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스피그메누 수도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스피그메누 수도원은 그리스 아토스 산에 위치한 정교회 수도원이다. 이름은 그리스어로 "조여진"을 의미하며, 5세기에 설립되었다는 전승이 있으나, 10세기 또는 11세기부터 존재했음이 확인된다. 오스만 제국 점령기까지 번영했지만, 해적의 습격과 화재, 토지 분쟁 등으로 쇠퇴했다. 18세기 이후 재건되었으며, 현재는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청과의 분쟁으로 인해 논란의 중심에 있다. 수도원은 중요한 건축물과 문화재를 소장하고 있으며, 아토스 산의 행정 체제와 관련하여 독자적인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토스산의 수도원 - 이비론 수도원
이비론 수도원은 980년에서 983년 사이에 그루지야 수도사 이오안 이베리와 이오안 토르니케의 감독 하에 건설되었으며, 아토스 산의 20개 독립 수도원 중 세 번째로 순위가 높다. - 아토스산의 수도원 - 힐란다르
힐란다르는 그리스 아토스 산에 위치한 세르비아 정교회 수도원으로, 1198년 세르비아에 기증되어 스테판 네마냐에 의해 설립되었으며, 수많은 성물과 필사본을 소장하고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에스피그메누 수도원 | |
---|---|
기본 정보 | |
![]() | |
공식 명칭 | 신성하고 총대주교적이며 스타브로페기아 수도원 에스피그메누 |
헌정 | 그리스도 승천 |
위치 | 아토스 산, 그리스 |
일반 정보 | |
종파 | 동방 정교회 |
관할 | 아토스 산 |
수도원장 | 아르키만드라이트 엘더 메소디우스 (파팔람브라코풀로스) (사실상); 아르키만드라이트 엘더 바르톨로메오 (가제타스) (법률상) |
설립자 | 테오도시우스 2세 & 풀케리아 (아토스 전통에 따름) |
상태 | 논쟁 중 분열된 공동체 |
접근 | 남성만 가능 |
기타 | |
좌표 | 40.352689, 24.138053 |
2. 이름
수도원의 이름은 그리스어로 "조여진"을 의미한다. 수도원 이름의 유래에 관해서는 두 가지 전승이 전해진다. 하나는 수도원이 세 개의 언덕과 바다에 의해 조여진 좁은 땅에 세워졌다는 것이다. 비잔티움 황제 요안니스 콤네소스는 그의 저서 ''프로스키네타리온 투 아기우 오루스 투 아토노스''(그리스어: Προσκυνητάριον του Αγίου Όρους του Άθωνος)에서 이 수도원을 다음과 같이 묘사했다.[2]
이 곳은 "에스피그메누"라고 불린다. 왜냐하면, 세 개의 산과 아주 가까이의 바다에 의해 한정되어 있기 때문이다.[3][4]
다른 전승에 따르면, 수도원을 창건하거나 재건한 수도승이 허리에 꽉 조이는 밧줄을 착용했기 때문에 "조여진"이라는 이름을 얻었다고 한다.
3. 역사
아토스산의 전승에 따르면 이 수도원은 5세기 비잔티움 제국 황제 테오도시우스 2세와 그의 누이 풀케리아에 의해 창건되었다고 한다. 같은 전승에 따르면, 초기의 이 수도원은 가까운 언덕에서 떨어진 거대한 바위로 인해 파괴되었다고 한다. 그러나 역사적, 고고학적 증거는 이 전승을 확실하게 뒷받침하지 못하므로, 수도원의 정확한 창건 시기와 창건자를 정확히 밝힐 수는 없다.
하지만, 이 수도원이 이미 10세기 또는 11세기에 존재했다는 증거는 확실하다. 이 수도원은 크세로포타무의 파울로스의 1061년 서신에서 참조된다. 칼키의 수사 데메트리우스의 1030년 유언에는 자신을 "에스피그메누 수도원의 수사이며 대수도원장인 테오크티스토스"라고 칭하는 수사가 서명했다. 최종적으로 이 수도원은 아토스산의 1046년 두 번째 봉사례에서 언급된다.[1]
요안니스 5세 팔레올로고스와 같은 비잔티움 제국의 황제들과 스테판 두샨, 조르제 브란코비치 같은 세르비아 등 정교회 국가 통치자들의 지원으로 오스만 제국 정복 이전까지 크게 번성했다.[1] 그러나 해적의 습격, 14세기의 두 차례 대화재, 바토페디 수도원과의 토지 분쟁으로 쇠퇴했다.[1] 결국 수도원은 폐허가 되어 힐란다르 수도원과 조그라프 수도원이 토지를 가로채면서 법적 분쟁이 발생했다.[1]
16세기, 이 수도원은 51명의 수사들에 의해 재건되었다. 1655년에는 러시아의 차르 알렉세이 1세가 수사들에게 5년마다 러시아를 방문하여 기금을 모금할 수 있도록 허락했다. 다뉴브 공국의 통치자들도 수도원에 많은 기부를 하였다.
18세기 초, 멜레니콘의 주교 그레고리오스는 수도원에 기부금을 지원하고 수도원 보수에 착수했다. 테살로니키의 주교 다니엘은 수도원 재정을 관리하고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 게라시무스 3세의 동의를 얻어 수도원을 케노비움 (공동 수도원)으로 만들었다.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 그레고리우스 5세는 1797년에 수도원 남동부를 재건축했다.
이후 아카키우스, 에우티미우스, 테오도리투스, 아가탕켈루스 등 유능한 대수도원장들이 수도원을 보수하고 확장했다. 아가탕켈루스의 후임 루카스는 성상화 학교를 설립하여 수도원에 기여했다.
그리스 독립 전쟁 기간 동안, 수도원은 아토스 반도 북쪽에 위치하여 오스만 제국군에게 큰 피해를 입었지만, 어느 정도 번영을 유지했다. 마케도니아 투쟁 기간 동안에는 그리스 게릴라들을 지원했다.[1]
3. 1. 초기 역사
아토스산의 전승에 따르면 이 수도원은 5세기 비잔티움 제국 황제 테오도시우스 2세와 그의 누이 풀케리아에 의해 창건되었다고 한다. 같은 전승에 따르면, 초기의 이 수도원은 가까운 언덕에서 떨어진 거대한 바위로 인해 파괴되었다고 한다. 그러나 역사적, 고고학적 증거는 이 전승을 확실하게 뒷받침하지 못하므로, 수도원의 정확한 창건 시기와 창건자를 정확히 밝힐 수는 없다.하지만, 이 수도원이 이미 10세기 또는 11세기에 존재했다는 증거는 확실하다. 이 수도원은 크세로포타무의 파울로스의 1061년 서신에서 참조된다. 칼키의 수사 데메트리우스의 1030년 유언에는 자신을 "에스피그메누 수도원의 수사이며 대수도원장인 테오크티스토스"라고 칭하는 수사가 서명했다. 최종적으로 이 수도원은 아토스산의 1046년 두 번째 봉사례에서 언급된다.[1]
3. 2. 중세 시대
요안니스 5세 팔레올로고스와 같은 비잔티움 제국의 황제들과 스테판 두샨, 조르제 브란코비치 같은 세르비아 등 정교회 국가 통치자들의 지원으로 오스만 제국 정복 이전까지 크게 번성했다.[1] 그러나 해적의 습격, 14세기의 두 차례 대화재, 바토페디 수도원과의 토지 분쟁으로 쇠퇴했다.[1] 결국 수도원은 폐허가 되어 힐란다르 수도원과 조그라프 수도원이 토지를 가로채면서 법적 분쟁이 발생했다.[1]3. 3. 근대
16세기, 이 수도원은 51명의 수사들에 의해 재건되었다. 1655년에는 러시아의 차르 알렉세이 1세가 수사들에게 5년마다 러시아를 방문하여 기금을 모금할 수 있도록 허락했다. 다뉴브 공국의 통치자들도 수도원에 많은 기부를 하였다.18세기 초, 멜레니콘의 주교 그레고리오스는 수도원에 기부금을 지원하고 수도원 보수에 착수했다. 테살로니키의 주교 다니엘은 수도원 재정을 관리하고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 게라시무스 3세의 동의를 얻어 수도원을 케노비움으로 만들었다.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 그레고리우스 5세는 1797년에 수도원 남동부를 재건축했다.
이후 아카키우스, 에우티미우스, 테오도리투스, 아가탕켈루스 등 유능한 대수도원장들이 수도원을 보수하고 확장했다. 아가탕켈루스의 후임 루카스는 도상 학교를 설립하여 수도원에 기여했다.
그리스 독립 전쟁 기간 동안, 수도원은 아토스 반도 북쪽에 위치하여 오스만 제국군에게 큰 피해를 입었지만, 어느 정도 번영을 유지했다. 마케도니아 투쟁 기간 동안에는 그리스 게릴라들을 지원했다.[1]
4.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청과의 분쟁
아토스산의 다른 수도원, 스키테, 수도사들과 마찬가지로 에스피그메누 수도원은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청과 수십 년간 분쟁을 겪고 있다.
아토스 산 수도 공동체는 세계 총대주교의 직접적인 영적 관할하에 있으며, 모든 아토스 수도사들은 교회법에 따라 총대주교를 기념해야 한다. 그러나 1970년대부터 에스피그메누 수도원은 에큐메니컬 운동에 대한 반대를 이유로 세계 총대주교를 기념하는 것을 거부해왔다. 이들은 정교회 교회법상 금지된 이교도와의 공동 기도, 로마 가톨릭교회와의 대화 등에 반대한다.
에스피그메누 수도원 수사들은 "정교회 아니면 죽음"이라는 구호를 내걸고, 스스로를 "진정한 정교회 기독교인"으로 여기며 다른 아토니테(총대주교 기념자)들을 에큐메니컬주의 이단자로 간주한다. 이들은 다른 수도 공동체와 단절되어 있으며, 카리에스의 아토스 행정 센터에서 열리는 공동 회의에도 참석하지 않는다.
2002년 바르톨로메오스 1세 총대주교는 에스피그메누 수도원을 분열 상태로 선언했다.[17] 그리스 헌법은 분열주의자의 아토스 거주를 금지하므로, 테살로니키 법원은 수도원 퇴거 명령을 내렸으나, 수도원 측은 불응했다.[18]
세계 총대주교청은 에스피그메누 내 분열주의 수도사들을 불법으로 선언하고, 2005년 새로운 에스피그메누 수도회 설립을 승인했다. 2006년, 새로운 수도회 회원들이 카리에스에 있는 수도원 사무실에 강제로 들어가려 시도하면서 충돌이 발생했고, 7명의 수도사가 심각한 부상을 입었다.[19][20][21]
2007년, 테살로니키 지방 검사는 에스피그메누 수도사들을 15만 유로 이상의 재산 횡령 혐의로 기소했다.[22] 2013년에는 '구' 에스피그메누 수도사들이 경찰에게 화염병을 던진 혐의 등으로 기소되어 재판을 받았다. 수도원장 메서디오스와 주동자 안티파스 수도사는 2019년 징역 17년과 벌금 600유로를 선고받았고, 다른 6명의 수도사들은 징역 9년 5개월을 선고받았다.[12]
2020년, 그리스 대법원은 '구' 에스피그메누 공동체가 제기한 항소를 기각하고, 아토스 산 안팎의 모든 점유 영토를 새로운 에스피그메누 수도회에 넘겨주도록 명령했다.[13]
2024년 현재, 분쟁은 계속되고 있으며, '구' 에스피그메누 수도사들은 여전히 수도원 건물과 카리에스에 있는 행정 건물을 점거하고 있다. "Orthodoxia i Thanatos"(Ορθοδοξία ή Θάνατος, "정교회 아니면 죽음")라는 슬로건이 적힌 현수막이 여전히 수도원에 걸려 있다.[14][15]
4. 1. 한국의 관점
대한민국에서는 에스피그메누 수도원과 세계 총대주교청 간의 분쟁을 종교적 자유와 전통의 가치에 대한 논쟁으로 인식하고 있다. 특히, 진보 진영에서는 세계 총대주교청의 에큐메니컬 운동을 지지하며, 에스피그메누 수도원의 강경한 입장에 대해 비판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다. 이들은 에스피그메누 수도원이 에큐메니컬 총대주교를 에큐메니컬주의자라고 비난하며 총대주교 기념을 거부하고, 로마 가톨릭교회와의 대화에 반대하는 것에 대해 부정적으로 평가한다.[17]반면, 보수 진영에서는 에스피그메누 수도원의 전통 수호 입장을 옹호하며, 세계 총대주교청의 개방적인 태도에 대해 우려를 표명하고 있다. 이들은 에스피그메누 수도원이 '정교회' 아니면 '죽음'이라는 구호를 내걸고 정교회 신앙을 지키려 노력하는 점을 긍정적으로 평가한다.
2002년 바르톨로메오스 1세 총대주교가 에스피그메누 수도원을 분리 상태로 선언하고,[17] 테살로니키 법원이 수도원 퇴거 명령을 내렸음에도[18] 수도원 측이 불응한 사건은 대한민국 내에서도 종교적 신념과 법적 권위 간의 충돌 문제로 주목받았다.
5. 건축
이 수도원은 직사각형 벽으로 둘러싸인 넓은 안마당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다. 안마당 중앙에는 카톨리콘이 있고, 그 주위로 수도사들의 숙소, 객실, 식당 등이 배치되어 있다.[1]
그리스도의 승천에 봉헌된 카톨리콘은 1806년에서 1810년 사이에 대수도원장 테오도리토스에 의해 이전 카톨리콘 자리에 아토스식 성당 양식으로 건축되었다. 1811년에 총대주교 그레고리우스 5세가 축성했으며, 카산드리아의 주교 이그나티우스의 개인 기부로 건축에 큰 도움을 받았다. 성전은 넓고 웅장하며, 납 지붕으로 덮인 8개의 돔이 있고 가장 큰 중앙 돔이 있다. 대리암은 티노스에서 아토스로 운반되어 사용되었다.[1]
카톨리콘의 신랑은 1811년에 성상학자 베냐민, 자카리아스, 마카리오스가 성상으로 장식했고, 1818년에는 성지가 장식되었다. 1841년에는 성상학자 요아사프, 니키포로스, 카라시모스, 안티모스가 배랑을 성상으로 장식했다. 제단, 성서 등 성당의 다른 특징들도 이 시기에 만들어졌다. 특히 신약과 구약 성서의 장면을 묘사한 성상은 조각된 나무에 금도금이 되어 있으며, 아토스산에서 가장 중요한 후기 비잔티움 성화벽 중 하나로 꼽힌다. 카톨리콘에는 콘스탄티노플 에큐메니컬 총대주교 안티무스 6세가 1845년에 추가한 두 개의 경당, 문간, 포치도 있다.[1]
카톨리콘 남동쪽 모퉁이 밖에는 성수를 보관하는 세례단(그리스어: Φιάλη)이 있다. 1815년 대수도원장 에우티미오스가 요한네스 5세 팔리이올로고스 시대의 구조물 자리에 건축했다. 조각된 대리석 소간벽으로 연결된 8개의 대리석 기둥이 돔을 받치고 있다.[1]
식당은 수도원에서 가장 오래된 건물로, 카톨리콘 맞은편 서쪽 부속 건물에 있는 준독립형 건물이다. 대수도원장 에우티미오스가 1810년에 보수했다. 그리스 독립 전쟁 때 오스만 군인들이 피운 불로 16세기와 17세기 성상이 심하게 손상되었지만, 아직도 남아 있다.[1]
수도원에는 13개의 경당이 있는데, 8개는 단지 안에, 5개는 밖에 있다. 단지 안의 경당 중 가장 중요한 곳은 카톨리콘 측면에 있는 마리아의 자헌 경당과 대천사 경당이다. 단지 밖에 있는 경당 중 가장 주목할 만한 곳은 키예프의 페체르스카야 라브라를 설립한 키예프의 성 안토니 경당으로, 수도원 바로 건너편에 있다.[1]
6. 문화재
이 수도원은 중요한 성유물과 문화재를 많이 소장하고 있다. 수도원의 도서관과 보고는 카톨리콘의 배랑에 임시로 보관되어 있다. 중요 문화재로는 십자가, 책, 의복 등이 있으며, 특히 콘스탄티노폴리스의 총대주교 그레고리우스 5세가 기증한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의 천막(3.05m×2.8m)의 큰 조각을 소유하고 있다. 수사들은 이 천막을 예수의 승천 축일에 카톨리콘 입구 위에 1년에 한 번 설치한다.
카톨리콘 제대에는 성유물함이 포함된 ''풀케리아의 십자가''가 있다. 이것은 매우 중요한 비잔티움 모자이크 성화상으로, 크기는 0.15m×0.07m이며 그리스도가 서 있는 모습이 상세하게 묘사되어 있다. 성화상은 사도들이 묘사된 은 테두리로 둘러싸여 있으며, 하단에는 성유물이 들어 있다.
수도원에는 많은 필사본도 소장되어 있다. 도서관에는 372권의 필사본이 있으며, 그 중 75권은 양피지로 작성되었고 일부는 도상 장식이 있다. 특히 80개의 세밀화가 있는 코드화 #14 미놀로기온이 유명하다. 도서관에는 약 2,000권의 인쇄된 책이 있으며, 6,000권 이상의 책은 수도원 북쪽 부속 건물 2층에 보관되어 있다.
7. 아토스산의 행정
성산(聖山)은 수도원 대표 20명으로 구성된 "성 공동체"(Ιερά Κοινότης)에 의해 통치되며, 집행위원회는 4명으로 구성된 "성 행정"(Ιερά Επιστασία)이고, 그 수장은 프로토스(Πρώτος)이다. 행정 당국은 그리스 외무부에서 임명한 민간 총독이 대표하며, 그의 주요 임무는 기관의 기능과 공공 질서를 감독하는 것이다.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청과의 불규칙한 관계 때문에 에스피그메누 수도원의 현재 점유자들은 오랫동안 "성 공동체"에 대표되지 못했지만, 현재 수도원 토지 접근을 여전히 모색하고 있는 새로운 정통 에스피그메누 수도 형제단이 대표를 두고 있다.[14]
참조
[1]
뉴스
In the Balkans, the forces of pious chauvinism speak louder again
https://www.economis[...]
2017-11-18
[2]
문서
Greek: ''Προσκυνητάριον του Αγίου Όρους του Άθωνος''
[3]
서적
The Treasures of Mount Athos: The monasteries of Iveron, St. Panteleimon, Esphigmenou, and Chilandari
https://books.google[...]
Ekdotike Athenon
1974
[4]
웹사이트
''[https://www.worldcat.org/oclc/495381365 Προσκυνητάριον του Αγίου Όρους του Άθωνος]'', WorldCat
https://www.worldcat[...]
[5]
웹사이트
The Patriarchical decision
http://esphigmenou.c[...]
[6]
웹사이트
1273 – the story of the two Esfigmenou "konaki"
https://athosweblog.[...]
2012-02-08
[7]
뉴스
Greek monks clash over monastery
http://news.bbc.co.u[...]
BBC
2006-12-20
[8]
뉴스
Embezzlement charges against the monks of Esphigmenou
https://archive.toda[...]
www.in.gr
2007-01-28
[9]
웹사이트
Greek police evict rebel monks from monastery headquarters
https://www.theguard[...]
2014-10-31
[10]
웹사이트
Molotov cocktail gets Esphigmenou abbot twenty years in jail
https://orthochristi[...]
[11]
웹사이트
Schismatic Esphigmenou brotherhood sentenced for fraud against the state
https://orthochristi[...]
[12]
웹사이트
Appeals court sentences Esphigmenou abbot to 17 years in jail
https://orthochristi[...]
[13]
웹사이트
Greek Supreme Court orders schismatic brotherhood of Athonite Esphigmenou Monastery to vacate all properties
https://orthochristi[...]
[14]
웹사이트
1549 – Esfigmenou: the "Orthodoxy or Death" banner
https://athosweblog.[...]
2022-08-19
[15]
웹사이트
Orthodoxy or Death
https://www.pravmir.[...]
2022-08-19
[16]
웹사이트
Άγιο Όρος: Η ΕΛΑΣ ετοιμάζει έφοδο στη Μονή Εσφιγμένου - Ταμπουρώνονται οι μοναχοί
https://eleftherosty[...]
2024-07-24
[17]
웹사이트
총대주교의 결정
http://esphigmenou.c[...]
[18]
뉴스
아토스산에 있는 그리스의 반역 수사들 교착상태.
http://news.bbc.co.u[...]
BBC
2003-01-28
[19]
웹사이트
에스미그메누 수사들에게 폭행을 가하는 동영상
http://www.esphigmen[...]
[20]
뉴스
신성한 장소에서 벌어진 난투극으로 수사들이 부상당했다.
http://news.scotsman[...]
Scotsman
2006-12-21
[21]
뉴스
수도원을 두고 벌어진 그리스 수사들의 폭력충돌
http://news.bbc.co.u[...]
BBC
2006-12-20
[22]
뉴스 인용
Embezzlement charges against the monks of Esphigmenou
https://archive.toda[...]
www.in.gr
2011-12-05
[23]
웹사이트
BBC의 게오르기우스 달라쿠라스와의 인터뷰
http://www.esphigmen[...]
BBC
2007-01-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