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판진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판진시는 중화인민공화국 랴오닝성 서부에 위치한 지급시이다. 솽타이쯔허강이 도시를 통과하고, 랴오허강이 잉커우시와의 경계를 이룬다. 주요 산업은 정유업, 관광업, 벼농사이며, 랴오허 유전을 기반으로 석유 생산 및 정제업이 발달했다. 뚜렷한 사계절의 습윤 대륙성 기후를 보이며, 3개의 시할구와 1개의 현으로 구성되어 있다. 솽타이허커우 국가 자연 보호구는 다양한 조류의 서식지이며, 홍해탄과 갈대 해변 등의 관광 자원이 있다. 다롄 이공대학교 판진 캠퍼스 등 교육 시설도 갖추고 있으며, 일본의 도나미시와 자매 결연을 맺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랴오닝성의 지급시 - 다롄시
    다롄시는 랴오닝성 남단의 주요 항구 도시이자 경제 특구로서, 러시아와 일본 점령기를 거쳐 중국에 반환되었고, 개혁 개방 이후 경제 발전과 함께 환경 및 사회 문제에 직면하며, 다양한 산업과 무역, 관광 자원을 바탕으로 중국 동북부의 주요 도시로 성장하였다.
  • 랴오닝성의 지급시 - 랴오양시
    랴오양시는 랴오닝성에 위치한 지급시로, 요하와 태자하가 흐르는 선양 인근에 있으며, 고구려 요동성, 요, 금나라의 부도, 후금 초기 수도였고 러일 전쟁의 주요 전장이었으며, 현재는 중국 인민해방군 제39기계화집단군 사령부가 위치한 군사적 요충지이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 - 창춘시
    창춘시는 중화인민공화국 지린성의 성도로, 부여의 수도였고 만주국의 수도 신징으로 불렸으며, 현재 자동차, 영화 산업 등의 중심지이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 - 자딩구
    자딩구는 상하이시의 시할구로, 1218년에 처음 설치되었으며, 면적은 약 463.9km²이며, 자동차 산업과 F1 중국 그랑프리가 열리는 곳이다.
판진시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공식 명칭판진시
로마자 표기Pánjǐn
현지어 표기盘锦市
행정 정보
국가중화인민공화국
랴오닝성
행정구역 종류지급시
하위 행정 구역구 및 현
하위 행정 구역 목록솽타이쯔구
싱룽타이구
판산현
다와현
지리 정보
면적3825.2km²
도시 면적545.2km²
메트로 면적3825.2km²
인구 정보
인구 (2020년)1,389,691명
도시 인구1,166,481명
메트로 인구1,389,691명
인구 밀도자동 계산
도시 인구 밀도자동 계산
메트로 인구 밀도자동 계산
경제 정보
GDP (지급시)CN¥ 1257억 위안
US$ 202억 달러
1인당 GDPCN¥ 87,351 위안
US$ 14,025 달러
교통 정보
차량 번호판辽L
기타 정보
시간대중국 표준시
UTC 오프셋+8
우편 번호124000
행정 구역 코드211300
ISO 3166-2CN-LN-13
지역 전화 번호427
웹사이트panjin.gov.cn
이미지
홍해탄
랴오닝성 내 판진시 위치

2. 지리

판진은 랴오닝성 서부와 랴오둥반도 사이의 평원에 위치하며, 랴오허강 하구의 충적평야에 자리 잡고 있다. 시역은 보하이해의 가장 안쪽 만인 랴오둥만과 면해 있다.

솽타이쯔허강은 도시를 관통하여 남쪽의 랴오둥만으로 흘러든다. 이 강은 판진시의 솽타이쯔 구 이름의 유래가 되었으며, 다와 구와 판산 현 사이를 지난다. 현재 솽타이쯔허강은 랴오허강 시스템의 유일한 하류이지만, 역사적으로는 더 작은 서쪽 분류였다. 동쪽으로는 랴오허강이 잉커우와의 경계를 이루고, 더 동쪽에는 1958년까지 랴오허강의 주요 하류였던 다랴오 강이 안산잉커우와의 경계를 형성한다. 판진시는 북쪽과 서쪽으로 진저우시, 동쪽으로 안산과도 접하고 있다.

지리적으로 북위 40°40'~41°27', 동경 121°31'~122°28' 사이에 위치한다. 판진시는 중국 북동부의 주요 원유 생산 중심지 중 하나로, 랴오허 유전이 이곳에 있다.

기후는 몬순의 영향을 받는 습윤 대륙성 기후(쾨펜 Dwa)를 나타낸다. (자세한 기후 정보는 #기후 섹션 참조)

판진시 파노라마 뷰 (2012년 5월)

2. 1. 기후

판진은 몬순의 영향을 받는 습윤 대륙성 기후(쾨펜 Dwa)를 나타낸다. 사계절이 뚜렷하며 연평균 기온은 9.8°C이고, 연간 일조량은 2,700시간 이상이다.[9][10]

아래는 판진시의 상세 기후 데이터이다. (1991년~2020년 평균값)

판진시의 기후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평균/합계
평균 최고 기온 (°C)-3.1°C0.9°C7.4°C15.9°C22.4°C26°C28.4°C28.3°C24.3°C16.6°C6.6°C-0.9°C14.3°C
일평균 기온 (°C)-8.1°C-4.1°C2.5°C10.7°C17.4°C22.1°C25.1°C24.5°C19.4°C11.7°C2.2°C-5.5°C9.8°C
평균 최저 기온 (°C)-12.4°C-8.5°C-1.9°C5.9°C13.1°C18.8°C22.2°C21.2°C15.1°C7.2°C-1.8°C-9.5°C5.8°C
평균 강수량 (mm)4.25.811.630.854.275.5153.6165.853.339.520.56.9621.7
평균 강수일수 (≥ 0.1 mm)2.32.33.65.17.710.39.59.46.15.44.82.669.1
평균 상대 습도 (%)58565556617281807266626165
월평균 일조 시간 (시간)206.8209.0252.1253.6276.4232.7205.5220.1234.1217.8183.5187.22678.8
평균 강설일수 (일)3.02.92.70.8000000.33.03.516.2
출처: 중국기상국[9][10]


3. 역사

이 지역에서는 구석기 시대부터 사람이 살았던 흔적이 발견되었다. 1982년 판산현에서는 신석기 시대 유적이 발견되었는데, 석부(돌도끼)와 홍산 문화의 채색 토기 조각 등이 출토되었다.

전국 시대에 연나라 장수 진개동호고조선을 물리치고 영토를 요동 반도까지 확장하면서, 요하를 경계로 요동군요서군을 설치했다. 이때 판진 지역은 요동군에 속하게 되었다. 진나라와 후한 시대에도 계속해서 요동군에 속했다. 삼국 시대(위나라)와 서진 시대에는 창려군에 속했으며, 남북조 시대에는 영주에 속했다. 이후 고구려가 이 지역으로 진출하여 고구려의 영토가 되었다.

당나라가 고구려를 멸망시킨 후에는 다시 영주에 편입되었으나, 이후 발해가 건국되면서 발해의 영토가 되어 현덕부에 속했다. 요나라 때는 현주가 설치되었고, 금나라 때는 광녕부, 원나라 때는 광녕로에 속했다. 청나라는 해성현을 설치하고 이곳에 관영 방목장을 두었다. 청나라 말기에는 금주부의 일부로 판산청이 설치되었다.

1913년, 판산청은 펑톈성(후의 랴오닝성) 소속의 판산현으로 개편되었다. 만주국 시기인 1934년에는 진저우성(금주성)의 일부가 되었다. 중화인민공화국 성립 후에는 잉커우시의 일부였다가, 1984년 6월 5일 지급시인 '''판진시'''가 신설되어 현재에 이른다.

3. 1. 연표


  • 1966년 1월 27일 - 랴오닝성 판산현이 '''판진 컹취'''로 승격되었다. (1개 구역)[5][6]
  • 1968년 12월 26일 - 선양 군구의 '''타이안현'''을 편입하였다. (1개 구역 1개 현)[5][6]
  • 1969년 1월 1일 - 잉커우시 시시구의 일부를 편입하였다. (1개 구역 1개 현)[5][6]
  • 1970년 1월 16일 - '''솽타이쯔구'''와 '''다와구'''가 발족하였다. (2개 구역 1개 현)[5][6]
  • 1970년 7월 13일 - 판진 컹취가 '''판진 지구'''로 개칭되었다.[5][6]
  • 1975년 11월 9일 - 판진 지구가 잉커우 시와 합병하여 신설된 '''잉커우시'''가 발족함에 따라 판진 지구는 소멸되었다.[5][6]
  • * 타이안현은 '''안산시'''에 편입되었다.[5][6]
  • 1984년 6월 5일 - 잉커우시 판산현이 지급시인 '''판진시'''로 승격되었다. '''싱룽타이구''', '''판산구''', '''교외구'''를 설치하였다. (3구 1현)[5][6]
  • * 잉커우시 '''다와현'''을 편입하였다.[5][6]
  • 1985년 8월 12일 - 다와현의 일부가 싱룽타이구에 편입되었다. (3구 1현)[5][6]
  • 1986년 11월 5일 (2구 2현)[5][6]
  • * 교외구가 현으로 바뀌어 '''판산현'''이 되었다.[5][6]
  • * 판산구가 '''솽타이쯔구'''로 개칭되었다.[5][6]
  • 1988년 6월 17일 - 판산현의 일부가 싱룽타이구에 편입되었다. (2구 2현)[5][6]
  • 2016년 3월 20일 - 다와현이 구로 바뀌어 '''다와구'''가 되었다. (3구 1현)[5][6]
  • 2017년 7월 24일 - 싱룽타이구의 일부가 다와구에 편입되었다. (3구 1현)[5][6]

4. 행정 구역

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은 1984년 6월 5일 판진시를 현재의 행정 구역을 갖춘 지급시로 승인하였다. 판진시는 3개의 시할구와 1개의 을 관할한다.


  • '''시할구'''
  • * 싱룽타이구 (兴隆台区|싱룽타이 취zho)
  • * 솽타이쯔구 (双台子区|솽타이쯔 취zho)
  • * 다와구 (大洼区|다와 취zho)
  • '''현'''
  • * 판산현 (盘山县|판산 셴zho)

4. 1. 시할구



판진시는 다음 3개의 시할구를 관할한다.

#이름중국어한어 병음인구 (2003년 추정)면적 (km²)인구 밀도 (/km²)
1싱룽타이구兴隆台区zhoXīnglóngtái Qū|싱룽타이 취zho380,000194km21,959
2솽타이쯔구双台子区zhoShuāngtáizi Qū|솽타이쯔 취zho190,00062km23,065
3다와구大洼区zhoDàwā Qū|다와 취zho390,0001683km2232


4. 2. 현

판산현 (盘山县|판산셴중국어)

이름중국어한어 병음인구 (2003년 추정)면적 (km2)인구 밀도 (/km2)
판산현盘山县중국어Pánshān Xiàn290,0002145km2135


5. 인구

2003년 말 기준 총 인구는 1,243,905명이었다. 이 중 도시 인구는 566,046명으로 전체 인구의 45%에 해당하며, 주로 솽타이쯔 구와 싱룽타이 구에 거주한다. 2003년 인구 증가율은 3.81%, 자연 증가율은 2.9%를 기록했다.

2007년 기준으로는 총 128만 명이 거주하며, 이 중 약 60만 명이 시구에 거주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5. 1. 민족 구성

6. 경제

판진시의 주요 산업은 정유업, 관광, 그리고 벼농사이다. 이 도시는 중국 북동부의 주요 원유 생산 중심지로, 한때 다칭 유전, 성리 유전과 함께 중국 3대 유전으로 꼽혔던 랴오허 유전이 위치해 있다. 랴오허 유전을 기반으로 석유 생산 및 석유 정제업이 발달하였다.

이 외에도 농업과 어업이 주요 산업이다. 특히 판진 쌀은 중국 내에서 품질이 좋기로 유명하다.

7. 관광

주요 관광 명소는 다음과 같다.


  • 솽타이허커우 국가 자연 보호구: 321종의 동물이 서식하는 습지이다. 이곳은 두루미, 검은머리갈매기와 같은 멸종 위기 조류의 중요한 번식지 중 하나이다. 이동 중에 이곳을 거쳐 가는 철새는 172종, 수백만 마리에 달하며, 이 중에는 두루미, 검은머리두루미, 황새, 흑두루미, 흰이마기러기, 고니, 붉은배새매 등 20종 이상의 멸종 위기 종이 포함된다. 이러한 이유로 판진은 "두루미의 고향"이라고 불린다.
  • 갈대 해변: 보하이해의 황금 해변이라고도 불린다. 조개 무덤이 함께 언급되기도 한다.

갈대 해변

  • 홍해탄 (판진): 갯벌에 자라는 해홍나물 군락이 붉은 경관을 이루는 것으로 유명하다.

홍해탄 (판진)

  • 후빈 공원: 판산에 위치하며, 랴오허 비(碑)가 특징이다. 이 석비에는 역사적 인물과 현대 예술가들의 중국 서예 비문이 새겨져 있다.
  • 홍해탄 풍경구[7]

8. 교육


  • '''고등 교육'''
  • * 다롄 이공대학교 판진 캠퍼스
  • * 랴오허 석유 직업 기술 학원
  • * 판진 직업 기술 학원

  • '''중등 교육'''
  • * 판진 시 고등학교

9. 자매 도시

참조

[1] 웹사이트 China: Liáoníng (Prefectures, Cities, Districts and Counties) - Population Statistics, Charts and Map https://www.citypopu[...]
[2] 서적 《辽宁统计年鉴-2016》 http://www.ln.stats.[...] 中国统计出版社 2016-10-01
[3] 웹사이트 中国气象数据网 – WeatherBk Data http://data.cma.cn/d[...] Chin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3-10-05
[4] 웹사이트 中国气象数据网 https://experience.a[...] Chin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3-10-05
[5] 웹사이트 县级以上行政区划变更情况 http://xzqh.mca.gov.[...] 中華人民共和国民政部
[6] 웹사이트 辽宁省 - 区划地名网 https://www.xzqh.org[...]
[7] 웹사이트 遼河デルタ http://www.rmhb.com.[...]
[8] 문서 盤錦市
[9] 웹인용 中国气象数据网 – WeatherBk Data http://data.cma.cn/d[...] 중국기상국 2023-10-05
[10] 웹인용 中国气象数据网 https://experience.a[...] 중국기상국 2023-10-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