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량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안량은 후한 말 원소 휘하의 장수로, 공융에게는 삼군을 이끌 만한 장수로, 순욱에게는 필부의 용맹을 가진 장수로 평가받았다. 200년, 조조와의 전투에서 관우에게 죽임을 당했다. 백마 전투에서 조조는 순유의 계책에 따라 안량을 유인했고, 관우가 단기로 돌격하여 안량을 베었다. 삼국지연의에서는 더욱 용맹하게 묘사되며, 관우에게 죽임을 당하기 전 유비에게 말을 전하려다 죽음을 맞이하는 것으로 묘사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낭야 안씨 - 안사고
안사고는 6세기 후반에서 7세기 전반에 활동한 당나라의 학자이자 관료로, 훈고학에 정통하여 《한서》 주석을 남겼으며, 《오경정의》 편찬에 참여하고 고구려 원정 중 사망했다. - 낭야 안씨 - 안진경 (709년)
안진경은 당나라 시대의 강직한 문신이자 뛰어난 서예가로, 안사의 난 때 의용군을 일으켜 반군에 맞서 싸웠으며, 그의 서체인 안체는 한국과 일본 서예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린이시 출신 - 천광청
시각 장애인 인권 운동가이자 변호사인 천광청은 중국의 한 자녀 정책의 강제 낙태 및 불임 수술 실태 폭로 활동으로 중국 당국의 탄압을 받다가 미국으로 망명하여 현재 미국 시민으로 활동하고 있다. - 린이시 출신 - 무선황후
무선황후는 기생 출신으로 조조의 첩이 되었다가 부인이 되었으며, 아들 조비가 황제가 된 후 황태후와 태황태후로 불렸고, 검소하고 지혜로운 성품으로 칭송받았으며, 230년에 사망하여 조조와 합장되었다. - 200년 사망 - 저수
저수는 후한 말 원소 휘하의 모사로, 감군 등의 요직을 역임하며 군사 전략을 담당했으나, 그의 뛰어난 식견이 받아들여지지 않아 관도 전투 패배 후 조조에게 항복을 거부하고 처형당했다. - 200년 사망 - 문추
원소 휘하의 용장 문추는 안량과 함께 원소군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지만, 관도 대전에서 전사했으며, 삼국지연의에서는 관우에게 죽임을 당하는 것으로 묘사된다.
안량 - [인물]에 관한 문서 |
---|
2. 생애
안량은 원소를 섬겼으며, 공융은 안량을 문추와 함께 '''"삼군(三軍)을 이끌 만한 장수"'''라고 칭찬한 반면, 순욱은 '''"필부(匹夫 - 보통 평범한 사람)의 용맹을 지닌 장수"'''라고 평가하였다.
건안 5년(200년) 2월, 원소는 조조를 토벌하기로 결심하였다. 도독(都督) 저수는 원소에게 안량은 용맹하나 도량이 좁은 인물이니 혼자 일을 맡아서는 안 된다고 하였으나, 원소는 듣지 않았다.[15]
안량에 대한 역사적 기록은 삼국지의 원소, [2] 관우,[3] 순욱[4] 및 조조의 열전에 등장한다.[5] 그는 문추와 함께 용맹함으로 칭송받는 인물로서 명성을 얻었다.[5] 199년경에는 원소군의 장수로 알려지게 되었으며, 조조의 부하인 공융에게도 원소군의 용맹한 장수의 으뜸으로 이름이 거론되었다.[7] 삼국지 무제기에서도 문추와 함께 원소군의 "명장"이었다고 기록되어 있다.[8]
2. 1. 백마 전투
200년, 원소는 조조를 공격하기 위해 안량에게 백마(白馬, 현재의 허난성 화현 북동쪽)를 공격하게 했다. 저수는 안량의 성급하고 편협한 성격을 우려하여 단독 임무를 맡기는 것에 반대했지만, 원소는 듣지 않았다.[15]조조는 순유의 계책에 따라 원소군의 배후를 치는 척하며 안량을 유인했다. 안량은 적은 수의 병력으로 백마진(白馬津)에 머물렀고, 조조는 장료와 관우를 선봉으로 보내 공격했다. 관우는 적진에서 안량을 발견하고 단기로 돌격하여 그를 찔러 죽이고 그 목을 가지고 돌아왔다.[3][10] 안량이 죽자 백마의 원소군은 무너졌고, 이는 관도 대전 초기 원소군에 큰 타격을 주었다.
3. 《삼국지연의》에서의 안량
《삼국지연의》에서 안량은 원소가 가장 신뢰하는 용맹한 장수로 묘사된다. 원소는 연합군이 화웅에게 많은 장수를 잃자, "만약 내가 안량이나 문추 중 하나라도 여기에 있었다면, 두려울 것이 없었을 것이다."라며 안량의 뛰어난 능력을 칭찬한다.[5]
백마 전투에서 안량은 조조군의 송헌과 위속을 단칼에 베어 죽이고, 서황을 20합 만에 물리치는 등 압도적인 무예를 선보였다.[5] 이에 조조는 관우를 출전시켰고, 관우는 적토마를 타고 돌진하여 안량을 단칼에 베었다.
정사 삼국지에는 안량이 관우에게 죽임을 당했다는 기록만 있을 뿐, 구체적인 전투 과정은 묘사되지 않았다. 그러나 《삼국지연의》에서는 안량이 유비로부터 관우의 인상착의를 전해 듣고 그를 알아봤지만, 적토마를 타고 돌진하는 관우의 기세에 눌려 제대로 싸우지도 못하고 죽임을 당했다고 묘사된다.[5]
또한, 《삼국지연의》에서 안량과 문추는 의형제로 설정되어 있으며, 안량의 죽음은 문추가 복수를 결심하는 계기가 된다.[5]
4. 기타
청나라 시대의 괴기 소설집 《열미초당필기》에는 안량을 모신 사당에서 삼국극을 공연하면 재앙이 일어난다는 이야기가 기록되어 있다.[13] 중국 전역에 있는 관제묘도 그 지역에서는 안량의 재앙을 두려워하여 건립되지 않았다고 한다.
수나라 안지추는 《안씨가훈》에서 안량을 동족이라고 언급했다.[13] 이것이 사실이라면 안량은 낭야군 임기현 출신이 된다. 안지추의 9대 조상인 안함에 대해서는 《진서》 안함전(열전 58 효우)에서 본관을 낭야군 번현으로 기록하고 있다(「蕃」자는 한 또는 신으로 읽지만, 여기서는 신으로 읽는다).
명나라 시대 《만성통보》에 따르면, 안량은 신하현(기주 안평군 당양현) 출신으로, 어릴 적부터 총명하고 재기가 뛰어나 사리에 통달했으며, 용맹하고 지략이 뛰어나 향리에 추천되었다고 한다.[13]
5. 가계
안량의 가계에 대한 자세한 기록은 전해지지 않는다.
참조
[1]
서적
宋通志世族略
[2]
서적
Sanguozhi
[3]
서적
Sanguozhi
[4]
서적
Sanguozhi
[5]
서적
Sanguozhi
[6]
서적
Imperial Warlord : A Biography of Cao Cao 155-220 AD
Brill
[7]
서적
三国志
[8]
서적
[9]
서적
三国志
[10]
서적
三国志
[11]
서적
三国志
[12]
서적
三国志
[13]
서적
萬姓統譜
[14]
서적
안씨가훈(顔氏家訓)
[15]
서적
삼국지(三國志)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