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생동물 이동 통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야생동물 이동 통로는 도로, 철도 등 인공 구조물로 단절된 야생동물 서식지를 연결하여 동물의 이동을 돕는 시설이다. 17세기 프랑스에서 어도의 초기 기록이 발견된 이후, 1950년대 프랑스에서 육상 야생동물을 위한 이동 통로가 처음 건설되었다. 야생동물 이동 통로는 육교, 터널, 수로 형태로 설치되며, 서식지 연결성 증가, 로드킬 감소, 유전적 다양성 확보 등의 효과가 있다. 밴프 국립공원, 플로리다, 네덜란드 등에서 다양한 사례를 통해 효과가 입증되었으며, 한국에서도 터널형 생태 통로를 중심으로 설치가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길 - 트레일
트레일은 걷기, 자전거 타기, 승마 등 다양한 활동을 위해 조성된 길 또는 통로로, 역사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 길도 존재하며 용도와 환경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뉘고, 안전 및 환경적 영향 최소화가 중요하다. - 길 - 골목
골목은 건물 사이의 좁은 통로를 의미하며, 보행로, 커뮤니티 공간, 놀이터 등으로 활용되지만, 상업화와 젠트리피케이션 등의 문제점도 발생한다. - 생태 복원 - 물웅덩이
물웅덩이는 빗물 등으로 인해 지표면에 일시적으로 고인 물로, 자연적으로 사라지기도 하지만 도로 등 인공적인 요인으로 발생하기도 하며, 야생동물에게 수분 공급원이 되거나 질병 매개체가 되기도 하고, 교통사고나 아이들의 놀이 공간이 되기도 한다. - 생태 복원 - 경관생태학
경관생태학은 이질적인 토지 영역에서 상호작용하는 생태계 집합을 연구하며 공간 패턴이 생태 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학문으로, 패치, 주변, 생태축, 서식지 단편화 등의 개념을 포함하고 인간의 영향 또한 주요 연구 대상으로 한다. - 도로 교통 관리 - 교통 체증
교통 체증은 도로 용량 초과로 차량이 저속 또는 정지하는 현상으로, 시간 낭비, 환경 오염, 스트레스, 사고 증가 등 부정적 영향을 초래하며, 도로 확장, 신호 최적화, 대중교통 활성화 등의 해결책이 모색되고 있다. - 도로 교통 관리 - 속도 제한
속도 제한은 교통 안전을 위해 자동차 등장 이전부터 존재했으며, 시대 변화에 따라 다양한 유형으로 발전해 왔고, 효과 및 정당성에 대한 찬반 논쟁이 있다.
야생동물 이동 통로 | |
---|---|
개요 | |
![]() | |
유형 | 구조물 |
목적 | 생태 통로 조성 교통사고 감소 |
관련 용어 | 로드킬 생태축 서식지 단편화 최소 생존 개체군 |
정의 및 목적 | |
정의 | 야생 동물이 도로, 철도, 운하와 같은 인공 구조물을 안전하게 건너도록 설계된 구조물 |
목적 | 서식지 연결성 향상 로드킬 감소 교통사고 감소 생태계 보전 |
유형 | |
육교 (Overpass) | 도로 또는 철도 위에 건설된 다리 형태의 구조물. 식물과 흙을 덮어 자연적인 환경을 조성하기도 함. |
지하 통로 (Underpass) | 도로 또는 철도 아래에 설치된 터널 형태의 구조물. |
굴 (Culvert) | 도로 아래에 설치된 파이프 형태의 통로. 작은 동물에게 적합. |
녹색 지붕 (Green Roof) | 건물 옥상에 조성된 녹지 공간. 도시 지역에서 야생 동물의 이동 통로 역할. |
펜스 (Fence) | 도로 양쪽에 설치하여 동물이 도로로 진입하는 것을 막고, 유도 통로로 안내하는 역할. |
캐노피 다리 (Canopy Bridge) | 나무 꼭대기를 연결하는 다리. 나무 위에서 생활하는 동물에게 적합. |
수중 통로 (Aquatic Passage) | 수생 동물이 댐이나 다른 장벽을 피해 이동할 수 있도록 설계된 통로. |
설계 고려 사항 | |
위치 선정 | 동물의 이동 경로, 서식지, 지형 등을 고려하여 최적의 위치 선정. |
크기 및 형태 | 대상 동물의 종류와 행동 특성에 맞춰 적절한 크기와 형태를 설계. |
자연 환경 조성 | 주변 환경과 유사한 식물, 흙, 소리 등을 제공하여 동물이 편안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조성. |
유지 관리 | 정기적인 유지 관리를 통해 구조물의 기능 유지 및 안전 확보. |
효과 | |
서식지 연결성 증진 | 단절된 서식지를 연결하여 동물의 이동 및 유전자 교환을 촉진. |
로드킬 감소 | 동물이 안전하게 도로를 횡단할 수 있도록 하여 교통사고 감소. |
생물 다양성 보전 | 멸종 위기 종의 생존율을 높이고, 생태계의 건강성을 유지. |
사례 | |
해외 사례 | 캐나다 밴프 국립공원 네덜란드의 녹색 다리 싱가포르의 에코링크 |
국내 사례 | 백두대간 생태 축 복원 사업 국립공원 내 야생 동물 이동 통로 설치 |
추가 정보 | |
관련 연구 | 야생 동물 이동 통로의 효과를 분석하고, 설계 및 관리에 대한 연구 진행. |
관련 정책 | 정부 및 지자체는 야생 동물 이동 통로 설치 및 관리에 대한 정책 수립. |
2. 역사
어도에 대한 최초의 기록은 17세기 프랑스에서 발견된다. 당시 가지 다발을 이용해 가파른 수로에 계단을 만들어 물고기가 장애물을 넘도록 도왔다. 1837년에는 캐나다 뉴브런즈윅 주 배서스트에서 리차드 맥팔란이 수력 제재소 댐을 우회하는 어도를 설계하여 특허를 받았다.[22] 1880년에는 미국 로드아일랜드 주 포턱셋 폴스 댐에 최초의 어도가 건설되었다. 산업 혁명으로 댐과 같은 하천 장애물이 많아지면서, 효과적인 어도 설치의 필요성이 커졌다.[23]
육상 야생동물을 위한 이동 통로는 1950년대 프랑스에서 처음 건설되었다.[24] 이후 네덜란드, 스위스, 독일, 프랑스 등 유럽 국가들은 야생 동물과 도로 사이의 충돌을 줄이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이동 통로를 설치해왔다. 이들 국가는 양서류, 오소리, 유제류, 무척추 동물 및 기타 작은 포유류를 보호하고 생태계를 복원하기 위해 고가도로 및 지하도를 활용하고 있다.[25][26]
미국 휴메인 소사이어티는 2007년 네덜란드에 설치된 600개 이상의 터널이 멸종 위기에 처한 유럽 오소리의 개체 수 증가에 큰 도움을 주었다고 보고했다.[26] 네덜란드에서 가장 긴 "에코덕트" 고가도로인 Natuurbrug Zanderij Crailoo는 800m 길이로 고속도로, 철도, 골프장을 가로지른다.[27][28]
캐나다와 미국에서도 야생동물 이동 통로가 점차 늘어나고 있다. 특히 앨버타 주 밴프 국립공원에는 트랜스캐나다 고속도로를 안전하게 건널 수 있도록 돕는 식물 덮인 육교가 설치되어 곰, 무스, 사슴, 늑대, 엘크 등 다양한 동물들이 이용하고 있다.[29] 1978년 도로 개선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밴프에 24개의 야생동물 이동 통로가 건설되었다.[29] 미국에서는 지난 30년간 수천 개의 야생동물 이동 통로가 건설되었으며, 몬태나의 산 염소, 매사추세츠의 점박이 도롱뇽, 콜로라도의 큰 뿔 양, 캘리포니아의 사막 거북, 플로리다의 멸종 위기에 처한 플로리다 퓨마 등을 보호하는 데 활용되고 있다.[24] 헨리 스트리트 도롱뇽 터널은 매사추세츠 주 노스 앰허스트의 헨리 스트리트 아래에 있는 터널로, 도롱뇽이 번식을 위해 사용하는 봄 웅덩이로 건너갈 수 있도록 돕는다.[30]
캐나다 온타리오 주 최초의 야생 동물 통로는 2010년 온타리오 69번 고속도로를 따라 그레이터 서드베리와 킬라니 사이에 건설되었으며, 이는 해당 노선의 진행 중인 고속도로 전환의 일부이다.[31]
2. 1. 한국의 야생동물 이동 통로
한국의 야생동물 이동 통로는 1998년 지리산 국립공원에 설치된 것이 최초이다. 이후 전국적으로 확대되었으며, 초기에는 주로 멸종위기종이나 천연기념물 보호를 위해 설치되었으나, 점차 로드킬 예방과 생태계 연결성 확보를 위한 목적으로 확대되었다.문재인 정부 시기에는 '생태 통로 설치 및 관리 지침'을 강화하고, 생태 통로의 기능 개선을 위한 연구 개발을 지원하는 등 관련 정책이 강화되었다. 주요 설치 대상 동물은 고라니, 멧돼지, 너구리 등이며, 최근에는 삵, 담비, 하늘다람쥐 등 소형 포유류를 위한 생태 통로도 설치되고 있다.
한국의 야생동물 이동 통로는 터널형, 육교형, 수로형 등 다양한 형태로 설치되며, 지형 및 주변 환경, 대상 동물의 특성을 고려하여 설계된다.
3. 도로와 서식지 단편화
도로는 서식지 단편화를 일으키는 주요 원인 중 하나이다. 도로는 야생동물의 서식지를 관통하고 분할하여 동물의 이동을 방해하고, 로드킬(야생 동물-차량 충돌)을 유발하며, 결국 생물 다양성을 감소시킨다.[4] 과학자들은 미국의 도로 시스템이 미국 토지 면적의 최소 5분의 1의 생태에 영향을 미친다고 추정한다.[6]
도로가 야생 동물 개체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4가지 방식은 다음과 같다.[7]
- 서식지 양과 질 감소
- 로드킬로 인한 사망률 증가
- 도로 반대편 자원 접근 방해
- 야생 동물 개체군을 더 작고 취약한 하위 개체군으로 분할(단편화)
도로는 서식지 손실, 로드킬, 자원으로부터의 고립을 통해 다양한 동물 개체군에 직접적인 압력을 가한다. 특히, 로드킬은 건강한 개체군에는 큰 위협이 되지 않지만, 작거나 위협받는 개체군에는 파괴적일 수 있다.[8] 로드킬은 흰꼬리사슴, 플로리다 퓨마, 아메리카흑곰 등 미국의 많은 주요 종에 큰 영향을 미쳤다.[9] 또한, 도로 건설로 인한 직접적인 서식지 파괴와 더불어, 소음, 빛, 유출수, 오염 등 도로에서 발생하는 배출물은 도로 근처 서식지의 질을 저하시켜 간접적인 서식지 손실을 유발한다.[10] 마지막으로, 식량, 쉼터, 짝짓기 상대와 같은 자원에 접근하기 위해 도로를 건너지 못하는 종은 생식률과 생존율 감소로 인해 개체군 생존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11]
도로 건설 및 사용은 서식지 단편화의 직접적인 원인으로 밝혀졌다.[5] 도로에 둘러싸인 개체군은 다른 서식지로부터 이주해 오는 개체가 적어 유전적 다양성이 부족해진다. 이러한 소규모 개체군은 온도, 서식지, 식량 가용성의 변화와 같은 새로운 환경 변화에 적응할 만큼 충분한 대립 유전자를 가지지 못해 멸종에 취약하다.[4]
도로와 서식지 단편화 간의 관계는 여러 연구를 통해 입증되었다. 한 연구에 따르면 도로는 개벌보다 숲 서식지에서 단편화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12] 또 다른 연구에서는 북미 동부의 숲이 도로로 인해 단편화되면서 숲 조류 종의 감소를 야기했으며, 소형 포유류, 곤충 및 파충류에게도 상당한 피해를 입혔다고 결론지었다.[5]
4. 야생동물-차량 충돌
야생동물-차량 충돌은 차량 파손, 탑승자와 운전자의 부상 및 사망을 유발하여 많은 비용을 발생시킨다.[13] 1990년대 연구에 따르면 유럽에서는 해마다 약 507,000건의 유제류 관련 교통사고가 발생하여 300명이 사망하고 30,000명이 부상당했으며,[14][15] 재산 피해는 10억달러를 초과했다. 미국에서는 사슴과 관련된 150만 건의 교통사고로 해마다 약 11억달러의 차량 피해가 발생한다.[16][15] 미국 전체로 보면 야생동물-차량 충돌로 인해 해마다 29,000명이 부상당하고 200명 이상이 사망한다.[17]
이러한 문제 때문에 과학자, 엔지니어, 교통 당국은 도로와 야생동물 간의 갈등을 줄이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을 고려하게 되었다. 현재 사용 가능한 방법 중에서 야생동물 횡단로는 도로로 인한 서식지 단편화와 야생동물-차량 충돌을 모두 줄이는 데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18]
5. 야생동물 이동 통로의 유형
야생동물 이동 통로는 1950년대 프랑스에서 처음 건설되었다.[1] 이후 네덜란드, 스위스, 독일, 프랑스 등 유럽 국가들에서 야생 동물과 도로 사이의 충돌을 줄이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이동 통로를 건설해왔다.[1] 네덜란드에는 600개 이상의 터널이 설치되어 멸종 위기에 처한 유럽 오소리의 개체 수 증가에 기여했으며,[1] 800m 길이의 에코덕트 고가도로(Natuurbrug Zanderij Crailoo)는 고속도로, 철도, 골프 코스를 가로지르며 야생동물의 이동을 돕고 있다.[1]
캐나다와 미국에서도 야생동물 이동 통로가 일반화되고 있다. 밴프 국립공원에는 식물이 우거진 육교가 설치되어 곰, 무스, 사슴, 늑대, 엘크 등 다양한 종들이 캐나다 횡단 고속도로를 안전하게 건널 수 있도록 돕고 있다.[1] 1978년 도로 개선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밴프에 건설된 24개의 야생동물 이동 통로(지하 통로 22개, 육교 2개)는 10종의 대형 포유류가 2007년 1월까지 총 84,000번 이용한 것으로 보고되었다.[2]
연구 결과에 따르면, 야생 동물 이동 통로와 울타리를 함께 사용했을 때 캐나다 횡단 고속도로에서 교통사고로 인한 대형 유제류의 사망률이 80% 이상 감소했다.[2] 그러나 육식 동물의 경우, 곰의 사망률은 오히려 증가하여 울타리의 효과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2] 이는 야생동물 이동 통로의 효과가 종에 따라 다를 수 있음을 보여준다.
캐나다 국립공원청은 루이스 호수 마을 근처에 17개의 추가적인 통로 구조물을 건설할 계획이며,[2] 곰의 사망률을 줄이기 위해 울타리에 와이어 'T-캡'과 같은 추가적인 조치를 취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2]
5. 1. 한국의 생태 통로 유형
이 섹션은 한국의 생태 통로 유형에 대해 설명하고 있지만,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한국의 생태 통로 유형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가 없다. 따라서 원본 소스를 기반으로 내용을 작성하는 것이 불가능하며, 요약 내용 또한 원본 소스와 일치하지 않는다. 이 경우, 섹션 내용을 작성할 수 없다.6. 효과 및 사례
야생동물 이동 통로는 서식지 연결성을 높이고, 로드킬을 감소시키며, 유전적 다양성 확보에 기여하는 등 다양한 효과가 있다.
여러 연구를 통해 야생동물 이동 통로가 서식지를 연결하고 (이동 통로를 제공함으로써) 야생동물과 차량 충돌을 줄이는 데 얼마나 효과적인지 확인했다. 이러한 구조물의 효과는 위치, 구조, 종, 서식지 등의 차이로 인해 특정 장소에 따라 크게 다를 수 있지만, 통로들은 다양한 위치에서 여러 종에게 유익한 것으로 나타났다.
1950년대 프랑스에서 최초의 육상 야생동물 이동 통로가 건설된 이후,[24] 네덜란드, 스위스, 독일, 프랑스 등 유럽 국가들은 양서류, 오소리, 유제류, 무척추 동물 및 기타 소형 포유류와 같은 야생 동물을 보호하고 재정립하기 위해 다양한 고가도로 및 지하 통로를 사용해 왔다.[25][26]
미국에서는 지난 30년 동안 몬태나의 산 염소, 매사추세츠의 점박이 도롱뇽, 콜로라도의 큰 뿔 양, 캘리포니아의 사막 거북 및 플로리다의 멸종 위기에 처한 플로리다 퓨마를 보호하기 위해 수천 개의 야생 동물 통로(수로, 교량, 고가도로 포함)가 건설되었다.[24] 헨리 스트리트 도롱뇽 터널은 매사추세츠 주 노스 앰허스트의 헨리 스트리트 아래에 있는 터널로, 도롱뇽이 번식을 위해 사용하는 봄 웅덩이로 건너갈 수 있도록 돕는다.[30]
남부 캘리포니아 여러 지역의 생물 다양성을 보호하는데도 야생동물 이동 통로가 중요한 역할을 했다. 샌버나디노 카운티에서는 위협받는 사막거북이 사용하고 있는 언더패스(배수로)를 보완하기 위해 주도 58호선을 따라 울타리를 설치했다. 울타리 도입 후 처음 4년 동안 고속도로에서 거북이의 사망률이 93% 감소했는데, 이는 임시 야생동물 이동 통로(이 경우 폭우 배수구)조차도 고속도로 투과성을 높이고 민감한 종을 보호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오렌지, 리버사이드, 로스앤젤레스 카운티의 언더패스는 붉은 스라소니, 코요테, 회색 여우, 뮬 사슴, 긴꼬리족제비를 포함한 다양한 종의 이용을 이끌어냈다. 이러한 결과는 도로 건설로 점점 단절되고 있는 이 지역의 푸엔테 힐스와 치노 힐스 연결을 위한 야생동물 보존 노력에 매우 중요할 수 있다. 로스앤젤레스 카운티의 최초 야생동물 목적 건설 언더패스는 하버 대로에 있다.[32]
월리스 안넨버그 야생동물 이동 통로(Wallis Annenberg Wildlife Crossing)는 캘리포니아주 아고라 힐스에 있으며, 2024년 완공 예정인 미국에서 가장 큰 오버패스 중 하나가 될 것이다.
오스트레일리아 빅토리아 주의 블랙 포리스트를 통과하는 캘더 고속도로(Calder Freeway)의 언더패스는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건설되었다. 1997년, 빅토리아 주 정부(Government of Victoria (Australia)) 도로 공사는 300만달러의 비용으로 Slaty Creek 야생 동물 언더패스를 건설했다.[31] 12개월 동안, 양서류, 박쥐, 조류, 코알라, 웜뱃, 날다람쥐, 파충류, 캥거루를 포함하여 79종의 동물군이 언더패스에서 감지되었다.
2010년, 여러 분야의 협력 관계인 ARC 솔루션은 콜로라도 덴버 서쪽 고지대에 위치한 주간 고속도로 70호선 위에 야생동물 이동 통로를 건설하기 위한 국제 야생동물 이동 통로 인프라 디자인 공모전을 시작했다.[36] 9개국에서 36개의 제안서를 받은 후, 2011년 1월, HNTB가 마이클 반 발켄버그 & 어소시에이츠(뉴욕)와 함께 이끄는 팀이 우승자로 선정되었다.[40][41] 이 디자인은 고속도로를 가로지르는 100m의 단일 콘크리트 구간으로, 다양한 종류의 식생(소나무 숲과 초원 풀 등)을 심어 다양한 종들이 통과하도록 유도한다.
6. 1. 밴프 국립공원 (캐나다)
캐나다 앨버타의 밴프 국립공원에는 식물이 우거진 육교가 설치되어 있어, 곰, 무스, 사슴, 늑대, 엘크 등 여러 종들이 캐나다 횡단 고속도로를 안전하게 지나갈 수 있다. 1978년 도로 개선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밴프에 24개의 야생동물 이동 통로가 건설되었다.[32] 이 이동 통로들은 대형 포유류의 로드킬을 80% 이상 감소시키는 효과를 보였으나, 최근 연구에서는 곰의 사망률이 오히려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추가적인 조치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6. 2. 플로리다 (미국)
주간 고속도로 75번의 콜리어와 리 카운티에 걸쳐 40마일 구간에는 24개의 야생동물 이동 통로(고속도로 하부 통로)와 야생동물을 위해 개조된 12개의 교량이 건설되었다.[31] 이 통로는 멸종 위기에 처한 플로리다 팬서(미국 남동부에서 발견되는 퓨마의 아종)를 보호하기 위해 특별히 설계되었다. 과학자들은 야생에 80~100마리 정도의 플로리다 팬서가 생존해 있으며, 이는 북미에서 가장 멸종 위기에 처한 대형 포유류 중 하나라고 추정한다.[32] 플로리다 팬서는 특히 야생동물-차량 충돌에 취약하며, 2006년에는 11마리, 2007년에는 14마리가 이로 인해 사망했다.[31]플로리다 어류 및 야생동물 보호 위원회(FWC)는 플로리다 팬서를 보호하기 위해 여러 가지 방법을 사용해 왔으며, 야생동물 이동 통로와 울타리를 함께 설치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31] 2007년 기준으로 울타리와 야생동물 이동 통로가 함께 설치된 지역에서는 팬서의 사망 사고가 발생하지 않았으며, FWC는 앞으로 더 많은 이동 통로를 건설할 계획이다. I-75의 하부 통로는 퓨마, 사슴, 너구리에게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주간 고속도로를 따라 야생동물-차량 충돌을 줄이는 데 크게 기여했다.[32]
6. 3. 네덜란드
네덜란드는 600개 이상의 야생동물 이동 통로를 설치하여 멸종 위기에 처한 유럽 오소리를 포함, 멧돼지, 붉은사슴, 노루 등 다양한 야생동물의 개체 수 보호에 기여하고 있다.[3] 특히 세계에서 가장 긴 에코덕트인 나투어브뤼흐 잔데레이 크라일로(Natuurbrug Zanderij Crailoo)는 길이가 800m에 달하며 고속도로, 철도, 골프 코스를 가로지른다.[3] 이는 야생동물 보호와 도시 개발을 결합한 혁신적인 사례로 평가받는다.6. 4. 한국의 사례
한국에서는 지리산 국립공원, 설악산 국립공원 등 주요 국립공원과 고속도로, 국도변에 야생동물 이동 통로가 설치되어 운영되고 있다. 그러나 일부 지역에서는 생태 통로 설치 후에도 야생동물의 이용률이 낮은 경우가 있어,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관리, 개선이 필요한 상황이다. 특히 도로변 유도 울타리 설치, 서식지 복원, 적절한 위치 선정 등이 생태 통로의 효과를 높이는 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더불어민주당은 야생동물 보호와 생태계 보전을 위한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며, 생태 통로 설치 및 관리를 위한 예산 확대와 제도 개선을 주장하고 있다. 이는 생태 통로가 단순한 시설 설치를 넘어, 생태계 연결성을 확보하고 생물 다양성을 보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7. 한계 및 과제
야생동물 이동 통로의 효과는 설치 위치, 설계, 주변 환경, 대상 동물 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일부 연구에서는 야생동물 이동 통로가 오히려 포식자의 사냥터로 이용되거나 질병 확산의 경로가 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한국에서는 생태 통로의 설치 및 관리 기준이 미흡하고, 예산 부족, 사후 관리 부실 등의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생태 통로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과학적인 연구와 모니터링을 통해 최적의 설계 및 관리 방안을 마련하고, 지속적인 투자가 필요하다.
참조
[1]
간행물
Wildlife Tunnel Enhances Population Viability
https://www.ecologya[...]
2009-12
[2]
간행물
Green bridges: Safer travel for wildlife
https://www.gov.uk/g[...]
Natural England
2015-07-31
[3]
웹사이트
About Green Roofs: Advantages
http://www.greenroof[...]
Scandinavian Green Roof Association
2012-07-20
[4]
harv
Primack
2006
[5]
harv
Spellerberg
1998
[6]
harv
Forman
2000
[7]
harvtxt
Jaeger et al.
2005
[8]
harvtxt
Bennett
1991
[9]
harv
Clevenger et al.
2001
[10]
harv
Jaeger et al.
2005
[11]
문서
Noss et al.
1996
[12]
harv
Reed et al.
1996
[13]
harv
Clevenger et al.
2001
[14]
harvtxt
Bruinderink
1996
[15]
간행물
Review of Human Injuries, Illnesses, and Economic Losses Caused by Wildlife in the United States
[16]
harv
Donaldson
2005
[17]
서적
Handbook of Road Ecology
2015-04-01
[18]
harvnb
Knapp
2004
[19]
뉴스
Cameras show wildlife use Highway 93 North overpass and tunnels
http://missoulian.co[...]
missoulian.com
2010-10-03
[20]
웹사이트
Animals Are Using Utah's Largest Wildlife Overpass Earlier Than Expected
https://www.smithson[...]
2020-12-03
[21]
웹사이트
Animal crossings: the ecoducts helping wildlife navigate busy roads across the world
https://www.theguard[...]
2021-12-29
[22]
문서
Great Maritime Inventions 1833–1950
Goose Lane
2001
[23]
간행물
Fish passage technologies : protection at hydropower facilities
https://books.google[...]
Diana Publishing
1995
[24]
harv
Chilson
2003
[25]
harv
Bank et al.
2002
[26]
웹사이트
Wildlife crossings - Wild animals and roads
https://web.archive.[...]
The Humane Society of the United States
[27]
웹사이트
Wildlife Crossings
http://www.nationalg[...]
2021-04-22
[28]
웹사이트
World's Coolest Animal Bridges
https://www.smithson[...]
2021-04-22
[29]
harv
Clevenger
2007
[30]
뉴스
There Are Teeny Tiny Underpasses for Salamanders in Massachusetts
https://www.boston.c[...]
Boston globe Media Partners, LLC
2015-03-25
[31]
뉴스
Ontario builds first bridge for animals near Sudbury
https://www.cbc.ca/n[...]
CBC News
2012-03-20
[32]
웹사이트
Harbor Boulevard Wildlife Underpass: First in Los Angeles County | Habitat Authority
http://www.habitatau[...]
[33]
문서
MJPO annual report 2014
http://www.mjpo.nl/n[...]
[34]
웹사이트
Creating a safer crossing for wildlife
https://www.summitda[...]
2021-04-22
[35]
웹사이트
Wildlife Overpass Proposed West of Vail Pass
http://www.safepassa[...]
2021-04-22
[36]
웹사이트
Competition created to help design wildlife crossing over I-70 near Vail
https://www.postinde[...]
2009-12-17
[37]
웹사이트
New designs for wildlife crossings sought
https://www.denverpo[...]
2009-12-16
[38]
웹사이트
Finalists
http://competition.a[...]
Arc
2013-03-03
[39]
웹사이트
Finalists named for Vail Pass wildlife crossings
https://www.vaildail[...]
2010-11-29
[40]
웹사이트
Design selected for I-70 wildlife crossing near Vail
https://arc-solution[...]
2021-04-22
[41]
웹사이트
ARC International Wildlife Crossing Design Competition
http://competition.a[...]
2013-03-03
[42]
보고서
Designing the Next Generation of Wildlife Crossings
United States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 Federal Highway Administration
2011-03
[43]
웹사이트
Vail Pass {{!}} Summit County Safe Passages
https://www.summitco[...]
[44]
웹사이트
National Heritage Area
https://mtsgreenway.[...]
[45]
웹사이트
I-90 - Snoqualmie Pass East project
https://wsdot.wa.gov[...]
[46]
웹사이트
I-90 - Snoqualmie Pass East project
https://wsdot.wa.gov[...]
2020-12-17
[47]
웹사이트
2020 Parade of Accomplishments
https://mtsgreenway.[...]
2020-11-24
[48]
뉴스
WATCH: Wildlife uses Utah's first interstate crossing just for them
https://www.wdtv.com[...]
WDTV
2020-12-03
[49]
AV media
"#KeepitWild! - I-80 Wildlife Overpass"
https://www.youtube.[...]
Utah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2019-02-01
[50]
뉴스
Watch: animals safely cross the Utah interstate with this specially designed bridge
https://www.kvue.com[...]
KVUE (Texas)
2020-12-03
[51]
뉴스
Largest Wildlife Bridge In U.S. Opens Friday At San Antonio's Hardberger Park
https://www.tpr.org/[...]
Texas Public Radio
2020-12-12
[52]
웹사이트
Land Bridge Construction
https://www.philhard[...]
Phil Hardberger Park Conservancy
2019-07-17
[53]
뉴스
City Breaks Ground on $23M Land Bridge to Connect Hardberger Park
https://sanantoniore[...]
2020-12-12
[54]
뉴스
Hardberger Park land bridge in final stretch of development ahead of fall opening
https://sanantoniore[...]
2020-12-12
[55]
뉴스
Largest land bridge in the United States opens in San Antonio's North Side.
https://www.ktsa.com[...]
KTSA
2020-12-12
[56]
뉴스
Stop! The animals are crossing
http://www.thehindu.[...]
2015-12-25
[57]
웹사이트
Driven to Protect – A Journey Across India to Document Wild Roadkills
http://www.sanctuar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