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림픽 중화인민공화국 선수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올림픽 중화인민공화국 선수단은 중화인민공화국을 대표하여 올림픽에 참가하는 선수단이다. 중국은 1924년 하계 올림픽에 'Chine'이라는 이름으로 처음 참가했으며, 1952년 하계 올림픽부터 중화인민공화국(PRC)이라는 이름으로 참가했다. 1958년 IOC 탈퇴 이후 1980년 동계 올림픽부터 다시 참가했으며, 2008년 하계 올림픽과 2022년 동계 올림픽을 개최했다. 하계 올림픽에서는 1984년 로스앤젤레스 대회 이후 꾸준히 메달을 획득하며, 2008년 베이징 대회에서 종합 1위를 차지했다. 동계 올림픽에서는 1992년 알베르빌 대회에서 첫 메달을 획득했으며, 2022년 베이징 대회에서 역대 최고 성적을 거두었다. 중국은 다이빙, 탁구, 배드민턴,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등에서 강세를 보이며, 도핑 문제와 관련한 논란도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나라별 올림픽 정보 - 올림픽 독일 연합 선수단
올림픽 독일 연합 선수단은 1956년부터 1964년까지 서독과 동독의 연합으로 구성되어 올림픽에 참가했으며, 독일 선수단 승리 시 베토벤의 교향곡 9번을 연주하고 올림픽 국기를 사용했으며, 하계 올림픽에서 118개, 동계 올림픽에서 19개의 메달을 획득했다. - 나라별 올림픽 정보 - 올림픽 영국 선수단
영국은 하계 올림픽과 동계 올림픽에 모두 참가하며, 1896년 첫 근대 올림픽부터 모든 하계 올림픽에 참가했고, 하계 올림픽에서 금메달 298개, 동계 올림픽에서 금메달 12개를 획득했다. - 올림픽 선수단에 관한 - 2008년 하계 올림픽
2008년 하계 올림픽은 "하나의 세계, 하나의 꿈"이라는 표어 아래 중화인민공화국 베이징에서 204개국이 참가한 역대 최대 규모의 대회로, 28개 종목에서 302개의 메달을 놓고 경쟁했으며 중국이 금메달 1위를 차지했으나 인권, 환경, 도핑 문제 등 논란도 있었다. - 올림픽 선수단에 관한 - 1996년 하계 올림픽
1996년 하계 올림픽은 미국 애틀랜타에서 개최되어 26개 종목 271개 세부 종목으로 구성, 197개국이 참가했으나, 센테니얼 올림픽 공원 폭탄 테러 사건과 재정적 성공, 도시 인프라 개선이라는 양면성을 남겼다.
올림픽 중화인민공화국 선수단 | |
---|---|
올림픽 중국 선수단 | |
NOC | CHN |
NOC 이름 | 중국 올림픽 위원회 |
웹사이트 | 중국 올림픽 위원회 공식 웹사이트 |
올림픽 참가 정보 | |
하계 올림픽 출전 횟수 | 1952년 하계 올림픽 1984년 하계 올림픽 1988년 하계 올림픽 1992년 하계 올림픽 1996년 하계 올림픽 2000년 하계 올림픽 2004년 하계 올림픽 2008년 하계 올림픽 2012년 하계 올림픽 2016년 하계 올림픽 2020년 하계 올림픽 |
동계 올림픽 출전 횟수 | 1980년 동계 올림픽 1984년 동계 올림픽 1988년 동계 올림픽 1992년 동계 올림픽 1994년 동계 올림픽 1998년 동계 올림픽 2002년 동계 올림픽 2006년 동계 올림픽 2010년 동계 올림픽 2014년 동계 올림픽 2018년 동계 올림픽 2022년 동계 올림픽 |
관련 참가국 | 중화민국 (1924–1972) |
메달 집계 | |
순위 | 3위 |
금메달 | 325 |
은메달 | 258 |
동메달 | 221 |
합계 | 804 |
2. 역사
중국의 올림픽 역사는 크게 세 시기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초기 중화민국(ROC) 대표단이 중국을 대표하여 참가했던 시기(1924년~1948년),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PRC) 수립 이후 '두 개의 중국' 문제로 인해 올림픽을 보이콧했던 시기(1952년~1980년), 그리고 1979년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에 복귀하여 현재까지 활발히 참가하고 있는 시기이다.
중화인민공화국은 1952년 하계 올림픽에 처음 참가했으나, '두 개의 중국' 문제로 인한 정치적 갈등으로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와의 관계가 악화되어 1956년부터 1976년까지 올림픽 참가를 중단했다.[3][9] 1970년대 국제 관계 변화 속에서 1979년 IOC에 복귀했으며,[7] 나고야 결의안을 통해 '중화 타이베이'와의 명칭 문제가 해결되면서[3] 올림픽 참가가 재개되었다. 1980년 동계 올림픽부터 다시 참가하기 시작했고,[3] 1984년 하계 올림픽을 통해 하계 대회에도 복귀했다.[1][2]
IOC 복귀 이후 중화인민공화국은 올림픽에서 꾸준히 우수한 성적을 거두며 스포츠 강국으로 자리매김했으며, 베이징에서 2008년 하계 올림픽과 2022년 동계 올림픽을 개최하기도 했다.
한편, 홍콩은 1952년부터 독자적인 국가 올림픽 위원회를 통해 별도의 선수단으로 올림픽에 참가해왔다.[4] 1997년 중국에 반환되어 홍콩 특별행정구가 설립된 이후에도 이러한 지위는 유지되어, '중국 홍콩(Hong Kong, China)'이라는 이름으로 본토와는 별개로 올림픽에 참가하고 있다.[4]
2. 1. 중화민국 시기 (1924-1948)
원래 중국을 대표하여 1924년 하계 올림픽부터 중화민국(ROC) 대표단이 올림픽에 참가하기 시작했다. 국공 내전 이전 시기인 1948년까지 선수들은 올림픽에서 중화민국(ROC) 이름으로 참여했으며, 구체적으로 1924년 하계 올림픽, 1932년 하계 올림픽, 1936년 하계 올림픽, 1948년 하계 올림픽에 선수단을 파견했다.[31][32] 이 시기 대만은 일제 강점기였기 때문에, 대만 출신 선수들은 일본 대표로 참가했다.[33]2. 2. 올림픽 보이콧 시기 (1952-1980)
1924년 하계 올림픽부터 1976년 동계 올림픽까지는 중화민국(ROC)이 중국을 대표하여 올림픽에 참가했다. 중화인민공화국(PRC)은 핀란드 헬싱키에서 열린 1952년 하계 올림픽에 처음으로 참가하여 IOC 코드 PRC를 부여받았다. 그러나 선수단 도착이 늦어 대회 마지막 날 공식 경기에 참가한 것은 수영 선수 한 명뿐이었다.[3][8]당시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는 중화인민공화국과 국공 내전 이후 대만으로 이전한 중화민국 양측 모두 '중국'이라는 이름으로 참가하는 것을 허용했다. 이에 중화민국은 강하게 항의하며 1952년 하계 올림픽에서 철수했다.[3][9] 이는 올림픽에서 '두 개의 중국' 문제의 시작을 알리는 사건이었다.
'두 개의 중국' 문제로 인한 정치적 분쟁으로 인해, 중화인민공화국은 1958년 IOC를 탈퇴하는 등[7] 국제 스포츠계에서 고립의 길을 걸었다. 이로 인해 중화인민공화국은 1956년부터 1976년까지의 올림픽 대회에 참가하지 않았다.
1970년대 핑퐁 외교 등을 통해 미국과의 관계가 개선되면서 상황이 변하기 시작했다. 1979년 10월 25일, 중국 올림픽 위원회는 IOC에 공식적으로 복귀했다.[7] 같은 해 IOC는 나고야 의정서를 통해 중화인민공화국이 '중국' 명칭을 사용하고, 중화민국은 '중화 타이베이'라는 이름으로 참가하도록 결정했다. 이로써 중화인민공화국이 올림픽에 다시 참여할 길이 열렸다.
중화인민공화국은 미국 레이크플래시드에서 열린 1980년 동계 올림픽부터 공식 대표단을 파견할 자격을 얻었다.[3] 그러나 소련 모스크바에서 열린 1980년 하계 올림픽은 미국이 주도한 보이콧과 당시 중소 분쟁의 영향으로 참가하지 않았다. 중화인민공화국이 1952년 이후 하계 올림픽에 다시 모습을 드러낸 것은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열린 1984년 하계 올림픽이었다.[1][2]
2. 3. 개혁개방 이후 (1980-현재)
1979년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는 나고야 결의안을 통해, 베이징에 본부를 둔 중화인민공화국 국가 올림픽 위원회가 '중국'이라는 명칭을 사용하고, 타이베이에 본부를 둔 중화민국은 '중화 타이베이'(TPE)라는 명칭을 사용하기로 결정했다. 이 결의안은 올림픽 관련 행사에서 중화 타이베이의 국기, 국가 등 국가 상징 사용을 제한하는 대신, 중화인민공화국이 올림픽에 다시 참여할 길을 열었다.[3]이에 따라 현재의 중국 올림픽 위원회가 1979년에 승인되었고,[3] 중화인민공화국은 같은 해 공식적으로 IOC에 복귀하여 미국 레이크플래시드에서 열린 1980년 동계 올림픽부터 공식 대표단을 파견하기 시작했다.[3] 하지만 미국 주도의 보이콧과 당시 중소 분쟁의 영향으로 소련 모스크바에서 열린 1980년 하계 올림픽에는 불참했다. 1952년 이후 하계 올림픽에 처음 참가한 것은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열린 1984년 하계 올림픽이었다.[1][2]
2024년까지 중화인민공화국은 하계 올림픽에서 종합 순위 1위 1회, 2위 4회, 3위 2회를 기록했다. 하계 올림픽 12회, 동계 올림픽 12회 참가 경험을 가진 중국은 아시아 국가 중 가장 성공적인 국가이며, 올림픽 역사상 미국과 소련에 이어 세 번째로 우수한 성적을 거두었다. 특히 개최국이었던 2008년 베이징 올림픽에서는 하계 올림픽 역대 최다인 100개의 메달을, 2022년 베이징 동계 올림픽에서는 동계 올림픽 역대 최다인 15개의 메달을 획득하며 국가 주도의 선수 육성 시스템을 통해 미국에 이은 스포츠 강국으로 자리매김했다.
홍콩은 1950년부터 별도의 국가 올림픽 위원회를 구성하여 1952년부터 올림픽에 참가해왔다.[4] 1997년 중국에 반환되고 홍콩 특별행정구가 설립된 이후에도, 홍콩은 '중국 홍콩(Hong Kong, China)'이라는 이름으로 본토와 별도로 올림픽에 참가하고 있다.[4]
다음은 중화인민공화국의 역대 동계 올림픽 메달 집계 현황이다.
대회명 | 금 | 은 | 동 | 계 |
---|---|---|---|---|
1980 레이크플래시드 | 0 | 0 | 0 | 0 |
1984 사라예보 | 0 | 0 | 0 | 0 |
1988 캘거리 | 0 | 0 | 0 | 0 |
1992 알베르빌 | 0 | 3 | 0 | 3 |
1994 릴레함메르 | 0 | 1 | 2 | 3 |
1998 나가노 | 0 | 6 | 2 | 8 |
2002 솔트레이크시티 | 2 | 2 | 4 | 8 |
2006 토리노 | 2 | 4 | 5 | 11 |
2010 밴쿠버 | 5 | 2 | 4 | 11 |
2014 소치 | 3 | 4 | 2 | 9 |
2018 평창 | 1 | 6 | 2 | 9 |
2022 베이징 (개최국) | 9 | 4 | 2 | 15 |
합계 | 22 | 32 | 23 | 77 |
(내용 없음)
3. 하계 올림픽
3. 1. 주요 성과
중국은 1984년 하계 올림픽에서 처음으로 본격적인 선수단을 파견하여 '''금메달 15개로 종합 4위'''를 차지하며 국제 스포츠 무대에 화려하게 복귀했다. 특히 '''쉬하이펑'''이 '''사격''' 50m 권총 종목에서 중화인민공화국 역사상 첫 올림픽 금메달을 획득한 것은 상징적인 사건이었다.[1] 또한, '''리닝'''은 '''체조'''에서 금메달 3개, 은메달 2개, 동메달 1개 등 총 6개의 메달을 획득하며 "체조 왕자"로 불렸고, 이는 단일 올림픽 중국 선수 최다 메달 기록으로 남아있다.[10] 중국 여자 배구 대표팀은 결승에서 미국을 꺾고 중국 최초의 구기 종목 금메달을 안겨주었다.
1988년 하계 올림픽에서는 금메달 5개로 종합 11위를 기록했다. '''리메이수'''가 육상에서 중국 최초의 메달을 획득했고, 조정에서도 여자 4인승 은메달과 여자 8인승 동메달을 따내며 첫 메달을 기록했다.
1992년 하계 올림픽에서는 금메달 16개로 다시 종합 4위에 올랐다. '''천위에링'''이 여자 육상 경기 10km 경보에서 중국 육상 최초의 금메달을 획득했다. 여자 수영 선수들이 금메달 4개와 은메달 5개를 따내며 선전했지만, 2년 후 1994년 아시안 게임에서 발생한 도핑 스캔들로 인해 빛이 바랬다. (다만 1992년 메달리스트 중 1994년 스캔들에 직접 연루된 선수는 없었다.) '''덩야핑'''은 여자 탁구 단식과 복식에서 2관왕에 올랐고, '''좡샤오옌'''은 여자 +72kg급에서 중국 최초의 유도 금메달을, '''장샤오둥'''은 여자 요트에서 첫 메달(은메달)을 획득했다. 중국 여자 농구팀은 은메달을 획득하며 역대 최고 성적을 거두었다.
1996년 하계 올림픽에서도 금메달 16개로 종합 4위를 유지했다. '''푸밍샤'''는 여자 다이빙 3m 스프링보드와 10m 플랫폼에서 모두 금메달을 따낸 최초의 여성 다이버(1960년 이후)가 되었다. '''덩야핑'''은 탁구 여자 단식과 복식 2연패를 달성하며 중국 선수 최초로 올림픽 금메달 4개를 획득했고, '''류궈량''' 역시 남자 탁구에서 2관왕에 오르며 중국은 처음으로 탁구 전 종목(금메달 4개)을 석권했다. '''왕쥔샤'''는 여자 육상 5000m 금메달과 10000m 은메달을 획득했으며, 중국 여자 축구 대표팀은 은메달을 따내며 중국 축구 역사상 첫 올림픽 메달을 기록했다.
2000년 하계 올림픽에서는 금메달 28개로 종합 3위에 올랐다. '''왕난'''이 탁구 2관왕에 오르며 중국은 다시 한번 탁구 전 종목 금메달을 휩쓸었다. '''천중'''은 여자 +67kg급에서 중국 최초의 태권도 금메달을 획득했고, '''장추이화'''는 여자 트랙 타임 트라이얼에서 동메달을 따내며 중국 사이클 최초의 메달리스트가 되었다.
2004년 하계 올림픽에서는 금메달 32개로 미국에 이어 종합 2위를 차지했다. '''류샹'''은 남자 110m 허들에서 12.91초의 세계 기록 타이로 우승하며 중국 남자 선수 최초로 올림픽 육상 트랙 종목 금메달을 획득했고, 폐막식 기수를 맡았다. '''왕이푸'''는 6회 연속 올림픽에 출전하여 남자 10m 공기권총에서 두 번째 금메달이자 개인 통산 네 번째 메달을 획득했다. '''멍관량'''과 '''양원쥔'''은 남자 C-2 500m에서 중국 최초의 카누 금메달을, '''리팅'''과 '''쑨톈톈'''은 여자 복식에서 중국 최초의 테니스 금메달을, '''왕쉬'''는 여자 자유형 72kg급에서 중국 최초의 레슬링 금메달을 획득했다. 중국 여자 배구 대표팀은 결승에서 러시아에 극적인 역전승을 거두며 20년 만에 두 번째 금메달을 차지했다.
2008년 하계 올림픽에서는 개최국의 이점을 살려 금메달 48개, 총 100개의 메달을 획득하며 사상 첫 종합 1위를 달성했다. '''궈징징'''과 '''장이닝'''은 각각 다이빙과 탁구에서 2관왕 2연패를 달성했고, '''마린'''도 탁구 2관왕에 오르며 중국은 세 번째로 탁구 전 종목 금메달을 석권했다. '''중만'''은 남자 펜싱 사브르에서 중국 남자 선수 최초의 금메달을, '''장좐좐'''은 여자 양궁 개인전에서 금메달을 따내며 이 종목에서 오랫동안 이어져 온 대한민국의 강세를 깼다. '''줘스밍'''과 '''장샤오핑'''은 중국 복싱 사상 첫 금메달을, '''인젠'''은 여자 요트 세일보드에서 첫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여자 조정 쿼드러플 스컬에서도 첫 금메달을 따냈다. 체조에서는 금메달 11개를 획득하며 역대 최고 성적을 거두었고, '''추카이'''는 3관왕에 올랐다. 다만, 기대를 모았던 '''류샹'''은 부상으로 110m 허들 예선에서 기권했다.
2012년 하계 올림픽에서는 금메달 38개로 미국에 이어 종합 2위를 차지했다. '''쑨양'''은 남자 수영 400m와 1500m 자유형에서 금메달 2개를 따내며 중국 남자 수영 선수 최초의 올림픽 금메달리스트가 되었고, 두 종목 모두 기록을 경신했다. '''예스원''' 역시 여자 개인혼영 200m와 400m에서 2관왕에 오르며 기록을 경신했다. '''천딩'''은 남자 20km 경보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다이빙에서는 '''천루린'''이 2관왕 2연패를 달성했고, '''우민샤'''는 여자 싱크로나이즈 3m 스프링보드 3연패 및 3m 스프링보드 금메달을 추가하며 단일 종목 3연패라는 진기록을 세웠다. 체조의 '''저우카이'''는 금메달 2개를 추가하여 개인 통산 5개의 금메달을 획득한 최초의 중국 선수가 되었다. '''쉬리자'''는 여자 요트 레이저 래디얼에서 중국 최초의 세일링 금메달을 획득하고 폐막식 기수를 맡았다. 배드민턴에서는 '''린단'''이 남자 단식 2연패를 달성했고, '''자오윈레이'''는 여자 복식과 혼합 복식에서 2관왕에 올라 단일 올림픽 배드민턴 2관왕을 차지한 유일한 선수가 되었다. '''차오중롱'''은 남자 근대5종에서 은메달을 획득하며 이 종목 첫 메달을 안겼다. 중국은 탁구에서 4회 연속 전 종목 금메달을 석권했고, 배드민턴에서도 사상 처음으로 5개 전 종목 금메달을 휩쓸었으나, 여자 복식 조가 고의 패배 논란으로 실격당하는 오점을 남겼다. '''류샹'''은 또다시 부상으로 110m 허들 예선에서 기권했다.
2016년 하계 올림픽에서는 금메달 26개로 종합 3위를 기록했다. '''쑨양'''은 남자 자유형 200m 금메달을 추가하며 2개 대회 연속 금메달을 획득한 유일한 중국 남자 수영 선수가 되었다. '''궁진제'''와 '''중톈스'''는 여자 단체 스프린트에서 중국 최초의 사이클 금메달을 합작했고, '''펑샨샨'''은 여자 골프에서 동메달을 따내며 첫 메달을 기록했다. '''둥빈'''은 남자 세단뛰기에서 동메달을 획득하며 이 종목 첫 메달리스트가 되었다. 중국 여자 배구팀은 12년 만에 통산 세 번째 금메달을 차지했다. '''우민샤'''는 여자 3m 싱크로에서 4연패를 달성하며 개인 통산 메달을 금메달 5개, 은메달 1개, 동메달 1개로 늘려, 당시 중국 선수 중 가장 많은 올림픽 메달을 획득한 선수가 되었다.
2020년 하계 올림픽(2021년 개최)에서는 금메달 38개로 다시 종합 2위에 올랐다. '''쑤빙톈'''은 남자 100m 준결승에서 9.83초의 육상 아시아 기록을 세우며 결선에 진출(6위)한 최초의 중국 선수가 되었고, 남자 4x100m 계주에서도 동메달(이후 영국 선수의 도핑 적발로 은메달 승격 예상)을 획득하며 중국 육상 계주 첫 메달에 기여했다. '''궁리자오'''는 여자 포환던지기에서 금메달을 따내며 중국 선수 최초의 올림픽 필드 종목 금메달리스트가 되었고, '''류스잉'''은 여자 창던지기에서 아시아 선수 최초로 금메달을 획득했다. '''뤼샤오쥔'''은 남자 81kg 역도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며 만 37세의 나이로 역대 최고령 역도 챔피언이 되었고, 이후 2016년 대회 은메달이 금메달로 승격되면서 개인 통산 3개의 금메달을 획득한 최초의 중국 선수가 되었다.
2024년 하계 올림픽에서는 금메달 40개로 2008년 베이징 올림픽 이후 최고 성적을 거두며 종합 2위를 차지했다. '''정친원'''은 여자 테니스 단식에서 중국 및 아시아 선수 최초로 금메달을 획득했고, '''장즈젠'''과 '''왕신위'''는 혼합 복식에서 은메달을 추가했다.[11] '''덩야원'''은 여자 BMX 프리스타일에서 중국의 첫 금메달을 안겼다. '''판잔러'''는 남자 수영 100m 자유형에서 46.40초의 세계 신기록으로 금메달을 획득했고, 남자 4x100m 혼계영에서도 중국 최초의 금메달을 합작하며 이 종목에서 미국의 오랜 연승 행진을 깼다.[12][13] 복싱에서는 여자부에서만 금메달 3개('''창위안''', '''우위''', '''리첸''')와 은메달 2개('''양원루''', '''양류''')를 획득하며 역대 최고 성적을 기록했다. 다이빙에서는 8개 전 종목 금메달을 싹쓸이하는 압도적인 성과를 보였다.[14] '''류칭이'''는 정식 종목으로 처음 채택된 브레이킹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아티스틱스위밍에서는 단체전과 듀엣( '''왕리이''' / '''왕첸이''')에서 모두 금메달을 따내며 이 종목 첫 금메달을 기록했다. 중국 여자 필드하키팀은 은메달을 획득하며 역대 최고 성적을 거두었다. 탁구에서는 혼합 복식이 추가된 이후 처음으로 5개 전 종목 금메달을 석권했으며, '''마룽'''은 개인 통산 6번째 금메달을 획득하여 중국 올림픽 선수 중 최다 금메달리스트가 되었다.[15]
중국 선수단은 하계 올림픽에서는 2008년 베이징 올림픽에서 획득한 100개(금 48)가, 동계 올림픽에서는 2022년 베이징 동계 올림픽에서 획득한 15개(금 9)가 역대 최다 메달 기록이다. 하계 종목 중에서는 체조(리듬체조, 트램펄린 포함)에서 96개, 동계 종목 중에서는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에서 37개의 메달을 획득하여 가장 강세를 보이고 있다. 꾸준한 국가 차원의 투자와 선수 육성을 통해 미국과 함께 세계 스포츠 최강국의 지위를 유지하고 있다.
3. 2. 역대 올림픽 메달 집계
'''하계 올림픽'''
올림픽 | 선수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합계 | 순위 |
---|---|---|---|---|---|---|
1896년 하계 올림픽 | 불참 | |||||
1900년 하계 올림픽 | ||||||
1904년 하계 올림픽 | ||||||
1908년 하계 올림픽 | ||||||
1912년 하계 올림픽 | ||||||
1920년 하계 올림픽 | ||||||
1924년 하계 올림픽 | 중화민국의 일부로 참가 | |||||
1928년 하계 올림픽 | 불참 | |||||
1932년 하계 올림픽 | 중화민국의 일부로 참가 | |||||
1936년 하계 올림픽 | ||||||
1948년 하계 올림픽 | ||||||
1952년 하계 올림픽 | 1 | 0 | 0 | 0 | 0 | – |
1956년 하계 올림픽 | 국제 올림픽 위원회에서 탈퇴 | |||||
1960년 하계 올림픽 | ||||||
1964년 하계 올림픽 | ||||||
1968년 하계 올림픽 | ||||||
1972년 하계 올림픽 | ||||||
1976년 하계 올림픽 | ||||||
1980년 하계 올림픽 | 보이콧 | |||||
1984 로스앤젤레스 | 216 | 15 | 8 | 9 | 32 | 4 |
1988 서울 | 273 | 5 | 11 | 12 | 28 | 11 |
1992 바르셀로나 | 244 | 16 | 22 | 16 | 54 | 4 |
1996 애틀랜타 | 294 | 16 | 22 | 12 | 50 | 4 |
2000 시드니 | 271 | 28 | 16 | 15 | 59 | 3 |
2004 아테네 | 384 | 32 | 17 | 14 | 63 | 2 |
2008 베이징 (개최국) | 639 | 51 | 21 | 28 | 100 | 1 |
2012 런던 | 396 | 38 | 31 | 22 | 91 | 2 |
2016 리우데자네이루 | 412 | 26 | 18 | 26 | 70 | 3 |
2020 도쿄 | 406 | 38 | 32 | 18 | 88 | 2 |
2024 파리 | 388 | 40 | 27 | 24 | 91 | 2 |
2028년 하계 올림픽 | 개최 예정 | |||||
2032년 하계 올림픽 | ||||||
합계 (12/30) | 3,924 | 303 | 226 | 198 | 727 | 3 |
'''동계 올림픽'''
개최지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합계 |
---|---|---|---|---|
1980 레이크플래시드 | 0 | 0 | 0 | 0 |
1984 사라예보 | 0 | 0 | 0 | 0 |
1988 캘거리 | 0 | 0 | 0 | 0 |
1992 알베르빌 | 0 | 3 | 0 | 3 |
1994 릴레함메르 | 0 | 1 | 2 | 3 |
1998 나가노 | 0 | 6 | 2 | 8 |
2002 솔트레이크시티 | 2 | 2 | 4 | 8 |
2006 토리노 | 2 | 4 | 5 | 11 |
2010 밴쿠버 | 5 | 2 | 4 | 11 |
2014 소치 | 3 | 4 | 2 | 11 |
2018 평창 | 1 | 6 | 2 | 9 |
2022 베이징 (개최국) | 9 | 4 | 2 | 15 |
합계 | 22 | 32 | 23 | 77 |
4. 동계 올림픽
중화인민공화국은 1980년 레이크플래시드 동계 올림픽에 처음 참가한 이래 꾸준히 선수단을 파견하고 있다. 동계 올림픽에서 가장 좋은 성적을 거둔 대회는 개최국이었던 2022년 베이징 동계 올림픽으로, 총 15개의 메달(금 9, 은 4, 동 2)을 획득하여 종합 4위를 기록했다.
대회 | 선수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합계 | 순위 |
---|---|---|---|---|---|---|
1924년 샤모니 | 불참 | |||||
1928년 장크트모리츠 | ||||||
1932년 레이크플래시드 | ||||||
1936년 가르미슈파르텐키르헨 | ||||||
1948년 장크트모리츠 | ||||||
1952년 오슬로 | ||||||
1956년 코르티나담페초 | ||||||
1960년 스쿼밸리 | ||||||
1964년 인스브루크 | ||||||
1968년 그르노블 | ||||||
1972년 삿포로 | ||||||
1976년 인스브루크 | ||||||
1980년 레이크플래시드 | 24 | 0 | 0 | 0 | 0 | – |
1984년 사라예보 | 37 | 0 | 0 | 0 | 0 | – |
1988년 캘거리 | 13 | 0 | 0 | 0 | 0 | – |
1992년 알베르빌 | 32 | 0 | 3 | 0 | 3 | 15 |
1994년 릴레함메르 | 24 | 0 | 1 | 2 | 3 | 19 |
1998년 나가노 | 57 | 0 | 6 | 2 | 8 | 16 |
2002년 솔트레이크시티 | 66 | 2 | 2 | 4 | 8 | 13 |
2006년 토리노 | 76 | 2 | 4 | 5 | 11 | 14 |
2010년 밴쿠버 | 94 | 5 | 2 | 4 | 11 | 7 |
2014년 소치 | 66 | 3 | 4 | 2 | 9 | 12 |
2018년 평창 | 81 | 1 | 6 | 2 | 9 | 16 |
2022년 베이징 (개최국) | 176 | 9 | 4 | 2 | 15 | 4 |
2026년 밀라노-코르티나담페초 | 개최 예정 | |||||
2030년 프렌치 알프스 | ||||||
2034년 솔트레이크시티-유타 | ||||||
총계 (참가 12회 / 총 24회) | 746 | 22 | 32 | 23 | 77 | 16 |
4. 1. 주요 성과
2002년 솔트레이크시티 동계 올림픽에서 '''양양'''은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에서 중국 선수단 최초의 동계 올림픽 금메달을 획득했다. 프리스타일 스키의 '''한 샤오펑'''은 중국 남자 선수 최초로 동계 올림픽 금메달을 획득한 선수이다. 2010년 밴쿠버 동계 올림픽에서는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의 '''왕멍'''이 금메달 3개를 획득하며 두각을 나타냈다.'''선쉐'''와 '''자오훙보'''는 4번의 올림픽 출전 끝에 피겨 스케이팅 페어 종목에서 마침내 금메달을 획득했다. 컬링에서는 '''왕빙위'''가 이끄는 팀(웨칭솽, 류인, 저우옌, 류진리)이 여자 토너먼트에서 중국 최초의 컬링 올림픽 메달을 획득하며 역사를 만들었다.
2014년 소치 동계 올림픽에서 중국은 금메달 3개, 은메달 4개, 동메달 2개를 획득하여 종합 12위를 기록했다. 이 대회에서 '''장훙'''은 스피드 스케이팅 종목에서 중국 선수 최초로 금메달을 획득했다.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에서는 금메달 1개, 은메달 6개, 동메달 2개로 종합 16위를 기록했다. 이 대회에서 '''류자위'''는 중국 선수 최초로 스노보드 종목에서 올림픽 메달을 획득했고, '''우다징'''은 남자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500m 경기에서 세계 신기록을 세우며 중국 남자 선수 최초로 해당 종목 올림픽 챔피언이 되었다.
2022년 베이징 동계 올림픽은 중국에서 개최된 첫 동계 올림픽으로, 금메달 9개, 은메달 4개, 동메달 2개를 획득하여 종합 4위에 오르며 역대 최고 성적을 기록했다.
- '''구아이링'''은 단일 올림픽에서 3개의 메달을 획득한 최초의 프리스타일 스키 선수가 되었으며, 중국 여성 최초의 프리스타일 스키 금메달리스트이자 올림픽 프리스타일 스키 역사상 가장 성공적인 선수(금메달 2개, 은메달 1개)가 되었다.
- '''옌원강'''은 남자 싱글에서 동메달을 획득하여 중국에 첫 스켈레톤 메달을 안겼다.
- '''쉬멍타오'''는 여자 에어리얼 종목에서 마침내 금메달을 획득했다. 이는 1998년 나가노 올림픽에서 쉬난난이 은메달을 획득한 이후, 이전 대회들에서 중국팀이 해당 종목에서 은메달 5개와 동메달 2개를 획득한 끝에 얻은 첫 금메달이었다.
- '''수이밍'''은 중국 선수 최초로 올림픽 스노보드 종목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 '''가오팅위'''는 중국 남자 선수 최초로 올림픽 스피드 스케이팅 종목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중화인민공화국은 15개 동계 올림픽 종목 중 6개 종목에서 메달을 획득했으며, 금메달의 대부분과 전체 메달의 절반 가량은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에서 나왔다. 동계 올림픽에서 가장 많은 메달을 획득한 종목은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으로 총 37개이다.
4. 2. 역대 올림픽 메달 집계
wikitext올림픽 | 선수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합계 | 순위 | |
---|---|---|---|---|---|---|---|
1896년 하계 올림픽 | 불참 | ||||||
1900년 하계 올림픽 | |||||||
1904년 하계 올림픽 | |||||||
1908년 하계 올림픽 | |||||||
1912년 하계 올림픽 | |||||||
1920년 하계 올림픽 | |||||||
1924년 하계 올림픽 | 중화민국의 일부로 참가 | ||||||
1928년 하계 올림픽 | 불참 | ||||||
1932년 하계 올림픽 | 중화민국의 일부로 참가 | ||||||
1936년 하계 올림픽 | |||||||
1948년 하계 올림픽 | |||||||
1952년 하계 올림픽 | 1 | 0 | 0 | 0 | 0 | – | |
1956년 하계 올림픽 | 국제 올림픽 위원회에서 탈퇴[1] | ||||||
1960년 하계 올림픽 | |||||||
1964년 하계 올림픽 | |||||||
1968년 하계 올림픽 | |||||||
1972년 하계 올림픽 | |||||||
1976년 하계 올림픽 | |||||||
1980년 하계 올림픽 | 보이콧 | ||||||
1984년 하계 올림픽 | 216 | 15 | 8 | 9 | 32 | 4 | |
1988년 하계 올림픽 | 273 | 5 | 11 | 12 | 28 | 11 | |
1992년 하계 올림픽 | 244 | 16 | 22 | 16 | 54 | 4 | |
1996년 하계 올림픽 | 294 | 16 | 22 | 12 | 50 | 4 | |
2000년 하계 올림픽 | 271 | 28 | 16 | 14 | 58 | 3 | |
2004년 하계 올림픽 | 384 | 32 | 17 | 14 | 63 | 2 | |
2008년 하계 올림픽 (개최국) | 639 | 48 | 22 | 30 | 100 | 1 | |
2012년 하계 올림픽 | 396 | 39 | 31 | 22 | 92 | 2 | |
2016년 하계 올림픽 | 412 | 26 | 18 | 26 | 70 | 3 | |
2020년 하계 올림픽 | 406 | 38 | 32 | 19 | 89 | 2 | |
2024년 하계 올림픽 | 388 | 40 | 27 | 24 | 91 | 2 | |
2028년 하계 올림픽 | 개최 예정 | ||||||
2032년 하계 올림픽 | |||||||
합계 (참가 12회 / 총 30회) | 3,924 | 303 | 226 | 198 | 727 | 3 |
5. 종목별 성적
중화인민공화국 선수단은 하계 올림픽과 동계 올림픽 모두에서 꾸준히 성과를 내고 있다.
하계 올림픽에서는 대부분의 종목에서 메달을 획득했으며, 특히 탁구, 배드민턴, 다이빙, 체조, 역도, 사격 등 특정 종목에서 두드러진 강세를 보여왔다. 이러한 특정 종목에서의 압도적인 우위는 해당 종목의 올림픽 정식 종목 유지에 대한 논의를 불러일으키기도 한다. 최근에는 전통적으로 약세를 보였던 수영과 같은 다른 종목에서도 성과를 내고 있다. 메달을 획득하지 못한 종목은 트라이애슬론, 승마, 럭비, 스케이트보드, 서핑, 수구 등 소수에 불과하다.[5][6]
동계 올림픽에는 1980년 레이크플래시드 동계 올림픽부터 참가하기 시작하여, 1992년 알베르빌 동계 올림픽에서 첫 메달을, 2002년 솔트레이크시티 동계 올림픽에서 첫 금메달을 획득했다. 특히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종목에서 세계적인 강국의 면모를 보이며 많은 메달을 수확했다. 그 외에도 프리스타일 스키, 스피드 스케이팅, 피겨 스케이팅, 스노보드, 컬링, 스켈레톤 등 다양한 종목에서 메달리스트를 배출했다. 개최국으로 참가한 2022년 베이징 동계 올림픽에서는 역대 최고 성적을 기록했다.
5. 1. 하계 올림픽
중국 선수들은 현재 하계 올림픽 대부분의 종목에서 메달을 획득했다.[5][6] 메달을 획득하지 못한 종목은 '''트라이애슬론''', '''승마''', '''럭비''', '''스케이트보드''', '''서핑''', '''수구'''이다.아래는 중화인민공화국 선수단이 하계 올림픽에서 메달을 획득한 종목 목록이다.
종목 | 금 | 은 | 동 | 합계 |
---|---|---|---|---|
다이빙 | 55 | 26 | 11 | 92 |
역도 | 43 | 16 | 8 | 67 |
탁구 | 37 | 21 | 8 | 66 |
기계 체조 | 31 | 26 | 21 | 78 |
사격 | 31 | 18 | 28 | 77 |
배드민턴 | 22 | 15 | 15 | 52 |
수영 | 18 | 24 | 19 | 61 |
육상 | 12 | 13 | 18 | 43 |
유도 | 8 | 3 | 12 | 23 |
태권도 | 7 | 2 | 4 | 13 |
복싱 | 6 | 7 | 6 | 19 |
펜싱 | 5 | 7 | 3 | 15 |
카누 | 5 | 2 | 0 | 7 |
트램폴린 | 4 | 5 | 7 | 16 |
요트 | 3 | 3 | 2 | 8 |
배구 | 3 | 1 | 2 | 6 |
사이클 | 3 | 3 | 3 | 9 |
레슬링 | 2 | 6 | 12 | 20 |
조정 | 2 | 4 | 6 | 12 |
테니스 | 2 | 1 | 1 | 4 |
아티스틱 스위밍 | 2 | 5 | 2 | 9 |
양궁 | 1 | 7 | 2 | 10 |
리듬 체조 | 1 | 1 | 0 | 2 |
스포츠 클라이밍 | 0 | 2 | 0 | 2 |
필드 하키 | 0 | 2 | 0 | 2 |
농구 | 0 | 1 | 1 | 2 |
비치발리볼 | 0 | 1 | 1 | 2 |
가라테 | 0 | 1 | 1 | 2 |
축구 | 0 | 1 | 0 | 1 |
근대 5종 | 0 | 1 | 0 | 1 |
소프트볼 | 0 | 1 | 0 | 1 |
골프 | 0 | 0 | 2 | 2 |
3x3 농구 | 0 | 0 | 1 | 1 |
핸드볼 | 0 | 0 | 1 | 1 |
브레이킹 | 0 | 0 | 1 | 1 |
2012년까지 중국은 6개 종목, 즉 '''탁구''', '''배드민턴''', '''다이빙''', '''체조''', '''역도''', '''사격'''에서 획득한 금메달의 4분의 3(201개 중 152개)과 전체 메달의 3분의 2(473개 중 311개)를 차지했다.
특히 '''탁구''', '''배드민턴''', '''다이빙''' 종목에서 강세를 보여왔다. 중국은 '''탁구'''에서 4번, '''배드민턴'''에서 1번 모든 금메달을 휩쓸었으며, 1992년 이후 모든 '''다이빙''' 금메달의 4분의 3을 획득했다. 이러한 특정 종목에서의 압도적인 우위는 해당 종목의 올림픽 정식 종목 유지에 대한 논의를 불러일으키기도 한다. 이는 과거 '''야구'''와 '''소프트볼'''이 겪었던 상황과 유사하다.
한편, 중국 선수들은 전통적으로 약세를 보였던 다른 종목에서도 성과를 내고 있다. 특히 '''수영'''은 가까운 미래에 중국의 주요 메달 획득 종목으로 부상할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아래는 메달을 획득하지 못한 하계 올림픽 종목에서의 최고 성적이다.
종목 | 순위 | 선수 | 세부 종목 & 연도 |
---|---|---|---|
승마 | 8위 | 화톈 | 2016년 개인 종합 마술 |
럭비 | 6위 | 중국 여자팀 | 2024년 여자 토너먼트 |
스케이트보드 | 4위 | 추이 천시 | 2024년 여자 스트리트 |
서핑 | 15위 | 양 시치 | 2024년 여자 쇼트보드 |
트라이애슬론 | 28위 | 린 신위 | 2024년 여자 개인전 |
수구 | 5위 | 중국 여자팀 | 2008년 여자 토너먼트 |
2012년 여자 토너먼트 |
아래는 역대 하계 올림픽 개회식 및 폐회식 기수 명단이다.
대회 | 개회식 기수 | 성별 | 종목 | 폐회식 기수 | 성별 | 종목 |
---|---|---|---|---|---|---|
1984년 로스앤젤레스 | 왕리빈 | 남 | 농구 | |||
1988년 서울 | 쑹타오 | 남 | 농구 | |||
1992년 바르셀로나 | 쑹리강 | 남 | 농구 | |||
1996년 애틀랜타 | 류위둥 | 남 | 농구 | |||
2000년 시드니 | ||||||
2004년 아테네 | 야오밍 | 남 | 농구 | 류샹 | 남 | 육상 |
2008년 베이징 | 장닝 | 여 | 배드민턴 | |||
2012년 런던 | 이젠롄 | 남 | 농구 | 쉬리자 | 여 | 요트 |
2016년 리우데자네이루 | 레이성 | 남 | 펜싱 | 딩닝 | 여 | 탁구 |
2020년 도쿄 | 자오슈아이 | 남 | 태권도 | 쑤빙톈 | 남 | 육상 |
주팅 | 여 | 배구 | ||||
2024년 파리 | 마룽 | 남 | 탁구 | 리파빈 | 남 | 역도 |
펑위 | 여 | 아티스틱 스위밍 | 어우쯔샤 | 여 | 필드 하키 |
5. 2. 동계 올림픽
리 신자린 바야니
마 칭화
판 둬야오
황 예보 & 펑 쥔위에
자오 자원
궈 위하오
판 하이빈
펑 칭위에
쑹 치우
자오 자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