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관화(官話)는 "만다린"으로도 불리며, 중국 북부와 남서부 지역의 다양한 방언들을 포괄하는 중국어의 한 갈래이다. 명칭은 명·청 시대 관리들이 사용하던 언어에서 유래했으며, 표준 중국어, 즉 보통화(普通話)를 포함한다. 보통화는 베이징 방언을 기반으로 하며, 중화인민공화국, 중화민국, 싱가포르의 공식 언어이며, 유엔의 6개 공식 언어 중 하나로 사용된다. 관화는 수백 개의 방언으로 나뉘며, 역사적으로 고대 북경어, 구어체 문학, 말기 제국 공통어를 거쳐 표준 중국어로 발전했다. 관화는 음운, 어휘, 문법 등에서 특징을 가지며, 중국어의 다른 방언들과 차이를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관화 - 쓰촨어
쓰촨어는 쓰촨성과 충칭시를 중심으로 쓰촨분지 일대에서 약 1.2억 명이 사용하는 중국어 방언으로, 고대 파촉어에서 기원하여 이민의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으며 고유한 특징을 지니고 보통화 보급 정책 속에서도 생존하고 있다. - 관화 - 동북관화
동북 관화는 중화인민공화국 북동부 지역에서 사용되는 중국어 방언으로, 만주어와 몽골어의 영향을 받아 베이징어와 차이를 보이며, 권설음 부재, 낮은 음평성, 얼화 현상 등의 특징을 가진다. - 중국어의 방언 - 광둥어
광둥어는 중국 남부에서 사용되는 중국어 방언으로, 고대 중국어의 특징을 보존하고 홍콩, 마카오 등 세계 각지에서 사용되며, 표준 중국어와 차이를 보이고 9개의 성조를 가지며, 캔토팝 등 고유한 문화를 형성하고 지역 정체성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 중국어의 방언 - 차오저우어
차오저우어는 중국 광둥성 차오산 지역에서 사용되는 민난어의 일종으로, 동남아시아 화교 사회로 확산되어 태국, 말레이시아 등지에서 영향력을 지니며, 다양한 방언과 표기법을 갖고 일상 대화, 지방극, 대중가요 등에서 사용된다. - 중국어 - 한문
한문은 고대 중국어 문법에 기반한 문어체로, 동아시아 각국에서 현지화되었으며, 한자의 특성상 해석이 다양할 수 있고, 외교 및 문화 교류를 통해 수용되어, 현대에는 학술 연구, 고전 문학 등에서 사용되며 동아시아 문화와 역사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중국어 - 백화문
백화문은 20세기 초 신문화운동과 5·4 운동의 영향으로 구어체를 기반으로 형성되어 현대 중국어의 표준이 된 문체이며, 후스와 천두슈 등의 문학혁명론과 루쉰의 백화문 소설 등이 정착에 기여하여 언어 민주화와 사회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관화 | |
---|---|
지도 | |
![]() | |
기본 정보 | |
언어 이름 | 만다린어 |
자국어 이름 | 官話 (Guānhuà) |
다른 이름 | 북방어 |
로마자 표기 | Guanhwa Kuan-hua Gūnwá |
로마자 표기 (다른 표기법) | Guan-huà Guanhuah Beeifanghuah |
중국어 간체 | 官话 |
중국어 번체 | 官話 |
발음 (한어병음) | Guānhuà |
발음 (주음부호) | ㄍㄨㄢ ㄏㄨㄚˋ |
발음 (국제음성기호) | /ɡu̯an⁵⁵ xwa²¹⁴/ |
다른 발음 (한어병음) | Běifānghuà |
다른 발음 (주음부호) | ㄅㄟˇㄈㄤ ㄏㄨㄚˋ |
다른 발음 (국제음성기호) | /pei̯²¹⁴ faŋ⁵⁵ xwa²¹⁴/ |
의미 | 관료의 말 |
지역 | 중국 북부 중국 중부 중국 남서부 중국 동북부 중국 서북부 장회 지역 |
사용 국가 | 중화인민공화국 |
모국어 화자 수 | 9억 4093만 6330명 (2021년) |
제2언어 화자 수 | 1억 9942만 5000명 (날짜 미상) |
총 화자 수 | 11억 4036만 1330명 (2021년) |
언어 순위 | 1위 |
어족 | 중국티베트어족 |
어파 | 중국어파 |
어계 | 중국어 |
조상어 | 원시 시노티베트어 상고 중국어 동한 중국어 중고 중국어 고대 만다린어 중세 만다린어 |
표준어 | 표준 중국어 (보통화, 국어) |
방언 | 동북 만다린어 베이징 만다린어 지루 만다린어 자오랴오 만다린어 하위 양쯔강 만다린어 중원 만다린어 란인 만다린어 남서 만다린어 |
문자 | 한자 (간체, 번체) 중국 본토 점자 대만 점자 2칸 중국 점자 |
표기법 | 한어병음 (로마자) 주음부호 소아경 (아랍 문자) 둥간 문자 (키릴 문자) |
수화 | 중국 수화 |
언어 코드 | |
ISO 639-3 | cmn |
글롯로그 | mand1415 |
링구아리스트 | 79-AAA-b |
2. 명칭
영어 명칭 "만다린"(Mandarin)은 포르투갈어 mandarimpt에서 유래했으며, 이는 다시 말레이어 menterims를 거쳐 산스크리트어 mantrīsa 또는 mantrinsa("장관" 또는 "고문"을 의미)에서 온 말이다. 원래 이 용어는 명나라와 청나라 시대의 관리(mandarin (bureaucrat))를 지칭하는 말이었다.[5][6] 당시 중국 내 다양한 방언 사용자들은 서로 의사소통이 어려웠기 때문에, 관리들은 여러 북방 방언에 기반한 공통어(koiné language)를 사용했다. 16세기 중국에 온 예수회 선교사들은 이 표준어를 배우면서, 중국어 명칭인 官話|관화중국어("관리들의 언어")에서 이름을 따와 "만다린"이라고 부르기 시작했다.
일상적으로 영어권에서 "만다린"은 표준 중국어를 가리키며, 종종 단순히 "중국어"라고도 불린다. 표준 중국어는 베이징 방언을 기초로 하고 다른 관화 방언의 어휘와 문법 요소를 일부 받아들여 형성되었다. 이는 중화인민공화국과 중화민국(타이완)의 공식 구어이며, 싱가포르의 4개 공식 언어 중 하나이고, 말레이시아에서도 주요 소수 언어로 인정받는다.[7] 또한 중국 본토와 타이완에서 교육 언어로 사용되며, 유엔의 6개 공식 언어 중 하나로 "중국어"라는 명칭으로 등재되어 있다. 중국어 사용자들은 이 현대 표준어를 다음과 같이 부른다.
- 중국 본토: 普通話|보통화중국어
- 타이완: 國語|국어중국어
- 말레이시아 및 싱가포르: 華語|화어중국어
하지만 이들 지역에서 현대 표준어를 官話|관화중국어라고 부르지는 않는다.
언어학에서는 "만다린" 또는 "관화"(官話|관화중국어)라는 용어를 중국 북부와 남서부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방언들을 포괄하는 넓은 의미로 사용한다. 중국 언어학자들은 과거에 北方話|북방화중국어("북방 방언")라는 용어도 사용했으나, 점차 사용 빈도가 줄어들고 있다. 넓은 의미에서 "고대 관화" 또는 "초기 관화"는 언어학자들이 원나라 시기 문헌에 기록된 북방 방언을 지칭할 때 사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학계의 언어학자가 아닌 일반적인 원어민들은 자신이 사용하는 방언이 언어학적으로 "관화"(또는 "북방 방언")로 분류된다는 사실을 잘 알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중국 사회나 문화적 담론 속에서는 언어에 기반한 통일된 "관화" 정체성이 존재하지 않으며, 오히려 광범위한 지리적 분포와 문화적 다양성으로 인해 개별 방언을 중심으로 한 강한 지역 정체성이 나타난다. 표준어가 아닌 관화 방언 사용자들은 보통 자신들의 방언을 쓰촨 방언이나 동북 방언처럼 지역 이름으로 부르며, 이들 방언은 표준어와 구별될 뿐만 아니라 방언 간에도 상호 의사소통이 어려울 수 있다.
3. 역사
수백 개의 현대 중국어 방언들은 고대 중국어와 중국 중세어의 지역적 변이체에서 발전했다. 전통적으로 7개의 주요 방언 그룹(관화, 오, 감, 샹, 민, 객가, 월)이 인식되어 왔다. 1987년에 발간된 《중국언어지도집》에서는 여기에 진, 회주, 평화를 추가하여 총 10개의 방언 그룹으로 분류한다.
《중국언어지도집》에서는 관화를 주요 방언 그룹 중 하나로 보고, 세부적으로 다음과 같이 8개의 하위 방언으로 나누었다.
한편, 진어는 때때로 관화의 일종으로 분류되기도 하지만, 독립적인 중국어 방언으로 간주되기도 한다.
3. 1. 고대 북경어 (Old Mandarin)

북송(959~1126)이 멸망한 후 금(1115~1234)과 원(몽골) 왕조가 중국 북부를 지배하던 시기, 수도 주변 북중국 평야의 방언을 기반으로 한 공통어가 발달했는데, 이를 고대 북경어라고 한다. 곡(曲)과 산곡(散曲) 시, 희곡, 이야기 등 새로운 형태의 구어 문학이 이 언어를 바탕으로 만들어졌다.
새로운 시 형식의 운율 규칙은 1324년에 편찬된 운서인 《중원음운》에 명시되었다. 이전 시대의 운표 전통과 크게 다른 이 운서는 고대 북경어의 음운 체계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담고 있다. 또한, 티베트 문자를 기반으로 만들어져 몽골 제국의 여러 언어(중국어 포함)를 기록하는 데 사용된 파스파 문자와, 파스파 문자로 편찬된 운서인 《몽고자운》도 고대 북경어 연구의 중요한 자료이다. 이 자료들은 세부 내용에서 약간의 차이를 보이지만, 공통적으로 종성 파열음(-p, -t, -k)이 줄어들거나 사라지고, 중세 중국어의 성조 체계가 재구성되는 등 현대 북경어 방언의 여러 특징이 이미 나타나고 있음을 보여준다.
중세 중국어에서는 단어 시작 부분의 파열음과 마찰음이 무기음, 무성 유기음, 유성음의 세 가지로 나뉘어 발음되었다. 성조는 네 가지가 있었는데, 종성 파열음(-p, -t, -k)으로 끝나는 음절에 해당하는 네 번째 성조인 "입성"이 포함되었다. 유성 자음으로 시작하는 음절은 낮은 음높이로 발음되는 경향이 있었고, 당나라 후기에는 각 성조가 시작 자음의 유성/무성 여부에 따라 두 개의 음역(높낮이)으로 나뉘었다. 이후 오어 등 일부 방언을 제외한 대부분의 중국어 방언에서 유성음이 사라지면서, 이러한 높낮이 구별이 성조의 중요한 특징이 되었고, 각 방언 그룹별로 시작 자음과 성조 체계가 다르게 재구성되었다.
《중원음운》은 고대 북경어의 전형적인 네 성조 체계를 보여준다. 이는 중세 중국어의 "평성"이 두 개로 나뉘고 입성이 사라진 결과이다. 입성으로 발음되던 음절들은 다른 성조로 흡수되었지만, 《중원음운》에는 그 원래 형태가 기록되어 있다. 또한, 중세 중국어의 유성 파열음과 마찰음은 고대 북경어에서 평성에서는 무성 유기음으로, 다른 성조에서는 무성 무기음으로 변화했는데, 이 역시 북경어의 독특한 발전 과정이다. 그러나 고대 북경어는 현대 북경어와 달리 종성 '-m' 발음(현대에는 '-n'으로 합쳐짐)과 단어 시작 부분의 유성 마찰음을 여전히 유지하고 있었다. 또한, 입천장소리(구개음) 환경에서 연구개음(ㄱ, ㅋ, ㅎ 계열)과 치경음(ㅈ, ㅊ, ㅅ 계열)의 구별을 유지했는데, 이 구별은 이후 대부분의 북경어 방언에서 사라지고 한어 병음에서 'j-', 'q-', 'x-'로 표기되는 구개음 계열로 합쳐졌다.
이 시대의 활발했던 구어 문학 작품들은 고대 북경어의 독특한 어휘와 구문 구조를 보여준다. 예를 들어, 3인칭 대명사 他|타중국어와 같이 당나라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요소들도 발견된다.
3. 2. 구어체 문학 (Vernacular literature)
20세기 초까지 공식적인 글쓰기뿐만 아니라 많은 시와 소설은 전국 시대와 한나라의 중국 고전을 모델로 한 고전 중국어로 작성되었다. 시간이 흐르면서 다양한 구어체는 별도로 학습해야 하는 고전 중국어와 크게 달라졌다. 구어체에서 일어난 여러 음운 변화에도 불구하고, 고전 중국어의 간결한 표현은 여전히 중요하게 여겨졌다. 예를 들어, '翼'(날개)는 문어 중국어에서는 의미가 명확하지만, 표준 중국어에는 이와 발음이 같은 동음이의어가 75개 이상 존재한다.연극 대본이나 이야기처럼 공연이나 낭송을 목적으로 하는 글에는 문어체가 적합하지 않았다. 이에 따라 구어체 중국어(白話, 백화)로 쓰인 문학이 발전하기 시작했다. 중국판 로빈 후드 이야기로 비유될 수 있는 원나라 시대의 희곡부터 시작하여, 명나라의 소설 ''수호전'', 청나라의 소설 ''홍루몽'' 등이 대표적이다. 많은 경우 이러한 구어체 문학은 북경어 방언을 반영했으며, 글로는 발음 차이가 드러나지 않았기 때문에 북경어 사용 지역을 넘어 광범위한 지역에서 문학적 통합력을 발휘했다.
20세기 전반의 주요 지식인인 후스는 이러한 구어체 문학 전통에 대해 영향력 있고 통찰력 있는 연구서인 '구어 문학사(白話文學史)'를 저술했다.
3. 3. 말기 제국 공통어 (Late imperial koiné)
17세기에 중국 남부에 온 선교사들은 현지 언어 외에 관청에서 사용되는 공용어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들은 이 언어를 관리의 언어라는 뜻에서 '관화(官話)'라고 불렀다. 당시 관화의 기준은 난징의 음을 기반으로 한 남경관화(南京官話)였다.청나라 시대에 들어 베이징이 수도가 되면서 관화의 중심은 점차 베이징 음을 기반으로 한 북경관화(北京官話)로 이동해 갔다. 특히 1728년, 옹정제는 푸젠성과 광둥성 관리들의 방언 억양이 심해 의사소통에 어려움이 있자, 이들의 발음을 교정하기 위해 정음서원(正音書院)이라는 교육 기관을 설립하라는 칙령을 내렸다. 광둥성에서는 민간의 월수서원(粤秀書院) 등을 지원하여 관화 교육을 담당하게 하기도 했다. 이때 교육을 위해 『정음섭요(正音摂要)』, 『정음저화(正音咀華)』와 같은 교재가 만들어졌다. 이러한 노력으로 북경관화는 청나라 후기 제국의 주요 공용어로서 지위를 확립해 나갔다.
3. 4. 표준 중국어 (Standard Chinese)

일상적인 영어 사용에서 "만다린어"는 종종 표준 중국어(Standard Chinese)를 가리키며, 간단히 "중국어"라고도 불린다. 표준 중국어는 베이징 방언(Beijing dialect)을 기반으로 하며, 다른 관화 방언의 어휘와 문법적 영향을 일부 받았다. 이는 중화인민공화국(PRC)과 대만(중화민국, ROC)의 공식 구어이며, 싱가포르의 4개 공식 언어 중 하나이고, 말레이시아에서는 고급 소수 언어이다.[7] 또한 중국 본토와 대만에서 교육 언어로 기능하며, 유엔(United Nations)의 6개 공식 언어 중 하나로 "중국어"라는 이름으로 등재되어 있다. 중국어 사용자들은 현대 표준어를 다음과 같이 부른다.
- 중국 본토: 普通话|푸퉁화중국어 (보통화)
- 대만: 國語|궈위중국어 (국어)
- 말레이시아와 싱가포르: 華語|화위중국어 (화어)
베이징의 교육받은 계층이 사용하던 표준 관화는 1900년대 초 청나라와 그 뒤를 이은 중화민국 정부에 의해 중국의 공식 언어로 채택되었다. 중화민국 초기, 후스와 천두슈 같은 신문화운동 지식인들은 기존의 문어 중국어를 베이징 방언 등 북방 방언에 기반한 구어 중국어로 대체하는 운동을 성공적으로 이끌었다. 이와 함께 표준 국어(國語|궈위중국어)를 정의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가 되었다. 다양한 방언 사용자들 간의 논쟁과 인위적인 발음 표준화 시도의 실패 끝에, 국어 통일 위원회는 1932년 베이징 방언을 표준 국어의 기초로 최종 결정했다. 1949년에 수립된 중화인민공화국은 이 표준을 유지하면서 普通话|푸퉁화중국어라는 명칭을 사용하기 시작했다.[5][6] 표준어 보급률은 시간이 지나면서 크게 증가하여, 1950년대 초 약 54%였던 표준 관화 사용 가능 인구 비율이 1984년에는 91%로 증가했으며, 전국적으로 표준어를 이해하는 비율도 같은 기간 41%에서 90%로 상승했다.[5][6]
현재 표준 중국어는 중국 본토와 대만 모두에서 교육, 언론, 공식 석상에서 사용되며, 싱가포르의 중국계 사회에서도 마찬가지이다.[5][6] 그러나 홍콩과 마카오에서는 식민지 시기의 역사와 언어적 배경으로 인해 지역 방언인 광둥어가 교육, 언론, 공식 연설 및 일상생활에서 표준 중국어처럼 사용된다.[5][6] 표준 관화가 중국 전역의 학교에서 교육 매체로 사용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표준 관화가 모국어가 아닌 지역에서는 주민들 사이에서 공통어로서 완전히 자리 잡지 못한 경우도 있다.[5][6] 이러한 지역의 사람들은 이중 언어를 구사하거나, 표준어를 사용하더라도 지역적 억양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기도 한다.[5][6] 21세기 초부터 중국 정부는 표준 관화 교육을 대규모로 실시하고 지역 언어 사용을 억제하는 정책을 추진하고 있는데, 이는 언어의 획일화를 가져올 수 있다는 비판도 있다.[10]
공식적으로 중국 본토 정부와 대만 정부는 각각 普通话|푸퉁화중국어와 國語|궈위중국어라는 다른 이름으로 표준어를 규정하고 있다. 두 표준 모두 음운론은 베이징 방언에 기초하고 있으며, 어휘나 문법 등에서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실질적인 차이는 크지 않다.[5][6] 하지만 두 지역에서 실제로 사용되는 표준 중국어는 각 지역의 언어 습관에 영향을 받아 공식적인 표준이나 베이징 방언과도 차이를 보인다.[5][6] 서면 표기법에서는 간체자가 중국 본토와 싱가포르에서 사용되는 반면, 번체자는 대만, 홍콩, 마카오에서 계속 사용되고 있다.[5][6]
4. 하위 방언
《중국언어지도집》(1987)에서는 관화를 크게 보고 세부적으로 8개의 방언으로 나누었다.[1][2] 진어(晉語)는 독립적인 중국어 방언으로 보기도 하고, 관화의 한 종류로 분류하기도 한다.
중국 북부와 남서부에 사는 대부분의 한족은 관화 계열 방언을 모어로 사용한다. 북중국 평원은 지리적 장벽이 적어 중국 북부의 넓은 지역에서 언어적 동질성이 비교적 잘 유지되었다. 반면, 산과 강이 많은 중국 남부 지역은 지형적 요인으로 인해 다양한 방언 그룹(주요 6개)이 형성되었으며, 특히 푸젠성 지역은 내부 방언 차이가 매우 크다.[3][4]
하지만 관화 역시 거의 10억 명에 달하는 인구가 사용하는 광대한 지역에 걸쳐 있어, 발음, 어휘, 문법에서 지역적 차이가 뚜렷하며, 많은 관화 방언들은 서로 의사소통이 어렵다.[5] 예를 들어, 쿤밍 방언(昆明話)처럼 같은 관화에 속하더라도 베이징 방언 화자가 쉽게 이해하기 어려울 수 있으며,[6] 심지어 같은 성 내에서도 서로 다른 관화 방언(예: 장쑤성의 진장 방언(鎮江話)과 남통 방언(南通話)) 간의 의사소통이 어려울 수 있다.[7]
중국 동북부 대부분 지역(랴오닝성 제외)은 18세기 이후 한족 이주가 활발해지면서[8] 이곳의 동북관화는 베이징 방언과 큰 차이가 없다.[9] 이 지역의 만주족도 현재는 대부분 동북관화를 사용하며, 만주어는 신장 위구르 자치구 북서부의 시버족이 사용하는 시버어로만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10] 중국 북서부 국경 지역 역시 관화 사용자들이 이주하면서 형성된 곳으로, 이 지역 방언들도 중심부 관화와 유사하다.[11] 서남부 지역은 일찍 정착되었으나, 13세기 인구 급감 후 17세기에 회복되면서[12] 현재는 비교적 균일한 방언 특성을 보인다.[13] 하지만 베이징과 가까운 오래된 도시인 톈진, 보딩, 선양, 다롄 등은 뚜렷하게 다른 방언적 특징을 지니고 있다.
《중국언어지도집》은 중세 중국어의 입성(入聲) 발음이 어떻게 변화했는지에 따라 관화를 8개의 하위 방언 집단으로 분류한다.[14] 각 방언의 화자 수는 《중국언어지도집》 개정판(2012) 기준 추정치이다.[15]
방언 명칭 | 주요 사용 지역 | 화자 수 (추정) | 특징 |
---|---|---|---|
동북관화(東北官話) | 동북 3성(랴오닝성 제외)[16] | 9,800만 명 | 표준 중국어와 매우 유사하며 어휘나 음운 차이가 적음. |
북경관화(北京官話) | 베이징, 청더, 허베이성 북부, 신장 위구르 자치구 북부 등[17] | 2,700만 명 | 표준 중국어의 기초. 동북관화와 묶어 하나의 방언으로 보기도 함.[19] |
기로관화(冀魯官話) | 허베이성, 산둥성(산둥 반도 제외), 헤이룽장성 일부[18] | 8,900만 명 | 톈진 방언 포함. 음운과 어휘 차이가 있으나 베이징 방언과 상당 부분 소통 가능. |
교료관화(膠遼官話) | 산둥 반도, 랴오둥 반도, 헤이룽장성 일부[20] | 3,500만 명 | 음운 변화가 뚜렷하며, 베이징 방언과 중간 정도 소통 가능. |
중원관화(中原官話) | 허난성, 산시성 중부, 간쑤성 동부, 신장 위구르 자치구 남부 등[21] | 1억 8,600만 명 | 음운 차이가 상당하며 베이징 방언과 부분적으로 소통 가능. 중앙아시아의 둥간어가 여기에 속함.[22] |
난은관화(蘭銀官話) | 간쑤성 중서부(란저우), 닝샤 후이족 자치구(인촨), 신장 위구르 자치구 북부[23] | 1,700만 명 | |
강회관화(江淮官話) | 장쑤성·안후이성의 양쯔강 북부, 난징, 주장 등 남부 일부[24] | 8,600만 명 | 음운 및 어휘 변화가 크고 우어의 영향을 받음. 베이징 방언과 소통이 제한적. 다른 관화 방언과 달리 입성이 남아있어 오방언으로 분류하자는 의견도 있음. |
서남관화(西南官話) | 후베이성, 쓰촨성, 구이저우성, 윈난성, 후난성·광시 좡족 자치구·산시성 일부[25] | 2억 6,000만 명 | 뚜렷한 음운, 어휘 변화가 있으며 베이징 방언과 소통 정도는 다양함.[26] |
《중국언어지도집》에는 위 8개 외에도 분류되지 않은 관화 방언들(예: 푸젠성 난핑, 하이난성 동방 등)이 언급된다. 또한, 19세기에 기록된 Gyami어처럼 분류가 불확실한 경우도 있다. 칭하이성-간쑤성 지역의 일부 서북 관화 방언은 음운, 어휘, 문법에서 큰 변화를 겪기도 했다.
한편, 관화를 크게 4개의 하위 방언으로 나누기도 한다.
# '''화북동북 방언''': 베이징 관화, 동북관화, 기로관화, 교료관화 포함. 베이징시, 톈진시, 헤이룽장성, 지린성, 랴오닝성, 허베이성, 허난성, 산둥성 및 내몽골 자치구 일부 지역.
# '''서북 방언''': 중원관화, 난은관화 포함. 산시성, 간쑤성 전역, 산시성, 칭하이성, 닝샤 후이족 자치구, 내몽골 자치구 일부 및 중앙아시아 둥간족 거주 지역.
# '''서남 방언''': 서남관화. 충칭시, 쓰촨성, 윈난성, 구이저우성, 후베이성 대부분, 광시 좡족 자치구 북서부, 후난성 북서부.
# '''강회 방언''': 강회관화. 안후이성·장쑤성의 양쯔강 이북 지역(쉬저우시, 방부시 제외), 장쑤성 전장 서쪽부터 장시성 주장 동쪽까지의 양쯔강 남안 지역.
5. 음운
음절은 최대 초성 자음, 중성 반모음(활음), 모음, 종성, 그리고 성조로 구성된다. 전통적인 분석에서 중성, 모음, 종성은 '운'(韻)으로 결합된다.
일반적으로 만다린 방언들이 공유하는 음운론적 특징은 다음과 같다.
- 연구개 자음과 무성 치찰음이 구개 근사음 앞에서 구개음화되는 현상.
- 한 음절은 최대 네 개의 음소를 포함하며, 자음군은 없다.
- 종성 파열음과 종성 /m/의 소실. (단, 많은 하강 관화와 진어 방언에서는 종성 파열음의 흔적이 성문 폐쇄음으로 남아 있다.)
- 권설음의 존재. (하지만 이는 많은 남서관화와 동북관화 방언에서는 나타나지 않는다.)
- 역사적인 자음의 유성/무성 대립 소실. (이는 대부분의 비(非)만다린 방언에도 공통적이다.)
5. 1. 성모 (Initials)
표준 중국어의 성모(초성 자음) 목록은 다음과 같으며, 표준어에 있는 초성은 괄호 안에 병음 표기를 하였다.[11]쌍순음 | 순치음 | 치경음 | 권설음 | 치경구개음 | 연구개음 | |
---|---|---|---|---|---|---|
파열음 | /p/ <b> | /t/ <d> | /k/ <g> | |||
/pʰ/ <p> | /tʰ/ <t> | /kʰ/ <k> | ||||
파찰음 | /t͡s/ <z> | /ʈ͡ʂ/ <zh> | /t͡ɕ/ <j> | |||
/t͡sʰ/ <c> | /ʈ͡ʂʰ/ <ch> | /t͡ɕʰ/ <q> | ||||
마찰음 | /f/ <f> | /s/ <s> | /ʂ/ <sh> | /ɕ/ <x> | /x/ <h> | |
비음 | /m/ <m> | /n/ <n> | /ŋ/ | |||
접근음 | /w/ <w> | /l/ <l> | /ɻ ~ ʐ/ <r> | /j/ <y> |
- 대부분의 북방 관화 지역에서는 권설음 초성(/ʈʂ/, /ʈʂʰ/, /ʂ/ - 병음: zh, ch, sh)과 치경음 초성(/ts/, /tsʰ/, /s/ - 병음: z, c, s)을 구분하지만, 남방 관화(서남 관화와 강회 관화)에서는 이 구별이 없는 경우가 많다. 특히 남동부와 남서부 방언에서는 권설음 초성이 치경음과 합쳐져 “zhi”는 “zi”로, “chi”는 “ci”로, “shi”는 “si”로 발음되는 경향이 있다.
- 치경구개음(/t͡ɕ/, /t͡ɕʰ/, /ɕ/ - 병음: j, q, x)은 역사적으로 구개음화된 연구개음(/kj/, /kʰj/, /xj/)과 구개음화된 치경음(/tsj/, /tsʰj/, /sj/)이 합쳐진 결과이다.
- 많은 남서부 관화 방언에서는 /f/와 /xw/(h 발음의 변이형)가 혼합되어 서로 대체되어 사용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날다"를 의미하는 ''fei'' /fei/와 "회색"을 의미하는 ''hui'' /xwei/의 발음이 합쳐질 수 있다.
- 일부 방언에서는 초성 /l/과 /n/이 구분되지 않는다. 남서 관화에서는 이 소리가 일반적으로 /n/으로 합쳐지고, 하강 관화에서는 일반적으로 /l/으로 합쳐진다.
- 표준 중국어에서 ''r-'' /ɻ/ 초성을 사용하는 경우, 다른 지역에서는 /j/, /l/, /n/, /w/ 등으로 발음하는 변형이 존재한다.
- 일부 방언에는 표준어의 영자음(성모 없음)에 해당하는 자리에 초성 /ŋ/이 존재한다. 이는 중국 중세음의 영자음과 /ŋ/ 및 /ʔ/이 합쳐진 결과이다.
- 많은 서북 관화 및 중원 관화 방언에서는 표준 중국어의 /tʂw/, /tʂʰw/, /ʂw/, /ɻw/(zhu, chu, shu, ru에 해당) 대신 순치음 계열인 /pf/, /pfʰ/, /f/, /v/를 사용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표준어 ''zhū''(豬, 돼지) /tʂu/에 해당하는 발음이 /pfu/가 되고, 표준어 ''shuǐ''(水, 물) /ʂwei/에 해당하는 발음이 /fei/가 되며, 표준어 ''ruǎn''(軟, 부드러운) /ɻwan/에 해당하는 발음이 /vã/가 되는 식이다.
5. 2. 운모 (Finals)
음절은 최대 초성 자음, 중성 반모음(활음), 모음, 종성, 그리고 성조로 구성된다. 전통적인 분석에서는 중성, 모음, 종성을 합쳐 '운모'(韻母, Final)라고 부른다.[1] 모든 조합이 나타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베이징 방언에 기반한 표준 중국어는 약 1,200개의 서로 다른 음절을 가진다.[2]활음 (Medial Glides)대부분의 관화 방언은 세 개의 활음, /j/, /w/, /ɥ/ (병음으로 ''i'', ''u'', ''ü''로 표기)을 가지고 있지만, 그 출현 빈도는 방언마다 다양하다.
활음 /w/는 여러 지역에서 특정 조건 하에 소실되는 경향이 있다.[3] 예를 들어, 남서관화에서는 표준 중국어의 '정확한'을 뜻하는 ''dui'' /twei/에 해당하는 단어를 /tei/로 발음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표준 중국어의 ''jie, qie, xie'' /tɕjɛ tɕʰjɛ ɕjɛ/에 해당하는 일부 단어들에서 남서관화는 /kai kʰai xai/ 형태를 사용하는데, 이는 남서관화의 두드러진 특징 중 하나이다. 예를 들어, 표준 중국어의 ''xie''(신발)는 ''hai''로, ''jie''(거리)는 ''gai''로 발음된다.
모음 (Vowels)관화 방언은 일반적으로 비교적 모음의 수가 적다. 표준 중국어의 ''zi''와 ''zhi''에서 나타나는 것과 같은 음절 마찰음은 관화 방언에서 흔하게 발견되지만, 다른 방언군에서도 나타난다.[4] 중세 중국어의 종성 활음 /j/와 /w/는 일반적으로 관화 방언에서 보존되어, 다른 방언군(및 일부 관화 방언)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단모음 위주의 체계와 대조적으로 여러 이중모음과 삼중모음을 발달시켰다.[4]
종성 (Coda)
- 비음 종성 (Nasal Finals):
- 중세 중국어의 종성 비음 /m/은 구 북경어 시기까지 존재했으나, 현대의 관화 방언 대부분에서는 /n/으로 합병되었다.[3] 서남관화를 제외한 많은 방언에서 양순 비음 /m/ 종성이 소실되어 치경 비음 /n/으로 합류한 것이다.
- 일부 지역, 특히 남서관화에서는 연구개 비음 종성 /ŋ/ 역시 /n/으로 합병되었다. 이는 ''-en/-eng'' /ən əŋ/과 ''-in/-ing'' /in iŋ/ 운모 쌍의 발음에서 특히 두드러진다. 그 결과, '금'(金)을 뜻하는 ''jīn''과 '수도'(京)를 뜻하는 ''jīng''이 해당 방언에서는 동음이의어가 된다.
- 북방관화에서는 치경 비음 /n/과 연구개 비음 /ŋ/의 구별이 유지되지만, 남방관화에서는 구별이 없는 경우가 많다.
- 파열음 종성 (Plosive Finals):
- 중세 중국어의 종성 파열음(입성, 入聲)은 관화 방언에서 다양한 변화를 겪었다. 하강관화(하양자 방언)와 일부 서북관화에서는 종성 성문 파열음 /ʔ/으로 합병되었다. 다른 방언에서는 이러한 파열음 종성이 소실되면서 선행 모음에 다양한 영향을 미쳤다.[3]
- 결과적으로, 베이징 방언과 동북관화는 다른 많은 관화 방언보다 모음 합병 현상이 더 많이 나타난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한자 | 의미 | 표준 중국어 (북경어) | 북경어, 하얼빈 구어체 | 지난 (지루) | 서안 (중원) | 청두 (남서부) | 양주 (하양자) | 중고 한어 재구 | |
---|---|---|---|---|---|---|---|---|---|
병음 | IPA | ||||||||
课 | '수업' | kè | kʰɤ | kʰɤ | kʰə | kʰwo | kʰo | kʰo | kʰɑ |
客 | '손님' | kʰei | kʰei | kʰe | kʰəʔ | kʰɰak | |||
果 | '과일' | guǒ | kwo | kwo | kwə | kwo | ko | ko | kwɑ |
国 | '나라' | guó | kwei | kwe | kɔʔ | kwək |
R음화 (Rhoticization)관화의 특징적인 현상인 얼화(儿化, R음화)는 지역별로 다르게 나타난다. 베이징 방언을 포함한 많은 북방 방언에서는 얼화가 일어날 때 주로 음절 끝의 /j/나 /n/ 종성만 탈락시키고 권설 접근음 /ɻ/을 덧붙이는 방식으로 실현된다. 반면, 남서관화에서는 /ɻ/이 추가되면서 원래 운모의 거의 전체 부분이 대체되는 경향이 있다.
5. 3. 성조 (Tones)
일반적으로 관화 방언들은 서로 정확히 동일한 성조 값을 가지지는 않지만, 대부분 매우 유사한 성조 분포를 보인다. 예를 들어, 지난, 청두, 시안 등의 방언은 모두 베이징 방언의 4가지 성조(음높이 값 55, 35, 214, 51)와 상당히 유사한 성조 체계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과거에 입성(종성 파열음 /p/, /t/, /k/로 끝나는 음절)으로 끝났던 음절의 처리는 관화 방언마다 다르게 나타난다.[20]
중고 한어에는 평성(平聲), 상성(上聲), 거성(去聲), 입성(入聲)의 네 가지 성조가 있었다. 이 중 평성, 상성, 거성은 대부분의 관화 방언에서 비교적 규칙적으로 현대의 4개 성조로 발전했다. 중고 한어의 평성은 초성 자음이 무성음이었는지 유성음이었는지에 따라 현대 표준 중국어의 1성(음평, 陰平)과 2성(양평, 陽平)으로 나뉘었다. 또한, 중고 한어에서 유성 자음으로 시작했던 상성 음절은 대부분 현대의 4성(거성, 去聲)으로 합쳐졌다.[20] 표준 중국어의 다음 예시는 이러한 규칙적인 변화를 보여준다 (병음에서 d는 무기음 /t/, t는 유기음 /tʰ/을 나타낸다).
중고 한어 성조 | 평성 (平) | 상성 (上) | 거성 (去) | |||||||||
---|---|---|---|---|---|---|---|---|---|---|---|---|
예시 한자 | 丹 | 灘 | 蘭 | 彈 | 亶 | 坦 | 懶 | 但 | 旦 | 炭 | 爛 | 彈 |
중고 한어 발음 (추정) | tan | tʰan | lan | dan | tan | tʰan | lan | dan | tan | tʰan | lan | dan |
표준 중국어 병음 | dān | tān | lán | tán | dǎn | tǎn | lǎn | dàn | tàn | làn | dàn | |
현대 표준 중국어 성조 | 1성 (음평) | 2성 (양평) | 3성 (상성) | 4성 (거성) |
전통적인 중국 음운학에서 중고 한어의 입성 음절은 특별한 범주로 취급되었다. 이 입성 운미 /p/, /t/, /k/는 대부분의 현대 관화 방언에서 사라졌지만, 그 음절들은 각 방언 그룹에서 서로 다른 방식으로 4개의 현대 성조에 편입되었다.
표준 중국어의 기반이 된 베이징 방언에서는 원래 무성 자음으로 시작했던 입성 음절들이 현대의 4개 성조로 완전히 무작위적으로 재분배되었다.[20] 예를 들어, 중고 한어에서 모두 'tsjek'으로 발음되었던 세 글자 積, 脊, 跡은 현대 표준 중국어에서 각각 1성(jī), 3성(jǐ), 4성(jì)으로 발음된다.
반면, 하강 방언(예: 난징 방언), 일부 서남 방언(예: 민강 방언), 그리고 진어(때로는 비관화 방언으로 분류됨)에서는 입성 운미가 완전히 사라지지 않고 성문 파열음 /ʔ/으로 남아 있다.[20] 이는 오어와 공유하는 특징이며, 고대 표준 중국어의 발음을 반영하는 것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이러한 방언들은 전통적으로 5개의 성조를 가진 것으로 간주되기도 하지만, 현대 언어학에서는 이러한 입성 음절을 별도의 성조로 보지 않는 경향이 있다.
하위 그룹 | 중고 한어 초성 종류에 따른 현대 성조 배분 | ||
---|---|---|---|
무성음 시작 입성 | 유성 마찰음/비음 시작 입성 | 유성 파열음/파찰음 시작 입성 | |
베이징 | 1, 3, 4성으로 분산 | 4성 | 2성 |
동북 | |||
교료 | 3성 | ||
기로 | 1성 | ||
중원 | 1성 | ||
란인 | 4성 | ||
서남 (대부분) | 2성 | ||
하강 | 입성 유지 (성문 파열음 /ʔ/ 동반) |
관화 방언들의 성조 체계는 대체로 유사하지만, 실제 음높이 변화(성조 윤곽)는 지역별로 상당히 다양하다.[20]
방언 지역 | 1성 (음평) | 2성 (양평) | 3성 (상성) | 4성 (거성) | 입성 (해당되는 경우) | |
---|---|---|---|---|---|---|
베이징 | 베이징 | 55 (높고 평탄) | 35 (중간 상승) | 214 (하강 상승) | 51 (높은 하강) | (없음) |
동북 | 하얼빈 | 44 (중상 평탄) | 24 (낮은 상승) | 213 (저 하강 상승) | 52 (높은 하강) | (없음) |
교료 | 옌타이 | 31 (중간 하강) | (55) (높고 평탄) | 214 (하강 상승) | 55 (높고 평탄) | (없음) |
기로 | 톈진 | 21 (낮은 하강) | 35 (중간 상승) | 113 (저 평탄 상승) | 53 (높은 하강) | (없음) |
스자좡 | 23 (낮은 상승) | 53 (높은 하강) | 55 (높고 평탄) | 31 (중간 하강) | (없음) | |
중원 | 정저우 | 24 (낮은 상승) | 42 (중상 하강) | 53 (높은 하강) | 312 (중 하강 상승) | (없음) |
뤄양 | 34 (중간 상승) | 42 (중상 하강) | 54 (높은 하강) | 31 (중간 하강) | (없음) | |
시안 | 21 (낮은 하강) | 24 (낮은 상승) | 53 (높은 하강) | 44 (중상 평탄) | (없음) | |
톈수이 | 13 (낮은 상승) | 53 (높은 하강) | 44 (중상 평탄) | (없음) | ||
란인 | 란저우 | 31 (중간 하강) | 53 (높은 하강) | 33 (중간 평탄) | 24 (낮은 상승) | (없음) |
인촨 | 44 (중상 평탄) | 53 (높은 하강) | 13 (낮은 상승) | (없음) | ||
서남 | 청두 | 44 (중상 평탄) | 21 (낮은 하강) | 53 (높은 하강) | 213 (저 하강 상승) | (없음) |
시창 | 33 (중간 평탄) | 52 (높은 하강) | 45 (중상 상승) | 213 (저 하강 상승) | 31ʔ (중 하강 입성) | |
쿤밍 | 44 (중상 평탄) | 31 (중간 하강) | 53 (높은 하강) | 212 (저 하강 상승) | (없음) | |
우한 | 55 (높고 평탄) | 213 (저 하강 상승) | 42 (중상 하강) | 35 (중간 상승) | (없음) | |
류저우 | 44 (중상 평탄) | 31 (중간 하강) | 53 (높은 하강) | 24 (낮은 상승) | (없음) | |
하강 | 양저우 | 31 (중간 하강) | 35 (중간 상승) | 42 (중상 하강) | 55 (높고 평탄) | 5ʔ (높은 입성) |
난퉁 | 21 (낮은 하강) | 35 (중간 상승) | 55 (높고 평탄) | 42 또는 213* | 4ʔ 또는 5ʔ* |
- 난퉁 지역과 그 주변 방언은 인접한 오어 방언의 영향으로 4개 이상의 성조를 갖는 경우가 많다.
또한, 많은 관화 방언에서는 단어의 두 번째 음절 등이 경성(輕聲)으로 발음되어 성조 윤곽이 매우 짧고 약해져 원래의 성조 구분이 모호해지는 경우가 흔하다. 이러한 경성 현상은 다른 중국어 방언에서도 나타나지만, 많은 남부 방언에서는 모든 음절의 성조가 명확하게 발음되는 경향이 있다.[20]
6. 어휘
표준 중국어를 제외하면, 관화는 다른 주요 중국어 방언(예: 상하이 방언)에 비해 다음절 단어가 더 많은 편이다. 이는 부분적으로 관화가 역사적으로 더 많은 음운 변화를 겪으면서 동음이의어가 늘어났고, 이를 구분할 필요가 생겼기 때문이다. 새로운 단어는 기존 단어에 老|lǎo중국어, 子|zi중국어, 儿|-r중국어, 头|tóu중국어와 같은 접사를 붙이거나, 匆忙|cōngmáng중국어(서두르다)처럼 의미가 비슷한 두 단어를 합쳐 합성어를 만드는 방식으로 만들어졌다. 蝴蝶|húdié중국어(나비)처럼 고대 중국어 시절부터 다음절이었던 단어도 일부 존재한다.
남서부 관화의 특징 중 하나는 명사 중첩을 자주 사용한다는 점인데, 이는 베이징 지역에서는 상대적으로 드물다. 예를 들어, 쓰촨에서는 '핸드백'을 包包|bāobāo중국어라고 부르는 반면, 베이징에서는 包儿|bāor중국어라고 한다.
관화의 단수 대명사는 '나'를 뜻하는 我|wǒ중국어, '너'를 뜻하는 你|nǐ중국어 또는 妳|nǐ중국어, '당신'(존칭)을 뜻하는 您|nín중국어, 그리고 '그/그녀/그것'을 뜻하는 他|tā중국어, 她|tā중국어, 它|tā중국어/牠|tā중국어가 있다. 복수형은 뒤에 们|-men중국어을 붙여 만든다. 또한, 듣는 사람을 포함하는 복수 1인칭 대명사인 咱们|zánmen중국어과 듣는 사람을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는 我们|wǒmen중국어을 구분한다. 관화 방언들은 이러한 대명사 체계에서 상당히 일치하는 모습을 보인다. 1인칭과 2인칭 단수 대명사는 다른 중국어 방언의 형태와 어원적으로 관련이 있지만, 나머지 대명사 체계는 관화에서 새롭게 발달한 특징으로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하이 방언에서는 '너'를 侬|nóng중국어, '그/그녀'를 伊|yī중국어라고 한다).
역사적으로 몽골 및 만주 민족과의 접촉으로 인해, 관화(특히 동북관화)에는 다른 중국어 방언에는 없는 몽골어와 만주어에서 유래한 차용어가 일부 존재한다. 대표적인 예로 '골목'을 뜻하는 胡同|hútòng중국어이 있다. 반면, 남부 중국어 방언들은 타이어족 언어, 오스트로아시아어족 언어[21] 및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에서 단어를 받아들였다.
현대에 들어서는 외국어에서 유래한 단어도 많이 사용된다. 예를 들어, 高尔夫|gāo'ěrfū중국어('골프'), 比基尼|bǐjīní중국어('비키니'), 汉堡包|hànbǎo bāo중국어('햄버거') 등이 있다.
청나라 시대 약 300년 동안 지배 언어였던 만주어의 영향으로 일부 만주어 어휘가 관화에 포함되기도 했다. 주로 궁중에서 사용되었지만, 帥|shuài중국어(멋지다, 洒脱하다)와 같이 오늘날에도 일상적으로 쓰이는 단어도 있다.[26] 다만, 현대 표준 중국어에서는 이러한 만주어 어휘를 대부분 배제하고 있다. 이는 오스만 제국의 오스만 튀르크어와 현대 튀르키예어의 관계와 유사한 측면이 있다.
일반적으로 어휘의 차이는 은어, 친족 관계를 나타내는 용어, 흔한 농작물과 가축의 이름, 기본적인 동사와 형용사 등 일상적인 용어에서 가장 크게 나타난다. 반면 과학, 법률, 정부와 관련된 전문 용어와 같이 공식적인 어휘에서는 방언 간 차이가 비교적 적다.
7. 문법
모든 시대의 중국어 방언들은 어순과 조사에 의존하여 분석적 언어의 대표적인 예로 여겨진다. 이는 굴절이나 접사 대신 인칭, 수, 시제, 법, 또는 격과 같은 문법 정보를 전달하기 때문이다. 현대 중국어 방언, 특히 북경어 방언들은 접미사와 유사한 방식으로 소수의 조사를 사용하지만, 여전히 강하게 분석적인 특징을 보인다.[1]
주어-동사-목적어(SVO)의 기본 어순은 중국어 방언 전반에 걸쳐 공통적이다. 그러나 이중목적어 문장에서 두 목적어의 순서는 방언에 따라 차이가 있다. 북부 방언에서는 간접목적어가 직접목적어 앞에 온다(영어와 유사). 예를 들어 표준 중국어에서는 다음과 같이 표현한다.
> 我 給 你 一本 書|wǒ gěi nǐ yìběn shū중국어
>
> 내가 너에게 책 한 권을 주다
반면, 남부 방언과 많은 남서부 및 장강 하류 방언에서는 목적어의 순서가 반대이다.[2][3]
대부분의 중국어 방언은 동사 뒤에 오는 조사를 사용하여 상을 나타내지만, 사용되는 조사는 다양하다. 대부분의 북경어 방언은 완료상을 나타내는 조사 了|le중국어와 진행상을 나타내는 着(著)|zhe중국어를 사용한다. 다른 중국어 방언들은 광둥어의 咗|zo2중국어와 紧(緊)|gan2중국어 등 다른 조사를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경험상을 나타내는 조사 过(過)|guo중국어는 남부 민어를 제외하고는 더 널리 사용된다.[3]
종속 접속사 的|de중국어는 북경어 방언의 특징이다.[1] 일부 남부 방언과 몇몇 장강 하류 방언은 조사 없이 종속 관계를 나타내는 더 오래된 패턴을 보존하고 있으며, 다른 방언에서는 분류사가 북경어의 조사와 같은 역할을 하기도 한다.[3]
특히 구어체 중국어에서는 문장 끝에 붙는 조사가 문장의 의미를 바꾸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많은 어휘와 마찬가지로, 문장 끝 조사는 지역에 따라 크게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대부분의 북부 방언에서 명백함이나 주장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조사 嘛|ma중국어는 남부에서는 哟(喲)|yo중국어로 대체된다.
북경어의 일부 한자는 영어의 접두사나 접미사처럼 특정 의미를 나타내기 위해 다른 한자와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어의 '-er' 접미사가 행위자를 의미하는 것처럼(예: teacher, 가르치는 사람), 북경어에서는 師(师)|shī중국어라는 한자가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가르치다'를 뜻하는 教|jiāo중국어와 결합하여 '선생님'(教師(教师)|jiàoshī중국어)이라는 단어를 형성한다.
일반적인 중국어 접두사와 접미사는 다음과 같다.
접사 | 발음 | 의미 | 예시 | 예시 의미 |
---|---|---|---|---|
们(們)|men중국어 | men중국어 | 사람 명사의 복수형 (-들) | 学生们(學生們)|xuéshēngmen중국어, 朋友们(朋友們)|péngyǒumen중국어 | 학생들, '친구들' |
可|kě중국어 | kě중국어 | 가능성 (-할 수 있는) | 可信|kěxìn중국어, 可笑|kěxiào중국어, 可靠|kěkào중국어 | 믿을 수 있는, 웃긴, '믿을 만한' |
重|chóng중국어 | chóng중국어 | 다시 (re-) | 重做|chóngzuò중국어, 重建|chóngjiàn중국어, 重新|chóngxīn중국어 | 다시 하다, 재건하다, '새롭게 하다' |
第|dì중국어 | dì중국어 | 서수 (-번째) | 第二|dì'èr중국어, 第一|dìyī중국어 | 두 번째, '첫 번째' |
老|lǎo중국어 | lǎo중국어 | 늙은, 또는 특정 유형의 사람에게 존경심 표시 | 老头(老頭)|lǎotóu중국어, 老板(老闆)|lǎobǎn중국어, 老师(老師)|lǎoshī중국어 | 노인, 사장, '선생님' |
化|huà중국어 | huà중국어 | -화(化)하다 (-ize, -en) | 公式化|gōngshìhuà중국어, 制度化|zhìdùhuà중국어, 強化|qiánghuà중국어 | 공식화하다, 제도화하다, '강화하다' |
家|jiā중국어 | jiā중국어 | 전문가 (-가, -er) | 作家|zuòjiā중국어, 科学家(科學家)|kēxuéjiā중국어, 艺术家(藝術家)|yìshùjiā중국어 | 작가, 과학자, '예술가' |
性|xìng중국어 | xìng중국어 | 성질 (-성, -ness, -ability) | 可靠性|kěkàoxìng중국어, 实用性(實用性)|shíyòngxìng중국어, 可理解性|kělijiěxìng중국어 | 신뢰성, 실용성, '이해 가능성' |
鬼|guǐ중국어 | guǐ중국어 | 특정 행위에 중독된 사람 (주로 경멸적, -aholic과 유사) | 煙鬼|yānguǐ중국어, 酒鬼|jiǔguǐ중국어, 胆小鬼(膽小鬼)|dǎnxiǎoguǐ중국어 | 골초, 주정뱅이, '겁쟁이' |
匠|jiàng중국어 | jiàng중국어 | 특정 분야의 기술자 (장인) | 花匠|huājiang중국어, 油漆匠|yóuqījiang중국어, 木匠|mùjiang중국어 | 정원사, 도장공, '목수' |
迷|mí중국어 | mí중국어 | 열렬한 팬 | 戏迷(戲迷)|xìmí중국어, 球迷|qiúmí중국어, 歌迷|gēmí중국어 | 연극 팬, 스포츠 팬, '음악 팬' |
师(師)|shī중국어 | shī중국어 | 직업 접미사 (-사) | 教师(教師)|jiàoshī중국어, 厨师(廚師)|chúshī중국어, 律师(律師)|lǜshī중국어 | 교사, 요리사, '변호사' |
참조
[1]
웹사이트
台灣手語簡介 (Taiwan shouyu jianjie)
https://web.archive.[...]
2009
[2]
웹사이트
Law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on the Standard Spoken and Written Chinese Language (Order of the President No.37)
http://www.gov.cn/en[...]
Chinese Government
2000-10-31
[3]
웹사이트
ROC Vital Information
http://www.taiwan.go[...]
Ministry of Foreign Affairs, Republic of China (Taiwan)
2014-12-31
[4]
웹사이트
http://www.gov.cn/zw[...]
[5]
서적
China in the Sixteenth Century: The Journals of Mathew Ricci
[6]
서적
Shorter Oxford English Dictionary
Oxford University Press
[7]
논문
The Vitality of Minority Languages in Malaysia
https://muse.jhu.edu[...]
2017
[8]
서적
Linguae Sinarum Mandarinicae hieroglyphicae grammatica duplex, latinè, & cum characteribus Sinensium
[9]
서적
A dictionary of the Chinese language: in three parts, Volume 1
https://archive.org/[...]
P.P. Thoms
[10]
웹사이트
The Slow Death of China's Dialects
https://www.mironlin[...]
2019-02-21
[11]
논문
Analysis of Computer Terminology Translation Differences between Taiwan and Mainland China
2014-09
[12]
논문
Code-switching and Identity Constructions in Taiwan TV Commercials
http://rportal.lib.n[...]
2012-04
[13]
웹사이트
Envisioning Chinese Identity and Multiracialism in Singapore
http://www.mixedrace[...]
[14]
서적
From Third World to First: The Singapore Story: 1965–2000
HarperCollins
[15]
웹사이트
In Myanmar's Remote Mongla Region, Mandarin Supplants The Burmese Language
https://www.rfa.org/[...]
2019-09-17
[16]
웹사이트
The Lost Hui: How a People from China Mastered the Cyrillic Alphabet and Found Themselves on the Other Side of the Celestial Mountains
https://www.vokrugsv[...]
[17]
웹사이트
Dispatch from the Chüy Valley Since ethnic violence in 2020, Dungans on the Kyrgyz-Kazakh border have straddled two different worlds
https://meduza.io/en[...]
[18]
웹사이트
Dungan
https://minlang.ilin[...]
Institute of Linguistics of the Russian Academy of Sciences
[19]
서적
北京语言大学出版社
2010
[20]
문서
Li Rong's 1985 article on Mandarin classification, quoted in Yan (2006, p. 61) and Kurpaska (2010, p. 89).
[21]
논문
The Austroasiatics in ancient South China: some lexical evidence
[22]
웹사이트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 Chinese (Mandarin)
https://www.ohchr.or[...]
[23]
웹사이트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https://www.un.org/e[...]
United Nations
[24]
웹사이트
Top 100 Languages by Population - First Language Speakers
http://www.davidpbro[...]
[25]
웹사이트
Top Ten Internet Languages - World Internet Statistics
http://www.internetw[...]
[26]
논문
清代における言語接触
http://id.nii.ac.jp/[...]
岩手大学人文社会科学部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