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어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어귀(Estuary)는 라틴어에서 유래되었으며, 강과 바다가 만나 담수와 해수가 섞이는 반폐쇄적인 해안 수역을 의미한다. 지형학적 분류에 따라 침수된 강 계곡, 바가 형성된 기수역, 피오르형 어귀, 구조형 어귀로 나뉘며, 물 순환 형태에 따라 염수 쐐기형, 부분 혼합형, 완전 혼합형, 역 어귀형, 간헐적 어귀형으로 분류된다. 어귀는 염분, 용존 산소 농도, 퇴적물 부하 등에서 큰 변동성을 보이며, 조석에 따라 변화하는 역동적인 시스템으로 다양한 생물종의 서식지 역할을 한다. 하지만 인간 활동으로 인한 오염과 과도한 어획, 하구둑 건설 등으로 생태적 기능이 훼손되고 있다. 세계적으로 콩고강 하구, 체서피크만, 템스강 어귀 등 다양한 어귀가 존재하며, 한국의 한강, 낙동강, 금강, 영산강 등도 하구둑 건설 등으로 인해 생태적 기능이 훼손된 상태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어업과 환경 - 조류 대증식
    조류 대증식은 수생 시스템에서 질소나 인의 과다 유입으로 인해 조류 농도가 비정상적으로 증가하는 현상으로, 물의 변색이나 투명도 감소를 야기하며, 유해 조류 대증식의 경우 독성 물질 생성, 해양 생물 폐사, 인간 건강 위협 등 심각한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 어업과 환경 - 배타적 경제 수역
    배타적 경제 수역은 유엔 해양법 협약에 따라 연안국이 자국 연안 200해리 이내에서 해양 자원 탐사, 개발, 보존 및 관리에 대한 주권적 권리를 가지는 수역으로, 타국 선박의 항행 등은 허용되지만 인접국 간 경계 획정 분쟁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 어업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 - 바다 쓰레기
    바다 쓰레기는 해양에 유입되어 축적되는 인공적인 폐기물로, 플라스틱을 포함한 다양한 물질로 구성되며 해양 생태계 파괴, 사회·경제적 문제 등을 야기하여 국제적 해결 노력이 진행 중이다.
  • 어업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 - 혼획
    혼획은 어업 활동 중 의도치 않게 잡히는 해양 생물 전체를 의미하며, 무분별한 어업 방식 등으로 인해 발생하여 해양 생태계를 파괴하고 멸종위기종에게 심각한 위협이 되므로, 혼획 감소를 위한 적극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 하천 지형 - 충적 평야
    충적 평야는 하천의 운반 작용으로 형성된 평야로, 농업에 적합하지만 홍수 위험이 높고, 연약 지반으로 인해 자연재해에 취약하다.
  • 하천 지형 - 삼각주
    삼각주는 강이 운반한 침전물이 하구나 하천 끝에서 쌓여 형성되는 지형으로, 그리스 문자 델타(Δ)와 유사한 형태를 띠며, 하천, 파랑, 조석 등의 요인에 따라 다양한 유형으로 나타나고, 비옥한 토지와 풍부한 수자원, 독특한 생태계로 인간과 생물에게 중요한 역할을 한다.
어귀
지리 정보
위치하구는 강이나 시내의 입구와 바다가 만나는 곳에 위치한다.
정의하구는 육지와 바다 사이의 전환 지대로, 강물과 바닷물이 섞이는 곳이다.
특징조석, 파도, 강물의 흐름과 같은 해양 및 하천 프로세스의 영향을 받는다.
염분담수와 해수가 혼합되어 염분 기울기가 나타난다.
유형
지형적 특징에 따른 분류침수된 강 계곡 (예: 체서피크 만)
석호형 또는 바다로 막힌 하구 (예: 노스캐롤라이나의 아우터 뱅크스)
피오르드형 하구 (예: 노르웨이)
단층형 하구 (예: 샌프란시스코 만)
물의 혼합에 따른 분류완전히 혼합된 하구
부분적으로 혼합된 하구
염분쐐기 하구
담수 하구
생태학적 중요성
서식지다양한 식물과 동물의 서식지를 제공한다.
종 다양성어류, 갑각류, 조류 등 다양한 종이 서식한다.
번식지많은 어종의 번식지 및 어린 개체의 서식지로 사용된다.
철새 기착지철새들에게 중요한 중간 기착지 역할을 한다.
인간과의 관계
경제적 가치어업, 양식업, 항만, 관광 등 다양한 경제 활동의 기반이 된다.
환경적 중요성오염 물질 정화, 홍수 조절, 해안선 보호 등 중요한 환경 서비스를 제공한다.
위협오염
매립
기후 변화
해수면 상승
외래종 유입
관리 및 보전
필요성하구의 생태적, 경제적 가치를 보전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방법오염 방지
서식지 복원
지속 가능한 이용
기후 변화 대응
추가 정보
관련 용어삼각강
석호
기수
참고 자료제공된 위키백과 문서 및 관련 서적 참고

2. 정의

"어귀(estuary)"는 라틴어 "aestuarium"(조수)에서 유래된 말로, 일반적으로 강과 바다가 만나 담수와 해수가 섞이는 반폐쇄적인 해안 수역을 의미한다. 가장 널리 알려진 정의는 "열린 바다와 자유롭게 물이 순환하는, 반쯤 육지로 둘러싸인 해안 수역으로, 해수가 육지에서 흐르는 담수에 의해 희석되는 곳"이다. 그러나 이 정의는 연안 석호기수와 같은 해안 수역은 포함하지 않는다.

더 포괄적인 정의는 "조수 한계(조수 변동이 거의 없는 상류 지점) 또는 염분 침입 한계까지 바다와 연결되고 담수 유출을 받는 반폐쇄 수역"이다. 이 정의는 담수 유입이 지속적이지 않거나, 바다와의 연결이 일시적으로 닫히거나, 조수 영향이 미미한 경우도 포함한다. 피요르드(협만), 석호, 하구, 조류 세곡 등이 여기에 해당된다. 어귀는 조수 리듬에 따라 해수가 드나드는 역동적인 생태계이며, 유입되는 해수는 강과 하천에서 흘러온 담수에 의해 희석된다. 희석 방식은 담수의 양, 조수 범위, 물의 증발 정도 등 어귀마다 다른 환경 요인에 따라 달라진다.

3. 분류

어귀는 형태, 강물 유입량, 조차(潮差)의 크기 등 세 가지 주요 요인에 따라 그 특징이 결정된다. 바람, 얼음, 코리올리 효과, 밀도 차이에 의한 물의 혼합, 조석, 강물 흐름의 변화 등 다양한 요인들이 복잡하게 작용하여 어귀의 물 순환 형태를 만들어낸다.[5]

3. 1. 지형학적 분류

침수된 강 계곡은 해안 평야 기수역이라고도 불린다. 해수면이 육지에 비해 상승하는 곳에서는 해수가 점차 강 계곡으로 침투하며, 기수역의 지형은 강 계곡과 유사하게 유지된다. 이는 온대 기후에서 가장 흔한 유형의 기수역이다. 잘 연구된 기수역으로는 영국의 세번 강 기수역과 네덜란드-독일 국경의 엠스 달라르트가 있다.[5] 이러한 기수역의 폭 대 깊이 비율은 일반적으로 크며, 내륙 부분에서는 쐐기 모양(단면)으로 나타나고 바다 쪽으로 넓어지고 깊어진다. 수심은 30m를 넘는 경우가 드물다. 미국의 이 유형의 기수역의 예로는 대서양 중부 해안을 따라 위치한 허드슨 강, 체서피크 만, 델라웨어 만과 걸프 해안을 따라 위치한 갈베스턴 만과 탬파 만이 있다.[5]

바(bar)가 형성된 기수역은 퇴적물의 퇴적이 해수면 상승에 따라 유지되어 기수역이 얕고 모래 곶이나 사주로 바다와 분리된 곳에서 발견된다. 이러한 기수역은 열대 및 아열대 지역에서 비교적 흔하다. 이러한 기수역은 방파제 해변 (사주 및 곶)에 의해 해양으로부터 반쯤 고립된다. 방파제 해변의 형성은 기수역을 부분적으로 둘러싸며, 좁은 입구만이 해양과 연결을 허용한다. 바(bar)가 형성된 기수역은 일반적으로 대륙의 지각적으로 안정된 가장자리와 연안 해역을 따라 위치한 완만한 경사 평원에서 발달한다. 이들은 미국 대서양 및 멕시코만 연안을 따라 퇴적물이 활발하게 퇴적되고 조석 차이가 4m 미만인 지역에 광범위하게 분포한다.

피오르(Fjord)는 홍적세 빙하가 기존의 강 계곡을 깊게 하고 넓혀 단면이 U자 모양이 되면서 형성되었다. 입구에는 일반적으로 빙퇴석으로 이루어진 암석, 사주 또는 실이 있어 하구 순환을 변경하는 효과가 있다. 피오르(Fjord)형 하구는 빙하에 의해 형성된 깊이 침식된 계곡에서 형성된다. 이러한 U자형 하구는 일반적으로 가파른 측면, 암반 바닥 및 빙하의 움직임에 의해 윤곽이 그려진 수중 실을 가지고 있다. 하구는 말단 빙하 퇴적구 또는 암석 사주가 수류를 제한하는 실을 형성하는 입구에서 가장 얕다. 하구의 상류에서는 깊이가 300m를 초과할 수 있다. 피오르형 하구는 알래스카, 워싱턴주 서부의 퓨젯 사운드, 브리티시컬럼비아, 캐나다 동부, 그린란드, 아이슬란드, 뉴질랜드, 칠레, 노르웨이 해안에서 찾을 수 있다.

이러한 어귀는 단층 작용, 화산 활동, 산사태와 관련된 지반 침강 또는 육지 이동에 의해 형성된다. 홀로세 지질 시대 동안의 유스타시 해수면 상승으로 인한 범람 또한 이러한 어귀 형성에 기여했다. 구조 운동에 의해 생성된 어귀는 소수이며, 그 예로는 샌프란시스코 만이 있다. 샌프란시스코 만은 샌 안드레아스 단층 시스템의 지각 운동으로 인해 새크라멘토 강과 샌 호아킨 강 하류가 범람하면서 형성되었다.[6]

3. 2. 물 순환 형태에 따른 분류

염수 쐐기는 강물의 유출량이 해수 유입량보다 훨씬 많고 조석의 영향이 미미한 경우에 나타나는 형태이다. 이 경우 담수는 바닷물 위에 떠서 바다 쪽으로 얇아지는 층을 형성한다. 밀도가 더 높은 해수는 강 어귀 바닥을 따라 육지 쪽으로 이동하여 쐐기 모양의 층을 형성하는데, 육지에 가까워질수록 얇아진다. 두 층 사이에 속도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전단력은 계면에서 내부 파동을 생성하여 해수를 담수와 위쪽으로 혼합시킨다. 미시시피 강[6]과 한국의 낙동강 하구 등이 염수 쐐기형 어귀에 해당한다.

부분 혼합형 어귀는 조석력이 증가하여 하천 유출량과 해양 유입량이 비슷해지는 경우에 나타난다. 해류에 의해 유발된 난류는 전체 수주를 혼합시켜 염도가 수직보다는 종 방향으로 더 많이 변화하게 하여 중간 정도의 층상 조건을 이룬다. 체서피크 만과 내러개싯 만이 부분 혼합형 어귀의 예시이다.[6]

완전 혼합형 어귀는 조석 혼합력이 강하여 수직적 염분 구배가 사라지는 경우이다. 격렬한 난류와 와동 효과로 인해 담수-해수 경계가 사라진다. 델라웨어 만 하구와 뉴저지주의 래리탄 강 하류가 이에 해당한다.[6]

역(逆) 어귀형은 증발량이 담수 유입량을 초과하는 건조 기후에서 발생한다. 염분 최대 구역이 형성되며, 강물과 해수는 표면 근처에서 이 구역을 향해 흐른다. 이 물은 아래로 밀려 내려가 해안 쪽과 내륙 쪽 모두 바닥을 따라 퍼진다. 스펜서 만,[8] 살룸 강, 카사망스 강 등이 역 어귀형의 예시이다.[9]

간헐적 어귀형은 담수 유입량에 따라 다양한 유형으로 변화하는 어귀를 말한다.[10][11]

4. 물리화학적 특징

어귀 수역은 염분, 용존 산소 농도, 탁도 등에서 큰 변동성을 보인다. 염분은 유입되는 하천의 조수 한계에서 거의 0에 가까운 값에서 어귀 입구의 3.4%까지 공간적으로 큰 차이를 보인다. 특정 지점에서도 시간과 계절에 따라 염분 변화가 커서 생물에게 가혹한 환경을 조성한다.[12]

퇴적물은 조간대 갯벌에 쌓이는데, 이는 생물이 정착하기 어려운 환경을 만든다. 조류가 부착할 곳이 없어 식생 기반 서식지가 형성되지 않으며, 퇴적물은 생물의 섭식 및 호흡을 방해할 수 있다. 갯벌 생물들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특별히 적응했다.[12]

용존 산소 변화 역시 생물에게 큰 영향을 준다. 인위적인 영양분이 풍부한 퇴적물은 1차 생산을 촉진하고, 이는 부패로 이어져 물속 산소를 고갈시킨다. 그 결과 저산소 또는 무산소 구역이 발생할 수 있다.[12]

이러한 변동성은 생물에게 가혹한 환경을 조성하기도 하지만, 한편으로는 높은 생산성을 유발하기도 한다.

5. 생물학적 특징

어귀는 온도, 염도, 탁도, 깊이, 그리고 흐름이 조수에 따라 매일 변화하는 역동적인 시스템이다. 이러한 역동성은 어귀를 생산성이 높은 서식지로 만들지만, 많은 종들이 일년 내내 생존하기는 어렵게 만든다. 그 결과, 크고 작은 어귀는 어류 군락에서 강한 계절적 변화를 겪는다. 겨울철에는 강인한 해양 거주자들이 어류 군락을 지배하고, 여름철에는 다양한 해양 어류와 소하성 어류들이 어귀를 드나들며 높은 생산성을 이용한다. 어귀는 생활사 완성을 위해 어귀에 의존하는 다양한 종에게 중요한 서식지를 제공한다. 태평양 청어는 강어귀와 만에 알을 낳고, 인상어는 강어귀에서 출산하며, 어린 넙치와 볼락은 강어귀로 이동하여 성장한다. 소하성 연어칠성장어는 어귀를 이동 경로로 사용하며,[29] 흑꼬리도요와 같은 철새도 어귀에 의존한다.[30]

어귀 생물이 겪는 두 가지 주요 과제는 염도와 침전물의 변화이다. 많은 어종과 무척추동물은 염분 농도 변화에 적응하거나 조절하는 다양한 방법을 가지고 있으며, 이들을 삼투압 순응자와 삼투압 조절자라고 부른다. 많은 동물들이 포식을 피하고 안정적인 침전 환경에서 살기 위해 굴을 판다. 그러나 많은 수의 박테리아가 침전물 속에서 발견되는데, 이들은 매우 높은 산소 요구량을 갖는다. 이는 침전물 내 산소 농도를 감소시켜 부분적인 무산소 수역 상태를 초래하며, 제한된 물 흐름으로 인해 더욱 악화될 수 있다.

식물성 플랑크톤은 어귀의 주요 생산자이다. 이들은 물과 함께 움직이며 조수를 통해 안팎으로 이동한다. 식물성 플랑크톤의 생산성은 물의 탁도에 크게 의존한다. 현재 존재하는 주요 식물성 플랑크톤은 침전물에 풍부하게 존재하는 돌말류와 와편모조류이다. 박테리아를 포함하여 어귀에 서식하는 많은 생물들의 주요 식량원은 침전물에서 나오는 유기물 찌꺼기이다.

삼각강에서는 민물과 소금물이 섞여 해양과는 다른 독특한 환경이 만들어진다.[45] 또한, 환경을 결정하는 여러 조건의 변동 폭이 크다.[45] 상대적으로 큰 역동성에 적응한 생물군계가 형성되는 경우가 있다.[45] 섞임의 정도에 따라 영양염 농도가 변화하기 때문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생물 군집도 변화하고 어업에서의 이용 형태도 변화하고 있다.[46]

5. 1. 해양 생물에 미치는 영향

어귀는 온도, 염분, 탁도, 수심 및 흐름이 조수에 따라 매일 변화하는 믿을 수 없을 정도로 역동적인 시스템이다. 이러한 역동성으로 인해 어귀는 생산성이 높은 서식지가 되지만, 많은 종이 일년 내내 생존하기 어렵게 만들기도 한다. 결과적으로 크고 작은 어귀는 물고기 군집에 강한 계절적 변화를 겪는다.[27] 겨울에는 튼튼한 해양 서식종이 물고기 군집을 지배하고, 여름에는 다양한 해양 및 소상성 어류가 어귀로 드나들며 높은 생산성을 활용한다.[28] 어귀는 생활사 완성을 위해 어귀에 의존하는 다양한 종에게 중요한 서식지를 제공한다. 태평양 청어(Clupea pallasii)는 어귀와 만에서 알을 낳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놀래기는 어귀에서 새끼를 낳고, 어린 가자미와 쏨뱅이는 어귀로 이동하여 성장하며, 소상성 연어칠성장어는 어귀를 이동 통로로 사용한다.[29] 또한 철새 개체군, 예를 들어 검은꼬리수중도요[30]는 어귀에 의존한다.

어귀 생물의 주요 과제 중 두 가지는 염분퇴적의 가변성이다. 많은 종의 물고기무척추동물은 염분 농도의 변화를 제어하거나 적응하는 다양한 방법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삼투압 순응자와 삼투압 조절자라고 한다. 또한 많은 동물들은 굴을 파서 포식을 피하고 더 안정적인 퇴적 환경에서 생활한다. 그러나 많은 수의 박테리아가 퇴적물 내에서 발견되며 산소 요구량이 매우 높다. 이것은 퇴적물 내의 산소 수준을 감소시켜 종종 부분적인 무산소 수역 상태를 초래하며, 이는 제한된 물 흐름으로 인해 더욱 악화될 수 있다.

5. 2. 부영양화의 영향

부영양화는 질소, 인과 같은 영양염류가 하구 등에 너무 많아져서 생기는 문제이다. 이러한 영양염류 과잉은 생태계의 생지화학적 순환에 불균형을 일으킨다.[13][14] 물속 식물과 조류가 갑자기 많이 자라면서 이산화탄소(CO|CO2영어) 배출량이 늘어나고, 물속에 녹아 있는 산소는 줄어들어 물고기 등이 살기 어려워진다.[15][16] 또한, 바닷물이 산성을 띠게 되어(해양 산성화) 하구와 같이 약한 연안 지역에 더 큰 피해를 준다.[16]

저어새가 물가에서 노니는 소금 습지


부영양화는 염습지나 맹그로브 숲과 같은 하구 생태계에도 나쁜 영향을 미친다.[17][19] 염습지에서는 갯끈풀이라는 식물이 많이 자라는데, 영양분이 너무 많으면 땅 위쪽 부분만 빨리 자라고 뿌리는 약해져서 땅이 쉽게 침식된다.[17][18][19] 맹그로브 숲에서도 비슷한 문제가 발생하여 나무가 가뭄에 약해지고 결국 죽게 된다.[19][20]

흰 물고기의 예


부영양화는 물고기에게도 영향을 준다. 식물이 죽으면서 먹이 사슬 전체가 망가져 물고기들이 죽을 수 있다. 특히 하구는 다양한 생물이 살고 상업적으로 중요한 어획량이 많은 곳이라 피해가 더 크다.[21] 예를 들어, 알프스의 흰 물고기는 부영양화로 인해 산소가 부족해져 알이 살아남지 못하고 지역적으로 멸종되기도 했다.[22] 반면, 농어파이크와 같은 육식성 물고기는 오히려 번성하기도 한다.[23]

상업 어선


부영양화는 어업에도 영향을 미쳐 경제적 손실을 가져올 수 있다. 조류 대번식이 일어나면 처음에는 물고기가 늘어나는 것처럼 보이지만, 결국 산소 부족으로 물고기가 줄어들어 어획량이 감소한다.[25] 이는 어업 종사자들에게 직접적인 피해를 준다.[26] 2016년 미국의 경우, 어업 생산 감소는 국내 총생산(GDP)에 수십억 달러의 손실을 가져왔고, 어업에 종사하는 170만 명의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쳤다.[24]

6. 인간의 영향

1990년대 초, 세계 32대 도시 가운데 22개 도시가 어귀에 위치할 정도로 인간 활동이 집중되었다.[31] 하수, 해안 정착지, 토지 개간 등과 더불어 산업, 농업 및 생활 폐기물이 강으로 유입되어 어귀로 배출되면서 어귀 생태계는 위협받고 있다.[32] 이 과정에서 플라스틱, 살충제, 퓨란, 다이옥신, 페놀, 중금속 등 해양 환경에서 빠르게 분해되지 않는 오염 물질이 유입될 수 있다.[32]

이러한 독소는 생물 농축이라는 과정을 통해 많은 수생 생물의 조직에 축적될 수 있다. 또한 어귀 및 만 갯벌과 같은 저서 환경에도 축적된다.[33] 예를 들어, 중국 및 러시아의 산업 오염은 아무르강의 어류 개체군을 황폐화시키고 어귀 토양을 손상시켰다.[34]

어귀는 육지 유출수가 영양분을 어귀로 배출하기 때문에 자연적으로 부영양화되는 경향이 있다. 인간 활동으로 인해 육지 유출수에는 농업 비료, 가축 및 인간의 폐기물 등 많은 화학 물질이 포함된다. 물속에 산소를 고갈시키는 화학 물질이 과도하게 많으면 저산소증이 발생하고 데드 존이 생성될 수 있다.[35] 이는 수질, 물고기 및 기타 동물 개체군의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

과도한 어획 또한 어귀 생태계에 문제를 일으킨다. 체서피크만은 한때 번성했던 개체군을 가지고 있었지만 과도한 어획으로 거의 멸종되었다. 굴은 오염 물질을 걸러내어 먹거나 바닥에 무해하게 쌓이는 작은 덩어리로 만들어 생태계 정화에 기여했다. 역사적으로 굴은 3~4일마다 어귀의 모든 물을 정화했지만, 오늘날 그 과정은 거의 1년이 걸린다.[36]

7. 주요 어귀 (전 세계)

아프리카



아시아



유럽



북아메리카



오세아니아



남아메리카


참조

[1] 서적 Estuaries
[2] 서적 The Estuarine Ecosystem: Ecology, Threats and Management Oxford University Press
[3] 서적 Estuarine Ecohydrology Elsevier
[4] 간행물 Can navigation locks be used to help migratory fishes with poor swimming performance pass tidal barrages? A test with lampreys
[5] 간행물 Tampa Bay environmental atlas http://www.nwrc.usgs[...] 2010-01-12
[6] 서적 Ecology of Estuaries. Volume I: Physical and Chemical Aspects CRC Press
[7] 간행물 An evaporation-driven salinity maximum zone in Australian tropical estuaries
[8] 서적 Spencer Gulf: Geological setting and evolution. Royal Society of South Australia Inc.
[9] 간행물 Inverse Estuaries in West Africa: Evidence of the Rainfall Recovery? 2020
[10] 웹사이트 Oceanography Notes Ch. 12: Estuaries http://www.es.flinde[...] 2006-11-30
[11] 서적 Estuarine Ecology A. A. Balkema
[12] 서적 Marine Ecology. Processes, Systems and Impacts Oxford University Press
[13] 간행물 Nitrogen as the limiting nutrient for eutrophication in coastal marine ecosystems: Evolving views over three decades 2006
[14] 간행물 Coupled biogeochemical cycles: eutrophication and hypoxia in temperate estuaries and coastal marine ecosystems 2011
[15] 간행물 Eutrophication Drives Extreme Seasonal https://link.springe[...] 2021
[16] 서적 Eutrophication and Hypoxia in Coastal Areas https://www.wri.org/[...] World Resources Institute 2008
[17] 간행물 Coastal eutrophication as a driver of salt marsh loss http://dx.doi.org/10[...] 2012
[18] 간행물 Rapid shoreward encroachment of salt marsh cordgrass in response to accelerated sea-level rise 2001
[19] 간행물 Nutrient Enrichment Increases Mortality of Mangroves 2009
[20] 간행물 Fine-scale movement and assimilation of carbon in saltmarsh and mangrove habitat by resident animals http://dx.doi.org/10[...] 2005
[21] 간행물 Patterns of fish use in urban estuaries: Engineering maintenance schedules to protect broader seascape habitat 2020
[22] 간행물 Eutrophication causes speciation reversal in whitefish adaptive radiations https://ec.europa.eu[...] 2012
[23] 간행물 Top-down control in freshwater lakes: The role of nutrient state, submerged macrophytes and water depth http://dx.doi.org/10[...] Springer Netherlands 2022-04-20
[24] 간행물 Estuarine Fish and Shellfish Species in US commercial and Recreational Fisheries: Economic Value as an Incentive to Protect and Restore Estuarine Habitat 2008
[25] 간행물 Compensatory Responses of Nile Tilapia Oreochromis niloticus under Different Feed-Deprivation Regimes 2012-12-30
[26] 간행물 Economic and Ecosystem Effects of Fishing on the Northeast US Shelf 2019
[27] 학위논문 Seasonal fish and invertebrate communities in three northern California estuaries https://digitalcommo[...] Humboldt State University 2017-12
[28] 간행물 Seasonal abundance, composition and productivity of the littoral fish assemblage in Upper Newport Bay, California https://spo.nmfs.noa[...] 1982
[29] 간행물 Evidence of connectivity between juvenile and adult habitats for mobile marine fauna: An important component of nurseries
[30] 간행물 The buffer effect and large-scale population regulation in migratory birds
[31] 서적 Introduction to Oceanography Harper Collins College Publishers
[32] 간행물 Estuarine vulnerability and ecological impacts
[33] 간행물 Total and extractable elemental composition of the intertidal estuarine biofilm of the Río de la Plata: Disentangling natural and anthropogenic influences
[34] 웹사이트 Indigenous Peoples of the Russian North, Siberia and Far East: Nivkh http://www.npolar.no[...]
[35] 서적 Marine Pollution: Diagnosis and Therapy https://archive.org/[...] Springer
[36] 웹사이트 Oyster Reefs: Ecological importance http://habitat.noaa.[...] US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08-01-16
[37] 웹사이트 Dawei(Tavoy) https://myanmarholid[...] 2019-06-14
[38] 웹사이트 สัณฐานชายฝั่ง - ระบบฐานข้อมูลทรัพยากรทางทะเลและชายฝั่ง กรมทรัพยากรทางทะเลและชายฝั่ง https://km.dmcr.go.t[...]
[39] 학술지 Residual Flow in the Meghna Estuary on the Coastline of Bangladesh
[40] 학술지 Spatial and seasonal distribution of Intertidal Macrobenthos with their biomass and functional feeding guilds in the Naf River estuary, Bangladesh
[41] 웹사이트 พื้นที่ชุ่มน้ำในประเทศไทย http://wetland.onep.[...] 2019-02-07
[42] 웹사이트 The Amazon River Estuary http://etaisweb.weeb[...]
[43] 간행물 河口域および内湾域におけるエスチュアリー循環流
[44] 서적 Hydrodynamics of Estuaries: Volume I Estuarine Physics https://books.google[...] CRC Press
[45] 웹사이트 Definition of estuaries; empirical estuary classification https://www.mt-ocean[...] 2020-02-20
[46] 간행물 三河湾における栄養塩の低下 愛知県水産試験場
[47] 서적 英国のOFF 上手な人生の休み方 新潮社
[48] 간행물 愛知県衣浦湾の沖積層下底面の地形について 日本地理学会
[49] 간행물 沖縄島北東部、大浦川河口付近における三角州の発達と異常堆積物
[50] 서적 해양의 이해
[51] 서적 해양의 이해
[52] 서적 해양의 이해
[53] 서적 해양의 이해
[54] 서적 해양의 이해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