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율리우스 벨하우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율리우스 벨하우젠은 19세기 독일의 신학자이자 구약성서 학자로서, 토라의 기원에 대한 문서 가설을 정립한 것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그는 괴팅겐 대학교에서 신학을 공부하고 구약 역사 강사로 시작하여, 그라이프스발트 대학교, 할레 대학교, 마르부르크 대학교, 그리고 괴팅겐 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했다. 벨하우젠은 구약성서 비평 연구에 크게 기여했으며, 특히 토라가 여러 독립적인 텍스트의 편집으로 구성되었다는 문서 가설을 통해 성서 연구에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 그의 주요 저서로는 『이스라엘 역사 서설』, 『바리새파와 사두개파』, 『아랍 왕국과 그 몰락』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문서설 - 엘로힘 문서
    엘로힘 문서는 기원전 8세기경 북이스라엘에서 기원한 것으로 추정되며 하느님의 이름을 '엘로힘'으로 사용하고 아브라함 시점에서 이스라엘 역사를 시작하여 모세의 예언자적 역할을 강조하는 오경의 자료 중 하나이다.
  • 문서설 - 보충설
    보충설은 모세오경 형성에 대한 가설로, 문서설과는 달리 신명기 문서를 가장 오래된 원천으로 보고 여호와 문서와 제사장 문서가 신명기 문서에 추가되거나 수정된 형태로 존재한다고 주장하며 모세오경의 통일성을 설명하려 한다.
  • 19세기 개신교 신학자 - 아브라함 카이퍼
    아브라함 카이퍼는 신칼뱅주의를 주창하고 영역 주권 사상을 발전시킨 네덜란드의 신학자이자 정치인, 언론인으로 암스테르담 자유대학교를 설립하고 네덜란드 총리를 역임했으며, 기독교적 가치관에 기초한 사회 보수주의를 주창하며 네덜란드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다.
  • 19세기 개신교 신학자 - 헤르만 바빙크
    헤르만 바빙크는 네덜란드의 개혁주의 신학자이자 칼뱅주의 목사로서, 캄펀 신학대학교와 암스테르담 자유대학교에서 교의학 교수로 재직하며 개혁주의 신학 발전에 기여했고, 아브라함 카이퍼와 함께 신칼뱅주의 운동을 이끌었다.
율리우스 벨하우젠
기본 정보
이름율리우스 벨하우젠
원어 이름Julius Wellhausen
출생일1844년 5월 17일
출생지하멜른, 하노버, 독일
사망일1918년 1월 7일
사망지괴팅겐, 하노버, 독일
국적독일
종교기독교
종파개신교
학력
출신 학교괴팅겐 대학교
직업
직업신학자 (성서학)
동양학자
언어학자
분야모세 오경 비판적 연구
소속성서비평학 - 문서 가설
직함박사
교수괴팅겐 대학교
그라이프스발트
할레
마르부르크

2. 생애

독일의 저명한 성서학자이자 동양학자로, 괴팅겐 대학교, 그라이프스발트 대학교, 할레 대학교, 마르부르크 대학교 등에서 교수로 활동했다. 특히 구약성서 연구와 초기 이슬람 역사 연구에 큰 업적을 남겼다.

신학자이자 성서학자로서 그의 대표작은 『이스라엘 역사 입문』(Prolegomena zur Geschichte Israelsde)이다. 이 책에서 그는 토라의 기원에 대한 기존의 여러 가설들을 종합하고 발전시켜 문서 가설을 체계적으로 제시했으며, 이는 20세기 성서학 연구에 지배적인 영향을 미쳤다.[8][9] 그의 아랍 연구, 특히 『아랍 왕국과 그 멸망』 또한 중요한 학문적 업적으로 평가받는다.[7]

한편, 학자 앨런 레벤슨은 벨하우젠이 신학적 반유대주의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반유대주의 성향도 지녔다고 평가하기도 했다.[10]

2. 1. 초기 생애와 교육

율리우스 벨하우젠은 하멜른 (하노버 왕국)에서 태어났다. 그는 개신교 목사의 아들이었다.[4] 괴팅겐 대학교에서 신학을 공부했으며, 게오르크 하인리히 아우구스트 에발트의 지도를 받았다. 1870년에는 모교인 괴팅겐 대학교에서 구약 역사 분야의 사강사(Privatdozent)가 되었다.

2. 2. 교수 경력과 사임

1872년 그라이프스발트 대학교에서 신학 정교수로 임명되었다.[4] 그러나 1882년 양심상의 이유로 교수직을 사임했는데, 자신의 학문적 연구가 개신교 목사 양성이라는 실질적 목표와 맞지 않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그는 사직서에서 다음과 같이 밝혔다.

: "나는 성경의 과학적 연구에 관심이 있어서 신학자가 되었다. 나는 점차 신학 교수는 또한 개신교 교회에서 봉사할 학생들을 준비시키는 실질적인 임무를 가지고 있으며, 나는 이 실질적인 임무에 적합하지 않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오히려 내 자신의 모든 주의에도 불구하고 나의 청중들이 그들의 직무에 부적합하게 만든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 이후로 나의 신학 교수직은 나의 양심을 무겁게 짓눌렀다."[5][6]

사임 후 그는 할레 대학교의 문헌학부에서 외국어 분야 객원교수가 되었고, 1885년에는 마르부르크 대학교에서 정교수로 선출되었으며, 1892년 괴팅겐 대학교로 자리를 옮겨 사망할 때까지 그곳에 머물렀다.

3. 주요 업적 및 학설

율리우스 벨하우젠은 성서 비평, 특히 구약성서의 역사와 육경(모세오경여호수아기)의 구성에 대한 비판적 연구로 19세기 후반과 20세기 구약학 연구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의 가장 중요한 업적 중 하나는 저서 《이스라엘 역사 입문》(Prolegomena zur Geschichte Israels, 1883년)을 통해 문서 가설을 체계적으로 정립한 것이다. 이 가설은 토라가 모세 한 사람이 아닌, 서로 다른 시대와 배경을 가진 네 개의 독립적인 문서(J, E, D, P)가 후대에 편집되어 형성되었다고 주장하며, 빌헬름 데 베테의 연구를 계승하여 발전시켰다. 문서 가설은 오랫동안 구약 연구의 주류 학설이었으나, 20세기 후반부터는 다양한 수정과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벨하우젠은 또한 이스라엘 종교사 연구에 있어 모세 오경의 율법보다 예언자들의 개인적 경건을 더 중시했으며, 『신명기』를 포함한 제사 관련 법전들이 바빌론 유수 이후 시대에 성립되었다고 보았다[13]. 그는 제사장 계층 중심의 유대교가 예언자적 전통을 약화시키고 율법 체계를 확립하는 과정에서 바리새파가 부상하고 기독교가 정신적 이스라엘로서 성장하는 배경이 마련되었다고 분석했다[14].

구약 연구 외에도 초기 이슬람교 역사 연구에 기여하여 《아랍 왕국과 그 몰락》(Das arabische Reich und sein Sturz, 1902) 등을 저술했으며[11], 아랍어에서 유일신을 뜻하는 'الله|알라ara'의 어원이 '신'을 의미하는 보통명사 'إله|일라흐ara'에 정관사 'ال|알ara'이 결합된 'الإله|알-일라흐ara'에서 축약된 것이라는 설을 제기하기도 했다.

벨하우젠은 신약성경에 대한 주석 작업도 수행했으나, 구약 연구만큼 큰 영향을 미치지는 못했다.

아래는 벨하우젠의 주요 저서 목록이다.

원제출판 연도비고
De gentibus et familiis Judaeis1870유대 민족과 가문에 대하여
Der Text der Bücher Samuelis untersucht1871사무엘서 본문 연구
Die Phariseer und Sadducäer1874바리새파와 사두개파 연구
Geschichte Israels (초판) / Prolegomena zur Geschichte Israels (개정판)1878 / 1883이스라엘 역사 입문, 영어 번역 Prolegomena to the History of Ancient Israel ([https://www.gutenberg.org/ebooks/4732 프로젝트 구텐베르크] 제공)
무함마드, 메디나에서1882알 와키디 저작 번역
Die Composition des Hexateuchs und der historischen Bücher des Alten Testaments1876/77육경 및 구약 역사서 구성 연구
Israelitische und jüdische Geschichte1894이스라엘 및 유대 역사
[http://hdl.loc.gov/loc.gdc/gdclccn.g01000166 Reste arabischen Heidentums]1897아랍 이교의 잔재
Das arabische Reich und sein Sturz1902아랍 왕국과 그 몰락, 우마이야 왕조 역사 연구. 영어 번역 The Arab Kingdom and its Fall (1927)[11], 우르두어 번역 Saltanat e Arab Aur Uska Suqoot[12]
Skizzen und Vorarbeiten1884–1899스케치와 예비 작업들
Medina vor dem Islam1889이슬람 이전의 메디나
Einleitung in das Alte Testament (개정판)1878–1893프리드리히 블리크 저서 개정 (4-6판)
Die kleinen Propheten1902소예언서 비평
"The Book of Psalms" in Sacred Books of the Old Testament1895시편 연구 (영어 번역 1898)
Das Evangelium Marci, übersetzt und erklärt1903마가복음 주석
Das Evangelium Matthäi1904마태복음 주석
Das Evangelium Lucae1904누가복음 주석
Einleitung in die drei ersten Evangelien1905공관복음서 입문


3. 1. 문서 가설 (Documentary Hypothesis)

벨하우젠은 구약성서 역사와 ''육경''(모세오경여호수아기)의 구성에 대한 비평적 연구로 알려져 있다. 그의 가장 중요한 업적 중 하나는 저서 『이스라엘 역사 입문(Prolegomena zur Geschichte Israels)』(1883년 출판, 1878년 『이스라엘 역사』로 초판 발행)을 통해 문서 가설을 확정적으로 공식화한 것이다.

문서 가설은 토라(모세오경)가 모세 한 사람에 의해 쓰인 것이 아니라, 모세 시대보다 여러 세기 뒤에 작성된 네 개의 독립적인 문서들을 후대에 편집하여 만들어졌다고 주장한다.[8][9] 벨하우젠은 이 문서들이 형성되고 편집되는 과정을 고대 이스라엘의 역사적, 사회적 맥락 속에서 설명하려 했다.[8][9] 그는 빌헬름 데 베테의 연구를 이어받아 문서 가설을 발전시켰는데, 데 베테는 오경의 네 가지 문서 자료 구분에 대한 초기 연구를 수행했다. 벨하우젠은 데 베테를 "오경의 역사 비평의 시대를 연 사람"으로 평가했다.

벨하우젠은 모세오경에 담긴 율법보다는 예언자 예레미야와 같은 예언자들의 개인적 경건을 더 중시했다. 그는 『신명기』를 포함한 제사 관련 법전들이 바빌론 유수 이후 시대에 성립되었다고 보았다[13]. 또한 그는 기원전 6세기경부터 제사장 계층 중심의 유대교가 고대 이스라엘의 예언자적 종교 전통을 억누르면서 율법이 최종적으로 고정되었고, 이 과정에서 바리새파가 권력을 잡게 되었다고 보았다. 그는 이러한 유대교의 발전과는 다른 흐름 속에서 정신적 이스라엘로서의 기독교가 성장했다고 해석했다[14].

벨하우젠은 모세오경이 모세의 저작이 아니라는 근거 중 하나로 모세 시대에는 문자가 없었다고 주장하기도 했으나, 이 주장은 후대 학자들의 연구를 통해 사실과 다르다는 것이 밝혀졌다.

벨하우젠의 문서 가설은 발표 이후 20세기 대부분 동안 구약성서 연구, 특히 모세오경 연구 분야에서 지배적인 학설로 여겨졌다. 하지만 20세기 후반부터는 벨하우젠의 가설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며 토라 형성에 더 많은 편집 과정이 있었고, 그 시기도 벨하우젠이 생각했던 것보다 더 후대라고 주장하는 다른 성서 학자들의 연구들이 등장하며 수정 및 보완되고 있다.

3. 2. 이스라엘 종교사 연구

율리우스 벨하우젠은 구약성서 역사, 특히 토라(모세 오경)와 여호수아기의 형성에 대한 비판적 연구로 잘 알려져 있다. 그는 토라의 저자들이 실제 기록 시점보다 후대인 이스라엘 왕국 시대의 상황을 반영하여 기록했다고 주장하며, 토라의 성립 시기가 전통적인 견해보다 더 늦다고 보았다. 또한 그는 모세 시대에는 문자가 없었다는 점을 들어 모세 오경의 모세 저작설을 부정하기도 했으나, 이 주장은 후대 학자들의 연구를 통해 반박되었다.

벨하우젠은 『바리새파와 사두개파』(1874)나 『이스라엘 역사』(1878)와 같은 저서를 통해, 모세 오경에 담긴 율법 조항들보다는 예언자 예레미야와 같은 인물들이 보여준 개인적인 신앙심과 경건함을 더 중요하게 평가했다. 그는 이스라엘 종교의 발전 과정에서 율법이 예언자들의 활동 이후에 형성되었다고 보았으며, 특히 『신명기』 등에 나타나는 제사 관련 법규들은 바빌론 유수라는 역사적 사건 이후에 만들어진 것이라고 주장했다[13].

나아가 벨하우젠은 6세기 무렵부터 유대교가 고대 이스라엘 종교 본래의 모습을 점차 변화시켰다고 분석했다. 그는 제사장 계층이 예언자들의 영향력을 누르고 종교적 권위를 장악하면서 율법 중심의 체제가 확고해졌다고 보았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바리새파는 유대 사회의 주도 세력으로 부상했으며, 동시에 기존 유대교와는 다른 정신적 흐름으로서 기독교가 성장할 수 있는 배경이 마련되었다고 설명했다[14].

3. 3. 초기 이슬람 연구

벨하우젠은 구약성서 연구 외에도 초기 이슬람교 역사와 문화에 대한 중요한 연구를 남겼다. 그는 알 와키디의 저서를 번역하여 《무함마드, 메디나에서》(1882)를 출판했으며, Reste arabischen Heidentums(아랍 이교의 잔재, 1897), ''Medina vor dem Islam''(이슬람 이전의 메디나, 1889) 등을 저술했다. 특히 그의 저서 《아랍 왕국과 그 몰락》(Das arabische Reich und sein Sturz, 1902)은 우마이야 왕조의 역사를 다룬 중요한 연구로 평가받으며, 1927년 영어로 번역(''The Arab Kingdom and its Fall'')되기도 했다.[11]

또한 벨하우젠은 아랍어에서 유일신을 나타내는 단어 'الله|알라ara'의 어원에 대한 설을 제시했다. 그는 '알라'가 '신'을 의미하는 보통 명사 'إله|일라흐ara'(ilāh)에 정관사 'ال|알ara'(al)이 붙어 만들어진 'الإله|알-일라흐ara'가 줄어든 형태라고 주장했다. 이 설명은 무슬림(이슬람교도)들에게도 널리 받아들여져 오늘날 자주 인용되는 해석 중 하나이다.

4. 비판과 논란

율리우스 벨하우젠의 학문적 업적은 널리 인정받지만, 그의 연구 방법론과 해석에 대한 비판 역시 존재한다. 특히 그의 연구에 반유대주의적 시각이 반영되었다는 지적이 있으며, 이는 그의 저작에서 유대교 율법 체계에 대한 평가나 역사 해석 방식 등에서 나타난다는 비판으로 이어진다. 또한 그의 대표적인 문서 가설 역시 후대 학자들에 의해 지속적으로 논의되고 비판받는 주제이다.

4. 1. 반유대주의 논란

일부 학자들은 율리우스 벨하우젠의 학문적 연구에 반유대주의적 편견이 반영되었다고 비판한다. 앨런 레벤슨은 벨하우젠이 신학적 반유대주의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반유대주의 역시 규범적인 것으로 받아들였다고 주장한다.[10]

비판자들은 벨하우젠이 그의 저서 『바리새파와 사두개파』(1874), 『이스라엘 역사』(1878) 등에서 모세 오경의 율법 체계를 상대적으로 낮게 평가하고, 예언자 예레미야와 같은 인물들의 개인적 경건을 더 중요하게 여긴 점을 지적한다. 그는 신명기를 포함한 제사 관련 법전들이 바빌론 유수 이후 시대에 형성되었다고 보았다.[13]

벨하우젠은 6세기경부터 유대교가 고대 이스라엘 종교의 순수성을 약화시켰으며, 제사장 계층이 예언자들의 영향력을 억누르고 율법을 고정시켰다고 해석했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바리새파가 종교적 권력을 장악하게 되었고, 반면 기독교는 '정신적 이스라엘'로서 성장할 수 있었다는 것이 그의 시각이었다.[14] 이러한 해석은 유대교의 역사와 전통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을 드러낸다는 비판을 받는다.

4. 2. 문서 가설에 대한 비판

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ống

5. 영향 및 평가

벨하우젠은 구약성서 역사와 육경의 구성에 대한 성서 비평적 연구로 널리 알려져 있다. 특히 그의 대표 저서인 《이스라엘 역사 입문서》(1883, 1878년 《이스라엘 역사》로 처음 출판됨)는 문서 가설을 확립한 중요한 연구로 평가받는다. 이 가설은 토라가 실제 모세 시대보다 여러 세기 후에 작성된 네 개의 독립적인 문서를 편집하여 만들어졌다고 주장하며, 전통적인 모세 저작설에 도전했다.

벨하우젠의 문서 가설은 20세기 후반까지 오경 연구에서 지배적인 위치를 차지했다. 그러나 이후 성서 학자들은 토라 형성에 더 많은 편집 과정이 있었으며, 벨하우젠이 제시한 것보다 훨씬 후대에 문서들이 작성되었다고 보는 등 그의 가설을 발전시키거나 수정하는 연구를 진행했다.

벨하우젠 자신은 빌헬름 데 베테를 "오경의 역사 비평 시대를 연 인물"로 평가하며 그의 연구를 계승했음을 밝혔다. 데 베테는 1806년에 이미 J, E, D, P 문서 이론의 기초를 마련했지만, 당시에는 받아들여지지 못했다. 벨하우젠은 데 베테의 선구적인 연구를 발전시켜 성서 비평학의 중요한 업적으로 만들었다.

벨하우젠의 학문적 성과는 성서학뿐만 아니라 다른 분야에도 영향을 미쳤는데, 특히 니체, 막스 베버, 프로이트 같은 사상가들에게도 영향을 준 것으로 알려져 있다.[15]

6. 주요 저서


  • De gentibus et familiis Judaeisla (유대 족속과 가문에 대하여) (괴팅겐, 1870)
  • Der Text der Bücher Samuelis untersuchtde (사무엘서 본문 연구) (괴팅겐, 1871)
  • Die Phariseer und Sadducäerde (바리새파와 사두개파), 이 주제에 대한 고전적인 논문 (그라이프스발트, 1874)
  • Die Composition des Hexateuchs und der historischen Bücher des Alten Testamentsde (육경과 구약 역사서의 구성) (1876/77, 제3판 1899)
  • 프리드리히 블리크의 Einleitung in das Alte Testamentde 새롭고 수정된 판 (4–6판, 1878–1893).
  • 이스라엘 역사 서설 (Prolegomena zur Geschichte Israelsde) (베를린, 1882; 제3판, 1886; 영어 번역, 에든버러, 1883, 1891; 제5 독일어판, 1899; 1878년 Geschichte Israelsde로 초판 출판; 영어 번역 ''Prolegomena to the History of Ancient Israel'', Forgotten Books, 2008, ISBN 978-1-60620-205-0. 또한 프로젝트 구텐베르크에서 이용 가능)
  • Muhammed in Medinade (무함마드, 메디나에서), 알 와키디의 번역 (베를린, 1882)
  • Skizzen und Vorarbeitende (1884–1899)
  • Medina vor dem Islamde (1889)
  • Israelitische und jüdische Geschichtede (이스라엘과 유대 역사) (1894, 제4판 1901)
  • "The Book of Psalms" in ''Sacred Books of the Old Testament'' (라이프치히, 1895; 영어 번역, 1898)
  • Reste arabischen Heidentumsde (1897) (링크)
  • Das arabische Reich und sein Sturzde (아랍 왕국과 그 몰락), 당시 우마이야 왕조 역사의 표준 현대적 설명 (1902), 영어 번역 ''The Arab Kingdom and its Fall'' (1927)[11] 우르두어 번역: "Saltanat e Arab Aur Uska Suqoot".[12]
  • Die kleinen Prophetende (소 예언서), 비평적 소책자 (1902)
  • Das Evangelium Marci, übersetzt und erklärtde (1903)
  • Das Evangelium Matthäide (1904)
  • Das Evangelium Lucaede (1904)
  • Einleitung in die drei ersten Evangeliende (1905)
  • Die christliche Religion, mit Einschluss der israelitisch-jüdischen Religionde (1906, 아돌프 율리허, 아돌프 폰 하르낙 등과 공저)

참조

[1] 웹사이트 On Bible Criticism and Its Counterarguments http://www.aishdas.o[...] Torat Emet
[2] 웹사이트 Did Moses Write the Pentateuch? http://www.leaderu.c[...]
[3] 서적 Who Wrote the Bible? Harper Collins 1986
[4] 간행물 A Century of Old Testament Study Lutterworth Press 1994
[5] 웹사이트 Was the Documentary Hypothesis Tainted by Wellhausen's Antisemitism? - TheTorah.com https://www.thetorah[...] Project TABS 2022-02-28
[6] 간행물 The Bible Without Theology: the Theological Tradition and Alternatives to It University of Illinois 2000
[7] 서적 The Arab Kingdom and its fall https://www.routledg[...] Routledge 2022-02-28
[8] 서적 Die Pharisäer und die Sadducäer: eine Untersuchung zur inneren jüdischen Geschichte L. Bamberg 1874
[9] 서적 Prolegomena to the History of Israel Scholars Press 1994
[10] 웹사이트 Was the Documentary Hypothesis Tainted by Wellhausen's Antisemitism? - TheTorah.com https://www.thetorah[...] Project TABS 2022-02-28
[11] 간행물 The First Dynasty of Islam: The Umayyad Caliphate AD 661–750 (2nd Edition) https://books.google[...] Routledge
[12] 웹사이트 The Arab Kingdom and Its Fall Urdu, Julius Wellhausen, سلطنت عرب کا سقوط https://quranwahadit[...]
[13] 문서 上山安敏2005
[14] 문서 上山安敏2005
[15] 문서 上山安敏20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