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성절 자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성절 자음은 음절을 형성하는 자음으로, 모음 없이 소리를 낼 수 있는 자음을 의미한다. 게르만어파, 슬라브어파, 중국어파 등 다양한 언어에서 나타나며, 언어에 따라 성절 비음, 치경 비음, 마찰음 등 다양한 형태로 존재한다. 일부 언어에서는 성절 자음의 장단, 성조 등을 구분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자음 - 유성음
    유성음은 허파에서 나온 공기가 성대를 진동시켜 만들어지는 소리이며, 모음과 일부 자음이 이에 해당하고, 언어에 따라 유성음과 무성음의 구별이 단어의 의미를 구분하는 기준이 되기도 한다.
  • 자음 - 성문음
    성문음은 성문의 조음 상태에 따라 생성되는 음운으로, 성문 폐쇄음과 성문 마찰음 등을 포함하며, 성문 마찰음은 실제 마찰음과 달리 접근음으로 간주되고, 성문 폐쇄음은 성문이 완전히 닫히는 소리이며, 성문 폐쇄 정도에 따라 무성음과 유성음으로 구분되기도 한다.
  • 음성학 - 음성 인식
    음성 인식은 음성 신호를 텍스트로 변환하는 기술로, 인공지능과 심층 학습의 발전으로 인식 정확도가 향상되어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고 있지만 보안 문제가 남아있다.
  • 음성학 - 음성 합성
    음성 합성은 텍스트를 음성으로 변환하는 기술(TTS)로, 기계 장치에서 컴퓨터 기반 시스템으로 발전해왔으며 통계적 모델과 심층 학습 기반 기술 발전을 거쳐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지만 윤리적 문제와 기술적 과제도 안고 있다.
성절 자음
음성학
명칭성절 자음
다른 이름음절 자음
정의스스로 음절을 형성하거나 음절의 핵이 되는 자음
추가 설명'음절 자음은 약한 모음(슈와 등)을 덧붙여 발음하는 경향이 있음. 예를 들어 "rhythm"은 /ˈrɪðəm/ 또는 /ˈrɪðm̩/로 발음될 수 있음'
관련 기호angbr: ◌̩
설명: 결합 세로선 아래
angbr: ◌̍
설명: 결합 세로선 위
IPA 번호431
예시IPA: '[m̩]'
IPA: '[ŋ̍]'

2. 여러 언어에서의 성절 자음

여러 언어에서 성절 자음이 나타난다.

게르만어파에서는 고지 독일어저지 독일어 방언, 영어, 덴마크어, 노르웨이어 등에서 성절 자음이 발견된다. 슬라브어파에서는 체코어, 슬로바키아어, 세르보크로아트어, 마케도니아어 등에서 성절 자음이 존재한다. 중국어의 방언인 광둥어민난어에는 성절 비음이 나타나며, 표준중국어에는 음절 마찰음이 존재한다.[13][14][15][16] 이외에도 베르베르어파, 살리시어족, 와카시어족, 치마쿰어족 언어들처럼 일반적인 어휘에 성절 장애음이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2]

2. 1. 게르만어파

고지 독일어저지 독일어 방언에서 동사의 부정사나 여성 명사 끝에 오는 -en은 성절 비음으로 발음된다. 예를 들어 고지 독일어 ‘laufen|라우펜de’(걷다)은 [ˈlaʊfn̩]으로 발음되며, 어떤 방언에서는 [ˈlaʊfɱ̍]으로 발음되기도 한다.[2]

많은 영어 방언은 'even' [ˈiːvn̩], 'awful' [ˈɔːfɫ̩] 및 'rhythm' [ˈɹɪðm̩]과 같은 단어에서 음절 자음을 사용할 수 있다.[4]

덴마크어에서 음절 자음은 음소 슈와 /ə/와 유성음의 조합을 표준 구어체로 실현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슈와 동화라고 한다.[5] 예를 들어 katten|카텐da ('고양이') [ˈkʰætn̩], dame|다메da ('레이디') [ˈtɛːm̩]와 같이 발음된다.

노르웨이어의 4개 방언 그룹 모두에서 음절 치경 비음 /n/을 들을 수 있다. 다른 치경 자음 다음에 오면 음절이 되며, 정관사 단수 형태의 남성 명사에서 가장 자주 발생한다(노르웨이어 문법 참조). 예를 들어 bilen|빌렌nb ('자동차') [biː.ln̩]과 같이 발음된다.[6][7]

2. 2. 슬라브어파

체코어슬로바키아어에는 성절 자음 [r̩]과 [l̩]이 나타난다. 슬로바키아어는 모음의 장단음을 구분하는데 성절 자음의 장단음도 구분하는 점에서 특이하다. 슬로바키아어 정서법에서 [r̩, l̩]의 장음은 각각 ‹ŕ›, ‹ĺ›로 적는다. ‘kĺbsk’ ([kɫ̩ːp], 관절), ‘vŕbask’ ([ˈvr̩ːba], 버드나무) 등의 단어에 나타난다. 체코어에는 [m̩, n̩]도 있으며, ‘sedmcs’ ([sedm̩~sedn̩], 일곱) 따위가 그 예이다.[21]

세르보크로아트어에서 [r̩]는 trčatihr (달리다)와 같이 사용되며, [l̩]은 Vltavahr (블타바)와 같이 사용된다. [ʎ̩]는 Štarkljhr와 같이, [n̩]은 Njutnhr (뉴턴)과 같이 사용된다. 세르비아 남동부의 대부분의 토르락 방언은 표준어의 ''u'' ([u])에 해당하는 정규 음절 ''l'' ([l̩])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vlk'' (늑대, 표준어에서는 vuksr), ''slza'' (눈물, 표준어에서는 suzasr)가 있다. 쿠파 강과 벨레비트 사이, 전쟁 전 크로아티아 방언에서는 다른 자음도 음절이 된다. 예를 들어, ''t'' ([t̪])는 mostćhr (표준 크로아티아어에서는 mostićhr, 작은 다리)와 같이 사용되며, ''č'' ([tʃ])는 klinčćhr (표준 크로아티아어에서는 klinčićhr, 정향)과 같이 사용된다.[12]

마케도니아어에서 [r̩]은 првmk ([ˈpr̩f], 첫 번째), срцеmk ([ˈsr̩t͡sɛ], 심장), незадржливmk ([nɛˈzadr̩ʒlif], 억제할 수 없는), рбетmk ([ˈr̩bɛt], 척추), рѓаmk ([ˈr̩ɟa], 녹슬다), рчиmk ([ˈr̩t͡ʃi], 코를 골다) 등과 같이 사용된다.

2. 3. 중국어파

광둥어민난어에는 성절 비음 [m̩]과 [ŋ̍]이 나타나며, 단독으로 음절을 이루거나 초성 자음과 함께 나타날 수 있다. 표준중국어에는 이른바 '설첨 모음'이라고 불리는 음절 마찰음 [z̩], [ʐ̩] 등이 나타난다.[13][14][15][16]

광둥어의 경우, 성절 비음 m([m̩])은 '아니오'라는 뜻의 단어 '唔|m̭̍yue'에서 가장 흔하게 나타난다. 성절 비음 ng([ŋ̍])은 성조에 따라 '五|ŋ̬̍yue'(다섯), 성씨 '吳|ŋ̭̍yue', '伍|ŋ̬̍yue' 등의 단어에 나타난다.

민난어의 경우, 성절 비음 [m̩], [ŋ̍]은 홀로 나타나는 음절뿐 아니라 초성 자음과 함께 나타나는 음절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姆|ḿ|m̩˥˩nan', '黃|n̂g|ŋ̍˨˦nan', '媒|m̂|hm̩˨˦nan', '門|mn̂g|mŋ̍˨˦nan', '酸|sng|sŋ̍˦nan' 등이 있다.

표준 중국어에서는 마찰음 또는 파찰음 다음에 오는 특정 고모음이 해당 소리의 연장으로 발음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sī|sź̩cmn, zī|tsź̩cmn, shī|ʂʐ̩́cmn, rī|ʐʐ̩́cmn 등이 있다. 많은 현대 언어학자들은 이 소리를 진정한 음절 마찰음으로 묘사하지만 마찰은 약하고 성대가 울린다. 그러나 많은 화자에게서 마찰은 모음의 시작 부분으로만 전달되며, 혀의 접촉이 줄어들어 높은 접근음 모음으로 전환된다. 존 C. 웰스[18]는 ''si''에 대해 sz̞ᵚ|sz̞ᵚ영어, ''shi''에 대해 ʂʐ̩ᶤ|ʂʐ̩ᶤ영어로 표기하기도 한다.

2. 4. 그 외의 언어

베르베르어파, 살리시어족, 와카시어족, 치마쿰어족 언어들에는 일반적인 어휘에 성절 장애음이 나타난다. 누할크어에는 ‘북동풍’, ‘물범 지방’, ‘젖은’, ‘마른’, ‘우리는 노래하곤 했다’와 같은 예시가 있다.[2]

요루바어에서 자음 'm'과 'n'은 음절적이며 성조를 가질 수 있지만, 항상 음절 핵으로 존재하지는 않는다.[3]

참조

[1] 간행물 Handbook
[2] 서적 Das Aussprachewörterbuch https://books.google[...] Dudenverlag
[3] 논문 Luxembourgish https://www.cambridg[...]
[4] 웹사이트 Pronunciation guide http://www.merriam-w[...] 2017-01-06
[5] 논문 Danish 1998-06
[6] 서적 Talemål Novus forlag, Oslo
[7] 서적 Dei norske dialektane - Tradisjonelle særdrag i jamføring med skriftmåla Høyskoleforlaget AS, Kristiansand S
[8] 서적 Bergens bymål Novus Forlag AS, Oslo
[9] 논문 A STUDY OF PALATAL SEGMENTS' PRODUCTION BY DANISH SPEAKERS https://www.isca-spe[...] 2019-10-17
[10] 논문 Sedm, sedmnáct, sedmdesát… http://nase-rec.ujc.[...] 2012-06-28
[11] 서적 Enciklopedija slovenskega jezika. Mladinska knjiga
[12] 간행물 Hrvatski dijalektološki zbornik 7
[13] 서적 Chines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4] 서적 The Languages of China Princeton University Press
[15] 서적 Studies in Chinese Phonology Mouton de Gruyter
[16] 웹사이트 Syllable Structure in Chinese http://www-personal.[...] 2020-11-27
[17] 웹사이트 UCLA Phonetics Lab Data http://www.phonetics[...] 2021-01-25
[18] 웹사이트 Chinese apical vowels http://www.phon.ucl.[...] 2021-10-24
[19] 간행물 北京話 '知' '資' 二韻國際音標寫法商榷
[20] 간행물 Handbook
[21] 저널 인용 Sedm, sedmnáct, sedmdesát… http://nase-rec.uj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