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야구 기록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야구 기록은 선수들의 업적을 문서화하는 시스템으로, 19세기부터 시작되어 타율, 평균자책점 등 전통적인 통계와 세이버메트릭스를 활용한 선수 성과 측정 지표로 발전해왔다. 타격, 주루, 투구, 수비 등 다양한 기록이 존재하며, 각 기록은 선수의 능력을 평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타격 기록은 가장 주목받는 분야이며, 세이버메트릭스는 선수들의 기여도를 더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한 지표들을 제공한다. 한국 프로야구에서도 기록원의 판정 문제, 기록의 정확성 등에 대한 논란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야구 기록 - 퍼펙트 게임
    퍼펙트 게임은 야구에서 투수가 9이닝 이상 동안 상대팀 타자 전원을 범타 처리하고 단 한 명도 출루시키지 않는 극히 드문 경기를 의미하며, MLB와 NPB에서는 각각 24차례와 16차례 기록되었으나 KBO에서는 아직 없다.
  • 야구 기록 - 미국야구연구협회
    미국야구연구협회(SABR)는 야구 연구를 장려하고 야구 팬, 역사학자, 통계학자 등 다양한 분야의 사람들을 연결하는 단체로, 야구 연구를 위한 위원회, 지부, 컨벤션, 출판물을 운영하며 야구 관련 지식 공유와 야구계 발전에 기여한다.
  • 야구에 관한 - 퍼펙트 게임
    퍼펙트 게임은 야구에서 투수가 9이닝 이상 동안 상대팀 타자 전원을 범타 처리하고 단 한 명도 출루시키지 않는 극히 드문 경기를 의미하며, MLB와 NPB에서는 각각 24차례와 16차례 기록되었으나 KBO에서는 아직 없다.
  • 야구에 관한 - 홈런
    홈런은 야구에서 타자가 친 공이 구장 밖으로 완전히 벗어나거나 펜스를 넘어가는 타구로, 득점으로 연결되며, 일반 홈런, 장외 홈런, 인사이드 더 파크 홈런 등으로 구분되고, 상황별, 종류별 다양한 홈런이 존재한다.
  • 야구 용어 - 퍼펙트 게임
    퍼펙트 게임은 야구에서 투수가 9이닝 이상 동안 상대팀 타자 전원을 범타 처리하고 단 한 명도 출루시키지 않는 극히 드문 경기를 의미하며, MLB와 NPB에서는 각각 24차례와 16차례 기록되었으나 KBO에서는 아직 없다.
  • 야구 용어 - 메이크도라마
    메이크도라마는 일본 프로 야구에서 극적인 역전 우승을 묘사하는 신조어로, 1995년 나가시마 시게오 감독이 요미우리 자이언츠의 우승 의지를 담아 처음 사용했으며, 1996년 요미우리의 센트럴 리그 우승을 통해 사회적 유행어가 되었고, 2016년에는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가 퍼시픽 리그에서 역전 우승을 달성하며 재조명되었다.
야구 기록

2. 야구 기록 시스템의 발전

19세기 잉글랜드계 미국인 스포츠 작가 헨리 채드윅은 선수들의 업적을 기록으로 남기기 시작했다.[1] 그는 크리켓 스포츠 경험을 바탕으로 타율, 득점, 자책점 등 현대식 통계의 전신을 고안했다.

전통적으로 타율(안타 수를 타수 수로 나눈 값) 및 평균 자책점(투수가 9이닝당 허용한 평균 자책점, 투수의 통제 범위를 벗어난 에러 및 기타 이벤트 제외)과 같은 통계가 야구 통계에서 가장 주목받았다. 그러나 최근 세이버매트릭스의 등장으로 선수 성과 측정 및 경기장 변수를 더 폭넓게 활용하는 통계가 등장했다. 세이버매트릭스 및 비교 통계는 선수들의 연도별 성과 및 팀 기여도를 통계적 성과 평균과 비교하여 개선된 측정을 제공하고자 한다.[2]

1951년 연구원 하이 터킨이 ''야구 백과사전''을 출판하기 전까지 일반 팬들은 종합적이고 역사적인 야구 통계에 접근하기 어려웠다. 1969년, 맥밀란 출판사는 컴퓨터를 사용하여 통계를 편집한 최초의 ''야구 백과사전''을 인쇄했다. "빅 맥"으로 알려진 이 백과사전은 1988년 워너 북스에서 보다 정교한 기술을 사용하여 ''토탈 베이스볼''을 출시할 때까지 표준 야구 참고 자료가 되었다. ''토탈 베이스볼''의 출판으로 루 프로크터와 같이 공식 기록부에 포함되지 않아 삭제된 여러 "유령 선수"들이 발견되었다.[3]

2. 1. 한국 프로야구 기록 시스템

일반적으로 야구 기록은 선수 출신 기록원이 경기를 보면서 작성한다. 야구 기록은 선수에게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기록원의 판정과 기록 자료는 중요하다. 실제로 KBO 공식 기록원이 내린 판정은 수정되지 않아 선수들의 공분을 사기도 했다.[9]

2. 2. 한국 사회인 야구 기록 시스템

사회인 야구단은 협회나 팀 단위로 기록원을 고용하여 기록한다. 일반적으로 야구 커뮤니티를 통해 기록원을 고용하고 데이터를 별도로 보관하거나 온라인에 업로드하는 방식으로 내, 외부에서 공유한다. 이 과정은 다소 불확실한 기록을 야기할 수 있어 경기 영상을 촬영하고 영상을 통해 경기 기록의 정합도를 올리는 방식도 있다.[9] 구체적으로 스포비에 따르면 경기 시작, 경기 녹화, 경기 종료, 영상 기록(영상을 통한 기록 산정), 기록 검증, 기록 등록 순서로 이루어진다.

3. 타격 기록

타격 기록은 야구에서 가장 주목받는 기록이며, 대부분 타석마다의 타격 결과를 기록하여 타자의 능력을 나타낸다. 이 외에도 단타, 장타, 홈런율, 득점권 타율, 타격 방해 등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과거에는 결승타가 공식 기록으로 채택되었으나 현재는 폐지되었다.

현대 야구에서는 전통적으로 타율, 타점, 홈런을 핵심적인 타격 기록으로 간주한다. 이 세 가지 기록에서 모두 리그 선두를 차지하면 "트리플 크라운"을 획득한 것으로 인정된다.[3]

3. 1. 주요 타격 기록 용어

용어영어 약자영어 용어용어 설명
단타(1루타)1BSingle타격 후 상대의 실책 없이 타자 주자가 1루에 안착하는 것
2루타2BDouble타격 후 상대의 실책 없이 타자 주자가 2루에 안착하는 것
3루타3BTriple타격 후 상대의 실책 없이 타자 주자가 3루에 안착하는 것
타수ABAt Bat타격 행위를 완료한 타석의 수. 볼넷, 몸에 맞는 볼, 희생타, 타격방해 혹은 기타 방해행위는 포함하지 않는다.
홈런당 평균 타수AB/HRAB/HR타수홈런으로 나눈 값
타율BA, AVGBatting Average안타타수로 나눈 값
볼넷/4구BBwalk타자가 4개의 판정을 얻어 1루로 진루하는 것
볼넷 대 삼진 비율BB/KBB/K타자가 얻은 볼넷의 수를 삼진 수로 나눈 값
장타XBHsExtra Base Hits2루타, 3루타, 홈런의 수를 더한 값
야수선택FCFielder's Choice루 상에 있는 다른 주자를 잡기 위해 타격 행위를 행한 타자 주자가 1루에 안착한 경우
땅볼 대 플라이볼 비율GO/AOGO/AO땅볼의 수를 플라이볼의 수로 나눈 값
병살타GDP or GIDPGround Into Double Play내야 땅볼을 쳐서 병살이 된 경우 (주자가 홈에 들어와 득점에 성공하더라도 병살타를 친 타자에게는 타점이 주어지지 않는다.)
만루 홈런GSGrand Slam만루홈런을 친 경우, 타자에게는 4타점이 부여
안타HHits타격 후 수비에러 없이 타자 주자가 루에 안착하는 것. 단타, 2루타, 3루타, 홈런 등을 통칭한다.
몸에 맞는 볼/사구(死球)HBPHit By Pitch투수투구타자의 몸에 맞는 경우 타자는 1루로 진루할 권리를 얻음.
홈런HRHome Run타자타구가 페어 라인 폴대 안쪽의 외야 담장을 넘거나 혹은 수비 에러 없이 모든 루를 다 밟았을 경우(그라운드 홈런) 홈런이라고 한다.
고의사구IBBIntentional Base on Balls투수가 상대 타자와의 승부를 피하기 위해서 고의적으로 볼넷을 주는 경우
삼진SOStrike Out타자가 3번째 스트라이크 판정을 받는 경우 삼진으로 아웃 처리됨
잔루LOBLeft On Base루 상의 주자를 불러들이지 못하고 해당 공격이닝이 끝나는 경우 남아 있는 모든 주자의 수
출루율OBPOn Base Percentage타자가 루에 진루한 수(안타, 볼넷, 몸에 맞는 볼)를 타수+볼넷+몸에 맞는 볼+희생타를 합한 값으로 나눈 것
OPSOPSOn-base Plus Slugging출루율장타율을 더한 값
타석PAPlate Appearance타격 행위를 하기 위해 타석에 들어선 수
타수ABAt Bat타석 수에서 사사구, 희생타 등을 제외한 횟수
타점RBIRun Batted In타격 행위로 인한 득점. 병살타나 실책으로 인한 출루는 제외
득점권RISPRunner In Scoring Position주자득점권에 있을 경우
도루성공률SB%Stolen Base Percentage도루 성공한 확률. 도루수를 도루 시도수로 나눈 값
희생 플라이SFSacrifice Fly주자득점할 수 있도록 하는 외야 플라이
희생 번트SHSacrifice Hit주자가 진루할 수 있도록 하는 희생 번트의 수
장타율SLGSlugging Average총루타수를 타수로 나눈 값
순장타율isoPIsolated Power장타율에서 타율을 뺀 값. {2루타 + 2×3루타 + 3×홈런} / 타수'로 구하기도 한다.[10]
총루타TBTotal Bases단타는 1, 2루타는 2, 3루타는 3, 홈런은 4로 환산하여 모두 더한 것


3. 2. 세이버메트릭스 타격 지표

wOBA, GPA, RC 등은 기존 기록보다 더 정교하게 타자를 평가하기 위한 지표들이다.[3]

타자의 성적을 평가하는 지표는 크게 두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하나는 타석당 가치를 나타내는 지표이고, 다른 하나는 누적 득점 기여도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 타석당 가치 지표: 계산과 선수 간 비교가 쉽지만, 타자가 실제로 기여한 득점 수는 알 수 없다.
  • 누적 득점 기여도 지표: 타자가 실제로 기여한 득점 및 승리 수를 파악하기 쉽지만, 계산과 선수 간 비교에 시간이 걸린다.


세이버메트릭스 타격 지표는 다음과 같다.

구분지표설명
타석당 가치 지표출루율(OBP), OPS, wOBA, NOI, GPA, EqA(동등 평균), K%, [https://legacy.baseballprospectus.com/glossary/index.php?mode=viewstat&stat=283%7CBR BBr], IsoD, BB%, ISO, TA, BABIP, Power–speed number타자의 성질, 유형 분석에 도움이 된다.
누적 득점 기여도 지표Batting Runs, XR, RC, OXS, MLV, BsR (타격 지표)팀의 총 득점 예측식을 응용하여 개인의 득점 기여도를 나타낸다.


4. 주루 기록

주루 기록은 주자의 베이스 이동과 관련된 기록으로, 도루, 득점 등이 있다. 도루 성공률도 일반적인 주루 기록 항목이며, 항목 수가 적어 주로 타격 기록에 포함된다.

4. 1. 주요 주루 기록 용어

용어영문 약자영문 용어설명
도루SBStolen Base타격이나 볼넷, 몸에 맞는 볼과 상관없이 주자 자신의 힘으로 진루에 성공한 경우
무관심 도루(무관심 진루)DIDefensive Indifference야수들이 도루하는 주자를 잡으려는 의지가 없을 경우 (대개 점수 차가 많이 벌어져서 추가 득점이 별 의미 없을 때) 도루로 기록되지 않는다.
도루실패CSCaught Stealing주자도루를 시도했으나 태그 아웃된 경우
득점RRuns Scored주자가 본루를 정상적이고 안전하게 밟은 횟수


5. 투구 기록

투구 기록은 투수의 투구 내용을 나타내는 기록으로, 평균자책점, 탈삼진, 승리, 세이브, 홀드 등이 있다.

현대 야구에서는 전통적으로 승리, 평균자책점, 탈삼진을 투수의 주요 통계로 참조해왔으며, 이 세 가지 통계에서 모두 리그 선두를 달리는 투수는 "트리플 크라운" 수상자로 불릴 수 있다. 2001년 이후, 투수 뒤의 수비수들의 강약에 관계없이 투수의 경기력을 평가하기 위해 수비 무관 투구 지표에 더 많은 비중을 두고 있다.

감독, 포수 및 투수는 상대 팀 타자의 통계를 사용하여 투구 전략을 개발하고 경기장의 수비 위치를 설정한다.

주요 투구 기록 용어와 세이버메트릭스 투구 지표에 대한 내용은 하위 문단을 참고할 수 있다.

용어영문 약자영문 용어설명
경기 (등판)해당 경기에서 투수가 투구한 횟수
투구 이닝IPInning Pitched투구한 이닝 수
완투CGComplete Game자신이 경기의 모든 이닝을 투구한 경우
경기 초 (초)경기의 첫 투수로 등판한 경우
교체 완료 (완료)경기를 마무리한 투수
연장 경기 (연장)연장전 경기에 등판한 경우
무실점 승리 (완봉)SHOShutout경기 종료전까지 실점하지 않고 모든 이닝을 끝낸 경우
노히트 노런No-Hit No-Run(No hitter)투수가 상대 타자들을 상대로 실책, 볼넷 등으로 주자 출루는 허용하였으나 안타를 하나도 허용하지 않고 무실점으로 경기를 끝내는 경우
퍼펙트 게임Perfect Game투수가 상대 타자들을 상대로 안타나 볼넷, 몸에 맞는 볼 등을 하나도 허용하지 않고 경기를 끝내는 경우
무승부승리, 패전, 세이브, 홀드 중 어느 것도 기록하지 못한 경우
승률승리 / (승리 + 패전)
홀드 포인트홀드와 승리를 합한 기록
타자 (대 타자)상대한 타자 수
타수 (대 타수)상대한 타자의 타수 (희생 번트, 희생 플라이, 타격 방해, 주루 방해 제외)
희생타 (피희생타)투수가 희생타를 허용한 횟수
희생 플라이 (피희생 플라이)투수가 희생 플라이를 허용한 횟수
고의 사구 (고의 사구)투수가 고의 사구를 허용한 횟수
보크투수가 범한 보크 횟수
폭투투수가 범한 폭투 횟수
QSquality starts최소 6이닝을 던지고 3점 이하의 자책점을 기록
BABIP인플레이 타구 타율
RSAA평균 대비 득점 저지
GB/FB땅볼/뜬공 비율
ERC추정 평균자책점
HldR(자책점 - 홈런) / (안타 + 사사구 - 홈런)으로 계산되며, 득점을 허용한 실점을 나타낸다.
K/BB삼진/볼넷 비율
피안타율피안타율
피홈런율피홈런율
탈삼진율탈삼진율
사사구율사사구율
LOB%잔루율
PAP^3 (pitcher abuse point)투수 혹사 지수


5. 1. 주요 투구 기록 용어

평균 자책점(ERA)은 게임당 투수가 내준 점수의 평균으로, 투수 자책점의 평균을 나타낸다. 계산식은 (총 자책점/(총 이닝 수/9))이다. 자책점(ER)은 수비에러 없이 실점하는 경우로, 이 실점은 투수의 책임이 된다. 자신이 내보낸 주자가 후속 계투에 의해 홈 베이스로 들어와 득점하는 경우에도 자신의 자책점으로 처리된다.[3]

이닝당 출루 허용률(WHIP)은 이닝당 평균적으로 몇 명의 타자를 출루시켰는지를 나타낸다. 총 출루 허용수(총 피안타수 + 총 볼넷수)를 이닝수로 나눈 값이다.

승전(W)은 자신의 등판 때 처음으로 리드를 하였고 리드 상태로 경기가 종료되는 경우에 주어지며, 역전이나 동점이 되는 경우는 승리로 인정되지 않는다. 선발 투수는 최소 5이닝을 뛰어야 승전 투수가 될 수 있다. (5이닝 콜드 게임에서는 4이닝)

패전(L)은 자신의 등판 때 자신의 자책점에 의해 경기에서 패배하는 경우에 주어진다. 처음으로 점수가 뒤지기 시작한 때의 투수가 패전 투수가 된다.

세이브(S/SV)는 다음 조건 중 하나를 만족하면 주어진다. 한 경기당 1명만 가능하다.

# 자기 팀이 3점 이하 리드 시 최저 1이닝 투구.

# 베이스에 있는 주자 또는 상대 타자/다음 타자득점하면 동점 상황에서 출장.

# 최저 3이닝 이상 효과적인 투구.

홀드(H)는 승리세이브는 얻지 못했지만, 자기 팀 리드 상황에서 중간 계투로 등판해 세이브 조건을 충족시키고 물러난 경우에 주어진다.

투구 이닝수(IP)는 투구이닝수를 말한다. 피안타(H)는 투수투구한 공을 상대 타자가 쳐서 안타를 허용한 수이다. 피홈런(HR)은 투수투구한 공을 상대 타자가 쳐서 홈런을 허용한 수이다.

사사구투수볼넷(BB) 또는 몸에 맞는 볼(HBP)를 허용한 수이다. 탈삼진(SO, K)은 한 타자를 상대로 한 타석에서 스트라이크 3개를 잡아 삼진 아웃 시키는 경우이다.

실점(R)은 투수 책임 여부와 관계없이 투수 등판 시 상대에게 허용한 점수이다. 완투(CG)는 경기의 모든 이닝투구한 경우이다. 완봉(SHO)은 실점 없이 모든 이닝을 끝낸 경우이다.

노히트 노런투수실책, 볼넷 등으로 주자 출루는 허용했으나, 안타를 하나도 허용하지 않고 무실점으로 경기를 끝내는 경우이다. 퍼펙트 게임투수안타, 볼넷, 몸에 맞는 볼 등을 하나도 허용하지 않고 경기를 끝내는 경우이다.

5. 2. 세이버메트릭스 투구 지표

수비 무관 투구 지표는 투수 뒤 수비수들의 능력과 관계없이 투수의 경기력을 평가하기 위해 개발된 지표들이다.[3] 이러한 지표들을 세이버메트릭스 투구 지표라고 한다. 대표적인 세이버메트릭스 투구 지표는 다음과 같다.

  • FIP (수비 무관 평균자책점): 투수가 기록한 홈런, 볼넷, 몸에 맞는 공, 탈삼진만을 가지고 평균자책점과 유사한 형태로 나타낸 지표이다.
  • WHIP (이닝당 출루 허용률): 이닝당 볼넷과 안타 허용률을 의미한다.

6. 수비 기록

야구에서 수비 능력을 나타내는 기록은 여러 가지가 있다. 전통적으로는 수비율이 많이 사용되었지만, 이는 소극적인 수비에도 유리하게 작용하는 결함이 있어 현대에는 UZR과 같은 더 정교한 지표들이 활용된다.[7]

일본 프로 야구(NPB)에서는 외야수를 좌익수, 중견수, 우익수로 구분하지 않고 집계하지만,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MLB)에서는 각 포지션을 별개로 취급한다.

주요 수비 기록 용어는 다음과 같다.

6. 1. 주요 수비 기록 용어


  • '''보살 (A):''' 야수가 공을 터치하여 아웃을 기록한 횟수 (단, 해당 터치가 아웃으로 이어진 경우는 제외).[7]
  • '''실책 (E):''' 야수가 통상적인 노력으로 처리해야 할 플레이를 실패하여 공격에 이득을 준 횟수.[7]
  • '''수비율 (FP):''' 총 플레이 (기회 - 실책)를 총 기회로 나눈 값.
  • '''이닝 (INN):''' 선수가 특정 포지션에서 수비한 이닝 수.
  • '''패스트볼 (PB):''' 포수가 공을 놓쳐 주자가 진루했을 때 기록.
  • '''아웃 (PO):''' 야수가 주자를 태그, 포스 아웃 또는 어필하여 아웃을 시킨 횟수.
  • '''수비 범위 (RF):''' 9*(아웃 + 보살)/출장 이닝. 선수가 커버할 수 있는 수비 범위를 결정하는 데 사용.
  • '''총 기회 (TC):''' 보살 + 아웃 + 실책.
  • '''얼티메이트 존 레이팅 (UZR):''' 해당 포지션의 평균적인 수비 선수와 비교하여 선수가 할당된 "존"을 수비하는 능력.[7]
  • '''병살타 (DP):''' 야수가 아웃 또는 보살을 기록한 병살타 1개.
  • '''트리플 플레이 (TP):''' 야수가 아웃 또는 보살을 기록한 트리플 플레이 1개.
  • '''포수의 방해 (CI):''' 포수가 타격하는 배트와 접촉하는 경우.
  • '''경기 (수비 경기)'''
  • '''자살 (야구)'''
  • '''포일 (야구)'''
  • '''수비 기회'''
  • '''도루 저지율'''
  • '''DER'''
  • '''Catcher's ERA'''
  • '''플러스-마이너스 시스템'''
  • '''레인지 팩터 (RF)'''
  • '''DRS'''
  • '''존 레이팅 (ZR)'''


과거에는 수비율과 도루 저지율이 주요 지표로 사용되었으나, 현대 야구에서는 UZR과 같은 더 정교한 지표들이 활용되고 있다.[7]

6. 2. 세이버메트릭스 수비 지표

DRS 및 UZR 등의 지표가 있다. 이러한 지표들은 기존의 수비율보다 더 정확하게 수비 능력을 평가할 수 있도록 돕는다.[3]

7. 기타 기록

용어영어 약자영어 용어용어 설명
병살DPDouble Play2명의 주자를 한 번의 수비 상황에서 아웃 처리하는 것을 의미한다.
삼중살TPTriple Play3명의 주자를 한 번의 수비 상황에서 아웃 처리하는 것을 의미한다.
콜드 게임Called Game5회 이후 부득이하게 게임을 종료해야 할 경우, 현재까지의 점수로 승부를 가리는 게임을 의미한다.
노 게임No Game5회 전에 종료되어 승부가 기록되지 않은 게임을 의미한다.
끝내기 홈런9회말 또는 연장전에서 홈런을 쳐서 경기를 종료하는 것을 의미한다.
끝내기 볼넷9회말 또는 연장전 만루 상황에서 밀어내기 볼넷으로 경기를 종료하는 것을 의미한다.


8. 세이버메트릭스

야구 기록을 통계학적으로 분석하는 방법론인 세이버메트릭스는 선수 평가, 전략 수립 등에 활용된다. 19세기 헨리 채드윅은 선수들의 업적을 기록하는 관행을 시작했으며, 크리켓 경험을 바탕으로 타율, 득점, 자책점 등을 고안했다.[1]

전통적으로 타율, 평균 자책점 등이 주목받았지만, 최근 세이버메트릭스의 등장으로 선수 성과 측정 및 경기장 변수를 더 폭넓게 활용하는 통계가 등장했다.[2] 세이버메트릭스는 선수들의 연도별 성과 및 팀 기여도를 통계적 성과 평균과 비교하여 개선된 측정을 제공한다.[2]

1951년 연구원 하이 터킨이 ''야구 백과사전''을 출판하기 전까지는 일반 팬들이 종합적인 야구 통계에 접근하기 어려웠다. 1969년 맥밀란 출판사는 최초로 컴퓨터를 사용하여 통계를 편집한 ''야구 백과사전''을 인쇄했다.[3]

현대 야구에서는 타율, 타점, 홈런이 전통적으로 중요하게 여겨지며, 이 세 가지에서 모두 리그 선두를 달리는 선수는 "트리플 크라운"을 획득한다. 투수의 경우 승리, 평균자책점, 탈삼진이 가장 자주 인용되며, 이 통계에서 리그 선두를 달리는 투수도 "트리플 크라운" 수상자로 불린다.

OPS(출루율과 장타율을 더한 값)는 타자의 전반적인 경기력을 측정하는 데 사용된다. "상대 출루율 + 장타율"(OOPS)은 투수의 경기력을 평가하는 데 사용된다. 투수 통계 분석에는 9이닝당 탈삼진, 탈삼진/볼넷 비율, 9이닝당 홈런, 이닝당 출루 허용률 등이 활용된다. 2001년 이후, 수비 무관 투구 지표에 더 많은 비중을 두고 있다.

특정 게임 상황에서 통계가 활용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특정 타자가 좌완 투수를 잘 치는 능력, 특정 투수를 상대로 한 타자의 성공/실패 기록 등을 바탕으로 감독은 유리한 매치업을 만들 수 있다.

다음은 주요 세이버메트릭스 지표를 제외한 역사적인 야구 기록과 현대 수학적 공식에 기반한 약어 및 두문자어 목록이다.


  • 승리 기여도
  • 피타고라스 승률
  • 선형 가중치(LWTS)
  • 파크 팩터
  • PITCHf/x
  • Statcast(Stat cast)
  • PECOTA
  • 스포츠 관련 일본 제일 목록

8. 1. 주요 세이버메트릭스 지표

WAR은 선수가 팀에 기여하는 승리 수를 나타내는 지표이다.[3] wOBA (가중 출루율)는 타자의 공격력을 평가하는 지표 중 하나이다.[3] 수비 무관 평균자책점(dERA)은 수비와 무관하게 투수의 능력을 평가하는 데 사용된다.

참조

[1] 서적 Cooperstown: Hall of Fame Players Publications International
[2] 웹사이트 What is sabermetrics? https://www.mlb.com/[...] 2024-03-04
[3] 백과사전 Introduction https://archive.org/[...] Sterling
[4] 웹사이트 LOB% : FanGraphs Sabermetrics Library http://www.fangraphs[...] 2010-02-17
[5] 논문 Did Shoeless Joe Jackson Throw the 1919 World Series? 1993-11
[6] 웹사이트 Major League Baseball Historical Statistics http://mlb.mlb.com/s[...]
[7] 웹사이트 守備評価 https://baseballconc[...] 2021-04-07
[8] 서적 デルタ・ベースボール・リポート 4 プロ野球を統計学と客観分析で考える 水曜社
[9] 웹인용 "[천병혁의 야구세상] '일구이무(一球二無)' 선수들에게 '기록 정정'은 단비" https://www.yna.co.k[...] 2022-06-28
[10] 뉴스 추신수, 2008년 최고 수확 '장타력의 재발견' http://osen.freechal[...] Osen 2008-09-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