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순 경구개 접근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양순 경구개 접근음은 혀의 몸통을 경구개 쪽으로 올리고 입술을 둥글게 하여 조음하는 유성 접근음이다. 이 소리는 국제 음성 기호(IPA)로 ⟨ɥ⟩로 표기되며, 표준 중국어, 한국어 경기 방언, 프랑스어 등 여러 언어에서 나타난다. 예를 들어, 표준 중국어의 'yu', 프랑스어의 'u'에서 이 소리가 나며, 한국어의 '쉬엄쉬엄'에서 'ㅟ'의 'ㅜ' 소리에 해당한다.
양순 경구개 접근음은 조음 위치상 양순음과 경구개음의 특징을 동시에 가지는 접근음이다.[2] 소리를 낼 때는 혀의 몸통 부분을 경구개 쪽으로 올리는 동시에 입술을 가까이 접근시킨다. 이 소리는 성대의 진동을 동반하는 유성음이며, 공기가 입으로만 나가는 구강음이다. 또한 공기가 혀의 중앙으로 흘러나가는 중설음이고, 폐에서 나오는 공기를 이용하는 폐장기류 기구를 통해 조음된다.
(내용 없음)
2. 특징
2. 1. 조음 방법
이 소리는 조음 위치상 양순음과 경구개음의 이중 조음을 가지는 접근음이다. 조음 시 혀의 몸통 부분을 경구개 쪽으로 들어 올리는 동시에 입술을 가까이 접근시킨다.[2]
구체적인 조음 방법은 다음과 같다.3. 언어별 사용
3. 1. 한국어
한국어의 경기 방언에서는 첫소리가 'ㅇ'으로 시작하는 'ㅟ'의 'ㅜ' 부분에서 이 소리가 난다.
3. 2. 중국어
표준 중국어에서는 병음 표기상 'yu', 'ü' 및 'j', 'q', 'x' 뒤에 오는 'u'가 모음 'e'나 'an' 앞에 올 때 이 소리가 난다. 상하이 방언에서는 둥근 모음 앞에서 /j/의 변이음으로 나타난다.
3. 3. 프랑스어
프랑스어에서는 모음 앞에 오는 'u' 철자에서 양순 경구개 접근음 [ɥ] 소리가 난다(예외와 묵음은 제외). 예를 들어, huit|위트fra ([ɥit], '8')나 nuire|뉘르fra ([nɥiʁ], '해를 끼치다')와 같은 단어에서 나타난다. 벨기에 프랑스어에서는 이 소리가 /w/ 또는 /y/와 합쳐지는 경향이 있다. 더 자세한 내용은 프랑스어 음운론을 참고할 수 있다.3. 4. 기타 언어
양순 경구개 접근음은 압축을 수반한다고 여겨지며, 이러한 구분을 다루는 설명이 드물기 때문에, 아래 표의 몇몇 예시는 실제로 돌출을 가질 수 있다.언어 | 단어 | IPA | 의미 | 비고 | |
---|---|---|---|---|---|
아브하스어 | ауаҩы | [awaˈɥə] | '인간' | 아브하스어 음운론 참조 | |
브르타뉴어 | 과네데그 방언 | ouilhad | [ɥiːʎɐt] | '탈선' | 전설 모음 앞의 /w/의 실현. |
중국어 | 관화 | 月 / yuè | [ɥe̹˥˩] | '달' | 관화 음운론 참조 |
상하이 방언 | 浴 / yoq | [ɥo̽ʔ˥] | '목욕' | 둥근 모음 앞의 /j/의 변이음. | |
영어 | 베이 아일랜드 영어 | will | [ɥɪl] | '의지' | /i/ 또는 /ɪ/ 앞에서만 나타나는 /w/ 또는 /v/의 변이음. 베이 아일랜드 영어#음운론 참조. |
프랑스어 | nuire | [nɥiʁ] | '해를 끼치다' | 벨기에 프랑스어에서 /w/ 또는 /y/와 병합된다. 프랑스어 음운론 참조 | |
이아이어 | vëk | [ɥæk] | '넷' | 무성음 /ɥ̊/와 대조된다. | |
캄어 | 감레 캄 방언 | व़े | [ɥe] | '남편' | |
한국어 | 경기 방언 | 쉬엄쉬엄 / swieomswieom | [ɕɥiʌmɕɥiʌm] | '천천히 해' | /i/ 앞에서만 나타난다. 한국어 음운론 참조 |
쿠르드어 | düa | [dʉːɥɑː] | '뒤' | 쿠르드어 음운론 참조 | |
노르웨이어 | 동부 도시 노르웨이어 | dualisme | [dʉ̞ɥ̈ɑˈlɪ̟smə] | '이원론' | 후구개; 압축된 폐쇄 모음 /ʉ, ʉː/ 뒤에 전설 모음 앞에서 나타난다. w̟ 또는 간단히 w로 표기될 수 있다. 노르웨이어 음운론 참조 |
시피보어 | /i, ĩ/ 앞의 /w/의 변이음. 약간의 순화만 있다. | ||||
오크어 | nuèch | [ˈnɥɛtʃ] | '밤' | 오크어 음운론 참조 | |
스웨덴어 | 중앙 표준 | ful | [fʉ̟ɥl] | '추한' | /ʉː/의 일반적인 이중 모음 실현의 비음절 요소 ([ʉ̟ɥ]); 마찰음이 될 수 있다. 중앙 표준 방언에서는 구개음, 다른 방언에서는 후구개음이다. 스웨덴어 음운론 참조 |
상 소르브어 | wěm | [ɥɪm] | '나는 안다' | w의 부드러운 대응어. | |
수미어 | 하부 | [dʑɥɛ˩˥] | '송곳니' | (치경-)구개 초기 자음에 의해 선행되거나 전설 모음 /i, e, ɛ/ 중 하나(상부 수미어에서는 /ĩ/도)에 의해 후행될 때의 /w/의 변이음. | |
상부 | [dɥe˩˥] | '묻다' |
언어 | 단어 | IPA | 의미 | 비고 | |
---|---|---|---|---|---|
노르웨이어 | 동부 도시 노르웨이어 | cyanid | [sʏ̫ɥ̫ɑˈniːd] | '시안화물' | 튀어나온 폐쇄 모음 /ʏ, yː/ 뒤의 모음 앞에서 나타난다. 노르웨이어 음운론 참조 |
스페인어 | ayuda | [äˈʝ̞ʷuð̞ä] | '도움' | 접근 자음; 둥근 모음 앞과 사이에 있는 /ɟ͡ʝ/의 약화된 이음. 강조된 발음에서는 마찰음 [ʝʷ]이 될 수 있다. 스페인어 음운론 참조 |
4. 변이음
'''압축 경구개 접근음'''은 일반적으로 국제 음성 기호 (IPA)에서 ɥ로 표기하며, 이 문서에서도 이 관례를 따른다. IPA에는 압축을 위한 전용 기호가 없다. 그러나 입술의 압축은 β̞ 문자를 사용하여 j͡β̞ (동시 [j]와 입술 압축) 또는 jᵝ (입술 압축으로 수정된 [j])로 표시할 수 있다. 입술을 벌리는 기호 ͍ 는 또한 임시 기호로 입술화된 접근음 문자 ɥ͍와 함께 사용될 수 있지만, 기술적으로 '벌림'은 원순성이 없는 것을 의미한다.
'''압축 후경구개 접근음'''[2]은 단순히 ɥ̈ (중설화된 [ɥ])로 표기할 수 있으며, 이 문서에서도 이 관례를 따른다. 다른 가능한 표기에는 j̈ᵝ (입술 압축으로 수정된 중설화된 [j])와 ɥ͍̈ (입술 벌림 기호가 있는 중설화된 [ɥ])가 있다.
IPA에는 돌출 및 압축된 원순성을 구별하는 발음 구별 기호가 없으므로, 입술화에 대한 이전 발음 구별 기호 ̫ 가 여기서는 '''돌출된 경구개 접근음'''에 대한 ''임시'' 기호로 사용된다. 또 다른 가능한 표기는 ɥʷ 또는 jʷ (내부 입술화를 통해 수정된 경구개 접근음)이다.
음향적으로 이 소리는 더 전형적인 압축된 경구개 접근음 [ɥ]과 비입술화된 경구개 접근음 j "사이"에 있다.
참조
[1]
서적
Mangold
[2]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