Sea of Fog by Caspar David Friedrich
https://drawpaintaca[...]
2020-02-10
[10]
뉴스
Wanderer Above the Sea of Fog, Caspar David Friedrich (Ca. 1817).
http://www/art.schol[...]
Scholastic Art
[11]
문서
Hofmann 2000, pp. 10–12
[12]
문서
Hofmann 2000, pp. 258–260
[13]
서적
Caspar David Friedrich and the Subject of Landscape
Yale University Press
1995
[14]
문서
Borsch-Supan 2005, p. 116. Cited in Grave 2012, p. 203.
[15]
서적
Caspar David Friedrich
Prestel
[16]
서적
Caspar David Friedrich
Harry N. Abrams Inc.
1995
[17]
문서
Hofmann 2000, p. 20
[18]
문서
Wolf, Norbert. Caspar David Friedrich: The Painter of Stillness. 2012. pp. 56-57
[19]
서적
Caspar David Friedrich
Thames & Hudson
2000
[20]
Bible
Genesis 2:6
https://bolls.life/L[...]
Luther Bible
[21]
서적
Mountains of the Mind: A History of a Fascination
Granta Books
[22]
문서
Hofmann 2000, p. 33
[23]
문서
大原(1996),p.89、古ドイツ風の服装・髪型は、解放戦争中は愛国者によって奨励されたが、1819年王令による禁止令が布告された。
[24]
서적
The Bells in Their Silenc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5]
서적
The Landscape of History
Oxford University Press
[26]
문서
ヴォルフ(2006)、p.58
[27]
문서
K.-L. Hoch: Caspar David Friedrich und die bohmischen Berge. Dresden 1987
[28]
서적
Romanticism
The Creative Company
[29]
서적
The Rules of Risk
John Wiley and Sons
[30]
서적
歴史の風景 歴史家はどのように過去を描くのか
大月書店
[31]
문서
仲間 (2007),p.168,p.185
[32]
문서
Exhibition Catalogue: Caspar David Friedrich.
[33]
서적
The Bells in Their Silence: Travels Through Germany
https://archive.org/[...]
Princeton University Press
[34]
서적
The Landscape of History: How Historians Map the Past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35]
서적
Caspar David Friedrich
Prestel
[36]
서적
Caspar David Friedrich und die böhmischen Berge
https://books.google[...]
Kohlhammer Verlag
[37]
웹사이트
Wanderer über dem Nebelmeer, UM 1817
https://www.hamburge[...]
[38]
문서
[39]
서적
Romanticism
https://books.google[...]
The Creative Company
[40]
웹인용
A Closer Look at Wanderer Above the Sea of Fog by Caspar David Friedrich
https://drawpaintaca[...]
2020-02-10
[41]
서적
The Bells in Their Silence: Travels Through Germany
https://archive.org/[...]
Princeton University Press
[42]
서적
The Landscape of History: How Historians Map the Past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43]
웹사이트
Wanderer Above the Sea of Fog, Caspar David Friedrich (Ca. 1817).
http://www/art.schol[...]
Scholastic Art
[44]
문서
[45]
문서
[46]
문서
[47]
서적
Caspar David Friedrich
Prestel
[48]
서적
Caspar David Friedrich and the Subject of Landscape
Yale University Press
1995
[49]
문서
[50]
서적
Caspar David Friedrich
https://archive.org/[...]
Harry N. Abrams Inc.
1995
[51]
문서
[52]
문서
[53]
서적
Caspar David Friedrich and the Subject of Landscape
Yale University Press
1995
[54]
서적
Caspar David Friedrich
https://archive.org/[...]
Thames & Hudson
2000
[55]
Bible
Genesis 2:6
https://bolls.life/L[...]
Luther Bible
[56]
서적
Caspar David Friedrich and the Subject of Landscape
Yale University Press
1995
[57]
서적
Mountains of the Mind: A History of a Fascination
https://archive.org/[...]
Granta Books
[58]
문서
[59]
서적
Caspar David Friedrich
https://archive.org/[...]
Thames & Hudson
200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