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올림픽 중화인민공화국 선수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올림픽 중화인민공화국 선수단은 중화인민공화국을 대표하여 올림픽에 참가하는 선수단이다. 중국은 1924년 하계 올림픽에 'Chine'이라는 이름으로 처음 참가했으며, 1952년 하계 올림픽부터 중화인민공화국(PRC)이라는 이름으로 참가했다. 1958년 IOC 탈퇴 이후 1980년 동계 올림픽부터 다시 참가했으며, 2008년 하계 올림픽과 2022년 동계 올림픽을 개최했다. 하계 올림픽에서는 1984년 로스앤젤레스 대회 이후 꾸준히 메달을 획득하며, 2008년 베이징 대회에서 종합 1위를 차지했다. 동계 올림픽에서는 1992년 알베르빌 대회에서 첫 메달을 획득했으며, 2022년 베이징 대회에서 역대 최고 성적을 거두었다. 중국은 다이빙, 탁구, 배드민턴,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등에서 강세를 보이며, 도핑 문제와 관련한 논란도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나라별 올림픽 정보 - 올림픽 독일 연합 선수단
    올림픽 독일 연합 선수단은 1956년부터 1964년까지 서독과 동독의 연합으로 구성되어 올림픽에 참가했으며, 독일 선수단 승리 시 베토벤의 교향곡 9번을 연주하고 올림픽 국기를 사용했으며, 하계 올림픽에서 118개, 동계 올림픽에서 19개의 메달을 획득했다.
  • 나라별 올림픽 정보 - 올림픽 영국 선수단
    영국은 하계 올림픽과 동계 올림픽에 모두 참가하며, 1896년 첫 근대 올림픽부터 모든 하계 올림픽에 참가했고, 하계 올림픽에서 금메달 298개, 동계 올림픽에서 금메달 12개를 획득했다.
  • 올림픽 선수단에 관한 - 2008년 하계 올림픽
    2008년 하계 올림픽은 "하나의 세계, 하나의 꿈"이라는 표어 아래 중화인민공화국 베이징에서 204개국이 참가한 역대 최대 규모의 대회로, 28개 종목에서 302개의 메달을 놓고 경쟁했으며 중국이 금메달 1위를 차지했으나 인권, 환경, 도핑 문제 등 논란도 있었다.
  • 올림픽 선수단에 관한 - 1996년 하계 올림픽
    1996년 하계 올림픽은 미국 애틀랜타에서 개최되어 26개 종목 271개 세부 종목으로 구성, 197개국이 참가했으나, 센테니얼 올림픽 공원 폭탄 테러 사건과 재정적 성공, 도시 인프라 개선이라는 양면성을 남겼다.
올림픽 중화인민공화국 선수단
올림픽 중국 선수단
NOCCHN
NOC 이름중국 올림픽 위원회
웹사이트중국 올림픽 위원회 공식 웹사이트
올림픽 참가 정보
하계 올림픽 출전 횟수1952년 하계 올림픽
1984년 하계 올림픽
1988년 하계 올림픽
1992년 하계 올림픽
1996년 하계 올림픽
2000년 하계 올림픽
2004년 하계 올림픽
2008년 하계 올림픽
2012년 하계 올림픽
2016년 하계 올림픽
2020년 하계 올림픽
동계 올림픽 출전 횟수1980년 동계 올림픽
1984년 동계 올림픽
1988년 동계 올림픽
1992년 동계 올림픽
1994년 동계 올림픽
1998년 동계 올림픽
2002년 동계 올림픽
2006년 동계 올림픽
2010년 동계 올림픽
2014년 동계 올림픽
2018년 동계 올림픽
2022년 동계 올림픽
관련 참가국중화민국 (1924–1972)
메달 집계
순위3위
금메달325
은메달258
동메달221
합계804

2. 역사

중국의 올림픽 역사는 크게 세 시기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초기 중화민국(ROC) 대표단이 중국을 대표하여 참가했던 시기(1924년~1948년),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PRC) 수립 이후 '두 개의 중국' 문제로 인해 올림픽을 보이콧했던 시기(1952년~1980년), 그리고 1979년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에 복귀하여 현재까지 활발히 참가하고 있는 시기이다.

중화인민공화국1952년 하계 올림픽에 처음 참가했으나, '두 개의 중국' 문제로 인한 정치적 갈등으로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와의 관계가 악화되어 1956년부터 1976년까지 올림픽 참가를 중단했다.[3][9] 1970년대 국제 관계 변화 속에서 1979년 IOC에 복귀했으며,[7] 나고야 결의안을 통해 '중화 타이베이'와의 명칭 문제가 해결되면서[3] 올림픽 참가가 재개되었다. 1980년 동계 올림픽부터 다시 참가하기 시작했고,[3] 1984년 하계 올림픽을 통해 하계 대회에도 복귀했다.[1][2]

IOC 복귀 이후 중화인민공화국은 올림픽에서 꾸준히 우수한 성적을 거두며 스포츠 강국으로 자리매김했으며, 베이징에서 2008년 하계 올림픽2022년 동계 올림픽을 개최하기도 했다.

한편, 홍콩은 1952년부터 독자적인 국가 올림픽 위원회를 통해 별도의 선수단으로 올림픽에 참가해왔다.[4] 1997년 중국에 반환되어 홍콩 특별행정구가 설립된 이후에도 이러한 지위는 유지되어, '중국 홍콩(Hong Kong, China)'이라는 이름으로 본토와는 별개로 올림픽에 참가하고 있다.[4]

2. 1. 중화민국 시기 (1924-1948)

원래 중국을 대표하여 1924년 하계 올림픽부터 중화민국(ROC) 대표단이 올림픽에 참가하기 시작했다. 국공 내전 이전 시기인 1948년까지 선수들은 올림픽에서 중화민국(ROC) 이름으로 참여했으며, 구체적으로 1924년 하계 올림픽, 1932년 하계 올림픽, 1936년 하계 올림픽, 1948년 하계 올림픽에 선수단을 파견했다.[31][32] 이 시기 대만일제 강점기였기 때문에, 대만 출신 선수들은 일본 대표로 참가했다.[33]

2. 2. 올림픽 보이콧 시기 (1952-1980)

1924년 하계 올림픽부터 1976년 동계 올림픽까지는 중화민국(ROC)이 중국을 대표하여 올림픽에 참가했다. 중화인민공화국(PRC)은 핀란드 헬싱키에서 열린 1952년 하계 올림픽에 처음으로 참가하여 IOC 코드 PRC를 부여받았다. 그러나 선수단 도착이 늦어 대회 마지막 날 공식 경기에 참가한 것은 수영 선수 한 명뿐이었다.[3][8]

당시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는 중화인민공화국과 국공 내전 이후 대만으로 이전한 중화민국 양측 모두 '중국'이라는 이름으로 참가하는 것을 허용했다. 이에 중화민국은 강하게 항의하며 1952년 하계 올림픽에서 철수했다.[3][9] 이는 올림픽에서 '두 개의 중국' 문제의 시작을 알리는 사건이었다.

'두 개의 중국' 문제로 인한 정치적 분쟁으로 인해, 중화인민공화국은 1958년 IOC를 탈퇴하는 등[7] 국제 스포츠계에서 고립의 길을 걸었다. 이로 인해 중화인민공화국은 1956년부터 1976년까지의 올림픽 대회에 참가하지 않았다.

1970년대 핑퐁 외교 등을 통해 미국과의 관계가 개선되면서 상황이 변하기 시작했다. 1979년 10월 25일, 중국 올림픽 위원회는 IOC에 공식적으로 복귀했다.[7] 같은 해 IOC는 나고야 의정서를 통해 중화인민공화국이 '중국' 명칭을 사용하고, 중화민국은 '중화 타이베이'라는 이름으로 참가하도록 결정했다. 이로써 중화인민공화국이 올림픽에 다시 참여할 길이 열렸다.

중화인민공화국은 미국 레이크플래시드에서 열린 1980년 동계 올림픽부터 공식 대표단을 파견할 자격을 얻었다.[3] 그러나 소련 모스크바에서 열린 1980년 하계 올림픽미국이 주도한 보이콧과 당시 중소 분쟁의 영향으로 참가하지 않았다. 중화인민공화국이 1952년 이후 하계 올림픽에 다시 모습을 드러낸 것은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열린 1984년 하계 올림픽이었다.[1][2]

2. 3. 개혁개방 이후 (1980-현재)

1979년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는 나고야 결의안을 통해, 베이징에 본부를 둔 중화인민공화국 국가 올림픽 위원회가 '중국'이라는 명칭을 사용하고, 타이베이에 본부를 둔 중화민국은 '중화 타이베이'(TPE)라는 명칭을 사용하기로 결정했다. 이 결의안은 올림픽 관련 행사에서 중화 타이베이의 국기, 국가 등 국가 상징 사용을 제한하는 대신, 중화인민공화국이 올림픽에 다시 참여할 길을 열었다.[3]

이에 따라 현재의 중국 올림픽 위원회가 1979년에 승인되었고,[3] 중화인민공화국은 같은 해 공식적으로 IOC에 복귀하여 미국 레이크플래시드에서 열린 1980년 동계 올림픽부터 공식 대표단을 파견하기 시작했다.[3] 하지만 미국 주도의 보이콧과 당시 중소 분쟁의 영향으로 소련 모스크바에서 열린 1980년 하계 올림픽에는 불참했다. 1952년 이후 하계 올림픽에 처음 참가한 것은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열린 1984년 하계 올림픽이었다.[1][2]

2024년까지 중화인민공화국은 하계 올림픽에서 종합 순위 1위 1회, 2위 4회, 3위 2회를 기록했다. 하계 올림픽 12회, 동계 올림픽 12회 참가 경험을 가진 중국은 아시아 국가 중 가장 성공적인 국가이며, 올림픽 역사상 미국소련에 이어 세 번째로 우수한 성적을 거두었다. 특히 개최국이었던 2008년 베이징 올림픽에서는 하계 올림픽 역대 최다인 100개의 메달을, 2022년 베이징 동계 올림픽에서는 동계 올림픽 역대 최다인 15개의 메달을 획득하며 국가 주도의 선수 육성 시스템을 통해 미국에 이은 스포츠 강국으로 자리매김했다.

홍콩은 1950년부터 별도의 국가 올림픽 위원회를 구성하여 1952년부터 올림픽에 참가해왔다.[4] 1997년 중국에 반환되고 홍콩 특별행정구가 설립된 이후에도, 홍콩은 '중국 홍콩(Hong Kong, China)'이라는 이름으로 본토와 별도로 올림픽에 참가하고 있다.[4]

다음은 중화인민공화국의 역대 동계 올림픽 메달 집계 현황이다.

대회명
1980 레이크플래시드0000
1984 사라예보0000
1988 캘거리0000
1992 알베르빌0303
1994 릴레함메르0123
1998 나가노0628
2002 솔트레이크시티2248
2006 토리노24511
2010 밴쿠버52411
2014 소치3429
2018 평창1629
2022 베이징 (개최국)94215
합계22322377


3. 하계 올림픽

(내용 없음)

3. 1. 주요 성과

중국은 1984년 하계 올림픽에서 처음으로 본격적인 선수단을 파견하여 '''금메달 15개로 종합 4위'''를 차지하며 국제 스포츠 무대에 화려하게 복귀했다. 특히 '''쉬하이펑'''이 '''사격''' 50m 권총 종목에서 중화인민공화국 역사상 첫 올림픽 금메달을 획득한 것은 상징적인 사건이었다.[1] 또한, '''리닝'''은 '''체조'''에서 금메달 3개, 은메달 2개, 동메달 1개 등 총 6개의 메달을 획득하며 "체조 왕자"로 불렸고, 이는 단일 올림픽 중국 선수 최다 메달 기록으로 남아있다.[10] 중국 여자 배구 대표팀은 결승에서 미국을 꺾고 중국 최초의 구기 종목 금메달을 안겨주었다.

1988년 하계 올림픽에서는 금메달 5개로 종합 11위를 기록했다. '''리메이수'''가 육상에서 중국 최초의 메달을 획득했고, 조정에서도 여자 4인승 은메달과 여자 8인승 동메달을 따내며 첫 메달을 기록했다.

1992년 하계 올림픽에서는 금메달 16개로 다시 종합 4위에 올랐다. '''천위에링'''이 여자 육상 경기 10km 경보에서 중국 육상 최초의 금메달을 획득했다. 여자 수영 선수들이 금메달 4개와 은메달 5개를 따내며 선전했지만, 2년 후 1994년 아시안 게임에서 발생한 도핑 스캔들로 인해 빛이 바랬다. (다만 1992년 메달리스트 중 1994년 스캔들에 직접 연루된 선수는 없었다.) '''덩야핑'''은 여자 탁구 단식과 복식에서 2관왕에 올랐고, '''좡샤오옌'''은 여자 +72kg급에서 중국 최초의 유도 금메달을, '''장샤오둥'''은 여자 요트에서 첫 메달(은메달)을 획득했다. 중국 여자 농구팀은 은메달을 획득하며 역대 최고 성적을 거두었다.

1996년 하계 올림픽에서도 금메달 16개로 종합 4위를 유지했다. '''푸밍샤'''는 여자 다이빙 3m 스프링보드와 10m 플랫폼에서 모두 금메달을 따낸 최초의 여성 다이버(1960년 이후)가 되었다. '''덩야핑'''은 탁구 여자 단식과 복식 2연패를 달성하며 중국 선수 최초로 올림픽 금메달 4개를 획득했고, '''류궈량''' 역시 남자 탁구에서 2관왕에 오르며 중국은 처음으로 탁구 전 종목(금메달 4개)을 석권했다. '''왕쥔샤'''는 여자 육상 5000m 금메달과 10000m 은메달을 획득했으며, 중국 여자 축구 대표팀은 은메달을 따내며 중국 축구 역사상 첫 올림픽 메달을 기록했다.

2000년 하계 올림픽에서는 금메달 28개로 종합 3위에 올랐다. '''왕난'''이 탁구 2관왕에 오르며 중국은 다시 한번 탁구 전 종목 금메달을 휩쓸었다. '''천중'''은 여자 +67kg급에서 중국 최초의 태권도 금메달을 획득했고, '''장추이화'''는 여자 트랙 타임 트라이얼에서 동메달을 따내며 중국 사이클 최초의 메달리스트가 되었다.

2004년 하계 올림픽에서는 금메달 32개로 미국에 이어 종합 2위를 차지했다. '''류샹'''은 남자 110m 허들에서 12.91초의 세계 기록 타이로 우승하며 중국 남자 선수 최초로 올림픽 육상 트랙 종목 금메달을 획득했고, 폐막식 기수를 맡았다. '''왕이푸'''는 6회 연속 올림픽에 출전하여 남자 10m 공기권총에서 두 번째 금메달이자 개인 통산 네 번째 메달을 획득했다. '''멍관량'''과 '''양원쥔'''은 남자 C-2 500m에서 중국 최초의 카누 금메달을, '''리팅'''과 '''쑨톈톈'''은 여자 복식에서 중국 최초의 테니스 금메달을, '''왕쉬'''는 여자 자유형 72kg급에서 중국 최초의 레슬링 금메달을 획득했다. 중국 여자 배구 대표팀은 결승에서 러시아에 극적인 역전승을 거두며 20년 만에 두 번째 금메달을 차지했다.

2008년 하계 올림픽에서는 개최국의 이점을 살려 금메달 48개, 총 100개의 메달을 획득하며 사상 첫 종합 1위를 달성했다. '''궈징징'''과 '''장이닝'''은 각각 다이빙탁구에서 2관왕 2연패를 달성했고, '''마린'''도 탁구 2관왕에 오르며 중국은 세 번째로 탁구 전 종목 금메달을 석권했다. '''중만'''은 남자 펜싱 사브르에서 중국 남자 선수 최초의 금메달을, '''장좐좐'''은 여자 양궁 개인전에서 금메달을 따내며 이 종목에서 오랫동안 이어져 온 대한민국의 강세를 깼다. '''줘스밍'''과 '''장샤오핑'''은 중국 복싱 사상 첫 금메달을, '''인젠'''은 여자 요트 세일보드에서 첫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여자 조정 쿼드러플 스컬에서도 첫 금메달을 따냈다. 체조에서는 금메달 11개를 획득하며 역대 최고 성적을 거두었고, '''추카이'''는 3관왕에 올랐다. 다만, 기대를 모았던 '''류샹'''은 부상으로 110m 허들 예선에서 기권했다.

2012년 하계 올림픽에서는 금메달 38개로 미국에 이어 종합 2위를 차지했다. '''쑨양'''은 남자 수영 400m와 1500m 자유형에서 금메달 2개를 따내며 중국 남자 수영 선수 최초의 올림픽 금메달리스트가 되었고, 두 종목 모두 기록을 경신했다. '''예스원''' 역시 여자 개인혼영 200m와 400m에서 2관왕에 오르며 기록을 경신했다. '''천딩'''은 남자 20km 경보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다이빙에서는 '''천루린'''이 2관왕 2연패를 달성했고, '''우민샤'''는 여자 싱크로나이즈 3m 스프링보드 3연패 및 3m 스프링보드 금메달을 추가하며 단일 종목 3연패라는 진기록을 세웠다. 체조의 '''저우카이'''는 금메달 2개를 추가하여 개인 통산 5개의 금메달을 획득한 최초의 중국 선수가 되었다. '''쉬리자'''는 여자 요트 레이저 래디얼에서 중국 최초의 세일링 금메달을 획득하고 폐막식 기수를 맡았다. 배드민턴에서는 '''린단'''이 남자 단식 2연패를 달성했고, '''자오윈레이'''는 여자 복식과 혼합 복식에서 2관왕에 올라 단일 올림픽 배드민턴 2관왕을 차지한 유일한 선수가 되었다. '''차오중롱'''은 남자 근대5종에서 은메달을 획득하며 이 종목 첫 메달을 안겼다. 중국은 탁구에서 4회 연속 전 종목 금메달을 석권했고, 배드민턴에서도 사상 처음으로 5개 전 종목 금메달을 휩쓸었으나, 여자 복식 조가 고의 패배 논란으로 실격당하는 오점을 남겼다. '''류샹'''은 또다시 부상으로 110m 허들 예선에서 기권했다.

2016년 하계 올림픽에서는 금메달 26개로 종합 3위를 기록했다. '''쑨양'''은 남자 자유형 200m 금메달을 추가하며 2개 대회 연속 금메달을 획득한 유일한 중국 남자 수영 선수가 되었다. '''궁진제'''와 '''중톈스'''는 여자 단체 스프린트에서 중국 최초의 사이클 금메달을 합작했고, '''펑샨샨'''은 여자 골프에서 동메달을 따내며 첫 메달을 기록했다. '''둥빈'''은 남자 세단뛰기에서 동메달을 획득하며 이 종목 첫 메달리스트가 되었다. 중국 여자 배구팀은 12년 만에 통산 세 번째 금메달을 차지했다. '''우민샤'''는 여자 3m 싱크로에서 4연패를 달성하며 개인 통산 메달을 금메달 5개, 은메달 1개, 동메달 1개로 늘려, 당시 중국 선수 중 가장 많은 올림픽 메달을 획득한 선수가 되었다.

2020년 하계 올림픽(2021년 개최)에서는 금메달 38개로 다시 종합 2위에 올랐다. '''쑤빙톈'''은 남자 100m 준결승에서 9.83초의 육상 아시아 기록을 세우며 결선에 진출(6위)한 최초의 중국 선수가 되었고, 남자 4x100m 계주에서도 동메달(이후 영국 선수의 도핑 적발로 은메달 승격 예상)을 획득하며 중국 육상 계주 첫 메달에 기여했다. '''궁리자오'''는 여자 포환던지기에서 금메달을 따내며 중국 선수 최초의 올림픽 필드 종목 금메달리스트가 되었고, '''류스잉'''은 여자 창던지기에서 아시아 선수 최초로 금메달을 획득했다. '''뤼샤오쥔'''은 남자 81kg 역도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며 만 37세의 나이로 역대 최고령 역도 챔피언이 되었고, 이후 2016년 대회 은메달이 금메달로 승격되면서 개인 통산 3개의 금메달을 획득한 최초의 중국 선수가 되었다.

2024년 하계 올림픽에서는 금메달 40개로 2008년 베이징 올림픽 이후 최고 성적을 거두며 종합 2위를 차지했다. '''정친원'''은 여자 테니스 단식에서 중국 및 아시아 선수 최초로 금메달을 획득했고, '''장즈젠'''과 '''왕신위'''는 혼합 복식에서 은메달을 추가했다.[11] '''덩야원'''은 여자 BMX 프리스타일에서 중국의 첫 금메달을 안겼다. '''판잔러'''는 남자 수영 100m 자유형에서 46.40초의 세계 신기록으로 금메달을 획득했고, 남자 4x100m 혼계영에서도 중국 최초의 금메달을 합작하며 이 종목에서 미국의 오랜 연승 행진을 깼다.[12][13] 복싱에서는 여자부에서만 금메달 3개('''창위안''', '''우위''', '''리첸''')와 은메달 2개('''양원루''', '''양류''')를 획득하며 역대 최고 성적을 기록했다. 다이빙에서는 8개 전 종목 금메달을 싹쓸이하는 압도적인 성과를 보였다.[14] '''류칭이'''는 정식 종목으로 처음 채택된 브레이킹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아티스틱스위밍에서는 단체전과 듀엣( '''왕리이''' / '''왕첸이''')에서 모두 금메달을 따내며 이 종목 첫 금메달을 기록했다. 중국 여자 필드하키팀은 은메달을 획득하며 역대 최고 성적을 거두었다. 탁구에서는 혼합 복식이 추가된 이후 처음으로 5개 전 종목 금메달을 석권했으며, '''마룽'''은 개인 통산 6번째 금메달을 획득하여 중국 올림픽 선수 중 최다 금메달리스트가 되었다.[15]

중국 선수단은 하계 올림픽에서는 2008년 베이징 올림픽에서 획득한 100개(금 48)가, 동계 올림픽에서는 2022년 베이징 동계 올림픽에서 획득한 15개(금 9)가 역대 최다 메달 기록이다. 하계 종목 중에서는 체조(리듬체조, 트램펄린 포함)에서 96개, 동계 종목 중에서는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에서 37개의 메달을 획득하여 가장 강세를 보이고 있다. 꾸준한 국가 차원의 투자와 선수 육성을 통해 미국과 함께 세계 스포츠 최강국의 지위를 유지하고 있다.

3. 2. 역대 올림픽 메달 집계

'''하계 올림픽'''



'''동계 올림픽'''


4. 동계 올림픽

중화인민공화국은 1980년 레이크플래시드 동계 올림픽에 처음 참가한 이래 꾸준히 선수단을 파견하고 있다. 동계 올림픽에서 가장 좋은 성적을 거둔 대회는 개최국이었던 2022년 베이징 동계 올림픽으로, 총 15개의 메달(금 9, 은 4, 동 2)을 획득하여 종합 4위를 기록했다.


4. 1. 주요 성과

2002년 솔트레이크시티 동계 올림픽에서 '''양양'''은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에서 중국 선수단 최초의 동계 올림픽 금메달을 획득했다. 프리스타일 스키의 '''한 샤오펑'''은 중국 남자 선수 최초로 동계 올림픽 금메달을 획득한 선수이다. 2010년 밴쿠버 동계 올림픽에서는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의 '''왕멍'''이 금메달 3개를 획득하며 두각을 나타냈다.

'''선쉐'''와 '''자오훙보'''는 4번의 올림픽 출전 끝에 피겨 스케이팅 페어 종목에서 마침내 금메달을 획득했다. 컬링에서는 '''왕빙위'''가 이끄는 팀(웨칭솽, 류인, 저우옌, 류진리)이 여자 토너먼트에서 중국 최초의 컬링 올림픽 메달을 획득하며 역사를 만들었다.

2014년 소치 동계 올림픽에서 중국은 금메달 3개, 은메달 4개, 동메달 2개를 획득하여 종합 12위를 기록했다. 이 대회에서 '''장훙'''은 스피드 스케이팅 종목에서 중국 선수 최초로 금메달을 획득했다.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에서는 금메달 1개, 은메달 6개, 동메달 2개로 종합 16위를 기록했다. 이 대회에서 '''류자위'''는 중국 선수 최초로 스노보드 종목에서 올림픽 메달을 획득했고, '''우다징'''은 남자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500m 경기에서 세계 신기록을 세우며 중국 남자 선수 최초로 해당 종목 올림픽 챔피언이 되었다.

2022년 베이징 동계 올림픽은 중국에서 개최된 첫 동계 올림픽으로, 금메달 9개, 은메달 4개, 동메달 2개를 획득하여 종합 4위에 오르며 역대 최고 성적을 기록했다.

  • '''구아이링'''은 단일 올림픽에서 3개의 메달을 획득한 최초의 프리스타일 스키 선수가 되었으며, 중국 여성 최초의 프리스타일 스키 금메달리스트이자 올림픽 프리스타일 스키 역사상 가장 성공적인 선수(금메달 2개, 은메달 1개)가 되었다.
  • '''옌원강'''은 남자 싱글에서 동메달을 획득하여 중국에 첫 스켈레톤 메달을 안겼다.
  • '''쉬멍타오'''는 여자 에어리얼 종목에서 마침내 금메달을 획득했다. 이는 1998년 나가노 올림픽에서 쉬난난이 은메달을 획득한 이후, 이전 대회들에서 중국팀이 해당 종목에서 은메달 5개와 동메달 2개를 획득한 끝에 얻은 첫 금메달이었다.
  • '''수이밍'''은 중국 선수 최초로 올림픽 스노보드 종목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 '''가오팅위'''는 중국 남자 선수 최초로 올림픽 스피드 스케이팅 종목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중화인민공화국은 15개 동계 올림픽 종목 중 6개 종목에서 메달을 획득했으며, 금메달의 대부분과 전체 메달의 절반 가량은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에서 나왔다. 동계 올림픽에서 가장 많은 메달을 획득한 종목은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으로 총 37개이다.

4. 2. 역대 올림픽 메달 집계

wikitext


5. 종목별 성적

중화인민공화국 선수단은 하계 올림픽동계 올림픽 모두에서 꾸준히 성과를 내고 있다.

하계 올림픽에서는 대부분의 종목에서 메달을 획득했으며, 특히 탁구, 배드민턴, 다이빙, 체조, 역도, 사격 등 특정 종목에서 두드러진 강세를 보여왔다. 이러한 특정 종목에서의 압도적인 우위는 해당 종목의 올림픽 정식 종목 유지에 대한 논의를 불러일으키기도 한다. 최근에는 전통적으로 약세를 보였던 수영과 같은 다른 종목에서도 성과를 내고 있다. 메달을 획득하지 못한 종목은 트라이애슬론, 승마, 럭비, 스케이트보드, 서핑, 수구 등 소수에 불과하다.[5][6]

동계 올림픽에는 1980년 레이크플래시드 동계 올림픽부터 참가하기 시작하여, 1992년 알베르빌 동계 올림픽에서 첫 메달을, 2002년 솔트레이크시티 동계 올림픽에서 첫 금메달을 획득했다. 특히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종목에서 세계적인 강국의 면모를 보이며 많은 메달을 수확했다. 그 외에도 프리스타일 스키, 스피드 스케이팅, 피겨 스케이팅, 스노보드, 컬링, 스켈레톤 등 다양한 종목에서 메달리스트를 배출했다. 개최국으로 참가한 2022년 베이징 동계 올림픽에서는 역대 최고 성적을 기록했다.

5. 1. 하계 올림픽

중국 선수들은 현재 하계 올림픽 대부분의 종목에서 메달을 획득했다.[5][6] 메달을 획득하지 못한 종목은 '''트라이애슬론''', '''승마''', '''럭비''', '''스케이트보드''', '''서핑''', '''수구'''이다.

아래는 중화인민공화국 선수단이 하계 올림픽에서 메달을 획득한 종목 목록이다.

종목합계
다이빙55261192
역도4316867
탁구3721866
기계 체조31262178
사격31182877
배드민턴22151552
수영18241961
육상12131843
유도831223
태권도72413
복싱67619
펜싱57315
카누5207
트램폴린45716
요트3328
배구3126
사이클3339
레슬링261220
조정24612
테니스2114
아티스틱 스위밍2529
양궁17210
리듬 체조1102
스포츠 클라이밍0202
필드 하키0202
농구0112
비치발리볼0112
가라테0112
축구0101
근대 5종0101
소프트볼0101
골프0022
3x3 농구0011
핸드볼0011
브레이킹0011



2012년까지 중국은 6개 종목, 즉 '''탁구''', '''배드민턴''', '''다이빙''', '''체조''', '''역도''', '''사격'''에서 획득한 금메달의 4분의 3(201개 중 152개)과 전체 메달의 3분의 2(473개 중 311개)를 차지했다.

특히 '''탁구''', '''배드민턴''', '''다이빙''' 종목에서 강세를 보여왔다. 중국은 '''탁구'''에서 4번, '''배드민턴'''에서 1번 모든 금메달을 휩쓸었으며, 1992년 이후 모든 '''다이빙''' 금메달의 4분의 3을 획득했다. 이러한 특정 종목에서의 압도적인 우위는 해당 종목의 올림픽 정식 종목 유지에 대한 논의를 불러일으키기도 한다. 이는 과거 '''야구'''와 '''소프트볼'''이 겪었던 상황과 유사하다.

한편, 중국 선수들은 전통적으로 약세를 보였던 다른 종목에서도 성과를 내고 있다. 특히 '''수영'''은 가까운 미래에 중국의 주요 메달 획득 종목으로 부상할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아래는 메달을 획득하지 못한 하계 올림픽 종목에서의 최고 성적이다.

종목순위선수세부 종목 & 연도
승마8위화톈2016년 개인 종합 마술
럭비6위중국 여자팀2024년 여자 토너먼트
스케이트보드4위추이 천시2024년 여자 스트리트
서핑15위양 시치2024년 여자 쇼트보드
트라이애슬론28위린 신위2024년 여자 개인전
수구5위중국 여자팀2008년 여자 토너먼트
2012년 여자 토너먼트



아래는 역대 하계 올림픽 개회식 및 폐회식 기수 명단이다.

대회개회식 기수성별종목폐회식 기수성별종목
1984년 로스앤젤레스왕리빈농구
1988년 서울쑹타오농구
1992년 바르셀로나쑹리강농구
1996년 애틀랜타류위둥농구
2000년 시드니
2004년 아테네야오밍농구류샹육상
2008년 베이징장닝배드민턴
2012년 런던이젠롄농구쉬리자요트
2016년 리우데자네이루레이성펜싱딩닝탁구
2020년 도쿄자오슈아이태권도쑤빙톈육상
주팅배구
2024년 파리마룽탁구리파빈역도
펑위아티스틱 스위밍어우쯔샤필드 하키


5. 2. 동계 올림픽

리 신
자린 바야니
마 칭화2022년 여자 4 × 5km 계주아이스하키4위중국 여자팀1998년 여자 토너먼트루지12위왕 페이쉔
판 둬야오
황 예보 & 펑 쥔위에2022년 혼성 팀 릴레이노르딕 복합10위자오 즈허
자오 자원
궈 위하오
판 하이빈2022년 남자 단체 라지힐/4 × 5km스키 점프10위둥 빙
펑 칭위에
쑹 치우
자오 자원2022년 혼성 단체



'''개회식 및 폐회식 기수'''

대회개회식 기수성별종목폐회식 기수성별종목
1980년 레이크플래시드자오웨이창스피드 스케이팅
1984년 사라예보자오스젠스피드 스케이팅
1988년 캘거리장수빈피겨 스케이팅
1992년 알베르빌쑹천스피드 스케이팅
1994년 릴레함메르류궁페이스피드 스케이팅
1998년 나가노자오훙보피겨 스케이팅
2002년 솔트레이크시티장민피겨 스케이팅
2006년 토리노양양 (A)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한샤오펑프리스타일 스키
2010년 밴쿠버한샤오펑프리스타일 스키선쉐 & 자오훙보여/남피겨 스케이팅
2014년 소치퉁젠피겨 스케이팅류추훙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2018년 평창저우양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우다징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2022년 베이징가오팅위스피드 스케이팅가오팅위스피드 스케이팅
자오단스켈레톤쉬멍타오프리스타일 스키


6. 올림픽 개최

중화인민공화국은 올림픽 유치를 위해 여러 차례 도전했으며, 일부는 성공적으로 개최로 이어졌다. 초기 유치 시도는 다음과 같다.

올림픽개최 도시유치 경쟁에서 승리한 도시
2000년 하계 올림픽베이징시드니, 오스트레일리아
2010년 동계 올림픽하얼빈밴쿠버, 캐나다



이후 중국은 세 차례의 올림픽을 성공적으로 개최했다.



이러한 올림픽 개최는 중국이 국제 스포츠 무대에서 영향력을 확대하고, 관련 스포츠 인프라를 확충하며 스포츠 산업을 발전시키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6. 1. 2008년 하계 올림픽

2008년 하계 올림픽중화인민공화국이 처음으로 개최한 올림픽으로, 수도 베이징에서 열렸다. 당시 올림픽의 표어(슬로건)는 '하나의 세계, 하나의 꿈'(One World One Dream|하나의 세계, 하나의 꿈eng, 同一个世界 同一个梦想|퉁이거 스제, 퉁이거 멍샹zho)이었다. 개최국인 중화인민공화국은 이 대회에서 금메달 48개, 은메달 22개, 동메달 30개로 총 100개의 메달을 획득하며 종합 '''1위'''를 차지했다.

여러 종목에서 주목할 만한 성과가 있었다.

한편, 중국의 최고 스타 선수 중 한 명이었던 류샹은 부상으로 인해 남자 110m 허들 예선에서 기권하는 아쉬움을 남겼다.

6. 2. 2014년 하계 청소년 올림픽

2014년 하계 청소년 올림픽중국올림픽을 개최한 두 번째 행사로, 난징에서 개최되었다. 슬로건은 Share the Games, Share our Dreams영어(공유하는 청춘, 함께 만드는 미래)이었다.

6. 3. 2022년 동계 올림픽

2022년 동계 올림픽중국올림픽을 세 번째로 개최하는 것이며, 베이징에서 두 번째로 개최되는 대회이다. 이번 대회의 공식 슬로건은 一起向未来|이치샹웨이라이중국어(''함께 나누는 미래를 위해'')이다. 이전 슬로건은 纯洁的冰雪 激情的约会|춘제더빙쉐 지칭더웨후이중국어(''순수한 얼음과 눈 위에서 즐거운 만남'')이었다.

7. 도핑 문제

중국올림픽에서 도핑 문제로 인해 총 3개의 메달을 박탈당했다. 이 세 명의 선수는 모두 2008년 하계 올림픽에 참가했던 역도 선수들로, 차오 레이, 천시에샤, 류춘홍이다.[18]

전직 중국 국가대표팀 의사였던 쉬에 인시엔은 2012년과 2017년에 중국 선수들의 조직적인 도핑이 올림픽을 포함한 여러 국제 스포츠 대회에서 이루어졌다고 주장했다. 그녀는 1980년대와 1990년대에 걸쳐 1만 명이 넘는 중국 선수들이 중국 정부가 주도한 조직적인 도핑 프로그램에 따라 경기력 향상 약물을 투여받았다고 폭로했다. 쉬에 인시엔은 이 기간 동안 중국 선수들이 획득한 모든 국제 대회 메달을 박탈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는 과거 중국 정부가 조직적인 도핑은 없었으며 선수 개개인의 문제였다고 밝힌 입장과 배치되는 내용이다.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와 세계 반도핑 기구(WADA)는 이러한 의혹에 대해 조사를 진행했으나, 명확한 결론이나 별다른 조치를 내놓지는 않았다.[19][20][21][22][23]

중화인민공화국은 도핑 외의 사유로 실격 처리되어 박탈당한 메달도 있다. 2000년 하계 올림픽 당시 체조 여자 단체 종합에서 동메달을 획득했으나, 참가 선수 중 둥팡샤오가 대회 참가 당시 규정된 나이보다 어렸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메달이 박탈되었다.[24][25][26] 이로써 중국은 도핑 위반으로 3개, 선수 연령 미달로 1개, 총 4개의 올림픽 메달을 박탈당했다.

메달이름종목세부 종목날짜
동메달중국팀체조여자 단체 종합2000년 9월 19일
금메달천시에샤역도여자 48kg2008년 8월 9일
금메달류춘홍역도여자 69kg2008년 8월 13일
금메달차오 레이역도여자 75kg2008년 8월 15일


참조

[1] 웹사이트 23rd Olympic Games: Los Angeles 1984 http://en.olympic.cn[...] 2017-11-17
[2] 뉴스 Chinese get preparations training for Rio Games http://en.omriyadat.[...] 2016-07-31
[3] 웹사이트 10th–15th Olympic Games: 1936–1952 http://en.olympic.cn[...] 2016-02-20
[4] 웹사이트 SF&OC History http://www.hkolympic[...] 2009-10-02
[5] 문서 China took part in the Opening Ceremony, but its four athletes (all tennis players) withdrew from competition.
[6] 서적 Les Jeux de la VIIIe Olympiade Paris 1924 – Rapport Officiel http://www.la84found[...] Librairie de France 2012-10-16
[7] 간행물 China and Olympism http://www.la84found[...] International Olympic Committee 1983-08
[8] 뉴스 Chen Chengda, China's almost Olympian https://www.reuters.[...] Reuters 2008-08-07
[9] 뉴스 1952: Zatopek wins gold at Helsinki http://news.bbc.co.u[...] BBC News 1952-07-20
[10] 웹사이트 "Li Ning, \"Prince of Gymnasts\" and businessman" https://www.reuters.[...] Reuters 2008-08-08
[11] 뉴스 Zheng Qinwen rewards raucous Chinese support to grab gold in tense tennis final https://www.theguard[...] 2024-08-03
[12] 웹사이트 Paris 2024 Swimming: All Results, As Pan Zhanle Sets World Record to Win Gold Medal in Men's 100m Freestyle https://olympics.com[...] 2024-07-31
[13] 웹사이트 Paris 2024 Swimming: All Results, As People's Republic of China Wins Gold in 4x100m Medley Relay https://olympics.com[...] 2024-08-04
[14] 웹사이트 Great Haul of China: Cao Yuan wins Olympic gold to give his nation an unprecedented diving sweep https://apnews.com/a[...] 2024-08-10
[15] 웹사이트 Table tennis player Ma Long makes history for China at Paris Games with his sixth Olympic gold medal https://apnews.com/a[...] 2024-08-09
[16] 웹사이트 Chinese speed skater Ye carries Winter Olympics flame in Canada – People's Daily Online http://english.peopl[...] English.people.com.cn 2014-02-24
[17] 뉴스 China will send 416 athletes to Rio de Janeiro next month http://en.omriyadat.[...] 2016-07-19
[18] 웹사이트 China among nine countries banned from weightlifting for a year https://www.scmp.com[...] 2017-10-01
[19] 웹사이트 Systematic doping of Chinese athletes in Olympic Games revealed by former doctor {{!}} DW {{!}} October 21, 2017 https://www.dw.com/e[...] 2017-10-21
[20] 웹사이트 Wada is accused of sitting on mass China doping claims for five years http://www.theguardi[...] 2017-10-23
[21] 웹사이트 China to make doping a criminal offence and warns athletes who test positive could be sent to prison https://www.insideth[...] 2018-12-29
[22] 뉴스 WADA to investigate claims of systematic doping in China https://www.reuters.[...] 2017-10-24
[23] 잡지 Former doctor reveals more than 10,000 Chinese athletes were doping https://www.si.com/o[...]
[24] 웹사이트 China among nine countries banned from weightlifting for a year https://www.scmp.com[...] 2017-10-01
[25] 웹사이트 Countries With The Most Stripped Olympic Medals https://www.worldatl[...] 2021-06-16
[26] 뉴스 China 'pained' by loss of medal http://news.bbc.co.u[...] 2010-04-29
[27] 웹사이트 Olympic Main Site https://www.hkolympi[...] 2021-08-19
[28] 문서 独立国の国内オリンピック委員会だけが加盟できるようになった。
[29] 웹사이트 1996 Olympic Charter https://stillmed.oly[...] 1996-10-01
[30] 웹사이트 Team People's Republic of China - Profile {{!}} Tokyo 2020 Olympics https://olympics.com[...] 2021-08-11
[31] 문서 중국은 개막식에는 참가했으나, 4명의 선수(모두 테니스 선수)는 경기에는 불참했다.
[32] 서적 Les Jeux de la VIIIe Olympiade Paris 1924 – Rapport Officiel http://www.la84found[...] Librairie de France 2012-10-16
[33] 문서 중국이 계속 통치한 진먼현과 마쭈 열도를 제외한 대만은 1945년 일본에 승리 후 중국이 되찾았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