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야오징위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야오징위안은 중화인민공화국의 은퇴한 역도 선수이자 코치이다. 랴오닝성 판진시 출신으로, 체조 선수로 시작하여 역도로 전향했다. 1979년 국제 대회에 데뷔하여 1984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획득했고, 1982년과 1986년 아시안 게임에서도 금메달을 획득했다. 1987년 은퇴 후 랴오닝성 역도단 코치, 중국 남자 경량급 대표팀 코치 등을 역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86년 아시안 게임 역도 참가 선수 - 이형근 (역도 선수)
    이형근은 대한민국의 역도 선수로서 체육훈장 청룡장, 거상장, 백마장을 수훈했으며, 배우자는 한은주이고, 자녀로는 이혁진, 이지현, 이훈택, 이은경, 이선경이 있다.
  • 1984년 하계 올림픽 역도 참가 선수 - 딘 루킨
    딘 루킨은 대한민국의 인물이다.
  • 1984년 하계 올림픽 역도 참가 선수 - 니쿠 블라드
    니쿠 블라드는 2000년 시드니 올림픽 동메달, 유럽 역도 선수권 대회 금메달 등을 획득한 루마니아 역도 선수로, 은퇴 후 지도자와 연맹 회장을 역임했으나 멜도니움 양성 반응으로 영구 제명되었으며, 그의 이름은 루마니안 데드리프트의 유래가 되었다.
야오징위안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야오징위안
원어명姚景远
본명姚景远
국적중화인민공화국
출생일1958년 6월 14일
출생지중화인민공화국 랴오닝성 판진시
신장164cm
체중68kg
스포츠 정보
종목역도
세부 종목해당 정보 없음
체급라이트급
데뷔해당 정보 없음
선수 활동해당 정보 없음
소속팀랴오닝성 역도단
코치해당 정보 없음
은퇴1987년
메달 기록
국가중화인민공화국
올림픽금메달: 1984 로스앤젤레스, -67.5kg
세계 선수권 대회동메달: 1985 쇠데르텔리에, -67.5kg
아시안 게임금메달: 1982 뉴델리, -67.5kg
금메달: 1986 서울, -67.5kg
아시아 선수권 대회은메달: 1979 도쿄, -67.5kg
은메달: 1981 나고야, -67.5kg

2. 선수 경력

1958년 랴오닝성 판진시에서 태어났다. 어린 시절에는 체조 선수로 활동하다 역도로 전향했다. 1973년 랴오닝성 역도단에 입단했고, 1979년 국가대표로 발탁되었다.

1979년 7월 일본 도쿄에서 열린 1979년 아시아 선수권 대회를 통해 국제 대회에 처음으로 참가했으며 인상 125kg, 용상 167.5kg, 합계 292.5kg의 기록으로 일본의 히라이 가즈마사의 뒤를 이어 은메달을 획득했다. 같은 해 11월에는 그리스 테살로니키에서 열린 1979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 참가하여 인상 122.5kg, 용상 172.5kg, 합계 295kg의 기록으로 7위에 올랐다.

1980년 8월 미국 호놀룰루에서 열린 아메리칸컵 국제 역도 대회에 참가하여 인상 135kg, 용상 167.5kg, 합계 302.5kg의 기록으로 대표팀 동료인 자오신민과 일본의 시마야 야쓰오를 누르고 우승했다. 이듬해인 1981년 8월에는 일본 나고야에서 열린 1981년 아시아 선수권 대회에 참가하여 인상 132.5kg, 용상 176kg(아시아 신기록) 합계 307.5kg으로 자오신민의 뒤를 이어 은메달을 획득했다.[1] 이 대회에서 자오스민과 같은 중량 기록을 세웠으나 자오스민의 체중이 더 가벼웠기 때문에 야오징위안이 2위가 되었다. 이후 9월에는 프랑스 에서 열린 1981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 참가하여 인상에서 132.5kg을 기록했으나 용상은 실패하여 순위를 기록하지 못했다. 같은 해 10월 상하이에서 열린 상하이 국제 역도 대회에 참가하여 인상 137.5kg, 용상 175kg, 합계 312.5kg의 기록으로 자오신민과 일본의 다카바 구니히코를 꺾으며 우승을 차지했다.[2]

1982년 11월 인도 뉴델리에서 열린 1982년 아시안 게임에서 합계 307.5kg을 기록하면서 시마야와 자오신민을 누르고 금메달을 획득했다. 이듬해인 1983년 8월에는 중국 선수권 대회에서 인상 140kg, 용상 177.5kg, 합계 317.5kg을 기록하면서 인상, 용상, 합계 부문 아시아 신기록을 갱신했다. 같은 해 9월에 소련 모스크바에서 열린 1983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인상 140kg, 용상 175kg, 합계 315kg의 기록으로 5위를 기록했다. 이듬해인 1984년 8월에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열린 1984년 하계 올림픽에 참가했다. 이 대회는 중국 선수단1952년 대회 이후 처음으로 출전하는 올림픽 대회이다. 야오징위안은 인상 142.5kg, 용상 177.5kg, 합계 320kg의 기록으로 루마니아의 안드레이 소카치와 핀란드의 요우니 그뢴만을 누르고 금메달을 획득했다.

1985년 8월 스웨덴 쇠데르텔리에에서 열린 1985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 참가하여 인상 140kg, 용상 175kg, 합계 315kg을 기록하여 불가리아의 미하일 페트로프와 베셀린 걸러바로프의 뒤를 이어 동메달을 획득했다. 이듬해인 1986년 대한민국 서울에서 열린 1986년 아시안 게임에 참가하였으며 합계 307.5kg을 기록하여 대표팀 동료인 린샹쿠이와 대한민국의 김기웅을 누르고 금메달을 획득했다. 2위인 린샹쿠이도 야오징위안과 같은 307.5kg을 기록했으나 야오징위안의 체중이 더 가벼웠기 때문에 야오징위안은 아시안 게임 2연패를 달성할 수 있었다.[3]

1987년에 현역 은퇴를 선언했으며, 은퇴 직후 바로 랴오닝성 역도단 코치를 맡았다. 이후 2002년부터 2008년까지 중국 남자 경량급 대표팀 코치를 맡았다. 이후 2008년부터 랴오닝성 역도단 코치와 중국 여자 대표팀 코치를 맡고 있다.

2. 1. 국제 대회

야오징위안은 1979년 일본 도쿄에서 열린 1979년 아시아 선수권 대회에서 은메달을 획득하며 국제 대회에 데뷔했다.[1] 인상 125kg, 용상 167.5kg, 합계 292.5kg의 기록으로 일본의 히라이 가즈마사의 뒤를 이어 은메달을 획득했다. 1981년 나고야에서 열린 1981년 아시아 선수권 대회에서는 용상 176kg 아시아 신기록을 세우며 은메달을 획득했다.[1]

1982년 뉴델리에서 열린 1982년 아시안 게임에서 금메달을 획득했고, 1984년 로스앤젤레스에서 열린 1984년 하계 올림픽에 참가하여 금메달을 획득했다. 이 대회는 중국 선수단1952년 대회 이후 처음으로 출전하는 올림픽 대회였다. 야오징위안은 인상 142.5kg, 용상 177.5kg, 합계 320kg의 기록으로 루마니아의 안드레이 소카치와 핀란드의 요우니 그뢴만을 누르고 금메달을 획득했다.

1985년 스웨덴 쇠데르텔리에에서 열린 1985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동메달을 획득했다.[3] 1986년 대한민국 서울에서 열린 1986년 아시안 게임에 참가하여 금메달을 획득하며 아시안 게임 2연패를 달성했다.[3]

3. 지도자 경력

4. 대한민국과의 관계

참조

[1] 웹인용 ウェイトリフティング No.28 https://j-w-a.or.jp/[...] 日本ウエイトリフティング協会
[2] 웹인용 ウェイトリフティング No.24 https://j-w-a.or.jp/[...] 日本ウエイトリフティング協会
[3] 뉴스 역도金기웅 銅따 15년만에 한국新 https://newslibrary.[...] 조선일보 1986-09-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