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순치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순치음은 윗입술과 아래 치아를 사용하여 발음하는 자음으로, 다양한 종류와 국제 음성 기호(IPA) 표기가 존재한다. 무성 및 유성 파열음, 파찰음, 마찰음, 접근음, 탄음, 클릭음 등이 있으며, 각 소리는 특정 언어에서 나타난다. 예를 들어, 무성 순치 파열음 [p̪]는 그리스어에서, 유성 순치 파찰음 [b̪͡v]는 총가어에서 사용된다. 순치음은 마찰음과 접근음이 일반적이며, 일부 언어에서는 탄음도 음소로 나타난다. 순치 치음은 윗입술을 아래 치아에 접촉시켜 발음하는 자음으로 IPA 확장 기호를 사용하여 표기하며, 언어적으로 드물게 나타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순치음 - 무성 순치 마찰음
    윗니와 아랫입술 사이 마찰로 나는 무성음인 무성 순치 마찰음은 영어 'f' 소리에서 볼 수 있으며, 식습관 변화와 저작력 감소가 확산에 영향을 준다는 연구가 있다.
  • 순치음 - 유성 순치 마찰음
    유성 순치 마찰음은 윗니와 아랫입술 사이의 마찰로 생성되는 유성음으로, 여러 언어에서 나타나지만 한국어에서는 외래어 표기 시에 주로 사용된다.
  • 조음 위치 - 성문음
    성문음은 성문의 조음 상태에 따라 생성되는 음운으로, 성문 폐쇄음과 성문 마찰음 등을 포함하며, 성문 마찰음은 실제 마찰음과 달리 접근음으로 간주되고, 성문 폐쇄음은 성문이 완전히 닫히는 소리이며, 성문 폐쇄 정도에 따라 무성음과 유성음으로 구분되기도 한다.
  • 조음 위치 - 양순음
    양순음은 국제 음성 기호에서 두 입술을 사용하여 소리를 내는 자음을 의미하며, 파열음, 파찰음, 마찰음, 비음 등 다양한 종류가 존재하고, 전 세계 언어의 대부분에서 나타난다.
  • 자음 - 유성음
    유성음은 허파에서 나온 공기가 성대를 진동시켜 만들어지는 소리이며, 모음과 일부 자음이 이에 해당하고, 언어에 따라 유성음과 무성음의 구별이 단어의 의미를 구분하는 기준이 되기도 한다.
  • 자음 - 성문음
    성문음은 성문의 조음 상태에 따라 생성되는 음운으로, 성문 폐쇄음과 성문 마찰음 등을 포함하며, 성문 마찰음은 실제 마찰음과 달리 접근음으로 간주되고, 성문 폐쇄음은 성문이 완전히 닫히는 소리이며, 성문 폐쇄 정도에 따라 무성음과 유성음으로 구분되기도 한다.
순치음
음성학적 정보
조음 위치입술치음
조음 방법자음
소리f, v, sᶹ, zᶹ, ɹᶹ
언어별 정보
영어 명칭Labiodental
영어 예시ˈsɪmfəni (심포니)
프랑스어 예시fʁɑ̃se (프랑스어)
스페인어 예시ˈbino (비노, 포도주)
러시아어 예시ˈvʲɪnə (비나, 죄)
인접 조음 위치
인접 조음 위치입술
입술치아

치경
후치경
권설
경구개
연구개
구개수
인두
성문
순치음 종류
파열음
마찰음f
v
접근음ʋ
탄음
방출음
동시 조음k͡p
ɡ͡b
ŋ͡m
기타후두개
설순
기타 측면 접근
파찰음p̪͡f
b̪͡v
참고
관련 문서흡착
측면
IPA 자음표
자음

2. 순치음의 종류와 IPA 표기

국제 음성 기호(IPA)에서 식별되는 순치음은 다음과 같다.

IPA설명예시
언어철자IPA의미
ɱ̊무성 순치 비음앙가미어[2]colspan=2 align=center |
ɱ유성 순치 비음쿠쿠야어[3][ɱíì]'눈'
무성 순치 파열음그리스어σάπφειρος[ˈsafiro̞s̠]'사파이어'
유성 순치 파열음시카어colspan="3"|
p̪͡f무성 순치 파찰음총가어timpfuvu[tiɱp̪͡fuβu]'하마'
b̪͡v유성 순치 파찰음총가어shilebvu[ʃileb̪͡vu]'턱'
f무성 순치 마찰음영어fanfæn]
v유성 순치 마찰음영어vanvæn]
ʋ유성 순치 접근음네덜란드어wangʋɑŋ]'뺨'
유성 순치 탄음모노어vwaa]'보내다'
p̪͡fʼ순치 방출 파찰음체체우트어[4][5]apo[ap̪͡fʼo]'끓이다'
순치 방출 마찰음야프어[6]aang[fʼaːŋ]'뱀장어의 종류'
ʘ̪순치 클릭음 해제 (다양한 자음)Nǁng어ʘoek͡ʘ̪oe]'고기'



IPA 차트는 '순치 측음'을 음영 처리한다.[7] 이는 때때로 그러한 소리가 불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 읽히기도 한다. 실제로 마찰음 [f]와 [v]는 종종 측면 기류를 가지지만, 어떤 언어도 중앙성에 대한 구별을 하지 않으며, 변이음은 눈에 띄지 않는다.

IPA 기호 는 스웨덴어에서 발생하는 소리를 나타내며, 공식적으로 연구개 마찰음 [x]와 유사하다고 설명되지만, 한 방언 변이는 둥글고, 연구개화된 순치음이며, 로 덜 모호하게 표기된다. 순치 클릭음은 (양)순음 클릭음의 변이음이다.

2. 1. 무성 순치음

국제 음성 기호(IPA)에서 무성 순치음은 다음과 같이 나타낸다.

IPA설명예시 언어철자IPA의미
무성 순치 비음앙가미어[2]colspan=2 align=center |
무성 순치 파열음그리스어σάπφειρος'사파이어'
무성 순치 파찰음총가어timpfuvu'하마'
무성 순치 마찰음영어fan
순치 방출 파찰음체체우트어[4][5]apo'끓이다'
순치 방출 마찰음야프어[6]aang'뱀장어의 종류'


2. 2. 유성 순치음

국제 음성 기호(IPA)에서 식별되는 유성 순치음은 다음과 같다.

IPA설명언어철자IPA의미
유성 순치 비음쿠쿠야어[3]colspan="2"|'눈'
유성 순치 파열음시카어colspan="3"|
유성 순치 파찰음총가어shilebvu'턱'
유성 순치 마찰음영어van
유성 순치 접근음네덜란드어wang'뺨'
유성 순치 탄음모노어vwa'보내다'


2. 3. 기타 순치음

국제 음성 기호(IPA)에서 순치음은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IPA설명언어철자IPA의미
ɱ̊무성 순치 비음앙가미어[2]colspan=2 |
ɱ유성 순치 비음쿠쿠야어[3] (논쟁의 여지가 있음)[ɱíì]'눈'
무성 순치 파열음그리스어σάπφειρος[ˈsafiro̞s̠]'사파이어'
유성 순치 파열음시카어colspan=3 |
p̪͡f무성 순치 파찰음총가어timpfuvu[tiɱp̪͡fuβu]'하마'
b̪͡v유성 순치 파찰음총가어shilebvu[ʃileb̪͡vu]'턱'
f무성 순치 마찰음영어fanfæn]
v유성 순치 마찰음영어vanvæn]
ʋ유성 순치 접근음네덜란드어wangʋɑŋ]'뺨'
유성 순치 탄음모노어vwaa]'보내다'
p̪͡fʼ순치 방출 파찰음체체우트어[4][5]apo[ap̪͡fʼo]'끓이다'
순치 방출 마찰음야프어[6]aang[fʼaːŋ]'뱀장어의 종류'
ʘ̪순치 클릭음 해제 (다양한 자음)Nǁng어ʘoek͡ʘ̪oe]'고기'



IPA 차트는 '순치 측음'을 음영 처리한다.[7] 마찰음 [f]와 [v]는 종종 측면 기류를 가지지만, 어떤 언어도 중앙성에 대한 구별을 하지 않으며, 변이음은 눈에 띄지 않는다.

IPA 기호 ɧ는 스웨덴어에서 발생하는 소리를 나타내며, 공식적으로 연구개 마찰음 [x]와 유사하다고 설명되지만, 한 방언 변이는 둥글고, 연구개화된 순치음이며, [fˠʷ]로 덜 모호하게 표기된다. 순치 클릭음은 (양)순음 클릭음의 변이음이다.

3. 언어별 순치음 사용

순치음이 음소로 나타나는 일반적인 소리는 마찰음과 근접음뿐이다. 순치 탄음은 12개 이상의 언어에서 음소로 나타나지만, 지리적으로 중앙 및 동남 아프리카로 제한된다.[8] 대부분의 다른 조음 방법에서 규범은 양순음이다(이들은 순치음과 함께 순음의 범주를 형성한다).

는 매우 흔하지만, 그것이 나타나는 모든 언어 또는 거의 모든 언어에서 및 와 같은 순치 자음 앞에서 의 변이음으로만 나타난다. 테케어군의 방언에서 음소로 나타난다고 보고되었지만, 과거의 유사한 주장은 근거가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총가어의 시쿤나 방언은 한 쌍의 파찰음을 음소로 특징으로 한다. 코사어와 같은 다른 언어에서는 파찰음이 마찰음의 변이음으로 나타날 수 있다. 이들은 독일어무성 순치 파찰음 pf|양순 p로 시작de와는 다르다. 이 모든 파찰음은 드문 소리이다.

파열음은 어떤 언어에서도 별개의 음소로 존재하는 것이 확인되지 않았다. 때때로 ''ȹ ȸ'' (''qp'' 및 ''db'' 합자자)로 표기된다. 이 소리는 어린이의 발화 또는 언어 장애로 나타날 수도 있다.[8]

4. 순치음과 양순음

순치음이 음소로 나타나는 일반적인 소리는 마찰음과 근접음뿐이다. 순치 탄음은 12개 이상의 언어에서 음소로 나타나지만, 지리적으로 중앙 및 동남 아프리카로 제한된다.[8] 대부분의 다른 조음 방법에서 규범은 양순음이다(이들은 순치음과 함께 순음의 범주를 형성한다).

는 매우 흔하지만, 그것이 나타나는 모든 언어 또는 거의 모든 언어에서 및 와 같은 순치 자음 앞에서 의 변이음으로만 나타난다. 테케어군의 방언에서 음소로 나타난다고 보고되었지만, 과거의 유사한 주장은 근거가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총가어의 시쿤나 방언은 한 쌍의 파찰음을 음소로 특징으로 한다. 코사어와 같은 다른 언어에서는 파찰음이 마찰음의 변이음으로 나타날 수 있다. 이들은 독일어무성 순치 파찰음 pfde와는 다르며, 이 소리는 양순 p로 시작한다.

파열음은 어떤 언어에서도 별개의 음소로 존재하는 것이 확인되지 않았다. 때때로 ''ȹ ȸ'' (''qp'' 및 ''db'' 합자)로 표기된다. 이 소리는 어린이의 발화 또는 언어 장애로 나타날 수도 있다.[8]

5. 순치 치음

순치음은 윗입술에 아래 치아를 접촉시켜 발음하는 자음이다. IPA 확장판에서 언어 장애를 위한 순치음 기호는 아래 치음을 나타내는 다리 기호와 유사하게 위첨자 다리 기호◌͆를 사용한다. 따라서 m͆ p͆ b͆ f͆ v͆와 같이 표기한다. 아프리카트, 비음화된 파열음과 같은 복합 자음도 가능하다.

이러한 음성들은 언어적으로 드문데, 이는 순치 치음을 생성하기 어렵게 만드는 부정교합 (특히 후퇴턱)의 일반적인 경향 때문일 가능성이 크다.[9] 그러나 무성 순치 치 마찰음 f͆은 그린란드어의 일부 남서부 방언에서 사용된다.

6. 참고 사항

국제 음성 기호(IPA)에서 식별되는 순치음은 다음과 같다.

IPA설명언어철자IPA의미
무성 순치 비음앙가미어[2]colspan=2 align=center |
유성 순치 비음쿠쿠야어[3]colspan="2"|'눈'
무성 순치 파열음그리스어σάπφειρος'사파이어'
유성 순치 파열음시카어colspan=3|
무성 순치 파찰음총가어timpfuvu'하마'
유성 순치 파찰음총가어shilebvu'턱'
무성 순치 마찰음영어fan
유성 순치 마찰음영어van
유성 순치 접근음네덜란드어wang'뺨'
유성 순치 탄음모노어vwa'보내다'
순치 방출 파찰음체체우트어[4][5]apo'끓이다'
순치 방출 마찰음야프어[6]aang'뱀장어의 종류'
순치 클릭음 해제 (다양한 자음)Nǁng어ʘoe'고기'



IPA 차트는 '순치 측음'을 음영 처리한다.[7] 이는 때때로 그러한 소리가 불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 읽히지만, 실제로 마찰음 와 는 종종 측면 기류를 가지지만, 어떤 언어도 중앙성에 대한 구별을 하지 않으며, 변이음은 눈에 띄지 않는다.

IPA 기호 는 스웨덴어에서 발생하는 소리를 나타내며, 공식적으로 연구개 마찰음 [x]와 유사하다고 설명되지만, 한 방언 변이는 둥글고, 연구개화된 순치음이며, 로 덜 모호하게 렌더링된다. 순치 클릭음은 (양)순음 클릭음의 변이음이다.

순치음은 [labiodentals|순치 치음]의 조음 반대 위치에 있는 자음이다. 순치음은 아래 치아를 윗입술에 접촉시켜 발음한다. IPA 확장판에서 언어 장애를 위한 순치음 기호는 위첨자 다리 기호 를 사용한다. 따라서 와 같이 표기한다. 아프리카트, 비음화된 파열음과 같은 복합 자음도 가능하다.

이러한 음성들은 언어적으로 드문데, 이는 순치 치음을 생성하기 어렵게 만드는 부정교합 (특히 후퇴턱)의 일반적인 경향 때문일 가능성이 크다.[9] 그러나 무성 순치 치 마찰음 은 그린란드어의 일부 남서부 방언에서 사용된다.

참조

[1] 서적 Principles of Phonetics
[2] 논문 Phonetic structures of Khonoma Angami http://sealang.net/s[...] 1993-09-01
[3] 서적
[4] 논문 Ts'ets'aut, an Athapascan Language from Portland Canal, British Columbia 1924-07-01
[5] 논문 The Position of the Tsetsaut among Northern Athapaskans 1972-01-01
[6] PhD dissertation Textual Structure and Discourse Prominence in Yapese Narrative University of Hawai'i
[7] 웹사이트 Consonants (Pulmonic) https://www.internat[...] 2018-06-20
[8] 논문 Teaching phoneme awareness to pre-literate children with speech disorder: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https://pubmed.ncbi.[...] 2007-01-01
[9] 논문 Speech adapts to differences in dentition within and across populations 2021-0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