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프랑스어 음운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랑스어 음운론은 프랑스어의 소리 체계를 연구하는 분야이다. 프랑스어는 자음, 모음, 강세, 억양, 연음, 단어 축약 등 다양한 음운 현상을 보인다. 자음은 조음 위치와 방법에 따라 분류되며, 모음은 구두 모음과 비모음으로 나뉜다. 프랑스어의 강세는 단어의 마지막 음절에 오며, 강조 강세는 특정 단어를 강조하기 위해 사용된다. 억양은 문장의 의미를 전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유지, 종결, 예/아니오, 정보 질문 억양 패턴이 존재한다. 이외에도 프랑스어는 슈와, 모음 길이, 무성음화, 단어 축약, 반모음과 이중모음 등 다양한 음운 현상을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언어별 음운론 - 마케도니아어 음운론
    마케도니아어 음운론은 마케도니아어의 발음 체계를 연구하는 학문으로, 5개의 모음과 다양한 자음 음소를 가지며 단어 강세는 주로 끝에서 세 번째 음절에 위치하지만 예외도 존재하고, 모음 길이는 음소로 구별되지는 않는다.
  • 언어별 음운론 - 아일랜드어 음운론
    아일랜드어 음운론은 아일랜드어의 발음 체계를 연구하는 학문으로, 자음과 모음 체계, 넓고 좁은 자음 구별, 자음군 배열 방식 등을 연구하며, 다른 켈트어족 언어와 유사성을 보인다.
  • 프랑스어 - 고대 프랑스어
    고대 프랑스어는 서로마 제국 통속 라틴어에서 파생되어 갈리아어와 프랑크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8세기부터 12세기까지 사용되다가 중세 프랑스어로 발전했다.
  • 프랑스어 - 프랑코포니 경기 대회
    프랑코포니 경기 대회는 프랑코포니 기구 회원국들이 참여하는 격년 다국적 스포츠 및 문화 행사로, 다양한 종목을 통해 프랑스어 사용권 국가들의 교류를 증진하며 2027년에는 아르메니아에서 개최될 예정이다.
프랑스어 음운론
개요
언어프랑스어
하위 분야음성학, 음운론
관련 항목프랑스어 정서법, 프랑스어 문법
음소 목록
자음p, b, t, d, k, ɡ, f, v, s, z, ʃ, ʒ, m, n, ɲ, ʁ, l, w, j, ɥ
모음i, e, ɛ, a, ɑ, ɔ, o, u, y, ə, œ, ø, ɛ̃, ɑ̃, ɔ̃, œ̃
주요 음운 현상
연음Obligatoire, Interdit, Facultative
모음 충돌 회피Élision
그 외
특징구개수음 r

2. 자음

프랑스어의 자음 체계는 다양한 소리들로 구성되어 있다. 이 자음들은 공기의 흐름을 막거나 좁혀서 만들어지며, 소리를 내는 방식(조음 방법)과 소리가 만들어지는 입안의 위치(조음 위치)에 따라 분류된다. 주요 자음 종류로는 입술이나 혀로 공기의 흐름을 완전히 막았다가 터뜨리는 파열음(예: /p/, /b/, /t/, /d/, /k/, /ɡ/), 공기가 좁은 통로를 지나면서 마찰을 일으키는 마찰음(예: /f/, /v/, /s/, /z/, /ʃ/, /ʒ/, /ʁ/), 코를 통해 공기를 내보내는 비음(예: /m/, /n/, /ɲ/), 그리고 모음과 비슷하게 공기의 흐름을 크게 방해하지 않는 접근음(예: /l/, /j/, /ɥ/, /w/) 등이 있다.

프랑스어 자음은 조음 위치에 따라 입술소리(양순음, 순치음), 치음/치경음, 후치경음/경구개음, 연구개음, 구개수음 등으로 나뉜다. 각 자음 음소의 구체적인 특징과 발음 방식, 그리고 주변 소리에 따른 음성적 변화, 장자음 현상, 단어 연결 시 나타나는 연음 현상 등은 이어지는 하위 섹션에서 더 자세히 다룬다.

2. 1. 자음 음소

치경음경구개음/
후치경음연구개음/
구개수음비음mnɲ(ŋ)파열음무성p (t)k유성b (d)ɡ마찰음무성f (s)ʃ유성v (z)ʒʁ접근음평음lj순음화ɥw




자음 음성학적 특징:

예시 단어[20]
음소예시어의rowspan=15|음소예시어의
/m/[mjɛl]miel/n/[nu]nous우리
/ɲ/[aɲo]agneau/ŋ/[paʁkiŋ]parking주차장
/p/[po]peau피부/b/[bo]beau아름다운
/t/[tu]tout모든 것/d/[du]doux부드러운
/k/[kø]queue꼬리/ɡ/[ɡɛ̃]gain획득
/f/[fu]fou미친/v/[vu]vous당신
/s/[su]sous~의 아래/z/[zɛ̃]zain단색의
/ʃ/[ʃu]chou양배추/ʒ/[ʒu]joue
/l/[lu]loup늑대/ʁ/[ʁu]roue바퀴



프랑스어 철자에는 이중 자음 글자가 나타나지만, 실제 발음에서 쌍자음은 비교적 드물다. 예를 들어, 동사 'courir'(달리다)와 'mourir'(죽다)의 미래형과 조건형에서는 [ʁʁ] 발음이 나타나기도 한다 ('il mourrait' [il.muʁ.ʁɛ] '그는 죽을 것이다' vs 'il mourait' [il.mu.ʁɛ] '그는 죽어가고 있었다'). 접두사 'in-' 등이 'n', 'm', 'l', 'r'로 시작하는 어근과 결합할 때 [nn], [mm], [ll], [ʁʁ] 등으로 발음되기도 한다 ('inné' [i(n).ne] '선천적인').[3] 그러나 유음 및 비음 외 자음의 쌍자음은 과장되거나 학문적인 발음으로 여겨지는 경우가 많다.[3] 단어 내부의 슈와 삭제('là-dedans' [lad.dɑ̃] '안에')나 강조 발음(''''for'''midable' [fːɔʁ.mi.dabl] '엄청난') 시에도 쌍자음이 나타날 수 있다. 라틴어에 존재했던 장자음은 프랑스어에서는 사라졌지만, 철자상으로는 동일 자음 문자의 연속으로 흔적을 남기고 있다. 예를 들어 모음 사이의 'ss'는 모음 사이의 's'에 대응하는 무성음 /s/를 표시한다 ('poisson' [pwasɔ̃] '생선' vs 'poison' [pwazɔ̃] '독').

또한, 프랑스어에는 다음 단어가 모음으로 시작할 때만 발음되는 "잠재적" 종성 자음이 있는 단어가 많다. 이를 연음(liaison)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deux' /dø/ ('둘')는 단독으로 쓰이거나 자음 앞에 올 때는 [dø]로 발음되지만('deux jours' [dø.ʒuʁ] '이틀'), 모음 앞에서는 /z/ 소리가 추가되어 'deux ans' [dø.zɑ̃] ('두 살')으로 발음된다. 목적격 대명사 'l'' ('그를/그녀를/그것을')의 생략된 형태가 다른 'l' 다음에 나타날 때 오해를 피하기 위해 쌍자음 [ll]로 실현되기도 한다 ('Il l'a mangé' [il.lamɑ̃.ʒe] '그는 그것을 먹었다' vs 'Il a mangé' [il.amɑ̃.ʒe] '그는 먹었다'). 이러한 맥락에서 쌍자음은 필수적이다.

2. 2. 음성 변이

프랑스어 자음은 주변 소리 환경에 따라 다양한 음성 변이를 보인다.

2. 3. 장자음

프랑스어 단어 철자에는 이중 자음이 나타나지만, 실제 발음에서 장자음이 나타나는 경우는 비교적 드물다.[21] 몇 가지 예외적인 경우가 있다.

[ʁʁ] 발음은 동사 courirfra(달리다)와 mourirfra(죽다)의 미래형과 조건법에서 나타난다. 예를 들어, 조건법의 il mourraitfra [ilmuʁʁɛ](그는 죽을 것이다)는 반과거의 il mouraitfra [ilmuʁɛ](그는 죽어가고 있었다)와 발음상 구별된다. 반면, 철자상 을 가지는 다른 동사들의 미래형과 조건법에서는 단순히 [ʁ]로 발음된다. 예: il pourrafra(그는 할 수 있을 것이다), il verrafra(그는 볼 것이다).

접두사 ''in-''이 ''n''으로 시작하는 어근과 결합할 때, 형성된 단어는 때때로 장자음 [nn]으로 발음될 수 있다. 이는 ''im-'', ''il-'', ''ir-'' 등의 접두사가 각각 ''m'', ''l'', ''r''로 시작하는 어근과 결합할 때도 마찬가지이다.

syllabefra(음절), grammairefra(문법), illusionfra(환상)과 같은 단어에서도 임의적인 장자음화가 관찰된다. 이러한 발음은 많은 경우 철자 발음의 영향에 의한 것이며, 화자에 따라 다르고 다양한 문체적 효과를 낳는다.[22] 유음비음 /m n l ʁ/ 외의 자음에서 장자음화가 나타나는 것은 "대개 젠체하거나 박식한 척하는 것으로 여겨진다".[23] 문체적인 발음의 예로는 additionfra [addisjɔ̃](추가)과 intelligencefra [ɛ̃tɛlliʒɑ̃s](지성) 등이 있다.

이중 'm'과 'n'을 장자음으로 발음하는 것은 랑그도크 지역의 특징이며, 다른 남부 프랑스 억양과는 대조를 이룬다.

철자상의 이중 자음과 관계없이 장자음화가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24] 단어 내 슈와(모호 모음)가 탈락하면서 동일한 자음이 연속되는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 예를 들어, là-dedansfra [laddɑ̃](그 안에), l'honnêtetéfra [lɔnɛtte](정직) 등에서는 반드시 장자음으로 발음해야 한다. 또한, 목적어 대명사의 축약형 ''l'''는 모음 뒤에서 (비표준적인 구어체에서) 임의로 장자음 [ll]로 발음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강세가 놓여 강조되는 단어에서는 첫 음절 첫 자음이 장자음화되는 경우가 있다.

2. 4. 연음 (Liaison)

연음의 일종으로, 단어 끝 자음이 뒤따르는 단어가 모음으로 시작할 때 발음되는 현상이다. 프랑스어의 많은 단어는 특정 통사적 문맥에서 다음 단어가 모음으로 시작하는 경우에만 발음되는 "잠재적"인 어말 자음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deux''("2") /døz/라는 단어는 단독으로 사용될 때는 어말 자음 /-z/가 탈락하여 [dø]로 발음된다. ''deux jours''("2일간")처럼 뒤따르는 단어가 자음으로 시작하는 경우에도 어말 자음 /-z/가 탈락하여 /døz#ʒuʁ/ → [dø.ʒuːʁ]가 된다. 반면에 ''deux ans''("2년간")의 경우에는 뒤따르는 단어가 모음으로 시작하기 때문에 ''deux''의 어말 자음 /-z/가 탈락하지 않고 발음되어 /døz#ɑ̃/ → [dø.zɑ̃]가 된다.

3. 모음

표준 프랑스어는 일반적으로 최대 13개의 구강 모음과 최대 4개의 비모음을 가진다. 모음 체계는 혀의 위치(전설, 중설, 후설), 혀의 높이(고, 중고, 중저, 저), 입술 모양(원순, 비원순)에 따라 분류된다.

주요 특징 및 변이 사항은 다음과 같다:

3. 1. 모음 음소

표준 프랑스어는 최대 13개의 구강 모음과 최대 4개의 비모음으로 대조를 이룬다. /ə/는 음운론적으로 구별되지만, 음성적 특성은 /ø/ 또는 /œ/와 일치하는 경향이 있어 반드시 특징적인 소리는 아니다.

아래 표는 주로 현대 파리 프랑스어의 모음을 나열하며, 다른 방언에만 있는 모음이나 일부 방언에서 구별되는 장모음 등은 괄호 안에 표시한다.

{| style="vertical-align: top;"

|

구강 모음
 전설 모음중설 모음후설 모음
평순원순
고모음/i//y//u/
중고모음/e//ø//ə//o/
중저모음/ɛ/ (/ɛː/)/œ//ɔ/
저모음/a/(/ɑ/)



| valign="top" |

비모음
rowspan="2" |전설 모음후설 모음
평순원순
중저모음/ɛ̃/(/œ̃/)/ɔ̃/
저모음/ɑ̃/



|}

일부 방언은 /ɛ/와 구별되는 긴 /ɛː/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전설 저모음 /a/와 후설 저모음 /ɑ/ 사이의 구별이 존재하지만, 파리 프랑스어에서는 이 구별이 사라지고 하나의 열린 모음 /a/가 중설 /ä/로 실현되는 경향이 있다. 이 구분은 퀘벡 프랑스어와 같은 많은 방언에서 여전히 명확하게 유지된다.[8] /a/와 /ɑ/의 대립은 단어 마지막 강세 음절에서 가장 자주 보존된다.



특정 환경에서는 한 모음이 다른 모음보다 선호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ɑ/는 /ʁw/ 뒤와 /z/ 앞에서 선호된다. (예: ''trois'' [tʁwɑ] '셋', ''gaz'' [ɡɑz] '가스') 모음의 길이 차이가 음질의 차이를 강화하기도 하지만, 정확한 분포는 화자에 따라 다르다.[9] 후설 모음 /ɑ/는 강세 없는 음절에서는 드물지만, ''château'' [ʃɑ.to] ('성'), ''passé'' [pɑ.se] ('과거') 등 일부 단어에서 나타난다. 단어 마지막 음절에서조차, 해당 단어가 더 큰 음운론적 맥락 내에서 강세를 잃으면 /ɑ/가 [a]가 될 수 있다.

비모음 /œ̃/와 /ɛ̃/의 구별은 주로 입술의 원순성 여부로 이루어지지만, 많은 화자, 특히 파리와 같은 프랑스 북부 지역(벨기에 제외)의 화자들은 /œ̃/을 /ɛ̃/으로 합병하여 발음한다.

일부 유럽 방언에서는 비모음이 연쇄적으로 이동하는 경향이 관찰된다. /ɛ̃/는 더 개방되어 /ɑ̃/의 영역으로 이동하고(/æ̃/로 실현되기도 함), /ɑ̃/는 상승하고 원순화되어 /ɔ̃/처럼 되며(/ɒ̃/로 실현되기도 함), /ɔ̃/는 더 상승하여 /õ/ 또는 /ũ/로 이동한다. 파리에서의 전형적인 비모음 실현은 /ɛ̃/ → [æ̃], /ɑ̃/ → [ɑ̃], /ɔ̃/ → [õ̞]로 보고되기도 한다. 반면 퀘벡 프랑스어에서는 /ɔ̃/ → [õ], /ɛ̃/ → [ẽ], /ɑ̃/ → [ã]로 이동하는 다른 양상을 보인다.[11] 프로방스옥시타니 지역에서는 비모음이 파열 자음 앞에서 비음화되지 않은 구강 모음으로 실현되기도 한다 (예: ''quarante'' /kaʁɑ̃t/ → [kaˈʁantə]).

예시 단어
모음예시
IPA철자
구강 모음
/i//si/si'만약'
/e//fe/fée'요정'
/ɛ//fɛ/fait'한다'
/ɛː//fɛːt/fête'파티'
/y//sy/su'알려진'
/ø//sø/ceux'그들'
/œ//sœʁ/sœur'자매'
/ə//sə/ce이것/'그것'
/u//su/sous'아래'
/o//so/sot'멍청한'
/ɔ//sɔʁ/sort'운명'
/a//sa/sa그의/'그녀의'
/ɑ//pɑt/pâte'반죽'
비모음
/ɑ̃//sɑ̃/sans'없이'
/ɔ̃//sɔ̃/son'그의'
/ɛ̃/[4]/bʁɛ̃/brin'가닥'
/œ̃//bʁœ̃/brun'갈색'
† 모든 방언에서 구별되지 않음.


3. 2. 음성 변이

일부 방언에서는 /ɛ/와 구별되는 긴 /ɛː/를 사용하며, 전설 모음 /a/와 후설 모음 /ɑ/를 구별한다. 하지만 파리 프랑스어에서는 /ɛ/만 사용하고, 하나의 개모음 /a/는 중설음 [ä]로 발음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일부 방언에는 원순 비모음 /œ̃/이 있지만, 파리에서는 이 소리가 /ɛ̃/과 합쳐졌다.

프랑스 본토에서는 슈와 /ə/가 음운론적으로 구별되지만, 실제 발음은 중고모음인 /ø/나 중저모음인 /œ/와 유사하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자세한 내용은 슈와 섹션 참조).

퀘벡 프랑스어에서는 고모음 /i, y, u/가 음성적으로 짧고 폐쇄 음절에 올 때(즉, /v, z, ʒ, ʁ/ 앞이 아닐 때) 이완된 근고모음 [ɪ, ʏ, ʊ]로 발음되는 이음 현상이 나타난다. 예를 들어, petite프랑스어 [pə.t͡sɪt] ('작은 (여성형)')는 petit프랑스어 [pə.t͡si] ('작은 (남성형)')와 마지막 /t/ 유무뿐 아니라 /i/의 긴장도에서도 차이가 난다. 이 이완 현상은 강세 받는 폐쇄 음절에서 항상 나타나며, 다른 환경에서도 나타날 수 있다.

프랑스 본토 프랑스어에서는 /i, u/가 일관되게 고모음 [i, u]로 발음된다. /y/의 정확한 높이에 대해서는 고모음 [y] 또는 근고모음 [ʏ]로 기술되어 약간의 논란이 있다.

전설 모음 /a/와 후설 모음 /ɑ/ 사이의 음운 대립은 파리 프랑스어에서는 점차 사라지고 있어, 일부 연구자들은 이 둘을 별개의 음소로 보지 않기도 한다.[6][25] 그러나 이 구분은 퀘벡 프랑스어와 같은 많은 방언에서는 여전히 명확하게 유지된다.[8][26] 후설 모음 [ɑ]는 프랑스 북부에서도 단어 마지막 개방 음절에서는 유지되는 경우가 있다.[7] 예를 들어, avocat프랑스어(변호사)는 [avokɑ]로 발음될 수 있다. 하지만 마지막 폐쇄 음절에서는 /ɑ/ 음소가 [aː]로 전설화되면서 길게 발음되는 경향이 있다 (예: pâte프랑스어(파스타) [paːt]).

이 구분은 특히 단어 마지막 강세 음절에서 최소 대립쌍을 통해 잘 나타난다.

특정 환경에서는 한쪽 모음이 선호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ɑ/는 /ʁw/ 뒤(trois프랑스어 [tʁwɑ])나 /z/ 앞(gaz프랑스어 [ɡɑz])에서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27] 음질의 차이는 종종 길이 차이로 강화되기도 한다(단, 어말 폐쇄 음절에서는 대립적이다). 두 모음의 정확한 분포는 화자에 따라 크게 다르다.[9][28]

강세 없는 음절에서는 /ɑ/가 드물지만, château프랑스어 [ʃɑ.to] ('성')나 passé프랑스어 [pɑ.se] ('과거') 같은 단어에서 나타날 수 있다. 강세가 있는 /ɑ/를 포함한 단어에서 파생된 단어에서는 이 모음이 유지되지 않을 수 있다 (예: ''rarissime'' [ʁaʁisim]). 또한, 단어가 더 큰 구문 내에서 강세를 잃으면 /ɑ/가 [a]로 발음될 수 있다.[27]

비모음의 음성적 특징은 구강 모음과 다소 차이가 있다. /ɑ̃/와 /ɔ̃/의 구별은 후자의 추가적인 원순성에 있다는 견해와 혀의 높이 차이에 있다는 견해가 있다. 비모음 /œ̃/과 /ɛ̃/을 모두 발음하는 화자는 주로 입술의 원순성 증가로 둘을 구별하지만, 많은 화자들, 특히 파리를 포함한 프랑스 북부(단, 벨기에 등 더 북쪽 지역 제외)에서는 /ɛ̃/만을 사용하며 /œ̃/은 /ɛ̃/으로 합쳐졌다.[31]

일부 방언, 특히 유럽 지역 방언에서는 비모음의 발음 위치가 연쇄적으로 이동하는 경향(chain shift)이 관찰된다. /ɛ̃/는 더 개방되어 /ɑ̃/의 위치([æ̃]으로 실현되기도 함)로 이동하고, /ɑ̃/는 상승하고 원순화되어 [ɔ̃]([ɒ̃]으로 실현되기도 함)처럼 발음되며, /ɔ̃/는 [õ] 또는 [ũ]로 이동한다. 반대로 /ɔ̃/가 [ɒ̃]처럼 더 개방되는 움직임도 일부 지역에서 나타나는데, 이 경우 표준 프랑스어의 /ɔ̃/와 /ɑ̃/가 합쳐지게 된다.[10] 한 연구에 따르면, 파리에서의 비모음 발음은 /ɛ̃/ → [æ̃], /ɑ̃/ → [ɑ̃], /ɔ̃/ → [õ̞]에 가깝다.

퀘벡 프랑스어에서는 다른 방향으로 이동하는데, /ɔ̃/ → [õ]는 유럽과 비슷하지만, /ɛ̃/ → [ẽ]로, /ɑ̃/ → [ã]로 이동한다.[11]

프로방스옥시타니 지역에서는 비모음이 파열 자음 앞에서 구강 모음 + 비음 자음으로 발음되는 경우가 많아, 다른 방언에서는 사라진 철자상의 'n' 등이 복원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quarante프랑스어 /kaʁɑ̃t/가 [kaˈʁantə]처럼 발음된다.

3. 3. 슈와 (Schwa)

슈와(Schwa, /ə/)는 e caduc|에 카뒤크프랑스어('탈락하는 e') 또는 e muet|에 뮈에프랑스어('묵음 e')라고도 불리며, 음성적으로 발음될 때는 약간의 원순성을 가진 중설 모음 [ə]이다.[29] 많은 연구자들은 이 모음의 음가를 [œ]와 동일하게 간주하며,[32][33] 제프 린지는 [ɵ]를 제시하기도 했다.[12][13]

파걀(Fagyal), 키비(Kibbee), 젠킨스(Jenkins) (2006)는 슈와가 고모음이나 반모음 앞에서는 [ø]와 합쳐지고,

구문 끝의 강세 받는 위치에서도 [ø]가 되며,

그 외의 환경에서는 [œ]와 합쳐진다고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34] 그러나 일부 화자들은 이들을 명확히 구분하며, 슈와는 독자적인 음운론적 특성을 보여 별도의 음소로 간주되기도 한다. 이러한 합병 현상은 주로 프랑스 본토 프랑스어에서 나타나며, 퀘벡 프랑스어에서는 [ø]와 [ə]가 여전히 구별된다.[14]

프랑스어 슈와의 가장 큰 특징은 "불안정성"인데, 특정 조건에서는 소리 내어 발음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프랑스어 시에서는 단어 끝의 슈와는 다른 모음 앞이나 시행 끝에서는 반드시 생략된다. 자음으로 시작하는 단어 앞에서는 발음된다.[36] 예를 들어, 일반 발화에서 une grande femme fut ici프랑스어 [yn ɡʁɑ̃d fam fy.t‿i.si]는 운문에서는 각 단어 끝의 /ə/가 발음되어 [y.nə ɡʁɑ̃.də fa.mə fy.t‿i.si]와 같이 발음된다.

슈와는 일반적으로 폐쇄 음절에서 [œ]로 실현될 수 없다. 이러한 환경에서 굴절이나 파생 과정 중 슈와는 보통 전설 모음 [ɛ]와 교체된다.

세 가지 소리(탈락, [ə] 또는 그 변이음, [ɛ])가 교체되는 경우도 관찰된다.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불안정한 특성을 보이지 않는 철자 'e'는, 변하지 않는 완전 모음 /œ/에 해당한다고 분석하는 것이 더 적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치사 대명사 le프랑스어는 슈와 탈락이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환경에서도 항상 발음되며(예: donnez-le-moi프랑스어 /dɔne lə mwa/ → [dɔ.ne.lœ.mwa] ('그것을 나에게 줘')), 강세 결정에서도 완전한 음절로 취급된다. 단어 내의 안정적인 'e'는 화자에 따라 변동이 있지만, 예를 들어 un rebelle프랑스어 /œ̃ ʁəbɛl/ → [œ̃ ʁœ.bɛl] ('반역자')는 완전한 모음으로 발음되어야 하는 반면, un rebond프랑스어 /œ̃ ʁəbɔ̃/ → [œ̃ ʁə.bɔ̃] 또는 [œ̃ʁ.bɔ̃] ('바운스')는 슈와 탈락이 가능할 수 있다.[39]

3. 4. 모음 길이

일부 화자들은 /ɛ/와 /ɛː/를 구분하지만, 'mettre' [ˈmɛtʁ](「놓다」)와 'maître' [ˈmɛːtʁ](「선생」) 등과 같이 드문 최소 대립쌍에서 /ɛː/와 /ɛ/를 구별하는 예외를 제외하면, 모음 길이의 변이는 완전히 이음적이다. 다음 두 가지 조건에서 강세를 받는 닫힌 음절에서 모음은 길어질 수 있다.

이러한 음절이 강세를 잃으면 모음의 장음화도 일어나지 않는 경우가 많다. 'saute'의 모음 [o]는 구절의 마지막에 위치하여 강세를 받는 'Regarde comme elle saute !'(「그녀의 점프를 봐!」)에서는 길게 발음되지만, 'Qu'est-ce qu'elle saute bien !'(「그녀는 얼마나 멋지게 뛰는가!」)에서는 강세가 없기 때문에 길어지지 않는다[41] . 그러나 /ɛː/가 /ɛ/와 구별되는 억양에서는, 'fête'가 'C'est une fête importante.'에서와 같이 강세를 받지 않는 위치에서도 여전히 긴 모음 /ɛː/로 발음된다[41] .

다음 표는 구문 끝의 (강세가 있는) 위치에 있는 대표적인 단어들의 발음을 보여준다.

음소닫힌 음절의 모음 값열린 음절의 모음 값
비연장 자음 앞연장 자음 앞
/i/habite[a.bit]livre[liːvʁ]habit[a.bi]
/e/été[e.te]
/ɛ/faites[fɛt]faire[fɛːʁ]fait[fɛ]
/ɛː/fête[fɛːt]rêve[ʁɛːv]
/ø/jeûne[ʒøːn]joyeuse[ʒwa.jøːz]joyeux[ʒwa.jø]
/œ/jeune[ʒœn]œuvre[œːvʁ]
/o/saute[soːt]rose[ʁoːz]saut[so]
/ɔ/sotte[sɔt]mort[mɔːʁ]
/ə/le[lə]
/y/débute[de.byt]juge[ʒyːʒ]début[de.by]
/u/bourse[buʁs]bouse[buːz]bout[bu]
/a/rate[ʁat]rage[ʁaːʒ]rat[ʁa]
/ɑ/appâte[a.pɑːt]rase[ʁɑːz]appât[a.pɑ]
/ɑ̃/pende[pɑ̃ːd]genre[ʒɑ̃ːʁ]pends[pɑ̃]
/ɔ̃/réponse[ʁe.pɔ̃ːs]éponge[e.pɔ̃ːʒ]réponds[ʁe.pɔ̃]
/œ̃/emprunte[ɑ̃.pʁœ̃ːt]grunge[ɡʁœ̃ːʒ]emprunt[ɑ̃.pʁœ̃]
/ɛ̃/teinte[tɛ̃ːt]quinze[kɛ̃ːz]teint[tɛ̃]


3. 5. 무성음화 (Devoicing)

파리 프랑스어에서는 어말에서 좁은 모음 /i, y, u/와 중고 모음 /e, ɛ/가 무성음화될 수 있다. 무성음화된 모음 뒤에는 무성 경구개 마찰음 [ç]과 유사한 소리가 따를 수 있다.

: ''고맙습니다.'' /mɛʁsi/ → [mɛʁ.si̥ç]

: ''가자!'' /ale/ → [a.le̥ç]

퀘벡 프랑스어에서는 좁은 모음이 강세를 받지 않고 무성 자음으로 둘러싸인 경우 흔히 무성음화된다.

: ''대학교'' /ynivɛʁsite/ → [y.ni.vɛʁ.si̥.te]

구 내의 무성음화는 퀘벡 프랑스어의 두드러진 특징이지만, 유럽 프랑스어에서도 발견된다.

3. 6. 단어 축약 (Elision)

다수의 단음절 기능어의 마지막 모음(보통 /ə/)은 모음으로 시작하는 다음 단어와 구문론적으로 결합할 때 단어 축약된다. 예를 들어, 강세를 받지 않는 주어 대명사 jefra ('나')의 발음을 비교해 보면, je dorsfra ('나는 잠을 잔다')와 j'arrivefra ('나는 도착한다')가 있다. j'arrivefra에서는 뒤따르는 단어 'arrive'가 모음으로 시작하므로 jefra의 모음 /ə/가 생략되고 j'fra로 축약된 것이다.

구어에서는 je dorsfra ('나는 잠든다')와 같이 자음으로 시작하는 단어 앞에서도 종종 단어 축약이 일어나 j'dorsfra로 발음되기도 한다.

3. 7. 반모음과 이중모음 (Glides and diphthongs)

프랑스어의 반모음(활음) `[j]`, `[w]`, `[ɥ]`는 완전 모음 바로 앞에 오는 음절 첫머리(초두)에 나타난다. 많은 경우, 이 반모음들은 각각 고모음 `[i]`, `[u]`, `[y]`와 체계적으로 번갈아 나타나는 모습을 보인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동사 형태 쌍에서 이러한 교체 현상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예시에서 나타나는 반모음은, 기저에 있는 고모음이 다른 모음 앞에 올 때 반모음으로 바뀌는 '반모음 형성'(glide formation) 과정의 결과로 분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nie/`가 `[nje]`로 발음되는 식이다.

하지만 이 반모음 형성 과정은 일반적으로 장애음(파열음 또는 마찰음) 뒤에 유음(`/l/` 또는 `/ʁ/`)이 오는 복합 초두 뒤에서는 일어나지 않는다. 예를 들어, ''loue''/''louer'' 쌍에서는 `[u]`와 `[w]` 사이의 교체가 나타나지만, 복합 초두를 가진 단어 ''cloue'' `[klu]` ('못 박다'의 활용형)에 같은 접미사를 붙이면 반모음 형성이 일어나지 않아 ''clouer''는 `[klue]` ('못 박다'의 부정사)로 발음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몇몇 반모음 + 모음 연쇄는 장애음-유음 복합 초두 뒤에 나타날 수 있다. 대표적인 예로는 `[ɥi]` (예: ''pluie'' `[plɥi]` '비'), `[wa]` (예: ''proie'' `[pʁwa]` '먹이'), `[wɛ̃]` (예: ''groin'' `[ɡʁwɛ̃]` '코') 등이 있다.[16] 이러한 현상은 반모음 형성 규칙에 특정 문맥 조건을 추가하거나, 프랑스어의 음소 목록에 원래부터 반모음이나 상승 이중 모음(예: `/ɥi/`, `/wa/`)이 포함되어 있다고 가정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설명될 수 있다.

반모음 형성은 일반적으로 ''semi-aride'' ('반 건조한')와 같이 단어 내부의 형태소 경계를 넘어서는 일어나지 않는다. 그러나 구어체에서는 형태소나 단어의 경계를 넘어 반모음 형성이 관찰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si elle'' `[si.ɛl]` ('만약 그녀가')가 ''ciel'' `[sjɛl]` ('하늘')과 똑같이 발음되거나, ''tu as'' `[ty.ɑ]` ('너는 가지고 있다')가 ''tua'' `[tɥa]` ('[그/그녀가] 죽였다')처럼 발음되는 경우가 있다.

반모음 `[j]`는 모음 뒤 음절 끝(종성) 위치에도 나타날 수 있다. 예를 들어, ''soleil'' `[sɔlɛj]` ('태양')과 같은 단어에서 볼 수 있다. 이 경우 역시 기저의 완전 모음 `/i/`에서 파생되었다고 분석할 수도 있지만, 항상 들어맞는 것은 아니다. 왜냐하면 ''pays'' `[pɛ.i]` ('국가') / ''paye'' `[pɛj]` ('급여')나 ''abbaye'' `[a.bɛ.i]` ('수도원') / ''abeille'' `[a.bɛj]` ('벌')과 같이 발음이 유사하지만 의미가 다른 최소 대립쌍이 존재하기 때문이다.[17] 일부 언어학자는 이러한 음절 말 `[j]`가 기저의 설측음에서 구개음화와 반모음화를 거쳐 파생되었다고 보기도 한다(`/lj/` → `/ʎ/` → `/j/`).

다음 표는 프랑스어에서 나타나는 반모음과 모음의 조합 예를 보여준다.

모음초두 반모음예시
/j//ɥ//w/
/a//ja//ɥa//wa/paillasse, Éluard, poire
/ɑ//jɑ//ɥɑ//wɑ/acartre, tuas, jouas
/ɑ̃//jɑ̃//ɥɑ̃//wɑ̃/vaillant, exténuant, Assouan
/e//je//ɥe//we/janvier, muer, jouer
/ɛ//jɛ//ɥɛ//wɛ/lierre, duel, mouette
/ɛ̃//jɛ̃//ɥɛ̃//wɛ̃/bien, juin, soin
/i//ji//ɥi//wi/yin, huile, ouïr
/o//jo//ɥo//wo/Millau, duo, statuquo
/ɔ//jɔ//ɥɔ//wɔ/Niort, quatuor, wok
/ɔ̃//jɔ̃//ɥɔ̃//wɔ̃/lion, tuons, jouons
/ø//jø//ɥø//wø/mieux, fructueux, boueux
/œ//jœ//ɥœ//wœ/antérieur, sueur, loueur
/œ̃/
/u//ju//wu/caillou, Wuhan
/y//jy/feuillu


4. 강세 (Stress)

프랑스어에서 단어의 강세는 변별적이지 않다. 즉, 강세의 위치만으로 두 단어를 구별할 수는 없다.[32] 문법적 강세는 항상 단어의 마지막 완전 음절( ([ə])가 아닌 모음을 가진 음절)에 놓인다. 슈와를 유일한 모음으로 갖는 단음절 단어(예: cefra, defra, quefra)는 일반적으로 강세가 없는 접어이지만, 특별한 경우에는 강세를 받을 수도 있다.[32]

프랑스어에서 강세를 받는 음절과 받지 않는 음절의 차이는 영어에 비해 덜 두드러진다. 강세를 받지 않는 음절의 모음도 완전한 음질을 유지하며, 이는 프랑스어의 리듬이 음절 시간적 특징을 갖게 하는 요인 중 하나이다.[18][48] 또한, 단어는 구나 문장 속에서 발음될 때 강세를 잃는 경향이 있다. 일반적으로 음운론적 구(mot phonétiquefra)의 마지막 단어만이 마지막 완전 음절에서 완전한 문법적 강세를 유지한다.[48]

4. 1. 강조 강세 (Emphatic stress)

강조 강세(Emphatic stress)는 주어진 맥락에서 특정 요소를 강조하고자 할 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대조를 표현하거나 단어의 감성적인 느낌을 강하게 전달하려는 목적이다. 프랑스어에서 이 강세는 해당 단어에서 자음으로 시작하는 첫 음절에 놓인다. 강조 강세가 나타날 때는 모음 소리의 크기(진폭)와 높낮이(음조)가 커지고, 시작 자음이 길게 발음되는(장자음화 또는 쌍자음화) 특징이 동반될 수 있다.[49] 강조 강세는 문법적인 일반 강세를 대체하는 것이 아니라 함께 나타난다.

단어가 모음으로 시작하는 경우에는, 강조 강세는 자음으로 시작하는 첫 번째 음절에 놓이거나, 또는 성문 파열음이나 연음 자음을 삽입하여 만들어진 첫 음절에 놓인다.

5. 억양 (Intonation)

프랑스어 억양은 영어의 억양과 상당히 다르다. 네 가지 주요 패턴이 있다.

참조

[1] 문서 Map based on Trudgill (1974, p. 220)
[2] 서적 Phonological Variation in French: Illustrations from Three Continents https://books.google[...]
[3] 문서 Yaguello (1991), cited in Fagyal, Kibbee, & Jenkins (2006, p. 51).
[4] 블로그 John C. Wells prefers the symbol /æ̃/, as the vowel has become more open in recent times and is noticeably different from oral /ɛ/ http://phonetic-blog[...]
[5] 웹사이트 Phonétique et prononciation du français pour apprenants finnophones http://research.jyu.[...] 2011-01-01
[6] 문서 "Some phoneticians claim that there are two distinct ''a''s in French, but evidence from speaker to speaker and sometimes within the speech of a single speaker is too contradictory to give empirical support to this claim". Casagrande (1984, p. 20)
[7] 웹사이트 Les Accents des Français http://accentsdefran[...]
[8] 웹사이트 Postériorisation du / a / http://www.ciral.ula[...] 2011-07-06
[9] 문서 "For example, some have the front [a] in casse 'breaks', and the back [ɑ] in tasse 'cup', but for others the reverse is true. There are also, of course, those who use the same vowel, either [a] or [ɑ], in both words". Tranel (1987, p. 48)
[10] 서적 Les voyelles nasales du français parisien moderne. Aspects linguistiques, sociolinguistiques et perceptuels des changements en cours Museum Tusculanum Press
[11] 간행물 Oral articulation of nasal vowel in French https://www.internat[...]
[12] 웹사이트 Le FOOT vowel http://englishspeech[...] 2012-01-15
[13] 웹사이트 Rebooting Buttocks http://englishspeech[...] 2012-08-22
[14] 간행물 Timbre du schwa en français et variation régionale : un étude comparative http://www.afcp-paro[...]
[15] 문서 Fagyal, Kibbee, & Jenkins (2006, p. 63) for e, TLFi, s.v. 'appellation' for ɛ.
[16] 문서 The wa correspond to orthographic oi, as in ''roi'' ʁwa ('king'), which contrasts with disyllabic ''troua'' tʁu.a ('[he] punctured').
[17] 문서 Fagyal, Kibbee, & Jenkins (2006, p. 39). The words ''pays'' and ''abbaye'' are more frequently pronounced pe.i and abe.i.
[18] 문서 Mora-timed speech is frequent in French, especially in Canada, where it is very much the norm.
[19] 문서 Wells (1989, p. 44)
[20] 문서 Fougeron & Smith (1993, p. 75)
[21] 문서 Tranel (1987, p. 149–150)
[22] 문서 Yaguello (1991), cited in Fagyal, Kibbee, & Jenkins (2006, p. 51)
[23] 문서 Tranel (1987, p. 150)
[24] 문서 Tranel (1987, p. 151–153)
[25] 문서 「音声学者の中にはフランス語には2つの異なった''a''が存在すると主張する者もあるが、話者によって、時として単独の話者の発話の中にあってさえ、実際の音はこの主張を実証的に支持するにはあまりに矛盾している。」Casagrande (1984, p. 20)
[26] 웹사이트 http://www.ciral.ula[...]
[27] 문서 Tranel (1987, p. 64)
[28] 문서 「例えば、''casse''(「破損」)を前舌の[a]、''tasse''(「茶碗」)を後舌の[ɑ]で発音する話者がいる一方で、その逆になる話者もいる。それから勿論、[a]もしくは[ɑ]のうち一方だけを両方の語で使う話者もいる。」Tranel (1987, p. 48)
[29] 문서 Fougeron & Smith (1993, p. 73)
[30] 문서 Léon (1992, p.?)
[31] 문서 Fougeron & Smith (1993, p. 74)
[32] 문서 Anderson (1982, p. 537)
[33] 문서 Tranel (1987, p. 88)
[34] 문서 Fagyal, Kibbee, & Jenkins (2006, p. 59)
[35] 문서 Tranel (1987, p. 88–105)
[36] 논문
[37] 논문
[38] 논문
[39] 논문
[40] 논문
[40] 논문
[41] 논문
[42] 문서 最後の2つは''trois'' {{IPA2|[tʁwa]}}(「3」)にあるような正書法<oi>に対応し、これは2音節の''troua'' {{IPA2|[tʁua]}}(「(彼は)穴を開けた」)と対照をなす。
[43] 논문
[44] 논문
[45] 논문
[46] 논문
[47] 논문
[48] 논문
[49] 논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